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터렉티브(Interactive) 디지털 매체와 무용

        경화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에서는 기술의 발달로 나타나는 디지털 매체의 인터렉티브 현상의 연구 필요성을 인식하여 무용에 있어 인터렉티브 예술의 특징과 현대무용이 과학과 접목하여 어떠한 새로운 형태의 프로그램 개발을 하고 있는지 연구하여 그 발전 가능성과 효과를 알아보고 무용에 사용된 기술에 대하여 연구하고 그 의미를 찾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 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첫째 디지털 기술과 예술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고 상호작용을 통한 예술의 행동주의적 경향, 인터렉티브 기 술과 안무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안무가, 공연자, 관객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디지털 기술과 접목된 프로그램 이사도라, Mini@tures, 애니메이션을 사용한 모션캡쳐, CD-room 'Improvisation Technology'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발전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사도라는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안무를 하고, 초보자들도 쉽게 작업 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있고 이것은 더 나아가 일반인, 공연예술가 들도 간단한 동작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되어 일반 대중들의 무용에 대한 관심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Mini@tures는 참신한 아이디어와 사고를 보여주어 시간, 공간, 시각의 확장과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확장으로 이를 무용의 창의적 원동력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애니메이션 모션캡쳐는 모션캡쳐를 롱한 무용의 다른 형식을 제공하여 무용동작의 재구성, 동작의 수정가능성을 제시하여준다. 마지막으로 CD-room 'Improvisation Technology'는 정보의 공유를 통해 세계안무가 들이 정보를 주고 받을 뿐 아니라 일반인들에게 현대무용의 동작에 대한 이해를 넓혀주게 될 것이다. 현대는 테크놀러지의 발달과 함께 예술과 기술이 협력하여 많은 작품과 프로그램이 만들어 지고 있다. 이러한 기술이 무용에 도입되어 시간, 시각, 공간의 확장과 정보의 공유를 이끌어 내어 무용분야의 영역확장을 통한 발전가능성을 내포한다. 무용인들은 이러한 디지털기술과의 상호작용에서 무용의 예술적 본직을 잃지 않고, 디지털 기술의 장점을 적적히 착안하여 보다 넓은 의미의 무용, 발전적인 작품을 창작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what new form of program could be developed whe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arts and contemporary dance were grafted on to science and inquire into the possibility of its development and its effect under the recognition of the need to study the interactive phenomenon of the digital media found with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it aimed to investigate the technologies used in dance and find out its meaning.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study issues were set: First,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digital technologies and arts. Second, to inquire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havioral tendency of arts through interaction, interactive technology and choreography. Third, analyse the correlation among the choreographer, the performer and the audience. An attempt was made to analyse Isadora, the program combined with digital technology, Mini@tures the motion capture using animation, CD-room, 'Improvisation Technolog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y could have the following possibility of development: Isadora is designed to choreograph dancer using the program and make it easy for beginners to work and further for laymen, performing artists and to present simple motions, which could induce the general public to have an interest in dance. Mini@tures exhibits the fresh idea and thinking, and the extension of time and space and the extension of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could be used as the creative prime mover of dance. The animation motion capture presents the possibility of reconstructing and revising dance motions by providing other forms of dance through motion capture. Finally, CD-room 'Improvisation Technology' would not only enable choreographers in the world to give and take information through its sharing but also provide the general public with a broad understanding of the motion of contemporary dance. At the contemporary times, a number of works and programs were create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and their cooperation with arts. These technologies contains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domain of the dance field by making it possible to extend time, space and perspective and share information. Dancers could create the dance of broader meaning and developmental works by taking advantage of digital technology while not losing the artistic career of dance in their interaction with these digital technologies.

      •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헤어미용교육이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경화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헤어미용교육이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특성화고등학교 미용과 두 학급의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헤어미용 과목의 ‘헤어스타일 연출’을 주제로 선정하여 총 3차시의 수업을 실시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NCS(국가직무능력표준)와 2015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학업성취도에 관한 사전. 사후 검사지를 제작하여 검사하였다.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학습태도 하위요인별 사전, 사후 차이 결과 주의집중 태도, 개별학습 태도와 협동학습 태도, 자율학습 태도의 모든 하위요인이 향상되었으며(p<0.001), 주의집중 태도, 개별학습 태도, 협동학습 태도, 자율학습 태도의 모든 중영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헤어미용 협동학습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기존의 전통 강의식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의 기본지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점수는 각각 8.10와 6.40으로 실험집단의 미용 기본지식 향상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성취도 차이를 보기 위해 T검정(T-test)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성취도 평균점수는 각각 7.63와 6.16으로 미용 교과에 대한 학업성취도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의 협동학습 효과 크기를 산출한 결과 효과크기가 0.161-0.426까지로 비교적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o-operative cooperative learning model on the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60 students from two special classes at the Specialized High School and selected 'hair style directing' In order to verify this, we conducted a total of 3 classes. In order to verify this, we made a dictionary about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NCS (National Disability Standard) and 2015 revised curriculum. Post - test paper was prepared and examined. The attitude of attention attitude, attitude of attitude of attention, attitude of individual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 and self - learning attitude were improved(p<0.001), Individual learning attitude,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 and autonomous learning attitude(p<0.0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basic knowledge between experiment group performing cooperative learning of hair beauty and control group performing traditional lecture class teaching, averag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8.10 and 6.40 respectively,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test to see the difference of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mean scores of academic achievement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7.63 and 6.16, respectively, And the cooperative learning effect size of autonom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 was calculated to be 0.161-0.426.

      • 초등교사의 전문적 역할인식과 교사행동수행과의 관계 연구

        경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07

        교육의 3대 요소 중 가장 핵심인 교사는 교육활동 주도 및 아동의 학업성취와 자아실현을 극대화하는 핵심적 위치에 있으며, 특히 기초교육으로서 학습하고자 하는 동기유발과 태도 및 학업의 기본적 성취를 결정하는 결정적 시기의 초등교육에 종사하는 초등교사의 가르침과 태도에 의해 아동의 전체적 학습경향이 결정되므로 아동의 교육을 맡은 초등교사의 역할 및 행동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천가로서 초등교사는 초등교육학적 이론을 배경으로 고유하고 특별한 전문적 역할을 인식하고 이를 실제 행동수행을 통해 교육활동에 반영해야 한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초등교사의 전문적 역할인식과 실제적 행동수행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로 첫째, 초등교사의 전문적 역할인식과 교사행동수행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역할인식 및 행동수행수준은 어떠한가? 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교사의 전문적 역할과 교사행동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설문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WIN(version 1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 t검증 및 F검증(ANOVA), 상관관계분석을 한 후 1차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심층면담을 통한 2차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첫째, 교사의 기초배경에 따른 교사의 전문적 역할 인식 및 행동수행에서 학교규모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가 있었으나 성별, 직위별, 교육경력별로는 유의미한 차가 없었다. 둘째, 교사의 역할인식 및 행동수행 차이분석에서 교사의 인식한 전문적 역할인식은 높았으나, 실제 현장에서의 행동수행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초등교사의 전문적 역할인식과 교사행동수행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인식과 행동사이에 유의미한 관계성이 있으나 그 관련정도가 미미하였다. 넷째, 교사의 전문적 역할인식과 교사행동수행의 하위영역과 관련하여 인식에서는 생활지도, 학습지도, 학급관리 순으로, 행동수행에서는 생활지도, 학급관리, 학습지도순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실제 인식정도도 그 결과가 같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교사의 전문적 역할인식은 높았으나 실제 현장에서 교사행동수행정도는 낮으므로 교사 스스로 전문적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교육풍토 및 환경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학습지도, 평가, 교육과정 및 교재연구와 관련된 규범적 역할인식 및 수행강화를 위한 실질적 현직연수프로그램 및 교육 프로그램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교사의 인식과 행동수행의 관계분석에서 인식과 행동은 서로 관련성은 있으나 그 관련정도가 미미하여 교사의 인식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행동으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 자신의 교육철학과 신념을 바탕으로 자신의 행동이 가장 중요한 교육환경이라는 인식하에 현장 및 학급 내에서 아동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행하고 반영할 수 있는 행동력을 스스로 키워가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 9세기말부터 16세기초까지의 서양음악 기보법의 발달 고찰

        경화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8607

        인간이 살아가면서 서로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언어가 필요하고, 그 표기 방법으로 문자가 발생되었고 그 문자는 시대적, 지역적 차이로 각기 특색을 갖고 있다. 음악도 이와 마찬가지로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음악 기보법이다. 음악기보법은 그 시대나 지역, 사회에 따라 달라지며, 오늘날 사용되는 기보법은 초대 기독교회의 동기보법(Elcphonetic Notation)에서 비롯되었다. 초기 음악 기보법은 언어에 대한 필기문자가 음악기록에 사용된 것으로 비롯되며, 그것은 고대 그리스 음악의 문자기보법(Letter Notation)이다. 기보방법은 음악적인 기호라기 보다는 선율형을 글자 혹은 언어의 음절적인 액센트 등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이러한 유래는 좀 더 구체적인 음악표현으로 네우마 기보법(Neumatic Notoation C. 800?)에서 선율 움직임을 상·하행으로써 기본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단성가(plain chant)에서 다양한 형태의 네우마라는 기호들로 묘사되며 선율 진행과 반복적인 음 높이를 짐작케하는 도표적인 표시였다. 그러나 음의 높낮이는 어느 정도 표시할 수 있었지만, 음길이에 대한 표시는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였으므로 뒤에 많은 기보법에서 음의 상대적인 길이 또는 확실한 리듬의 표시가 주요 과제가 되어 이후부터의 발전은 리듬의 기보에 중점을 두게 된다. 다성음악의 발전은 길고 짧은 음길이에 대해 더 세분화되며, 음의 움직임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명시되어야 하며, 리듬적인 영역에서 더 발전적이 된다. 기본 모양은 모드 기보법(Modal Notation)과 13, 14세기에 이르러 개개의 음길이를 명시하는 정량기보법(Mensural Notation)으로 체계화되었다. 1260년경부터는 Franconian Notation을 말하는데 앞 시대의 기보법을 정리하여 체계화하였으며 Longa, Brevis, Semibrevis의 3가지의 기본음의 음가를 정하고 완전(3박)과 불완전(2박)의 법칙을 세웠다. 아르스노바시대의 Franconian Notation이 프랑스, 이탈리아 등 각각 독립적으로 발달하는데, 여기서는 Minima의 확실한 가치가 나타나게 되었다. 14세기 후반에는 점차로 프랑스 기보법의 특징적인 면을 따르게 되었고 15세기에는 14세기의 검은 음표보다 흰음표와 둥근 머리 형태로 바뀌게 되며 더욱 더 조직적이고 복잡화되어진 흰 음료정량기보법(White Mensural Notation)이 생겨났다. 중세 말기에는 음의 각각의 가치나 음들간의 관계가 확실해 짐은 물론 건반악 기보법, 비율 기보법 등을 사용하여 수학적이고 복잡한 리듬의 변화를 추구하였다. 이 기보법은 16세기말까지 계속되었으며, 현대 기보법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9세기말부터 16세기 초까지 기보법 발달을 소개하는 것으로 주로 연대순으로 하였으며, 필사본을 중심으로 검토, 분석하였고 공통적인 관습에 따라 시기를 대략 나누고, 그 시대의 지배적 원칙을 요약, 검토하려 노력하였다.

      • 교사 집필자의 문법 교과서 집필 경험에 대한 연구

        경화 한국교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07

        교사에게 적극적으로 개방된 ‘교과서 집필’이라는 현상, 특히 그 중에서도 ‘문법 영역의 집필’이라는 현상은 교과 전문가로서 교사에게 집필자로서의 새로운 정체성을 요구한다. 교과서라는 공적 문서에 구현되는 교사 집필자의 집필 행위는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에 대한 해석과 변환의 책임에 있어서 더욱 막중한 책임을 요구한다. 교과서 집필에 참여하는 교수나 연구자와는 달리 교사 집필자는 현장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전달하여 흥미로운 교과서를 만들어야 할 책무와 내용 구성에 있어서도 명료하고 정확한 방식을 선택하고 고민해야하기 때문이다. 문법 영역의 교과서 집필은 문법 영역이 갖는 강고한 학문적 성격 때문에 교과의 목표나 성격 차원으로는 설명 되지 않는, 세분화되어 있고 함축적인 개념어로 이루어진 일종의 ‘암호’를 해독해 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학습자에게 의미있는 문법 탐구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이 암호 해독의 과정은 그렇기 때문에 문법교육의 교수‧학습에서 용인될 수 있는 내용 표상의 형태는 무엇인지 설명하는 도구로 역할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교사 집필자의 집필 과정’이라는 매우 협소하고 미시적인 현상은 가장 실제적인 문법교육의 현실태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교사 집필자의 문법 영역 교과서 집필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사 집필자의 교과서 집필’의 의미와 교사 집필자의 집필 과정 분석을 위한 연구 방법을 확인해 보았다. 먼저 ‘교과서 집필’은 교육과정 해석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호성의 체험과 익숙한 관습에 대한 조정 과정으로 이해된다. 여기에서 설명한 이 모호성의 체험은 교과서 집필의 과정이 단순히 교육과정에 대한 모방이나 ‘전달’ 차원에 머물지 않는 다는 것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의 과정을 통해 교육내용 구현의 방향을 정하였다 해도 익숙한 관습적 체제와의 일종의 갈등에서 자유롭게 어려운 것이 ‘교과서 집필’이라는 행위가 갖는 의미이다. 이는 비단 검정 통과와 같은 현실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교육 내용이 갖는 특성이 기인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교사 집필자’의 전문성은 교수‧학습 상황에서 발생하는 다양하지만 사소한 의문들을 인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과서 집필에 참여할 수 있는 교사라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교사 집필자의 문법 영역 집필 과정이 갖는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의 방법을 선택하였다. 어떤 특정한 현상을 설명하고자 할 때, 그 현상에 참여하는 주체들이 공유하고 있는 인식의 양상을 표면적으로 나열하는 것은 현상에 대한 온당한 설명이 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동일한 현상을 공유하고 있는 참여 주체들의 경험을 토대로 이를 분석하여 이론화하는 작업을 거칠 때 비로소 그 설명이 설득력을 얻게 된다. 근거이론의 방법을 활용해 교사 집필자의 문법 영역 집필 경험에 대한 인터뷰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수행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Struss&Corbin(1998)이 제안한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를 범주화하고 범주 간의 관계를 따져보는 과정을 통해 분석되었는데, 이를 통해 ‘교과서 집필’이라는 현상에 대한 중심범주와 이론적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 집필자의 문법 영역 집필이라는 현상은 ‘곤란하지 않은 교과서’를 제작하기 위한 다양한 조건들의 상호작용 과정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곤란하지 않은 교과서’의 의미를 통해 문법교육의 교재론 차원의 논의에 시사점을 찾고자 한 본 연구는, 교과서 집필 기준으로서 교육과정이 갖는 근본적인 문제와 이로 인한 교과서 집필의 한계 상황에 대해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문법교육 내용화의 논의에서 간과되었던 학문적 논의와 실제 교육내용 실현 과정 간의 간극을 설명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는 것에서 의미를 찾고자 한다.

      • 한국어 학습자 상호작용에서의 모국어 사용에 관한 연구 : 문법 의식 고양 과제를 중심으로

        경화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제2언어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문법 의식 고양 과제를 통해 학습자들이 상호작용하는 동안 학습자들이 학습자의 모국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학습자의 모국어 사용에 따라 그 양상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문법 의식 고양 과제는 언어 규칙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학습자 스스로 규칙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자 상호 간의 의사소통을 촉진한다. 본 연구에서는 모국어가 동일한 중국인 학습자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상호작용을 할 때 모국어를 사용하는 집단과 한국어를 사용하는 집단으로 나눈 뒤 2명씩 짝을 지어 문법 의식고양 과제 활동지를 해결하게 했다. 이 과정을 녹화하여 전사, 분석하였고 사전, 사후, 사후 지연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국어를 사용해 상호작용한 집단과 한국어를 사용해 상호작용한 집단 모두 학습자들이 문법 의식 고양 과제 해결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것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었으나 문법 의식 고양 과제를 통한 상호작용이 장기적인 기억에는 효과가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집단의 사전-사후지연 평가 향상 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의 실험 전체로 보았을 때 모국어 사용한 집단의 향상도가 모국어를 사용하지 않은 집단의 향상도보다 더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여 두 집단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두 집단의 공통점으로는 두 집단의 학습자들이 과제를 해결하는데 사용한 모국어로의 번역이 가장 주된 전략이라는 것이었으며 두 집단의 학습자들은 모두 상호작용을 통해서 의미 협상의 표현을 하였고 이를 통해 과제를 해결하는 동안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제시된 텍스트가 내용이 있는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텍스트의 내용보다는 단어의 품사나 문법 구조와 같은 문법 형태에 집중하여 상호작용을 하였다. 두 집단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먼저 상호작용의 흐름에 그 차이를 보이는데 모국어를 사용한 집단의 학습자들이 좀 더 지속적이고 균형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에 비해 한국어만 사용한 집단의 학습자들은 어색하고 단편적인 상호작용 양상을 보였다. 두 번째로는 짝 활동에서의 학습자의 참여 정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모국어를 사용한 집단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쌍이 비슷한 정도의 발화 양과 발화 순서로 대화에 참여했지만 목표어만 사용한 집단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불균형적인 대화를 하였다는 것이다. 세 번째 차이점은 두 집단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내용에 있는데 모국어를 사용한 집단은 짝 활동을 하는 두 학습자가 서로 도움을 주거나 도움을 받으면서 협력적인 대화를 한 반면에 한국어만 사용한 집단은 확인하는 질문 형식의 대화가 주를 이루었다는 것이다. 한국어로만 상호작용한 학습자의 경우 상대방에게 자신의 생각을 설명하기보다는 자신의 생각을 상대방의 생각과 확인하는 경우 많았다. 네 번째 차이점은 메타 언어적 문법 용어 사용에 있다. 모국어를 사용한 학습자들은 문법적인 내용을 주제로 이야기할 때 자연스럽게 문법 용어를 사용해 과제를 해결해 나갔지만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 경우에는 아주 간단한 문법 용어 외에는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메타 언어적 문법 용어의 사용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 학습자들의 대화 내용을 보았을 때 학습자들은 문법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문법 용어를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여러 외국의 연구들이 문제 해결 과업에서 모국어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한국어 교육에서는 많은 논의들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모국어의 사용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도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법 의식 고양 과제를 해결하는 동안 학습자 간 상호작용에서의 모국어 사용 양상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학습자 간 상호작용에서의 모국어 사용의 영향에 관해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자로 참여한 학습자들은 모두 모두 간접인용을 학습한 경험이 있는 2급과 3급 수준의 학습자들이었다. 이는 학습자의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보는 데는 그 다양성을 알 수 있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으나 학습자의 학습 기간과 환경에 따른 배경이 달라서 실제 학습자의 수준 차이가 많았기 때문에 집단별 참여 학습자 수 20명으로는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좀 더 많은 수의 대상자들과 다양한 실험 대상자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began under the premise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s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acquisition of the second language. It was set out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 use of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had an effect on the acquisition through the grammar consciousness-raising tasks, and further examined how the patterns differ depending on the use of native language by the learner. The grammar consciousness-raising task allows the learner to discover the linguistic rules on their own in order to recognize the rules, stimulat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learners.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subjects consisting of 40 Chinese learners whose native language was identica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group which uses their native language during their interaction and another group which uses Korean. The subjects were paired up and tackle the activity sheet for the grammar consciousness-raising task. Such process was recorded for transcription and analysis and the pre and post delayed 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from the tests were analyzed an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through the grammar consciousness-raising tasks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the group which spoke Chinese during interaction and another group which spoke Korean.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the interaction through the grammar consciousness-raising task had no impact on the long-term memory. In addition,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in scores from the pre-post delayed tests for two groups, it showed that as far as the overall experiment in this study is concerned,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the group which used their native language was larger than that of the group which did not. Furthermore, the results on the analysis of interaction patterns of the learners were organized and the common point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observed. What the two groups had in common was that the learners of both groups used the translation into their native language as a main strategy for solving the task. The learners from the two groups all expressed the negotiation of meaning through the interaction, which allowed the smooth communication while solving the task. Furthermore, despite the fact that the provided texts had the contents, they interacted with more focus on the grammatical forms such as the word’s part-of-speech or grammar structure instead of the contents of the texts. Whe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examined, the first to be noticed was the flow of the interaction. The learners from the group which used their native language displayed interactions more continuous and balanced while the learners from the group which only spoke Korean showed the pattern of interactions rather awkward and one-sided. Second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found i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by the learner in the paired-up activities. In case of the group which spoke their native language, most pairs participated with the similar quantity and order of utterances whereas the group who only used the target language, unbalanced dialogues was observed for the most pairs. The third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ontents of the interaction of the learners of the two groups. The group which used their native language assisted one another during the paired-up activity whereas the conversations in the group which only used Korean mainly consisted of the dialogues in the form of checking questions. The learners who spoke only Korean during the interaction often checked their thoughts with others’ rather than explaining their thoughts. The fourth difference was in the use of meta-linguistic grammar terms. When the learners who spoke their native language talked about the grammatical contents, they naturally introduced the grammar terms to solve the given task whereas for the learners who did not, rarely used the grammar terms other than quite simple ones. There have been many differing views on the use of such meta-linguistic grammar terms, but based on the conversations of the learners from this study, it is apparent that the learners use the grammar terms to explain the grammatical details. Recently, a number of foreign researches have noted the importance of native language in problem-solving tasks, but there have not been an active discussion on Korean education nor on the effects of use of one’s native language. Thus, the study has concluded that by examining the patterns of native language use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s while solving the grammar consciousness-raising task, it will present an opportunity to further examine the effects of the use of native language by the learners during their interaction. The learners who have participated as the subjects for the study are all learners in Level 2 and level 3 who have learned the indirect quotation. This could indicate that the diversity was found in the makeup of the samples for examining the patterns of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s. However, the learning period and the background according to the learner’s environment differed and the actual difference in levels amongst the learners were too great. It is safe to say that with 20 learners participating for each group, the results are insufficient for generalization. The future researches would necessitate a larger number of subjects with diversity.

      • MIMO 기술을 적용한 와이브로 다운링크 시스템의 성능분석

        경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07

        차세대 이동통신인 3G/4G 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기술적 과제는 한정된 전파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주어진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보다 많은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고속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OFDM 기반 시스템의 송수신단에 다중 안테나를 장착하는 MIMO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OFDM은 고속의 데이터 스트림(stream)을 다수의 부스트림(sub-stream)으로 나누어 여러 개의 부반송파를 사용하여 병렬로 전송한다. 그리하여 각 부반송파에서의 저속의 전송효과를 얻음으로서 고속전송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MIMO기술은 크게 다중안테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한 STC 와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 시킬 수 있는 SM 으로 나뉜다. 본 논문에서는 OFDMA 기반의 와이브로 다운링크 시스템에 MIMO기술을 적용하여 보행자 및 자동차 이동통신 환경에서 MIMO시스템이 단일 안테나-SISO 시스템에 비해 우월한 성능을 가짐을 보여주었다. 또한, 와이브로 SISO, MIMO 시스템에서의 채널 추정 방법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다중경로 페이딩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의 왜곡을 추정하고 보상하는 채널 추정알고리즘으로 LS 알고리즘에 근간한 기존의 LI 채널 추정 방법보다 향상 된 2D LI 채널 추정 방법을 제안 하였다. 마지막으로 비트에러률(Bit Error Rate) 성능과 주파수 효율 및 연산량 측면에서 STC와 SM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채널환경의 변화에 따른 적절한 MIMO 기술의 선택방법을 제시하였다. Systems with high spectrum efficiency, reliability and high capacity are required as many new multimedia services are emerged for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MIMO) technology in the OFDM system has been recognized as a promising solution to these problems. OFDM is a wireless technology that runs on the pronciple of transmitting data by dividing the data stream into multiple parallel bit streams. These sub-streams have a much lower bit rate and are used to modulate several carriers, so that the inherent difficulties of high-speed transmission can be relieved. The MIMO technology can be largely categorized into two schemes: one is space time coding(STC) for diversity gain and the other is spatial multiplexing(SM) for high data-rate. In this thesis, we demonstrate that the performance of MIMO system is better than SISO system by applying the various MIMO schemes to the OFMDA-based WiBro downlink system in the pedestrian and vehicular environments, The use of multi-amplitude signalling schemes in WiBro system requires the tracking of the fading radio channel. We also propose 2D(Dimension) LI(Linear Interporlation) channel estimation method which is based on the LS(Least-Squres) algorithm and better than ordinary LI channel estimation method in each SISO and MIMO system and show the enhanced performance of the systems using the proposed channel estimation methods. Finally, by comparing STC with SM in the terms of BER(Bir Error Rate) performance, throughput and computational complexity, we suggest the guideline to select the proper scheme for variational channel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