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압전 에너지 수확 소자를 이용한 DC-DC 컨버터 구동에 관한 연구

        강진희 세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로 압전 에너지 수확 소자를 이용하여 승압형 DC-DC 컨버터를 사용한 LED(Light Emitting Diodes) 구동에 관한 연구이다. 입력측은 가진기 장치를 이용하여 압전 에너지 수확 소자에 진동에너지를 발생 하였고, 진동 에너지의 속도는 가속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진동속도를 측정하였으며, 압전 에너지 수확 소자에서 나오는 교류전압을 전압강하와 스위칭 속도가 빠른 쇼트키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정류기로 사용하였다. 정류된 직류전압은 승압형 DC-DC 컨버터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직류 5V로 승압하여 LED를 점등하였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는 우수한 압전 및 유전 특성을 보이는 PMW-PNN-PZT 조성으로 900℃에서 소결하여 제작하였고, 더 좋은 특성을 출력하기 위하여 F.R.P(Fiber Reinforced Plastic)를 사용한 캔틸레버 방식을 이용하였다. 가진기를 사용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의 최적의 특성은 주파수 139.1Hz와 진동수 약 3.7G의 속도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에서 교류 2.19V의 출력전압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정류기를 통해 직류 1.46V 값으로 출력하였다. 직류 1.46V의 출력 전압값을 가지고 승압형 DC-DC 컨버터의 입력측으로 사용하여 DC 5V로 승압한 다음 LED를 점등하였다. 승압형 DC-DC 컨버터를 이용한 LED 구등 회로는 가진기를 이용한 진동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에서 나오는 전기 에너지를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충전하고, 충전된 전압으로 승압형 DC-DC 컨버터를 구동하는 것으로 충전된 시간과 비례하여 LED를 점등하였다.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하여 위 사실을 입증 하였으며, 일상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한 신재생에너지로써 환경오염과 관련하여 전혀 문제가 되지 않으며,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앞으로 차세대 에너지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압전 세라믹스를 이용하여 캔틸레버 타입의 에너지 수확 소자를 제작하여 이를 이용한 DC-DC 컨버터 구동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Boost DC-DC converter were manufactured using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ceramics in order to LED was driven.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ceramics was fabricated using PMW-PNN-PZT composition which have excellent piezoelectric characteristics. Cantilever type was used in order to generate the power. Energy harvester generated AC 2.19V at the driving frequency of 139.1Hz. Output voltage from the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was rectified at DC 1.46V and the capacitors were charged. The DC 1.46V was used an input voltage of the boost DC-DC converter. Output voltage of boost DC-DC converter was measured DC 5.01V. The output voltage of boost DC-DC converter drove LED.

      • 아나운서의 뉴스·예능·교양 메이크업 분석

        강진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나운서는 방송 매체를 통해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시청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전달한다. 움직임이 많지 않고 상반신만을 보여주는 뉴스와 교양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아나운서에게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다른 프로그램보다 정보전달력이 훨씬 강하다. 이는 언어로 전달하기 어려운 인간의 내면적 상태나 반응을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의상 등으로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여자 아나운서의 경우 메이크업에 의한 이미지가 다양한 차이로 나타나므로 이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이론적 검토를 통해 아나운서의 개념과 역할, 시대적인 변화를 분류하여 살펴보았고 프로그램별 이미지와 아나운서별 뉴스·예능·교양 프로그램에 따라 메이크업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따라 공통적인 부분이 나타났는데 뉴스 프로그램에서 메이크업은 매트한 피부표현에 눈 화장은 포인트 아이라인을, 입술은 누드 톤 계열의 색상으로 나타났다. 예능프로그램에서의 메이크업은 물광, 윤광, 쉬머로 촉촉한 피부를 표현하고 눈 화장은 스모키, 세미 스모키, 인조 속눈썹을 강조하며 입술은 다양한 모든 컬러를 사용하였다. 교양 프로그램에서의 메이크업은 매트, 물광, 윤광으로 피부표현을 하였고 눈 화장은 포인트 아이라인으로하고 입술은 누드 톤부터 다양한 컬러를 사용하였다 뉴스·예능·교양프로그램에 따라 메이크업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시청자가 원하는 아나운서의 외모와 방송사가 원하는 이미지가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이는 메이크업이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으로서 아나운서에게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메이크업 아티스트는 아름다운 메이크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방송 환경에 적합한 기술과 재료의 선택으로 시청자들이 인지하고 수용할 프로그램의 특성을 표현하고, 프로그램의 의도와 요구를 분석하고 아나운서의 이미지 메이킹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TV 프로그램에서 예능과 교양 프로그램은 뉴스의 6배 이상 많은 시간을 편성하고 있다. 그만큼 예능, 교양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아나운서의 다양한 메이크업 분석이 나오길 바라며 아나운서 메이크업 관련 연구가 확대 되길 바란다.

      • 자성 고체들의 스핀 교환 상호 작용과 자기 질서화 연구: Cs2CuCl4, TbFe3(BO3)4와 Cu3(CO3)2(OH)2

        강진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 magnetic solid with localized spins has low-lying excited states resulting from their weak interactions. The low-energy excitation energies associated with these magnetic states are probed mainly by performing magnetic susceptibility and inelastic neutron scattering measurements. In magnetic susceptibility experiments, which are carried out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under a probing magnetic field, the low-energy excitation energies are deduced indirectly by studying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Boltzmann populations of the low-lying excited states. In ineleastic neutron scattering experiments, the low-energy excitation energies are detected directly by measuring the energies of the inelastically scattered neutrons, which are carried out at very low temperatures (e.g., 10 – 15 K) to avoid complications resulting from inelastic neutron-phonon interactions. To determine the nature and strength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localized spins in a magnetic solid, results of magnetic susceptibility and inelastic neutron scattering experiments are analyzed in terms of a Heisenberg spin Hamiltonian , which is written as a sum of isotropic spin exchange interactions between adjacent spin sites i and j, , where and are the spin operators at the sites i and j, respectively, and is the spin exchange parameter. This phenomenological Hamiltonian expresses excitation energies of a magnetic solid in terms of a set of spin exchange parameters . Thus in analyzing experimental results in terms of , the spin exchange parameters become numerical fitting parameters needed to reproduce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nature and values of these “experimental” parameters depend on what spin exchange paths one includes in the spin Hamiltonian, and more than one set of values can lead to an equally acceptable fitting. In order to obtain a meaningful set of spin exchange parameter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xamine the electronic structure of a magnetic solid.1 Concerning how the signs of spin exchange interactions depend on the electronic structures of the spin exchange paths, qualitative relationships were first developed by Goodenough,2 and were extended by Kanamori.3 On the basis of electronic structure considerations, Anderson 4 lai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describing isotropic spin exchange interactions. Certain physical phenomena of magnetic solids are not explained in terms of isotropic spin exchange interactions alone. To explain these phenomena, Moriya 5 introduced antisymmetric and anisotropic interactions between spins. Over the years a number of studies 1,6-9 have investigated how isotropic spin exchange interactions described by Heisenberg Hamiltonians are related to the electronic structures of magnetic systems. Through these studies, it became possible to think about spin exchange interactions in terms of qualitative chemical concepts such as overlap and orbital interaction.6,7 They also made it possible to calculate quantitatively the strengths of spin exchange interactions using state-of-art electronic structure computations on the basis of either the configuration interaction wave function or the density functional theory method.9 In choosing a correct set of spin exchange paths to analyze experimental data and hence correctly explain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magnetic solid, it is sufficient to know the relative strengths of its spin exchange interactions. In a magnetic solid of transition metal ions M whose first coordinate spheres are made up of main group ligand atoms L, spin exchange interactions between adjacent metal ions may take place through MLM superexchange (SE) paths or ML…LM super-superexchange (SSE) paths.1 The relative strengths of SE interactions can be guessed using Goodenough rules 10 in terms of the MLM angle, the symmetry properties of the metal d-orbitals containing unpaired spins, and the number of unpaired spins at the metal site M. In the past, SSE interactions were often neglected with no justification, and the assignment of strongly interacting spin exchange paths of a magnetic solid and hence its spin lattice were often guided by the ease and/or the novelty of the eigenvalue problems the supposed spin lattice generates. As a result, the magnetic properties of a given magnetic solid were often interpreted in terms of a spin lattice that is incorrect for the magnetic system. It is essential to assign spin lattices of magnetic solids with the help of appropriate electronic structure considerations because a SSE interaction can be stronger than any SE interaction.1 During the past decade, Professor Whangbo’s laboratory has explored all three areas of theoretical studies of magnetic solids, namely, (1) investigations of the eigenvalue structures of spin Hamiltonians, (2) quantitative calculations of spin exchange interactions in terms of first principles electronic structure computations, and (3) qualitative estimations of the relative strengths of spin exchange interactions using semi-empirical electronic structure calculations. Currently, the research efforts of Professor Whangbo’s laboratory are focused on exploring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s in magnetic oxides on the basis of first principles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and tight-binding electronic structure calculation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plain the magnetic structures of such compounds by analyzing the geometrical features of their spin exchange paths and determining the signs and the magnitudes of the associated spin exchange parameters. In the present work we examine three magnetic systems, Cs2CuCl4, TbFe3(BO3)4 and Cu3(CO3)2(OH)2. The magnetic properties of Cs2CuCl4 are discussed in Chapter 1. Despite a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of its CuCl42- ions, the magnetic properties of Cs2CuCl4 are explained by a two-dimensional frustrated triangular antiferromagnetic spin lattice. The origin of this low-dimensional magnetism was explored by evaluating the spin exchange interactions of A2CuCl4 (A = Cs, Rb, K, Na) on the basis of first principles density functional calculations. The calculated spin exchange parameters agree with experiment only when the Cs+ ions located between the CuCl42- ions are not neglected. The antiferromagnetic spin exchange interaction between adjacent CuCl42- ions is strongly reduced by the 6p orbitals of the intervening Cs+ ions when the arrangement of the CuCl42- and Cs+ ions has either mirror-plane or inversion symmetry. The observed magnetism of Cs2CuCl4 arises from this symmetry-dependent participation of the 6p prbitals of the Cs+ ions in the spin exchange interactions between CuCl42- ions. The magnetic properties of TbFe3(BO3)4 are discussed in Chapter 2. On the basis of first principles density functional calculations, the spin exchange interactions between the Fe3+ (d5, S = 5/2) ions and the preferred orientation of the Tb3+ (f8) spins were evaluated, and the ferroelectric polarization of TbFe3(BO3)4 was calculated. In agreement with experiment, our calculations predict that the spin exchange between the Fe3+ spins is ferromagnetic within each //ab sheet of Fe3+ ions, but antiferromagnetic between adjacent //ab sheets of Fe3+ ions, while the spin exchange between the Fe3+ and Tb3+ ions within each //ab sheet of Fe3+ and Tb3+ ions is antiferromagnetic. The Tb3+ (f8) ions is found to possess an electron configuration responsible for uniaxial magnetism, hence orienting the Tb3+ spins along the c-direction and leading to the highly anisotropic magnetic susceptibility. The ferroelectric polarization of TbFe3(BO3)4 is due largely to the absence of inversion symmetry of the crystal structure, and is weakly affected by its magnetic structure. The magnetic properties of Cu3(CO3)2(OH)2 are discussed in Chapter 3. Recently, the magnetic properties of the mineral Azurite Cu3(CO3)2(OH)2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The interpretation of these properties has become controversial, since the observation of the 1/3 magnetization plateau predicted for a diamond-chain with spin frustration. At low temperatures, Azurite exhibits a double-peak feature in the magnetic susceptibility. To explain this double-peak, it was found necessary to employ the diamond chain model with no spin frustration. In our work we resolve these puzzling problems by evaluating the spin exchange interactions of Azurite on the basis of first principles DFT electronic structure calculations. Our work shows that a correct spin lattice for Azurite is not the non-spin-frustrated diamond chain model, but the 2D spin lattice in which spin-frustrated diamond chains interact through the interchain spin exchange in the ab-plane. Our work resolves the origin of the double-peak feature of the susceptibility in terms of this 2D spin lattice. The magnetic susceptibility peak of Azurite at ~20 K is relatred to the intrachain exchange J2, and that at ~5 K to the interchain spin exchange J4 that occurs in the ab-plane. References 1. M.-H. Whangbo, H.-J. Koo and D. Dai, J. Solid State Chem. 176, 417 (2003). 2. J. B. Goodenough, Phys. Rev. B, 100, 564 (1955); J. Phys. Chem. Solids 6, 287 (1958). 3. J. Kanamori, J. Phys. Chem. Solids 10, 87 (1959). 4. P. W. Anderson, Phys. Rev. 115, 2 (1959); Solid State Phys. 14, 99 (1963). 5. T. Moriya, Phys. Rev. 120, 91 (1960); Phys. Rev. Lett. 4, 228 (1960). 6. P. J. Hay, J. C. Thibeault and R. Hoffmann, J. Am. Chem. Soc. 97, 4884 (1975). 7. O. Kahn and B. Briat, J. Chem. Soc. Faraday Trans. II 72, 268 (1976). 8. L. Noodleman, J. Chem. Phys. 74, 5737 (1981). 9. F. Illas, I. de P. R. Moreira, C. de Graaf and V. Barone, Theoret. Chem. Acc. 104, 265 (2000). 10. J. B. Goodenough, Magnetism and the Chemical Bond, Wiley, Cambridge, 1963. 11. P Fischer, V Pomjakushin, D Sheptyakov, L Keller1, M Janoschek, B Roessli, J Schefer, G Petrakovskii, L Bezmaternikh, V Temerov and D Velikanov, J. Phys.: Condens. Matter 2006, 18, 7975. 12. T. Radu, H. Wilhelm, V. Yushankhai, D. Kovrizhin, R. Coldea, Z. Tylczynski, T. Lühmann, and F. Steglich, Phys. Rev. Lett. 95, 127202 (2005) 13. H. Okabe, K. Suzuki, K. Kawashima, T. Muranaka and J. Akimitsu, J. Phys. Soc. Jpn. 2006, 75, 123705. 편재화 된 스핀을 갖는 자성 고체는 그들 사이의 약한 상호 작용으로 인하여 낮게 들뜬 상태를 갖는다. 이들 자성 상태와 관련된 낮은 들뜬 에너지 (low-energy excitation energies) 는 주로 자화율 (magnetic susceptibility) 과 비 탄성 중성자 산란 측정 (inelastic neutron scattering measurement) 에 의해서 조사되어진다. 자기장 하에서 온도 변화의 함수로써 수행되어지는 자기화율 변화 측정 실험에서 낮은 에너지 값을 갖는 들뜸 에너지는 낮게 들뜬 상태의 온도의존 볼츠만 (Boltzmann) 분포 (KB) 에 의해 간접적으로 구해질 수 있다. 비 탄성 중성자 산란 실험에서는 낮은 에너지로 들뜬 에너지들은 비 탄성 중성자-양성자 상호 작용으로 인한 복잡한 결과를 피할 수 있는 매우 낮은 온도 (예, 10-15K) 에서 실험되어 진 비 탄성적으로 산란 되는 중성자의 에너지 측정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검출된다. 자성고체에서 편재화 된 스핀 사이의 상호 작용의 세기와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서, 자화율과 비 탄성 중성자 산란 실험 결과들은 인접한 스핀 i 와 j 사이의 등방성 스핀 교환 상호 작용 ( ) 의 합으로 쓰여진 하이젠버그 스핀 해밀토니안 항들의 측면에서 분석 되어진다. 여기에서 과 는 각각 i 와 j 위치의 스핀 연산자이고 는 스핀 교환 파라미터 (spin exchange parameter) 이다. 이 현상학적 (phenomenological) 해밀토니안은 스핀 교환 파라미터 의 집합의 견지에서 자성 고체의 들뜬 에너지들을 표현한다. 따라서 측면에서 실험 결과들을 분석함에 있어서 스핀 교환 파라미터 는 실험 결과를 재현 하는데 필요한 대수적 맞춤 파라메터들 (numerical fitting parameters) 이 된다. 실험적으로 얻어진 파라미터의 특성과 값은 스핀 해밀토니안에 포함 되어있는 스핀 교환 경로 (spin exchange paths) 가 어떤 특정 스핀 교환 경로들을 포함 하는지 그리고 동등하게 받아들 일 수 있는 값들의 하나 이상의 집합들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의미있는 스핀 교환 파라미터의 집합을 얻기 위해서, 자성 고체의 전자구조를 조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1 스핀 교환 상호 작용 (spin exchange interactions) 의 부호가 어떻게 스핀 교환 경로의 전자구조에 의존하는지에 대한 정성적인 관계가 Goodenough 에 의해서 처음 발견되었다.2 그리고 Kanamori 에 의해 확대 되었다.3 Anderson은 전자 구조 고려를 토대로하여 등방성 스핀 교환 상호 작용 묘사를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시했다.4 자성 고체의 어떠한 물리적 현상은 등방성 스핀 교환 상호 작용 항 만으로는 설명되어지지 않았다.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Moriya 는 스핀 사이의 반대칭적 그리고 비등방적 상호 작용을 도입하였다. 지난 수년 간 많은 연구는 하이젠버그 해밀토니안에 의해서 기술되는 등방성 스핀 교환 상호 작용이 어떻게 자성계의 전자 구조와 관계 되는지에 대해 연구되어져 왔다.1,6-9 이들 연구를 통해, 겹침과 궤도 상호 작용과 같은 정성적인 화학적 개념의 측면에서 스핀 교환 상호 작용을 생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6,7 또한 파동함수의 배치간 상호 작용 (Configuration Interaction : CI) 나 범밀도 함수 이론 방법 (Density Functional Theory : DFT) 에 근거한 최첨단 전자 구조 계산 방법을 사용하여, 스핀 교환 상호 작용의 세기에 대한 정량적인 계산을 가능하게 만들었다.9 실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교환 경로 집합의 올바른 선택과 자성 고체의 물리적인 특성의 올바른 설명에 있어서, 스핀 교환 상호작용의 상대적인 세기를 아는 것만으로도. 첫 배위 공간이 주 족 (main group) 리간드 원자 L로 이루어진 전이 금속 M의 자성 고체에서, 인접한 금속 이온들 사이의 스핀 교환 상호 작용은 M−L−M 의 SE (super-exchange) 경로 또는 M−L … L−M SSE (super-super-exchange) 경로를 통해서 이루어 진다. SE 상호 작용의 상대적인 세기는 ∠M−L−M각, 홀 스핀을 포함하는 금속 d-궤도의 대칭 특성, 그리고 금속 위치 M 의 홀 스핀 수 에 의하여 주어지는 Goodenough 규칙을 사용해서 예측 할 수 있다.10 과거에는, SSE 상호 작용은 종종 정당성 없이 간과되어졌다. 그 결과, SSE 상호작용이 고려되지 않은 자성 고체의 자기적 특성은 종종 자성계에 대해 올바르지 않은 스핀 격자의 견지에서 해석 되어졌다. SSE 상호작용은 어떠한 SE 상호작용보다 강하기 때문에 때문에 적절한 전자 구조 고려들에 의한 자성 고체의 스핀 격자를 배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지난 세기 동안 황보 명환 연구그룹은 자성고체에 대하여 3 가지 분야의 이론적 연구를 수행 하여왔다. 즉, (1) 스핀 해밀토니안의 고유 값 구조 연구, (2) 제 1원리 전자 구조 계산을 통하여 스핀 교환 상호작용의 정량적 계산, (3) 반 경험적 전자 구조 계산을 사용하여 스핀 교환 상호작용의 상대적인 세기에 대한 정성적인 계산. 현재, 1차 범밀도 함수 이론과 (DFT) 과 꽉묶임 (TB) 전자구조 계산을 근간 으로하여 자성산화물에서 구조와 특성간의 관계 탐구에 역량을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중에 있다. 연구의 주된 목적은 자성 산화물들의 스핀 교환 경로의 기하학적 구조, 특성분석 및 스핀 교환 파라메타의 크기와 부호결정에 의해 자성 산화물들의 자성 구조 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세가지 자기 시스템 Cs2CuCl4, TbFe3(BO3)4 과 Cu3(CO3)2(OH)2 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제 1장에서는 Cs2CuCl4 의 자기 특성들에 대해 논의 하였다. CuCl42- 이온들의 3−차원 배열에도 불구하고, Cs2CuCl4의 자기 특성들은 2−차원frustrated 삼각형 반강자성 스핀 격자로 (two-dimensional frustrated triangular antiferromagnetic spin lattice) 설명되어진다. 이 저 차원 (low-dimensional) 자기적 특성의 근원이 제 1 원리 범 밀도 함수 이론 계산에 기초하여A2CuCl4 (A = Cs, Rb, K, Na) 의 스핀 교환 상호 작용 추출에 의해 조사 되어졌다. 계산된 스핀 교환 파라미터들은 CuCl42- 이온들 사이에 위치한Cs+ 이온이 무시되어지지 않았을 때 실험 결과와 좋은 일치를 보인다. 인접한CuCl42- 이온들 사이에서 반강자성 (antiferromagnetic) 스핀 교환 상호 작용은CuCl42- 과 Cs+ 이온의 배열이 거울면 (mirror-plane) 또는 반전 대칭 (inversion symmetry) 을 가질때 중간에 위치한Cs+ 의 6p 오비탈에 의해 강하게 감소된다. Cs2CuCl4의 자기적 특성은 CuCl42- 이온들 사이의 스핀 교환 상호작용에서Cs+ 6p 오비탈들의 대칭성-의존 참여(symmetry-dependent participation) 에 의해 나타난다. 제 2장에서는TbFe3(BO3)의 자기 특성들에 대해 논의 하였다. 제 1 원리 범 밀도함수 계산에 기초하여Fe3+ (d5, S = 5/2) 이온들 사이의 스핀 교환 상호 작용과 Tb3+ (f8) 선호되어지는 스핀 방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TbFe3(BO3)4의 강전자성 분극 (ferroelectric polarization)을 계산하였다. 실험과 일치하게, 우리의 계산들은 Fe3+ 스핀들 사이 스핀 상호교환은 Fe3+ 이온들의 각 //ab 시트 내에서 강자성 (ferromagnetic) 임을 예견한다. 그러나 인접한 각 //ab시트간에는 반강자성 (antiferromagnetic)이 예측되어진다. 반면에 Fe3+ 과 Tb3+ 이온들 사에에 스핀 교환이 반강자성 (antiferromagnetic) 을 나타낸다. Tb3+ (f8) 이온들은 uniaxial magnetism을 초래 할 수 있는 전자 배치를 갖은 것으로 발견되어 졌다. 그리하여 Tb3+ (f8) 의 스핀은 c-방향으로 배향하며 강한 비등방성 자화율 (anisotropic magnetic susceptibility) 을 나타낸다. TbFe3(BO3)4 강전자성 분극 (ferroelectric polarization) 은 결정 구조의 반전 대칭의 부재로 인하여 생성되고 그것의 자기 구조에 의해서는 약하게 영향 받는다. 제 3장에서는Cu3(CO3)2(OH)2의 자기 특성들에 대해 논의 되어졌다. 최근, 미네랄Azurite Cu3(CO3)2(OH)2 의 자기 특성들은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들 특성들의 해석은 1/3 magnetization plateau 의 관찰이 스핀 프러스트래이션 (spin frustration) 에 의한 다이아몬드-사슬로 예견 된 이래 논쟁이 되어지고 있다. 자화율 실험에서 Azurite은 낮은 온도에서 두개의 피크 (double-peak) 을 나타낸다. 이 두개의 피크를 설명하기 위해, 스핀 프러스트래이션이 없는 다이아몬드-사슬 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여겨지게 되고 있다. 우리는 제 1 원리 DFT 전자 구조 계산에 기초하여 Azurite의 스핀 교환 상호 작용 추출에 의하여 이 수수께끼같은 문제들을 해결하였다. 우리의 결과는, Azurite 에 대한 올바른 스핀 격자는 스핀 프러스트래이션이 되어있지 않는 다이아몬드-사슬 모델이 아니라, ab-면에서 사슬간 스핀 교환을 통한, 스핀 프러스트래이션 된 다이아몬드-사슬들간에 의한 2D 스핀 격자임을 보여준다. 우리의 결과는 이 2D 스핀 격자의 측면에서 자화율 실험의 두개의 피크의 발생을 해결하였다. ~20K 에서의 Azurite 피크는 사슬내 스핀 교환 J2와 연관 된 것이며, ~5K에서의 피크는 ab-면에서 사슬간 스핀 교환 J4에 의해서 생성 된 것이다.

      • J. S. Bach Invention의 분석 연구

        강진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바하의 인벤션은 2성부의 '인벤티오'와 3성부의 '신포니아'로 이루어졌고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2성부 인벤션과 3성부 인벤션으로 불린다. 대위법 양식을 바탕으로 15개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2성의 15곡과 3성의 15곡은 다양한 조성에 대한 이해와, 바하가 의도한 다성부의 연주기술, 대위법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작품이다. 인벤션은 바하의 장남 프리드만 바하의 클라비어 교습을 목적으로 작곡되었고, 오늘날 우리나라의 피아노 교육에서는 초급교재와 <체르니100번>을 익힌 후 <체르니 30번X체르니 40번>중급교재의 병용교재로 다루어 진다. 인벤션은 동기나 주제로 바탕으로 이것을 이용한 응답, 대선율, 간주, 근접모방등의 대위법적 방법을 통하여 구성되며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2성 인벤션의 네곡을 통하여 이러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제1번은 주요동기의 모방과 전계로 이루어진 곡이고, 제2번은 주제와 대선율이 순환하는 카논곡이며, 제14번은 주제의 주요동기 음형을 가지고 푸가풍으로 전개되어지는 곡이고, 제15번은 주제를 가지고 전개되며 푸가의 에비단계로의 의의를 지니는 곡이다. 이 네곡들의 구조분석과 연주상에서의 몇가지 점을 알아봄으로 2성과 3성 인벤션의 학습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서 많은 대위법적인 작품을 다룸에 있어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invention of Bach consists of the two voice-part 'inventio' and the three voice-part 'sinfonia' and they are now generally called two voice-part invention and three voice-part invention. The 15 pieces of two voice-part and 15 pieces of three voice-part which are based on the counterpoint style and consist of 15 keys each are useful to understand the various kinds of keys, the perfonnance technique of polyphonic to Bach's intention, and the knowledge of counterpoint style. The invention was originally composed for the Clavier education of his son, Friedmann Bach and now is used as an accompanying text with Czemy No. 30 and Czerny No. 40 for the piano educadon in Korea after studying the basic text and Czerny No. 100. The invention consists of the counterpoint methods such as answer, counter melody, episode, and stretto based on the motive and By studying the 4 pieces of two voice-part invention, we can find this kinds of counterpont methods. The first piece present the immitation and development of main objective, the 2nd piece is the canon which rotates the subject and counterpoint, the 14th piece has the episode of two measure between the presentation of subject and answer, and the 15th piece has the meaning of preliminary step of fuga.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help the study of two voice-part and three voice-part invention and even for the understanding of many counterpoint style pieces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is 4 pieces and some points for performing methods.

      • 영어문해교육에 참여한 여성노인의 생애경험을 통한 학습의 의미

        강진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learning and the many aspects of participation inherent in the lives of elderly women who joined in the English literacy education. The research set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to this end: First, what is the participation like for these women learning to be English literate? Second, what meaning does the English learning have in their life? The researcher wanted to explore the fundamental meaning of learning for these women on a deeper level, so the researcher chose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in order to approach in a broader and more comprehensive context of their life.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ix elderlies who took English teaching classes conducted by the researcher, and the researcher had in-depth interviews with and observed them in classes. The gathered data were analyzed afterwards. The rich and candid life stories of elderly women were heard in a cooperative ambience, like any other classes with firm rapport. These women’s life stories were divided into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nd the researcher closely examined the phenomenon appearing in their life and life learning and looked at these under the above divisions. The past stories showed their endeavor and courage to go beyond the shackles of their limiting and disadvantageous circumstances when they were young. Their life back then was a struggle to attain freedom against the existing Confucius and male-dominating ideologies and the usurpation of women’s right to education. They lived to overcome the alienation from education and the boundaries of isolation. These women lost their chances to education due to a plethora of factors, including the war in their childhood, death and remarriage of parents, Confucius and patriarchal tradition, and poverty. They refused to succumb to these limitations. They endured through work, marriage, child raising, and learning and faithfully did the tasks entrusted to them with their own strategy in life, living up to this point in life as an extension of previous experiences. They voluntarily and consistently participated in classes, satisfying their long overdue desire for learning. Moreover, the life of autonomously choosing the good for their own life restored them the psychological welfare and confidence, growing as influential individuals being affirmed by others. They learned, keeping in mind the hopeful plans for the future and for realistic and spiritual life, at the same time living an independent life. Living their life to the direction the learning has opened up was a network every one of them goes to hand in hand, a precious door each will never close in their life. There were four aspects of learning for these women: the scholastic type who feels great pleasure when she gets the English letter right and knows the pleasure and enjoyment of learning and indefiniteness of studying; the purposeful type who must know the meaning of the English words she sees and who learns to restore self-esteem and for various purposes, including trip to other countries, purchase of products, prevention of dementia, and usage of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and technology; the active type who feels young and energetic to study and cherishes the meeting with people; the meaningful type who helps each other and aims for a changed life. The following is the specific meaning of learning in the English illiterate past, the ongoing present, and the coming future. First, they came to learn that they are the owners of their life. They came to believe that they are worthy and necessary beings, filled with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y, unlike in the past, overcame the problems they confronted in life and built the life they want to live. Second, the experiences of becoming independent individuals formed trust within themselves and showed introspective characters. That is, they lived an introspective life with an open perspective and active consciousness. Third, they reaffirmed the meaning of their life as they gained self-esteem. The learning experiences opened up their hearts, and the process of examining themselves and communicating acted as a tool to heal the hurts they have for the absence of learning in the past. Fourth, eventually, the act of learning was an act to form a community life, where they learned together and helped one another. The study looked into the meaning of learning inherent in the women participating in the English literacy education, through their life stories and the in-depth and evidential approach. It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ed at the demands of English literacy education in this period of time in the context of their life and found the meaning rooted in their daily life. Moreover, the active living and pioneer spirit shows the hidden power of learning in these women, which is independent and self-integrative active aging. 본 연구는 영어문해교육에 참여한 여성노인의 삶에 내재된 학습 참여 양상과 학습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구체적 연구문제를 첫째, 영어문해교육에 참여한 여성노인의 학습 참여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영어문해교육에 참여한 여성노인의 생애사에 나타난 학습의 의미는 무엇인가? 로 설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영어문해교육의 참여한 여성노인의 학습의 근원적인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여성노인의 총체적 삶의 맥락 안에서 접근하고자 생애사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의 영어문해 수업에 참여한 여성노인 여섯 명을 선정하여 교육현장에서의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바탕으로 수집된 구술 자료를 분석하였다. 여성노인들의 솔직하고 풍부한 생애이야기는 평소의 라포(rapport)형성으로 협조적인 분위기에서 진행되었다. 여성노인들의 자기 서사적 이야기를 과거․현재․미래 이야기로 분별하여 여성의 삶과 생애 학습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심층적으로 고찰하고 학습 참여 양상을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과거이야기에서 초년기에 여성노인들은 여러 가지 불리한 조건을 딛고 자신의 환경의 한계를 벗어나고자 용기와 노력의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기존의 유교사상과 여성의 교육 권리 박탈에 대한 자유로움을 획득하기 위한 과정으로 교육의 배제와 소외의 경계 넘기의 삶이었다. 영어문해교육에 참여한 여성노인들은 유년 시절의 전쟁, 부모의 사망과 재혼, 유교적․가부장적 전통, 가난 등으로 교육 기회를 잃어버렸다. 그러나 이에 굴복하지 않고 자신만의 삶의 전략으로 일, 결혼, 자녀 양육, 학습의 생애 과정을 견뎌 내고 성실히 수행하여 삶의 연속선상인 현재까지 살아왔다. 여성노인들은 영어문해교육 과정에 자발적, 지속적으로 참여하면서 개인적으로 못 다 이룬 배움의 한을 풀어내었다. 더불어 주체적 삶의 주인공으로서 심리적 안녕감과 자신감을 회복하여 변방에서 중심으로 타인에게 인정받고 영향을 미치는 존재로서 성장하였다. 여성노인들은 현재의 주체적 삶을 꾸려가는 동시에 미래에 대한 계획, 희망으로 현실적, 영적인 삶의 일정한 지향성을 가지고 학습하고 있었다. 학습이라는 끈으로 정해진 방향으로 인생 줄 엮기는 나와 타자가 함께 잡고 가는 네트워크이며 안전망이자 각자의 삶과 인생에서 끝까지 놓지 말아야할 그 무엇이었다. 영어문해교육에 참여한 여성노인의 학습 참여 양상은 다음의 네 가지 유형을 보였다. 학습하는 재미와 즐거움, 배움의 무한성, 영문자를 맞추었을 때의 전율을 상기하는 학구형, 영어를 모르면 눈뜨고 못 보는 사람이며 해외여행, 상품구매, 치매예방, 인터넷 및 SNS 사용, 테크놀로지의 활용, 자존감 회복을 위해 참여한다는 목적형, 공부하러 갈 곳이 있으면 젊어지며 삶의 활력이 생기고, 사람들과의 만남이 소중하다는 활동형, 서로 도움을 주고받으며 변화된 삶을 추구하는 의미형으로 나타났다. 여성노인의 생애에서 영어문해교육에 참여하기 전의 과거, 참여 진행 중인 현재와 다가올 미래의 연합적인 측면에서 발견한 구체적 학습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노인은 학습을 통하여 자신의 삶의 책임자이자 주인공인 주체로서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자신도 이제 괜찮은 사람, 필요한 사람이라는 인식과 정신적 충만감을 나타내었다. 개인의 당면한 삶의 문제를 극복하고 해결해가면서 자신의 의지대로 삶을 구성해 가는 주체가 되었다. 둘째, 여성노인의 주체적 삶의 경험에서 신념이 생성되고 성찰적 지향성을 나타내었다. 즉 적극적인 의식을 가진 열린 관점으로 성찰 지향의 삶을 실천하였다. 셋째, 영어학습의 과정에서 자존감을 회복하면서 삶의 의미를 각인하였다. 학습의 경험은 여성노인 학습자의 마음을 열게 하고 성찰과 대화를 매개로 소통하는 과정을 통해 과거의 학습 결핍의 상처를 스스로 치유하는 과정을 체험하였다. 넷째, 결국 학습의 행위는 함께 배우고 서로 도와가며 공동체의 삶을 추구하는 동행의 의미로서의 지향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영어문해교육에 참여한 여성노인 학습자의 생애이야기를 통해 심층적, 실증적으로 접근하여 내포된 학습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여성노인의 삶의 맥락에서 시대적 영어문해교육의 요구와 여성노인의 일상적 학습에 내재된 고유의 의미 찾기를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여성노인의 적극적 삶의 실천과 개척정신은 잠재된 여성노인의 학습의 힘을 보여준다. 이것은 주체적이고 자아통합적인 활동적 노화(active aging)의 의미를 갖는다.

      • 여성 직업교육 참여자의 취업과정에서의 학습경험

        강진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any way in the course of employment of women to participate in vocational education, and employment reached adapted for continuous learning experience that is to research. In this study, women with vocational education participants learn how to take advantage of employment and change in the process, developed as you learn about the existence of any experience 'Women's vocational education participants in the course of employment what is a learning experience?' research into problem was set. Qualitative research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way in which continuous experience in the field and participate in vocational education and research participants were observed in 13 patients based on interview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is study of 51 concepts and 16 sub-categories and six core categories were derived. First study, women with vocational education to one participant came up with a string of employment. For this study the routine collection of information and learning, and, in reality, an alternative to the immediate problems of the individual and the change sought. The break was on overcoming the time wisely. Second, the work was devoted to achieve the goal. Demonstrate their strengths and positive attitude by supporting vocational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was obtained. Enthusiastically participate in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in the determination was ready to work. Third, the employment of a specific implementation was successful in employment. After work, teaching routine of research and learning circles integrity, expertise, training continues for the cultivation of learning was extended learning activities. Fourth, the role of the family was a chance to realize the appreciation. Learning and sustainable employment in the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of the family was a big help was essential. Fifth, as professionals in the workplace was transformed consciousness. Learning in the workplace, take pride in their work and the meaning of one was found. Professional experience in the field and now rest on insights from the two got ready for the future were not. Finally, the women in their lives in the course of vocational education participants has grown. Mediated learning, social networking, building your own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practice was to maintain an attitude of adult life. The purpose of the work in the field, not only economic means of learning social contributions and public service activities were planned. This study participants to target women vocational learning in vocational education and job experience, specifically, the empirical approach to vocational education and participation of women experience firsthand, were observed. Thus, an understanding of vocational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policy over the limit value was only rated vocational learning experience gained through participation of women find positive meaning is significant neunde was. In addition, the life cycle of women and a variety of vocational courses to meet job market suggests a need for composi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이 취업과정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직업교육에 참여하고 적응하며 취업에 이르고 지속하는지에 대한 학습경험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 직업교육 참여자가 취업과정에서 학습을 어떻게 활용하고 변화, 발전시켜 나가면서 어떤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여성 직업교육 참여자의 취업과정에서의 학습경험은 어떠한가?' 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질적 연구의 한 방법인 지속적 비교분석(constant comparative analysis)으로 직업교육 현장에서 체험하고 참여관찰한 결과와 연구 참여자 13명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51개의 개념과 16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6개의 핵심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여성 직업교육 참여자는 일을 하기 위한 취업의 끈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정보수집과 배움을 일상화하고, 현실에서의 개인적인 당면한 문제의 대안과 변화를 모색하였다. 또한 단절의 시기를 지혜롭게 이겨내고자 하였다. 둘째, 취업 목표를 이루기 위해 정진하였다. 자신의 강점을 발휘하고 적극적인 자세로 지원하여 직업교육 참여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직업교육 프로그램에 열정적으로 참여하여 굳은 의지로 취업 준비를 하였다. 셋째, 취업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으로 취업에 성공하였다. 취업 후, 수업연구의 생활화와 학습동아리 결성, 교육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계속학습으로 학습활동을 확장하였다. 넷째, 가족의 역할에 고마움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취업과 학습 지속에 있어 가족의 이해와 협조는 큰 도움이 되었으며 필수적이었다. 다섯째, 직업인으로서 일터에서의 의식이 전환되었다. 일터에서 학습하며 자신의 일에 자부심을 가지고 일의 의미를 발견하였다. 직업 현장 경험에서 통찰력이 생겼으며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미래를 위한 준비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성 직업교육 참여자들은 삶의 과정에서 성장하였다. 학습을 매개로 한 인적 네트워크 구축, 자신만의 교육철학을 가지고 실천하는 성숙한 삶의 태도를 견지하였다. 취업 현장에서 경제적 수단만의 목적이 아닌 학습 봉사활동으로 사회적 기여와 공익을 도모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 직업교육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는 직업교육과정에서의 학습과 취업 경험을 구체적, 실증적으로 접근하여 여성의 직업교육 참여 경험을 직접 체험, 관찰하였다. 따라서 직업교육의 이해와 직업교육이 정책적 수치로만 평가되었던 한계를 넘어서 직업교육 참여 여성이 학습경험을 통해 얻는 긍정적 의미 찾기를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여성의 생애주기에 맞는 직업교육 과정과 다양한 취업시장의 조성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