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짧은 동영상 틱톡(Tik Tok)의 만족도 및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 이용과 충족이론과 기술수용모델(TAM)의 융합을 중심으로

        갈명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의 사용의도를 예측하는 데 유용한 분석 도구인 기술수용모델(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과 미 디어 사용자의 동기에 의한 미디어 이용행위와 효과를 분석하는 데 유용 한 이론적 틀인 이용과 충족 이론(Uses & Gratification Theory)을 접목 한 융합 모델을 통해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틱톡(TikTok)에 대한 만 족도와 사용의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첫째, 사용자의 특징을 이용동기, 유용성, 용이성, 만족도 및 사용의도 5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짧은 동영상 앱을 사용하 는 이유를 알아본다. 이를 통해 제품 기능의 지속적인 개선과 최적화, 나 아가 시장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둘 째, 틱톡에 대한 만족도 및 사용의도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향 상시키고 더 많은 신규 사용자를 확보 및 유지하기 위한 참고 근거를 얻 고자 한다. 셋째, 틱톡의 이용동기, 유용성, 용이성, 만족도 및 사용의도 의 내재적 관계와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짧은 동영상 앱의 기능 개선 및 디자인 최적화를 위한 아이디어와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한·중 양국 대학생 사용자 간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차별화된 최적화 방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 연구 수행을 위하여 선행 연구를 토대로 연구 모델을 설정하고 연구 모델을 구성하는 연구가설을 수립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 하여 틱톡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한국 395부, 중국 407부, 총 802부의 회수된 설문지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가설에 대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에 응답한 틱톡 사용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한·중 양 국 모두 18〜25세의 4년제 종합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설문 모집단을 설정한 이유는 젊은 층이 다른 연령층보다 새로운 정보통신 방식에 대한 기대와 적응력, 새로운 변화에 대한 수용 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기 때문이다. 이를 고려하여 본 연구 모델의 적합 성을 높이기 위해 실험 집단을 한정하였다. 둘째, 한국 대학생의 틱톡 이용동기는 크게 소통/일상 동기와 재미/오 락 동기 2개 요인으로 나눌 수 있으며 중국 대학생의 틱톡 이용동기는 소통/일상 동기, 재미/오락 동기, 현실회피 동기 3개 요인으로, '현실회피 동기'라는 한국과의 차이점을 보였다. 셋째, 한국 틱톡 사용자의 이용동기가 틱톡에 대한 유용성,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소통/일상 동기는 유용성에 직접적인 정적 (+) 영향을 미쳤다. 재미/오락 동기는 유용성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소통/일상 동기는 용이성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재 미/오락 동기는 용이성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한국 사용자 는 오락적 수요가 지속적으로 충족됨과 동시에 틱톡이 유용하고 편리하 다는 이미지를 지니고 있었다. 중국 틱톡 사용자의 이용동기가 틱톡에 대한 유용성,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소통/일상 동기는 유 용성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재미/오락 동기는 유용성에 부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실회피 동기는 유용성에 직접 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고, 소통/일상 동기는 용이성에 직접적인 정적 (+) 영향을 미쳤다. 재미/오락 동기는 용이성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현실회피 동기는 용이성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일부 중국 사용자들은 틱톡의 오락성이 유용하다고 생각하지는 않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해당 사용자들이 틱톡을 현실회피의 수단으로 삼 고 있을 가능성을 말해준다. 넷째, 유용성과 용이성 간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한국과 중 국 모두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 간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사용자가 느끼는 유용성 수준이 높을수록 사용자의 틱톡 사 용빈도 증가 등 지각 의지가 강했으며 이는 다시 유용성에 영향을 주어 TAM에서 제시한 이론들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다섯째, 한·중 양국 틱톡 사용자의 유용성은 사용자의 만족도뿐만 아 니라 사용의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한국의 경우, 사용자가 느끼는 용이성은 만족도과 사용의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중국 역시 사용자의 용이성이 만족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사용의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한국과 중국 틱톡 사용자 모두 만족도가 사용의도에 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this study refers to an analytical framework, which can be used for predicting the acceptance intention of new technologies and services and Uses & Gratification Theory, and is a theoretical framework used to analyze the behavior and effect of media use. In consideration of media users' motivations, convergent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and use intention of TikTok. First, analyze the reasons why users use short video app from 5 aspects, including motivation, practicability, usability, satisfaction and use intention of using, so as to keep improving and optimizing product functions and finally fix the direction of improving products' market competitiveness. Second, improve user experience, and determine and maintain more reference bases for new users by grasping the satisfaction and use intention of TikTok. Third, provide ideas and direction for function improvement and design optimization of short video application functions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motivation, practicability, usability, satisfaction and use intention of TikTok on internal relations. At last, different optimization solutions were proposed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e survey concerning the issue above, a research model and research hypothesis that constituted the model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research.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ikTok user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which finally provided a total of 802 samples (including 395 from Korea and 407 from China) to carry out empirical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hypothesis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the TikTok users (both Chinese and Korean respondent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is they are aged at 18〜25 on average and dominated by senior college students. The reason why such respondents were chosen is that they are much more expected and adaptive to new communications and more curious in testing and risking new changes. Therefore, such group was defined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Second, the motivation that drives Korean college students to use TikTok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communication/daily demands, and interest/recreation. Differently, the motivation of the Chinese college students to use TikTok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communication/daily demands, interest/recreation, and escape from reality. The third motivation happening to the Chinese TikTok users is not applicable to Korean users. Third, the influence of Korean users' motivation of using TikTok on the usefulness and usability of TikTok was confirmed: Communication/daily demands and fun/recreation exert direct impact on the usefulness, use and utilization. The Korean users may subtly believe the usefulness and convenience of TikTok with which, they satisfy the demand for entertainment. The influence of Chinese TikTok users' motivation on the usefulness and usability of TikTok was also confirmed. As the result shows, communication/daily demands have a direct impact on usefulness. Survey also shows that fun/recreation exerts adverse influence on usefulness. Escaping from reality influences use directly. Communication/daily demands lead to a direct impact on usability, and fun/recreation influences utilization directly. Escaping from reality also exerts direct static influence. However, some Chinese users do not believe the recreational effect that TikTok brings is useful and it may be a way of escaping from reality. Forth,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hypothe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fulness and usability show that both Chinese and Korean users involve the influence between usability and usefulnes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user's level of usefulness, the higher the user's willingness of using TikTok more frequently. The above once again affect user's usefulness and complies with the theory put forward by TAM. Fifth, the purpose based on which the Chinese and Korean TikTok users use TikTok directly influence user satisfaction and use intention at the same time. The usability of TikTok used by Korean users exerts direct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and use intention while that of the Chinese users influence user satisfaction directly instead of use intention. Sixth, the user satisfaction of Chinese and Korean TikTok users both exerts positive impact on use intention and such a relation has been concerned in both countries.

      • 스마트폰 SNS 앱 사용 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틱톡(tik tok) 사용을 중심으로

        거밍 동명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327

        중국의 스마트폰 SNS 앱에 관한 이론적 연구와 이용 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는 응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이러한 실증 연구를 통하여 중국 스마트폰 SNS의 추후 발전에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SNS는 오프라인 상의 사회적 관계 개념을 온라인 공간으로 가져와 개인의 일상 및 관심사를 공유·소통시켜 인맥구축 및 네트워크 형성을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현재 스마트폰 SNS 어플리케이션의 발전 전망은 밝아 전세계적으로 스마트폰 SNS 업계의 규모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SNS의사용자는 전 연령대에 걸쳐 있지만, 90년대 이후 세대의 사용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계되었다. 본 논문은 만족도 이론을 총괄적으로 소개한 후, 틱톡(tik tok) 앱의 특징과 결합하여 설문조사, 데이터 분석 등 실증 분석법으로 6가지 영향 요인이 스마트폰 앱 사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틱톡(tik tok)의 개념, 종류, 기능과 특징을 전반적으로 소개하여 연구 대상을 명확하게 하였다. 그리고 만족도 이론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틱톡(tik tok)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연구 가설을 제기하고 만족도 모델을 구축하였다. 본 논문은 틱톡(tik tok) 만족도를 측정하는 척도를 고안하고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석을 하고 제기한 6가지 가설과 모델의 합리성을 검증하였다. Theoretical studies on smartphone SNS apps in China can be extended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of research on th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can be extended. Through these empirical studies, we intend to protest the further development of smartphone SNS in China. SNS is a service that supports social networking and network formation by bringing the concept of social relationship in offline into the online space and sharing and communicating personal daily life and interests. Currently, the prospect of development of smartphone SNS application is very bright, and the size of the smartphone SNS industry is rapidly expanding around the world. Most of the users of SNS are generation after 90's. Among these users are users who were born in 1995 and after 2000. College students are the main users in this age group. After analyzing the satisfaction theories in detail,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six influencing factors on the satisfaction of smartphone app usage by empirical analysis methods such as questionnaire and data analysis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ik tok app. The concept, kinds, functions and features of tik tok are introduced in general and the subjects of the text are clarified. Based on the literature on satisfaction theories and applications, we analyzed the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the tik tok satisfaction, posed research hypotheses, and constructed a satisfaction model. The text was designed to measure the tik tok satisfaction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data and analyzed the hypothesis and the rationality of the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