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학교구를 활용한 조형요소와 원리 지도

        강윤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 문 요 약 수학교구를 활용한 조형요소와 원리 지도 강 윤 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학과 초등미술교육전공 ( 지도교수 허 정 임 ) 이 연구는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5학년 1개 반 24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수학교구를 활용하여 조형요소와 원리를 지도하는 방안에 대한 것이다. 조형요소와 원리의 지도는 일반적으로 자연물이나 작품을 보면서 그 속에서 조형요소와 원리를 찾아보는 방식으로 지도해왔다. 하지만 용어 자체의 어려움 뿐 아니라 기존의 교수 방식에 의한 수업을 통해서는 학생들이 조형요소와 원리를 어려운 개념으로 인식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학생들에게 조형요소와 원리를 보다 쉽고 재미있게 지도하는 방안으로 활동주의 수학에서 강조하고 있는 수학 교구를 활용하여 조형요소와 원리를 쉽고 재미있게 지도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여러 가지 수학교구들 중에서 이 연구에 사용된 수학교구는 지오보드(Geo board), 탱그램(Tangram), 패턴블럭(Pattern Blocks)이다. 총 10차시의 교수․학습 계획안을 작성하여 그 중 2차시는 지오보드를 활용하여 조형요소 중 점, 선, 면을 지도하였다. 탱그램을 활용하여 형에 대한 수업 2차시와 색에 대한 수업을 2차시로 지행하였다. 그리고 패턴블럭을 사용하여 조형 원리에 대한 4차시 분량의 수업을 하였다. 활동을 하면서 학생들이 작성한 학습지를 통하여 조형요소와 원리에 대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미술시간에 수학교구를 활용했을 때 학생들의 반응은 ‘놀이기구인줄만 알았던 수학교구가 미술 작품이 된다’는 것에 놀라워하였다. 또한 조형요소와 원리는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하였는데 수학교구를 통하여 직접 조작하며 공부하니 더욱 쉽게 이해된다고도 하였다. 이처럼 미술의 세 가지 영역 중 표현 영역의 하위 요소인 조형요소와 원리를 지도함에 있어서 수학교구를 활용한 수학과와의 통합교육을 하여 학습의 효과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조형요소와 원리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의 내용 요소들 역시 타 교과와 다양한 통합학습을 한다면 더욱 활기찬 미술 수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일본의 다문화정책 연구 : 외국인수용정책과 대외국인 사회통합정책을 중심으로

        강윤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Many countries have implemented multicultural policies under the government's direction to cope with diversity due to the migration. Policy factors are very important for foreigners to adapt and live in other countries.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Japan's multicultural policies. Japan's multicultural policy maintains a closed position regarding to foreigners other than highly skilled professionals and Japanese Americans in South America, and their rights are also different. In addition, they have a surveillance system to manage them. This closed position on foreigners is also reflected in multicultural policy. Japan's multicultural policy is more linguistically supported than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rights, and it also includes elements of assimilation. In addition,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cal government, which is the subject of multicultural policy, and the government can communicate.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Committee for Localities with a Concentrated Foreign Population. Many times they have made policy suggestions directly to the government on multicultural policy. However, unlike local governments that require active support from foreigners, the central government still wants to remain closed. As a result, the central government is unresponsive to the opinions of local governments, which are the subjects of multicultural policies, and is putting a brake on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policie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Japanese multicultural policy is expected to be difficult unless the central government's position changes.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Japanese multicultural polic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public through voluntary awareness and education of government officials, and policy development should be implemented first. And it should be a more open form, including multiculturalist content, positively contributing to multicultural policy.

      • 아담스와 크렙의 기독교 상담 이론 비교 및 절충 모델에 관한 연구

        강윤희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 심리학에 대화의 기술을 접목하여 예수님의 장성한 인격의 분량에 까지 이르게 하며, 성경이 지향하고자 하는 긍극적인 삶, 곧 죄 짓기 이전의 온전한 삶의 지경에까지 이르게 하고자 하는 학문인 기독교 상담학은 목회신학과 실천신학에 있어서도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고,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고양되고 있다. 기독교 상담의 현실과 한국 목회상담의 당면과제들을 감안하여 상담현장에서 어떻게 상담 이론들을 적용할 것인가에 대해 아담스의 권면적 상담이론과 크렙의 기독교 상담이론을 상호 비교 분석해 보았다. 아담스의 이론이 기독교 상담학의 발전에 기여한 점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서 상담의 동기를 찾고, 성경을 전제조건으로 하며, 성경의 목표를 근거로 삼아 성경적 모델로 상담학을 발전시킨 것이다. 다만, 성경에만 너무 치우쳐 성경의 문자적 해석에 구속을 받는 점과 이성, 경험, 전통을 무시하고 성경을 무분별하게 사용하여 오히려 상담에 장애를 가져오는 점이 아쉬운 점이다. 크렙의 이론은 성경을 중심으로 하되 심리학을 비롯한 세속 학문도 복음주의적 통합을 거쳐 함께 상담에 활용한다는 점에서 통합적 접근 또는 절충적 접근이 되고 있다. 사람이 바르게 살기 위해서는 ‘중요성’과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하고, 삶의 의미와 사랑 또한 깨달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영혼의 구원과 인격수양 이 두 가지를 동시에 추구하다 보니 심리학과 성경이 혼합되어 tossed salad가 된 듯 하다. 성경을 중심 원리로 하고 심리학을 방법론과 보조이론으로 활용한다고 하지만 실제로 특징없는 종합판이 될 수 있으며, 상담자의 학문 배경에 따라서 성경이나 심리학 둘 중 어느 한쪽에 치우쳐 버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부분이다. 지금까지의 논문에서는 이론의 비교 분석을 통한 절충적 상담 모델을 제시해 보는 수준에 그쳤고, 절충 이론을 상담에 까지 적용한 사례는 거의 찾아 볼 수 없었기에 이에 대해 시도해 보았다. 먼저, 두 상담이론을 상호 비교하고 그에 대한 절충모델을 구안하였고, 세 이론 각 각을 ‘청소년 자아존중감’에 대한 문제를 안고 있는 H 교회학교 고등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상담을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 테스트 검사지는 Rosenberg(1965)의 Global Self-Esteem 척도의 이훈진, 원호택(1995)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담 실시 결과, 아담스의 이론 보다는, 크렙의 이론이 더 유의미한 결과치를 얻었고, 절충이론은 크렙의 이론에 비해 더 유의미한 결과치를 도출한 것으로 볼 때, 절충모델이 변화와 치료를 원하는 내담자들에게 더 효율적 상담이 될 것이라는 조심스런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물론 상담에 적용한 이론이 서로 다른 점과 내담자의 수가 한 명인 것이 제한점으로 남아 있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았던 절충이론의 실제 상담 현장에서의 적용과 그 결과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 점에서 추후에 있을 절충 및 통합 모델의 한 방향을 제시한다.

      • 장애 이해 프로그램이 일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강윤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장애 이해 프로그램이 일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sability Understanding Program on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 toward Disabled children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특수교육전공 강 윤 희 지도교수 추 연 구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이해 프로그램 실시 여부에 따라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태도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고성군에 위치한 초등학교 5학년 2개 반으로 두 반 모두 장애아동이 없다. 실험에 참가한 학생 수는 총 43명이며 편의상 연구자의 담임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 이해 프로그램을 중재도구로 실험집단에 적용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형용사 척도, 활동선호 척도, 통합학급에 대한 일반학생의 태도 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태도 변화에 장애 이해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집단에는 주2∼3회씩 12주에 걸쳐 장애 이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교육과정을 진행하였다. 중재도구로 활용한 장애 이해 프로그램은 영화, 동화책, 모의 장애체험 등을 통해 장애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세 가지이다. 그 하나는 태도의 인식적, 정의적 요소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김정효(1990), 정선화(1993), 곽지영(1993)이 Siperstein(1980)의 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한 형용사 척도 설문지이다. 다른 하나는 태도의 행동적 요소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국립특수교육원의 통합교육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연구(1997)에서 초등학교 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 태도를 조사하기 위한 질문지 󰡒나는 장애를 가진 친구와 이렇게 지내고 싶다 : 일반학생용󰡓을 보완한 활동 선호 척도 설문지이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통합학급에 대한 일반학생의 전반적인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Hung(2005)이 개발한 청각장애학생의 통합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the Inclusion of Students who are Deaf or Hard of Hearing Inventary : ISDHH)를 번안 수정하여 활용한 오원석과 서영란(2006)의 검사 도구이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생의 장애 수용 태도 중 인지적․정의적 요소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장애 이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사전․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일반학생의 장애 수용 태도 중 행동적 요소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장애 이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사전․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일반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장애 이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했을 때 사전․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태도 변화를 위한 중재도구의 필요성과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교육 현장에서 일반학생의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중재도구로서 장애 이해 프로그램의 적용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제어 : 장애 이해 프로그램, 장애 수용, 장애 체험

      • 가정생활의 부적응에 대한 인간중심 상담 사례 연구

        강윤희 대불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 가정의 자매간 갈등 속에서 결여된 자존감을 지닌 중학생 1학년 A여학생에게 자신이 소중한 존재임을 자각케 하여 자존감을 향상시켜 주고 가족의 갈등을 해결해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제자매간의 갈등이 생길 수 있는 원인을 찾아 볼 수 있는가? 둘째, 형제자매간의 문제점을 찾아 내담자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가? 셋째, 인간중심상담을 통하여 결여된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 하였다. <가설1> 인간중심상담을 통하여 형제자매간 갈등의 원인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부모에 대한 애착 때문인 걸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가설2> 인간중심상담으로 인해 형제자매관계에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3> 인간중심이론을 적용한 상담을 받은 학생은 긍정적인 자기강화를 많이 함으로써 낮은 자존감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가설을 전제로 A내담자와의 4회에 걸친 공식적인 상담과 비공식적인 상담을 실시한 결과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모습을 인정, 수용하게 되었고 조금씩 자존감이 향상되어 가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가족 간의 관계가 원만해져 가고, 언니에 대한 적대적이고 반항적인 행동들이 조금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바뀌어 가고 있음을 엿볼 수 있었다. The research aims of this study solve the problem of a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is prideless on the conflict of sisters, and crank up the self-respect and solve the conflicts of her family. The research subjects selected to achieve this aim were as following. 1. Isn't the cause of which the discord of sisters with attachment for parents and fostering attitude of parents for their children? 2. Will it be found out the problem of sisters, solve the problem and will she be improved? 3. How much the consultation which applies a humanistic theory will recover the student's confidence to the degree expected? The research hypothesis set to achieve this aim were as follow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following three hypothesis were set up. <Hypothesis 1> It will be able to prepare the footing which is a growth of affirmative the sense of self with the person-centered counseling. <Hypothesis 2> It will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on the conflicts of sisters with the person-centered counseling. <Hypothesis 3> It will be able to improve of the low self-respect by training of affirmative the sense of self with the person-centered counseling. Soon, Person-centered counseling will be able to create an inter-confident atmosphere and make people expose their feelings and understand their inner world. We could feel after the consultation formal and informal which executed various times with the student and her family, her condition was getting better little by little. She admit negative the sense of self-confidence. (1) In family relationship become more and more harmonious. (2) In family relationship her negative attitude disappeared and she reduced ignorant attitude to her sister and I felt that she did her best for good family and sisters relationship. However, I am afraid of ending counseling through there are many family problems still. So her family, especially her father more understand their daughter and do their best for expose her mind and I believe that if mother and father become wise, the problem will be solved forever. This study is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one point. Parents' negative attitude toward their children in childhood can be the cause of the conflicts of their children in adolescence.

      • 유아의 독서태도가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정 독서환경의 매개효과 : 대전광역시 및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강윤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독서태도, 가정의 독서환경, 유아의 사회성에 대한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유아의 독서태도가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정 독서환경의 매개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첫째, 유아의 독서태도와 유아의 사회성과의 관계는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독서태도와 가정 독서환경의 분석결과도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가정 독서환경과 유아의 사회성의 분석결과도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독서태도, 가정 독서환경, 유아의 사회성은 개별적으로 서로 긴밀한 관계성을 지니며, 유아의 독서태도와 사회성의 사이에서 가정 독서환경이 중요한 매개 요인을 한다.

      • 역동적 과학평가에 의한 중학생들의 용해 개념 변화

        강윤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Dynamic Science Assessment (DSA) was employed to promote the conceptual change for dissolution of 13 second-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and to analyse some difficulties for change. Based up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are suggested. Students acquired scientific concept when cues were served in order to recognize solute-solvent interaction by understanding particles' movement and attraction between particles. Some students hardly explained scientifically because they can't understand the dynamic action of solute particles because of strong attraction between particles of solid state or recognize interactions between solute particles and solvent particles. After observing other solutes' dissolving in a saturated solution, Students were confused and modified their explanations. But their explanations were not scientifical. Middle school students had the difficulty in representing their own thoughts using appropriate scientific terms and interviewer sometimes misinterpreted interviewees' terms, so missed ZPD opportunity. Middle school students need to understand dissolution as mixing particles' interactions based on particles' movement and attraction. It is important that students have chances to understand exactly during representing dissolution phenomena in their own terms and scientific terms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과학적인 용해 개념으로 변화를 의도한 역동적 과학 평가를 실시하여 변화 과정을 알아보고, 변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용해 개념의 교수 및 학습에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물질의 상태와 입자 운동, 입자 간 인력의 관계를 알고 용질과 용매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도록 도움을 제공했을 때 중학생들의 용해 개념은 과학적 개념으로 변화하였다. 고체 용질 사이의 인력이 강하다는 이유로 용질 입자의 운동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용질 입자와 용매 입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인지하지 못한 학생들은 과학적으로 설명하지 못하였다. 중학생들은 포화용액에 다른 용질이 녹는 것을 관찰하고 인지갈등을 일으키고 설명을 수정하였으나, 그들의 설명은 과학적이지 않았다. 중학생들은 과학적 언어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었고, 연구자는 학생들이 사용하는 과학적 용어를 잘못 이해하여 근접발달대를 놓치기도 하였다. 중학생들은 분자 운동과 분자 사이의 인력 관계를 토대로 혼합 과정에 관여하는 물질 입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춰 학습할 필요가 있고, 다양한 용해 현상을 자신의 언어와 과학 용어로 표현해보면서 과학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는 기회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