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산 수서 및 육상 섬모충류의 재기재 : Redescriptions of Aquatic and Terrestrial Ciliates (Protozoa, Ciliophora) from Korea

        강윤승 울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en species belong to the phylum Ciliophora were collected from diverse habitats including freshwater, terrestrial soil and estuarine littoral water at 7 localities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2007 to January, 2009. Collected specimens were cultured in the laboratory and description wa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living specimens, protargol impregnated specimens and morphometric analysis. The morphological variations of these species populations were investigated with morphometry. As a result, ten species belonging to eight genera in five families of five orders within two classes were identified and redescribed. These species have not been reported in Korea. The list of ten species is as follow: Linostomella vorticella (Ehrenberg, 1833), Euplotes octocarinatus Carter, 1972, Euplotes vannus (M?ller, 1786), Hemiamphisiella terricola terricola Foissner, 1988, Cyrtohymena sp., Apoamphisiella tihanyiensis (Gell?rt & Tam?s, 1958) Foissner, 1997, Parentocirrus hortualis Voss, 1997, Onychodromopsis sp., Anteholosticha adami (Foissner, 1982) Berger, 2003, and Anteholosticha monilata (Kahl, 1928) Berger, 2003. Among these ten species, two species, Cyrtohymena sp. & Onychodromopsis sp. are not known in Korea before and should be candidates of new species.

      • 여드름 피부 관리의 기능성 화장품 사용 만족도 연구

        강윤승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cne appears and disappears mostly in puberty, but adult acne, which persists into the 30s or newly appears in the age range, is on the increase. Accordingly, this study has been implemented to assess the user satisfaction with the functional cosmetics employed in the skin care related to acn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demographic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current perception of acne, the characteristics of acne development, the perception of the ingredients of functional cosmetics, the current management of acne, and the satisfaction in that regard.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those adolescents and adults who had acne on their skin. The research employed an anonymous self-administered survey, of which 104 copie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18. For its methods, the research figured out the common factors through subject-specific basic surveys and implemented t-test for the difference of means with cross-tabulation,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is the current perception of acne. The average perception of acne was 76.1%. The development of acne was in proportion to the severity of sleep deprivation, which was followed by excess sebum and the genetic attribute of acne. The perception of acne management registered 72.1%. The leading perception was that acne was a disease that required treatment and care, followed by the perception that if neglected, acne would turn into a scar. The perception of the factor that aggravated acne was average 88.5%. The leading perception was that when a person was stressed, acne would aggravate, followed by that perception that smoking would aggravate acne. Second, of the characteristics of acne development, occasional appearance of acne registered the highest ratio of 49.5%. As for the duration of acne, minimum 5 years, which was short, accounted for a high ratio of the respondents. As the body parts that developed acne, face registered the highest ratio of 66.7%, and the causes of acne development were perceived as in the order of stress, sleep deprivation, and excess sebum secretion. Third, it is the perception of the functional cosmetics for acne skin. In the recognition of the ingredients of different functional cosmetics for acne skin, cleansing gel registered the highest recognition ratio of 26.9%. Echinacea extract registered a low 5.8% in being perceived as an ingredient of functional cosmetics for acne skin. In breaking from the perception of ingredients, the user satisfaction with functional cosmetics registered a high ratio. Men registered a higher ratio than women. In age, those in their 20s accounted for a high ratio, and in marital status, married registered a higher ratio than single persons. Fourth, it is the current acne management and satisfaction. In acne management method and location, dermatologic clinics led skin care shops for topically administered drugs, and dermatologic clinics led drug stores for orally administered drugs. For acne popping, skin care shops led dermatologic clinics, and for dermabrasion, skin care shops led dermatologic clinics. For freezing treatment, skin care shops led dermatologic clinics. The satisfaction with acne skin care showed greater among women than among men and among those in their 40s than those younger. As for marital status, the satisfaction showed greater among married than single and among housewives than those with jobs. As for the age when acne appears, 30s or later registered greater satisfaction, and for the duration of acne, 3 to 5 years registered greater satisfaction. To sump up, the ratio was high in the current perception of acne, the current management of acne, and satisfaction, but the respondents showed varying perception of the functional cosmetics for acne skin, thus shedding light on the need for specialist education in the ingredients of functional cosmetic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the causes of acne development, the perception of acne management, and the perception of the factors that aggravated acne, and the differentiation of the perception, and analyzed the perception of the ingredients of functional cosmetics for acne treatment and the user satisfaction with functional cosmetics for acne treatment. Then, the study came up with results as to acne management and satisfaction, varying satisfaction with acne skin care, acne management method and location, and the acne management methods and effect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data for establishing and marketing a specialist program for managing acne skin. 여드름은 대부분 사춘기에 발생해 소멸하지만 30대까지 지속되거나 새롭게 발생하는 성인기 여드름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여드름 피부 관리의 기능성화장품 사용 만족도 연구를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세부 사항으로는 인구통계학적 및 일반적 특성, 여드름 인식 실태, 여드름의 발생특성, 기능성화장품 성분 인식과 여드름의 관리 실태 및 만족도에 대한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소년 및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여드름 피부를 가진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방식은 무기명 자기기입식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는 104부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방법으로는 대상별 기초조사를 통하여 공통사항을 파악하고 빈도와 평균, 교차분석에 의한 차이검증(T검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드름 인식 실태이다. 여드름의 인식도는 평균 76.1%로 나타났다. 여드름 발생은 수면부족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피지 과다, 여드름 유전 속성 순으로 나타났다. 여드름의 관리 인식은 평균 72.1%로 나타났다. 여드름은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다가 가장 높은 인식을 갖고 있으며 다음이 여드름을 놔두면 흉터가 순이었다. 여드름의 악화요인 인식은 평균 88.5%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여드름을 더 악화된다가 가장 비율이 높았으며, 흡연이 여드름을 악화시킨다가 순이었다. 둘째, 여드름 발생특성으로 여드름은 가끔 난다가 49.5%로 가장 많았다. 여드름의 지속기간은 5년 이상이 짧은 기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여드름이 많이 발생하는 신체부위는 얼굴로 66.7%로 가장 높고 여드름의 발생원인 인식으로는 스트레스와 수면부족, 과다한 피지분비 순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여드름 기능성 화장품 인식이다. 여드름 기능성 화장품 종류별 성분 인지도에서 크린싱 젤이 가장 높은 인지 비율로 26.9%로 나타났다. 에키나세아 익스트랙트는 5.8%의 비율로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성분 인식이 저조하게 나타났다. 성분인식과는 달리 기능성화장품 사용 만족도 조사는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20대가, 결혼여부는 기혼보다 미혼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넷째, 여드름 관리 실태 및 만족도이다. 여드름 관리방법과 장소로 바르는 약은 피부과 병원, 피부전문 관리실 순이고 먹는 약은 피부과 병원, 약국 순이었다. 짜내는 관리로는 전문피부 관리실, 피부과 병원 순이며, 박피술은 전문피부 관리실, 피부과 병원 순이었다. 냉동관리로는 전문피부 관리실, 피부과 병원 순이었다. 여드름 피부 관리의 만족도 검증으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연령이 높은 40대가 낮은 나이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혼여부는 미혼보다 기혼이, 직업으로는 전업주부에게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드름의 발생나이에서는 30대 이후가 여드름의 진행기간은 3-5년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해보면 여드름의 인식실태, 여드름 관리 실태 및 만족도에서 만족도가 높이 나타났으나 여드름 기능성 화장품의 인식에서 차이를 내타냄으로서 향후 기능성화장품의 성분에 대한 전문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여드름의 발생원인 인식, 여드름의 관리 인식, 여드름의 악화요인 인식과 차이를 규명하고, 여드름치료 기능성화장품의 성분 인식, 여드름치료 기능성화장품의 사용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여드름관리와 만족도, 여드름피부 관리 만족도의 차이, 여드름의 관리방법과 관리장소, 여드름 관리방법과 효과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여드름 피부 관리에 대한 전문 프로그램 구축과 마케팅 자료의 제공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