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행업의 경영전략과 균형성과표 관계에 관한 연구

        강진희 경기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Ph.D. Dissertation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Strategy of Travel Agent and Balanced Score Card (BSC) Kang, Jean Hee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 Amid rapid changes in corporate environment, focuses have been put on objectively measuring and evaluating managerial achievements of corporate organizations, and in this regard, it is no exaggeration that more efforts need to be made to objectively measure managerial achievements of travel agents. Against this backdrop, the study focused on figuring relationship of perspectives of balanced score card (BSC) by strategy for the purpose of applying the balanced score card (BSC) of travel agents. In this regard, the study aimed to establish strategies for travel agents that can flexibly respond to changing environment and models for managerial achievements by examining relationships between four perspectives of BSC of travel agents and management strategies. Toward this end,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along with empirical study. In the literature study, BSC problems in management achievements were suggested in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spectives to generate an evaluation index with regard to management achievement of travel agents, and a theoretical framework on the validity of establishment of management strategy by type was suggested in addition to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an index of four perspectives with the integration of financial and non-financial aspects. Research hypotheses for empirical study were set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and an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if the concept of each component to be verifie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 of verification on the research hypothes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ravel agents adopting aggressive strategie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 effect in terms of four perspectives of BSC including learning, growth perspective, customer perspective,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and financial perspective. Second,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had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perspective. Third,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had positive (+) effect on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Fourth,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had negative (-) effect on financial perspective. Travel agents adopting defensive strategies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ly on learning, growth perspective, customer perspective and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among the four perspectives of BSC, and they had a negative (-) effect on financial perspective. Second,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had a negative (-) effect on customer perspective and a positive (+) effect on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had a negative (-) effect on financial perspective. Travel agents adopting analytical strategies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ly on learning, growth perspective, customer perspective and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among the four BSC perspectives and had a negative (-) effect on financial perspective. Second,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had a negative (-) effect on customer perspective, and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had a positive (+) effect on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had a negative (-) effect on financial perspective. As for suggestions on correlations between establishment of strategies for travel agents and BSC perspectives based on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y above, the four BSC perspectives should be applicable to all strategies established by travel agents. All strategies need to generate positive results on financial achievements of travel agents. Accordingly, travel agents need to recognize that strategies applied at a time of establishment of strateg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achievement, a trailing indicator, whether it emphasizes non-financial perspective, a leading indicator, or it stresses financial perspective, a trailing indicator, and come up with strategies based on the four perspectives. As a result, the four perspectives of BSC are not independent concepts aimed to attain financial achievements but they are mutually interrelated. The study faced limitations in collecting appropriate data on BSC perspectives and had difficulties in acquiring sufficient values. Last but not least, it was difficult to divide the type of management strategies by distribution structure of travel agents and verify models, and it was also tricky to come up with strategies applicable to travel agents due to failure in verification on the importance of each BSC perspective. In this regard, applicable models need to be suggested through subsequent studies, and the study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s data for establishment of concrete models with regard to management strategies for travel agents based on BSC. 최근 일반기업들이 급변하는 기업환경 변화에 있어 기업조직의 경영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부분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는 맥락에서 볼 때 여행업의 객관적인 경영성과측정의 노력은 게을리 해서는 안되는 시점에 와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여행업의 경영성과를 위한 균형성과표의 적용을 시도해 봄으로써 재무적관점에 의해서만 또는 비재무적 관점에서만 이루어진 연구들을 통합한 균형성과표의 적용을 시도해 봄으로써 올바른 여행업의 경영성과평가가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급변하는 여행업의 시장환경에 맞는 경영전략을 펼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여행업의 균형성과표를 적용하기 위한 전략유형별 균형성과표 관점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전략의 방향을 구축하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제기를 바탕으로 연구의 목적으로는 여행업의 균형성과표의 4가지 관점과 경영전략과의 관계성을 규명하여 환경변화에 유연한 경영전략을 수립 할 수 있는 여행업의 전략과 경영성과의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범위는 공간적 범위와 내용적 범위로 구분하였다. 공간적 범위로는 서울에 소재한 여행사(도매전문여행사, 도소매여행사)와 지상수배여행사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증검증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연구(Literrature Study)와 실증연구(Empirical Study)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여행업의 경영성과에서 재무적관점과 비재무적관점 각각의 평가지표들의 문제점들 제시하여 결과적으로 평가지표를 도출하는데 있어 재무적, 비재무적 관점을 통합한 관점지표의 개발의 필요성과 함께 경영전략의 유형별 전략구축의 당위성에 관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가설은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설정하였고,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각 구성개념 간의 관계성을 통계적인 방법에 의하여 유의한지를 분석하였다. 설문문항은 선행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내용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에 재구성하였고,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고자 데이터 코딩과정을 거쳐, SPSS 15.0과 AMOS 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가설의 검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격형전략의 여행업은 첫째, 균형성과표 4가지 관점 학습 및 성장관점, 고객관점, 내부프로세스관점, 재무관점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 및 성장관점은 고객관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 및 성장관점은 내부프로세스관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객관점은 재무관점에 정(+)의 관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프로세스관점은 재무관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어형전략의 여행업은 첫째, 균형성과표 4가지 관점 중 학습 및 성장관점, 고객관점, 내부프로세스관점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무관점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학습 및 성장관점은 고객관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 및 성장관점은 내부프로세스관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객관점은 재무관점에 정(+)의 관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프로세스관점은 재무관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형전략의 여행업은 첫째, 균형성과표 4가지 관점 중 학습 및 성장관점, 고객관점, 내부프로세스관점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무관점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학습 및 성장관점은 고객관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 및 성장관점은 내부프로세스관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객관점은 재무관점에 정(+)의 관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프로세스관점은 재무관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여행업의 전략수립과 균형성과표의 관점 인과관계에 대한 제언을 하면 균형성과표를 실제 활용함에 있어서 기업의 전략에 따라 균형성과표의 네 가지 관점에 대하여 그 강조점이 달라질 수 있다고 이론적 연구에서 살펴본바 있다. 그래서 기업마다 경영성과평가의 기준이 다르고 모호해서 종사자들의 경영성과평가에 대한 결과를 논의하거나 경영성과평가가 종사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인지하지 못한 채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균형성과표 네 가지의 관점은 여행업이 수립한 어떠한 전략에도 적용 가능해야 한다. 어떠한 전략일지라도 궁극적으로는 여행업의 재무성과에 긍정적인 결과물을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여행업은 전략의 수립 시에 전략이 선행지표인 비재무적관점을 강조하는 것이든, 후행지표인 재무관점을 강조하는 것이든 관계없이 최종적으로 후행지표인 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는 것을 인지하고 네 가지 관점에 기인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BSC의 관점 인과관계에 대한 논의로 균형성과표의 네 가지 관점에서 ‘관점’이란 기업의 가치 창출 근원에 대한 시각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기업의 가치창출의 가장 큰 원천으로 기업에게 수익을 가져다주는 고객관점, 성과의 극대화를 위하여 핵심적인 역량을 규명하는 과정인 내부프로세스관점, 성과를 이끌어내는 원동력인 학습 및 성장관점은 모두가 재무적 관점에 귀결되는 것이다. 즉 결과지표이고 후행지표인 재무관점 그리고 성과동인이면서 선행지표인 비재무지표인 것이다. 여행업이 재무적 성과를 얻고자 한다면 반드시 재무적 성과동인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여행업의 전략을 수립하고 성공적인 목표달성을 위해 균형성과표의 인관관계에 의해 결과지표인 재무관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균형성과표의 네 가지 관점은 재무적 성과를 얻기 위한 각각의 개념들이 아니라 상호 유기적인 인과관계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것이다. 여행업의 공격형전략에서는 균형성과표의 인관관계에 있어 내부프로세스의 관점이 재무관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하고 있지만 결국 내부프로세스를 잘 활용한 전략이 나와야 결국엔 재무적인 성과를 도출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방어형 전략에서는 학습 및 성장관점이 고객관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내부프로세스관점이 재무관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방어형의 전략에서는 학습 및 성장관점에 대한 부분과 내부프로세스관점에 대한 부분을 상호유기적인 관계에서 재무적 성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설문조사시 예비조사를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재무관점 및 내부프로세스 분야의 내용이해의 어려움으로 충분한 데이터 값을 받아내지 못한 부분이다. 또한, BSC 관점의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을 만한 부서에 근무하고 있는 응답자의 표본수가 적었던 것도 전체적으로 충분한 값을 얻어내는데 부족한 면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경영전략의 유형을 여행사의 유통구조상으로 구분해서 모형검증을 실시하지 못한 부분과 균형성과표 관점간의 중요도 검증을 하지 않아 실질적인 여행업에 적용 가능한 전략수립이 어려웠다는 것이다. 이는 추후 후속 연구를 통해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모형을 구축해야 할 것이며, 본 연구는 균형성과표를 통한 여행업의 경영전략수립에 대한 구체적인 모형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겠다.

      • 정상 및 설사증 송아지의 일령별 혈청단백질 분획 분석

        강진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분만 직후부터 1개월령까지의 성장단계별로 건강한 송아지와 설사증 송아지의 혈청단백질의 전기영동분획에 대한 변화상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현재까지 혈청단백질 농도에 대한 세분화된 비교 연구가 보고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는 건강한 송아지와 설사증 송아지의 혈청단백을 agarose gel electrophoresis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혈청단백질의 절대적 값과 상대적 값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설사증 송아지의 혈청 단백질 중 α2-글로블린 값이 건강한 송아지의 α2-글로블린 값보다 현저하게 높은 것이 관찰되었다. 반면에 설사증 송아지의 γ-글로블린 값이 건강한 송아지의 γ-글로블린 값보다 현저히 낮은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α1-, β- 글로블린 값의 유의성 있는 통계적 차이점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에, 건강한 송아지와 설사증 송아지의 혈청단백질 구성의 유의성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송아지에서의 단백이상혈단백 평가할 때 중요한 정보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J. S. Bach Invention의 분석 연구

        강진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바하의 인벤션은 2성부의 '인벤티오'와 3성부의 '신포니아'로 이루어졌고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2성부 인벤션과 3성부 인벤션으로 불린다. 대위법 양식을 바탕으로 15개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2성의 15곡과 3성의 15곡은 다양한 조성에 대한 이해와, 바하가 의도한 다성부의 연주기술, 대위법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작품이다. 인벤션은 바하의 장남 프리드만 바하의 클라비어 교습을 목적으로 작곡되었고, 오늘날 우리나라의 피아노 교육에서는 초급교재와 <체르니100번>을 익힌 후 <체르니 30번X체르니 40번>중급교재의 병용교재로 다루어 진다. 인벤션은 동기나 주제로 바탕으로 이것을 이용한 응답, 대선율, 간주, 근접모방등의 대위법적 방법을 통하여 구성되며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2성 인벤션의 네곡을 통하여 이러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제1번은 주요동기의 모방과 전계로 이루어진 곡이고, 제2번은 주제와 대선율이 순환하는 카논곡이며, 제14번은 주제의 주요동기 음형을 가지고 푸가풍으로 전개되어지는 곡이고, 제15번은 주제를 가지고 전개되며 푸가의 에비단계로의 의의를 지니는 곡이다. 이 네곡들의 구조분석과 연주상에서의 몇가지 점을 알아봄으로 2성과 3성 인벤션의 학습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서 많은 대위법적인 작품을 다룸에 있어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invention of Bach consists of the two voice-part 'inventio' and the three voice-part 'sinfonia' and they are now generally called two voice-part invention and three voice-part invention. The 15 pieces of two voice-part and 15 pieces of three voice-part which are based on the counterpoint style and consist of 15 keys each are useful to understand the various kinds of keys, the perfonnance technique of polyphonic to Bach's intention, and the knowledge of counterpoint style. The invention was originally composed for the Clavier education of his son, Friedmann Bach and now is used as an accompanying text with Czemy No. 30 and Czerny No. 40 for the piano educadon in Korea after studying the basic text and Czerny No. 100. The invention consists of the counterpoint methods such as answer, counter melody, episode, and stretto based on the motive and By studying the 4 pieces of two voice-part invention, we can find this kinds of counterpont methods. The first piece present the immitation and development of main objective, the 2nd piece is the canon which rotates the subject and counterpoint, the 14th piece has the episode of two measure between the presentation of subject and answer, and the 15th piece has the meaning of preliminary step of fuga.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help the study of two voice-part and three voice-part invention and even for the understanding of many counterpoint style pieces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is 4 pieces and some points for performing methods.

      • 압전 에너지 수확 소자를 이용한 DC-DC 컨버터 구동에 관한 연구

        강진희 세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로 압전 에너지 수확 소자를 이용하여 승압형 DC-DC 컨버터를 사용한 LED(Light Emitting Diodes) 구동에 관한 연구이다. 입력측은 가진기 장치를 이용하여 압전 에너지 수확 소자에 진동에너지를 발생 하였고, 진동 에너지의 속도는 가속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진동속도를 측정하였으며, 압전 에너지 수확 소자에서 나오는 교류전압을 전압강하와 스위칭 속도가 빠른 쇼트키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정류기로 사용하였다. 정류된 직류전압은 승압형 DC-DC 컨버터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직류 5V로 승압하여 LED를 점등하였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는 우수한 압전 및 유전 특성을 보이는 PMW-PNN-PZT 조성으로 900℃에서 소결하여 제작하였고, 더 좋은 특성을 출력하기 위하여 F.R.P(Fiber Reinforced Plastic)를 사용한 캔틸레버 방식을 이용하였다. 가진기를 사용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의 최적의 특성은 주파수 139.1Hz와 진동수 약 3.7G의 속도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에서 교류 2.19V의 출력전압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정류기를 통해 직류 1.46V 값으로 출력하였다. 직류 1.46V의 출력 전압값을 가지고 승압형 DC-DC 컨버터의 입력측으로 사용하여 DC 5V로 승압한 다음 LED를 점등하였다. 승압형 DC-DC 컨버터를 이용한 LED 구등 회로는 가진기를 이용한 진동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에서 나오는 전기 에너지를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충전하고, 충전된 전압으로 승압형 DC-DC 컨버터를 구동하는 것으로 충전된 시간과 비례하여 LED를 점등하였다.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하여 위 사실을 입증 하였으며, 일상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한 신재생에너지로써 환경오염과 관련하여 전혀 문제가 되지 않으며,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앞으로 차세대 에너지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압전 세라믹스를 이용하여 캔틸레버 타입의 에너지 수확 소자를 제작하여 이를 이용한 DC-DC 컨버터 구동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Boost DC-DC converter were manufactured using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ceramics in order to LED was driven.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ceramics was fabricated using PMW-PNN-PZT composition which have excellent piezoelectric characteristics. Cantilever type was used in order to generate the power. Energy harvester generated AC 2.19V at the driving frequency of 139.1Hz. Output voltage from the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was rectified at DC 1.46V and the capacitors were charged. The DC 1.46V was used an input voltage of the boost DC-DC converter. Output voltage of boost DC-DC converter was measured DC 5.01V. The output voltage of boost DC-DC converter drove LED.

      • 아나운서의 뉴스·예능·교양 메이크업 분석

        강진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나운서는 방송 매체를 통해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시청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전달한다. 움직임이 많지 않고 상반신만을 보여주는 뉴스와 교양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아나운서에게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다른 프로그램보다 정보전달력이 훨씬 강하다. 이는 언어로 전달하기 어려운 인간의 내면적 상태나 반응을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의상 등으로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여자 아나운서의 경우 메이크업에 의한 이미지가 다양한 차이로 나타나므로 이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이론적 검토를 통해 아나운서의 개념과 역할, 시대적인 변화를 분류하여 살펴보았고 프로그램별 이미지와 아나운서별 뉴스·예능·교양 프로그램에 따라 메이크업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따라 공통적인 부분이 나타났는데 뉴스 프로그램에서 메이크업은 매트한 피부표현에 눈 화장은 포인트 아이라인을, 입술은 누드 톤 계열의 색상으로 나타났다. 예능프로그램에서의 메이크업은 물광, 윤광, 쉬머로 촉촉한 피부를 표현하고 눈 화장은 스모키, 세미 스모키, 인조 속눈썹을 강조하며 입술은 다양한 모든 컬러를 사용하였다. 교양 프로그램에서의 메이크업은 매트, 물광, 윤광으로 피부표현을 하였고 눈 화장은 포인트 아이라인으로하고 입술은 누드 톤부터 다양한 컬러를 사용하였다 뉴스·예능·교양프로그램에 따라 메이크업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시청자가 원하는 아나운서의 외모와 방송사가 원하는 이미지가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이는 메이크업이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으로서 아나운서에게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메이크업 아티스트는 아름다운 메이크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방송 환경에 적합한 기술과 재료의 선택으로 시청자들이 인지하고 수용할 프로그램의 특성을 표현하고, 프로그램의 의도와 요구를 분석하고 아나운서의 이미지 메이킹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TV 프로그램에서 예능과 교양 프로그램은 뉴스의 6배 이상 많은 시간을 편성하고 있다. 그만큼 예능, 교양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아나운서의 다양한 메이크업 분석이 나오길 바라며 아나운서 메이크업 관련 연구가 확대 되길 바란다.

      • 자성 고체들의 스핀 교환 상호 작용과 자기 질서화 연구: Cs2CuCl4, TbFe3(BO3)4와 Cu3(CO3)2(OH)2

        강진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 magnetic solid with localized spins has low-lying excited states resulting from their weak interactions. The low-energy excitation energies associated with these magnetic states are probed mainly by performing magnetic susceptibility and inelastic neutron scattering measurements. In magnetic susceptibility experiments, which are carried out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under a probing magnetic field, the low-energy excitation energies are deduced indirectly by studying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Boltzmann populations of the low-lying excited states. In ineleastic neutron scattering experiments, the low-energy excitation energies are detected directly by measuring the energies of the inelastically scattered neutrons, which are carried out at very low temperatures (e.g., 10 – 15 K) to avoid complications resulting from inelastic neutron-phonon interactions. To determine the nature and strength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localized spins in a magnetic solid, results of magnetic susceptibility and inelastic neutron scattering experiments are analyzed in terms of a Heisenberg spin Hamiltonian , which is written as a sum of isotropic spin exchange interactions between adjacent spin sites i and j, , where and are the spin operators at the sites i and j, respectively, and is the spin exchange parameter. This phenomenological Hamiltonian expresses excitation energies of a magnetic solid in terms of a set of spin exchange parameters . Thus in analyzing experimental results in terms of , the spin exchange parameters become numerical fitting parameters needed to reproduce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nature and values of these “experimental” parameters depend on what spin exchange paths one includes in the spin Hamiltonian, and more than one set of values can lead to an equally acceptable fitting. In order to obtain a meaningful set of spin exchange parameter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xamine the electronic structure of a magnetic solid.1 Concerning how the signs of spin exchange interactions depend on the electronic structures of the spin exchange paths, qualitative relationships were first developed by Goodenough,2 and were extended by Kanamori.3 On the basis of electronic structure considerations, Anderson 4 lai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describing isotropic spin exchange interactions. Certain physical phenomena of magnetic solids are not explained in terms of isotropic spin exchange interactions alone. To explain these phenomena, Moriya 5 introduced antisymmetric and anisotropic interactions between spins. Over the years a number of studies 1,6-9 have investigated how isotropic spin exchange interactions described by Heisenberg Hamiltonians are related to the electronic structures of magnetic systems. Through these studies, it became possible to think about spin exchange interactions in terms of qualitative chemical concepts such as overlap and orbital interaction.6,7 They also made it possible to calculate quantitatively the strengths of spin exchange interactions using state-of-art electronic structure computations on the basis of either the configuration interaction wave function or the density functional theory method.9 In choosing a correct set of spin exchange paths to analyze experimental data and hence correctly explain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magnetic solid, it is sufficient to know the relative strengths of its spin exchange interactions. In a magnetic solid of transition metal ions M whose first coordinate spheres are made up of main group ligand atoms L, spin exchange interactions between adjacent metal ions may take place through MLM superexchange (SE) paths or ML…LM super-superexchange (SSE) paths.1 The relative strengths of SE interactions can be guessed using Goodenough rules 10 in terms of the MLM angle, the symmetry properties of the metal d-orbitals containing unpaired spins, and the number of unpaired spins at the metal site M. In the past, SSE interactions were often neglected with no justification, and the assignment of strongly interacting spin exchange paths of a magnetic solid and hence its spin lattice were often guided by the ease and/or the novelty of the eigenvalue problems the supposed spin lattice generates. As a result, the magnetic properties of a given magnetic solid were often interpreted in terms of a spin lattice that is incorrect for the magnetic system. It is essential to assign spin lattices of magnetic solids with the help of appropriate electronic structure considerations because a SSE interaction can be stronger than any SE interaction.1 During the past decade, Professor Whangbo’s laboratory has explored all three areas of theoretical studies of magnetic solids, namely, (1) investigations of the eigenvalue structures of spin Hamiltonians, (2) quantitative calculations of spin exchange interactions in terms of first principles electronic structure computations, and (3) qualitative estimations of the relative strengths of spin exchange interactions using semi-empirical electronic structure calculations. Currently, the research efforts of Professor Whangbo’s laboratory are focused on exploring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s in magnetic oxides on the basis of first principles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and tight-binding electronic structure calculation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plain the magnetic structures of such compounds by analyzing the geometrical features of their spin exchange paths and determining the signs and the magnitudes of the associated spin exchange parameters. In the present work we examine three magnetic systems, Cs2CuCl4, TbFe3(BO3)4 and Cu3(CO3)2(OH)2. The magnetic properties of Cs2CuCl4 are discussed in Chapter 1. Despite a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of its CuCl42- ions, the magnetic properties of Cs2CuCl4 are explained by a two-dimensional frustrated triangular antiferromagnetic spin lattice. The origin of this low-dimensional magnetism was explored by evaluating the spin exchange interactions of A2CuCl4 (A = Cs, Rb, K, Na) on the basis of first principles density functional calculations. The calculated spin exchange parameters agree with experiment only when the Cs+ ions located between the CuCl42- ions are not neglected. The antiferromagnetic spin exchange interaction between adjacent CuCl42- ions is strongly reduced by the 6p orbitals of the intervening Cs+ ions when the arrangement of the CuCl42- and Cs+ ions has either mirror-plane or inversion symmetry. The observed magnetism of Cs2CuCl4 arises from this symmetry-dependent participation of the 6p prbitals of the Cs+ ions in the spin exchange interactions between CuCl42- ions. The magnetic properties of TbFe3(BO3)4 are discussed in Chapter 2. On the basis of first principles density functional calculations, the spin exchange interactions between the Fe3+ (d5, S = 5/2) ions and the preferred orientation of the Tb3+ (f8) spins were evaluated, and the ferroelectric polarization of TbFe3(BO3)4 was calculated. In agreement with experiment, our calculations predict that the spin exchange between the Fe3+ spins is ferromagnetic within each //ab sheet of Fe3+ ions, but antiferromagnetic between adjacent //ab sheets of Fe3+ ions, while the spin exchange between the Fe3+ and Tb3+ ions within each //ab sheet of Fe3+ and Tb3+ ions is antiferromagnetic. The Tb3+ (f8) ions is found to possess an electron configuration responsible for uniaxial magnetism, hence orienting the Tb3+ spins along the c-direction and leading to the highly anisotropic magnetic susceptibility. The ferroelectric polarization of TbFe3(BO3)4 is due largely to the absence of inversion symmetry of the crystal structure, and is weakly affected by its magnetic structure. The magnetic properties of Cu3(CO3)2(OH)2 are discussed in Chapter 3. Recently, the magnetic properties of the mineral Azurite Cu3(CO3)2(OH)2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The interpretation of these properties has become controversial, since the observation of the 1/3 magnetization plateau predicted for a diamond-chain with spin frustration. At low temperatures, Azurite exhibits a double-peak feature in the magnetic susceptibility. To explain this double-peak, it was found necessary to employ the diamond chain model with no spin frustration. In our work we resolve these puzzling problems by evaluating the spin exchange interactions of Azurite on the basis of first principles DFT electronic structure calculations. Our work shows that a correct spin lattice for Azurite is not the non-spin-frustrated diamond chain model, but the 2D spin lattice in which spin-frustrated diamond chains interact through the interchain spin exchange in the ab-plane. Our work resolves the origin of the double-peak feature of the susceptibility in terms of this 2D spin lattice. The magnetic susceptibility peak of Azurite at ~20 K is relatred to the intrachain exchange J2, and that at ~5 K to the interchain spin exchange J4 that occurs in the ab-plane. References 1. M.-H. Whangbo, H.-J. Koo and D. Dai, J. Solid State Chem. 176, 417 (2003). 2. J. B. Goodenough, Phys. Rev. B, 100, 564 (1955); J. Phys. Chem. Solids 6, 287 (1958). 3. J. Kanamori, J. Phys. Chem. Solids 10, 87 (1959). 4. P. W. Anderson, Phys. Rev. 115, 2 (1959); Solid State Phys. 14, 99 (1963). 5. T. Moriya, Phys. Rev. 120, 91 (1960); Phys. Rev. Lett. 4, 228 (1960). 6. P. J. Hay, J. C. Thibeault and R. Hoffmann, J. Am. Chem. Soc. 97, 4884 (1975). 7. O. Kahn and B. Briat, J. Chem. Soc. Faraday Trans. II 72, 268 (1976). 8. L. Noodleman, J. Chem. Phys. 74, 5737 (1981). 9. F. Illas, I. de P. R. Moreira, C. de Graaf and V. Barone, Theoret. Chem. Acc. 104, 265 (2000). 10. J. B. Goodenough, Magnetism and the Chemical Bond, Wiley, Cambridge, 1963. 11. P Fischer, V Pomjakushin, D Sheptyakov, L Keller1, M Janoschek, B Roessli, J Schefer, G Petrakovskii, L Bezmaternikh, V Temerov and D Velikanov, J. Phys.: Condens. Matter 2006, 18, 7975. 12. T. Radu, H. Wilhelm, V. Yushankhai, D. Kovrizhin, R. Coldea, Z. Tylczynski, T. Lühmann, and F. Steglich, Phys. Rev. Lett. 95, 127202 (2005) 13. H. Okabe, K. Suzuki, K. Kawashima, T. Muranaka and J. Akimitsu, J. Phys. Soc. Jpn. 2006, 75, 123705. 편재화 된 스핀을 갖는 자성 고체는 그들 사이의 약한 상호 작용으로 인하여 낮게 들뜬 상태를 갖는다. 이들 자성 상태와 관련된 낮은 들뜬 에너지 (low-energy excitation energies) 는 주로 자화율 (magnetic susceptibility) 과 비 탄성 중성자 산란 측정 (inelastic neutron scattering measurement) 에 의해서 조사되어진다. 자기장 하에서 온도 변화의 함수로써 수행되어지는 자기화율 변화 측정 실험에서 낮은 에너지 값을 갖는 들뜸 에너지는 낮게 들뜬 상태의 온도의존 볼츠만 (Boltzmann) 분포 (KB) 에 의해 간접적으로 구해질 수 있다. 비 탄성 중성자 산란 실험에서는 낮은 에너지로 들뜬 에너지들은 비 탄성 중성자-양성자 상호 작용으로 인한 복잡한 결과를 피할 수 있는 매우 낮은 온도 (예, 10-15K) 에서 실험되어 진 비 탄성적으로 산란 되는 중성자의 에너지 측정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검출된다. 자성고체에서 편재화 된 스핀 사이의 상호 작용의 세기와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서, 자화율과 비 탄성 중성자 산란 실험 결과들은 인접한 스핀 i 와 j 사이의 등방성 스핀 교환 상호 작용 ( ) 의 합으로 쓰여진 하이젠버그 스핀 해밀토니안 항들의 측면에서 분석 되어진다. 여기에서 과 는 각각 i 와 j 위치의 스핀 연산자이고 는 스핀 교환 파라미터 (spin exchange parameter) 이다. 이 현상학적 (phenomenological) 해밀토니안은 스핀 교환 파라미터 의 집합의 견지에서 자성 고체의 들뜬 에너지들을 표현한다. 따라서 측면에서 실험 결과들을 분석함에 있어서 스핀 교환 파라미터 는 실험 결과를 재현 하는데 필요한 대수적 맞춤 파라메터들 (numerical fitting parameters) 이 된다. 실험적으로 얻어진 파라미터의 특성과 값은 스핀 해밀토니안에 포함 되어있는 스핀 교환 경로 (spin exchange paths) 가 어떤 특정 스핀 교환 경로들을 포함 하는지 그리고 동등하게 받아들 일 수 있는 값들의 하나 이상의 집합들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의미있는 스핀 교환 파라미터의 집합을 얻기 위해서, 자성 고체의 전자구조를 조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1 스핀 교환 상호 작용 (spin exchange interactions) 의 부호가 어떻게 스핀 교환 경로의 전자구조에 의존하는지에 대한 정성적인 관계가 Goodenough 에 의해서 처음 발견되었다.2 그리고 Kanamori 에 의해 확대 되었다.3 Anderson은 전자 구조 고려를 토대로하여 등방성 스핀 교환 상호 작용 묘사를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시했다.4 자성 고체의 어떠한 물리적 현상은 등방성 스핀 교환 상호 작용 항 만으로는 설명되어지지 않았다.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Moriya 는 스핀 사이의 반대칭적 그리고 비등방적 상호 작용을 도입하였다. 지난 수년 간 많은 연구는 하이젠버그 해밀토니안에 의해서 기술되는 등방성 스핀 교환 상호 작용이 어떻게 자성계의 전자 구조와 관계 되는지에 대해 연구되어져 왔다.1,6-9 이들 연구를 통해, 겹침과 궤도 상호 작용과 같은 정성적인 화학적 개념의 측면에서 스핀 교환 상호 작용을 생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6,7 또한 파동함수의 배치간 상호 작용 (Configuration Interaction : CI) 나 범밀도 함수 이론 방법 (Density Functional Theory : DFT) 에 근거한 최첨단 전자 구조 계산 방법을 사용하여, 스핀 교환 상호 작용의 세기에 대한 정량적인 계산을 가능하게 만들었다.9 실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교환 경로 집합의 올바른 선택과 자성 고체의 물리적인 특성의 올바른 설명에 있어서, 스핀 교환 상호작용의 상대적인 세기를 아는 것만으로도. 첫 배위 공간이 주 족 (main group) 리간드 원자 L로 이루어진 전이 금속 M의 자성 고체에서, 인접한 금속 이온들 사이의 스핀 교환 상호 작용은 M−L−M 의 SE (super-exchange) 경로 또는 M−L … L−M SSE (super-super-exchange) 경로를 통해서 이루어 진다. SE 상호 작용의 상대적인 세기는 ∠M−L−M각, 홀 스핀을 포함하는 금속 d-궤도의 대칭 특성, 그리고 금속 위치 M 의 홀 스핀 수 에 의하여 주어지는 Goodenough 규칙을 사용해서 예측 할 수 있다.10 과거에는, SSE 상호 작용은 종종 정당성 없이 간과되어졌다. 그 결과, SSE 상호작용이 고려되지 않은 자성 고체의 자기적 특성은 종종 자성계에 대해 올바르지 않은 스핀 격자의 견지에서 해석 되어졌다. SSE 상호작용은 어떠한 SE 상호작용보다 강하기 때문에 때문에 적절한 전자 구조 고려들에 의한 자성 고체의 스핀 격자를 배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지난 세기 동안 황보 명환 연구그룹은 자성고체에 대하여 3 가지 분야의 이론적 연구를 수행 하여왔다. 즉, (1) 스핀 해밀토니안의 고유 값 구조 연구, (2) 제 1원리 전자 구조 계산을 통하여 스핀 교환 상호작용의 정량적 계산, (3) 반 경험적 전자 구조 계산을 사용하여 스핀 교환 상호작용의 상대적인 세기에 대한 정성적인 계산. 현재, 1차 범밀도 함수 이론과 (DFT) 과 꽉묶임 (TB) 전자구조 계산을 근간 으로하여 자성산화물에서 구조와 특성간의 관계 탐구에 역량을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중에 있다. 연구의 주된 목적은 자성 산화물들의 스핀 교환 경로의 기하학적 구조, 특성분석 및 스핀 교환 파라메타의 크기와 부호결정에 의해 자성 산화물들의 자성 구조 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세가지 자기 시스템 Cs2CuCl4, TbFe3(BO3)4 과 Cu3(CO3)2(OH)2 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제 1장에서는 Cs2CuCl4 의 자기 특성들에 대해 논의 하였다. CuCl42- 이온들의 3−차원 배열에도 불구하고, Cs2CuCl4의 자기 특성들은 2−차원frustrated 삼각형 반강자성 스핀 격자로 (two-dimensional frustrated triangular antiferromagnetic spin lattice) 설명되어진다. 이 저 차원 (low-dimensional) 자기적 특성의 근원이 제 1 원리 범 밀도 함수 이론 계산에 기초하여A2CuCl4 (A = Cs, Rb, K, Na) 의 스핀 교환 상호 작용 추출에 의해 조사 되어졌다. 계산된 스핀 교환 파라미터들은 CuCl42- 이온들 사이에 위치한Cs+ 이온이 무시되어지지 않았을 때 실험 결과와 좋은 일치를 보인다. 인접한CuCl42- 이온들 사이에서 반강자성 (antiferromagnetic) 스핀 교환 상호 작용은CuCl42- 과 Cs+ 이온의 배열이 거울면 (mirror-plane) 또는 반전 대칭 (inversion symmetry) 을 가질때 중간에 위치한Cs+ 의 6p 오비탈에 의해 강하게 감소된다. Cs2CuCl4의 자기적 특성은 CuCl42- 이온들 사이의 스핀 교환 상호작용에서Cs+ 6p 오비탈들의 대칭성-의존 참여(symmetry-dependent participation) 에 의해 나타난다. 제 2장에서는TbFe3(BO3)의 자기 특성들에 대해 논의 하였다. 제 1 원리 범 밀도함수 계산에 기초하여Fe3+ (d5, S = 5/2) 이온들 사이의 스핀 교환 상호 작용과 Tb3+ (f8) 선호되어지는 스핀 방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TbFe3(BO3)4의 강전자성 분극 (ferroelectric polarization)을 계산하였다. 실험과 일치하게, 우리의 계산들은 Fe3+ 스핀들 사이 스핀 상호교환은 Fe3+ 이온들의 각 //ab 시트 내에서 강자성 (ferromagnetic) 임을 예견한다. 그러나 인접한 각 //ab시트간에는 반강자성 (antiferromagnetic)이 예측되어진다. 반면에 Fe3+ 과 Tb3+ 이온들 사에에 스핀 교환이 반강자성 (antiferromagnetic) 을 나타낸다. Tb3+ (f8) 이온들은 uniaxial magnetism을 초래 할 수 있는 전자 배치를 갖은 것으로 발견되어 졌다. 그리하여 Tb3+ (f8) 의 스핀은 c-방향으로 배향하며 강한 비등방성 자화율 (anisotropic magnetic susceptibility) 을 나타낸다. TbFe3(BO3)4 강전자성 분극 (ferroelectric polarization) 은 결정 구조의 반전 대칭의 부재로 인하여 생성되고 그것의 자기 구조에 의해서는 약하게 영향 받는다. 제 3장에서는Cu3(CO3)2(OH)2의 자기 특성들에 대해 논의 되어졌다. 최근, 미네랄Azurite Cu3(CO3)2(OH)2 의 자기 특성들은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들 특성들의 해석은 1/3 magnetization plateau 의 관찰이 스핀 프러스트래이션 (spin frustration) 에 의한 다이아몬드-사슬로 예견 된 이래 논쟁이 되어지고 있다. 자화율 실험에서 Azurite은 낮은 온도에서 두개의 피크 (double-peak) 을 나타낸다. 이 두개의 피크를 설명하기 위해, 스핀 프러스트래이션이 없는 다이아몬드-사슬 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여겨지게 되고 있다. 우리는 제 1 원리 DFT 전자 구조 계산에 기초하여 Azurite의 스핀 교환 상호 작용 추출에 의하여 이 수수께끼같은 문제들을 해결하였다. 우리의 결과는, Azurite 에 대한 올바른 스핀 격자는 스핀 프러스트래이션이 되어있지 않는 다이아몬드-사슬 모델이 아니라, ab-면에서 사슬간 스핀 교환을 통한, 스핀 프러스트래이션 된 다이아몬드-사슬들간에 의한 2D 스핀 격자임을 보여준다. 우리의 결과는 이 2D 스핀 격자의 측면에서 자화율 실험의 두개의 피크의 발생을 해결하였다. ~20K 에서의 Azurite 피크는 사슬내 스핀 교환 J2와 연관 된 것이며, ~5K에서의 피크는 ab-면에서 사슬간 스핀 교환 J4에 의해서 생성 된 것이다.

      • STAD 영어수업이 영어불안 및 듣기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진희 경인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교 영어교육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배양과 더불어 영어에 대한 친밀감과 흥미를 갖게 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삼고 있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영어에 대한 불안이 증가되어 가고, 다인수 과밀학급의 구조로 인하여 활발한 의사소통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STAD 협동학습을 소개하며 이 방법을 활용한 영어수업이 영어 불안 및 듣기․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STAD 영어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실시한 비교집단에 비해 영어불안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STAD 영어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실시한 비교집단에 비해 듣기․말하기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STAD 영어수업은 학업 능력 수준에 따라 영어 불안과 듣기․말하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설정된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인천광역시 부평구의 B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한 후, 이 두 학급 6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개의 집단을 선정하기 위하여 사전에 영어 불안 검사 및 듣기․말하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기간은 2008년 9월 첫째 주부터 12월 셋째 주까지 총 16차시에 걸쳐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은 능력 이질집단으로 4명이 1개의 소집단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STAD 협동학습 방법을 통해 수업하였고, 비교집단은 현행 교육과정에 의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지도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도구로는 영어불안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영어불안척도(EAS)를 사용하였으며, 영어 듣기 평가와 말하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모든 실험 결과는 SPSSWIN 12.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AD 영어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비교집단 간에는 p<.05 수준에서 영어 불안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STAD 협동학습을 적용한 영어수업이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실시한 수업에 비해 초등학생의 영어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STAD 영어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비교집단 간에는 p<.05 수준에서 말하기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나, 듣기 능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즉, STAD 협동학습을 적용한 영어수업이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실시한 수업에 비해 말하기 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듣기 능력 향상에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학습자의 학업 성취 수준에 따른 STAD 영어수업이 영어불안 및 듣기․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영어불안은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모두 p<.05 수준에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으며, 말하기 능력은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모두 p<.05 수준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듣기 능력은 상·하위 집단 모두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핵심어 : STAD 영어수업, 영어불안, 듣기·말하기 능력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