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방행정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강선보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직무스트레스로 인하여 직무만족도가 낮아지는 상황에서 자기효능감의 보호적 매개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최근 교사, 복지사, 상담사 등에서 이어지고 있다. 이에 지방행정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하여 자기효능감을 높임으로써 직무만족도 향상이 가능한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내 제주시 사업소 3개소 및 읍·면·동 26개소와 서귀포시 읍·면·동 17개소에 근무하고 있는 6급 이하 지방행정공무원 448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제공하여 자기기입방식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사용된 측정도구는 최낙순(2011)의 직무스트레스, 안병훈(2008)의 직무만족, 박종일(2008)의 자기효능감 척도이다. 이들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를 산출하였고, 주요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 및 대상자들의 특성별 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을 시행한 이후 이들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의 차이를 ANOVA와 Scheffe로 검정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는 피어슨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매개효과 분석은 Baron과 Kenny(1986)의 검증방법을 활용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관계는 전반적으로 부(-)의 관계였고,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는 전반적으로 부(-)의 관계였으며,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의 관계는 전반적으로 정(+)의 관계를 보였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1단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β=-.463, p<.001), 2단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β=-.645, p<.001), 3단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β=.112, P<.01)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이 감소하였으므로(.645>.594)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조건에 모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bel test로부터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z=-2.545, p=.011) 가설이 지지되었다. 따라서, 지방행정공무원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 해소가 근본적으로 추진하여야 하겠지만, 동시에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중재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It has been recently reported that there is a protectiv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situation where job satisfaction is getting lowered due to the job stress among teachers, welfare workers, and counselors.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job satisfaction in the midst of job stress can be improved through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among local administrative officials. Methods The study took place in 3 City Offices and 26 Eup/Myeon/Dong Community centres of Jeju administrative city as well as 17 Eup/Myeon/Dong Community centres of Seogwipo administrative city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448 local administrative officials under the grade 6 completed the self-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Baron and Kenny’s (1986) method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and the Sobel test was performed for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Results Job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β=-.463, p<.001) as well as job satisfaction (β=-645, p<.001).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β=.112, P<.01) and the effect of job stress decreased (.645>.594). And then, the hypothesis was supported with the Sobel test (z=-2.545, p=.011). Conclusions Self-efficacy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local administrative officials. Therefore, relief of job stres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for local administrative officials should be fundamentally promoted, but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and possible to mediate to improve self-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