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相づちにおける出現位置の再考 : 日韓兩言語における母語場面と接觸場面の分析を通して = The Restudy about the location of Backchannel to be uttered

        곽말임 お茶の水女子大學 2004 해외박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아이즈찌의 출현위치를 재정의하려는 것이며,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아이즈찌가 어떻게 정의되어 왔는지 그 형태,기능,출현 위치에 대해 개관한다. 제2장에서는, 본 연구는 무엇을 아이즈찌로 정의하는지 그 형태와 기능에 관한 규정을 설명한다. 제3장에서 제6장까지는 담화 데이터를 통한 실증적 분석을 한다. 담화 데이터는 일본어 모어 장면,일본어 접촉 장면,한국어 모어 장면,한국어 접촉 장면이다.이 네 장면의 담화 과정을 기록하고 그 기록에서 담화유지를 해 나가기 위해 아이즈찌는 어떤 역할을 하며 담화 전체에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찾는다. 제3장에서는 일본어 모어 장면을 분석한다. 특히,1)형태와 기능에서 아이즈찌로 정의 된 것이 선행연구에서 언급되어 온 위치 이외에도 관찰되는지, 2)관찰된다면 하임즈 (1964)의 '화자와 청자'이론,미즈타니(1993)의 '공화'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고찰한다.분석결과 화자의 말속에도 아이즈찌의 기능이 있다는 것을 제기하고 본 연구에서는 '공역'의 개념을 제시한다. 제4장에서는 일본어 모어 장면과 접촉 장면을 비교한다.비교를 통해 일본어 모어 화자의 아이즈찌 사용은 장면에 따른 변화가 있는지 없는지,변화가 있다면 그것은 무엇에 근거하는지를 밝힌다.제5장에서는 일한 양언어의 모어 장면의 아이즈찌를 비교한다.제6장에서는 일한 양언어의 접촉 장면의 아이즈찌를 비교한다.접촉 장면의 아이즈찌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1)모어 장면보다 접촉 장면에서 약화되는 경향,2)모어 장면과 접촉 장면에서 동일한 경향, 3)모어 장면보다 접촉 장면에서 강화되는 경향,의 세 관점에서 대조분석한다. 제 7장에서는 본 연구의 전체요약과 남은 과제에 대해 언급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