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테니스選手의 人性特性에 관한 硏究 : 實業팀 選手를 中心으로

        고혜경 檀國大學校 大學院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선수들의 人性이 그들의 경기운영 및 결과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는 점을 인식하여. 우리나라 黑·女 實業팀 테니스 선수들의 人性分析을 통하여 그들의 경기형태를 예측하고 이들의 지도를 效率的으로 할 수 있는 方向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서 이 硏究는 우리나라 實業팀 男 ·女 테니스선수 54名 (남자 24명, 여자 30명 )을 임의로 선택하여 코리안테스팅센터에서 작성한 인성검사 설문서를 작성하게 한 후 이를 分散分析(ANOVA)을 포함한 여러가지 統計分析을 시도하였다. 분석대상이 된 인성특성은 活勳性, 支配性, 安定性, 衝動性, 男向性, 客觀性, 恩慮性, 社會性 등 여덟가지였다. 이 硏究에서 分析結果를 살펴보면, 1) 各 人性의 平均値를 百分北로 볼 때 대체로 40%~50%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2) 衝動性과 累向性에서는 女子 選手들이 높게 (20이상) 나타났고 5 % 유의수준에서도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였으며, 3) 各 入性分析 結果 75% 以上과 25% 以下의 數値를 나타낸 男子 選手와 好選手들의 수치를 보면 男子 選手들의 경우 各 人性에 있어서 대체로 24名 중 8∼12名이었고(男向性에서만 17名) 女子 選手들의 경우에는 各 인성별로 30名중 10∼16名 이었다 (客觀性 과 社會性에서 18名)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sonality factors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tennis players in general division in Korea. This study employs Korean Testing Center questionaire for personality study. It includes eight personality factors such as general activity, dominance, emotional stability, impulsiveness, masculinity, objectivity, reflectiveness, and sociability. As a methodology, the study uses the method of ANOVA(analysis of variance) to test whether men tennis players are different from women tennis players in each personality factor. F-statistic is figured out and compared with critical value of F-distribution at 5% significance level. One of findings in this study is that women tennis players are more impulsive and masculine than men tennis players. Also, this study suggests that comperhensive investigation of individual tennis player's personality is helpful and efficient in training. This is because the best game strategy can b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each player's personality.

      •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고혜경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진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에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자아존중감과 진로정체감 및 진로태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 사이의 관계를 진로정체감이 매개하는가? 이다. 연구를 위하여 S시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과 2학년, 167명(여학생 89명, 남학생 7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자아존중감, 진로정체감 검사 및 진로태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상관분석, Baron & Kenny(1986)의 방법을 적용하여 3단계 회귀분석 및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과 진로정체감 및 진로태도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진로정체감 및 진로태도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진로정체감 역시 진로태도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진로태도와 진로정체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것은 고등학생들은 자신의 미래와 진로에 대한 관심이 많으며, 진로지도는 남녀 학생을 구분하지 않고 차별 없이 이루어져야 하고, 아울러 진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고등학생을 상담할 때, 상담자는 해당 학생이 자신의 부모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탐색하는 단계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또한 상담자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지도를 하거나 진로상담계획을 세울 때, 내담자의 심리적·비심리적 변인들과 개개인이 처한 상황에 고려한 개별특성에 따라 그들의 진로정체감과 진로태도를 함께 이해하고 파악한 후에 그에 맞는 개별적 진단과 처치를 해야 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근거로 하여 질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고, 표집지역의 한계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진로정체감 및 진로태도 관련 변인들의 차이와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 등의 학생진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주제어: 자아존중감, 진로태도, 진로정체감

      • 원불교 천도의 교리적 의의와 실천방향 고찰

        고혜경 원광대학교 원불교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죽음은 우리의 삶과 뗄 수 없는 것이다. 죽음은 경험적 산물로 습득되는 것이 아니므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죽음의 문제는 종교로 이어져 다양한 종교에서 죽음과 생사에 관한 교리를 펼쳐왔다. 원불교는 우주와 인생의 근본적 진리의 상징적인 표현인 일원상의 진리를 근본 교리로 두고 있다. 일원상의 진리는 우주의 근본 원리와 인간의 본질 등에 관한 궁극적인 진리이 다. 이 진리는 일원상의 진리로써 현실생활과 연결시키는 표준으로 적용되고 있다. 현상세계는 인과보응의 이치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지만, 그 변화의 바탕에는 여여자연한 불생불멸의 진리가 있다. 불생불멸과 인과보응의 진리의두 가지 속성에 바탕하여 생사를 변·불변의 관점에서 정립하고 이에 바탕한 천도를 통해 진리적 삶으로 인도와 실천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천도재와 교화 현황에 관한 설문으로 교화현장에서 진행되는 천도재는 교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영가의 위로와 해탈천도를 위한 천도재이나, 천도법문이나 천도 및 생사와 관련된 설법을 통하여 재주나 참여자들로 하여금 죽음과 삶의 진리적 방향으로 유도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생사의 근본적 물음에서 일원의 진리에 접근하는 기회가 된다. 또한 이를 계기로 교당으로 인연이 이어져 재주들의 업장을 녹여주고 더불어 참여자들에게는 자신 천도 뿐 아니라 천도의 기연으로 복전을 쌓게 된다. 이는 영의 천도를 위한 정성이 자신천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인천도와 자신천도가 둘이 아닌 이치를 드러내는 것으로 결국 천도의 이치는 생사가 둘이 아닌 일원의 진리에 바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잘 가고 잘 오는 생사에 바탕한 프로그램은 죽음에 대한 이론교육과 체험의 병행을 통하여 죽음과 생사준비를 하도록 이끌어 낸다. 죽음이라는 삶의 과정을 재설정함으로써 자아성찰을 통해 자신의 삼착심의 내용을 확인하고 삼착심 제거의 중요성은 진리의 삶으로 인도하며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는 길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프로그램은 원불교 정기훈련프로그램의 성향을 드러낸다.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어쩌다 받는 것이며 기회가 제공이 될 때 받을 수 있는 특수성이 있다. 그러나 현재는 이마저도 받을 수 없는 처지에 있어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 다시 돌아와 이 프로그램 이후 죽음과 생사에 대한 인식의 변화나 현실의 삶 속에서의 실행이나 삶의 가치에 대한 점검은 순전히 개인의 몫으로 남는다. 그러나 생사는 어쩌다 있는 것이 아니며 죽음 또한 어쩌다 오는 것이 아니다. 반드시 오는 것이나 언제, 어디서, 어떻게 올지 모르는 변수가 있다. 이 변수를 준비하는 것이 천도이다. 원불교 천도의 실천 방향성은 먼저 불생불멸과 인과보응의 확실한 진리관이 세워져야 생사관의 바른 이해가 가능한 것이다. 생사관의 바른 이해가 전제가될 때 천도의 실천 방향성은 명확해진다. 진리적 삶과 천도는 일치하는 것이 다. 그러므로 천도는 자신천도와 중생교화의 두 축으로 방향이 설정되어야 한다. 진리적 삶의 추구는 자신에게만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타인에 게만 허용 된 것도 아니다. 자신도 진리적 삶의 추구에 있어서 생사관에 바탕한 자신 천도를 행해야 하며, 모든 중생도 생사관에 바탕한 제도를 통해 진리적 삶을 추구하도록 인도해야 한다. 따라서 천도는 자신에게 있어 자신천도와 타인에 있어 중생교화라는 두 가지 축으로 실천방향이 설정이 되어야 한다. 자신천도의 실천방향은 생사관에 입각한 철저한 수행과 정성스런 신앙의 교법실천이다. 일원상 진리에 대한 굳은 믿음을 삼학수행을 통해 생사의 윤회에서 벗어나서 육근 동작을 자유하며 자신을 진급의 길로 안내하는 것이다. 타인천도는 스스로 천도할 능력을 갖추지 못한 영가로 하여금 타력에 의지 하여 천도를 받도록 도와주는 행사이다. 타인천도가 단지 좋은 곳에 몸을 받도록 기원해준다는 1차적인 목적에 머물러 있어서는 안된다. 진리에 바탕하여 진리적 삶으로 인도하는 교화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천도를 대하는 마음의 자세와 천도의식을 진행하는 마음의 태도는 중생제도의 관점에서 성자적 심법을 가져야 할 것이다.

      •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 지도 연구 : 강정대구현대미술제를 중심으로

        고혜경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theoretical basis of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 to develop Community Based Art Education programs. The national curriculum is newly revised in 2015, with the purpose of enhancing learners' problem-solving skills in daily lives. Now, the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learners' complex and fused lives where only one form of knowledge does not exist. Also, the curriculum emphasizes the learners' ability of solving problems by cooperating with other people and understanding other perspectives based on their own values. These purposes correspond to the ones of Community Based Art Education that activates the learners' cooperation in developing the local community economically and culturally. Eventually, these purposes correspond to educating the way of life to build a good life and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shares the communal culture with learners by connecting them to the local culture. The program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to suggest the action plans for an art education that brings the whole development of both individuals and local society. To achieve such goal,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type, and background of Community Based Art Education. This study considers Community Based Art Education as a formation of community for using resources and communication of local areas, and it designed the programs by connecting the fields of experienc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based on the local cultural resource, Daegu Contemporary Art Festival in Gangjeong. Firstly, the researcher constructed a program for appreciating and criticizing art works in ‘Daegu Contemporary Art Festival in Gangjeong’ located in Dalseong-gun. This program was constructed by following the 4 steps of Feldman‘s art criticism. Through the program, the learners could explor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ettings of local cultural resource and comprehend the art festival hold in the area where they live. In the field of expression, a participatory social art was implemented as multi-dimensional and flat expressions with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of ‘Gangjeong-goreongbo’. As a flat expression, the learners made a flat landscape of Gangjeong with an art material, ‘Clover Pack’, and then they multi-dimensionally connected it with others' works. Through the process, the learners could experience the formation of a community and other relationships. Lastly, an exhibition planning program was implemented to display the learners' sculptures made with the themes of 'Gangjeong, water, and light'. During the program, the learners could systematically construct the exhibition and understand various ways of display with the consideration of art work, audience, and the location of display. This study suggests to change the art education into the one connected with the learners' authentic liv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programs of Community Based Art Education by using the local cultural resource, ‘Daegu Contemporary Art Festival in Gangjeong’. If schools are willing to connect art classes with the local societies and local cultural resources, as learning elements, then the learners will be able to find out new values of the art in their own lives, rather than to become passive by memorizing the contents presented in textbooks.

      • 퀴노아의 발아 또는 열처리 가공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및 in vitro 생리활성

        고혜경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고영양 건강식품으로 주목받는 퀴노아를 섭취하는데 있어 다양한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발아와 열처리 가공을 통한 퀴노아의 이화학적 특성과 in vitro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페루산 퀴노아를 사용하여 48시간 발아시켰을 때, 퀴노아의 일반성분(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함량)은 발아에 따라 감소하였고 전분과 아밀로오즈 함량은 약간 증가하였다. 발아 후 α-amylase 활성은 48시간 동안 발아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최종 48시간에서의 활성은 비발아한 원곡보다 약 2배가량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발아에 따라 퀴노아 분말의 색도는 L값이 증가하여 밝기가 밝아지며, 녹색도와 황색도가 감소하여 점차 색상이 옅어짐을 알 수 있었다. 발아한 퀴노아 분말을 신속점도측정계(RVA)로 그 특성을 분석한 결과 RVA 점도는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점도가 감소하였는데 이는 발아에 따라 효소 활성도가 증가함에 의한 결과로 도출되었으며 in vitro 전분 가수분해율 역시 발아의 진행이 가수분해율의 향상을 초래하였다. 퀴노아의 총 페놀함량은 증류수로 추출할 때 수침시와 발아 24시간 까지는 미미하게 감소하였으나 발아 48시간 경과에서 증가하였고, 80% EtOH 추출시에는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퀴노아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추출용매와 상관없이 발아과정에 따라 일정하게 감소하였다. 항산화능 평가로써 DPPH 소거능은 두 용매에서 모두 발아하면서 감소하였으나,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는 80% EtOH 추출시에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퀴노아의 가열처리로 열탕(boiling)처리와 증자 후 배소(steaming/roasting)처리하는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다. 퀴노아의 일반성분은 퀴노아를 boiling처리 하였을 때 조단백, 조지방이 약간 감소하였으나 steaming/roasting의 경우 함량에 차이가 없었다. 전분과 아밀로오즈 함량에서도 약간의 감소가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유사하였다. 열처리 퀴노아 분말은 L값이 감소하여 밝기가 어두워지는 것과 녹색도와 황색도가 증가하여 색상이 짙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처리한 퀴노아의 WSI는 원곡에 비하여 증가한 반면, WAI는 열처리로 인하여 감소하였다. 열처리 퀴노아의 신속점도계(RVA) 점도가 매우 낮은 특성을 보였으며 in vitro 전분 가수분해율은 원곡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퀴노아의 총 페놀 함량은 증류수와 EtOH 용매 두 가지 모두 원곡에 비하여 가열처리에 의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원곡에서 각각 1.37, 1.08 mg/g에서 boiling은 0.93, 1.02 mg/g이었으며 steaming/roasting은 0.85, 0.89 mg/g으로 나타나 boiling 처리하였을 때 보다 steaming/roasting의 감소가 더욱 큰 편이었다. 또한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역시 두 가지 용매 모두 열처리 가공시 감소하였고 원곡, boiling, steaming/roasting이 각각 0.76, 0.52, 0.42 mg/g 및 0.35, 0.18, 0.13 mg/g으로 나타나 가열처리 하였을 때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DPPH 소거능은 에탄올 추출시 원곡 20.02%에 비하여 boiling은 15.25%, steaming/roasting은 12.35%로 나타나 열처리에 의하여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는 증류수를 용매로 추출하였을 때 원곡 41.88%였지만 boiling은 34.55%, steaming/roasting은 31.75%로 나타나 열처리에 의하여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외상 후 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성폭력 피해 경험 여성의 정서 조절, 성폭력 귀인 및 성장에 미치는 효과

        고혜경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ost traumatic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carried out on the female sexual victims; if it effects on their emotional regulation, sexual violence attribution and post traumatic growth. In order to achieve such goal, this study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on the experiences of 20‘s sexual violence victims who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by publicizing offline and online in the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and gender equality center in Busan. Finally, the selected 12 wom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6 groups assigned to an experimental and 6 groups to a control group. The Posttraumatic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arried out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10 times each 120 mins, where as not a single treatment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re-post test for the emotional regulation, sexual violence attribu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carried out for both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And by using SPSS / WIN 24 statistical program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scale were calculat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performed putting the pre-test scores as a covari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regula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participating the Post traumatic Growth group counselling program was much in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econd, the self-attribu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participating the Posttraumatic Growth group counselling program was much reduced than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e other-attribu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much in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the post traumatic growth for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participating in the Post traumatic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much in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Consider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lear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lowering of emotional regulation, sexual violence attribution and post traumatic growth. Finally, limitation to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장애인 활동보조인 중년여성의 직무만족과 재취업 관계 연구

        고혜경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에 관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경력단절 되었던 중년여성의 취업경험에 대한 접근을 하였다. 또한 활동보조인이라는 직업으로 재취업함으로써 개인의 삶의 질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토대로 다시 취업하고자 하는 중년여성들의 삶을 이해하고 아울러 재취업의 관계를 도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탐라장애인종합복지관 소속 활동보조인 291명 가운데 현재 활동하고 있는 50대 중년여성 활동보조인 128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 조사하였고 총 127부가 회수되어 연구에 활용하였다. 이에 따라 일반적 특성과 직무만족의 변인들이 활동보조인이라는 직업으로의 재취업이 일자리 창출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 하위변수인 직무자체, 사회적 인식이 정부재정일자리 사업이라는 사회정책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활동보조인은 사회서비스사업에 참여함으로써 사회정책의 지원체계와 연결되어 장애인에게 직접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활동보조인의 취업이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으며, 그와 함께 주변체계들과 조화를 이루어야 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하여 50대 중년여성이 경력단절 후 장애인활동보조인이라는 직업으로 재취업함으로써 일자리창출 목적의 사회정책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assess the experiences of the career-interrupted middle aged women by means of factor analysis in terms of their job satisfaction as a personal assistant for the disabled. It is also significant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employment as a personal assistant and advancement in the quality of a personal life. The aim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comprehend the middle aged women’s intent for re-employm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and reemployment as a social policy. To achieve the goals, 128 currently enrolled personal assistants in their 50s out of a total of 291 at Tamna welfare center were sampled an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127 questionnaires were answered, collected and analyzed. It was strongly hypothesized that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would significantly influence on a re-employment policy, the effects of job creation.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a task itself and a social acknowledgement which are the sub-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 on a social policy regarding job creation. Personal assistants for the disabled provides a wide range of direct services for the needy population through social supporting systems. Their employment is likely to interact with environmental factors around themselves, and therefore harmonization with the surrounding factors is very meaningful. As a result, the re-employment of middle aged women in their 50s as a personal assistant after career-interruption contributes to a social policy addressing job cre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