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기개혁주의신조에 나타난 예정론 연구 : 벨직신조·도르트신조·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을 중심으로

        박건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thesis aims at studying how the concept of predestination has developed and reorganized in the early confessions of the Reformed church. It will also study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s doctrines of predestination. The Belgic Confession includes a short statement of predestination in its 16th chapter. Systematically the Confession does not mention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in that of God, while it is followed by soteriology. This means that the Belgic Confession is very different from the system of the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by John Calvin, which locates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in that of salvation. Placing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before Christology, the Belgic Confession says that it is God's election or predestination on which Jesus Christ came into this world to save his elect, and to leave the rest, a point reminiscent of Calvin's doctrine of double predestination. This shows that the Belgic Confession was influenced by the orthodox or scholastic thinking which gives more importance to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than does the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by John Calvin. The Canons of Dort was made to answer to the five protests of the Armenian theologians and produced the five principles of Calvinist theology (Total Inability, Unconditional Election, Limited Atonement, Irresistible Grace and Perseverance of Saints). The Canons of Dort puts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at the center; it is the basis on which stand the doctrines of salvation in Christ, sanctification, and final salvation by perseverance of saints.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which represents a new--ortho- dox--phase of the Reformed theology, speaks of "God's eternal decree," which is the basis of predestination. In the Confession,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is the basis of its theology. It is different form the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by John Calvin. This i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17th century Reformed orthodoxy on the Confession. The Canons of Dor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edestination and tried to find the cause and the effect of God's salvation. The Westminster Confession advocates the doctrine of double predestination, which means that some people were predestinated to be saved, while some others were predestinated to be perished. In the Confession,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becomes the foundation of the following doctrines of christology and soteriology. On the basis of the Westminster Confession, Charles Hodge and Benjamin Warfield give importance to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and soteriology. And they put predestination before salv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alvin's method. But L. Berkhof and Park Hung-Yong places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in that of God. Hence there is a dilemma: whether to put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in that of God or in that of salvation. But we have to consider predestination in the doctrine of salvation as Calvin did. This enable us to understand that salvation is not from our desire but from the eternal predestination of God. This is systematically good, because we cannot practically preach predestination before salvation. But in these days faith on predestination is weak in the Protestant churches of Korea. This is partly due to the Western missionaries to Korea, who emphasized revivalism and evangelism which do not value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Unfortunately,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accepted the 12 Statements of Faith that do not include the doctrine of double predestination. This event has given a way to make faith on predestination weak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Therefore the Churches in Korea, have to recognize and reconsider again that the predestination in the confession of reformed theology is not an obstacle but very helpful for the faith of the saints, missionary works and conviction of salvation. 본 논문의 목적은 초기 개혁주의 신조에 나타난 예정론이 어떻게 발전했는가를 연구하여 초기 개혁교회의 예정론을 보다 분명하게 재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한국교회의 예정론을 재조명하는 것이다. 먼저 벨직 신조는 전체가 37개 조항으로 되어있다. 이중 예정론은 제16장의 영원한 선택에서 짧은 내용을 진술하고 있다. 그러나 예정론의 가장 중요한 내용인 하나님의 영원한 선택과 무조건 적인 선택,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예정, 이중예정 등을 말하고 있다. 벨직 신조에서는 예정론을 삼위일체 하나님을 설명하는 장에서 언급을 하지 않고 제16장에서 21장까지의 기독론을 설명하면서 첫 번째로 설명을 한다. 그리고 22장부터는 구원론을 설명을 하고 있다. 이것은 예정론을 구원론에서 설명하는 칼빈의 기독교강요의 체계와는 많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벨직 신조는 예정론 다음에 기독론과 구원론을 말함으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과 택한 백성의 구원의 근거로서 예정론을 설명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정론에 근거하여 기독론과 구원론을 전개하고 있다. 이것은 칼빈의 기독교 강요보다 원인을 중요시하는 정통주의적인 영향을 훨씬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도르트 신조는 아르미안주의 5가지 항의에 대한 대답으로 여기에서 튤립이라고 부르는 칼빈주의 5대교리가 나왔다. 이것은 1)전적무능력(Total Inability) 2)무조건적 선택(Unconditional Election) 3)제한적 속죄(Limited Atonement) 4)불가항력적으로 내려주는 은혜(Irresistible Grace) 5)성도로의 견인(Perseverance of Saints)이다. 도르트 신조의 내용은 제1교리는 거룩한 예정에 관하여, 제2교리는 그리스도의 죽음과 인간의 구원, 제3,4교리는 인간의 타락과 하나님에게로 향한 인간의 회심 및 그 방법, 제5교리는 성도의 견인에 관하여 이다. 도르트 신조는 첫 번째 교리에서 구원을 얻은 자의 믿음은 자신에게서 나온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작정에 의해서 주어진 것임을 말한다. 또 예정의 내용은 불가항력적인 은혜이며, 선택과 유기의 이중 예정이고, 선택은 하나님께서 영원부터 중보자와 택한 자의 머리 그리고 구원의 기초로서 세우신 그 분 안에서 구원 받을 자의 일정한 수를 뽑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 예정은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과 은혜로서 되어 진 것으로 결코 변 할 수 없는 것이다. 도르트 신조는 이런 예정의 교리에 근거하여 그리스도 안에서의 인간 구원과 성화의 교리와 성도 견인을 통한 궁극적인 구원을 설명한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은 개혁주의 신앙의 내용을 잘 표현한 것으로 제33장까지 있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서 예정론이 가장 명백하게 나오는 곳은 신론을 설명하는 제3장으로 하나님의 영원한 작정에 관하여 에서이다. 이처럼 웨스터민스터 신앙고백에서는 예정론의 위치를 칼빈의 기독교 강요와는 달리 신론에서 설명을 한다. 이것은 도르트 신조 후 예정론의 중요성이 강조된 것과 인과응보를 따지는 정통주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제3장은 이중 예정, 즉 하나님께서 어떤 이들은 구원으로 어떤 이들은 멸망으로 예정하셨음 자상하게 진술을 하고 있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과 중보사역, 구원을 위한 효과적인 부르심, 구원의 서정 등이 모두 예정의 교리에 근거하고 있는 것이다. 후기 개혁주의 신학자 중에서 하지와 워필드는 예정론을 구원론의 체계에서 다루고 있으나 칼빈과는 달리 예정론을 먼저 말하고 구원론을 말 한다는 것이다. 벌코프와 박형룡은 신론에서 예정론을 다루고 있다. 이것은 선험적인 순서에 따라 예정론을 신론에서 진술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예정론의 위치를 신론에 둘 것인가 아니면 구원론에 둘 것인가 하는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종교개혁의 정신으로 다시 돌아간다면 칼빈이 예정론을 어디에 두었는가를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다. 우리는 칼빈처럼 예정론을 구원론에서 말해야 한다. 그리고 구원론을 설명한 후 마지막에 하나님의 예정을 말함이 옳다. 그렇게 함으로 우리의 구원은 우리에게서 나온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원선택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임을 알고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는 것이다. 또 우리가 전도를 함에 있어서도 예정론부터 말하고 복음을 전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중 예정에 근거한 개혁주의적 예정론이 개혁주의 교회 안에서 아주 중요한 교리 임에도 한국교회에서는 아르미안 주의적이 되거나 그 의미가 희석되었다. 이것은 한국에 처음 들어온 선교사들의 영향과 부흥과 전도를 위한 회개와 결단을 촉구하는 교파들과의 교류 때문이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1907년 이중 예정과 제한 속죄가 없는 12신조를 대한예수교장로회(독노회)가 받아 들여서 개혁주의적인 예정론의 신앙이 약화되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교회는 칼빈과 개혁주의 신조들에 나오는 예정론이 성도의 신앙과 선교에 걸림돌이 아니라 큰 도움이 되며 확신을 주는 교리라는 것을 다시 인신을 해야만 한다.

      • 한국교회에 있어서 비정치화의 경향에 대한 연구

        정진효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survey the non politicization trend in Korean church Christians, which is changing in response to contemporary social transition, to investigate political ethics understood by the Reformer Calvin who is the theological base of Korean church, and examine the non politicization trend in Korean church from Reinhold Niebuhr's position on politics. Korean church Christians often say, "Christians with holy desire had better not take interest in politics." However, Korean church leaders have not been arguing that Christians must not be involved in politics at all. Some say that Christians should participate in politics 'personally' and implement God's sovereignty in the political realm. For any matters placing political responsibilities on the church not on individuals, many church leaders express disapproval immediately. The reason they mentioned for their disapproval is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politics' or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With these facts, we ne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Korean church and political affairs through the tradition of reformed theology and the history of Korean church. Thu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non politicization trend in Korean church and analyzed its causes. Specifically we review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nvestigated the position of Korean church onthis matter based on the political ideas of Calvin and Reinhold Niebuhr and, based on the findings, examined the position of Korean church. Calvin's political ethics has been understood by Korean church in a single direction, and the non political position of Korean church has a long history. However, the forefathers of Calvinism such as Theodore Vera and John Knoxdid not teach that Christians must obey political authorities unconditionally. Even they insisted that Christian may resist them. Thus, what is matter is not whether Korean church is involved in politics but how to maintain the sense of balance by attempting politics based on Reinhold Niebuhr' realism. With regard to Calvin's political ethics, we investigated Christian freedom in his Institutes of Christian Religion. Calvin criticized Anabaptists by explaining the right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freedom, which gives true liberty to Christians, and the order of the state and suggested the principles of genuine political ethics in Christianity. As for Reinhold Niebuhr's position on politics, the author insisted that Christians' freedom must distinguish between spiritual ruling and worldly ruling. He said that if rulers in the world illegitimately violate God's sovereign rule through the Christ, the Word and the Holy Spirit, laws and regulations promulgated by them do not need to be followed. Thus, resistance and criticism from Reinhold's realistic viewpoint maintains the balance of power through justice and love and has Korean church make new attempts. Lastly, we examined the non politicization trend of Korean church, and suggested the prophetic mission of the church through admitting, opposing and criticizing the trend. When the church has the prophetic mission, she must be cautious in giving out manifestos on controversial issues impatiently and irresponsibly without having time to collect sufficient information. Moreover, although the church should proclaim the principle of Christian ethics to the society, she must not try to draw up specific programs for political and social reforms. There must be continuous theological research made for the true missions of Korean church in the future. 이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사회의 변화에 따라 함께 변화하는 한국교회의 기독교인들의 비정치화의 경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한국교회의 신학적 근간을 이루었던 종교개혁자 칼빈이 이해한 정치윤리를 연구 조사하여, 라인홀드 니버의 정치에 대한 입장을 제시 하여 한국교회의 비정치화 경향에 대해 연구한다. 한국교회 교인들은“거룩에 관심이 있는 기독교인은 정치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 것이 좋다” 는 말을 즐겨 사용하기를 좋아한다. 그러나 한국교회의 지도자들이 기독교인들은 정치에 일절 관련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해 온 것은 아니다. 일부논자들은 기독교인들이 ‘개인적으로’ 정치에 참여해서 하나님의 주권을 정치 영역에서 구현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개인이 아닌 교회의 정치적 책임 문제에 이르게 되면 많은 한국교회 지도자들은 즉시 난색을 표명한다. “교회는 정치에 관여하지 말아야 하는데 그것은 ‘정교분리’ 혹은 ‘교회와 국가의 분리’ 원칙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라고 그들은 말한다. 이와 같은 사실을 전제로 할 때 한국교회와 정치문제와의 관계를 개혁신학의 정통과 한국교회사를 통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교회의 비정치화의 경향을 살펴보고, 그 원인을 분석 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교회와 국가의 분리 원칙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이 문제에 대하여 한국교회가 취한 입장을 칼빈과 라인홀드 니버의 정치사상을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한국교회 입장을 살펴보고자 한다. 나는 이러한 칼빈의 정치윤리가 한국교회에 한 방향으로 인식되어졌고, 한국교회 정치적 입장은 비정치화가 오래되었다. 하지만, 데오도르베라, 존낙스 같은 칼빈주의의 원조들은 기독교인들이 정치적 권위에 무조건 복종해야 한다고 가르치지 않았다. 심지어 저항 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나는 한국교회가 정치개입이냐, 아니냐를 다루기보다는 라인홀드 니버의 현실주의적 정치를 시도하므로 균형감각을 유지하기를 바란다. 칼빈의 정치윤리에서 나는 기독교인의 자유에 대해서 기독교강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칼빈은 기독교인의 자유가 가져다주는 영적인 자유와 국가 질서와의 올바른 관계를 밝히면서 재세례파를 비판하고 기독교의 참다운 국가윤리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라인홀드 니버의 정치에 대한 입장에서 나는 칼빈이 말한 기독교인의 자유가 영적인 통치와 세상통치가 분명하게 구별 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국가의 통치자들이 비합법적으로 그리스도와 말씀과 성령에 의한 그의 통치에 속한 것을 범한다면, 이 영역에서는 그들이 공포한 법령에 따를 필요가 없다고 말한 그것을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적 시각에서 저항과 비판의 원칙이 정의와 사랑을 통한 힘의 균형을 유지함으로 한국교회의 새로운 시도를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한국교회의 비정치 경향을 살펴보고, 수용과 반대 그리고 비판을 통해서 한국교회가 선지자적인 사명을 감당하기를 제시하였다. 교회가 선지자적인 사명을 가질 때 조심해야 할 것은 교회가 쟁점에 대해 가능한, 많은 정보를 입수할 시간을 가지지도 않고 성급하고 무책임하게 성명서를 남발하는 것은 잘못일 것이며, 또한 교회는 사회를 향해 기독교 도덕의 원칙을 선언하고 천명해야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교회가 직접 정치 사회적 개혁을 위한 구체적 프로그램을 만들어 내려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앞으로 한국교회의 진정한 사명을 위하여 계속적인 신학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의열단에 가담했던 기독교인들의 신앙관 연구

        박선경 계명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thesis is on the study about the religious view of Christians who were involved in the Righteous Blood Society(義烈團). These people clearly demonstrated the missions of Christianity by being with the people when the nation was overthrown by the Japanese Empire. There are two tasks given to Christians. One is to love God, and the other is to love neighbors. Those who were involved in the Righteous Blood Society sincerely fulfilled the duties of the latter. The Righteous Blood Society founded in China on Nov. 10th, 1919 unfolded its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a means of assassination and destruction. The Japanese Empire was scared the most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heroic gathering when ruling over our nation. Nevertheless, it was difficult to investigate Righteous Blood Society in our nation for an ideological reason. People tended to denunciate those who went North after the korean-liberation, who were involved in communists. However, these people were not communists but of progressive nationalists. Christianity teaches to love the hatred and to pray for the stringent ones (Matt. 5:44).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rather hard to believe that Christians were involved in Righteous Blood Society. However, these people were devotees armed with the thought of 'the God's nation.' These people believed that God was the one with justice. He gave orders to eradicate injustice and to attain justice rather than to keep silence when faced with immorality. Christians involved in the gathering did not have a spite against the Japanese Empire. They only wanted to eliminate the injustice itself. Righteous Blood Society ideologically sticked to the route for heroic findings. They obtained such thought from the lesson of the Kwangbokdan(大韓光復團), anarchism and master Hwang, Sang-gyu of Donghwa school at Miryang. Kwangbokdan founded at Punggi, Kyungbuk province in 1913 led the heroic fightings. Hwang, Sang-gyu and Kim, Sang-ok who later on became the members of the gathering were also from the Kwangbokdan. Hwang, Sang-gyu from Miryang was uncle of Kim, Won-bong, the head of the heroic gathering. The heroic gathering chose its direction of concrete activity towards assassination and destruction influenced by the ideology of anarchism. This was because after seeing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ending as a failure, it seemed no longer possible to achieve Independence through amicable means. Moreover, only assassination and destruction seemed to be the most affective means possible where our nation was inferior to the Japanese Empire in everyway. However, Christians involved in the Righteous Blood Society followed the ideology of 'the Kingdom of God' rather than the ideology explained above. These people were conspicuously born in religious families and trained thorough religious educations. Choi, Su-bong(崔壽鳳) was almost the only one who refused the Shinto Shrine worship from Masanri church (Masan 802-9, Sangnam, Miryang city, Kyungnam province) and was educated at Sungsil school, pyungyang. Go, In-duk was the first child of Go, Sam-jong(高三宗) at Miryang church established in 1908 and was educated at Kyesung middle school, Daegu. Park, Cha-jung (朴次貞) from Evangelical Holiness church in Dongrae(東來 聖潔敎會) was educated at Dongrae Ilsin Girl's school founded by Australian missionaries. Jang, Gun-sang (張建相) was religiously educated by George O. Engel(王吉志) in Busan and by the missionary James S. Gale(奇一) in Seoul, and he was recommended to study and major in law at Valparaiso University in Indiana state, USA. Like this, these people were thoroughly educated at home, church and school. Choi, Su-bong took decisive action during Miryang police station incident in Nov, 1920 by himself. Due to this event, he died a young age of 28 in prison. Despite of what was done to him, he never disclosed the names of his comrades. He submitted to the unscrupulous tortures of Japanese policemen and sacrificed himself to save his comrades. The entire picture of the happening was revealed during the process of questioning another member who came into the nation to raise funds and was captured by Japanese policemen. This was done in 1925 after Choi, Su-bong died. Go, In-duk (高仁德) was from church at Miryang town. Miryang Presbyterian church promoted to establish preschool since 1910. The exact year Mirsung preschool was established is not known, but it was at least founded before 1925 by Miryang Presbyterian church. Moreover, Miryang Presbyterian church was ahead of others in that it enforced discussion classes in Sunday schools. His wife Lee, Bok-su(李福壽) was also actively engaged in independence movements and produced the Taegeukgi flag and the declaration document of independence during Miryang 3․1 Independence movement with other Christian women. He was involved in Kyungbuk province heroic gathering and died in prison in 1926. Kim, Sung-soo(金聖壽) was from Chunhwa Presbyterian church, one of the old churches at Miryang area, and was the leader of Bubuk Miryang 3․1 Independence movement(府北面 三一運動) but joined the heroic gathering after being driven out to China chased by Japanese policemen. He graduated from Hwangpo military academy(黃浦軍官學校) and acted as a staff officer of the heroic gathering's military strategy. He organized Namhwa federation of young people(南華韓人靑年同盟) in Shanghai and inspired independence fighting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by publishing Namhwa communication. He attempted to assassinate Yu, Gil-myung the Japanese officer of public affairs, with Baek, Jung-gi in March, 1933 and was founded by Japanese policemen. He was chased and captured in China in 1937, and he was sentenced to prison 18 years at the court of Haeju and was liberated during his serve time at Seodaemoon prison. Park, Cha-jung was born in Dongrae, Busan and graduated from Ilsin girl's school in Dongrae. Her two older brothers, Park, Moon-hee and Park, Moon-ho were also members of the Righteous Blood Society. Her family attended Evangelical Holiness church in Dongrae. Her brother Park, Moon-hee graduated from Kyungsung Seminary(Seoul Theological Seminary now) and decided to take pastoral duties. This shows how sincerely religious her family was. She married Kim, Won-bong(金元鳳), the head of the heroic gathering, introduced by her brother. Chang, Gun-sang was born in Chilgok in Kyungbuk province moved to Busan when he was young and was raised there. He was educated by Gelson O Engel missionary in Busan and by James Scarta Gale after he moved to Seoul. He was also recommended by Gale to study abroad in USA. After he achieved his degree, he moved to China to join the Righteous Blood Society and fulfilled the duties of adviser. Like this Christians involved in the Righteous Blood Society were sincerely religious. These people were not affected by those who kept silent after being influenced by missionaries who unfolded misgoverning policy for church when our nation was perished by the Japanese Empire. These people joined the gathering with a sense of duty for reconstructing the God's nation in this world although harsh sufferings had to be made. There are a number of reasons why Christianity is being criticised in our generation, but in the center of it, Christianity is being separated repeatedly without gathering the people together. Christians involved in the heroic gathering show us the lesson about how important it is for Korean church to be with the people to construct the Kingdom of God in this world. Christians in this land should accept the reality and the reason why Buddhism is beloved by the people in our nation. Buddhism is favored by many for one reason. Because it maintained the features of religion in defending our nation firmly. Christianity transmitted to our nation should be the religion with the same fate of this land. 본 논문은 의열단(義烈團)에 가담했던 기독교인들의 신앙관 연구이다. 이들은 일제(日帝)에 의해 나라가 망했을 때 민족과 함께 함으로 교회의 사명을 분명하게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기독교인들에게는 두 가지 사명이 있다. 하나는 하나님을 사랑하는 일이고, 둘째는 이웃을 사랑하는 일이다. 의열단에 가담했던 기독교인들은 후자의 사명을 신실하게 감당했다. 1919년 11월 10일 중국에서 창립된 의열단은 암살과 파괴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독립운동을 펼쳤다. 이제가 우리나라를 통치할 때 가장 두려워 한 독립단체가 의열단이다. 그런데도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 의열단에 대한 연구가 어려웠던 것은 사상적인 이유에서이다. 의열단에 가담했던 인물 중에 해방 이후 월북한 사람들이 있어 이들을 공산주의자로 매도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은 진보적 민족주의자들이었지 결코 공산주의자들이 아니었다. 기독교는 원수를 사랑하며 핍박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기도하라고 가르치고 있다(마태복음 5장 44절). 이러한 차원에서 본다면 의열단에 기독교인들이 가담했다는 것은 쉽게 이해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은 ‘하나님의 나라’사상으로 무장된 신앙인들이었다. 이들이 믿는 하나님은 정의의 하나님이었다. 불의 앞에 침묵하기를 원하는 하나님이 아니라 불의를 제거하고, 정의를 실현해 가라고 명령하시는 하나님이다. 의열단에 가담했던 기독교인들은 일제(日帝)를 미워하지 않았다. 단지 저들이 불의 그 자체이기에 제거하려 했을 뿐이다. 의열단은 사상적으로 의열투쟁 노선을 견지했다. 이들은 이러한 사상을 대한광복단과 아나키즘 그리고 밀양 동화학교 전홍표 선생을 통해 배웠다. 대한광복단은 1913년 경상북도 풍기에서 창립된 독립단체로 의열투쟁에 앞장섰다. 후에 의열단원이 된 황상규와 김상옥이 대한광복단 출신이다. 밀양 출신인 황상규는 의열단 단장인 김원봉의 고모부가 되는 사람이다. 의열단은 아나키즘 사상을 통해 그들의 구체적인 활동방향을 암살과 파괴로 정했다. 이들이 이러한 활동방향을 정하게 된 것은 평화적인 방법으로 전개되었던 3ㆍ1운동이 실패로 끝나는 것을 목도(目睹)하면서 평화적인 방법으로는 독립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제에 비해 모든 면에서 열악할 수 없는 상황에서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는 방법은 암살과 파괴라고 판단한 것이다. 그러나 의열단에 가담했던 기독교인들은 이러한 사상보다 ‘하나님의 나라’사상을 받아들인 신앙인들이다. 이들은 한결같이 신앙의 가정에서 태어나 철저한 신앙교육을 받았다. 최수봉은 밀양지역에서 거의 유일하게 끝까지 신사참배를 거부한 마산리교회(경남 밀양시 상남면 마산리 802-9) 출신으로 평양 숭실학교에서 공부했다. 고인덕은 1908년에 설립된 밀양읍교회 고삼종의 장남으로 대구 계성중학교에서 공부했다. 김성수는 밀양지역 최초의 교회인 춘화교회 설립자의 손자로 집안 어른들이 설립한 밀양 계성학교에서 공부했다. 박차정은 동래 성결교회 출신으로 호주선교사들이 설립한 동래일신여학교에서 공부했다. 장건상도 부산에서 왕길지(George O. Engel, 王吉志)의 신앙지도를 받았으며, 서울에서는 게일(James Scarth Gale, 奇一)선교사의 신앙지도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그의 추천을 받아 미국 인디애나(Indiana)주 발프레이조(Valparaiso University)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하기도 했다. 이처럼 이들은 가정과 교회와 학교에서 신앙교육을 철저하게 받은 사람들이다. 최수봉(1894-1921)은 1920년 11월 밀양경찰서 폭탄사건을 단독으로 결행(決行)했다. 이 사건으로 최수봉은 28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감옥에서 죽었다. 그럼에도 그는 끝까지 동지들의 이름을 말하지 않았다. 일경(日警)의 악랄한 고문에도 동지들을 구하기 위하여 스스로 십자가를 진 것이다. 이 사건은 그가 죽고 난 1925년에 가서야 자금 모집을 위하여 국내로 들어왔다가 일경에 체포된 다른 단원이 취조(取調)받는 과정에서 사건전모가 밝혀졌다. 고인덕(1887-1926)은 밀양읍교회 출신이다. 밀양읍교회는 1910년경부터 유치원 설립을 추진했다. 아직 정확히 밀양읍교회에서 설립한 밀성유치원의 설립연대를 알 수 없지만 적어도 1925년 이전에는 설립되었다. 또한 밀양읍교회는 주일학교에서 토론식교육을 실시할 정도로 앞서가는 교회였다. 고인덕은 이러한 신앙교육을 받고 의열단에 가담했다. 그의 아내 이복수도 밀양 3ㆍ1운동 당시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다른 기독 여성들과 함께 제작할 정도로 독립운동에 적극적이었다. 그도 경북의열단 사건에 가담했다가 1926년 감옥에서 죽었다. 김성수(1900-1969)는 밀양지역 모교회(母敎會)인 춘화교회 출신으로 밀양 부북면 3ㆍ1운동을 주도하였다가 일경에 쫓기자 중국으로 망명하여 의열단에 가담했다. 그는 황포군관학교(黃浦軍官學校)를 졸업하고 의열단 군사작전 참모로 활동하기도 하였고, 1928년에는 상해에서 남화한인청년연맹(南華韓人靑年聯盟)을 조직하고 남화통신(南華通信)을 발간하여 국내외에 독립투쟁을 고취시키기도 하였다. 그는 1933년 3월 백정기와 더불어 주중일본공사 유길명을 암살하려다가 발각되어 일경의 추격을 받다 1937년 중국에서 체포되어 해주지방법원에서 18년형을 언도 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하다 해방을 맞이했다. 박차정(1910-1945)은 부산동래에서 태어나 동래일신여학교를 졸업했다. 그녀의 두 오빠 박문희와 박문호도 의열단원으로 활동했다. 그녀의 가정은 동래 성결교회에 출석했다. 그의 오빠 박문희는 경성신학교(현재 서울신학대학교)를 졸업하고 목회활동을 하기도 했다. 그만큼 그녀의 가정은 철저한 신앙의 가정이었다. 그녀는 오빠의 소개로 의열단 단장인 김원봉을 만나 그의 아내가 되었다. 장건상(1882-1974)은 경북 칠곡에서 태어났으니 어려서 부산으로 이사하여 그곳에서 성장했다. 그는 부산에서 왕길지 선교사에게 배웠고, 서울로 유학 가서는 게일 선교사에게서 배웠다. 게일의 추천을 받아 미국 유학을 다녀오기도 했다. 그는 유학을 마친 후 중국으로 건너가 의열단에 가담하여 고문(顧問)의 역할을 감당했다. 이처럼 의열단에 가담했던 기독교인들은 철저한 신앙인들이었다. 이들은 우리나라가 일제에 의해 망했을 때 교회의 비정치화(非政治化) 정책을 펼쳤던 선교사들의 영향을 받아 나라의 현실에 침묵했던 다수 기독교인들의 길을 가지 않았다. 이들은 그 길이 고난의 길이지만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를 건설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의열단에 가담했던 것이다. 이 시대에 교회가 비판을 받는 데는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그 중심에는 세상과 함께 하지 못하고, 자꾸만 분리되어 가기 때문이다. 의열단에 가담했던 기독교인들은 한국교회가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를 건설하기 원한다면 민족과 함께 해야 한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이 땅의 기독교인들은 우리나라에서 불교가 백성들로부터 사랑받는 이유를 직시(直視)해야 한다. 불교가 사랑받는 이유는 하나다. 호국종교의 모습을 견지했기 때문이다. 이 땅에 전래된 기독교는 이 땅과 함께 가는 종교가 되어야 한다.

      • 형제운동의 기원과 발전 및 한국으로의 전래

        정인택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Brethren Movement and to elucidate how it has been introduced into Korea. Specifically focusing on how their ecclesiastical characteristics have been established, this study compar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pen Brethren and the Exclusive Brethren. It also finds that the Brethren Movement was not a mere temporary local event but a worldwide influence which has spread all around the globe. Examinations into the Brethren's introduction into Korea have shown it to have descended from the historicity of nineteenth century Brethren, particularly of the Open Brethren. In 1827 the principle of the Brethren Movement was suggested by Anthony N. Groves in Dublin, which was about breaking bread regardless of denomination without any clergy. The Movement arose naturally when those who shared this principle increased in number. Among those who joined the movement, in 1832 a group in Plymouth, England developed rapidly, became widely recognized, and earned the name of the ‘Plymouth Brethren.’ In the same period churches seeking the same Christian ideals were formed by George Muller in Bristol, and by Robert C. Chapman in Barnstaple. This movement was accelerated by the Brethren who were enthusiastic in mission work not only in the British isles, but overseas including India, Spain, Switzerland, France, Germany, and so on. John N. Darby, wh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early expansion of the movement, claimed ‘separation from evil,’ which resulted in divisions within the Brethren Movement; thus the Exclusive Brethren following Darby, and the Open Brethren, with Anthony N. Grove, George Muller, and Robert Chapman playing key roles. Even after the schism, the Brethren developed consistently. Currently there is no small number of Brethren Churches all around the world. For a full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the Brethren Movement, it is essential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Exclusive Brethren and the Open Brethren. The former do not acknowledge the independence of local churches and maintain centralism run by a central governing organization, not allowing elders to be recognized. They remain exclusive to anyone outside of their own circle. On the contrary, the latter stress the independence of local churches and operates assemblies with eldership. Meanwhile, the point which claims our attention is their influence on Christendom. Small in number as they were, the Brethren played a significant part in overseas mission work by enforcing the authority of the Bible and exerting interdenominational influence. In terms of doctrine, the Open Brethren genuinely believed what has been acknowledged as orthodox doctrine in church history and grasped the historical Christian belief firmly. In their practice, they stressed believers’ baptism, weekly, unstructured communion, non-clericalism, and the principle of unity. The first Brethren church in Korea started in 1959, centering on young converts who were guided by dispatched missionaries such as Wilbour Thompson McAfee, and visiting missionaries, including Edwin Arthur James. At present, there are about 230 Brethren churches in Korea and 29 missionaries dispatched from Korea are in missionary fields in various countries. They are in active fellowship with other Brethren churches and institutions in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cooperating in mission and education work in other cultures. An examination into the history of the Brethren Movement shows that the Brethren is an authenticated church in Christian history, and proved as such by church historians. It is desired that the Brethren may earn a legitimate reputation in Korean Christianity, and hoped that the Brethren in Korea will revive the spirit of the Brethren Movement and contribute to national evangelization. 본 논문은 형제운동의 기원과 발전 및 한국으로의 전래과정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그들의 교회적 특성이 어떻게 전개되어 가는지 주목하면서 개방적 형제단과 비개방적 형제단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또한, 형제운동이 일부 지역에서 일시적으로 일어난 것이 아니라 전 세계 곳곳에까지 확산한 운동임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으로의 전래과정을 연구하면서 한국의 형제단이 19세기 형제단의 역사성, 특히 개방적 형제단을 잇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1827년에 더블린에서 그로브스는 형제운동의 원리를 제안하였는데, 그것은 교파를 초월하여 성직자 없이 단순하게 모여서 성찬식의 떡을 떼는 것이다. 이러한 뜻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들면서 자연스럽게 형제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그 중 1832년에 플리머스에서 교회가 빠르게 성장하여 외부로 알려지면서 ‘플리머스 형제단’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같은 시기에 브리스톨의 조지 뮐러와 반스테플의 채프먼에 의해서도 동일한 기독교적 이상을 추구하는 교회가 세워지고 있었다. 이 운동은 선교적 열정을 지닌 형제단에 의하여 곧 영국제도뿐 아니라 인도, 스페인, 스위스, 프랑스, 독일 등 해외로도 빠르게 퍼져 나갔다. 이 운동의 초기 확장에 큰 영향을 미쳤던 다비는 ‘악으로부터의 분리’를 주장하였다. 그 결과 형제운동은 1848년에 다비를 따르는 비개방적 형제단과 그로브스, 조지 뮐러, 채프먼을 중심으로 하는 개방적 형제단으로 나누어졌다. 그러나 분열 이후에도 형제단은 지속해서 발전하였다. 특히, 전 세계 곳곳에 개방적 형제단에 의해서 세워진 교회들이 있다. 형제운동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비개방적 형제단과 개방적 형제단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비개방적 형제단은 지역 교회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중앙통제조직에 의하여 중앙집권제를 유지하면서 장로를 세우지 않는다. 그리고 자신들의 그룹 외에는 교제를 개방하지 않는 배타성이 있다. 반면에 개방적 형제단은 지역 교회의 독립을 중요하게 여기며 장로를 통하여 교회를 운영한다. 한편, 형제운동에서 주목해 보아야 할 점은 그들이 기독교계에 미친 영향이다. 그들은 비록 소수였지만 선교사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고, 성경의 권위를 지켰으며 초교파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특히 개방적 형제단은 교리적인 면에서 볼 때 교회사에서 정통적으로 받아들이는 교리를 그대로 믿고 있어서 역사적인 기독교 신앙을 굳게 붙잡고 있다. 실행적인 면에서는 신자의 침례와 매 주일 행하는 조직화되지 않은 성찬식, 그리고 비(非)성직자주의와 연합의 원리를 가지고 있다. 한국에서의 형제운동은 1959년에 회심한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해외의 형제단에서 파송한 매카피와 제임스와 같은 내한 선교사들의 지도로 시작되었다. 한국에는 현재 230개에 달하는 형제단 교회가 있고, 29명의 해외파송 선교사들이 여러 나라에서 선교하고 있다. 또한, 세계 여러 나라에 퍼져 있는 형제단과 국제적인 교류를 하면서 타문화권 선교와 교육 선교에 협력하고 있다. 형제운동의 역사를 살펴볼 때, 형제단은 기독교 역사에서 입증된 교회이며 교회사가들에 의해서 인정된 교회이다. 한국 기독교계에 이러한 형제단이 바르게 알려지기를 바라고, 한국의 형제단은 형제운동의 정신을 되살려 한국의 복음화에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 한국 CCM의 예배음악화 : 시대별로 나타난 신학적 주제와 음악을 중심으로

        박영신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CCM,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is a new genre of Christian music based on modern popular music. It was excluded by the conservative Korean church and only limited use was allowed in young men's worship services. As a student who has studied Christian music, I do not agree with these ideas, instead I support the use of CCM as a part of Korean worship music in the belief that it also contains a blessing and God's will. CCM was brought into Korea from the U.S.A around the end of 1960s as a form of confession. And then in 1980s, it transformed into a form of praise the music became more complex. Active attempts to innovate the music have created various genres, promoting use of modern instruments, and developing a CCM related culture. These factors still cause CCM to be ostracized by the conservative Korean church society. I think it would be possible to use CCM at the worship service provided that we slowly integrate this style of music more and more.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encourage a change in mind set. This would mean a positive effort to combine CCM with traditional worship music, remembering and considering the hymns which were excluded when it was first introduced. We should bear in mind the purpose of CCM. It is made with good will only for praising God and God is grateful for our praise. We need to keep studying how we can make CCM be better used in worship service. CCM이란 Contemporary Christian Music의 줄임말로 현대적인 대중음악에서 도입된 기독교 음악의 새로운 장르이다. 이전에 볼 수 없었던 가사의 내용과 현대적인 음악요소로 인해 보수적인 한국 교회에서는 사용을 금지당하거나 청년부 예배로 한정되었다. 이에 필자는 교회음악을 공부한 신학도로서 안타까움을 느끼고 그 안에도 분명히 동일하게 임하시는 하나님의 역사하심과 성령의 은혜가 있다는 믿기에 CCM의 가사와 음악요소의 특징을 분석하여 예배음악으로의 사용에 대해 지지하였다. CCM은 한국에 1960년대 말, 미국에서 들어와 1980년대를 넘어서면서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감사와 간증에서 점차 순수한 경배와 찬양의 모습으로 변하였고 음악적으로는 현대적이고 세련된 화성이 많이 사용되었다. 음악에 대한 적극적인 변화의 시도들은 다양한 장르와 현대적 악기의 사용을 불러왔고 CCM에 관련된 문화를 발전시켰다. 이런 요소들은 보수적인 한국교회 안에서는 거부감을 일으켰고 많은 문제점들이 예측되었으나 CCM의 사용의 폭을 예배에서 점진적으로 확대해 간다면 무리가 없을 것이라 기대된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모든 성도들이 회중찬송도 당대의 평가가 가혹했었다는 사실을 기억하여 CCM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는 사고의 전환과 CCM을 통해 청년들과 청소년의 부흥이 일어나고 진정한 예배자로 하나님께 나왔던 것을 기억하여 CCM을 전통적인 예배에 전목하려는 긍정적인 사고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우리는 CCM이 선한 목적으로, 온전히 하나님을 찬양하기 위해 만들어졌고 하나님은 분명 그 찬양에 기뻐하셨을 을 기억하여 올바른 CCM의 예배음악화에 대해 연구해야 할 것이다.

      • 한국교회사에 나타난 전천년설의 기원과 발전과정에 대한 교리사적 이해와 연구

        오주철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599

        한국 기독교의 도래 초기인 1885년부터 1910년까지의 기간은 서구 사회에서 근본주의와 현대주와의 논쟁이 한창 진행되고 있던 시기였다. 특히, 미국의 남북전쟁 이후, 20세기에 들어와서 세계 대전과 경제공황 등 비참한 현실경험과 함께 낙관주의적 사고가 무너지면서부터 후천년설이 퇴보하기 시작하고 역사를 비관적으로 보는 전천년설이 주류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미국의 시대적인 상황 속에서 예수 재림에 의한 전천년설을 받아들였던 젊은이들이 선교사로써 세계 각지로 파송되었는데, 따라서 한국에 파송된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전천년설 신봉자들이었다. 이 당시의 한국은 강제 개항, 봉건계급의 몰락, 백성들에 대한 수탈정책 등의 내우외환으로 중대한 위기에 처한 때였는데 특히, 백성들에 대한 착취는 극에 달하였다. 그리고 국외적으로는 서구열강의 세력들이 한국의 지배권을 놓고 대결하던 때였다. 이러한 시대 말기적인 상황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백성들뿐만 아니라 기독교 신앙에 있어서도 전천년왕국에 대한 신앙이 보다 깊게 뿌리를 내리는 계기가 되었다. 무엇보다도 일제 강점기에서의 암울한 상황은 전천년왕국 사상이 한국 교회에 파급되어졌던 중요한 요인의 하나였다. 또한 한국인의 종교심은 한국에 전천년설이 강하게 자리를 잡게 하였다. 당시 내우외환으로 인한 시대 말기적인 현상 속에서 극심한 고통을 겪어야만 했던 백성들은 도교적인 꿈의 세상, 즉 현실 초월의 이상 사회에 대한 갈망을 표출시킴으로써 현실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무엇보다도 길선주와 김종섭 등, 당시 기독교로 개종했던 상당수의 사람들은 도교에 깊이 심취했던 이상주의자들이었다. 따라서 도교에서의 신선사상(神仙思想)과 선계(仙界)의 개념은 기독교에서의 구원사상과 천국의 개념과 부합되어 이상향을 꿈꾸는 자신들에게 있어서 쉽게 수용될 수가 있었다. 한국에 기독교를 전하였던 초기 선교사들의 천년왕국신앙은 한국에 전천년설이 자리를 잡게 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사실, 1909년 이전에 한국에 파송된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전천년설을 추종하는 천년왕국 신앙인들이었다. 게일과 배위량, 소안론 등을 비롯한 초기 선교사들은 인류의 역사를 7개의 시대로 구분하면서 예수의 이중 재림과 이중 부활을 주장하는 등 세대주의 전천년설을 추종하였다. 길선주는 자신의 독창적 대표작인 [말세학]에서 예수의 재림에 대한 신앙을 확고하게 부각시키면서 전천년설을 주장고 있다. 그는 초기 선교사들과 같이 인류를 7개의 개의 시대로 구분하지만 그 자신만의 독특한 3시대를 주장하였다. 이러한 것은 도교적 영향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길선주는 그의 [만 셩ㅊ]에서 천국에 가는 자들 가운데에는 동중서(董仲舒), 이태백(李太白), 요(堯)임금, 순(舜)임금, 우(禹)임금, 공자, 석가모니, 사도 바울, 그리고 예수가 있음을 말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예수가 구주인 것은 그가 열심히 기도하고 전도하면서 착한 일을 많이 행하였고, 또한 고난을 참고 이겼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길선주는 1939년과 2002년에 예수가 공중 재림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스스로가 전천년론자임을 내세우고 있지만 그의 이론에서 들어나는 바와 같이 그는 분명한 세대주의 전천년론자이다. 이명직은 예수의 재림이 영에 대한 고결한 소망이며, 행복스러운 소망이라고 하면서 스스로가 전천년론자임을 밝히고 있다. 이명직은 그의 저서 [그리스도 내림]에서 처음으로 '휴거'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명직 역시 길선주처럼 예수의 이중 재림과 이중 부활을 주장하였는데 이러한 것으로 미루어볼 때 그는 세대주의적 전천년론자였다고 말할 수 있다. 박형룡은 한국 교회에 상당한 위치를 구축하였으며 역사적 전천년설과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에서 비롯되는 모호성을 지적하고, 나아가서 이 두설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구분하면서 한국교회 장로교회의 신학적 전통을 역사적 전천년설이라는 것을 확립한 신학자였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천년론을 강요하지 않았다. 그는 예수의 재림과 하나님 나라의 완성을 더 중요하게 보았다. 그러나 이들의 이러한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은 현재 개혁교회의 천년왕국 신앙에서는 인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들이 주장하는 이중 재림과 이중 부활도 개혁주의 신학에서는 인정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성경에서 예수의 두 번 재림에 대한 내용적 근거를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예수는 역사의 마지막 날에 한 번 재림하며 죽었던 모든 자들이 그 날에는 부활하게 되고, 그 날에 산 자와 죽은 자들이 모두 예수 앞에서 심판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 성경에서의 정론이다. 대부분의 한국 개혁교회는 그들의 헌법에 웨스트민스트 신앙고백을 모태로 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런데 12신조를 비롯한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한국기독교장로회,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가 고백하고 있는 헌법에서의 신앙고백 내지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서는 무천년설을 주장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반면에 한국기독교침례회에서는 천년왕국 신앙에 대한 여러 견해들의 차이 때문에 신앙인의 믿음을 시험해서는 안 된다는 이유를 근거로 전천년설과 무천년설에 대한 자유로운 선택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 한국 개혁교회는 일치된 천년왕국 신앙을 말하지 않고 있다. 각 교단에 따라서 받아들이는 천년왕국 신앙이 다를 뿐만 아니라 같은 교단 내에서도 각기 다른 천년왕국 신앙을 받아들이고 있다. 이처럼 일치되지 않는 다양한 천년왕국 신앙, 예를 들어서 침례교단이 주장하는 것처럼 다양성 속의 일치라는 장점을 주장할 수 있겠지만 그러나 이것이 또 다른 이단의 출현을 제공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세대주의적 전천년설과 역사적 전천년설의 발흥이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에서의 암울했던 시대적인 상황과 한국인의 내면에 자리를 잡고 있는 종교심성, 그리고 초기 선교사들의 천년왕국신앙관 등이 특수한 상황적 조건과 서로 조합되면서 일어난 현상이었다는 사실을 한국 개혁교회신학자들은 수용해야 할 것이다. When the gospel was introduced to Korea, there was a debate over fundamentalism versus modernism in the western society from 1885 to 1910. In particular, after the Civil War in the United States, World War I & II and the Great Depression caused optimism to collapse and Postmillennialism to decline and, as a result, Premillennialism which had pessimistic view of history became prevalent. Therefore, a number of missionaries who were sent from the United States believed in Premillennialism by the coming of Jesus and most missionaries in Korea also believed so. At that time, Korea was in serious crisis because of the forced opening of a port, the collapse of feudalism and the harsh exploitation, etc. Also, outside the country, western forces were fighting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se situations motivated Premillennialism to be rooted in Christianity through the harsh ruling of Japan. Above all, the ruling of Japan was one of the main factors for Premillennialism to prevail in Korean church. In addition, another reason for it is Korean people's religious inclination. Korean people desired the idealistic society of Taoism because they suffered deeply. Such Christians as Sunjoo Gil and Jongsup Kim who converted to Christianity had believed in Taoism. They were able to accept the idea of salvation and heavenly kingdom because it was similar to the idea of an immortal of Taoism and earthly paradise. Also, the millenniallism of early missionar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preading Premillennialism. In fact, most missionaries who were sent before 1909 accepted Premillennialism. Such early missionaries as Gale, Baewiryang, and Soanron divided the human history into seven ages and followed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arguing double coming and double resurrection of Christ. On the other hand, Sunjoo Gil clarifies the second coming of Jesus in his original work "The Last Age" and follows Premillennialism. Though he divides the human history into seven ages like early missionaries, he argues his unique three ages. This seems to be influenced by Taoism. In particular, he states in his work "Everything Fulfilled" that Dongjungsu, Leetaebek, King Yo, King Soon, King Woo, Confucius, Buddha, Apostle Paul, and Jesus enter the heavenly kingdom. He says that Jesus is our savior because he prayed, preached zealously, and did many good works. Above all, Sunjoo Gil said that Jesus would come again from the air in 1939 and 2002. He regarded himself as a Premillennialist, but he was a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t. Also, Myungjik Lee says that he himself is a Premillennialist stating that the coming of Christ is a noble desire and blessed hope. He first uses the term "Rapture" in his work "The Coming of Christ." In particular, he is a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t like Sunjoo Gil in that he argues double coming and double resurrection of Christ. Hyungryong Park clearly distinguished Historic Premillennialism from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and confirmed that the theology of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is Historic Premillennialism. Nevertheless, he did not compel his theology of Millennialsim to others. The coming again of Jesus Christ and the fulfillment of the Kingdom of God were more important to him. Today, however, the reformed churches do not accept this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The reformed theology does not accept double coming and double resurrection, either. Above all, there is no ground in the Scripture for double coming of Jesus. Jesus will come once in the last day and all who died will resurrect in that day and there will be judgment before the Lord for the living people and the dead people. Most reformed churches in Korea state in their constitution that they are founded on Westminster Confession. 12 Creeds, the constitutions of the Presbyterian Churches of Korea, and Westminster Confession show that they support Amillennialism. On the other hand, the Korea Baptist Convention allows people to choose freely between Premillennialism and Amillennialism because different views on Millennialism are not essential to the faith. Consequently, the reformed churches in Korea do not express the same view on Millennialism. It is different among denominations and even within the same denomination. Although these various views on Millennialism can be supported for the accord in diversity as Baptists argue, we should not overlook that it can cause another heresy to appear. It should be accepted by Korean reformed theologians that the prevalence of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and Historic Premillennialism in Korea results from the combination of the harsh ruling of Japan, religious inclination of Korean people, and view of early missionaries on Millennialism.

      • 개혁신학에 나타난 십계명 연구 : 칼빈과 개혁교회 신앙고백서를 중심으로

        정진효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개혁교회 윤리규범의 뿌리인 십계명이 칼빈의 신학과 개혁교회의 신앙고백에 과연 어떻게 적용되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먼저 개혁신학을 선구한 칼빈 자신의 십계명 사용을 살펴보고, 그 다음 종교 개혁기에 작성되어 개혁신학의 토대를 놓은 신앙고백서 즉 벨직 신앙고백서,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 제2스위스 신앙고백서, 그리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서의 십계명의 위치와 의미를 연구하고자 한다. 칼빈은 기독교강요에서 율법을 하나님과 인간 사이를 연결시키는 ‘관계의 형식’이라는 틀에서 ‘긍정적인 규범’으로 보면서, 율법의 적극적인 기능인 율법의 제3용법을 강조한다. 루터는 ‘율법과 복음’이라고 하고, 칼빈은 ‘복음과 율법’이라고 하는 점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칼빈은 율법을 통한 죄 인식과 율법의 삶의 규범성을 강조한다고 보겠다. 칼빈은 율법이 기독교인에게 삶의 규범이 되고, 성령께서 율법을 지키도록 확증해주시므로, 율법과 성령은 함께 기독교인들을 변화시키고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고 했다. 벨직신앙고백서는 제25장에서 십계명을 포함하는 율법은 도덕법으로서 신자에게 삶의 규범이 됨을 간략하게 말한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은 십계명이 신자들의 감사의 삶(성화)의 방편임을 강조한다. 제2스위스 신앙고백은 전반적으로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임을 강조하면서, 십계명을 포함하는 율법은 하나님의 모든 뜻과 삶의 모든 영역을 위해서 꼭 필요한 도덕적 명령들을 가르치고 있다고 가르친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은 십계명을 포함하는 율법이 성화의 삶의 규범이기는 하지만, 이를 주도하는 것은 성령이심을 강조한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정신은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및 소요리문답에도 그대로 나타난다. 인간은 전적으로 타락해 있기에, 구원과정에서부터 이미 성령께서 역사하시므로, 구원 받은 성도는 구원의 삶, 즉 성화의 삶을 삶에 있어서 하나님의 뜻을 보여주는 십계명을 성령의 도우심으로 지켜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개혁신학은 전반적으로 십계명은 기독교 윤리를 간결하게 정리해 놓은 것으로서 우리의 삶을 위한 뛰어난 법칙이 됨을 강조한다. 기독교윤리는 다른 것이 아니라 십계명 속에 간결하게 요점적으로 들어 있는 것이요, 또한 그밖에 성경 전체를 통틀어서 조명되고 해석된다는 것이다. 성화의 삶은 신자 개인의 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밝힌 십계명을 통하여 성령께서 성화의 삶을 주도하시고 이끌어 가심을 밝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en Commandments (TC) are dealt with in the theology of John Calvin as well as in the Reformed Confessions and Catechisms. First we will study how Calvin handles TC in his Institutes of Christian Religion and the Catechism of the Church of Geneva. Then we will check the importance and meaning of TC in the Reformed Confessions and Catechisms: the Belgic Confession of Faith, the Heidelberg Catechism, the Second Helvetic Confession,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and the Westminster Larger and Shorter Catechisms. John Calving in his Institutes sees the Law with TC as a positive norm, which takes the form of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s, emphasizing the third (moral) use of the Law. Martin Luther speaks of “the Law and the Gospel,” while Calvin talks of “the Gospel and the Law”: so the latter puts emphasis on the Law as a way to know one’s sin and a norm for everyday life. Calvin also stresses the Holy Spirit’s working in this process: the Spirit convinces us of our sin through the Law, especially TC. The Belgic Confession deals with TC in the name of the Law in Chapter 25: it is a moral law becoming a norm for Christian life. TC in the Heidelberg Catechism is a way of life with gratitude, which is done only according to God’s will as it is known in TC. The Second Helvetic Confession emphasizes the nature of the Bible as the Word of God, and in that sense also stresses the Law with TC as teaching the moral laws which are necessary for Christian life.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teaches the Law with TC as the norm of sanctification, but it is the Holy Spirit that leads the Law to work for Christians. This meaning is also reflected in the Westminster Larger and Shorter Catechisms. Humans are totally depraved, and they surely need God’s irresistible working: and it is the Holy Spirit, who has not worked only in our justification, but in our sanctification but with the Law with TC, which clearly shows God’s will for us. The Reformed theology in general regards the Ten Commandments as a supreme norm for Christian life. TC clearly reveals the Christian ethic as a summary form, but it may be interpreted through the Holy Scriptures as the Word of God. Sanctification is not something we can achieve by ourselves, rather it is what the Holy Spirit works in us but with the help of the Holy Scriptures, whose clear moral teaching is TC.

      • 초기 한국장로교회에 있어서 헌법의 형성과정 및 내용에 관한 연구 : 곽안련 선교사(Rev. Dr. Charles Allen Clark)의 역할을 중심으로

        전재홍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한국장로교회의 법적이고 신학적이며 신앙적인 근저가 되는 한국장로교회헌법에 대해서 헌법의 역사적인 과정, 즉 준비, 제정, 개정 등의 과정과 또한 각 시대의 헌법을 서로 비교 분석하여 한국장로교회의 헌법의 근저를 살펴봄으로 이러한 변천의 과정 속에서 곽안련 선교사가 헌법의 제정자로서 신학의 정립자로서 어떠한 역할들을 수행했는지에 대해서 밝히고자 본 주제를 연구하게 되었다. 한국장로교회헌법의 시작은 역사적인 초기적 헌법이라고 할 수 있는 1891년의 “북장로교 선교회 규범과 세칙(Presbyterian Northern Mission Rules and By-Laws)”에서부터라고 할 수 있으나 실질적이고 형식적이고 절차적으로의 헌법의 시작은 1907년 독노회가 조직되면서 신경과 정치를 제정하고 채용하여 사용함으로 시작되었다. 그 후의 한국교회 자체가 작성한 완전한 헌법이라고 하는 헌법은 수년간의 연구 끝에 1921년 제10회 총회에서 완비한 “조선장로회 헌법”이고, 이는 1922년 제11회 총회에서 정식으로 완전한 헌법으로 채택되었으며 그 내용은 신조, 성경요리문답, 조선예수교장로회정치, 예배모범, 권징조례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러한 한국장로교회헌법의 제정의 준비와 과정 속에서 곽안련 선교사는 한국교회가 전통적인 장로교주의 형태로 발전하도록 그 기초 작업을 했으며, 특히 한국장로교회헌법 제정과 보급을 위해서도 노력하였다. 특히 1909년에서 1921년까지의 기간 동안은 한국장로교 노회와 총회의 헌법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헌법의 초안을 작성하여 한국장로교회 헌법 제정을 위해 주도적이고 독보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에 관해 곽안련 선교사는 그의 회고록에서 “신학교 교회 교수로서 나는 한국 교회의 헌법 즉 1919년의 헌법과 1925년의 개정헌법을 초안하였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곽안련 선교사는 헌법 제정의 초안자로서 선교지인 한국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 한국장로교회 헌법임을 인식하고 헌법 제정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였다. 그리고 곽안련 선교사는 헌법의 내용에 대해서도 확증하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한 인물이다. 본 논문을 통하여 한국장로교회의 토대를 마련한 곽안련 선교사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한국장로교회의 근간을 이루는 헌법에 대한 연구와 일반 교인들에게 헌법이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임을 깨닫게 되는 출발점이 되고 체계화 되어 가는 과정의 기초가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ses the historical process of Constitution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which is regarded as the lawful, theological, and Christian foundation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and researches its preparation, enactment, and revision in order to reveal what primary roles had been played in the process of enactment by the missionary Charles Allen Clark, who was a legislator of constitution and a founder of theology. The Constitution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begins with the Presbyterian Northern Mission Rules and By-Laws in 1891, which is the first law in the church history, but the more practical and formal constitution begins in 1907 when the independent Korean Presbyterian association was organized and the creed and politics in churches were established and adopted. The whole constitution enacted by the Korean churches is Constitu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Joseon, which was completed in the general assembly in 1921 and authorized as complete constitution in the following year's general assembly. The constitution consisted of creed, catechism, politics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Joseon, directory for worship, rules of discipline, and so on. The missionary Charles Allen Clark's devotion to the foundation work in order to make Korean churches develop into the typical presbyterian church during the process of preparation and enactment of the Constitution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and his academic achievement for enactment and promotion of the Constitution need to be reevaluated in the Korean church history. He played a major role as a member of the Korean Presbytery and the General Assembly especially from 1909 to 1921 when the draft of constitution was framed and enacted. In his memoirs, the missionary Charles Allen Clark records “I, as a professor of church at a seminary, prepared the draft of the Korean church, that is, the draft of the 1919 constitution and amendment of the 1925 constitution.” The missionary Charles Allen Clark realized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his mission in Korea was the constitution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and contributed himself to verifying and diffusing the constitution and its education. Through this dissertation I hope we can get a stepping stone to make it possible that the missionary Charles Allen Clark can be considered in a new light and the constitution can be more easily approached and researched by lay people.

      • 초기 한국 장로교회 정치제도에 나타난 민주정치에 관한 연구 : 곽안련 역술, 敎會政治問答條例를 중심으로

        장삼식 계명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곽안련(Charles Allen Clark) 선교사의 敎會政治問答條例를 중심으로 초기 한국 장로교회의 정치제도에 나타난 민주적 교회정치에 관해 분석한 것이다. 한국 교회는 네비우스 선교정책을 기반으로 급속히 성장하기 시작했다. 자전(Self-propagation), 자립(Self-support), 자치(Self-government)를 핵심적인 원리로 하는 네비우스 선교정책은 한국 장로교회의 민주적 정치제도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 원리는 민주주의의 핵심 가치라 할 수 있는 자유와 책임 정신을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 한국 장로교회는 1907년 역사적인 독노회를 조직하고 1904년 인도 장로교회가 채택한 12신조와 정치규칙을 차용한 헌법을 임시로 채택하였다. 그 후 1912년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를 조직한 한국 장로교회는 완전한 헌법과 정치규칙을 제정하기로 하고, 1915년 정치편집위원회를 구성했다. 곽안련 선교사는 1917년에 하지(J. A. Hodge)의 책을 역술하여 敎會政治問答條例를 출간했으며, 이 책은 한국 장로교회 정치의 참고도서로 채택되었다. 敎會政治問答條例에 의하면 장로교 정치제도는 양심과 신앙의 자유를 바탕으로 대의제 민주정치와 영적 리더십과 회중 리더십의 분립과 균형, 그리고 당회, 노회, 총회와 같은 삼심제 치리기구를 통해 민주적 교회정치를 실현하고 있다. 이러한 장로교회의 민주정치는 근대 민주정치의 토대가 되었으며, 한국 장로교회에서 경험되고 실천된 교회 내의 민주정치는 일본 제국주의의 국권 침탈과 압제 하에서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한 강한 열망을 바탕으로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 발전과 민주적 문화 형성에 크게 공헌하였다. This paper is to analyse on the democratic church polity in The Political System of the early Korean Presbyterian Church mainly based on The book of the Ordinance of Catechism on Church Polity by Rev. Dr. Charles Allen Clark. The Korean Church began to develop rapidly based on the Nevius Mission Plan. The Nevius Mission Plan whose central principles are Self-propagation, Self-support and Self-government have crucially influenc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democracy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These principles are based on the essential values of democracy - freedom and responsibility.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organized a historic independent presbytery in 1907 and temporarily adopted the constitution borrowed from 12 creed and the political rules accepted by the Indian Presbyterian Church. Afterwards,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organized 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y in Korea in 1912 and the Council for the compilation of politics in 1915 for the purpose of the enactment of a constitution and political rules. Rev. Dr. Charles Allen Clark translated The book by J. A. Hodge) and published it as The Book of the Ordinance of Catechism on Church Polity in 1917. And the book was officially adopted as a reference book of the politics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According to The book of The Ordinance of Catechism on Church Polity the political system of the presbyterian church has realised democratic church polity through representative democracy based on freedom of conscience and of worship, a separation and balance between the spiritual leadership of a minister and the congregational leadership of an elder AND three trial ruling system as session, presbytery AND general assembly. These formed the basis of modern democracy. Democracy realized i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democracy and democratic cultur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