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회의 지역사회복지 실태 및 개선방안 : 도봉구 소재의 감리교회를 중심으로

        박정자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839

        이제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국가와 사회기관의 활동에 교회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교회만이 담당할 수 있는 역할을 계발하여 차별화된 서비스제공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회가 추구하던 사회복지에 대한 기존 방향에 대한 전환이 어느 정도 불가피하며, 목회자 역시 목회 사역으로서 지역사회를 섬기는 일에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때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한국교회의 초점은 개인의 영혼구원과 교회성장, 즉 복음주의적 선교전략에 온 힘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교회 안에서는 많은 개인적․사회적 문제와 비윤리적인 모습들이 해결되지 않은 채 있어 왔다. 매스컴을 통해 등장하는 기독교에 관계된 좋지 않은 보도와 관련하여 교회는 사회에 어떤 말을 해 줄 수 있을까? 교회와 목회자와 그리스도인의 문제는 결국 ‘교회 이기주의’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교회의 이기주의는 세상 사람들이 갖고 있는 교회에 대한 시선이 좋지 않은 것으로 변화되게 하였다. 모든 사람마다 자신의 고유한 역할이 있는 것과 같이, 교회도 나름대로의 역할이 있다. 바로,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두 계명이다. 현재 정부는 소외되고 외면당하고 있는 국민들을 다 책임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민간 사회단체들과 종교단체에 그 책임을 나누어 질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교회는 교회가 사회복지사업에 미약하다는 평가에 대해 깊이 반성하고 교회의 본질을 회복해야 한다는 소리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교회지도자들이 해당 지역에 대해 관심을 갖고 지역사회의 문제들을 깊이 연구하고, 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 교회가 함께 동참하고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회지역 사회복지의 실태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목회자의 지역사회복지 의식은 높으나 실천은 소극적이다. 둘째, 교회 내 자원의 비효율성이다. 셋째, 교회의 지역사회에 대한 전문성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부족이다. 넷째, 교회의 지역사회에 대한 전문가와 전담부서의 부족이다. 다섯째, 교회와 지역사회 복지 시설과의 협력이 부족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목회자 교육의 기회가 확대되어야한다. 둘째, 지역사회 복지를 목표로 교회의 자원이 활용되어야 한다. 셋째, 교회의 지역사회 복지에 대한 전문성 제고와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의 욕구충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운영해야 한다. 넷째, 원활한 교회지역사회복지를 위하여 사회복지 전문가와 전담부서가 확대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회의 지역복지시설과 협력을 통한 공동체성이 회복되어야한다. 특히, 목회자가 전문적인 지역사회복지 사역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의 마련과 지원이 필요하며, 현재의 교회 내 조직과 구조를 재정비해야한다. 또한 교인들을 지역사회복지사업에 능동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교회는 지역사회를 하나님이 맡겨주신 선물이라고 생각하고 지역 주민의 필요와 상황을 파악한 후 교회의 여건에 적합한 사업을 우선적으로 실시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그리고 교회는 예배만 드린다는 고정관념을 허물고 지역사회에 적극 참여하여 봉사와 섬김의 장이 될 수 있도록 교회의 문을 개방해야한다. 물론 실천과정에서는 지나치게 급진적인 변화를 취하기보다는 교회의 정황과 여건에 맞게 점진적인 개선이 되어야 할 것이다.

      • 陶製 藥器 開發에 관한 硏究

        박정자 숙명여자대학교 1986 국내석사

        RANK : 1839

        악기 (Instrument)란 音樂을 연주하는 기구나 기계를 말한다. 악기는 본래 리듬에 대한 인간의 충동에서 부터 시작된 것으로 미개 민족이 살고 있는 어느곳에도 樂器를 갖고 있지 않는 민족을 찾아내기란 극히 드물다. 흙으로 만든 樂器類는 原始生活에서 多樣한 목적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時代에 따라 地域에 따라 多樣한 變遷過程올 通해 수많은 樂器들이 만들어졌다. 우리나라의 경우에 고대시대부터 악기사용을 한것으로 추정되나 현존해 있는 陶製 樂器로는 기원전 9세기경의 것으로 打樂器에 속하는 土鈴이 있고 고려 예종 11 년의 것으로 훈(塤)과 청자 土鼓가 있으며 朝鮮時代의 것으로는 부(缶)가 있다. 西洋에서의 陶製 樂器는 25,000年 전부터 존재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古代時代에 陶製 樂器가 가장 다채로운 形狀을 가지고 많은 藥器들이 제작되었다. 가장 초기의 것은 기원전 9세기 경으로 타악기에 속하는 土鈴種類가 있다. 이것은 악기로서의 기능보다는 原始信仰의 呪術的인 行爲의 대상으로 사용되었다. 그와 함께 官樂器에 속하는 피리류도 있다. 이것 또한 多樣한 形態로 나타나 있으며 주로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다. 이들 陶製 樂器들은 다른 악기와는 다른 재질로서 영구적이며 多樣한 形態와 音色을 표현할 수가 있다. 이렇듯 多樣한 陶製 樂器類는 新文化의 유입으로 인하여 전자제품 및 플라스틱, 금속, 목재로된 고도로 과학화된 전자악기와 오락용 악기등 전문적인 樂器가 발달하게 되면서 陶製 樂器의 製作은 위축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악기의 形態가 점점 기하학적인 형태로 되어가고 과학적인 악기의 기능을 갖춘 악기로서) 기계제품의 획일화 속에서 전기, 기계식 악기로 일반화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대에 있어서는 動的이며 土俗的 原始的인 재료를 동경하는 傾向이 있다. 이로서 陶製 樂器는 材料의 유연성과 함께 자유롭게 만들 수 있는 粘土製 樂器의 개발은 충분한 필요성을 갖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사조를 바탕으로 本人은 多角的인 측면에서 試案을 통해 實用的이고 美的인 陶製 樂器의 形態를 고찰하여 실제-제작을 통해 생산의 가능성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대중에게 공감될 수 있도록 제시하고져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만의 전통적인 특색을 살린 독특한 陶製 樂器를 제작하여 관광민예품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하였다. 이에따라 결혼혼례용으로 사용했던 기러기(木雁) 및 원앙을 대상으로 단순화 시켜 장식용품을 겸한 소리나는 완구류로 개발 유도시키고 소품으로서 裝身具의 기능을 갖춘 팬던트와 토령류의 개발을 시도하였으며 또한 애완용품으로서의 악기의 기능을 갖춘 복합음을 낼 수 있는 피리의 제작을 시도하였다. 陶製 樂器는 흙의 소성단계에서의 부정확한 수축율 때문에 정확한 복합음계는 기대할 수 없으므로 주로 單音을 내는 악기로 제작하였고 음계를 갖춘 피리의 개발 또한 시도적으로 제작코져 하였다. 陶製 樂器의 대량생산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여 경제적이며 대중적인 陶製 樂器 생산을 도모코져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잊혀져가는 陶製 樂器를 되살리며 현대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함과 아울러 관광민예품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져 한다. Instrument means a tool or a machinery to play the world of music. With its origin in a man's impulse to rhythm, instrument was played by almost all peoples wherever men lived, even within promitive society long long ago. In ancient times earthen instruments were played beautifully for men's own purposes, and according to times and places, a growing number of instruments have been made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s. It has been estimated that in Korea, too, many instruments were owned by the public since old ages. However, now we can find only a few examples of ceramic instruments: an earthen bell around the 9th century B.C. which belongs to a percussion instrument; 'Hun' and celadon logo in the 11th year of King Yejong in Koryo Dynasty, and; 'Boo' in Chosun Dynasty. Surely it seems that Western ceramic instrument was found 25,000 years ago, and it was made with more colorful shapes than any other ones in those days. The earliest example is an earthen bell of the 9th century B.C., likewise in Korea, but it was used as an object of magic practice in the circle of primitive faith rather than as a function of an instrument itself. There was also found a flute, a wind instrument. With various shapes, it was played chiefly in the Americas. These ceramic instruments have a unique strength available for the expression of multifariously good timbre and long-lasting forms, thanks to affluent qualities not found in others. Such colorful ceramic instruments have been gradually disappeared due to introduction of modern culture which high-class professionalism began to dominate the area of production; the newly-emerged examples include plastic, metal, wooden and electronic instruments, based upon scientism, including ones for amusement only. The distinct tendency that an instrument comes to take more geometric forms to be one having scientific function is now generalized into electrical and machinery style instruments in the flood and standardization of mechanical products. Even in today, however, rather dynamic, folk and primitive materials seem to be preferred by not a few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Consequently, it is to a considerable degree necessary to develop ceramic instruments by virtue of their plasticity and easiness for production. Viewing of these implications, this study was to, from various angles of eyesight, examine the forms of practical and aesthetic ceramic instruments, using a tentative sample, to look for the possibility of production, and to suggest an item appealing to the public. In addition, the role of folk items for foreign tourists was intended by manufacturing a unique ceramic instrument fit for Korean traditional temperament.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both wooden goose and mandarin duck were simplified to develop a sounds-making ceramic toy together as an ornament, and both earthen bells and pendants were also attempted to have the function of little accessories. And a flute was experimentally made so that it could make both sounds of a favorite article and of an instrument. Since ceramic instruments have not exact compound scale due to inaccurate contraction rate at the stage of mud calcination, they have been made to be able to sound a monotone preferred. Also this study has attempted to develop a flute completely equipped with a scale. Further, mass production of ceramic instruments was intended to grope for the economical and public distributio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and suggestions will be hopefully help to the revival and modern-life application of ceramic instruments and to the active utilization of folk articles for tourists from foreign countries as well as Korean people.

      • John Dewey의 成長敎育論에 관한 硏究

        박정자 慶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1839

        The concret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life of Dewey and to discourse upon the groundwork and achievements of his studies, and to summarize the basic theory of growth. Second, we can search for the essence of the growth theory and explain Dewey's educational theory of growth as it involves Dewey's theory of growth. Third, this study makes clear the practical meaning about educational process for the growth theory, and involves theoretical considerations about the continuity of the growth theory and long life education. Fourth, we can improve intellectual growth and the thinking of capacities learners through Dewey's educational aims, contents, methods. The brief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Dewey liked to read books during his childhood, and wrote a number of books during his lifetime. Second, it is important that we respect learners as they are, and should understand immaturity as necessary for correct education, because the meaning of Dewey's growth theory is based on a person's ability to exist and develop. Third, school education should be composed of a student's ability to continually growth. The educational process should be reformed constantly to be the center of the life of growth. Fourth, for the intellectual growth and thinking of learners, Dewey's educational theory of growth works to develop the educational methods.

      • 융기 기법을 응용한 인테리어 도제 조명등에 관한 연구

        박정자 경일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현대적의미의 조명이란 인공 광원인 램프와 조명기구, 조명기법과 같은 조명의 요소들을 이용하여 합리적인 조명디자인을 실시함으로써 어떤 공간에 적절한 수준의 인공적인 조도를 공급하고 편리하고 쾌적하며 아름다운 조명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의 주거문화는 급속도로 변화하였고, 주거공간의 조명은 단순히 불을 밝히기 위한 기능을 넘어서, 쾌적하고 안락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실내공간의 분위기 연출에도 많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오늘날 우리는 밤에도 낮과 같이 환한 세상에 살고 있으며 단순히 어둠을 밝히는 조명에 대해 더 이상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으며, 다양한 재료의 변화와 디자인의 발전 등으로 세련되고 예술성과 실용성이 돋보이는 조명등들이 대체로 디지털화 되어 세련된 디자인이 많이 생산되고는 있지만, 개성이 강한 현대인들의 감각을 고려한 조형성과 기능성, 심리적 안정감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감성조명이 필요하다고 여겨, 논제에서 이해되듯이 포장재의 인장력에 의한 융기형태를 이용하여, 팽창 된 주름과 직설적이 아닌 한 꺼풀 덮은 은유적 표현과 함께 부드럽게 연결되는 볼륨감과 융기의 원인이 되고 있는 각종 조형물에 의해서 변화되는 형상을 활용하여 조형적인 아름다움과 기능성이 있으며 따뜻한 이야기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인테리어 도제 조명등을 제작하고자 함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거대한 규모로 공공장소와 건물을 포장하는 포장미술가, 대지미술가 혹은 환경미술가인 크리스토 자바체프(Christo Javacheff)와 잔느-클로드(Jeanne- Claude)의 둘러싸거나 덮는 작업을 통해 우리가 일상에서 친숙하게 느꼈던 장면을 새로운 눈으로 볼 수 있게 하는 방대하고 기발한 그들의 작업에서 흥 미와 관심을 갖게 되어 시작한, 비닐 포장재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가까운 일상의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각종 조형물의 변화되는 융기 형태를 응용하였다. 도자 조명등만이 가진 가소성과 독특한 질감을 살리고 발색 도를 높이기 위해 백자토로 슬립캐스팅 성형을 하였으며 현실과 꿈을 이어 주는 영혼의 촉매제 또는 행복이나 희망, 부부애, 아름다움, 기쁨, 즐거움을 상징하는 나비 문양과 융기형태와 연관되는 의미의 표현을 위해 부분적으로 상감기법 또는 안료로 색감을 나타내거나 스톤으로 장식효과를 주었으며 충격에도 강하고 환경 친화적인 차세대 조명광원으로서의 LED(Lighting Emission Diode)를 사용함으로 에너지 절감 효과를 높였고 친환경 소재인 목재로 마무리 하였다. 조명기구는 조명의 역할 뿐 아니라 소도구적 측면을 지니고 있기에, 현대인의 주거 환경의 한 요소로서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나무 이미지를 통한 抽象的 表現 硏究 : 染色 作品을 中心으로

        박정자 誠信女子大學校 造形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1839

        현대 미술에 있어서 자연관은 조형성이 확산 다변화되면서, 그 범위나 중요성은 이미 철학적인 차원을 넘어 자유로운 재료, 기법 등을 근거로 다양한 표현의 모체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자연의 많은 표현 대상 중에서 나무이미지를 표현 소재로 하여 자연의 형태가 단순히 감상의 대상만이 아니라, 삶의 중요한 터전으로써 상징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나무의 형태에 인간 존재 방식을 대응시키듯이 인간내면의 사상과 외형적인 이미지를 끌어내려 했다. 나무를 둘러싸고 있는 표피는 불규칙한 것 같지만 오랫동안 살아온 나무의 일생이 새겨지듯 형태가 있다. 나무의 표피는 도시화되고 형식화된 현대인의 모습과 심상을, 세포는 원초적이고 강한 생명력의 본질을 상징하면서 전체로써 하나의 작품을 이룬다. 이러한 생명력은 작가의 정신이 내용이 되면서 동시에 그것을 담고 있는 사물의 살아있는 내용이 작품 속에 객관화되어 느껴지며 우리의 이해에 수반되었을 때 나타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나무 이미지의 다양한 모습을 형상화하고, 작품제작을 통하여 미적으로 승화시키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나무 이미지의 변형을 통해서 기하학적인 형태와의 접목과 자연을 소재로 표현한 추상작가들의 작품세계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9점의 작품을 제작하고, 제작과정과 체험된 기법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나무 이미지를 형상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납방염과 스크린프린팅기법을 혼용 사용하였는데, 납방염은 단계적인 방염과 염색에 의한 색의 농담변화로 입체의 깊이와 공간감을 표현하는데 적합했고, 스크린프린팅기법은 대상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확대, 축소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재구성 할 수 있었고, 다양한 변형과 표현 가능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소재의 선택과 재료, 기법에 대한 끊임없는 개발을 통해서 표현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더욱더 발전된 조형세계를 추구하고자 한다. In modern art, nature is viewed as a source of divergent expressions on the philosophical as well as artistic levels. I have chosen the tree image as a subject matter for the reason that nature is not just an object of appreciation but serves as the valuable ground in one's life. To emphasize its symbolic significance, I have made a comparison between the tree form and the way of existence to the extent that the external image represents the internal. The irregular bark may seem randomly formed but manifests the life of the organism. The tree bark represents the image of urbanized as well as formalized people of modern era, and the cells symbolize the primordial-yet-strong life force. This life force functions as the cornerstone of my spirituality as well. When the objects carrying such life force are portrayed in my work, the strength of that force can be maximized. Therefore, my motive in this study is to visualize various tree images and sublimate them aesthetically through art works. To set up a theoretical ground, I have examined the work of abstract painters who employed a geometrical deformation of tree images. In this context, I am discussing the nine pieces of my work as well as the work process and techniques. To render the tree image, I mix batik and screen-printing techniques. Batik is effective for executing the depth and space in gradient shading produced by the step-oriented dyeing. Screen-printing helped me reshuffle. and reorganize the properties of the object during the process of magnifying and reducing so that a variety of deformations and expressions can be generated. Based on this study, I intend to continue the experimentation with different subject matters, materials, and technique so as to overcome any barriers in terms of artistic exec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