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MC)의 통합 연구 방법이 성인발레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강태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and investigate the impact of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IMC) on adult ballet brands. Moreover, to synthesize and analyze the marketing opinions for adult ballet brands, this study prepared subjective questions for operators and members of adult ballet centers and employ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ample was composed of 381 adult ballet operators and members from 7 adult ballet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6 in Busan and Gyeongsang-do, and 2 in Chungcheong-do. The sample period i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1. Among a total of 381 distributed questionnaires, 378 were used in the actual final analysis, excluding the 3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responses or partially omitted cont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using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verifies the significance of the effect of IMC factors on adult ballet brand’s image, identity, equity, and loyalty. Furthermore, purchase cost, customer convenience, and communic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 effect on the brand image; that is, the higher the purchase cost, customer convenience, and IMC, the higher the brand image. Secon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significance test of the influence of the IMC factor on the brand identity of the adult ballet brand are that purchase cost and communication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brand identity.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higher the purchase cost and IMC, the higher the brand identity.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ignificance of the regression of the effect of IMC factors on the brand equity of adult ballet brands, it was found that customer benefits, customer convenience, and communic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 effect on the brand equity Namely, it can be said that the higher these factors, the higher the brand equity of the brand.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ignificance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effect of IMC factors on the brand loyalty of adult ballet brands, it was found that customer benefits, purchase cost, and communic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brand loyalty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higher the customer benefits, purchase cost, and communication of IMC, the higher the brand loyalty of adult ballet brands. The qualitative research analyzed the subjective questions of marketing by dividing the operator group of 15 adult ballet compani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a random sample of the researcher according to the operating experiences: 6 years or more (group A), 3–6 years (group B), and 2–3 years (group C). Additionally, in the quantitative study, group D is composed of 30 people whose general characteristics are of the highest significance for the adult ballet member group D. The secondary classification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primary classification and self-administered subjective questions according to their ballet career.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n inductive method. The analysis result reveals that the main themes of popularizing adult ballet and establishing brand value enhancement were intermediate themes of program development marketing, network service marketing, and convergence marketing through human resources. The following 12 comprehensive sub-analysis factors were derived from diversified marketing activities various ballet events, marketing experience groups, promotional events and public relations, the connection of social and cultural mechanisms, fusion with other art genres, the effectiveness of app development, video conten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ctive SNS activities, diversity of ballet programs, creative ballet methods, and differentiation of ballet programs. As such, the use of IMC in establishing the value of adult ballet brands suggests the need to approach with greater emphasis the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and members and systematic marketing plan and establishment. 이 연구는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MC)이 성인발레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둔다. 또한, 이차적으로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방법으로 성인발레 센터의 운영자 및 회원을 대상으로 작성된 주관 문항을 표집하여 성인발레 브랜드를 위한 마케팅적 의견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및 경기도에 소재한 성인발레 센터 7곳, 부산시 및 경상도에 소재한 성인발레 센터 6곳, 충청도에 소재한 성인발레 센터 2곳의 운영자 및 성인발레 회원 381명을 표집하였다. 표집은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약 1개월에 걸쳐 이루어졌고, 총 381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나 조사 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3부를 제외한 총 378부가 실제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성인발레 브랜드의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의 회귀계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구매 비용, 고객 편의성, 커뮤니케이션은 브랜드 이미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구매 비용이 늘어나고, 고객 편의성이 좋으며, 커뮤니케이션의 수준이 높을수록 브랜드 이미지는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성인발레 브랜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미치는 영향의 회귀계수 유의성 검증 결과, 구매 비용, 커뮤니케이션은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구매 비용, 커뮤니케이션의 수준이 높을수록 브랜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성인발레 브랜드의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의 회귀계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고객 혜택, 고객 편의성, 커뮤니케이션은 브랜드 자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고객 혜택이 늘어나고, 고객 편의성이 좋으며,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할수록 브랜드의 브랜드 자산 가치는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넷째,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성인발레 브랜드의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의 회귀계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고객 혜택, 구매 비용, 커뮤니케이션은 브랜드 충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고객 혜택과 구매 비용이 늘어나고,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할수록 성인발레 브랜드의 브랜드 충성도는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질적 연구는 문헌 조사와 연구자 임의표본을 통해 15개 성인발레 센터의 운영자 집단을 운영 경력에 따라 6년 이상 집단 A, 3~6년 이하 집단 B, 2~3년 이하 집단 C로 나누어 마케팅 주관 문항을 분석하였다. 또한, 양적 연구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의도가 가장 높은 집단 30명을 성인발레 회원집단 D로 임의표본 선정하였고, 발레 경력에 따른 1차 분류 및 자기기입식 주관 문항을 토대로 2차 분류하여 귀납적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주제인 성인발레 대중화 및 브랜드 가치 제고 확립을 중간 주제 3개(인적 자원을 통한 융복합 마케팅, 네트워크 서비스 마케팅, 프로그램 개발 마케팅)로 분류하였다. 종합적인 하위분석요인으로는 12가지 구성 요소(다각적인 마케팅 활동, 다양한 발레 이벤트, 마케팅 체험단, 판촉 행사 및 홍보, 사회·문화적 메커니즘 연결, 타 예술 장르와의 융합, 앱 개발의 효용성, 영상 콘텐츠 제작·유통, 적극적인 SNS 활동, 발레 프로그램 다양성, 독창적인 발레 메소드, 발레 프로그램 차별성)를 도출했다. 이처럼 성인발레 브랜드 가치 확립에 있어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활용은 체계적인 마케팅 계획 및 수립과 더불어 고객 회원과의 상호관계소통(Communication)에 가장 중점을 두고 접근해야 함을 시사한다.

      • Richard Dawkins의 밈(meme) 이론을 적용한 창작발레 무용수 움직임 개발 탐색

        김성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Based on the meme theory, the meme is characterized by modification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ferred from brain to brain through human thoughts, beliefs, and imitation. Imitation is a phenomenon that appears prominently in all fields of art, and on reviewing the background of growth of many artists, it can be seen that they grow through the process of imitating and sublimating artistic aspects. Therefore,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meme, which is a cultural element transmitted through imitation rather than a genetic method,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ain Richard Dawkins’ concept of meme by applying it to the creative work between ballet choreographers and ballet dancers, investigate the validity to see whether it can be applied to actual phenomena, and propose a methodology to verify it. This study can be regarded to have a great value as an exploratory study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methods of creation arising from a new perspective rather than theoretical verification. In order to proceed with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memes will be analyzed centering on cases where the thoughts and mutual influences of the choreographer and the dancer are clearly revealed and the individual memes expressed by the dancers spread and evolve with cultural and genetic power to complete creation, cultural differences in ballet movements that can be transferred between the choreographer and the dancer by transferring cultural genes will be collected, and meme-like elements will be refined and classified to observe the flow of ballet choreography. In addition, how the images of movements that the choreographer wants to express are reproduced, modified, and expressed from the viewpoint of the dancer will be observed.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and utility of the creative ballet choreography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meme theory, this movement methodology will be applied to actual performances in the last part of the study to verify the methodology while comparing the results and thereafter, the results that could be derived only though this study will be shown together to establish the methodology. The purpose is to examine how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development of movements that plays a core role in creative ballet have changed following chronological changes through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meme theory of Richard Dawkins. In particular, examining how the interaction of movements between the choreographer and the dancer functions when creative ballets are produced today is considered to be quite meaningful to the contemporary artistic flow. The conclusions deriv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thodology that utilizes the most basic characteristics of Richard Dawkins' meme theory was applied, and the connectable motions of movements began from the five positions of the feet, which are the most basic in classical ballet, were explored to identify them.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movements were observed within the minimum and maximum ranges according to gender, and a phenomenon for the spaces to be widened due to unexpected differences in physical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body center movement was observed and the phenomenon was analyzed as a new application method for various spatial movements. Second, the movements were explored through reproduction among the methodologies of Richard Dawkins' meme theory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directions and positions of the reproduced body were observed in the form of consistent movements becaus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standards were regarded as important due to the nature of the genre but along with the presentation of collapse in a moment, geometric movements and reverse circulation of the dancers could be observed. However,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development of movements, the keyword “reproduction” was required to be followed as much as possible so that movements that were modified and distorted from the form of the structure contained in ballet were found less frequently than the keywords of other meme theories.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creative movements can be sufficiently developed while maintaining the existence of ballet so that the necessity of more in-depth studies is raised. Third, the movements were intervened with the thought of spatial relations through imitation among the methodologies of Richard Dawkins' meme theory to observe diverse two-person dances and three-person dances and as a result the dances were observed as new two-person dances and three-person dances because , movement through imitation of spatial relation As a result of observing various two-person and three-person dances by intervening in thought, it was observed as a new two-person and three-person dance because a wide range of approaches from various aspects were involv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diversified structures according to gender. The places where the energy used by the dancer is used in the virtual space were penetrated so that two-person dances were set and the changes in energy generated by calculating the spatial movements were identified. This was explored as a methodology that can lead to movements that cannot be obtained from movements between dancers in creative ballet with many scenes of male and female duets or trios due to the nature of the genre. Fourth, Richard Dawkins' meme theory was analyzed and applied to creative ballet movements thereby applying the theory to actual works and as a result, the practicality of this study was confirmed. Richard Dawkins' meme theory is a methodology that can make the work process between creators and dancers who have to imitate culture and art through non-genetic reproduction flexible and can be said to be a methodology useful in mobilizing the imaginative power of creators and dancers to induce the expression of characterful movement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constructed and utilized as a concret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reative movements of ballet dancers hereafter. In the course of conducting this study, it was thought that the educational effects that may occur when the creative ballet development methodology applied in this study that analyzed Richard Dawkins' meme theory and grated it onto creative ballet is actually utilized in ballet and other genres should be objectively studied. It is thought that studies and attempts to dissolve and reestablish ballet through the reproduction, imitation, modification, and transformation of dances with materials that open up various possibilities will provide means for various expressions and have positive effects on young artists who will lead South Korea hereafter.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new methods and developing creative ballet works will be produced through the expansion of various movements based on the meme theory with infinite scope. 이 연구는 밈(Meme)이론에 기반하여 인간의 생각, 신념, 모방을 통해 뇌에서 뇌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변이되는 것이 특징으로 모방은 모든 예술분야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많은 예술가들의 성장 배경을 보면 예술적인 면모를 모방하고 승화시키는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발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유전적 방법이 아닌 모방을 통해서 전해지는 문화적 요소인 밈(Meme)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무가와 무용수간의 창작적 작업에 적용시켜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의 밈(Meme)개념을 설명한 뒤, 실제 현상에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타당성을 밝힌 후 이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이론적 검증보다는 새로운 시각에서 발생하는 창작법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탐색적인 연구로서의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생각과 상호영향이 명확하게 드러나며 무용수들이 표현해내는 각자의 밈(Meme)들이 문화 유전자적 힘을 가지고 확산, 진화 되면서 창작이 완성되는 범위까지 확장된 사례를 중심으로 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며 문화적 유전자를 전이하여 발레움직임의 문화적 차이를 수집하고 밈(Meme)적 요소들을 정제하고 분류하여 발레 안무법의 흐름을 관찰하고자 한다. 또한 안무가가 표현해내고자 하는 움직임의 이미지를 무용수들 관점에서 어떠한 방법을 통해 복제,변이,표출을 만들어내는지에 대해서 관찰하고자 한다. 밈(Meme) 이론에 기반한 창작발레 안무법 분석 방법의 타당성과 효용성의 고찰을 위해 실제 공연에 이 움직임 방법론을 적용시켜 도출된 연구결과들을 비교함으로써 방법론을 정립 하고자 한다.목적은 리처드 도킨스(Ricard Dawkins)의 밈(Meme)이론을 토대로 창작발레의 핵심적 역할을 하는 움직임 개발의 시대적 변화에 따라 그 기능과 역할이 어떤 모습으로 변모해왔는지를 문헌조사로써 고찰하고 특히, 오늘날의 창작발레 제작시 안무가와 무용수간의 움직임 상호작용은 어떠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동시대 예술적 흐름에 매우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을 다음과 같다. 첫째,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의 밈(Meme)이론의 가장 기본이 되는 특성을 살리는 방법론을 적용하고 클래식 발레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발의 5가지(fifth position)포지션으로부터 시작된 움직임의 연결 가능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탐색한 결과 성별에 따른 최소, 최대한의 범위안에서 다양한 움직임의 변형이 관찰되었고, 신체 중심이동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신체적 특성 차이로 인해 간격이 벌어지는 현상이 관찰되어 다양한 공간이동에 대한 새로운 응용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의 밈(Meme)이론의 방법론 중 복제를 통해 움직임을 탐색한 결과 장르 특성상 신체적인 특징과 미적 기준을 중요시 하기에 복제된 몸의 방향 포지션을 일관성 있는 움직임의 형태로 관찰되었으나 한순간 붕괴의 제시와 함께 무용수들의 기하학적인 움직임과 역순환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움직임 개발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복제”라는 키워드를 최대한 따르도록 요구하였고 이에 발레가 내포하고 있는 구조의 형태에서 변형, 왜곡 되는 움직임들이 다른 밈(Meme)이론의 키워드보다 적게 발견되어 발레가 가지고 있는 명맥을 유지하고 창의적인 움직임 창출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사료되어 보다 심도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바이다.셋째,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의 밈(Meme)이론의 방법론 중 모방을 통해 움직임을 공간적 관계의 사유를 개입시켜 다양한 2인무, 3인무 등으로 관찰한 결과 성별에 따른 다변화적인 구조의 영향으로 다양한 측면에서 폭넓은 접근이 수반되어 새로운 2인무 및 3인무로 관찰되었다. 무용수가 사용하는 에너지 중 가상의 공간속에 사용되는 곳을 침투하여 2인무로 설정되고 공간이동을 계산하여 생겨나는 에너지 변화에 따른 새로운 움직임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장르 특성상 남녀 듀엣 혹은 트리오 장면이 많은 창작발레에서 무용수들 간의 움직임에서는 얻을 수 없는 동작들까지도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론으로 탐색되었다. 넷째,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의 밈(Meme)이론을 분석하고 창작발레 움직임에 응용하여 실제 작품에 적용한 결과 이 연구의 실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비유전적 복제로 문화예술을 모방해야 하는 창작자와 무용수간의 작업과정을 유연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론으로 창작자와 무용수의 상상력을 동원시켜 개성 있는 움직임이 발현(發現)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움직임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발레 무용수의 창작적 움직임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써 구축 되어 활용되길 기대해본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창작발레 움직임 개발 방법론이 발레 및 타장르에 실제 활용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교육적 효과에 대해서도 객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둔 소재로 무용의 복제, 모방, 변이, 변형을 통해 해체 및 재정립 연구와 시도는 향후 우리나라를 이끌어 갈 젊은 예술가들에게 여러 가지 표현을 위한 수단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사료된다. 나아가 무한한 영역대를 지닌 밈(Meme)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움직임 확장을 통해 새로운 메소드와 발전하는 창작발레의 작품이 산출될 것을 기대한다.

      • 플로어발레테라피 프로그램의 치유적 경험 : 아로마 트리트먼트의 활용

        김다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 문 요 지 이 연구는 아로마를 활용한 플로어발레테라피 프로그램을 통한 중년여성의 신체적, 심리적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를 설계하였고 양적, 질적 자료의 수집을 통해 통합연구방법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전라도 지역 소재의 30세 이상 50세 미만의 중년여성 중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의 총 1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은 아로마를 활용한 플로어발레테라피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성인발레클래스를 진행한 결과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연구결과 중 지각된 스트레스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사전·사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 정도는 실험집단의 우울 정도 전체와 하위요인 중 부정적 생각에서 사후검사가 통계적으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행복감은 실험집단에서 심리적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쾌락적 즐거움, 몰입감, 자아실현감, 자신감 모두에서 사전검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넷째, 통증 정도는 실험집단의 통증 정도에서 사전검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다섯째, 질적연구결과에서 프로그램 참여 후의 변화는‘신체적’, ‘심리적’, ‘후각’ 총 3가지의 대영역으로 분류되었고, 신체적에서 긍정적 변화로 ‘긍정적 느낌’, ‘신체의 변화’ , ‘신체의 이완’ , ‘통증 완화’의 총 4가지로 중분류 되었으며, 심리적에서는 ‘행복감’, ‘자신감’, ‘불안 감소’, ‘우울 감소’, ‘스트레스 감소’, ‘동기부여’, ‘집중력’, ‘식습관 조절’의 총 8가지로 중분류 되었다. 또한, 후각적 변화에 대해서는 ‘향에 대한 반응’, ‘심리적’, ‘신체적’의 총 3가지로 중분류 되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세부적 체계를 이루어 무용수 및 무용전공자를 비롯하여 일반인 건강증진 중재로의 활용을 시사하는 바이다. 주제어: 아로마, 플로어발레테라피, 치유적 경험

      • 무용전공자의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지지, 진로성숙도, 무용열정의 인과관계

        최태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Abstract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Professor Support, Passion for Dance and Career Maturity for Strengthening Employment Cap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Taeseon Choi, Major in Dance Department of Dance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 Gyuja Hwang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mpirically identify and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professor support, passion for dance, career maturity and employment competency for career development and employment rate improvement of dance majoring students.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selected from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with th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t six 4-year universities across the nation used as a population. A total of 500 copies were distributed through online mobile and self-administration method from June 7 to August 5, 2022 and, among those collected, 397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includ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reliability test (Cronbach's α), t-test (independent group t-test), and one-way ANOVA. To verify the difference among the groups after ANOVA, post-hoc tests (Scheff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rom thes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ulty support, career maturity, dance passion, and employment competency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by grade).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to exist in professor support, career maturity, dance passion, and employment competency depending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by major).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fessor support, career maturity, passion for dance, and employment competency depending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by dance experience). Four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urned out to be in faculty support, career maturity, dance passion, and employment competency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participation frequency). Fifth, it was learned that faculty support (emotional, informative and evaluativ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areer maturity (preparation, confidence and determination). Sixth, professor support (emotional and informative) was known to have a statistically positive (+) effect upon dance passion (harmony). Seventh, professor support (emotional and informative) was kn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competency reinforcement (job preparation behavior). Eighth, it was made clear that career maturity (readiness and confid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dance passion (harmony). Ninth, career maturity (preparation and certainty) appear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competency reinforcement (job preparation behavior). Tenth, passion for dance (harmony and obsession)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upon strengthening employment capacity (searching for employment information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Summing up these results, it comes true that faculty support is a variable that has an important influence upon career maturity, passion for dance, and employment competency, and that various approaches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educational environment of college life should be attempted. Particularly, priority should be given to realistic motivation that can help dance majors to increase their passion for dan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them to build career maturity to make rational decisions based on career preparation and confidence. 이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개발과 취업률 향상을 위한 교수지지와 무용열정, 진로성숙도, 취업역량에 대한 관계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에 위치한 6곳의 4년제 대학교에서 무용을 전공하고 있는 재학생들을 모집단으로 비확률표집법(nonprobability sampling)중 편의표본추출방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2년 6월 7일부터 8월 5일까지 온라인 모바일과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총 500부를 배포하였으며, 397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방법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ty Factor Analysis; EFA), 신뢰도검증(Cronbach's α), t-검증(Independent Group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변량분석(ANOVA)후 짐단간 차이검증을 위하여 사후검증(Scheffe test),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등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특성(학년)에 따른 교수지지, 진로성숙도, 무용열정, 취업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특성(전공)에 따른 교수지지, 진로성숙도, 무용열정, 취업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적특성(무용경력)에 따른 교수지지, 진로성숙도, 무용열정, 취업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적특성(참여빈도)에 따른 교수지지, 진로성숙도, 무용열정, 취업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수지지(정서적, 정보적, 평가적)는 진로성숙도(준비성, 확신성, 결정성)에 통계적으로 정(+)적 영향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섯째, 교수지지(정서적, 정보적)는 무용열정(조화)에 통계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교수지지(정서적, 정보적)는 취업역량강화(취업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진로성숙도(준비성, 확신성)는 무용열정(조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진로성숙도(준비성, 확신성)는 취업역량강화(취업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번째, 무용열정(조화, 강박)은 취업역량강화(취업정보탐색, 취업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교수지지는 진로성숙도와 무용열정 및 취업역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대학생활 전반적인 교육환경에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져야하며, 특히 무용전공자의 취업역량을 높이기 위해서 무용전공자들로 하여금 무용열정을 높일 수 있는 현실적인 동기부여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또한 진로의 준비와 확신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결정을 할 수 있는 진로성숙도 구축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활용한 엄마와 함께하는 유아홈발레의 효과

        장한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활용한 엄마와 함께하는 유아 홈발레를 통해 유아의 성장 발달을 도모하고 홈발레를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5~7세 유아와 엄마를 모집하여 총 8팀(16명)을 선정하였고,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활용한 홈발레 프로그램을 12회 실시하여 사전·사후 개방형 질문지와 각 회차별 자기관찰일지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는 홈발레 프로그램을 통해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인지적 발달이 향상되었다. 홈발레 프로그램은 유아의 성장 발달에 필요한 모든 발달요소가 골고루 내재 되었고, 매회 마다 새로운 동작을 배움으로써 유아의 재미와 흥미를 불어 일으킬 수 있었으며, 유아를 전인적 인간으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둘째, 홈발레 수업은 유아뿐만 아니라 엄마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엄마는 유아와 교감하며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었고, 발레 동작을 통해 신체를 스트레칭 할 수 있었고 운동효과가 있었다. 또한, 통증이 감소되었고, 평소 가지고 있었던 잘못된 자세 습관을 발레 동작을 통해 바른 자세로 교정하는 효과를 느낄 수 있었다. 셋째, 발레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었다. 발레는 타고난 재능이 있어야 할 수 있는 것, 어렵고 형식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온라인으로 이루어진 홈발레 프로그램을 통해 친근감을 느끼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레는 오프라인을 통해서만 배울 수 있다는 고정관념을 탈피할 수 있었다. 발레교육은 몸의 움직임을 통한 교육이기 때문에 대면으로만 배움이 가능하다고 느끼고 있었지만, 홈발레를 엄마가 직접 참여함으로써 유아의 교육적 효과를 경험하게 되어 발레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넷째, 엄마가 함께 참여함으로써 유아에 대한 세심한 관찰과 이해 그리고 지도방향성에 대하여 터득할 수 있었고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의 직접 관찰을 통해 아이에게 필요한 맞춤형 교육방법을 발견할 수 있고 여가생활을 함께 함으로써 유아와의 교감 및 유대관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따라서 비대면 온라인 유아홈발레는 유아와 학부모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비대면 발레 수업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흥미가 부여됨으로써 홈발레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기대하는 것이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이다.

      • 사무직 근로자 직무스트레스의 대처를 위한 무용동작심리치료 활용

        최예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요지 이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가 직무수행 중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측정하고, 무용동작심리치료에 대한 요구조사를 시행하여 이를 근거로 스트레스 관리에 목표를 둔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지역의 각 사업장에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 3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설문지의 응답이 부실하거나 오류가 있는 4부를 제외하고 실제 분석에 사용된 표본은 총 296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사무직 근로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성이 여성보다 스트레스의 결과가 높게 나왔고, 여성이 남성보다 스트레스 증세와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차이는 스트레스 증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나이에 따른 차이는 스트레스 요인, 증세, 직무 스트레스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근무경력에 따른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직급에 따른 차이에서는 스트레스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무용동작심리치료 요구조사에서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설문을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능력과 시간 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스트레스 증상으로는 마음의 여유가 없어지고 자주 화가 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또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운동이나 동호회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에 따른 무용동작심리치료에 대한 요구를 분석한 결과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해소하고 싶은 스트레스 영역은 미래설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경험해보고 싶은 무용장르는 순수무용, 무용 프로그램에서 관심이 있는 활동은 신체활성화, 참여를 원하는 시간대는 퇴근 후 오후, 프로그램을 통해 기대하는 효과는 신체적 관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설문의 분석결과를 기초자료로 사용하여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은 다리아 헬프린(Daria Halprin)의 치유 5단계 구조를 바탕으로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무용을 신체적, 정신적 이완을 위한 치료적 도구로 다루었으며, 명상과 함께 움직임을 통한 즐거운 경험을 제공하여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이 연구에서는 사무직 근로자들의 무용동작심리치료에 대한 요구를 밝혀내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사무직 근로자가 직무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실증적인 후속 연구가 계속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환경과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무용프로그램의 블렌디드-러닝(Blended-Learning) 방안 연구

        이은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to seek blended learning plans for a dance program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pplying the blended learning method in which online and offline methods are combined to a dance program. This study was conducted because it was judged that a new change would also be needed for the dance program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s online/offline education methods are utilized and spread in many different spher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nderstood the concept of Parkinson’s disease,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blended learning, and overseas examples and effects of dance programs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who experienced online/offline dance programs and professional dance instructors in ‘Dance for PD’ to examine the role and therapeutic effect of dance and the advantages/disadvantages of online/offline dance programs perceived by them.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dance was a tool to help with body movement and played a role in changing their expressive power, cognitive ability, and change of mood in positive ways. Second, it turned out that it had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positive therapeutic effects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Third,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n offline dance program had advantages, e.g., It could give immediate feedback. It allowed the participants to check the instructors’ movements in detail. It allowed them to do various dance activities. They could form a community among themselves. On the other hand, it had disadvantages, e.g., It was inconvenient to move to the place of a lesson. It took a long time to transport to the place. Transportation costs were burdensome, and the instructor had difficulty immediately changing the class according to the situation. Fourth,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n online dance program had advantages, e.g., It minimized the inconvenience and burden of long-distance travel for patients. The participants could participate in the dance program anywhere and at any time. They could participate freely in the place where they were, not being conscious of the gaze of others. However, it had disadvantages, e.g., It was inconvenient to operate the online system. There was no smooth feedback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could not get help with dance movements. The accuracy of performing movements was poor. Fifth, the instructors’ thoughts about important factors in the offline dance program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re as follows: Patients’ safety and arousing their interest, the selection of music for the programs, communication with patients and care for them in clas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instructors and participants and the method of teaching of the instructors. Sixth, the instructors’ thoughts about important factors in the online dance program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re as follows: Patients’ safety, the use of simple movements, and the composition of appropriate movements. The blended learning plans for dance programs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and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are as follows. First, the need for online and offline blending. The blended learning methods in which the online method can actively be utilized to minimize the burden of travel time and transportation costs, etc.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include the Z (Zigzag) type and the H (Ladder) type. Second, the blending of contents. Dance techniques or dance activities used to enhance the physical functions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nd draw various movements should appropriately be blended for offline and online situations. Third, the blending of methods. It is necessary to use online and offline methods, provide videos along with them and compose a program in which various methods are blended so that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can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dance and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Fourth, the blending of program components. In dance programs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importance is necessarily attached to several elements such as the participants’ safety, music, precise tempo, speed of movement, repetition, improvisation, expression, motivation, and interest, and the components should appropriately be blen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and offline programs. Regar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First, it would be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to verify and analyze the effect by concretizing the dance program applying the blended learning plans proposed by this study. Second, for a study of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blended learning dance program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the need for follow-up studies comes up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the actual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nd their impressions after the experience of the program in cooperation with professional dancer support centers, university hospitals across the country, nursing homes, and sports centers. Third, it would be necessary to conduct studies of an online platform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to continuously revitalize blended learning programs and build up a platform. Fourth, it would be necessary to conduct teaching plans for blended learning for the instructors who run dance programs. Hopefully, dance programs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will be developed in more diverse ways and expanded nationwide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of the study, and continuous domestic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Parkinson’s disease and dance programs. 본 연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식이 결합된 블렌디드-러닝(Blended-Learning) 방법을 무용프로그램에 적용하여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무용프로그램의 블렌디드-러닝(Blended-Learning)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온·오프라인 교육 방식이 다방면에서 활용되고 확산되는 가운데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무용프로그램 또한 새로운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파킨슨병의 개념과 블렌디드-러닝(Blended-Learning)의 정의 및 특징,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무용프로그램의 해외 사례 및 효과에 대해 문헌연구를 통해 파악하였다. 이후 온·오프라인 무용프로그램을 경험한 파킨슨병 환자와‘Dance for PD'의 전문 무용 강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이들이 느끼는 무용의 역할과 치료적 효과 및 온·오프라인 무용프로그램의 장단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심층면담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파킨슨병 환자에게 무용은 신체 움직임을 도와주는 도구이자 환자들의 표현력, 인지능력, 기분전환 등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은 파킨슨병 환자의 신체적·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치료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파킨슨병 환자에게 오프라인 무용프로그램은 즉각적인 피드백의 가능, 강사의 동작 확인을 자세하게 할 수 있음. 다양한 무용 활동의 가능, 참여자들 간 커뮤니티 형성 가능이 장점이었다. 반면 수업 장소로 이동해야하는 대한 불편함, 이동시 많은 시간이 걸림, 교통비용에 대한 부담과 강사들에게는 즉각적인 현상들에 따른 수업 변화의 어려움이 단점이었다. 넷째, 파킨슨병 환자에게 온라인 무용프로그램은 환자들의 거리 이동에 대한 불편한과 부담감을 최소화 시키고, 언제 어디든지 무용프로그램에 참여를 할 수 있다는 것과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내가 있는 공간에서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었다. 그러나 온라인 시스템 조작에 대한 불편함, 강사와 참여자간의 원활하지 않은 피드백, 무용 동작에 대한 도움을 받을 수 없음, 동작 수행의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점이 단점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오프라인 무용프로그램의 중요 요소에 대한 무용 강사들의 생각은 다음과 같다. 환자들의 안전과 흥미유발, 이를 위한 음악 선정, 수업 시 환자들과의 소통과 보살핌, 강사와 참여자의 상호작용, 강사의 교수법이다. 여섯째,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온라인 무용프로그램의 중요 요소에 대한 강사들의 생각은 다음과 같다. 환자들의 안전, 단순한 동작 사용, 적절한 동작의 구성이다. 문헌연구와 심층면담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무용프로그램의 블렌디드-러닝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온·오프라인 블렌딩의 필요성이다. 파킨슨병 환자의 이동시간 및 이동비용 등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온라인 방식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블렌디드-러닝 방식은 Z형(Zigzag)과 H형(Ladder)이다. 둘째, 내용의 블렌딩이다. 파킨슨병 환자들의 신체적 기능을 향상시켜주고 다양한 움직임을 이끌어내기 위해 사용되는 무용기술 혹은 무용 활동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블렌딩 되어야 한다. 셋째, 방법의 블렌딩이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식을 적절히 사용하고 이와 함께 동영상을 함께 제공하여 파킨슨병 환자들이 무용에 대한 이해도와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블렌딩 된 프로그램의 구성이 필요하다. 넷째, 프로그램 구성 요소의 블렌딩이다.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무용프로그램은 반드시 참여자들의 안전, 음악, 정확한 박자, 움직임의 속도, 반복, 즉흥, 표현, 동기 및 흥미유발 등 여러 가지 요소들이 중요시되는데 구성 요소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프로그램의 특징에 따라 적절하게 블렌딩 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가 제안하는 블렌디드-러닝 방안을 적용한 무용프로그램을 구체화시켜 효과를 검증하고 분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블렌디드-러닝 무용프로그램의 참여도 연구를 위하여 전문무용수지원센터, 전국의 대학병원, 요양원, 운동센터 등과 협력하여 실제 파킨슨병 환자들의 참여도와 프로그램을 경험한 후 느끼는 것들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블렌디드- 러닝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파킨슨병 환자의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연구와 플랫폼의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무용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강사들을 위한 블렌디드-러닝 교수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라 앞으로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무용프로그램이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발전하여 전국적으로 확대되길 기대하며, 파킨슨병과 무용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의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무용전공자의 학습동기와 심리기제의 현상학적 탐색

        장선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거리두기라는 특수한 변인으로 인해 나타나는 무용전공자의 학습동기와 심리기제에 관하여 현상학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학기 중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에 대한 경험이 있는 서울 소재 H 대학교의 무용학과 재학생 중 총 11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나타나는 ‘무용 환경변화’, ‘학습동기’, ‘심리기제 ’의 3가지 대주제로 분류되었다. 둘째, 무용 환경변화에서 분류된 하위 범주로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긍정적·부정적 경험, 실기 환경변화, 신체적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자의 학습동기는 동기 저하, 재동기로 분류되었다. 참여자들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무용이 제한되는 상황에서 동기가 저하되었고, 다시 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게 되면서 재동기가 나타났다. 넷째, 무용전공자가 경험한 심리기제 중 긍정적 심리는 안정감, 심리적 편안함, 마인트 컨트롤이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심리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 우울, 스트레스, 자신감 저하, 걱정이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무용의 실기적 특성을 고려한 수업방식의 개선점을 논하고,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과 대체 훈련방법에 대한 구체적 개선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또한, 통제할 수 없는 갑작스러운 상황에서 나타나는 무용전공자의 학습동기와 심리적 변화를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보다 심층적이고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발레전공자의 공연 전 무대공포와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

        전수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발레전공자의 공연 전 무대공포와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경기지역에 소재한 3개 대학의 발레전공자 150명을 표집 하였으며 설문 응답이 부실하거나 오류가 있는 9부를 제외한 141부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발레전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연 전 무대공포와 신체화 증상의 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공연 전 무대공포(인지적 불안, 신체적 불안, 자신감)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신체화 증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공연 전 무대공포와 신체화 증상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레전공자의 무용경험 특성에 따른 공연 전 무대공포와 신체화 증상의 분석 결과, 공연 전 무대공포(인지적 불안, 신체적 불안, 자신감)는 무용경력, 공연 참여 횟수, 역할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화 증상은 무용경력과 역할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응답자의 76.6%(108명)가 개인독무의 역할을 맡았을 때 공연 전 무대공포를 느끼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신체화 증상과 공연 참여 횟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레전공자가 공연 전 경험하고 있는 신체화 증상은 구체적으로 복통, 소화불량, 두통, 현기증, 발열, 근육경직, 부상부위의 통증 등으로 밝혀졌다. 셋째, 발레전공자의 공연 전 무대공포와 신체화 증상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는 각 변인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발레전공자의 공연 전 무대공포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 결과는 공연 전 무대공포의 하위요인 중 신체적 불안이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전공자들은 연습과정에서부터 무대에 오르기까지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무대공포를 경험하고 있다. 또한 과학기술이 발전되어짐에 따라 무용분야의 다양한 융복합 기술의 도입이 불안, 스트레스, 우울, 슬럼프 등의 심리적 문제를 통한 무대공포를 더욱 야기 시키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무대공포는 심리적 요인뿐만 아니라 신체화 증상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신체를 기반으로한 기술성, 예술성을 표현해야하는 무용수들은 스스로를 조절하고 통제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무용수들의 무대공포에 대한 실질적인 경험과 신체화 증상을 토대로한 구체적인 연구와 공연 전의 상황뿐만 아니라 연습에서부터 공연의 전체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무대공포증에 대한 실증적인 후속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무용치료가 산후우울을 경험한 산모의 신체상,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김연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요지 이 연구는 산후우울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출산 후 산모들이 겪고 있는 신체의 변화, 정신적 스트레스, 사회적 갈등을 무용치료프로그램을 통하여 긍정적 변화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산후우울 무용치료프로그램의 참여대상자는 산후우울 관련 인터넷카페 및 OO문화센터홈페이지와 문화센터 내 모집공고로 모집된 10명의 대상자중 아기를 돌보는 문제에 관련하여 중도 포기한 3명을 제외한 7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기간은 2010년 11월2일~2010년 12월23일 주2회 2시간씩 총16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실험의 사전-사후 검사는 설문지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대응표본 t-test(Paired-samples T Test)를 실시였다. 측정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치료가 산후우울을 경험한 산모들의 신체상이 긍정적으로 변화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치료프로그램실험 후 산후우울을 경험한 산모들의 신체상변화가 실험 전 보다 의미 있게 상승하였다. 둘째, 무용치료가 산후우울을 경험한 산모들의 감정이 긍정적으로 향상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치료프로그램실험 후 산후우울을 경험한 산모들의 우울변화는 실험전보다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셋째, 무용치료가 산후우울을 경험한 산모들의 자아존중감 회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치료프로그램실험 후 산후우울을 경험한 산모들의 자아존중감 변화는 실험 전 보다 의미 있게 상승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무용치료프로그램 참여가 산후우울을 경험한 산모들의 정신건강과 삶의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는데 주요기제가 될 수 있음을 입증시켜주었다. 출산 후 우울을 경험한 산모들에게 무용치료프로그램은 심리 치료적 접근방법으로서 치료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산후우울의 예방과 치료의 수단으로 산후우울증관련 시설에 적극 활용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The Effect of Dance Therapy on the Body Image, Depression and Self-Esteem for mothers Suffering from Postpartum Depression. Kim, Yeon Sun Department of Dance The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This study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ostpartum depression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ositive changes on physical body, emotional stress and social conflict that mothers have experienced after giving a birth through the dance therapy program. Subjects who participate in dance therapy program for postpartum depression were recruited through Internet caf? related to postpartum depression, OO culture center homepage and advertisements. Ten mothers start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but three gave up due to problems associated with taking care of a baby. Therefore, the subjects were seven. The study period was from November 2, 2010 to December 23, 2010. It?s carried out for 2 hours a time and twice a week for total 16 times. Pre-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 and paired-samples T-test was conducted.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discussion about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t is shown that dance therapy has effects on positive changes on physical body of mothers who have experienced postpartum depression. After dance therapy program experiment, the changes on physical body of mothers who have experienced postpartum de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xperiment compared to before experiment. Second, it is shown that dance therapy has effect to positively improve the feelings of mothers who have experienced postpartum depression. After dance therapy program experiments, the depression of mothers who have experienced postpartum depression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before experiment. Third, it is shown that dance therapy has effect to restore the self-esteem of mothers who have experienced postpartum depression. After dance therapy program experiments, the changes on self-esteem of mothers who have experienced postpartum de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experiment.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participation in dance therapy program could be the key mechanism to produce the positive changes on mental health and life of mothers who have experienced the postpartum depression. We expect that dance therapy program has a therapeutic effect on mothers who have experienced postpartum depression as an approach of psychological therapy. In addition, the dance therapy program will contribute to be actively used in facilities related to postpartum depression as a means of prevention and therapy of postpartum de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