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성인의 고혈압 인지, 치료 및 조절에 연관된 건강 관련 행태에 관한 연구

        원종혜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조사항목 중 검진조사 및 건강설문조사에 참여한 만 30세 이상 대상자 총 17,292명 중에서 고혈압 유병자 4,571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고혈압 관리지표인 인지율, 치료율, 조절률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자료는 SPSS 20.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t-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혈압환자의 인지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 요인은 연령은 30대가 가장 낮았고 70세 이상이 가장 높았다. 교육수준이 초졸 이하인 경우에 비해 중졸인 경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직업이 관리자, 전문가관련 종사자인 경우에 비해 농림어업숙련 종사자인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매우 좋음인 경우에 비해 매우 나쁨인 경우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체질량지수가 정상인 경우에 비해 과체중인 경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검진 실시한 경우에 비해 미실시한 경우, 비흡연자에 비해 흡연자에서 유의하게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고혈압 환자의 치료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 요인은 연령은 30대에 비해 70세 이상인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매우 좋음인 경우에 비해 매우 나쁨인 경우, 체질량지수가 정상인 경우에 비해 비만인 경우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검진을 받은 경우에 비해 받지 않은 경우, 비흡연자에 비해 흡연자가 유의하게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고혈압 환자의 조절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 요인은 남자에 비해 여자인 경우, 기혼자에 비해 미혼자인 경우, 교육수준이 초졸 이하인 경우에 비해 고졸인 경우에서 유의하게 낮은 결과가 나타났고, 걷기운동을 실천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실천하는 경우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 유병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식생활 행태 및 가족력에 대한 변수를 고려하지 않았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고혈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과 변수들의 차이를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에 비해 인지율과 치료율은 높게 나타난 반면 조절률은 낮게 나타났다. 이는 고혈압 유병자 중 60대 이상이 68.5%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고연령층에서 혈압 조절이 잘되지 않아 낮은 비율은 나타낸 것이라 여겨지며, 추후 고혈압 관리계획을 수립할 때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취약계층을 파악하여 고혈압 관리사업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선택적으로 집중 관리하는 체계적인 정책적 대안이 필요하다.

      • 한국의 임금 근로자에서 배우자의 주당 근로시간과 수면 문제와의 관계

        박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제5차 근로환경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임금 근로자에서 배우자의 주당 근로 시간과 수면 문제와의 관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5차 근로환경조사에 임금 근로자 14,921 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개인적 및 직업적 특성, 수면 문제는 설문지를 통해 확인하였다. 통계분석에서는 SPSS 25.0을 사용하여 카이제곱 검정 및 개인적, 직업적 특성을 보정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배우자가 일주일에 40시간 미만으로 일한 사람들과 비교하였을 때, 배우자가 일주일에 52시간을 초과하여 일하는 근로자들이 잠들기가 어렵거나, 자는 동안 반복적으로 깨어나고, 기진맥진함 또는 극도의 피곤함을 느끼며 깨어날 위험이 크게 높아졌다 (odds ratio [OR]: 1.40, 95% confidence interval [CI]: 1.16–1.70; OR: 1.50, 95% CI: 1.23–1.82; OR: 1.51, 95% CI: 1.24–1.83).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배우자의 주당 근로 시간과 임금 근로자들의 수면 문제와의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순천향대학교 기숙사에 거주하는 한국학생들의 아침식사 거르기 관련 영양 지식

        통캄나파라이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Background: Breakfast skipping is considered a public health problem among individuals all over the world. One of the determinants of dietary behavior has been revealed to be nutrition knowledge. As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the link between nutrition knowledge and breakfast skipping. Methods: A qualitative study was done on Korean students living in dormitory at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Korea.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accordance with WHO guidelines for social distance and protective equipment use. Convenience sampling is used in this study, and the participants are given the questionnaire directly. For analysis, the data is translated into English and processed using the open-source R Program version 4.0.3. Results: There are is total 86 Korean participates (44 female and 42 male), According to the result,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were studied in a science major with 51.16%, while 48.84% did not. According to the study's conclusions, the overall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on nutrition between the two group who eating breakfast (M=5.75, SD=1.14) and skipping breakfast (M=5.45, SD=1.29), t (84) = 1.1082, P= 0.27. Although no significant was seen, the mean score of eating breakfast group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skipping breakfast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cross-sectional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the nutrition knowledge level is influence to skipping breakfast among Korean students. Therefore, it’s possible that breakfast skipping occurred as a result of little information about nutrition and food. To develop a plan for modifying eating behavior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kfast skipping and nutrition knowledge, as well as other aspects connected to skipping breakfast.

      • 췌장암 환자의 삶의 의미,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김유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췌장암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치명적인 암 중의 하나로 조기 진단이 어려워 10~20%의 환자만이 수술치료가 가능하며, 췌장암 환자의 5년 상대 생존율은 12.6%로 다른 암환자와 비교하여 가장 낮은 수치이다. 낮은 완치율과 더불어 췌장암 환자는 다른 암환자와 비교하여 환자들이 경험하는 불안, 우울과 같은 디스트레스가 비교적 높은 동시에 삶의 질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암 환자들이 모두 절망 속에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비록 암 진단과 치료가 환자의 디스트레스를 유발하지만, 암 생존자들은 동시에 사건 이후 개인의 과거 적응 수준, 심리적 기능 수준을 초월한 외상 후 성장을 경험한다. 따라서 암 진단 이후의 삶에서 정서적, 심리적으로 성숙되는 변화를 위한 간호 중재는 환자에게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췌장암 환자들의 외상 후 성장 정도를 확인하여 관련요인 간의 상관관계 및 외상 후 성장에 관련된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췌장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를 개발하는 데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1년 2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서울 소재 일개 종합병원의 종양내과 센터 외래를 방문하거나 입원한 췌장암 환자 118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자가 보고식 설문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나이는 평균 63.33세이며, 대상자의 68.7%가 60세 이상이었다. 진단 후 경과 기간은 평균 13.57개월이었으며, 췌장암 환자의 질병단계는 3기가 57명(48.3%)으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삶의 의미는 평균 94.94점이었고, 사회적 지지는 평균 44.05점, 외상 후 성장은 평균 46.28점이었다. 대상자의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 외상 후 성장은 서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외상 후 성장은 삶의 의미와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췌장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 관련요인은 결혼 상태, 삶의 의미, 사회적 지지였으며, 외상 후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삶의 의미로 나타났다. 따라서, 췌장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삶의 의미 수준을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간호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췌장암 환자의 외상 경험 이후 부정적 증상만이 아닌 긍정적인 변화와 성장에 대해 탐색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나아가 췌장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 정도 및 관련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사가 암 진단이 환자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환자가 외상 후 성장 과정에서 보이는 긍정적 변화를 자각하도록 도움으로써, 외상 후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Pancreatic cancer is one of the deadliest cancers in the world, and early detection is often difficult. So only 10 to 20 percent of patients can be treated with surgery. The five-year survival rate of pancreatic cancer patients is 12.6%, the lowest compared to other cancer patients. In addition to the low survival rate, pancreatic cancer patients had relatively high stres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compared to other cancer patients, while at the same time having very low quality of life. But not all cancer patients lived in despair. Although cancer diagnosis and treatment caused distress in patients, cancer survivors simultaneously experienced post-traumatic growth, which leads to growth beyond an individual's past adaptation level and psychological function level after a traumatic event or highly challenging life circumstances.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 fo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growth in life after cancer diagnosis is critical to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s among meaning in life,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posttraumatic growth in pancreatic cancer patients. A sample of 118 pancreatic cancer patients who visited an outpatient clinic and inpatient units in an oncology center in Seoul were infilled from February 2021 to March 2021.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survey tool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PSS 26.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verage age of participants in the study was 63.33, with 68.7% of participants aged 60 or older. The average time since diagnosis was 13.57 months, and the third stage of the disease was the highest with 57 patients (48.3%). The average score of meaning in life was 94.94, social support was 44.05 and post-traumatic growth was 46.28. The meaning in life,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meaning in life had the highest correlation (r=.63, p<.01). I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adjusted R2=.48, p<.001), marital status (β=-.14, p=.04), meaning in life (β=.44, p<.001), and social support (β=.27, p=.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Nursing interventions that provide social support and promote meaning in life are needed to facilitate posttraumatic growth in pancreatic cancer pati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amining positive changes and growth, not just negative symptoms, after the traumatic experience of pancreatic cancer patients. Furthermore, by identifying the degree of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factors of pancreatic cancer patients, clinicians will be able to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by integrating an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cancer diagnosis on patients' lives and helping patients become aware of the emergence of growth following a cancer diagnosis.

      •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in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유혜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have diminished average life expectancy compared to the general population. Eighty-five percent of those with severe mental illness, including schizophrenia are diagnosed with chronic physical illness and 60 % of these premature deaths are preventable through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re is a great need for empirical data to assess the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especially guided by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comprehensively evaluates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Information Behavioral Skills Model with respect to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via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This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and correlational stud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to explain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predict factors related to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Two hundred and twent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t an outpatient clinic in Seoul, South Korea. Participants were included if they were adults (19 years or older) who had a diagnosis of schizophrenia.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May 25, 2021 to August 2, 2021. A total of 202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In this research, two different types of models were compared: Model 1, a model without adding variables related to schizophrenia, vs. Model 2, a model with added variables that are related to schizophrenia (psychiatric symptoms and daily antipsychotic dosage. Model 1 (Normed X2 = 2.354, RMSEA = .082, TLI= .939, X2=329 (p<.001), AGFI=.791, GFI =.846, CFI = .950) and Model 2 (Normed X2 = 2.240, RMSEA = .079, TLI= .926, X2=562.2 (p<.001), AGFI=.830, GFI =.814, CFI = .938)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in model fit. However, Model 2 showed slightly better explanatory power (50%)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compared to Model 1 (48%). Therefore, Model 2 was confirmed as the final model in this research. The finalized model explains that, out of the seven pathways, five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Health knowledge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or total effect on health-promoting behaviors. Social support and psychiatric symptoms had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on health promotion through a mediating variable. To impro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it is crucial to create and implement intervention programs that enhance self-efficacy. 조현병 환자들의 평균수명은 일반인구보다 월등히 짧은 것으로 알려 있다. 조현병 포함 만성정신질환자의 85%가 만성 신체 질환을 동반하고 있으며, 이들의 조기 사망의 60% 이상은 건강한 생활습관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구조모형 구축 연구로서 선행연구의 고찰에 근거하여 조현병 환자들의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는 요인들에 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횡단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모형의 적합성을 검정하고자 하는 구조모형 검증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1년 5월 25일부터 2021년 8월 2일까지 S시 정신과 외래를 이용하며 만 19세 이상의 인지장애가 없는 성인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총 220부가 수거되었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18부를 제외하고 최종 20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와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현병과 관련된 변수를 추가하지 않은 모델 (모델 1) 과 ‘정신과적 증상’과 ‘일일 항정신과약물 복용량’ 변수가 추가된 모델 (모델 2) 가 제시되었다. 모델 1의 모형 적합도는 Normed X2 = 2.354, RMSEA = .082, T’LI = .939, X 2 = 329, AGFI = .791, GFI = .846, CFI = .950로 권장 수준을 만족하였으며 model 2의 모형적합도는 Normed X2 = 2.240, RMSEA = .079, TLI = .926, X2 = 562.2, AGFI = .830, GFI =.814, CFI = .938 이었다. 모델2도 모형적합도 권장수준을 만족하였다. 두 모델의 모형적합도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모델2의 설명력(50%)이 모델1(48%) 보다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델 2가 본 연구의 최종 모델로 확정되었다. 최종모형에서는 설정한 7개의 경로 중 5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면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50%였다.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사회적 지지,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 정신과적 증상이었다. 조현병 환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사회적 지지, 정신과적 증상과 자기효능감을 매개한 직접 효과, 간접 효과, 총효과는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건강관련 지식의 직접효과, 총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하여 자기효능감의 직접 효과와 총효과는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조현병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조현병 환자의 건강 증진행위를 강화하기 위하여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 수평적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를 위한 비폭력대화 기반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

        남수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간호사들 간의 수평적 폭력(lateral violence)은 대인관계 갈등의 일면으로 간호 실무 현장에서 극심한 사회적 스트레스원 중 하나이다. 수평적 폭력은 간호사 개개인 및 의료기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환자의 안전에도 위협이 될 수 있으므로 주목해야 할 문제이다. 수평적 폭력은 의사소통이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대인관계 갈등 및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개선하고 타인과 관계를 재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재 기법인 비폭력 대화가 수평적 폭력의 대처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평적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의 스트레스 관리와 대처 증진을 위해 비폭력대화 기반 의사소통 중재를 구성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수평적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비폭력대화 기반 의사소통 중재를 적용하고 중재가 스트레스, 대인관계, 수평적 폭력, 감정표현, 공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비동등성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A시 소재 일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 중 수평적 폭력을 경험하고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들이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중재는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을 수평적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들의 경험과 사례에 적합하도록 수정 및 보완하고 전문가 자문 및 타당도 검증을 통해 구성하였다. 실험군에게는 주 2회 60분 간 총 6회기에 걸쳐 중재를 제공하였으며, 대조군에게도 실험군과 동일한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음을 설명하여 사전, 사후 조사 완료 후 참여를 원한 이들이 중재에 참여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자 1인이 중재를 진행하기 전 두 군에게 사전조사를 시행하고 실험군은 중재 종결 직후인 3주 후, 대조군은 중재 제공 없이 3주 후 사후 조사를 진행하였다. 최종 분석 대상은 실험군 21명, 대조군 17명으로 총 38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통계의 유의수준은 p< .05로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사전 종속 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중재에 참여한 실험군의 스트레스, 대인관계, 감정표현 점수의 변화량은 대조군의 변화량보다 유의하게 컸다. 중재 전, 후 수평적 폭력, 공감 점수의 변화 양상은 실험군,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시행된 비폭력대화 기반 의사소통 중재는 연구 참여자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대인관계와 감정표현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수평적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들로 하여금 스트레스를 보다 적응적인 방법으로 관리하고 스스로에 대한 이해와 자기 표현의 기회를 통해 수평적 폭력의 상황을 직면해 낼 수 있는 대처 자원을 획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수평적 폭력에 대한 실질적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수평적 폭력과 공감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중재의 지속 기간을 늘리고, 보다 많은 대상자에게 적용하여 결과를 반복 검증할 것을 제언한다. Lateral violence among nurses is an aspect of interpersonal conflict that is one of the most severe social stressors in nursing practice. This is an issue that must be addressed as both individual nurses and medical institutions are adversely affected by lateral violence, in which can further threaten patient safety. As communication is a key factor in lateral violence, utilizing nonviolent communication, an interventional technique aimed at improving interpersonal conflicts and rebuild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can help in dealing with the detrimental effects of lateral violenc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onviolent communication-based intervention that was constructed and applied to enhance the stress management and coping abilities of nurses who experienced lateral violence. The following research was conducted as a quasi-experiment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ed to apply standardized Non-violent Communication (NVC) for nurses who experienced lateral violence.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on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lateral violence, emotional expression, and empath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urses working at a general hospital in city A, who experienced lateral violence and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intervention of this study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nurses’ experiences with lateral violence, and further constructed through expert advice and valida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a total of 6 interventions, 60 minutes each and twice a week. The control group was informed that the same intervention could be offered to them as well, in which those who wanted to participate were able to do so after completing the preliminary and post-intervention survey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one researcher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on both groups before proceeding with the intervention, post-intervention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3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as well as the control group that was not provided intervention. Final analysis subjects were 21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7 in the control group, a total of 38 peop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and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statistics was set to p < .05. While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bl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variations on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emotional expression were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Lateral violence and empathy, on the other hand,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is study, nonviolent communication-based intervention was found to reduce the stress and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motional expression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nurses who suffered from lateral violence could manage their stress in a more adaptive method and acquire coping resources to deal with lateral violence through opportunities of self-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emotions. In addi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use of base data in arranging practical measures against lateral violence in the future. For future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on lateral violence and empathy, it is recommended to increase the duration of the intervention, apply it to more subjects, and repeatedly verify the results.

      • 정신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외상 후 성장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문정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정신간호사는 업무 중 환자 및 보호자로부터 외상을 경험할 위험이 크다.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의 긍정적 속성에 초점을 맞추어, 긍정심리자본, 외상 후 성장, 직무열의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정신과 병동에서 1년 이상의 임상 실무경험이 있고, 현재 정신과 병동에서 임상간호사로 근무를 하고 있으며, 정신과 근무 중 환자 및 보호자로부터 외상 경험이 1회 이상이 있는 정신간호사 8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정신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은 성별, 학력, 근무지 규모, 직위, 근무형태, 외상 후 경과시간을 통제한 상태에서 직무열의와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 외상 후 성장은 직무열의와 중간정도의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다른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는 더이상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연구는 정신간호사의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해서는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근거를 제공한다. Psychiatric nurses are at high risk of experiencing trauma from their work with patients and guardian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focusing on positive attributes such as positive experiences, growth related to work, and work engag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capital, post-traumatic growth, and work engagement, and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work engagement of psychiatric nurses. This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using an online survey of psychiatric nurses who are working as clinical nurses in psychiatric ward, who have worked in psychiatry for more than 1 year, and who have had at least one traumatic experience from patients and guardians while working in psychiatry. Baseline data from 83 registered nurses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study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of psychiatric nurses and their work engagement, controlling for factors such as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type of hospital, clinical position, working style, and time since traumatic event. The correlation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work engagement of psychiatric nurses was only significant when the influence of other variables was not controlled. Therefore, improving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psychiatric nurses is an effective method of increasing their work engagement.

      • 한국인의 노년기 심혈관 질환 위험도와 직업적 요인과의 관련성 연구

        박현 순천향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Objectiv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occupational factor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older Koreans using Framingham risk sc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inking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of older workers would affect cardiovascular disease. Methods We analyzed 4,333 participants aged 50 to 65 and calculated the Framingham Risk Score (FRS) that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methods of predicting cardiovascular disease considering associated factors using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n 2014-2016 . General linear analysis of complex sample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ccupational factors (occupation type, working statu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fter adjusting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related to cardiovascular condition. Results The risk score was generally lower in employed groups compared with the unemployed group. The full-time salary group of the working statu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risk score than the unemployed group both men (FRS : 19.98, 95% CI : (-3.70, -0.41)) and women (FRS : 7.96, 95% CI : (-1.11, -0.75)). The manual group (FRS : 7.94, 95% CI : (-1.17,-0.08)) of occupation type had lower risk score than the unemployed group in women.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Framingham risk scores (FRS) of the manual group of occupation type and the salary (full time) group of working statu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unemployed group after adjusting for general characteristics in older Koreans. This supports that social productive activit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older people and occupational factors (occupation and working status) are also relevant.

      • 한국인의 노년기 우울감과 경제활동 및 직업과의 관련성 연구

        박현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Koreans and identified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occupational factors. Methods :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 (2010–2012) were used to analyze 7,320 participants aged 55 years or older.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adjusting general characteristics to determine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occupational factors. Results : Among older Korean men,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the employed and the non-employed groups were 9.9% and 13.7%, respectively. Employment statu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fter adjusting for general factors (OR: 0.69, 95% CI: 0.49–0.97). Among older Korean women,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the employed and the non-employed groups were 17.4% and 20.3%, respectively, but employment status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Second skill level occupational groups (clerks, plant and machine operators) in particular showed significantly lower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than the non-employed group of men (9.3% vs 13.7%). By occupation type, the odds ratios were 0.31 (95% CI: 0.10–0.97, clerks) and 0.47 (95% CI: 0.23–0.86, plant and machine operators) adjusting for general factors. Conclusions : The employed group showed lower late-life depressive symptom prevalence than the non-employed group among older Korean men. In addition some second skill level occupations (clerks, plant and machine operat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depressive symptoms after adjusting for general factors in older Korean 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