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를 위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사회지능에 미치는 영향

        김나영 군산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hildren's language expressiveness and social intelligence on the need for news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applicability for early childhood by applying the contents of news literacy education, currently developed by the Korean Press Foundation (Kim Nak Heung et al., 2015). The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the news literacy curriculum and support system which can be applied effectivel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effect of news literacy education on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veness?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news literacy education on young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38 pre-school children in E kindergarten in G city, Jeollabuk do (19 experimental group and 19 control group) became subjects in the study and it was conducted 2 or 3 times a week for about 7 weeks from March 11 to April 23. The experimental group had news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hile the control group had educational activities related to life topics twenty times in total. These data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verification,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test and covariance analysis(ANCOVA) using SPSS 21.0 Window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ews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language expression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number of words, the number of sentences, the correspondence of contents, the content connection, and the creative expression. Second, news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as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 intelligence.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social knowledge, social expressiveness, social sensitivity, and social flexibility, which are sub-factors of social intelligence. This study shows that news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language expressiveness and social intellig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s literacy programs related to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and to conduct follow-up studies for effectiveness analysi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news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follow-up study to analyze critical thinking ability are needed based on the precedent study (Jo Shin Ae, 2019) that news literacy education helps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ability. 본 연구에서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과 유아기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김낙흥 외, 2015)에 의해 현재 개발되어진 유아를 위한 뉴스리터러시 교육내용을 실제 현장에 적용해봄으로써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사회지능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교육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뉴스 리터러시 교육과정 및 지원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를 위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를 위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유아의 사회지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전라북도 G시 E유치원의 취학 전 아동 만5세 유아 38명(실험집단 19명과 통제집단 19명)을 연구 대상으로 2019년 3월 11일부터 4월 23일까지 약7주에 걸쳐 주2~3회씩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은 유아를 위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을 통제집단은 생활주제 관련 교육 활동으로 총 20회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Windows program을 사용하여 신뢰도 검증, 빈도 및 기술통계 분석, t검정 및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를 위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언어표현력 하위요인인 단어수, 문장수, 내용의 일치성, 내용의 연계성, 창의적 표현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를 위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사회지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사회지능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지식, 사회적 표현성, 사회적 민감성, 사회적 유연성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를 위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사회지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아의 언어발달 및 사회발달과 관련한 뉴스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 분석을 위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다. 또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선행연구(조신애, 2019)를 토대로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뉴스 리터러시 교육과 비판적 사고력을 분석할 수 있는 후속연구도 필요함을 제언한다.

      • 디자인사고 과정을 적용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송미연 군산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sign education program applying design thinking proces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 provide the basi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tilizing a design thinking proces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effect of design education program applying design thinking proces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2. What is the effect of design education program applying design thinking process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research questions, 42 4-year-old children in E kindergarten in G city, Jeollabuk-do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21) and control group(21). This research was conducted 20 times in total, twice or three times a week for 8 weeks, excluding vacation from December 19, 2018 to February 15, 2019. Experimental group developed a design education program applying design thinking process and performed its activities whereas control group performed educational activities related to life theme. A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infants (Jeon Kyoung-won, 2014) and an infant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for teachers' evaluation (Lee, Byung Rae, 1997) were used as a test tool. The conclusion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of creativity of experimental group’s infants who performed the design education program applying design thinking proc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s infants. In addi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exibility, fluenc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according to creativity scale facto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igural creativity in the subarea of creativity,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anguage creativity and body creativity. This suggests that the design education program applying design thinking process has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improvement of some parts of its sub-factors. Second, the total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s infants who performed the design education program applying design thinking proc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s infants. In addi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motional perception, expressiveness, self-emotional regulation ability, emotional perception ability about other people,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bout other people in sub–factors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This suggests that the design education program applying design thinking process has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s all sub-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surely that the design education program applying design thinking process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s. Therefore, the design education program applying design thinking process can be us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meaningfu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mprove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본 연구는 디자인사고 과정을 적용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교육현장에서 디자인사고 과정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디자인사고 과정을 적용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디자인사고 과정을 적용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전라북도 G시의 E유치원 만4세 유아 42명을 실험집단 21명과 통제집단 21명으로 각각 배치하였다. 2018년 12월 19일부터 2019년 2월 15일까지 방학기간을 제외한 8주 동안 주 2~3회씩 총 20회의 활동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디자인사고 과정을 적용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생활주제에 따른 교육 활동을 하였다. 이에 대한 검사도구는 유아용 종합 창의성 검사(전경원, 2014)와 교사평정용 유아 정서지능 척도(이병래, 1997)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사고 과정을 적용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창의성 총점이 통제집단 유아의 창의성 총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창의성 척도요인별로 융통성, 유창성, 독창성, 상상력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창의성 하위영역인 도형 창의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언어 창의성과 신체 창의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디자인사고 과정을 적용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그 하위요인 일부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디자인사고 과정을 적용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정서지능 총점이 통제집단 유아의 정서지능 총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정서지능 하위요인인 자기정서인식·표현능력, 자기정서조절능력, 타인정서인식능력, 타인정서조절능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디자인사고 과정을 적용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 하위요인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디자인사고 과정을 적용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디자인사고 과정을 적용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데 의미 있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유아 주도적 숲 체험놀이가 유아의 인성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홍종훈 군산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유아 주도적 숲 체험놀이를 통한 유아의 인성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주도적 숲 체험놀이가 만 4세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유아 주도적 숲 체험놀이가 만 4세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전라북도 I시 소재 M 어린이집 만 4세 유아 18명을 실험집단으로, G 어린이집 만 4세 유아 18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과정은 예비검사, 교사훈련,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의 유아는 유아 주도적 숲 체험놀이를 하였고 실험처치 기간은 2020년 1월 8일 ~ 2020년 2월 24일까지 8주 동안 총 12회 이루어졌으며, 통제집단의 유아들은 실외 및 실내에서 전통놀이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 주도적 숲 체험놀이가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김점희·조현철(2018)이 과거의 112개 선행연구를 귀납적인 방식의 유목화 작업으로 정리하여 개발한 유아인성검사지를 활용하였고,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Musser와 Diamond(1999)가 제작한 CATES-PV(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Preschool Version)를 허윤정(2001)이 번안·수정하고 소경희(2007)가 일부 보완한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18.0 프로그램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및 사후 평균검사와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t검증과 공변량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주도적 숲 체험놀이를 한 실험집단과 실외 및 실내 전통놀이 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 간 유아의 인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 주도적 숲 체험놀이를 한 유아의 인성은 개인지향의 자아, 성품, 타인지향의 사회성, 친사회성, 공동체 지향의 공동체 지향의식과 공동체 지향행동이 통제집단 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둘째, 자연친화적 태도는 동물‧식물에 대한 관심과 애호,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 인공적인 환경보다 자연환경에 대한 선호, 자연보호가 비교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 주도적 숲 체험놀이가 유아의 인성과 자연친화적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주도적 숲 체험놀이를 통해 유아의 인성과 자연친화적 태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children initiative forest experience play on children's character and nature friendly attitude. The research questions as below, 1. To what extent does children initiative forest experience play influence on 4-years old children's character? 2. To what extent does children initiative forest experience play influence on 4-years old children's nature friendly attitud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t M and G daycare center in I city of North Jeolla Province. At M daycare center,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sisted of 18 4-years old children was organized while at G daycare center, the controlled group that consisted of 18 4-years old children was made. The research processes were prep test, teacher training, pretest, experiment procedure, and Post-hoc.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children initiative forest experience play from Jan 8th to Feb 24th 2020 for 8 weeks, 12times while the controlled group did the traditional play inside and outside. In this study, in order to reveal children initiative forest experience play on children's character, Kim, Jumhee, Cho, Hyuncheol(2018)'s children character test sheet developed by inductive categorization derived from their previous 112 works. In order to measure children's nature friendly attitude, 'Nature Friendly Exam Tool' which was revised by Soh, Kyunghee(2007) and derived from CATES-PV(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Preschool Version) by Musse and Diamond(1999) which was translated and revised by Huh, Yoonjeong (2001), was employed.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18.0. The average test of before and after, standard deviation were derived from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Also analysis of covariance and t-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re was the meaningful difference of children character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experienced children initiative forest experience play and the controlled group that experienced the traditional play inside and outside. Those who experienced children initiative forest experience play shows higher scores on self-toward ego, personality, others-toward sociality, social friendly, community-oriented spirit and behavior than the controlled group's scores. Second, in terms of nature friendly attitude,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concern and favor about animals and plants, respect for life, preference natural environment to artificial, nature protection more than the controlled group. Thus, children initiative forest play can positively influence children's character and nature friendly attitude. Therefore, the research debunks children's character can be improved through children initiative forest play.

      • 가정과 연계한 성교육이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천미정 群山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how the sex education connected with home influences sex knowledge and sex attitudes, and self-esteem of students who attend a special class in middle school, and the impact of the sex education related to home on sub-categories of sex knowledge and sex attitudes of each student. This specific issues of research are presented as follows. 1) How does the sex education connected with home influence sex knowledge of students of middle school special class? 2) How does the sex education connected with home influence sex attitudes of students of middle school special class? 3) How does the sex education connected with home influence self-esteem of students of middle school special class? 4) How does the sex education connected with home influence sub-categories of sex knowledge and sex attitudes of each student? To achieve the purpose, this researcher chose four students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four students as a control group who were attending a special class in middle school located in Jeon-ju city in order to conduct an experiment. In the pre-test on sex knowledge and sex attitudes, and self-esteem of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sex education connected with home, which was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had been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fifteen times. The control group was exposed only to the sex education classes that are offered to each classroom by school health teacher or sex related subjects teachers. No intentional classes were provid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al intervention,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ttended a test about their sex knowledge and sex attitudes, and self-esteem. Through the post-hoc test,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quantitative materials drawn from the pre-test and post-hoc test were analyzed with SPSS 20.0 program to compare the scores of the post-hoc test of the two groups. To supplement the limits of quantitative researches according to statistical testing, the sex education connected with home were analyzed how influences sub-categories of sex knowledge and sex attitudes of each student. The qualitative materials is based on a class diary recorded the scenes of class with video camera and the contents of the notebook which shows communication between the students’ parents and the students’ teacher and observed the experimental group’s daily lives. In the research procedure,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irst, the sex education connected with home wa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sex knowledge of students of middle school special class. Second, the sex education connected with home positively influenced an improvement in the sex attitudes of students of middle school special class. Third, the sex education connected with home didn’t influence an improvement in the self-esteem of students of middle school special class. Fourth, the sex education connected with home influenced sub-categories of sex knowledge and sex attitudes of each student respectively.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teachers and relevant employees in charge of educating students of middle school special class recogniz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sex education connected with home, in performing sex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cooperating actively with their home. 본 연구는 가정과 연계한 성교육이 일반중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성지식, 성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학생 개인별로 성지식, 성태도의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가정과 연계한 성교육이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성지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가정과 연계한 성교육이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성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가정과 연계한 성교육이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4) 가정과 연계한 성교육이 학생개인별로 성지식과 성태도의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J시에 위치한 중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학생들 중 4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4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지식, 성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연구자가 재구성한 가정과 연계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15차시에 걸쳐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보건교사나 성관련 교과교사에 의해 학급 단위로 이루어지는 성교육 외에는 의도적인 처치는 하지 않았다. 실험중재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검사지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학생들에게 성지식, 성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대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해 얻은 양적자료는 집단 간 사후검사 점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 검정에 따른 양적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캠코더로 녹화된 수업 장면을 기록한 수업 일지와 가정통신연락장 내용, 일과 중 관찰 기록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험집단 학생들 개인별로 성지식과 성 태도의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절차에 따라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연계한 성교육은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성지식 향상에 효과적이다. 둘째, 가정과 연계한 성교육은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성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가정과 연계한 성교육은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넷째, 가정과 연계한 성교육은 학생개인별로 성지식과 성태도의 하위영역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친다. 앞으로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의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 및 교육관련 종사자들이 가정과 연계한 성교육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가정과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지적장애학생의 성교육을 실시하는데 이 연구의 사례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군복무 병사의 스마트폰 사용욕구가 군생활의 스트레스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경미 군산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군 규정 상 스마트폰 사용이 단절된 군복무 병사들의 입대 전 스마트폰 사용량을 알아보고 계급별로 사용욕구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욕구가 군생활 스트레스와 적응과의 상관관계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군복무 병사들의 입대 전 스마트폰 사용량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욕구의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2. 군복무 병사들의 계급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욕구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3. 군복무 병사들의 스마트폰 사용욕구와 군생활 스트레스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4. 군복무 병사들의 스마트폰 사용욕구와 군생활 적응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을 것인가?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지역의 병사들 중 175명을 면접 설문지 형태로 조사를 시행하였고 수집된 자료 중 166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인구사회학적 일반적 특성 설문지와 입대 전 스마트폰 사용에 관한 척도와 스마트폰 사용욕구, 군생활 스트레스 척도 및 군생활 적응 척도 등 총 5개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t-test, 일원 분산분석(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복무 병사들의 입대 전 스마트폰 사용량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욕구는 의존도 낮은 집단(a)의 평균은 3.22, 의존도 높은 집단(b)은 3.71로 나타났다. 검증통계량을 살펴보면, t값이 -4.56이고 유의확률이 0.00이므로 의존도 높은 집단이 의존도 낮은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남으로써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군복무 병사들의 스마트폰 사용욕구는 하위요인 중 생리적 욕구에서만 이등병·일병(a)의 평균이 2.70이고, 상병(b)은 3.12, 그리고, 병장(c)은 2.87로 나타났다. 검정통계량을 살펴보면, F값이 2.01이고 유의확률이 0.04이므로 생리적 욕구에 따라서 상병이 이등병·일병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군복무 병사들의 스마트폰 사용욕구와 군생활 스트레스 간의 관계는 즐거움의 욕구만 제외하고 모두 정적상관 관계이다. 즐거움의 욕구는 군생활 스트레스의 모든 하위요인에 오히려 부적상관 관계를 보이고 있다. 군생활 스트레스에 스마트폰 사용욕구 하위요인 중 힘의 욕구, 생리적 욕구 소속의 욕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넷째, 군복무 병사들의 스마트폰 사용욕구와 군생활 적응의 상관관계는 부적상관 관계이다.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심신의 상태 상관계수는 -0.23, 직책 및 직무만족의 상관계수는 -0.22, 군조직 환경에 대한 태도의 상관계수는 -0.25로 통계적으로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군생활 적응의 하위요인 중 군조직 환경에 대한 태도와 군생활 전체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폰 사용욕구 하위요인은 생리적 욕구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병사들은 군복무 중 다양한 요인에 의해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는데 그 요인 중 하나가 스마트폰 사용단절이 군생활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는 원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군 관계자는 병사들의 안전한 관리방안으로 입대 전 스마트폰 사용정도에 대해서 검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 스마트폰 과의존 병사들에 대한 정서 및 심리상태를 이해하고 군 생활 적응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병영생활 상담활동의 기초자료로 본 연구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soldiers’ pre-service smartphone usage and the differences in the urge to use smartphone by military rank as the regulation bans the use of smartphone during the service. Further, the research also aims to understand how the urge to use smartphone is correlated with and affects the level of stress and adaptation during military service. The major research questions are set as below: Research Questions 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urge to us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level of pre-service usage? Research Questions 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urge to use smartphone according to military ranks? Research Questions 3. What relationship does the urge to use smartphone have with the stress from military life? Research Questions 4. What relationship does the urge to use smartphone have with the adaptation to military life? The research conducted a survey interview among 175 soldiers in Jeollabuk-do and used 166 data for analysis. Here, 5 questionnaires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sking social demographic information; pre-service smatphone usage; the urge to use smartphone; the level of stress from military life; and adaptation to military life.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PSS 23.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levels of urge to use smartphone were 3.22 for the lower dependency group (a) and 3.71 for the higher dependency group (b). The test statistics shows that the t-value is –4.56 while p-value is 0.00, which means that there is a difference as the higher dependency group shows significantly higher rates than the lower dependency group. Second, the result of urge to use smartphone revealed a difference only in one of its sub-factors, the physiological needs. The average of private and private first class (a) was 2.70, 3.12 for corporals (b), and 2.87 for sergeants(c), and the test statistics showed that the F-value is 2.01 and p-value is 0.04. This illustrates that the urge to use smartphone i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corporals than the private and private first class soldiers. Thir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rge to use smartphone and the stress from military life, except for the subfactor of need for pleasure. The need for pleasure has negative correlation to all subfactors of stress from military life. The other three subfactors of the urge to use smartphone, which are need for power, physiological needs, and the need to belong, affect significantly to the level of stress from military life. Fourth,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rge to use smarphone and the adaptation to military life. The significance can be seen from the figures where the coefficient of physical and mental state is –0.23, duty and job satisfaction is –0.22, and the attitude towards organizational environment of the military is –0.25. However, the attitude towards organizational environment of the military among the subfactors of military life adaptation and the subfactors of the urge to use smarphone that affects overall military life adaptation are both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hysiological needs. In sum, among many different stress factors for the soldiers, banning the use of smartphones negatively affects the adaptation to military life. Thus, it is suggested for the military officials to conduct a survey of pre-service smartphone usage as a safe management scheme for the soldiers. The import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that it provides a base study for the counselling services supporting military life adaptation and that it renders a better understanding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tus of the soldiers in relation to smartphone usage and dependency.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이상미 군산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 smart-phone addiction,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smart-phone addiction,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 smart-phone addiction,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is there a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mart-phone addic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5 middle school located in Jeollabuk-do, and a total of 250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mong the responses, 213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ed for 37 respondents who answered insincerely or did not return. The scale used is as follows. To measure the Parenting Attitude, the 'Parenting Attitude scale' developed by Heo Myo-yeon (2000, 2004) was used. To measure the smart-phone addiction,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S-scale) developed by the Korea Information Technology Agency (2011) was used.finally, to measure stress coping strategies, Kim Jong-hee (1987) corrected and supplemented The ways of Coping Cheklist developed by Lazarus & Folkman (1984), and Jo Yoon-jung (2010) was reorganized into 27 questions for youth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three-stag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tendency of each variable, supervisors, rational explanation, inconsistency, excessive interference, excess expectation, and affection were higher than the middle and neglect was moderate, and abuse was seen as a sub-factor of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ppeared lower than the middle. The smartphone addiction was higher than the middle, and the active coping and passive coping of the stress coping method were higher than the middle.   Secon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main variables, the sub-factors of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adolescents, rational explanation, a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f affection showed total addiction and negative correlation, negative sub-factors inconsistency, overexpectation, Excessive interference, abuse, and neglec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otal addictio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showed positive coping and positive correlation,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he director of parenting attitude showed passive coping and negative correlation, and inconsistency, excessive interference, abuse, and neglect showed passive coping and static correlation. The rational explanation of parenting attitude, overexpectation, and affect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assive coping.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tress coping metho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smartphone addiction had a mediating effect only in the active coping method and showed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parenting attitude. The parenting attitude that the active coping method showed a mediating effect is supervision, rational explanation, inconsistency, overexpectation, over-interference, neglect, affection, of which overexpectation and over-interference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ed students who experience smartphone dependence or addiction in the youth education scene to understand that the current problem of addiction was influenced by parent relationships at home and to use stress coping methods in an appropriate wa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help you avoid falling into a smartphone addiction by giving.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스마트폰 중독,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어떠한가?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가? 본 연구를 위해 전라북도 내에 위치한 중학교 5곳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총 250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250부의 설문 중 불성실하게 응답된 설문과 미 응답 된 설문 37부를 제외하여 총 21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사용한 척도는 다음과 같다. 부모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허묘연(2000, 2004)이 개발한 ‘부모 양육태도 척도’를 사용하였고, 스마트폰 중독을 측정하기 위해서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에서 개발한 표준화된 청소년 자가 진단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S-척도)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측정하기 위해서 Lazarus & Folkman(1984)이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The ways of Coping Cheklist)를 김정희(1987)가 수정 보완하고 조윤정(2010)이 청소년에 맞게 27문항으로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3단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감독, 합리적설명, 비일관성, 과잉간섭, 과잉기대, 애정은 중간보다 높게, 방치는 중간정도 보였고, 학대는 중간보다 낮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은 중간보다 높게 나타났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적극적 대처, 소극적 대처는 중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감독, 합리적 설명, 애정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총 중독과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부정적 하위요인인 비일관성, 과잉기대, 과잉간섭, 학대, 방치는 총 중독과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양육태도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적극적 대처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부정적 양육태도는 부적상관을 나타났다. 부모양육태도의 감독은 소극적 대처와 부적상관을 보였고, 비일관성, 과잉간섭, 학대, 방치는 소극적 대처와 정적상관을 나타났다. 부모양육태도의 합리적설명과 과잉기대, 애정은 소극적 대처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는 적극적 대처방식에서만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부모양육태도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적극적 대처방식이 매개효과를 보인 부모양육태도는 감독, 합리적 설명, 비일관성, 과잉기대, 과잉간섭, 방치, 애정이며, 이 중 과잉기대와 과잉간섭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 교육 장면에서 스마트폰 과의존 또는 중독을 경험하는 학생들에게 현재 겪는 중독의 문제가 가정에서의 부모 관계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통찰시키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적절한 방법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으로서 스마트폰 중독에 빠지지 않도록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전통회화 감상을 활용한 역사교육이 유아의 역사적 사고력과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정귀심 군산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finding the right direction of the history education activiti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to help to apply it as a history education progra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history education utilizing appreciation of traditional paintings on infant's historical thinking ability and national identity.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is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effect of history education utilizing appreciation of traditional paintings on infant's historical thinking ability ? 2. What is the effect of history education utilizing appreciation of traditional paintings on infant's national ident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research questions which was conducted from March 5, 2019 to May 26, 2019, 40 5-year-old infants in S day-care center in Gunsan city, Jeollabuk-do were divided into 20 infants of experimental group and 20 infants of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history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traditional painting appreciation whereas the comparison group conducted history education program appropriate to life theme as an after-school program.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twice a week (16 times in total) for 8 week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historical thinking, the four components of historical thinking developed by Choi Snag-Hoon(2000) were used, which consisted of chronology comprehension ability, historical inquiry ability, historical imagination, and historical judgement ability. 18 questions reconstructed by Lee Bongja(2013) according to the level of infants were used. The test tool composed of 25 questions which Jeon Kyounghwa(2002) made to fit the level of infants was used and these questions were divided into four contents, chronology comprehension ability, historical inquiry ability, historical imagination, and historical judgement ability. The data collected after program activities of this study were used to calculat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pre-post test of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using the SPSS Window 24.0 program. And t-test was conducted to test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addition, covariance analysis (ANCOVA)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history education had influence on infant 's historical thinking ability and national ident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infants’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history education activities utilizing appreciation of traditional paintings was much better in all sub-factors of historical thinking ability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This means that infants’ historical thinking which understands, imagines and judges the flow of the age has been expanded through the appreciation of traditional paintings. Second, the infants’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history education activities utilizing appreciation of traditional paintings was much better in all sub-factors of national identity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This means that it is very positive and effective for infants to have a sense of belonging and to have a proper identity by understand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such as customs, culture, and ideas which appear in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Therefore, in spite of the prejudice that history education activities will be difficult in early childhood, history education utilizing traditional paintings appreciation became an interesting activity which can cause curiosity to infants. It can be generalized into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as an effective program to help infants develop their historical thinking ability and national identit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 역사교육은 유아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고, 과거로부터 현재와 미래의 삶이 변화하는 과정과 삶의 연결고리를 찾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전통회화 감상은 한국인의 사상과 종교, 시대적 배경에 따른 미의식이 잘 나타나 있으며 우리의 정서와 사상을 이해하고 우리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여 우리의 전통문화를 수용할 수 있는 올바른 태도를 기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통회화 감상을 활용하여 전통 회화 속에 담겨진 의미를 재해석 해보고, 이를 통하여 역사를 이해함과 더불어 유아들이 다원화된 현대사회 속에서 우리 전통문화의 뿌리를 알고 올바른 정체성을 갖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역사교육이 유아의 역사적 사고력과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해봄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 올바른 역사교육 활동에 대한 방향 모색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며, 교수·학습 시 유아교육현장에서 역사교육 프로그램으로 적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전통회화 감상을 활용한 역사교육이 유아의 역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전통회화 감상을 활용한 역사교육이 유아의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2019년 3월 5일부터 4월 26일까지 전라북도 군산시에 위치한 S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 집단은 실험집단 A학급 유아 20명과 비교집단 B학급 유아 20명으로 총 4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주 2회식 8주 동안 총16회, 매 회 30분~50분 정도로 유아의 집중력을 감안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물리적, 인적 환경의 조건이 유사한 같은 기관의 다른 두 학급의 유아들로 구성하였다. 비교집단에서는 일과운영 시간 중 방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으로 ‘역사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전통회화 감상을 활용한 본 연구의 역사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활동 후 수집된 자료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 사후 검사를 SPSS Window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두 집단 간의 사전점수에 대한 평균 차이 검증을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역사교육이 유아의 역사적 사고력과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이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결론지을 수 있다. 첫째, 전통회화 감상을 활용한 역사교육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역사적 사고력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역사적 사실과 자료를 수집, 비판, 해석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역사적 탐구력에서 가장 높은 점수 변화를 보였다. 또한 연대기 파악력, 역사적 상상력, 역사적 판단력에서도 뚜렷한 변화를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전통회화 감상을 활용한 역사교육이 유아의 역사적 사고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전통회화 감상을 활용한 역사교육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국가정체성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통문화, 국가상징, 민주시민의식, 민족 동질성의 순으로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하위별 요소 중 국가정체성의 선호이유에서 분명한 점수 변화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회화 감상을 활용한 역사교육이 유아의 국가정체성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교육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기에는 역사교육 활동이 어려울 것이라는 선입견에도 불구하고, 유아들에게 역사교육은 호기심을 유발하는 흥미로운 활동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통회화 감상이라는 우리나라 전통의 그림에서 나타나는 풍습이나 문화, 사상 등의 역사의 시대적 흐름을 찾아 이해하며 자신이 속한 국가의 일원으로 소속감을 가지고 올바른 정체성을 갖는데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우리 조상들의 정서를 인식하고 그 정신적 가치 속에서 전통문화에 대한 바른 이해를 통하여 우리의 전통문화를 아끼고 사랑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정애 군산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efficac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incipal’s leadership on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teacher's efficacy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academic background, age, career, number of classes,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ge at work)?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leadership and teacher efficacy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3. Does the leader's perceived leadership influence teacher efficacy?    1) Does principal’s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 general teacher efficacy?    2) Does principal’s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 individual teacher efficacy? This study used 238 questionnaires prepared by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Gunsan city, Jeollabuk-do. Based on the Multifactor Leadership Questonnaire developed by Pr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Questonaire' by Bong (1985) and 'Pr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reated by Roh (1994) was used as a tool to measure leadership. A tool for measuring teacher efficacy was the Science Teachig Efiacy Belief Instrument developed by Enochs and Riggs (1990) which transrated by Lee(1998). In this study,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analyze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researchers,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and a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ach too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academic background, age, career, number of classes,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ge at work) of research problem 1, one-way ANOVA was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incipal’s leadership on research problem 2 on teacher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efficacy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education, age, career, number of classes, majo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f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 efficacy.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number of classes, and age at work.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leadership and teacher efficacy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Leader 's transactional leadership was related to teachers'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fficacy.   Third, the influence of leadership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initiative,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situational reward in general teacher efficacy of teachers. In the case of personal teacher efficacy, Reward compensation.   In conclusion, the leadership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shows the influence on the teacher efficacy and once again confirms that the role of the presiding officer who oversees all the operat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is very important. 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을 알아보고, 원장의 리더십이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배경변인(학력, 연령, 경력, 학급 수, 원장의 유아교육 전공 여부, 담당연령)에 따른 교사효능감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리더십(번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과 교사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리더십(번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3-1.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리더십(번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이 일반적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3-2.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리더십(번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이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전라북도 군산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들 이 작성한 238부의 질문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노종희(1994)가 제작한‘학교장의 변혁지향적 리더십 질문지(Pr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Questonaire)와 Bass(1985)가 개발한 다요인 리더십 질문지(Multifactor Leadership Questonnaire)를 바탕으로 유아교육현장에 맞게 황유경(2010)이 수정·보완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였다.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도구는 Enochs와 Riggs(1990)에 의해 개발된 과학 교사효능감 검사도구(Science Teachig Efiacy Belief Instrument)를 이분려(1998)가 번안·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18.0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자들의 배경변인을 정리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도구들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신뢰도 분석(Cronbach’sα)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1의 유아교사의 배경변인(학력, 연령, 경력, 학급 수, 원장의 유아교육 전공여부, 담당연령)에 따른 교사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2의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학력, 연령, 경력, 학급 수, 원장의 유아교육 전공여부, 담당연령)에 따른 교사효능감에 대해 알아본 결과 유아교사의 학력, 경력, 원장의 유아교육 전공여부에 따라서는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연령, 학급 수, 담당연령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리더십과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일반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원장의 거래적 리더십은 교사의 일반적 교사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교사의 일반적 교사효능감에서는 솔선수범, 지적자극 그리고 상황적 보상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사효능감에서는 솔선수범과 상황적 보상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리더십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을 보여주며 유아교육기관의 모든 운영을 총괄하는 원장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주고 있다.

      • 어린이집 시간연장 프로그램에 대한 관리자 및 교사, 학부모의 수요 분석

        이은주 군산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study was conducted for 250 parents and 160 directors and teachers working in national and public, corporate, private, home, and workplace time extended daycare centers located in Jeollabukdo to find out directors’, teachers’, and parents’ demand about time extended program of daycare centers.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were composed of 45 questions for directors and teachers and 34 questions for par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8.0.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each question was produced, and t–test and χ2–test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parents and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rist, in general, most of the teachers were responsible for young children aged 0 and 2, and the classes were composed of young children of different ages. The directors and teachers considered time extension from 17:00 to 22:00 to be the most suitable. The cases of participating in time extended daycare services were more than those of not participating.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ing staff(directors and teachers) and parents in the satisfaction with the contents and operation of time extended program are as follows. Parents showed greater satisfaction with the contents than the teaching staff. In sub-factors, parents’ satisfaction with the whole contents, diversity, qualitative level, and usefulness showed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an the teaching staff’ satisfaction. Parents showed greater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 than the teaching staff. In sub-factors, parents’ satisfaction with contents, pre notice, parents’ demand, supply of various materials, and adjustment of daycare period showed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an the teaching staff’s satisfaction. Third, the results of the teaching staff’s and parents’ demand about time extended daycare program are as follows. In developing time extended daycare program, the teaching staff and parents put providing warmth before anything else according to education and group. When it came to the problems with facility conditions in operating the program, the teaching staff mostly referred to the shortage of teachers, and parents mostly referred to late time. 본 연구는 어린이집 시간 연장 프로그램에 대한 관리자 및 교사, 학부모의 수요 분석 조사를 위해 전북지역에 위치한 국공립, 법인 외 법인단체, 민간, 가정, 직장 어린이집 시간 연장반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원장, 시간 연장 보육교사 160명과 학부모 2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관리자(원장), 보육교사용 45문항, 학부모용 3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부모와 교사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증과 교차분석(χ2)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 연장 보육교사의 일반적인 사항을 살펴보면, 보육교사가 담당하고 있는 원아연령은 0-2세가 많았으며, 혼합 연령반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았다. 시간 연장 보육 운영에 대한 보육교직원(원장, 보육교사) 요구에서 시간 연장 보육의 적합한 시간에 대해 17시부터 22시까지가 가장 많았고, 시간 연장 보육의 합리적인 급여수준에 대한인식에 있어서 140-150만원이 가장 많았다. 시간 연장 보육운영을 위한 적정 지원액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시간당 6000원을 지원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시간 연장 보육운영을 위한 지원책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교사인건비 지원 및 4대 보험 등 퇴직적립금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시간 연장 보육 서비스에 참여하는 경우가, 참여하지 않는 경우보다 많이 나타났으며, 현재 자녀가 시간 연장 보육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 자녀의 피로감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둘째, 어린이집 시간 연장 보육 내용과 보육운영의 만족도에 대한 보육교직원(원장, 보육교사)과 학부모의 차이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간 연장 보육의 내용에 대해 보육교직원보다 학부모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을 의미한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전반적인 내용, 다양성, 질적 수준, 유용성에 대한 만족도는 보육교직원보다, 학부모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 연장 보육의 운영에 대해 보육교직원보다 학부모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을 의미한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보육내용 및 사전안내, 학부모의 요구사항, 다양한 자원제공, 보육시간 조정에 대한 만족도는 보육교직원보다, 학부모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시간 연장 프로그램에 대한 시간 연장 보육교직원(원장,보육교사)와 학부모의 요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간 연장보육 프로그램 개발 시 우선 고려사항에 대해서 교육과 보호집단별로 보면 교사진과 부모들은 따뜻함 제공을 선택하였다. 시간 연장보육 프로그램 개발의 혼합연령 구성 시 프로그램 수준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연령과 관계없는 통합프로그램 진행 선택되었으며, 부모의 경우 기타 의견이 가장 많았다. 시간 연장보육 프로그램 담당자에 대해서 집단별로 보면 교사진과 부모 는 시간 연장 교사가 가장 많이 선택되었다. 시간 연장보육 시설환경에 대한 보육프로그램 운영의 문제점에 대해서 집단별로 보면 교사진은 문제점에 대해 인적자원인 교사가 부족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부모의 경우 시간 연장 보육시간이 늦다는 의견이 문제점의 가장 많이 선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