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대학생의 취업사회적지지가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오샹빈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employment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employment anxiety of Chinese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trends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social support, resili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ment anxiety, and are these trends different by gender, grade and major? Second,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social support, resili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ment anxie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18 university students from 10 provinces and 22 universities in China. The survey period was from February 10 to February 16, 2023,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mobile. For the employment anxiety used in this study, the measurement scale of 조규판(2008) was used, and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was 28. The employment social support used the measurement scale of 伍明辉(2008), and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was 20. And for resilience, Campbell-Sills and Stein(2007)'s CD-RISC-10 measurement scale was used, and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was 10. F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measurement scale of Lent, Ezeofor, Morrwason, Penn & Ireland(2016) was used, and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was 8. Each scale is a Likert 5-poin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s follows using the SPSS 27 and AMOS 27 statistical programs. To find out the concentration tendency of variables, t-verification and one-way batch variance analysis were performed to obtain the average value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of the average value.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integrated correlation coefficient was obtained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The Bootstrap method was used to find out the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of the path between potential variables, and all statistical levels were set at .05.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employment anxiety was 3 out of 5, the average of employment social support was 3.03, resilience 3.10,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3.11, which was generally high. Second, employment anxiety was higher for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and employment social support was higher for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Resilience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in male student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in male students.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employment anxiety among the grades. As a result of the Scheffé test, the third graders showed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the fourth graders, and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showed the lowest. Fourth, the higher the employment social support, the lower the employment anxiety, and the higher the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hi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owers employment anxiety. As such, it was found that employment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ifth, it was found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when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social support affects employment anxiety. Sixth,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found to play multiple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social support and employment anxiety. Seventh, the three variables of employment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found to explain 57% of employment anxiety.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influence between the variables. Taking the above results together, considering the four variables in this study,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lowering students' employment anxiety is employment social support. In particular, employment social support played a role in further lowering employment anxiety by increas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resilience. Enhancing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social support requires a multilateral connection and cooperation between parents, teachers, friends, classmates, universities, government, and society from a microscopic to a macroscopic approach.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employment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seek specific policy directions that can increase social support, and it suggests that various support policies related to employment should be establish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employment social support system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to systematic employment for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4년제 대학생의 취업사회적지지, 심리적 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생의 취업사회적지지, 심리적 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취업불안의 경향은 어떠하며, 이러한 경향은 성별, 학년별, 전공별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국 대학생의 취업사회적지지, 심리적 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취업불안 간에는 어떤 구조적 관계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중국 10개 성, 22개 대학의 대학생 518명이다. 조사 기간은 2023년 2월 1일부터 2월 16일까지이었으며, 설문은 모바일 설문 앱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취업 불안은 조규판(2008)의 측정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총 문항은 28개이다. 취업사회적지지는 伍明辉(2008)의 측정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총 문항은 20개이다. 그리고 심리적 탄력성은 Campbell-Sills와 Stein(2007)의 CD-RISC-10의 측정척도를 사용했으며 총 문항은 10개이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Lent, Ezeofor, Morrwason, Penn & Ireland(2016)의 측정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총 문항은 8개이다. 각 척도는 리커트 5점 척도이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7, AMOS 27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변인 간의 경향을 알기 위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평균값의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하였다.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적률상관계수를 구하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하였다. 잠재 변인 간 경로의 직접 효과, 간접효과, 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ootstrap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불안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점, 취업사회적지지의 평균은 3.03점, 심리적 탄력성 3.10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3.11점으로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취업불안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고 취업사회적지지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탄력성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취업불안은 학년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Scheffé 검증을 한 결과 3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순은 4학년이며 1, 2학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취업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취업불안은 낮게 나타났고, 심리적 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각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으면 취업불안을 낮추어 주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이처럼 취업사회적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의 취업사회적지지가 취업불안에 영향을 미칠 때,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대학생의 취업사회적지지와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심리적 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다중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취업사회적지지, 심리적 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세 변인은 취업불안을 57%로 나타났는데 이는 변인 간의 서로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네 가지의 변인을 고려할 때 대학생들의 취업불안을 낮추는 데 가장 영향력이 큰 변인은 취업사회적지지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취업사회적지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심리 탄력성을 높여주는데 영향력이 있으며, 이는 취업불안을 낮추는 역할을 하였다. 대학생의 취업사회적지지에 대한 제고는 미시적 접근에서 거시적 접근에 이르기까지 즉, 학부모, 선생님, 친구, 학우, 대학교, 정부, 사회의 다각적인 연계 및 협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취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회적 지지를 높을 수 있는 구체적인 정책적 방향 모색이 필요하며, 취업과 관련한 다양한 지원 정책이 수립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욱이 대학생을 위한 체계적인 취업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통한 통합적 사회적 지원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