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 지위비행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개인요인, 부모요인, 친구요인, 학교요인을 중심으로

        고미숙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first considered that delinquency of adolescents largely appear due to a variety of interactions between each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urrounding the adolescents based on various theoretical perspectives with regard to adolescent delinquency. With such a consider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oretical, practical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that enable to establish the preventions and measures for the issues on adolescents. To accomplish the objective, this study defined individual factor, parent factor, peer factor and school factor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which can be an influential factor for status delinquency of adolescents, and analyzed the impacts of each variable on the status delinquency of adolescents such as smoking, drinking, truancy and run away from hom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6th year panel data of the 4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of 2016 Korea Child Youth Panel Survey (KCYPS)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terms of study subjects, the data for 2,061 of the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6th KCYPS', were collected and utilized for statistical analyses. SPSS Statistics 25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for verifying a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and a reliability verification was conducted for questionnaire items and measurement tools.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and the results of overall responses. Both t-test and chi square (χ2) test were performed as well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y gender of each variable and to identify any difference by gender in types of the status delinquency of adolescents. Besides,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among variables an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finally to verify the impacts of entire independent variables on each of status delinquency of adolescent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ale students exhibited a higher potential of smoking, drinking, truancy and run away from home than female students, and the higher the aggressiveness, the higher the potential in truancy and run away from home. In addition, the likelihood of smoking and truancy was shown higher as parent abuse is getting severed, and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sense of alienation from peers, the more severe the influence on drinking, truancy and run away from home, and the likelihood of smoking, drinking and truancy became higher as an increased violation of school regulation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status delinquency of adolescents was affected by not only the individual factors including gender and aggressiveness, but also the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parent abuse, a sense of alienation from peers and truan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ale students can be free from alienation by expanding delinquency prevention program, eliminating the factors that incite aggressiveness and spreading the program that conduct together with peers. Moreover, it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concern from teachers for school adaption is a critical factor that decreases the status delinquency.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verified the multivariate influential factors by supplementing the previous studies that tested the status delinquency of adolescents using just fragmentary variables and suggested the fundamental data to solve various types of problems in the status delinquency of adolescents by examining the specific causes for each type of the status delinquency.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지위비행에 관한 다양한 이론적인 관점을 토대로 청소년 지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개인과 그 개인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이 상호작용하여 나타난 것이라고 보고 청소년 지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고찰함으로써 청소년 문제에 대한 예방과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이론적․실천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소년 지위비행의 영향요인인 독립변인은 개인요인, 부모요인, 친구요인, 학교요인으로 선정하였고, 각 변인이 청소년 지위비행인 흡연, 음주, 무단결석, 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6년도 초등학교 4학년 패널 6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제6차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에 참여한 중학교 3학년 2,061명의 자료가 통계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Statistics 25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측정항목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의 문항과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전반적인 응답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각 변수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청소년 지위비행 유형별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t검증과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수간에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마지막으로 전체 독립변수가 각각의 청소년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흡연, 음주, 무단결석, 가출을 할 가능성이 높으며 공격성이 높을수록 무단결석 및 가출 가능성이 높았다. 그리고 부모학대가 심할수록 흡연과 무단결석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래소외감이 높을수록 음주, 무단결석, 가출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규칙을 지키지 않을수록 흡연, 음주, 무단결석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개인요인인 성별과 공격성, 환경적요인인 부모학대, 또래소외감과 학교규칙이 청소년 지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남학생을 위한 비행 예방 프로그램 확대와 공격성을 부추기는 요인 제거, 그리고 또래들과 함께하는 프로그램 확대로 소외감에서 멀어지게 하고, 학교적응을 위한 교사의 관심이 지위비행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단편적인 변인들로 청소년 지위비행을 검증했었던 선행연구를 보완하여 다변인의 영향요인에 대해 검증하였고 지위비행의 유형별로 구체적인 원인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 지위비행의 여러유형에 대한 문제해결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 7차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감상 학습모형 연구 : 동서양 풍경화 작품을 중심으로

        고미숙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술교육과정은 시각적인 표현을 통하여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조형적으로 창조, 발전시키는 예술의 한 과정으로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고 조화로운 삶을 추구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미술교육은 당대의 교육과정에 맞추어 미술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표현과 감상에 중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실질적인 미술교육은 표현 위주의 학습을 해 온 것이 사실이며, 감상 부분은 표현 부분에 이를 만큼 학습목표에 이르지 못하였다. 미술교육이 미술교과의 본질에 맞아야 하고, 학습자의 심리에 적합해야 하며, 사회적 요구에 부합해야 하는 성격임을 볼 때 학교교육에서도 미술교육은 균형 잡힌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그런 면에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작품제작, 미학, 미술사, 미술비평의 균형있는 미술교육을 학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그동안 미술수업에 있어 소홀히 되어오던 미술사에 관련된 감상 부분을 7차 교육과정에 맞추어 그 중요성과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7차 교육과정에서 선택교과로 나누어지는 고등학교 2학년이며, 연구의 내용은 7차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에서부터 7차 교육과정이 미술교육과정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그리고 교육과정 이전부터 지금까지의 미술교육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시대적 흐름의 파악과 더불어 미술교육의 기초를 이루는 학문적 체계를 돕고자 하였다. 학습 지도방안의 모형은 풍경화 작품에 있어 우리나라에서 산수화의 대가로 대표될 수 있는 정선(鄭敾)의 조선시대 후기의 작품과 비슷한 시기 서양의 독일 낭만주의(Romantisism Art) 작가인 프리드리히(Caspar David Friedrich)의 작품 비교를 통해 학습단원을 구성하였고, 미술작품이 지니는 문화적, 역사적 맥락 속에서 미술의 의미를 파악하고 작가의 의도, 느낌, 감정을 이해하여 미적 경험이 이루어지도록 의도하였다. 이 연구는 7차 교육과정에 관련된 여러 자료와 미술교육 방면에서 연구된 논문을 참고하였으며, 고등학교에서 7차 교육과정이 아직 시행되지 않은 관계로 본인이 구성해 본 지도안을 미술수업에서 활용한 사례를 들어 감상수업의 효과 및 개선점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의 미술감상 수업을 위해 '지역별 풍경화 감상을 위한 질문사례' 를 제시하였다. 미술감상 학습에서는 다양한 학습모형이 있을 수 있으나 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것으로서 '비교형 교수모형'과 펠드만(E. B. Feldman)의 '비평형 교수모형'에 따라 서술, 분석, 해석, 평가를 혼합한 방식을 택하였고, 수행평가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인은 이러한 학습을 통해 기존의 표현활동의 치우친 미술 수업에서 벗어나 우리가 속한 세계와 미술작품에 대해 판단력을 기르며 타문화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미술의 총체적인 학습이 가능하다고 본다. Course of art education is one of the Art that create/develop one's thinking & emotion with formative method, by visual expression. It's purpose is improving quality of human life, and making that harmonious. By now, policy of art education have been going on with policy itself of that time, emphasizing representation/appreciation based on understanding the Art. But most of courses have actually been composed by expression part, compared to appreciation one, so finally didn't reach the goal of education. Art education must be suitable for essence of art class, student's mentality, and social need. So art education courses in school need ones with valence. At this aspect, the purpose of study points upon importance & need of appreciation in art history, alternative that educate art production, aesthetics, art history and art criticism with serve value, traditionally overlooked in art class, view of 7th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7ECK). Category in this study consist of 2nd high school students, can choose his/her class in 7ECK. Contents are objective, meaning and application to art education curriculum of 7ECK, and change of curriculum from foundation of government policy to nowadays, to make it clear that current flow of education policy and theological organization basically realized by art education. Model of teaching method is categorizing study chapter compairing Chung-Sun Landscape Painting of nature, representative in last half of Cho-Sun dynasty, KOREA, with Casper David Friedrich's ones almost same period in western, time of Romenticism Art in Germany. The objective is to grasp meaning of art with painting in cultural, historical coherence, and make artificial experience realize with understanding artest's intend, emotion, and spiritual need in his painting. This study consults lots of paper, thesis and other data in relation with 7ECK, have made of actual result in teaching curriculum composed by myself for 7ECK didn't totally realize in current education programs yet, and compelled the effectiveness I need of improvement in actual application of art class. The result of this application shows 'Case Study in appreciation of regional landscape painting by question', making more various class of appreciation. Study model in art appreciation have various ways, but I insist method mixed with description, formal analysis,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following teaching model of 'comparison' and 'criticism' by E. B. Feldman, usable for art class in school, and adapting to acquire result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my aspect, this method can give us power of judgement to our world and art, escape from art class patial with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correlation with other culture.

      • 사회복지사의 소진 극복을 위한 실존주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고미숙 경성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program to prevent burnout of social workers and to verify its effect. For this purpose, there 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how does compose the existential counseling program to prevent burnout of social workers? Second, how does effect of the program? For the purpose and subject of inquiry of this study, literature research was studied. And the necessary contents were extracted to structure the program by collecting in-depth data about the field experience of social work and program structure. Also, it was developed after feasibility study of experts on selected elements of program structure base on analysis of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burnout prevention program and of the required examination about necessary elements for the program. The burnout prevention program of this study was developed with experts advice based on existential counseling.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composed of three parts. The first part is exploring of itself deeply and awareness of the existence by forming of trust and intimacy. Second, the participants re-establish their identity as a social worker and find out the meaning of work by understanding of basic exhausted and reconsider their value, the purpose of life. Lastly, forming a system of social support for expanding their influence, and to overcome the burnout by clearly focusing of life. And it’s belong to the part of choice and free. The experiment was done after the 22subjects who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mong social workers at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in 6 areas of Busan megalopolis were chosen and randomly assign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stand by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was done October 5, 2013, October 9 for concentrated 2 days of 10 sessions with 90 minutes per session, with the control group without any treatmen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is study about the burnout prevention program, pre, post and following-up test was performed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of job tress, meaning of life and burnout and statistic analysis was implemented using SPSS WIN 18.0. The homogeneity of dependant variables was analyzed by T-test and their score difference was confirmed by analysis of variance by repeated measure. Paired t-test was implemented for the periodic difference(pre, post, following-up) of dependant variables of each group, dependant t-test was used for the difference of dependant variables in each period between the groups. Quality analysis was also implemented throughout the whole period of the program to establish the way how the change and reaction was occurred based on the experience-based report made by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program finished to supplement quantity analysis about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 of job stress were not shown significantly gap comparing the experimental group of participating the program with control group. Second, the score of meaning of life were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ing the experimental group of participating the program with control group. Third, the score of burnout were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ing the experimental group of participating the program with control group. Considering of these results, this burnout prevention program i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burnout of and increasing the meaning of life of the social workers. Therefore, by running the program, it is possible reducing job stress of social workers and promoting scores of the meaning of life. Also this program will be served high quality service to workplace organization members and clients of the welfare services. Accordingly, This program will be useful to design a desirable future like existential experience of life, a meaningful life, free life.

      •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위한 지역사회 재활 서비스에 관한 연구

        고미숙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using condition of community rehabilitation service for society rehabilitation of mental handicapped for 450 mental handicapped whom they are using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in nation, and knowledge of group home service and desires. Also, the vision is in searched desire of group home service according to mental handicapped general characteristic and understand group home service and desires according to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service and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community rehabilitation service for the result by the mental health center. Required result of this study is same as the following. First, usually mental handicapped are participated in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 that is enforced by mental health center, and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 have been feel to be help. And, the reason of enforce to that program is revealed society burden. Second, we understood that desired for community rehabilitation service for job of mental handicapped is frequently chance of relation of employment according a lot of information and field trip, and more various programs, various body activity program and education program and so on, but they want not employment program. Third, recognition of group home service and necessity and effective of mental handicapped revealed considerably high and whom they are using the mental health center, we confirmed that using quality can increase if using price cheap more than 100,000 Korean Won. Fourth, desired of group home service according mental handicapped general characteristic, population-ship characteristic have been need to persons with in burden from parents and have good relations with parents, we confirmed that they may use attractively. Fifth, in part of the desired of group home service according to using term of mental health center of mental handicapped and income of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 people of usually contact to mental health center and daily life tech training program and visit to home service program are needed more and more and we confirmed that they are using attractively. In the sight of study results, for the purpose of offering the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service into mental handicapped, at first, prejudice of community people to mental handicapped must be decreased, and number of mental health center must increased for using of convenient. With together, regarding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 offered in mental health center, propriety system must to be install by gradually and discrimination program according to various symptoms and capacity. Also, it must to offer the available community information and efficiently supported for chance of frequently contact to various desire of mental handicapped and regarding the family concern, key point element of rehabilitation for society return, on purpose to cooperation of family, understand burden of family, and actually it must to help to them. Additionally, if group home service offer to mental handicapped, it seems to be attractive help to them.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남편과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미숙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남편과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culturation Stress of Migrated Female on Husband of Satisfaction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가족상담. 치료학과 : 고 미 숙 지도교수 : 오 규 영 세계화, 지구촌화가 가속화 되고 있는 현대 사회의 흐름 속에서 오늘날 우리 한국 사회는 전통적 단일 민족 국가가 아닌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다민족․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변모해 감에 따라 한국남성과 결혼하여 입국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남편과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무엇이 도움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한 방안을 규명 하고자 한다. 국제결혼의 증가로 다문화가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선행연구들 대부분은 다문화 가정에 대한 접근으로 결혼이 - ⅱ - 주여성이 한국문화에 동화 할 것을 전제한 경우가 많았다. 건강한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가정의 주체이며 가장 기본이 되 는 부부간의 관계가 좋아야 할 것이며, 이에 부부간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태안군 다문화가정(총231가정-전수조사)을 대상으로 실태조사 및 욕구조사로 진행 하였다. 조사내용으로는 ①경제활동상태 자녀양육, 가족 부양 등 가족 관계와 만족도, ②사회서비스 수요 및 욕구,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프로그램 관심도, 결혼이민자 한국사회 적응 측정 등으로 구분하였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소속되어 있는 방문 지도사를 조사원으로 활용하였으며 가구방문을 원칙으로 전수조사를 실시 하였다. 결혼이주여성과의 충분한 라포 형성이 되어 있는 방문지도사를 조사원으로 선택한 이유는 안정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였거나 신규 입국자들은 낯선 한국 사람들을 꺼려하는 경우가 많아 조사에 어려움이 따를 것을 예상하였기 때문이다. 조사 내용 중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win 18.0 Package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자료의 분석은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중회귀분석,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 등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진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결혼이주여성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남편과의 만족 - ⅲ - 도를 분석한 결과 결혼동기, 결혼경로, 학력, 종교, 소득 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문화적 충격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더라도, 향수병(그리움)에 의 한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지각된 차별감에 의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나면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가 있었다. 남편의 수입이 높을수록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결혼을 하면서 이주해 오는 결혼이주여성들은 이주의 목적이 코리안드림과 본국의 가족에게 경제적 지원을 위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남편의 수입이 높으면 그만큼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지각된 차별감이 낮을수록 부부만족도는 높다. 즉 차별감이 낮으면 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난다. 지각된 차별감은 한국인에 의한 것으로 많은 사람들이 과거에 비하면 호의적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지만 여전히 차별감을 느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남편과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가장 기본이 되는 부부가 서로 존중하고 신뢰하면 그들을 보는 일반인들도 외국인에 대한 적대감과 차별감은 감소 될 것이다. 결혼이주여성과 남편과의 만족도를 높인다는 것은 요즘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이혼율을 낮추는데도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만큼 시급히 요청되어야 할 문제이므로, 부부향상 프로그램을 통한 부부 관계의 질을 높이는 방법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부부와 시부모와의 관계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또한 좀 더 빠르게 가족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대처 적응모델의 적용

        고미숙 대구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 적응 모델을 적용하여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대처 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대처는 정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대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대처는 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구광역시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 중학생 484명의 자료를 SPSS 21.0 version와 AMOS 21.0 version을 사용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스트레스는 중학교 3학년과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는 중학교 1학년과 남학생이 높았으며, 스트레스대처는 학년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정신건강은 중학교 1학년과 남학생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질환 발병 고위험집단의 비율이 11.3%로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여학생이, 학년별로는 중학교 3학년이 정신질환 발병 고위험집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의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스트레스대처는 정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들의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들의 스트레스 대처는 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간접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섯째, 조사대상자들의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대처는 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스트레스 대처 적응 모델을 적용하여 저소득 가정 청소년들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대처의 효과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였다는데 이론적 함의를 가지며, 이를 통해 전국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보다 효과적인 사회복지적인 실천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이론적 함의로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 중학생의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면서 사회적지지, 스트레스대처와의 관계를 스트레스 대처 적응모델에 적용하여 검증하였고,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대처가 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사이에서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매개효과를 가지는 요인으로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에 따른 실천적 함의로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 있어서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정신건강에 대한 전문적인 서비스를 포함한 통합적인 서비스 지원을 제안하면서 여기에 사회적 지지의 확대와 질적인 측면의 향상을 제안하였다. 특히, 이들에게 중요한 사회적 지지체계로 확인된 부모와 친구 등을 통합적인 서비스 지원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고, 학생들과 가장 근접한 학교환경에서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에 전문적인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학교정신보건 서비스 체계를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by applying Stress-Coping-Adaptation Model to the relation between the stress and mental health of low-income adolescent. To acqui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 surveyed 484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on the School Adjustment of Daegu Metropolitan City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484 data sets by using SPSS 21.0 version and AMOS 21.0 version are as below. Firstly, the stress of research targets was high in the Middle School third graders and girl students; social support was high in the Middle School first graders and boy students; stress cop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er the distinction of grade; mental health was revealed to be good in the Middle School first graders and boy students; high-risk group of mental illness occurrence was as high as 11.3%; high-risk group of mental illness occurrence was the highest in girl students group per the distinction of sex and high in Middle School third graders per the distinction of grade. Secondly, the stress,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of research targets turned out to have direct influence on the mental health. Thirdly, research targets' social support turned out to have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mental health. Fourthly, research targets' stress coping did not show any indirect influence o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mental health. Fifthly, research targets'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turned out to have medicated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mental health. As for theoretical implication drawn from this study, I verifi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by applying them to the Stress-Coping-Adaptation Model while I was studying the effec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s stres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on the School Adjustment on the mental health, and it is significant that I could identify that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are mediated factors that have positive effect on the mental health between the stress and mental health. As for practical implication, I suggested integrated service support including professional service for mental health to increase mental health of low-income adolescents in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on the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also suggested to expand social support and qualitative increase. Particularly, it is significant that I suggested to enable parents and friends identified to be important social support system of the low-income adolescents to participate in the integrated service support, and also suggested to prepare School Mental Health Service so as to provide professional service to mental health problems of low-income adolescents in the nearest school environment to th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