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효율적인 학교도서관 운영을 위한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동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arents’ Activity as Honorary Librarian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School Library

        정혜선 대진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For today’s school libraries with a poor arrangement of librarian teachers, use of parents as honorary librarians can be an important strategy for revitalizing school library services. And, parents’ activity as honor librarians should be done in a more systematical and deliberate way not as a simple temporary measure.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 of survey on operating problems and the improvement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ibraries running honorary librarian system in Paju area and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turned out parents honorary librarians have been helpful for school library operation and the education of overall library work for the smooth activity of the honorary librarians would be necessary. Second, the greatest problem of parents’ honorary librarian system appeared to be their giving up in the middle of their activity and an education and system for reinforcing this issue would be necessary. Third, as shown in the operation cases, in the schools with honorary librarian system run relatively well, there existed librarians (teachers), the center of the library and the honorary librarians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school library operation and reading education. Fourth, some school library operators complained of their lacking time for good education or the number of professional managers, so in order to run the parents’ honorary librarian system efficiently, the supports from the school and local educational office appeared to be necessary. Fifth, in order for the honorary librarian system to be operated efficiently and desirably, researches on human resources and operation management model would be necessary such as proper development of works, event planning, education, motivation and valuation, etc. 사서교사의 배치가 열악한 수준인 오늘날의 학교도서관 현실에서는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용이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동은 단순한 임시방편이 아니라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파주지역의 초․중학교에서 도서관에서 명예사서제를 운영하고 있는 학교를 대상으로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점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분석하고 효율적인 학교도서관 운영을 위해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동의 활성화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부모 명예사서가 학교도서관 운영에 도움이 되었으며 명예사서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도서관 전반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 명예사서제의 가장 큰 문제점은 활동을 중도에 포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런 문제점을 보강할 수 있는 교육과 시스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운영사례에서 보았듯이 비교적 명예사서제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에서는 도서관의 구심점인 사서(교사)가 있었으며, 명예사서들이 학교도서관 운영 및 독서교육에 적극적인 활동을 하고 있었다. 넷째, 학교도서관 운용자들은 제대로 교육을 시킬 수 있는 시간이나 관리할 전문적 인력부족을 호소하였는데 학부모 명예사서제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위해서는 학교와 지역교육청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명예사서제가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운영이 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업무개발, 행사기획, 교육, 동기부여, 평가와 같은 인력관리와 운영에 관한 관리모델의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장식의 본능과 여성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정혜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여성으로서 감각이라는 것이 과연 존재 하는가. 이것이 언제부터인가 항상 본인의 주의를 맴도는 과제로 떠올랐다. 여성적 감성의 존재 여부와 정확하게 그것이 어떤 것인지의 정의를 내리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본인은 지금껏 성(性)을 떠난 한 작가로서 작업을 해왔고, 그 결과물에서 드러나는 감각적 특성을 여성이기에 앞서 한 인간으로서 성장과정을 거치며 자연스럽게 획득한 독자적인 감각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본인의 작품을 논술함에 있어 새삼스럽게 여성적(女性的)이라는 개념을 추출해 보는 이유는 ‘나’의 개별적인 감각이라고 생각해왔던 것이 ‘여성’이라는 타고난 감성에 근거하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하는 의구심 때문이다. 이에 따라서 본인 작품에 여성성이 내재되어 있다고 보고, 여성성과 장식성에 관한 요소들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미술작품은 창조적 주체인 작가가 만들어낸 독자적인 창조물이다. 미술가들은 성별에 따라서 사회, 문화적 관계 속에서 고유한 시선을 만들어 내기도 하는데, 여성이 미술작품의 창조적 주체인 경우 남성과는 다른 여성의 모습, 여성성이 반영된다. 특히 작업 전개 과정에서 그것이 어떻게 본인만의 독자적인 감각 안으로 흡수되어 외부로 표출되고 있는가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본인의 작품표현의 근거와 조형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본인의 논문에서의 여성성의 개념은 페미니즘의 입장에서 여성의 성 정체성과 관련해서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부각시키고 여성의 차이를 탐색하려는 개념이기 보다는 여성적인 측면을 드러내는 표현형식으로서의 장식성과 시각적인 아름다움의 추구라는 맥락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본인 작업의 또 다른 하나는 방법적인 부분인데, 채색과 벽화 기법의 사용에 있다. 채색화는 여성의 이미지를 표현하기에 적당하고, 벽화는 장식적인 문양을 표현하기에 적합하다. 이 두기법의 공통점은 자연을 닮은 색감을 낼 수 있다는 것인데, 이것은 곧 장식성과도 연관이 있다. 어떻게 보면 색(色)이라는 요소 속에 여성성과 장식성이 포함되어 있다고 본다. 본인은 작품전개에서 여성의 모습을 직접적으로 형상화 시켰으며, 이유는 여성의 존재를 시각적으로 뚜렷이 인식시켜 주기 위해서 였다. 본 연구에서는 ‘나’라는 개별적인 감성이 ‘여성’이라는 타고난 감성에 근거한 다는 전제아래 본인의 여성적 특유의 미적표현 과 감수성이 표현된 작품들을 정리하여 돌아보는 기회가 되었다. 여성성과 장식성을 더 깊이 알기위해서는 재료의 다양한 실험을 통해 작품의 제작과 실패를 연속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여성성의 표현방법으로 더 많은 색감연구를 할 것 이며, 더불어 다양한 재료 연구를 통해 본인의 예술세계에 박차를 가할 것이다. 그리고 물성을 연구하는 일 또한 현상의 세계라고 생각하며, 궁극적으로는 예술의 본질을 알고자 할 것이다. Does the female sense, or female feeling exist surely? This is the question I had for long years. It is rather hard to define the concept of feminine sensibility and its existence. Irrespective of my gender, I have worked as an artist, and considered my work’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s the result of something secured through my growth as a human being, not a woman. The reason why I employ the concept of femininity to describe my work is that I wonder if my in dependent senses and sensibility depend on my gender, namely a female artist. Considering that my work is based on femininity, I intend to present the ground of this femininity and ornamentality. A work of art is an independent creation by the artist. Each artist brings about their own gaze, dependent on their gender, social and cultural relations. If a work of art is created by a female artist, it often reflects femininity, different from that of a male artist. Through this study, I examine how my femininity was instilled into my sensations and exposed to the outside, revealing the basis and features of my work. In this dissertation, I shed light on the concept of femininity in the context of ornamentality as an expressive form and of the pursuit of visual beauty, rather than as an attempt to underline female sexuality and feminine difference, in reference to the notion of gender identity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m. Another characteristic of my work is found in colored painting and the use of mural painting techniques. While colored paintings are proper to express feminine images, murals are suitable for decorative patterns. The both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ir techniques are available for natural shades and the expression of ornamentality. In a respect, the element of color itself encompasses femininity and ornamentality. In my work I represent female images directly to reveal the existence of women apparently. Based on the premise that my sensibility depends on my femininity, this study provides me with an opportunity to express my sensibility and aesthetic peculiar to a woman artist. I need to have further experiments of diverse materials to be aware of these two characteristics, femininity and ornamentality. For this, I will explore the sensation of color and other mediums, thereby stimulating my artistic activities. In addition, I will also study physical properties as an element of approaching the nature of art eventually.

      • 고등학교 중국어 과제장 설계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정혜선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中文摘要】 关于高中汉语练习册设计及使用的相关研究 韩国外国语大学校 教育大学院 中国语教育专攻 丁惠善 如今, 随着中国国际地位的提升,全球对汉语使用者的需求越来越大。韩国的学习汉语热也升温。但就韩国的汉语教学而言,在高中阶段的学生们都专注于提高本人的高考成绩,忽略了对汉语的关注度。本研究是鉴于目前高中汉语的课时少的现实教育制度下,提高教师们的教学实效还提高学生学习汉语的效率为其目的。 本论文的研究对象是"练习册"。本‘练习册’不仅能当教材使用,还可作为教学辅助材料,也可作为评估学生学习情况的相关材料来使用。这就是说课堂及课后教学的有机组成部分,也是教育改革的重要突破口。本人建议‘练习册’采用教师设计,学校制作,以学生为训练主体的练习册。这是学生自习和评估学生本人实力的一个教学材料。"练习册"还具有随课堂练习的功能。学生边添练习册边通过自我评估、同学间互相评估,来了解学生自己学习上的优点和不足。这就是促进教学和学习的课堂教学的有机组成部分。"‘练习册"包括预习题,复习题,弥补教科书上的不足,添加了教科书上没有的各种补充材料。 开学之前,学生会从学校领到教材和根据教材制定的练习册。‘练习册’能激发学生自习,也有助于和同学共同学习。并通过随堂练习, 教师可及时地纠正学生们学习过程中的错误还解释有难点。本论文以正进出版社的《高中汉语(一)》为范例,以设计这本书的练习册为前提,对练习册构成进行研究的同时对练习册使用方法进行研究了。 论文共分为五章,主要内容如下: 第一章、 绪论。介绍了研究的必要性、目的、研究对象及方法。还参考了先行的研究来介绍利用练习册的优点和效果。 第二章、 对练习册的概念和具体的作用做了详细地说明来了解练习册在汉语教育上的意义。 第三章、 为了设计高中汉语练习册参考了相关理论来构成原则和形式展开说明。还分析了研究对象的教材来整理教材的优点和不足要补充的地方。 第四章、 练习册运用方法进行了说明。主要是教师和学生对怎样使用练习册做了说明, 还用练习册怎能评估做了说明。 第五章 结论。再说明了练习册设计的过程及方法。 希望本论文的练习册设计及使用的相关研究,能有助于教学和学生评估上提供帮助,同时希望能在改善汉语教学方式上提供借鉴。

      •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을 적용한 리코더 수업지도안 연구 :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정혜선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음악은 소리를 전달하고 표현하는 청각 예술이다. 음악과의 모든 활동은 청각적 경험을 통해 학생들이 음악을 이해하고 음악을 경험하도록 해야 한다. 음악교육의 표현영역에 있어서 가창활동과 기악활동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 중 기악활동은 노래 부르기에 소극적인 학생이 기악연주를 통해 음악을 표현할 수 있게 하여 음악학습에 도움을 준다. 또한 악기를 통한 음악학습으로 독주, 중주, 합주를 하며 다양한 소리의 변화와 발전되는 것을 느낄 수 있게 하여 음악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중 처음 도입되는 기악악기(가락악기)인 리코더는 학생들의 이러한 음악학습과 음악경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청각중심의 체계적인 음악교육 방법을 제시한 고든(Edwin E. Gordon, 1927∼)의 음악학습이론(Music Learning Theory)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리코더 수업지도안을 개발 연구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기악악기를 통해 음악의 기초 능력을 함양하고 음악의 핵심 개념인 리듬과 가락의 효과적인 학습에 도움을 주는데 있다.

      • 업무상 저작물의 저작권 귀속에 관한 연구 : 대학의 직무 저작권을 중심으로

        정혜선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업무상의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귀속에 관한 연구로서 업무상의 저작물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고, 특허의 직무발명과 업무상의 저작물에 대한 차이점을 고찰한다. 또한, 2007년도 개정전 저작권법과 개정이후 관련 법규정에 대한 차이점을 비교하고, 업무상의 저작권 귀속문제에 대한 사안별로 여러가지 사례를 탐구한다. 이와 같이 검토후 대학에서 창출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귀속에 대하여 연구하고, 대학의 직무저작권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저작권법 제2조 2호에서 저작자는 저작물을 창작한 자로 창작자원칙주의를 규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창작자 원칙에 유일한 예외가 저작권법 제9조 업무상저작물의 저작자의 경우이다. 일정한 요건을 갖추면 법인등의 사용자가 저작자가 될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다. 업무상 창작된 저작물의 저작권은 고용자에게 귀속되며 직무상 창작한 원래의 저작자 피고용자에게는 저작권이 귀속되지 못한다. 저작권(copyright)이란 저작자가 그 자신이 창작한 저작물에 대해서 갖는 권리를 의미하여 저작재산권과 저작인격권으로 구분된다. 저작재산권은 저작자의 재산적 이익을 보호하고자 하는 권리로서 저작물을 제3자가 이용하는 것을 허락하고 대가를 받을 수 있는 권리이다. 저작인격권은 정신적 창조물로서 저작물은 저작자의 인격을 반영하며 인격 밖에 존재하는 재산적 가치보다 한층 더 존귀하게 평가되어야 한다. 이에, 업무상저작물의 저작권은 저작인격권은 원 창작자에게 보장해주고, 저작재산권은 법인등이 소유하게 하자는 의견을 제시 한다. 아울러 대학에서 창출되는 저작물에 대하여 살펴보고, 저작권의 귀속문제 및 관리에 관하여 연구한다. 학문의 자유라는 대학의 특수성으로 창작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대학 내에서의 창출되는 수많은 저작물들을 보호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제시해 보고자 한다. 첫째, 대학행정에서 저작권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을 높이는 것이다. 둘째, 저작물의 권리귀속에 대한 규정을 제시하여 직무저작권에 대한 저작재산권은 산학협력단으로 등록 관리하여 연구성과물의 가치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대학의 전담조직에서는 교수님들에게 충분히 창작의욕을 높여드리는 계기를 끊임없이 연구, 마련하도록 하고 직무저작권 등록관리는 원하는 직무저작을 중심으로 행한다. 셋째, 저작권 무단이용을 감시하는 등 연구성과물의 저작물을 관리하여 교수님들께 신뢰를 회복하고, 수익을 창출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 온라인 영어발음지도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효과

        정혜선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learners' perspectives on online English pronunciation instruction, and teaching·learning contents?; 2) Which influence does the online English pronunciation instruction have upon enhancement in learners' pronunciation?; 3) What are the learners' perspectives according to age? This study targeted 71 people for English pronunciation instruction at a cyber university in Seoul. Research tools included English pronunciation instruction, and teaching·learning contents and questionnaire, and voice recording task evaluation.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1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 perspectives on e-learning was positive. The contents of giving the learning motivation in case of element for successful e-learning were responded to be the most important. Learners' perspectives of English pronunciation instruction at cyber university was indicated to be positive as a whole. This shows on-line English pronunciation instruction contents was useful for learners. Second, as a result of surveying learners' perspectives on English pronunciation instruction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t cyber university, the overall positive result was shown in motivation, interest, usefulness, and satisfaction among all the items except degree of difficulty. Learners answered that all the contents and learning tools(bulletin board, study material share-folder, tutor's feedback)were helpful. Third, learners showed positive response to interaction among professors, tutors and learners On the other hand, the interaction among learners was negative.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online pronunciation learning and the enhancement in pronunciation, some segmental phonemes enhanced. On the other hand, compared to other items in suprasegmental phoneme, the rhythm, accent, intonation, and consonant cluster showed mostly low score. The above findings offer the following implications. Feeling it to be difficult about online English pronunciation instruction will be a factor of resulting in lowering studying motivation or achievement. Therefore, the constitution of contents is needed that considers level of students in diverse age brackets. Also, the interaction among learners was shown the result of actually failed to be active. Accordingly, there will be necessity for making it available for positive interaction on the free bulletin board by designating paired or grouped activities, which can fully utilize merits of peer reviews. In addition, simultaneous along with non-simultaneous interaction needs to be pursued. Lastly, analysis of pronunciation enhance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s, effective online English pronunciation instruction and teaching·learning contents varied by level of learners will be interesting. In addition, comb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y methods such as use of questionnaires, telephone interviews and face to face discussions with various learners is ideal as well.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영어발음지도 수업 및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알아보고 음성녹음 과제 평가를 통해 온라인 영어발음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성공적인 온라인 영어발음교육을 위해 앞으로 개선 할 점과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영어발음지도 수업 및 교수·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은 어떠한가? 둘째, 온라인 영어발음지도 수업은 학습자의 발음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연령에 따른 학습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소재 A사이버대학 영어발음지도 학습자 2, 3, 4학년 71명을 대상으로 삼았으며 조사 도구로는 영어발음지도 교수·학습 콘텐츠와 설문지, 그리고 음성녹음 과제 평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로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은 긍정적이었으며 성공적인 이러닝을 위한 요소의 경우 중복응답을 포함하여 실시한 결과, 학습 동기를 부여하는 콘텐츠가 매우 중요하다는 대답이 16.1%로 가장 많았다. 사이버대학 영어발음지도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온라인에서의 영어발음지도가 학습자들에게 유용한 내용이었음을 시사한다. 둘째, 사이버대학 영어발음지도 콘텐츠 및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전반적으로 거의 모든 항목 즉 동기유발, 흥미도, 유용도, 만족도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반면 난이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경향을 보였다. 학습자들은 모든 콘텐츠와 학습도구(자유게시판, 강의 Q&A 사용, 학습 자료실, MP3 파일, 튜터의 과제 피드백, 쪽지 등)에 대해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셋째, 교수 및 튜터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학습자들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에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은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와 학습자간에 원활한 교류가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발음학습의 효과 및 발음의 향상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자음에서는 [θ], [v], [b], [z], [∫], 과거형-ed의 [d]발음, 과거형-ed의 [t] 발음이, 모음의 경우에는 [ε], [□], [ow], [uw], [□] 12개의 항목만 발음이 향상되었다. 반면 초분절음에서는 다른 항목에 비해 리듬이나 강세, 연음, 자음군이 대체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사이버대학 영어발음지도 콘텐츠 및 교수·학습 활동이 어렵다는 부정적인 학습자의 인식을 통해 강의 시작 전 자기진단평가나 각 수준별에 따른 수업의 콘텐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는 학업 동기나 성취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실제적으로 활발하지 못한 결과로 보아 동료 피드백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짝 활동 및 그룹별 활동을 정해 주어 학습 자료실 및 자유게시판에서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교수자와 학습자간에 비동시적인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동시적 상호작용도 추진해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학습자의 개인 변인과 발음 향상도의 관계를 분석하거나, 효과적인 온라인 영어발음지도를 위한 수준별 콘텐츠 및 교수·학습 활동에 관한 연구도 의미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 이외에 전화 인터뷰나 면담, 관찰 방법 등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혼합한 형태로 연구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 요양시설에서의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효과

        정혜선 한서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S시 H요양원에 입소해 계신 노인들 여성 41명, 남성 18명으로 총 59명을 대상으로 1주일에 3일 12주간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운동 실시 후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증, 불안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59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직접 기입하도록 하여 회수하여 최종 분석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Ver.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에 대하여는 빈도 및 백분율,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고, 정신상태 검사 척도(MMSE-K), 노인 우울 척도(GDSSF-K), 불안 측정도구, 생활만족도에 대하여는 항목별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보기 위하여 정신상태, 노인 우울, 불안, 생활 만족도에 대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고, 운동프로그램 전과 후 연구대상자의 가족지지와 운동 빈도간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Cross-tabu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로 처리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정신상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운동프로그램 적용 전-후 간에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노인 우울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운동프 로그램 적용 전-후 간에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불안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운동프로그 램 적용 전-후 간에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생활 만족도 전체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운동프로그램 적용 전-후 간에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노인들에게 운동프로그램의 적용 후 가족지지에 대한 만족도와 운동 횟수에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Cross-tabulation analysis)를 실시한 결론은 가족지지에 대한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운동 횟수에 따른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12주간 규칙적인 운동프로그램이 노인들의 가족지지에 대한 만족도외에 정신상태 인지기능과 우울, 불안 및 생활만족도, 운동횟수 에서는 아주 긍정적인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요양시설에서의 노인들에게 적절한 운동의 형태와 프로그램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운동의 강도와 형태 및 대상자들을 적용하지 못하여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더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과 강도 및 형태를 적용하여 비교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a total of 59 subjects, 41 women and 18 men, who were admitted to S - H Nursing Home for 3 weeks and 12 weeks, resp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ercise on th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is SPSS Ver. 21.0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descriptive statistics of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calculat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The MMSE-K, the GDSSF-K, the anxiety measurement tool,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In addition, (paired t-test) was conducted on mental status, depression,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to see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mily support and exercise frequency of pre and post exercise program participants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see if there was any difference between them.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treated with p <.05.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ased on the data obtained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mental status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dicating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rogram. Second, the elderly depression scores of the subj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anxiety scores of the subj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rogram. Fourth, the total score of life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rogram. Finally,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a change in satisfaction with the family support and the number of exercises after the exercise program was applied to the elderly. The satisfaction with the family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exercises, although not show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gular 12 - week exercis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mental stat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and exercise frequency in addition to satisfaction of elderly family support. Therefore, appropriate forms and programs for elderly people in long - term care facilities are necessary. However, in this study, the intensity, shape, and subjects of various exercises were not applicable, so further studies should be done by applying more various exercise programs, intensity and form.

      • 기업 내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직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정혜선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내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직원들의 인식에 관해 연구함으로써, 기업외부적 복지활동인 사회공헌활동과 기업내부적 복지활동인 기업복지에 대해 제시하고 이러한 기업 사회적 책임 이행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에 직원들의 개인적 요인과 조직적 요인이 기업 내 사회복지사의 역할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기업 내 사회복지사가 전문적인 역할을 정립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내·외부적 복지활동을 전개하고 기업 내 사회복지사가 채용 되어있는 기업의 일반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이중 212부가 회수되었으나, 그 중 불성실한 답변으로 처리된 9부를 제외하고 총 203부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증적인 최종분석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3.0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으며,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 내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기업외부적 복지활동 역할이 기업내부적 복지활동 역할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기업외부적 복지활동 역할로 인식할수록 기업내부적 복지활동 역할이라고 인식하였다. 둘째, 기업 내 사회복지사의 역할인식에 따른 변수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개인적 요인으로는 학력에 따라, 부서에 따라, 사회복지사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조직적 요인으로는 직무한경과 복리후생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기업 내 사회복지사의 외부적 복지활동 역할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타 부서 보다는 경영지원부서가, 그리고 근무기간이 길고, 학력과 직책이 높을수록 인식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금에 애해 만족이 높고, 연수교육이 자주 이루어지며 직업의 안정성이 보장된 조직일수록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더 인식하였다. 기업내부적 복지활동으로는 직원들이 복지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역할기대를 갖고 있는 것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요약하고자 한다. 기업외부적 복지활동의 양적·질적 증가와 함께 기업내부적 복지활동도 균형적인 성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따 따른 외부적 복지활동 업무를 담당하는 기업 내 사회복지사는 내부적 복지활동 업무의 중요성도 함께 인식하며 전통적인 전문적인 기업복지 실무를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ing the employees' perception of the occupational social worker's role, targeting the social worker's role what is perform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the corporate philanthropy and employee benefit. Hereupon, I positively analyzed how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affect on the employees's perception of the occupational social worker's role, and by doing so, I intended to seek the way to stand the professional occupational social worker's role. To do this, a survey targeting staffs who are engaged in organizations which are perform the corporate philanthropy and employee benefit, and proceeded the study based on the responses of a staff of 203 men. The data was dealt with various statistic analys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suing SPSS/WIN 13.0. The major finding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the employees' perception of the occupational social worker's role is the corporate philanthropy's role was the higher than the employee benefit's role, but they recognized both are same as the occupational social worker's role. Lastly,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employees' perception, the factors of staff's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are inputted. The result are follow. That is management part was, had longer length of one's service, had higher degree of scholarship and position, the higher was degree of the employees's perception of the occupational social worker's role. Employees who had more satisfaction of wages and who worked in organization which had many education systems and more stabilization system were recognized the higher degree of the employees's perception of the occupational social worker's role. And employees had expectation of the occupational social worker's role through perform the employee benefit. Based on the results as above, the study would like to propose practical implication. Employee benefit should have a balanced development such as the corporate philanthropy increase in quantity and quality. Thus the occupational social worker should urge the importance of the employee benefit's role and should stand up their's professional role.

      • 난치성 간질 중첩증 치료에서 midazolam 단독 투여와 topiramate 또는 levetiracetam 병합 투여 효과 비교

        정혜선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Purpose: Refractory status epilepticus (RSE) is a medical emergency requires optimal treatment. Midazolam (MDZ) is an effective drug for treatment of RSE despite of some adverse effects of hypotension, respiratory suppression or pneumonia, and they are increased with the dosage.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therapeutic efficacy between MDZ alone and MDZ plus additional newly developed oral antiepileptic drugs (AEDs) in management of RSE. Method: We retrospectively reviewed 29 RSE in 28 patients from January 2000 to June 2008 who were treated with cIV-MDZ. All of them were performed continuous EEG monitoring in the ICU. Patient was divided into two groups; MDZ alone (MA) and MDZ plus (MP). MP group used additional AED such as topiramate and/or levetiracetam. We analyzed the days of intensive care unit (ICU) treatment, EEG response, dose and duration of cIV-mdazolam treatment between two groups. Also, we compared frequency of complications during MDZ infusion and treatment outcomes. Results: Mean age of patients was 52.0±18.9 years. All of the patients received iv lorazepam followed by PHT or VPA before MDZ. When the SE was refractory, MDZ was administrated iv bolus (0.2mg/kg) initially, then titrated and tapered. Ten of the patients was administrated additional oral AEDs during MDZ infusion. There were 19 patients in MA group; 10 patients in MP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age, days of ICU treatment, maximal dose and duration of cIV-MDZ and MDZ related complications like hypotension or respiratory suppression between two groups. But the response of EEG to c-IV MDZ (p=0.002) and outcome (p=0.035) was better in MP group. Mortality rate seems to be higher in MA group. Conclusions: In this study, MA group showed better outcome and response of EEG. Maybe, additional AED help the recovery of EEG, lowering maximal dose of MDZ and shortening the duration of infusion of MDZ. In the management of RSE, MDZ infusion with newly developed AEDs can be used more safely and eff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