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점기반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권민정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강점 기반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강점 기반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전체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강점 기반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각 하위 영역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강점 기반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전체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넷째, 강점 기반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각 하위 영역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구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6학년 7개 학급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동질성이 검증된 1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정한 후 연구를 진행했다.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최보가, 전귀연(1993)이 연구 개발한 자아존중감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학교생활적응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상필(1990)이 초등학교 상급생용으로 수정, 보완하고 이영선(2005)가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은 5주 동안 주 2회, 매 회기당 40분씩 총 10회기의 강점 기반 집단상담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5주간 집단상담이 끝난 후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 사후 검사를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점 기반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전체의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강점 기반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각 하위 영역의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강점 기반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전체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넷째, 강점 기반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각 하위 영역 모두를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강점 기반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는 학생들이 강점에 대해 이해하고 자신의 강점을 인식하여 활용하고 계발하는 과정을 통해 성공경험이 많아지고 행복감이 높아지면서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뜻한다. 이는 주변 관계에 까지 영향을 미쳐 학교생활적응 향상도 가져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 사용된 강점 기반 집단상담은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을 돕는데 큰 도움이 되어 학생들의 행복한 삶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강점, 집단상담,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 동기강화 집단상담이 특수아 컨디셔닝 운동 프로그램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김도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improvement of conditioning exercise performance of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motivational group counsel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high school and transition course, and the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group according to whether or not regular group counseling was possible. The conditioning program consisted of dumbbell thrust, double wave, 500m indoor rowing, and 400m sprinting. For the data obtained by measuring in this study,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first calculated, and a pre- and post-independent sample t-test for each group was performed to test the effect.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the continuous measurement values ​​for each group, we tried to check the correlation within the variable through repeated ANOVA and secure the accuracy of the study.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set to 5%.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experimental research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of conditioning exercise program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motivational group counseling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receive group counseling. Both groups showed improvement in performance, but in the experimental group, a total of 142.41% improvement in the pre- and post-tests was confirmed, and in the control group, the improvement was 119.70% in the pre- and post-tests in the control group. It can be seen that the motivational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nditioning exercise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econd, the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motivational group counseling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sports regardless of the exercise characteristics of the conditioning exercise program components.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effect could be verified at a significant level in all four events: dumbbell thrust, double wave, indoor rowing, and sprinting, and in particular, a very high probability of significance was confirmed in indoor rowing. Third, the conditioning exercise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tinuously and significantly improved during the motivational group counseling proces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 degree of improvement in performance at the beginning of the measurement in all event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lope of the improvement decreased as it progressed after the middle session, but showed a continuous improvement. However, in the control group, it was difficult to secure the consistency of continuous measurement values. 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the motivational group counseling conducted in this stud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conditioning exercise program performance by promoting the psychological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emotional support and positive educational experience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rough group counseling to motivational group counseling at school sites. In addition, there was feedback from the participants that they could ac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sports activities based on their improved physical abilities after the experimental process, and that the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action process between school life based on the socializing program with their peers. Therefore, the motivational group counsel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promoting holistic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improving adaptive behavior skills as well as physical development. 본 연구는 동기강화 집단상담 제공에 따른 특수아들의 컨디셔닝 운동 수행능력 향상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및 전환과정의 특수아 10명으로, 정기적 집단상담 가능 유무로 집단을 나누어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컨디셔닝 운동 프로그램은 덤벨 쓰러스트, 더블 웨이브, 500m 실내조정, 400m 단거리 달리기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하여 얻은 자료는 먼저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효과 검정을 위해 집단별 사전·사후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별 지속적인 측정치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반복이원변량분석을 통해서 변수 내의 상관성을 확인해보고 연구의 정확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연구 과정을 통해 얻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기강화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집단상담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컨디셔닝 운동 프로그램 수행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수행능력에 향상이 있었으나 실험집단의 경우 사전·사후 검사에서 4종목 평균으로 총 142.41%, 통제집단의 경우 사전·사후 검사에서 4종목 평균으로 총 119.70% 향상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동기강화 집단상담이 특수아 컨디셔닝 운동 수행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컨디셔닝 운동 프로그램 구성 종목의 운동 특성과 무관하게 동기강화 집단상담이 제공된 실험집단의 수행능력이 모든 종목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실험집단의 경우 덤벨 쓰러스트, 더블웨이브, 실내조정, 단거리 달리기 4종목 모두에서 유의한 수준에서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으며, 특히, 실내조정에서 매우 높은 유의 확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동기강화 집단상담 실시과정에서 실험집단의 컨디셔닝 운동 수행능력이 지속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실험집단은 모든 종목에서 측정 초기에 높은 수행능력의 향상도를 보이고 중간 회기 이후로 진행되면서 향상도의 기울기가 낮아지는 모습을 확인하였지만, 지속적인 향상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통제집단에서는 지속적인 측정치의 일관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동기강화 집단상담은 특수아의 심리적 성장발달을 촉진하여 컨디셔닝 운동 프로그램 수행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동기강화 집단상담을 통한 특수아들의 정서적 지원 및 긍정적 교육 경험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실험과정 이후 향상된 신체능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스포츠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고 또래와 함께한 어울림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학교생활 간 상호작용 과정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참여자들의 피드백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사용된 동기강화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신체 발달뿐만 아니라 특수아의 전인적 성장발달 촉진 및 적응행동 기술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긍정심리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진덕현 대구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상북도에 소재한 O초등학교 4학년 학생 중 실험집단 20명과 통제집단 20명을 구성하였다. 각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난 뒤, 실험집단은 긍정심리 집단상담을 적용하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는 문성원(2003)이 수정한 척도 중 SSRS-학생용 39문항으로 학생용은 협동성, 주장성, 공감, 자기통제 4요인으로 구성된 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은 고려대학교 BK21 뇌기반 심리학 사업단이 주최하고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 주관으로 고영건 등(2009)이 개발한 멘탈 휘트니스 프로그램과 고영미(2010), 김수영(2015)의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한 것으로 총 10회기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dows 18.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통계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 집단상담은 초등학생의 사회성을 향상시키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더 많은 향상을 보였다. 둘째, 긍정심리 집단상담은 초등학생의 사회성의 하위 요인 중 공감과 자기통제를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협동성, 주장성, 공감, 자기통제의 네 가지 사회성 하위 요인에서 모두 향상을 보였으나, 특히 공감과 자기통제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이는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특성 상 서로 이해하고, 격려하는 등의 활동들이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긍정심리 집단상담은 초등학생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가 있다. 주요어 : 긍정심리 집단상담, 사회성

      • 심리극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효과

        이기영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심리극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심리극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개념과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극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심리극이 초등학생의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경상북도 G시의 Y초등학교 3, 4학년 학생 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 8명, 인근의 규모와 환경이 비슷한 G초등학교 3, 4학년 학생 10명을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여, 실험집단은 60분씩 10회(총10시간)동안 심리극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그 기간 동안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심리극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 각각에 사전․사후 자아개념과 갈등해결전략 검사를 실시하고 가설검증은 자아개념과 갈등해결전략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독립표본 t-검증,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하여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극 프로그램을 경험한 아동들은 경험하지 않은 아동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자아개념이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하위 영역 중에서는 학업적 자아개념, 사회적 자아개념, 정서적 자아개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신체적 자아개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심리극 프로그램을 경험한 아동들은 경험하지 않은 아동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갈등해결전략 선택이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하위 영역 중에서는 절충 및 협력 전략, 양보 전략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회피 전략과 지배 전략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위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심리극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형성과 갈등해결전략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중ㆍ고등학생을 위한 행복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문제점, 개선방안 고찰

        임현숙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ㆍ고등학생을 위한 행복 증진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효과를 살펴보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행복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활용하기 위하여 기존의 프로그램이 가진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ㆍ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행복 증진 프로그램에 관한 선행 연구를 수집하여, 우리나라 중ㆍ고등학생들이 보이는 행복감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들에게 행복 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한 이유를 알아보았으며, 감사와 용서, 낙관성, 대표 강점을 기반으로 한 행복 증진 프로그램이 중ㆍ고등학생의 행복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와 문제점, 개선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ㆍ고등학생들은 발달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에 있으며 과도기적 단계에 있다. 이러한 중ㆍ고등학생들의 일탈 행동을 예방하고 그들의 미래를 위한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행복을 가르치고 행복 증진에 개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선행 연구 분석 결과 감사와 용서, 낙관성, 대표 강점을 기반으로 한 행복 증진 프로그램들은 과거ㆍ미래ㆍ현재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를 포괄적으로 함양시켜 궁극적으로 중ㆍ고등학생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데에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셋째, 연구에 사용되었던 행복 증진 프로그램을 일반화하여 실제 학교 현장에 활용하기에는 중ㆍ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아직 미흡하고, 연구 대상의 범위가 제한적이며, 연구 기간이 단기적이고, 프로그램을 운영할 시간이나 공간, 그리고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는 교사의 확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학교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고, 연구 대상의 범위는 확대해야 하며, 장기적인 프로젝트의 운영이 요구된다. 또한 행복 교사 양성이나 시수ㆍ공간 확보 등에서 교육청과 정부 차원의 논의가 요구된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중ㆍ고등학생을 위한 행복 증진 프로그램은 과거ㆍ미래ㆍ현재에 대한 긍정적 정서를 함양시켜 중ㆍ고등학생의 행복감 증진에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제도적인 차원에서 행복 증진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전교생을 대상으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프로그램을 실시하며, 행복감 증진 노력이 일상에서도 이어질 수 있도록 교사교육과 부모교육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and the effect of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s for secondary students and to assess the necessity of conducting the programs to enhance the happiness of secondary students at secondary school field. For this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se of happiness of Korean secondary students and the necessity of conducting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s to them, to consider the effect of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s, based on thank and forgiveness, optimism, and signature strengths, on enhancing happiness of secondary students, and to look into the practical limits of existing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s and their improvement plans by collecting and considering literature o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condary students are in a very important period in the developmental aspect, and in a transitional period. Therefore, teaching them happiness actively is necessary for prevention of their deviant behavior and enhancement of their future-oriented happiness. Second, previous research shows that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s based on thank and forgiveness, optimism, and signature strengths foster positive emotions for past, future, and present comprehensively and are effective for enhancing happiness of secondary students. Third, there are some practical limits on applying the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s from previous research to actual school field: the lack of studies targeted secondary students, the narrow scope of subjects of studies, the short term study period, and the lack of time, space, and workforce. As their improvement plans, it is required to carry out follow-up studies on school-based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s, to expand the scope of subjects of studies, to conduct long-term and lasting programs for the whole school. Also, helps of office of education and government on training of happiness teacher and securing time or place for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s based on thank and forgiveness, optimism, and signature strengths are so helpful on enhancing happiness of secondary students because they foster positive emotions for past, future, and present comprehensively. Therefore, support for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s in the institutional dimension, conducting the program for the whole school, in the long term, and sustainedly, and combining educations for teachers and parents are necessary for the effort to enhance happiness lasting in daily life.

      •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 대상의 음악치료 효과와 개선방안

        조애령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할 때 음악치료가 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인지․정서․행동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러한 효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행해지고 있는 음악치료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음악치료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만 6세에서 12세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실태를 조사한 결과, 아동의 인터넷 중독은 스트레스나 외로움,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저하 등의 개인적 요인, 가정과 학교로 대표되는 환경적 요인, 그리고 인터넷 자체 특성적 요인을 꼽을 수 있었다. 인터넷에 중독된 초등학생은 인지적 왜곡이나 학습능력 등의 인지적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이나 분노, 불안 등의 정서적 영역에서, 그리고 공격성이나 대인관계 등의 행동적 영역에서 많은 부작용을 경험한다. 음악치료가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연구한 선행연구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음악은 아동이 쉽게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동의 흥미를 지속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도구로 작용한다. 실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는 주의집중력 개선 등 인지적 영역에서의 개선, 자아존중감 향상이나 분노 조절 등 정의적 영역에서의 개선, 그리고 의사소통능력 향상 등 행동적 영역에서의 개선을 가져왔다. 인터넷 중독과 음악치료에 관한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들을 종합하여 학교 현장에서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 대상 음악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환경적으로 인터넷 중독이 범아동적 문제임을 인식하고 부모 역시 학교와 발맞추어 아동의 인터넷 중독 개선을 위한 협력적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교사는 아동과의 정서적 유대가 가능하도록 자신의 심리적 안녕감을 바탕으로 음악치료가 고도의 전문적 기술을 요한다는 선입견을 깨뜨리고 기본적 음악 기술을 바탕으로 어떤 아동에게든 인터넷 중독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개발된 음악치료를 활용하고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내용적 측면에서 음악치료가 정규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지극히 일상적 활동이 되어야 하며 어느 아동에게도 적용 가능하도록 다양한 활동 및 기법이 확보되어야 한다. 인터넷이 만연한 사회에서 부모나 교사가 아동의 매 시간을 통제할 수도 없기에 아동의 인터넷 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동의 균형적 성장과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을 위해 협력적 노력 아래 음악치료를 적극 활용하면서 아동의 인터넷 중독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초등 상담, 인터넷 중독, 음악치료

      • 장애학생 부모상담을 위한 교사의 공감적 이해에 관한 고찰

        도혜진 대구교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학교에서 부모상담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부모상담은 일반 학교에서 비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교사에게 뿐만 아니라 다양한 특성과 교육적 요구를 지닌 장애학생을 지도하고 있는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사에게도 중요하다. 이와 더불어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조 2항에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의 한 분야로 상담이 포함되어 있다. 이처럼 장애학생 부모상담은 필수적이며, 학교에서 수시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효과적으로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첫째, 장애학생 부모상담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둘째, 장애학생 부모상담에서 교사의 공감적 이해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의 부모는 경제적, 교육적, 사회적 등 여러 상황에서 자녀 양육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리고 부모는 장애자녀 양육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부모 자신의 변화를 위해 상담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대다수 교사들은 부모의 심리적인 문제를 다루는 것을 부담스럽게 느끼고 어려워하였다. 둘째, 교사가 장애학생 부모와의 상담에서 부모의 생각, 느낌, 경험을 마치 교사의 내적 상태와 같은 것으로 이해하고, 공감하고, 전달하는 공감적 이해를 부모상담에 적용한다면 부모의 여러 가지 상황의 어려움으로부터 기인한 부정적인 정서를 완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되며, 부모는 스스로 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교사는 공감적 이해를 통해 부모를 더욱 이해하고, 친밀하게 느끼게 된다. 그리고 부모상담에 대한 부담감을 덜게 되며, 부모와의 신뢰가 형성되어 교직 만족감이 높아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장애학생을 둔 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상담을 실시하기는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학생의 올바른 성장과 부모의 정서적 건강을 위하여 꼭 필요한 것이 교사의 부모상담이며, 공감적 이해를 적용하여 효과적인 상담 활동이 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With the recent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parent counseling at school, a great deal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is issue. Parent counseling is important for special school or special class teachers in charge of handicapped students with a diversity of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needs, as well as for teachers in charge of non-handicapped students in regular schools. In addition, Article 2.2 of the Special Education Law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Others covers counseling as an area of service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Counseling with handicapped students' parents is essential and is frequently given at school; however, it has proven ineffective. So this study, First, Aimed to analyze various situations with which handicapped students' parents were faced and review the need for parent counseling Second, teachers' empathetic understanding for good counseling with handicapped students' parents. First, Handicapped students' parents had a much difficulty in rearing a child in terms of financial, educational, and social aspects. It was found that the parents needed counseling to change themselves as well a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handicapped child care. However, the majority of teachers regarded it as burdensome and difficult to treat parents' psychological problems. Second, It has been found that if teachers apply an empathetic understanding by which they can understand, empathize with, and deliver parents' thinking, feelings, and experiences as their own in counseling with handicapped students' parents, they would be able to help relieve negative emotions resulting from the parents' difficulty under many situations, and the parents can control stress for themselves as well. Through an empathetic understanding, teachers can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parents and become more intimate with them. It is also effective in relieving the burden of parent counseling, in establishing trust among parents, and in improving satisfaction with teaching. It is not easy to perform counseling and to give consideration to the difficulty experienced by parents in rearing handicapped students. Nevertheless, teachers' counseling with parents is essential for parents' emotional health as well as for handicapped students' desirable growth. Efforts should be made to apply an empathetic understanding in pursuit of effective counseling activity. Key-words : Teacher, Counseling with handicapped students’s parents, Empathic understanding

      • 독서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고찰

        박진영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독서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선행연구들을 통해 고찰하는 것이다. 특히 독서치료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파악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 독서치료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의 관계를 파악한 후 그 효과가 어떠한지를 고찰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둘째, 독서치료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치료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이 된다. 문헌 분석 결과 독서치료프로그램을 초등학생에게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소인 일반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교적 자아존중감의 향상도가 유의미하게 높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독서치료는 초등학생의 공감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문헌 분석 결과 독서치료프로그램을 초등학생에게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공감능력의 하위요소인 인지적 공감능력, 정서적 공감능력, 의사소통적 공감능력의 향상도가 유의미하게 높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 비폭력대화(NVC)가 초등학생의 내적 발달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남효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비폭력대화(NVC)가 초등학생의 내적 발달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특히 내적 발달 자산의 하위 요소인 긍정적 자아정체감과 사회적 능력이 비폭력대화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고찰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폭력대화는 초등학생의 긍정적 자아정체감 향상에 도움이 되는가? 둘째, 비폭력대화는 초등학생의 사회적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가?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폭력대화가 우리나라에 소개된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연구된 비폭력대화가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문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폭력대화가 정적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내적 발달 자산의 하위 요소, 세부 항목에 속한다는 점을 다수의 연구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폭력대화를 Benson 등이 제시한 청소년의 성장 발달 자산, 그 중 내적 발달 자산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비폭력대화가 증진시킬 수 있다고 보고된 여러 요인들을 내적 발달 자산의 하위 요소와 세부 항목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분류된 자료들을 분석하여 비폭력대화가 초등학생의 내적 발달 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폭력대화는 초등학생의 긍정적 자아정체감 향상에 도움이 된다. 문헌 분석 결과 비폭력대화를 초등학생에게 지도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긍정적 자아정체감의 하위 요소인 개인 내적인 힘과 자아존중감의 향상도가 유의미하게 높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비폭력대화는 초등학생의 사회적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비폭력대화를 학습한 초등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사회적 능력의 하위 요소인 대인관계 형성능력, 문화적 적응능력, 저항 기술, 평화적인 갈등해결 능력의 향상도가 유의미하게 높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비폭력대화는 초등학생의 내적 발달 자산 향상에 도움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Nonviolent Communication(NVC)’ on ‘Internal Asse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exploring how ‘positive identity’ and ‘social competensies’, which are subcomponents of ‘Internal Assets’, relate to NVC.. The research issues are as follows: First, does NVC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prove their positive identity? Second, does NVC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prove their social competensies? To verify this, the literature that studied the effects of NVC from 2003 to 2017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the various factors, that be influenced by NVC, belong to sub-components and details of internal assets. Thus, this study considered the NVC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al Assets’ presented by Benson and others, especially among them, the internal assets. First, several of the factors reported to be promoted by NVC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sub-components and details of internal assets. Then the classified data was analyzed and arranged the effect of NVC on the internal asse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Nonviolent Communication helps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prove their positive identity. The literature analysi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learned NVC ha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s in individual inner strength and self-esteem than students who did not. Second, Nonviolent Communication helps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prove their social competensi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learned NVC were more capable of developing interpersonal skills, cultural adaptation skills, resistance skills and peaceful conflict resolution skills than students who did not. Thus, Nonviolent Communication helps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prove their Internal Assets. Key-words : Nonviolent Communica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nal Assets, positive identity, social competens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