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예능프로그램의 포맷 구성요소가 중국 시청자의 시청태도 및 시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판 런닝맨 <달려라 형제>를 중심으로

        무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is to study when South Korean variety show exports to China’s market, how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shows affect the view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degree of Chinese audience. It takes Running Man (Chinese version) as an example. In recent years, the variety shows which were bought from South Korea and produced in mainland have become a popular trend in China. And they were keenly welcomed and loved by Chinese audi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se particular shows. After the previous researches in this field, the writer found the relevant researches of view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degree lacking from the Chinese audience’s point of view. Thus the thesis is carried out. In order to make clear the effects, the writer ensures the constituent elements of variety show in this research are the performers, content settings, image and sound effects, and uniqueness. The viewing attitude means preferences or favorableness. The satisfaction degree means watching motivation and royalty. According to these, the writer makes sure the model and assumption of the research. A questionnaire-based analysis on Running Man (Chinese version) interviews 343 Chinese audiences. It selects 323 who have actually watched the show as respondents and explores the effects that South Korean variety shows bring to view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degree of Chinese audience. The writer sums up the following points to note from the investigation. Firstly, among the elements of the South Korean variety show, the actors, the performers, content settings, image and sound effects, and uniqueness as variable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udience's view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degree. Secondly, the uniqueness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hat has impact on the view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degree of Chinese audience. In other words, in order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udience's view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degree, the production companie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originality of the programs. Thirdly, among Chinese audience, preferences have a positive impact on watching motivation, as well as the royalty. Fourthly, although within a short time, the variety shows which were bought from South Korea and produced in mainland are praised and admired by Chinese audience, the production companies need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in the future according to any policy changes the relevant China’s government departments make. The research selects the most popular TV reality show Running Man (Chinese version) as the research object, study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South Korean variety show and how they affect the view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degree of Chinese audience. The writer believes that this research can become a valuable reference to the research papers of China and South Korea variety show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중국판 런닝맨 <달려라 형제>를 중심으로 한국 예능프로그램의 포맷 구성요소가 중국 시청자의 시청태도 및 시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할 목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최근 몇 년 간에 한국 예능프로그램 포맷을 수입하여 제작한 예능프로그램이 중국에서 유행으로 되었고 중국 시청자의 사랑도 많이 받았다. 이러므로 중국내 포맷 수출된 한국 예능프로그램에 대한 중국 시청자의 시청태도와 시청만족도는 어느 정도를 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예능프로그램의 포맷 구성요소에 대한 중국 시청자측면에 의해 시청태도 및 시청만족도의 결정요인이 무엇인지를 연구한 결과는 매우 드물다.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며 본 논문에서 해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국판 <달려라 형제>를 중심으로 한국 예능프로그램의 포맷 구성요소가 중국 시청자의 시청태도 및 시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문헌 연구를 통해 예능프로그램의 포맷 구성요소는 극적인요소, 내러티브, 화면음향특징, 독창성 4가지 요인으로 설정하고, 시청태도(선호도, 호감도)와 시청만족도(시청동기, 충성도)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고자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판 <달려라 형제>를 중심으로 한국 예능프로그램의 포맷 구성요소가 중국 시청자의 시청태도 및 시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중국인 시청자 총 343명, 이중 <달려라 형제>를 실제 시청한 중국 시청자 323명을 대상으로 실행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한국 예능프로그램의 포맷 구성요소와 중국 시청자의 시청태도, 시청만족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한국 예능프로그램의 포맷 구성요소가 중국 시청자의 시청태도 및 시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예능프로그램의 포맷 구성요소와 시청태도, 시청만족도 간의 분석한 결과 한국 예능프로그램 포맷 구성요소의 하위요인별 극적인 요소, 내러티브, 화면음향특징, 독창성은 시청태도의 하위요인별 선호도, 호감도와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시청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시청동기, 충성도와도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능프로그램의 포맷 구성요소 중에서 독창성은 시청자 시청태도 및 시청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즉 시청자의 시청태도 및 시청만족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독창성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청자의 시청태도에 의해 호감도는 시청자의 시청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선호도는 시청자의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의 예능프로그램 포맷을 수입한 중국 예능프로그램은 짧은 시간 안에 호평과 추앙을 받았지만, 양적, 질적으로 방송프로그램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 중국 정부의 문화정책에 따라 미래의 발전방향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제 중국에서 가장 인기를 있는 예능프로그램으로서 <달려라 형제>가 대표적으로 성공한 포맷 예능프로그램 사례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달려라 형제>를 중심으로 예능프로그램의 포맷 구성요소가 시청자의 시청태도와 시청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중국 시청자의 측면에서 살펴보았고 향후 예능프로그램의 포맷 구성요소별로 중국 시청자측면에 의해 의미 있는 연구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국내 텔레비전 다큐멘터리가 다문화주의 담론에 미치는 영향 : KBS <이웃집찰스>를 중심으로

        이슬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According to Immigration Policy Statistic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number of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increased from 300,000 in 1998 to 750,000 in 2004, and in 2014 it reached 1.8 million. This indicates the population of foreigners accounts for 3% of total population of Korea based on Resident Registration Data. The existing Korean society's order system, which was composed of single-race and descent, has changed, and now Korea has entered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race and culture. However, this change didn't happen according to natural flow of society, but rather, it happened by the influx of foreign laborers and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Therefore, the government tends to lead multi-cultural policy. In the situation that the recognition of multiculturalism is being established, it is necessary to experience multi-cultural circumstances as social-cultural flow rather than one-way direction by law and institution and to reduce the gap with actual reality. In addition, it is media that can play the most extensive and general role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discover the effects of media on forming discourse for Korean society to change into multi-cultural society. Among media, we focused more on TV documentary programs, and tried to understand how they describe foreigners living in Korea and how they reproduce the multi-cultural phenomena caused by them. The program KBS <Neighbour Charles> was the target of analysis because the program doesn't limit the characters within some foreigners like women or men, but covers characters generally, and it is the type of direct cinema, which does an in-depth coverage of characters with reality. This program was considered as the target that could show foreigners' daily life in Korean society along with multi-cultural reality of Korea. In the study, the texts were researched through narrative analysis, and the 10 top most watched episodes in the nation were selected between the 35th episode on September 15, 2015 and the 65th episode on May 10, 2016. Specifically, the narrative structure was analyzed from various angles through structure of story, structure of conflict and type analysis of characters. By this, based on the first analyzed details, depth interviews of producers were performed, so what elements of multi-culturalism affect the process of TV documentary reproduction was researched.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narrative structure of <Neighbour Charles> follows balance-unbalance-balance structure. In the state of 'balance', the main characters live ordinary life, and in the state of 'unbalance', they have difficulties of living in Korea. In the state of 'power or pressure', they try to solve the difficulties or adjust themselves to Korean society, and then lastly in the 'balance' state, the conflicts are dissolved or result in positive outcome. This structure is witnessed in each episode alike. Because the program is processed with the method of solving problems by the characters' own efforts within the program, they solve those problems through their personal efforts or cooperation and harmony with family. Therefore, there are decontextualization phenomena of conflicts caused by social structure. Second, the result of subject analysis showed that the conflicts that characters face are mostly economic reasons. Although situation or background of each character is different, the characters are described with the same theme repeatedly, so differentiation of each character decreases. The same problem occurred in type analysis of characters. The characters are standardized as 'diligent type of people' who learn Korean culture and acquire knowledge that they need in order to overcome economic difficulties and enjoy stable life in Korea. Foreigners living in Korea are reproduced as the beings who have to be adjusted to Korea voluntarily, which might result in the possibility that by presenting successful examples of actively assimilating with Korean life, the program fix the image as foreigners in Korea. Despite the patterning of the program contents, the producers relied on stable patterns due to the producing environment that can't be free from viewer ratings and the lack of producing period. In addition, even though they describe conflict situations appearing during settlement process of immigrants, there are some cases that they couldn't communicate with the characters ,or that they have cultural conflicts. In this situation, the existing multi-cultural discourse was learned and reflected to the progra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ointed out the limitation that TV documentary programs of multi-culture have, and in that it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contributing to forming multi- cultural discourse. By confirming the gap between actual reality and the reality shown in the TV documentary program, it can suggest the points for making more desirable models of multi-cultural society. 법무부 외국인정책통계에 따르면, 1998년 30만 명에 불과했던 국내 체류 외국인의 수는 2004년 75만 명으로 증가하였고 2014년에는 180만 명에 이르게 되었다. 이는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약 3%가 넘는 수치에 해당한다. 단일민족과 혈통이 바탕이 되어 있던 기존의 한국사회 질서 체제에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이제 한국도 인종적, 문화적으로 다양한 다문화 사회로 진입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자연스러운 사회적 흐름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급격한 외국인 노동자와 결혼이주여성의 유입에 의해 이루어지면서 다문화 정책 형성 등에 정부가 주도하는 양상을 띠고 있다. 다문화주의에 대한 인식이 정립되고 있는 상황에서 법과 제도를 통한 일방적인 주입이 아닌 사회문화적 흐름으로 다문화 상황에 대해 자연스럽게 경험을 하고 실제 현실과의 괴리를 줄여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역할을 하는데 가장 광범위하고 일반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미디어이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변화해 나가는데 있어서 미디어가 담론 형성에 끼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미디어 중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에 보다 주목하여 한국 거주 외국인에 대해 어떻게 묘사하고 있고 그로 인해 생겨나는 다문화 현상을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BS <이웃집찰스>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는데 한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중 일부, 즉 며느리나 여성, 남성 등으로 주인공을 한정하지 않고 총체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 리얼리티를 앞세워 출연자의 일상을 밀착 취재한 다이렉트 시네마(Direct cinema)의 형식을 띤 다큐멘터리라는 점에서 한국 사회에서 외국인들이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일상을 살펴보고 현재 한국의 다문화 현실을 가늠해 볼 수 있는 대상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연구에서는 서사 분석을 통해 텍스트를 살펴보았는데 KBS <이웃집찰스> 중 2015년 9월 15일 35회 부터 2016년 5월 10일 65회까지의 방송분 중 전국 시청률 상위 10개의 에피소드를 선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야기구조, 갈등구조, 등장인물의 유형 분석을 통해 서사구조를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1차적으로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생산자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다문화주의가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재현 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이웃집찰스>는 서사구조에 있어서 균형-불균형-균형의 구조를 따르고 있었다. ‘균형 상태’에서 주인공은 일상적인 삶을 살고 ‘불균형 상태’에서는 한국 생활을 하면서 생기는 고충이 나타난다. ‘힘 또는 압력 상태’에서 고충 해결을 위해 노력하거나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을 보여 준 후 마지막 ‘균형 상태’에서는 갈등이 해결되거나 긍정적인 결과를 예상할 수 있는 장면이 제시된다. 이러한 구조는 각 에피소드에서 거의 동일하게 확인해 볼 수 있는데 프로그램은 내부에서 갈등에 대해 스스로 해결하는 방식으로 이야기가 진행되기 때문에 주인공은 당면한 문제에 대해서 개인적인 노력, 혹은 가족과의 화해와 단합을 통해서 스스로 해결하게 된다. 따라서 사회구조로 인한 갈등이 탈맥락화 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주제 분석을 해 본 결과 주인공이 당면한 갈등의 문제가 ‘경제’적인 이유인 경우가 많았다. 각기 처한 상황이나 배경 문화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주제로 인물에 대해 묘사하는 것이 반복되다보니 개인별 차별성이 줄어들었다. 이 같은 문제는 셋째, 등장인물 유형 분석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한국에서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안정된 생활을 하기 위해서 주인공은 한국의 문화를 배우고 필요한 지식을 익히려고 노력하는 ‘성실형’ 인물로 정형화 되고 있었다. 한국 거주 외국인은 한국에 자발적으로 적응해야하는 존재로서 재현되고 있었는데 이주민으로서 한국 생활에 적극적으로 동화되어 성공한 경우를 본보기로 제시하고 이러한 이미지를 고착화할 가능성이 우려된다. 이 같은 제작 내용의 패턴화에도 불구하고 시청률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제작 환경과 길지 않은 제작 기간 때문에 생산자들은 안정적인 패턴에 의지하고 있었다. 또한 이주민의 정착과정에서 나타나는 갈등 상황을 그리고 있지만 제작진 역시 한국인이기 때문에 주인공과의 의사소통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문화적 충돌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었고 이 같은 상황에서 기존의 다문화 담론이 학습되어 프로그램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를 소재로 한 텔레비전 다큐멘터리가 갖는 한계점을 지적하고 다문화 담론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실제 현실과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에서 보여지는 현실 사이의 간극을 확인함으로써 앞으로 보다 바람직한 다문화사회 모형을 만드는데 논의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기업의 문화경영이 조직몰입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정원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리먼 쇼크 이후 산업자본주의도 금융자본주의도 종언을 고하고, 우리의 마음을 기쁘게 해주는 공감의 힘, 생명을 지키고 키우는 건강과 매력, 이를테면 의료, 교육, 문화예술이 생산과 소비의 원동력이 되는 생명 자본주의 시대가 열린다고 말한 이어령 선생님의 말씀처럼 이제 기업은 기존과는 다른 투자로 경쟁을 벌여야 하는 시대다. 제품의 기술과 서비스의 우위만을 강조하던 기업의 경영전략만으로는 더 이상 시장을 점유할 수 없고, 문화예술적 감성 등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소비자는 물론 내부 직원과 끊임없이 소통해야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이 조직 및 조직원들의 창조성을 발굴하고 교육하는 등의 문화경영활동이 조직몰입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문화경영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꾀하고 효과적인 전략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찾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다양한 선행연구를 통해 설문 내용을 추출·설계하였고, 서울·수도권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조사설계 및 실증분석에서 기업의 문화경영이 내부 직원의 조직몰입과 업무성과의 영향관계에 대한 가설검증결과 본 연구의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경영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문화경영은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몰입은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의 문화경영 활동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문화경영은 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조직몰입은 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기업이 보다 다양하고 실질적인 문화경영활동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효과적이고 전략적으로 활용한다면 내부 직원의 조직몰입과 업무성과를 통한 가시적인 생산성 도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향후 기업에서 진행하는 문화경영활동이 기업의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의 조직원들에게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 보다 정교하고 구체적인 연구가 계속적으로 수행되길 바라며 그와 같은 연구를 통해 기업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해나갈 뿐만 아니라 기업 내부에서 일하는 조직원들이 자신이 속한 조직에 대한 만족도가 증대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원천으로 작용 가능한 기업의 문화경영활동이 다양하게 진행되어 나가길 바란다. As told by Lee O-young, after the “Lehman shock” and the end of industrial capitalism and financial capitalism, a new era of vita capitalism may open in which the principal agents for production and consumption are what make us happy via the power of sympathy, or protect and nurture our vitality through health and appeal—these may be medicine, education, and cultural arts. Now is a time when businesses must compete through investment tactic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past. Seizing the market is no longer possible with the same old strategy of emphasizing the technicality and superior service of the product. Businesses can persist only if they continually communicate with the customer as well as its employees through a differentiated strategy, such as through cultural artistic expres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ulture management, for example, scouting for creativity in organizations or members as well as education that may ultimately aid in the proper understanding of corporate culture management and discovering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effective strategies. The contents of the survey were sampled from and designed after various preceding studies, and office workers from Seoul and the greater capital area participated in the empirical analysis. In survey design and empirical analysis, hypothesis testing for the effect of corporate culture management on employe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showed that the model used in this study was suitable. A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regarding the hypothesis that “culture management will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positively,” the results showed a partial influence. Second, regarding the hypothesis that “culture management will affect job performance positively,”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ird, regarding the hypothesis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will affect job performance positive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conclusion, it was observed through this study that corporate culture management activ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culture manage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has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We believe that if businesses develop more varied and practical culture management activities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use them strategically and effectively, it will draw a tangible increase in productivity through positive effects on employe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We hope that there may be continued research on the positive effect of corporate culture management activities—not only the external component of business but the employees as internal constituents of business. Ultimately through such studies we hope for businesses to achieve sustainable growth and also allow the employees of the organization to gain increased satisfaction and be able to work as the source of increased productivit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culture management activities.

      • 공공극장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동범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21세기 한국의 공연예술은 문화감성시대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큰 비전을 갖고 날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됐던 공연예술 기획이라는 말도 이제 이를 포괄하는 의미로서의 경영, 곧 전반적인 경영관리(Management)로 인식되어야 할 것은 물론이고, 이제는 문화공연을 관람하는 관객의 다양하고 고급화 되어가는 요구에 만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오늘날의 공연장은 단순히 공연이 실연되는 예술 공간이라는 차원을 넘어 새롭게 피어나는 문화를 알리고 제공해야 하는 서비스공간이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공연장은 문화 서비스 공간으로서의 경쟁력을 가지며 안정적으로 극장을 찾는 이들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공극장의 현황과 실태를 조사하고,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뿌리로 하여 연구가설의 설정과 연구모형 확립을 통해 진행한다. 조사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한정한다. 관람자의 분포가 많으며, 문화 산업 발생빈도가 높은 이유다. 서울지역의 북 서울 ‘꿈에 숲, 드림아트센터’와 경기도의 대표적 공공극장으로서 ‘성남 아트센터’로 결정한다. 가설검증을 위한 변수설정은 공공극장의 서비스품질 매개변수는 유연성과 응답성, 시설성, 확신성, 교육성 등 5개 요인으로 나누고, 고객만족과 충성도는 각 1개의 단일요인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최근 공공극장이 갖는 공공성에 의한 지역 시민의 예술정서 함양이라고 하는 단순한 역할을 넘어서 한 발 더 나아가 문화 예술을 서비스하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에 까지 그 품을 넓히고 있다는 것이다. 지역 및 타 지역을 넘나드는 공공 시민문화 예술 공간으로써 양질의 공연물들의 제공뿐만이 아니라 공공공간으로서의 쾌적함과 인지도에 따른 문화예술의 총합적인 서비스 품질에 기여함으로써 시민 생활에 있어 문화 복지적 측면의 중요성이 더 강조된다. 그에 따라 공공극장의 서비스 품질은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고객만족을 위한 집중적인 서비스 품질의 상향노력은 표면적인 요소에 머물지 않고 내면적 무형의 요소를 포함한 포괄적이고 높은 질의 서비스 품질을 가지고 오는 것이다. 이는 고객의 충성도에 맞물려 영구적인 관객을 유치할 수 있는 공공극장의 위상과 더불어 확실하게 지역 문화예술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자리매김하는 주요 연결고리이다. 초기 극장의 역사에서 열거하였듯이 극장의 이익과 그에 따른 산업화는 국내 문화예술의 질을 상향시키고 유지한다. 각 지역 간의 문화예술 공간으로서의 공공극장의 차별적 서비스 품질에 대한 노력은 경쟁력을 함양하고 안정적인 관객확보와 함께 지역을 넘어 국내 공연예술 전반의 고급화에 기여하게 될 것임은 확연하다. The performance art of 21stcentury South Korea is developing with large vision in the new paradigm of cultural emotional era. Therefore, the term ‘performance art planning’ that had been used before must be recognized as management, and there needs to be continuous research on the service quality satisfying the various and luxurious needs of the audienc ewatching cultural performances. The theatre nowadays is a space for services needing to raise awareness and to provide culture blooming newly beyond the dimension of art space. This research seeks to research the present condition and status, and to carryout research through setting research hypothesis and by securing research model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rior research. The subject of research is limited to Seoul and Gyeonggi-do. The reason is because many viewers are distributed, and because the occurrence of cultural industry is high. ‘Dream Forest, Seoul Arts Center’ of Seoul region, and ‘Seongnam Arts Center’ as public theatre of Gyeonggi-do is chosen. As arts space for public citizen culture expanding to other regions as well as the given region, by not only providing high-quality performance art, but contributing to the overall service quality of cultural arts from the pleasantness and awareness, the importance of cultural welfare is emphasized in terms of citizen life. The effort to enhance the service quality for customer service does not stay on the superficial factors, but brings about integrated and high service quality including internal, intangible factors. This is a link to enhance the standards of regional cultural arts in addition to the fame of public theatre being able to attract permanent audience in hand with customer loyalty. As mentioned in the history of early theatre, theatre’s profit and industrialization enhances and maintains the quality of domestic cultural art. As the cultural arts space of each region, efforts for the differentiated service quality of public theatres will enhance competitive power, and secure audiences stably, and contribute to the overall enhancement of domestic theatrical arts.

      • 로컬 거버넌스의 구성요소가 도시재생과 주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재영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competitive cities are getting more important all over the world, Urban Regeneration has been advanced as the idea which is comprehensive revival of an area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differentiated, from the past idea of physical reclamation. With a strategy to achieve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various participants, and the importance of networking are emphasized in decision-making process. Especially, from the 1990s, Governance has been introduced by lots of scholars as a new current or theory, and the desirable administration form in western society including the UK and the USA. Therefore, this study standardizes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and suggests Local Governance as a mechanism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UK’s governance system based on case law. Based on that, this study uses the idea of Local Governance Elements of ‘Participation’, ‘Partnership’, ‘Network’ and ‘Resource ability’, and verifies the influence of these Elements on Urban Regeneration and Residents’ Satisfaction. The case study used is Changsin-dong, located in Jongno-gu, which is very historic, but Changsin-dong also shows urban industrial character of the sewing industry because it is adjacent to Dongdaemun. Particularly these days, it is being recognized for its cultural potential because of the attention it received at the opening of the Dongdaemun Design Plaza. However, lots of conflicts were exposed through the Residential Improvement District in 1990 and the plan of Renewal Promotion District called New-town in 2007. To overcome that problems, Seoul City is pushing forward the Priority Projects for Urban Regeneration at the moment, having goals such a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that area. Thus this study suggest that, instead of the political view taken in the past, prioritising Residents’ Satisfaction, through Local Governance which is of the resident, by the resident, for the resident, should be prioritised in Changsin-dong’s current Urban Regeneration. The literature research form is used as the method of this study which considers the theory of Urban Regeneration, Local Governance, and Residents’ Satisfaction. A statistical test was applied for hypothesis verification through the survey to analyse empirically the Influence of Local Governance Elements on Urban Regeneration and Residents’ Satisfaction, as well. The result show that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Urban Regeneration, and Local Governance is lower than expected, awareness of Local Governance is 2.80, awareness of Urban Regeneration is 2.68 and awareness of Residents’ Satisfaction is 2.78. The results show that Partnership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Local Governance that affects Urban Regenera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Participation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Local Governance that affects Residents’ Satisfaction, followed by Partnership and Resource Ability. Network however is shown not to influence Residents’ Satisfaction, even though it is highly regarded in other studies, which shows that the community network is disorganised in Changsin-dong. The key point of this study is the interpretation of Local Governance as a process of community involvement, and reflects the perspective of residents’ importance, and futhermore shows the effect of Local Governance elements. In addition, for efficacious operation of Local Governance, standing on the basis of diverse actors’ participation, capability development is required to possess professionalism and independence for civil society. 세계적으로 도시경쟁력의 확보가 중요해짐에 따라 도시재생은 기존의 물리적 재생에서 나아가 균형발전과 차별화를 위한 도시의 종합적인 부흥이라는 개념으로 발전되고 있다. 성공적인 도시재생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으로 의사결정과정에서 다양한 주체들의 참여와 협력, 그리고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1990년대 초반부터 영국과 미국 등을 비롯한 서구사회에서 다양한 학자들에 의하여 거버넌스(Governance)가 새로운 조류 또는 이론, 그리고 바람직한 행정형태 등으로 소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재생의 개념을 정형화하고,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한 영국의 선행 사례들을 통해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확인하여 도시재생의 메커니즘으로써 로컬 거버넌스를 제시하였다. 이를 기초로 로컬 거버넌스의 구성요소를 ‘참여’, ‘파트너십’, ‘네트워크’, ‘자원능력’으로 설정하고, 이들 구성요소가 도시재생과 주민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창신동은 역사자원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종로구에 입지하고 있으며, 동대문과 인접하여 봉제산업이라는 지역의 산업적 특성이 뚜렷하고, 특히 최근에는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 개장으로 많은 관심을 받으며 문화적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1990년도부터 시작된 주거환경개선사업과 2007년 뉴타운이라고 불리는 창신·숭인 재정비촉진지구 계획을 거치면서 많은 갈등과 한계점들이 드러났고,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 서울시에서는 지역의 질적 발전을 목표로 도시재생선도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도시재생이 추진되고 있는 창신동에 로컬 거버넌스의 확립을 위하여 기존의 공공 정책적 관점에서 나아가 주민만족을 우선하는 관점에서 접근하여 주민을 위한, 주민에 의한 로컬 거버넌스 형태를 제시하고자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도시재생과 로컬 거버넌스, 그리고 주민만족도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는 문헌연구와 로컬 거버넌스의 구성요소가 도시재생과 주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가설검증을 위한 통계적 조사기법을 활용하였다. 조사의 결과로 도시재생과 로컬 거버넌스의 참여정도는 기대 이하의 참여율을 보였고, 로컬 거버넌스에 대한 인식은 2.80, 도시재생에 대한 인식은 2.68, 주민만족도에 대한 인식은 2.78점으로 보통의 3.0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로컬 거버넌스와 도시재생, 그리고 주민만족도의 상관관계 결과로는 로컬 거버넌스의 구성요소 중 파트너십이 도시재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 중 도시재생의 환경적 측면에 있어서는 로컬 거버넌스의 파트너십, 네트워크, 자원능력의 순으로, 도시재생의 사회적 측면에 있어서는 로컬 거버넌스의 파트너십, 네트워크, 자원능력, 참여의 순으로, 도시재생의 경제적 측면에 있어서는 로컬 거버넌스의 파트너십, 참여, 네트워크의 순으로 중요하다고 분석되었다. 주민만족도에 있어서는 로컬 거버넌스의 참여, 파트너십, 자원능력 순으로 중요도를 보였으며, 타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정보공유의 활발함과 연계망, 즉 네트워크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창신동의 연계망이 아직 체계적이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도시재생이 주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도시재생의 환경적 측면, 사회적 측면, 경제적 측면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최근 도시재생의 추세와는 달리 창신동 주민들의 도시재생에 대한 만족도는 아직까지 사회적인 영역보다는 환경적인 부분이 최우선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지역의 물리적인 개선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로컬 거버넌스의 의미를 주민 참여를 통한 협치의 과정으로 해석하고, 주민중심의 시각을 반영하여 로컬 거버넌스의 구성요소의 영향을 파악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다양한 주체자들의 참여를 기반으로 한 로컬 거버넌스가 실제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영국의 사례와 같이 전문성과 독립성을 갖춘 시민과 시민사회의 역량개발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웨딩메이크업의 구성요소가 웨딩메이크업 디자인과 신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소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웨딩메이크업의 구성요소가 웨딩메이크업 디자인과 신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고객에게는 웨딩메이크업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시술자 및 웨딩플래너에게는 고객에 대한 추천 정보를, 셀프 시술자에게는 정보제안 및 시술방법을 정리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시장 환경과 소비심리의 변화, 시술자와 고객의 방향을 고려하여 웨딩메이크업 구성요소를 얼굴형, 계절, 트렌드 등 3개 요인으로 설정하였고, 웨딩메이크업 디자인 구성요소를 형태, 색채, 질감 등 3개 요인으로, 신부 이미지 구성요소를 클래식 이미지, 로맨틱 이미지, 엘레강스 이미지 등 3개 요인으로 설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미용학과 지도자 및 학생들과 메이크업 샵 관계자 등 뷰티관련 전문가와 일반인 총 6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6년 4월 22일부터 5월 08일까지 온․오프라인 설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웨딩메이크업 구성요소에 대해 분석한 결과 ‘얼굴형’(M=4.5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웨딩메이크업 디자인을 분석한 결과 ‘형태’(M= 4.45)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신부 이미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로맨틱 이미지’(M=4.25)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웨딩메이크업 구성요소와 웨딩메이크업 디자인, 신부 이미지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웨딩메이크업 구성요소별 얼굴형, 계절, 트렌드는 웨딩메이크업 디자인의 구성요소별 형태, 색채, 질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신부 이미지의 구성요소별 클래식 이미지, 로맨틱 이미지, 엘레강스 이미지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웨딩메이크업 디자인 구성요소별 형태, 색채, 질감은 신부 이미지의 구성요소별 클래식 이미지, 로맨틱 이미지, 엘레강스 이미지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넷째, 본질적 기능에 충실하되 웨딩메이크업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이를 행하려는 자에게 즐거움을 제공하고 시술자 입장에서는 비즈니스모델을 구상하여 새로운 수익구조를 창안할 수 있는 방침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웨딩메이크업의 구성요소가 웨딩메이크업 디자인과 신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므로 웨딩메이크업의 구성요소가 웨딩메이크업 디자인과 신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부분에서 학문적, 실무적으로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2016년 7월에 시작되는 국가 기술 자격증 미용사(메이크업) 제1과제 웨딩메이크업(클래식, 로맨틱) 부분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lements of wedding makeup on wedding makeup design and bride image, in order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wedding makeup products and services to consumers, to provide customer referral information to wedding makeup artists and wedding planners, and to offer useful organized information to self-makeup artists. For the survey changes in market position, consumer confidence and the direction of the makeup artist and customer were considered. 3 wedding makeup elements of face shape, weather, and trend were selected. 3 wedding makeup design elements were selected to be form, color, and texture, and 3 bride image elements were classic image, romantic image, and elegant image. The 600 participants surveyed included cosmetics field experts such as cosmetology instructors and students, makeup shop workers, as well as people from other professions.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April 22nd, 2016 to May 8th of the same year, through both online and offline survey forms. A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after analyzing wedding makeup elements, ‘face shape’ (M=4.52) scored highest. Secondly, after analyzing wedding makeup design, ‘romantic image’ (M=4.45) showed the highest score. Thirdly, after analyzing bride image, ‘romantic image’ (M=4.25) showed the highest score. Fourthly,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s among wedding makeup elements, wedding makeup design, and bride image, it was shown that wedding makeup element face shape, season, and trend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wedding makeup design elements form, color, and texture (p<.001). Also, wedding makeup design elements form, color, and textur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ride image elements classic image, romantic image, and elegant image (p<.001). Fifthly, it may be possible to maintain original function yet find more various ways to apply wedding makeup, providing enjoyment to the recipient of the service and providing a new business model for increased profit to the makeup arti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e effect of wedding makeup elements on wedding makeup design and bride image, and we expect this to be an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significant study. These findings may provide implications to the first task of wedding makeup (classic, romantic) in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for beauticians (makeup) starting July 2016.

      • 한국드라마 특성이 중국여성의 한국이미지, 한국제품이미지 및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진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My curiosity of Korea wave at China prompted this study. Furthermore, analyze in difference between before the Chinese female watch Korean drama with after they watch. For the objective and specialized result, A survey was asked people who love to watching Korean drama or buying Korean product in 20-30s. A survey was preceded from April 22 to April 30 in online and offline form. Through empirical analysis with the finalist survey data, I verified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called samples are through the data cording process, analysis using the SPSS21.0. First, for to see the questionnaire survey target’s demographics characteristics, performed the frequency analysis. Second, for to know the Korean drama’s general situation, performed the demographics characteristics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Third, fo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ing tool, performe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calculated the Cronbach's α number. Fourth, to know Chinese female’s image for Korea, Korean drama, Korean products and intentions for purchasing Korean product, and get to know if there is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subject’s demographical characters, I performed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 way ANOVA. Duncan test was used for verification after the fact. Fifth,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know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Sixth,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results of objective data analysis as above,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eneral status about watching Korean drama, the subjects were watched over 10 times of Korean drama in principle. Chinese female preferred actress Song He Kyo and actor Song Jong Gi for the most. And the most preferred type of drama was romantic comed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general status of purchasing Korean product after watching Korean drama, 83.2% of viewer have been purchased Korean product. And cosmetics and apparel was presented the most want to buy product.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Chinese female watching Korean drama and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ver 31 years old recognized the Korean drama, thematic particularity, producing particularity more than below 30 years old. As a result of analyzing that Chinese female’s purchasing Korean product, the higher the age, it showed the higher intention of purchasing Korean product. And the higher income, it also showed the higher intention of purchasing Korean product. Fourth,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o know correlation between Chinese female’s image for Korea, Korean drama, Korean products and intentions for purchasing Korean product, images of Korea and images of Korean product also showed th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ntion of purchasing Korean product. Fifth, as a result of analysis accommodation of Korean drama how influence the image for Korea, Korean drama’s thematic particularity and actor particularity are the main cause. Sixth, as a result of analysis accommodation of Korean drama how influences the image for Korean product, Korean drama’s thematic particularity, producing particularity and actor particularity are the main cause. Seventh, as a result of analysis accommodation of Korean drama how influences the intention of purchasing the Korean product, Korean drama’s thematic particularity, producing particularity and actor particularity are the main cause. Eight, as a result of analysis the image of Korea how influences the image of Korean product, for Chinese female, the image of Korea was the main cause for the image of Korean product. Nin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image of Korean product how influence intention for purchasing Korean product, to raise the intention purchasing Korean product, the image of Korean product is main cause. Ten, as a result of analysis the image of Korea how influence intention for purchasing Korean product, to raise the intention purchasing Korean product, the image of Korea is main cause.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 that there is a close connection to the changes in the Chinese female’s consumption patterns between the changes in the image of Korea. And drew relation between the image, purchasing the product and consumption patterns. 본 연구는 최근 중국 대륙에서 신드롬 현상을 보이고 있는 한류를 통한 호기심의 발단으로 시작한 연구이며, 더 구체적이게 나아가 중국여성의 한국이미지, 한국제품이미지 및 한국제품구매의도에 한국드라마 특성이 미치는 영향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객관적이며 전문적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한국드라마를 시청하고, 한국상품을 사용하는 중국의 20~50대의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으며 2016년 4월20일부터 ~4월30일까지 온라인과 오프라인 형식으로 조사가 진행되었다. 최종적으로 선발된 설문자료의 실증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는 방법으로, 회수된 유효 표본을 데이터 코딩 과정을 거쳐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한류드라마의 일반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넷째, 중국여성의 한류드라마 시청과 한국 이미지, 한국제품 이미지,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섯째,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가설검증을 위하여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처럼 객관적인 테이터로 분석하여 연구한 결과. 첫째, 한류드라마의 시청에 대한 일반현황을 분석한 결과 한국드라마 시청 횟수는 대체적으로 10편 이상 시청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호하는 여자배우는 송혜교, 선호하는 남자배우는 송중기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호하는 한국드라마 장르는 대체적으로 로맨틱 코미디형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드라마의 시청 후 한국 상품 구매에 대한 일반현황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한국제품 구매경험은 83.2%가 구매한적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드라마 시청 후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은 화장품이나 의류를 가장 많이 구매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여성의 한류드라마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 따라서는 전30세 이하에 비해 31세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한류드라마 수용과 하위요인별 주제특성, 제작특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기혼의 경우 미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한류드라마 수용과 하위요인별 주제특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여성이 인식하는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 비교적 연령이 높을수록 한국제품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월소득 수준에 따라서는 비교적 월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한국제품 구매의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류드라마 수용과 한국 이미지, 한국제품 이미지, 한국제품 구매의도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 이미지, 한국제품 이미지도 한국제품 구매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국여성의 한류드라마 특성이 한국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중국여성의 한국 이미지 향상에 있어서는 한류드라마의 주제특성, 배우특성에 대한 특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중국여성의 한류드라마 특성이 한국제품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 중국여성의 한국제품 이미지 향상에 있어서는 한류드라마의 주제특성, 제작특성, 배우특성에 대한 특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중국여성의 한류드라마 특성이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중국여성의 한국제품 구매의도 향상에 있어서는 한류드라마의 주제특성, 제작특성, 배우특성에 대한 특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여덟째, 한국 이미지가 한국제품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중국여성의 한국제품 이미지 향상에 있어서는 한국 이미지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아홉째, 한국제품 이미지가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중국여성의 한국제품 구매의도 향상에 있어서는 한국제품 이미지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열째, 한국 이미지가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중국여성의 한국제품 구매의도 향상에 있어서는 한국 이미지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류드라마를 통해 중국여성의 한국이미지, 한국제품이미지 및 한국제품구매의도에 한국드라마 특성이 미치는 영향연구 시사 하였다.

      • YouTube의 음원수용이 사용태도 및 다운로드와 스트리밍에 미치는 영향

        김용균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SNS와 음원서비스 플랫폼의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유튜브의 수용요인을 분석해 각 요인들이 음원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용자의 사용태도를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위한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로서 음악산업, 다운로드와 스트리밍, 디지털음악서비스 및 시장의 동향, 유튜브, 기술수용모델에 대해 연구하였고 실증 조사를 위한 음원수용 구성요소 상시연결성(always on), 상호작용성(interactive), 접근성(readily accessible), 정보성(information rich) 4가지를 초연결사회, 초연결성의 최신 이론에서 도출했다. 설문조사를 위해서 유튜브 음원이용실태 5문항, 유튜브의 음원수용성 상시연결성 3문항, 상호작용성 4문항, 접근성 5문항, 정보성 5문항, 사용태도 6문항, 다운로드와 스트리밍 각 2문항으로 총 32문항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위한 설문 6문항 포함 총 3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유튜브 음원서비스 이용자 350명을 대상으로 2016년 11월 7일부터 20일까지 2주 동안 온·오프라인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과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정을 거친 후 SPSS v.21.0 통계 패키지(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21.0) 프로그램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YouTube의 음원수용 요인이 사용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상시연결성, 접근성, 정보성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상호작용성의 영향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YouTube의 음원수용 요인과 사용태도는 다운로드에 미치는 영향은 본 연구의 가설과는 다르게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YouTube의 음원수용 요인 중 상시연결성, 상호작용성, 접근성은 스트리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정보성은 기각되었다. 넷째, YouTube의 사용태도는 스트리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음원이용 실태와 관련한 결과 중 유튜브 음원 이용기간은 대체적으로 ‘1〜3년 미만 이용’으로 조사되었고, 유튜브 음원 이용이유는 ‘비용이 따로 들어가지 않아서’ 128명(37.2%), ‘음원이 많아서’ 96명(27.9%), ‘음악관련 최신 정보를 많이 제공해줘서’ 65명(18.9%) 순으로 충분한 음원과 비용의 영향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한적인 국내 음원 서비스 환경에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음악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며 유튜브와 같은 직관적인 서비스 플랫폼의 개발로 국내뿐 아니라 해외 이용자들의 국내 음원서비스의 사용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개방형, 쌍방향성의 음악플랫폼 시도 확대로 국내 음원 유통서비스의 다양성과 질적 향상을 기대한다. With the help of technology, We can now take a wide range of digital audio service. Korea is the most wired country in the world. This makes it easier for people to listen to music online or mobile. but in the meantime They always want something new, The market has almost reached saturation, and undifferentiated competitors are being killed off. For that reason,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new direction through youtube which is entirely different from the others. It is not only a social network service but also a online music service. This study carry out literature examination and empirical research. thus drawing such variables as download, streaming, attitude toward use, and the acceptance of digital audio on youtube and then examined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ere are four components of variables such as always on, interactive, readily accessible and information rich from the Attributes of Hyper-connectivity by analyzing the acceptance of digital audio on youtube. For the study,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youtube users. Total of 350 users. of the samples, 344 responses were chosen as usable observations. The survey was then analyzed using empirical statistical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cceptance of digital audio on youtube has shown a effect on attitude toward use. Especially interactive had the greatest effect then the others. Second, the acceptance of digital audio on youtube and attitude toward use have shown no effect on download. Third, always on, interactive and readily accessible have shown a effect on streaming but information rich has not. Fourth, attitude toward use has shown a effect on streaming.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analysis on positive effects of youtube on download, streaming, and attitude toward use. This result help in the development of digital audio service.

      • 기초자치단체 지역문화재단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나진억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1997년 경기문화재단을 시작으로 어느새 20년이 된 지역문화재단은 현재중앙정부의 지역 대상 문화정책 영역이든 지방정부의 고유한 문화정책 영역이든 이전에 비해 의미있는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방자치제의 부활과 관련법의 정비로 지역문화정책의 비중이 이전에 비해 비약적으로 높아졌다. 그러나 지방자치시대의 지역문화예술정책은 이전과는 다르다. 즉, 중앙 중심의 의사결정과 역할 분담에서 자율적인 결정으로 지역이 중심이 되어서 정책의 우선순위와 의사결정 재량권을 행사할 수 있는 구조로 바뀌어야 할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지역문화정책의 제일선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인 지역문화재단을 둘러싼 배경과 정책 여건과 행정 현실을 살펴보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먼저, 문화와 문화재단에 대한 검토를 통해 지역문화재단에 대한 검토를 하여 지역문화정책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문화정책의 의의와 지역문화재단 의 설립의 필요성을 살펴보며 이를 규율하고 정책의 근거가 될 수 있는 법률적 배경 등을 확인한다. 지역문화재단 설립·운영을 직접적으로 규정하는 「지역 문화진흥법」과, 「지역문화진흥법」, 「문화예술진흥법」에 대하여 검토해보며 관련 법규도 같이 검토해 본다. 이어 문화재단에 관한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하여 우리보다 먼저 경험한 지역문화재단에 대한 고민을 공유해보며 국내의 경우도 살펴보아 현재까지 설립되어 운영중인 대표적인 지역문화재단들에 대한 일반적인 검토를 살펴볼 것이다. 지역문화진흥과 문화정책의 중요성이 더욱 확대됨에 따라 지역문화재단은 계속해서 확대되어 갈 것이며 기존의 행정체계를 대체해서 새로운 시스템을 지역마다 구축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추세는 전국 적으로 한동안 지속될 것이다. 지방자치단체 문화진흥정책은 다른 무엇보다도 지역문화의 활성화에 있다. 이를 위해 지역문화재단의 바람직한 운영을 위한 기존 문화재단 운영의 사례분석과 검토는 기존 지역문화재단에 대해서는 공유와 시사점을, 설립을 검토중인 지자체의 경우에는 나침반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founding of the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in 1997,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is now twenty years old and is performing meaningful functions and roles in the regional cultural policy domain of ​​the central government or the local cultural policy domain of ​​the local government. The resurgence of local autonomy and the improvement of related laws have increased the proportion of regional cultural policies higher than ever before. However, local culture and arts policy of local autonomy i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ast. In other words, the local community must shift from central decision making and role distribution to autonomous decision making and also change into a structure where exercising policy priorities and decision making is possible. In this sense, it will be necessary to examine the background, policy conditions and administrative reality surrounding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which is the leading organization in local cultural policy. First, I will look over local cultural policy through reviewing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by reviewing the cultural and cultural foundation. I will examine the significance of local cultural policy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local cultural foundation and check the legal background and the basis for the policy. We will review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Local Culture Promotion Act" and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that directly regulat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local cultural foundation. In addition, we will generally look over domestic representative local culture foundations that are operated until today and share the concerns of precedent local culture foundations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case analysis. We will look at a general review of representative local cultural foundations that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rating so far. As the importance of local cultural promotion and cultural policy is escalated,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will continue to expand and replace the existing administrative system with a new system for each region. This trend will continue for a while nationwide. Local government cultural promotion policy is above all about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ulture. For this purpose, case analysis and review of existing cultural foundation's management for the desirable operation of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will be able to play a role as a compass in the case of the local governments which are considering establishment itself, and sharing and implications for existing local cultural found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