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두록종의 생시체중 균일도와 번식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강하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Duroc종 돼지의 복당 생시체중 형질(복당 생시체중 평균, 복당 생시체중 표준편차)과 번식형질(총 산자수, 생존 산자수, 사산두수)의 유전모수를 추정하고 이들 형질간의 상관관계와 근교계수에 따른 변화 및 개량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국립축산과학원에서 2006~2016년 사이에 분만한 Duroc 모돈 1,081복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형질은 복당 생시체중 평균(ABW), 복당 생시체중 표준편차(BWSD), 총 산자수(NB), 생존 산자수(NBA) 및 사산두수(NBD)이다. 유전모수 추정은 다형질 개체모형을 이용하였다. 각 형질에 대한 유전력은 복당 생시체중 평균(ABW), 복당 생시체중 표준편차(BWSD), 총 산자수(NB), 생존 산자수(NBA) 및 사산두수(NBD)에 대해 각각 0.32, 0.13, 0.11, 0.10, 및 0.06으로 추정되었다. 복당 생시체중 평균(ABW)과 복당 생시체중 표준편차(BWSD)는 0.75의 높은 정의 유전상관을 보였다. 반면 생존 산자수(NBA)와 복당 생시체중 평균(ABW), 복당 생시체중 표준편차(BWSD)간의 유전상관은 각각 –0.26, -0.40로 생존 산자수(NBA)가 증가함에 따라 복당 생시체중 평균과 복내 개체간 체중의 표준편차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 산자수(NBA)와 사산두수(NBD)간의 유전상관은 0.24로 생존 산자수(NBA)가 증가하면 사산두수(NBD)도 증가하는 유전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한편 복당 생시체중 평균(ABW)과 복당 생시체중 표준편차(BWSD), 사산두수(NBD), 총 산자수(NB)간의 유전상관은 각각 0.75, 0.81과 0.08로 추정되어 복당 생시체중 평균(ABW)이 증가하면 총 산자수(NB)에는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으면서 복당 체중 표준편차(BWSD), 사산두수(NBD)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각 형질의 육종가와 근교계수 간의 상관계수는 유의하지만 낮은 상관을 보여(-0.16 ~ 0.18) 근교수준이 복당 생시체중 및 번식형질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유전력이 높은 복당 생시체중 평균(ABW)은 직접선발을 통한 빠른 개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지만 복당 생시체중 표준편차(BWSD), 총 산자수(NB), 생존 산자수(NBA) 및 사산두수(NBD) 형질은 유전력이 낮아 직접선발을 통한 개량효과가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자돈 생시체중의 균일도를 개량할 경우 복당 생시체중 표준편차(BWSD)에 대한 직접선발 방법과 더불어 복당 생시체중 평균(ABW)을 이용해 간접선발 방법을 적용한다면 더 효율적인 개량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가정식 대용식(HMR)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강하연 수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 소비자들의 음식 소비 행태는 서구의 외식 패턴의 영향을 받으면서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외식을 하거나 조리된 음식을 구입해 식사를 해결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가정에서 식사를 하더라도 집에서 전부 조리 하지는 않고 반조리, 완전조리 식품을 구입해서 가정에 가져와 먹거나 주문 배달해 먹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김주연 외, 2005). ‘가정식사 대용식(HMR : Home Meal Replacement)’이란 가정식사 대체식품으로 집에서 간단하게 먹을 수 있고 밖에서 사먹거나 또는 직접 만들어 먹는 것보다 맛과 향기・신선도가 떨어지지 않는 1차 조리된 음식으로, 기존의 냉동식품과는 달리 조리 즉시 먹거나 데우기만 하면 신선한 맛이 그대로 살아나는 음식(현대 시사용어 사전, 2004)으로 간편성과 편의성을 갖춘 완전조리식품으로 Take-Out과 유사하지만 테이크아웃이 단순히 음식을 매장에서 가지고 나가는 방식을 정의한 것과는 엄밀한 차이가 있다. 대학생들은 하루에 한 두 끼 정도는 밖에서 식사를 해결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다양한 식품구매를 유도하며 이러한 경향은 식품의 양보다는 질을 중시하고 가격보다는 건강을 중시하는 외식 패턴의 변화일 것이다. 최근 주 5일제 근무 정착으로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맞벌이 부부, 여성의 사회진출, 독신자의 증가, 출산율의 저하로 인한 외식증가는 경기 불황에서도 지속되고 있다. 이로 인해 식생활 영역이 점차 가정에서 사회로 외부화 되면서 가사노동의 내용과 범위가 변화하고 있다. 더불어 식품 가공과 보관기술, 식품 포장 기술의 발전과 유통 환경의 변화로 인한 다양한 업태의 식품 소매점들은 소비자가 원하는 상태의 거의 모든 식품을 제공하고 있다(나정기, 2003). 이러한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라서 편의 제품인 가정식대용식이 국내에서도 점차 증가되고 있다. 가정식대용식은 외식에 싫증이 난 직장인들이나 독신자들에게 가정식의 고품질 식품을 제공한다는 의미로 미국에서 개발된 가정식 대체식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가정대용식 개념보다는 가정이나 직장, 야외에서 저렴하면서도 간편하게 외식의 즐거움을 대신할 수 있는 외식 대용품의 성격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므로 개성이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와 행동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비자를 이해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삶의 총체적인 부분에서 일어나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를 분석하여 실제 식품 구매행동과 만족도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정라나, 2005).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은 연령, 소득, 성별 등의 인구 통계적 요인들과 더불어 소비자행동 특성을 이해하고 시장세분화를 통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연구되어 왔다. 라이프스타일은 개인의 가치관이나 활동영역, 관심분야, 태도 등에 의해 구체화된 생활양식을 의미하므로 시대적 상황이나 집단의 문화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연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채정숙, 2001). 우리나라에서의 HMR은 주로 대형마트에서 판매되고 있으나 메뉴의 한계성과 높은 가격, 건강에 대한 우려로 구매를 꺼리고 있어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금까지 HMR과 관련된 연구는 주부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진 반면, HMR을 자주 이용하고 있는 20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대 남녀 대학생의 HMR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가정식 대용식(HMR) 이용 현황 및 HMR 구매행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 남녀 대학생의 디저트카페 이용특성, 메뉴선택속성 및 만족도 관련 요인 연구 : 식생활요인, 비만행동요인, 사회심리요인, 라이프스타일 특성을 중심으로

        강하연 수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With the slowing of South Korean market, the market volume for desserts is growing bigger, while the number of people who seek satisfaction from desserts is increasing. Based on this, it can be assumed that the market for desserts will continue to grow in the future. The factors such as dietary habits, knowledge on nutrition, obesity behavior, risks with dietary disorders, depressive tendencies, health practices, and life style can be call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election preference, consumption of foods and the attitude toward the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upon the use of dessert cafes, selection of menus, and satisfaction with these cafes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along with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01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over the period from August 1, 2017 through October 1, 2017. Then, after excluding 107 questionnaires with incomplete or unreliable answers, a total of 90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se, 339 were from male university students, while 566 were from females. The analysis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SPSS 2.0, to calculat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for the validation of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variables, an χ² test was conducted, as well. In order to examine the average differences between the factor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dependent samples t-tests and ANOVA analyses were conducted. And, wh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trospective test of Duncan was conducted, as well.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dietary, obesity behavior, socio-psychological behaviors, health practices and the frequency of using dessert cafes among the male university students, the male university students who ate breakfasts, belonged to the high-risk groups in terms of the obesity behavior, smoked, and drank alcohol showed a higher rate of using dessert cafes. The male students who ate breakfast were using dessert cafes more frequently. Therefore, if these dessert cafes can come up with breakfast menus, they would be able to increase the use by male university students. Also,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etary, obesity, socio-psychological, and health behaviors and the amount of money they spent per visit to a dessert café showed that those who were in the high-risk group for dietary disorders and slept shorter were spending relatively more money in the dessert cafes per visit. As those who were getting less sleep were spending more money in dessert cafes, it is expected that selling them coffee-based beverages to them at a discounted price will get a positive reception. Also,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age characteristics of dessert cafes among the 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dessert cafes showed that the male university students who visited the dessert cafes once a week had a higher satisfaction level with these cafes. It is believed that a strateg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dessert cafes among male university students would further increase their frequency of using these caf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etary, obesity, socio-psychological, and health practice behaviors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accompanying parties when they visited dessert cafes showed that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a comfort pursuit lifestyle and those who drank alcohol were more likely to accompany their friends when they visited dessert cafes. Based on the finding that the students with a comfort pursuit lifestyle were more likely to visit dessert cafes with their friends, it would be possible to get a positive reception from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if a convenient set menu for two, where a dessert and beverages would be provided together, is introduced. Also,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etary, obesity, socio-psychological, and health practice behaviors and the purpose of using dessert cafes showed that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exercising were visiting dessert cafes to eat snacks. Therefore, it seems advisable to develop snack menus in consideration of health factor for th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Also,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age characteristics of the dessert cafes among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enu selection attributes of them showed that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se main purpose was eating snacks were considering the taste at the priority when selecting their menu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considering the taste as well as the health factors when developing these snack menus would get a good reception from the female students. If the menus and the operation strategies for dessert cafes ar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se findings, it would be possible to get positive receptions from both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contributing to the growth of the dessert café market.

      • 한국판 당혹 척도 타당화 및 측정 동일성 연구: 한국인과 미국인을 중심으로

        강하연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Embarrassment, one of the emotions related to social anxiety, is commonly known in the West as a self-conscious emotion that refers to the discomfort felt in awkward and maladroit social situations. However, the meaning of embarrassment and the situations that cause embarrassment may differ depending on each culture's norms and social contexts. The Embarrassment Scale (ES) is a scale that includes various situations that can cause embarrass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cultural differences in situations that cause embarrassment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barrassment and social anxiety between Koreans and Americans using ES. In study 1, ES was translated and validated with 320 Korean adults. In study 2,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289 Koreans and 280 Americans aged 18 to 29 to confirm measurement invariance of ES. It was found that 16 items and four factors were suitable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ES,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satisfactory. The factor structure and factor loadings of ES in Koreans and Americans were equivalent,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ntercepts of the items. This result means that although the situation causing embarrassment is the same between Koreans and Americans, one group responded more sensitively to specific questions due to differences in cultural norm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cultural differences in embarrassment by examining embarrassment, which has not been relatively studied in Korea, and by examining measurement invariance of ES and differences of relevance between embarrassment and social anxiety in Korean and American samples. 사회불안과 관련 있는 정서 중 하나인 당혹감(embarrassment)은 서구권에서 흔히 서투르고 어색한 사회적 상황에서 느끼는 불편감을 뜻하는 자의식 정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당혹감의 의미와 당혹감을 유발하는 상황은 문화권마다의 규범과 사회적 맥락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당혹 척도(Embarrassment Scale, ES)는 당혹감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포함하는 척도이다. 본 연구는 ES를 활용하여 한국인과 미국인 사이에서 당혹감을 유발하는 상황, 그리고 당혹감과 사회불안의 관련성에 문화적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 한국인 성인 320명을 대상으로 ES를 한국어로 번역 및 타당화하였다. 이후 연구 2에서 만 18세~29세에 해당하는 한국인 289명, 미국인 280명을 대상으로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ES의 측정 동일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판 ES는 16문항 4요인이 적합하였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과 미국인에서 ES의 요인 구조와 요인계수는 동일하였으나, 문항들의 절편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한국인과 미국인 사이에서 당혹감을 유발하는 상황은 동일하지만 문화적 규범의 차이로 인해 한 집단이 어떠한 문항에서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는지가 달랐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국내 심리학 분야에서 비교적 연구가 되지 않았던 당혹감을 조사하였다는 점, 한국인과 미국인 집단 사이에서 ES의 측정 동일성, 당혹감과 사회불안의 관련성 차이를 탐색함으로써 당혹감의 문화적 차이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유해 사이트의 배너광고 추적을 통한 광고주 분석

        강하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저작물 이용의 환경이 변화하며 불법 복제, 무단 배포와 같은 저작권 침해의 주요 수단이 웹하드 사이트에서 스트리밍 사이트, 링크 사이트 등으로 넘어오고 있다. 이러한 사이트들은 규제와 차단이 쉽지 않으므로 접속차단 조치를 통해 광고 차단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유해 사이트의 광고 수익 구조는 광고주가 지원하는 자금을 받으며 광고를 게재해주는 방식이다. 따라서 유해 사이트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이트의 광고주 분석을 통해 수익이 발생하지 않게 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해 사이트의 주요 수익원인 배너광고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해당 시스템은 사이트 내부의 배너광고를 통해 다른 사이트로 연결되는 유해 사이트를 추적하는 방식이며, 사이트 내부에 배너광고가 없을 때까지 추적한다. 내부에 배너광고가 없는 유해 사이트는 광고 수익이 발생하지 않고, 자체적인 수익 창출을 통해 다른 사이트에 자금을 지원하는 최종 광고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배너광고 수집 시스템을 통해 추적한 최종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차단 조치를 취한다면 다른 유해 사이트로 향하는 불법 자금을 근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as the environment for using works has changed, major means of copyright infringement such as illegal copying and unauthorized distribution have been transferred from webhard sites to streaming sites and link sites. These websites are not easy to regulate and block, so the effect of blocking advertisements can be expected through access measures. The profit structure of advertisements on piracy websites is a way of publishing advertisements with funds supported by advertisers.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block piracy websites, the advertisers on the website should be analyzed to prevent profits from being generated. Based on this, this study proposes a system to track banner advertisements, a major source of revenue for piracy websites. The system tracks piracy websites that connect to other websites through banner advertisements inside the website, and tracks them until there is no banner advertisement inside the website. Piracy websites without banner advertisements inside are the final advertisers who do not generate advertising revenue and provide funds to other websites through their own revenue generation. If these final advertisers are blocked, illegal funds heading to other piracy websites could be eradicated. In this study, if access to the final advertiser websites tracked through the banner advertisement collection system is blocked, it is expected that illegal funds heading to other piracy websites can be eradicated.

      •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강하연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2.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57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who were randomly selected. In this study, the self-leadership tool for childcare teachers was the self-leadership research tool of Seo, Yoon-Hee (2012), which was adapted and modified from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RSLQ) developed by Houghton and Neck (2002). The job satisfaction tool for childcare teachers was the Korea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Scale (K-CTJSS) developed by Choi, Sung-yeon et al (2011). Teacher-child interaction tool used tool developed by Lee, Jung-sook (2003). The distribution and collection of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from June 26th 2023 to July 28th 2023 through mail or through direct visiting to each institution. The data processing calculated Cronbach’s α in order to analyze the reliability of research tool.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the relativ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n teacher-child interaction.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above statistical process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hildcare teacher’s self-leadership as a whole and its sub-factors of action-centered strategy, natural reward strategy, and constructive thinking pattern strateg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 as a whole and its sub-factors of emotional interaction, verbal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In addition,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 as a whole and its sub-factors of social recognition and treatment, director’s operation method and attitude,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relationship with parents, childcare work, childcare environment and welfar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 as a whole and its sub-factors of emotional interaction, verbal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Second, the constructive thinking pattern strategy, a sub-factor of self-leadership,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overall teacher-child interaction, followed by childcare work, childcare environment and welfare, action-centered strategy, a sub-factor of self-leadership, and relationship with parent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The behavioral strategy, a sub-factor of self-leadership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emotional interaction, a sub-factor of teacher-child interaction, followed by childcare work,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natural reward strategy, a sub-factor of self-leadership, childcare environment and welfare,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The constructive thinking pattern strategy, a sub-factor of self-leadership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verbal interaction, a sub-factor of teacher-child interaction, followed by childcare work, childcare environment and welfare, and behavioral strategy, a sub-factor of self-leadership, and relationship with parent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Finally, constructive thinking pattern strategy, a sub-factor of self-leadership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behavioral interaction, a sub-factor of teacher-child interaction, followed by childcare work, a sub-factor of self-leadership,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behavioral strategy, a sub-factor of self-leadership, and childcare environment and welfare,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 및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셀프리더십 및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 및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 및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 대전광역시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중 임의표집한 257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 도구는 Houghton과 Neck(2002)이 개발한 자기지도성 척도(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RSLQ) 를 번안·수정하여 사용한 서윤희(2012)의 자기지도성 연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도구는 조성연 외(2011)가 개발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만족척도(Korea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Scale:K-CTJSS)를 사용하였 다. 교사-유아 상호작용 도구는 이정숙(2003)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질문지의 배부 및 회수는 2023년 6월 27일부터 7월 31일까지 우편 또는 연구자가 각 기관에 방문하거나 온라인 설문을 통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의 처리는 연구 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하여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 및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 및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통계 처리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 전체와 하위요인인 행동중심적 전략, 자연적보상 전략, 건설적사고패턴 전략은 교사-유아 상호작용 전체와 하위요인인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전체와 하위요인인 사회적 인식 및 처우, 원장 운영방식 및 태도, 동료교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보육업무, 보육환경과 복지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전체와 하위요인인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 모두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교사-유아 상호작용 전체에는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인 건설적사고패턴 전략이 가장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보육업무, 보육환경과 복지,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인 행동중심적 전략,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부모와의 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상호작용에는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인 행동중심적 전략이 가장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보육업무, 부모와의 관계,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자연적보상 전략,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보육환경과 복지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언어적 상호작용에는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인 건설적사고패턴 전략이 가장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보육업무, 보육환경과 복지,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인 행동중심적 전략,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부모와의 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상호작용에는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인 건설적사고패턴 전략이 가장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보육업무, 부모와의 관계,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인 행동중심적 전략,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보육환경과 복지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보육교사, 셀프리더십, 직무만족도, 교사-유아 상호작용 ※ 이 논문은 2023년 12월 순천향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유아교육)학위 논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