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xsackie and adenovirus receptor is essential for tight junction assembly and trophectoderm formation during early mouse embryo development

        정예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oxsackie and adenovirus receptor (CXADR)는 상피세포에 발현되며 조직 재생, 세포와 세포 사이에 접합 및 인간 배아 발달에서 밀착 연접(Tight junction)에 관여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인간 배아 연구에서 CXADR은 착상 전 배아 발달 동안에 발현되고 tight junction 단백질과 같은 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 했다.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 배아 발달 과정 중 CXADR 의 발현 패턴과 blastocyst 형성 및 tight junction 형성 등 기능적인 역할을 분석하려 하였다. 생물학적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CXADR RNAi approach 를 이용해 maternal, zygotic CXADR 를 Kd 하였다. CXADR Kd 배아 에서 blastocyst 발달이 감소gk며 tight junction 와 trophetoderm 형성과 연관된 gene의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outgrowth assay 와 Embryo Tranfer assay 를 통해 Trophectoderm(TE) 형성 및 착상 후 발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음을 확인 하였다. CXADR ectodomain 분해 효소로 알려진 adam10 (A Disintegrin And Metalloproteases) 를 이용해 Tight junction assembly의 구성을 확인해 보았다. Adam10 은 CXADR 와 interaction 하며 blastocyst 형성과 tight junction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CXADR이 마우스 배아 발달 과정 중 Tight junction complex , Trophectoderm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착상에 관여함을 증명하였다. 건강한 배아의 선택은 가축의 인공 수정율을 증가 시키기 위함에 있어 필수적이며 나아가 인간에게 있어서 단일 배아의 선택은 다태아 형성을 줄일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대단위 동물 또는 인간 배아에서 이러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cxadr 유전자가 정상적인 배반포 형성 및 착상을 위한 마커로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Coxsackie and adenovirus receptor (CXADR) is expressed in epithelial cells and is involved in tissue regeneration, cell-cell junction including tight junction In human embryogenesis, CXADR was detected during preimplantation development and co–localized with tight junction (TJ) proteins . I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CXADR in mouse early embryos to identify the functional roles in blastocyst development in terms of tight junction biogenesis. To determine the biological function, I depleted maternal and zygotic Cxadr transcripts using RNAi approach. In Cxadr knockdown(KD) embryos, a decrease in blastocyst development rates was observed. I also found that tight junction associated genes and proteins were down-regulated, and paracelluear sealing was defected in the KD embryos. Furthermore , outgrowth assay and embryo transfer experiment demonstrated defects of TE development indirectly and failure of post-implantation development directly. To understand constituent of tight junction assembly, I depleted ADAM10 (A Disintegrin And Metalloproteases reported to be involved in cxadr ectodomain cleavage. Adam10 affacted blastocyst formation via tight junction assembly with Cxadr using proximility ligation assay.CXADR affects establishment of TJ complex and TE development during early embryo development and pregnancy.

      • 영어 듣기 시험 방식이 수험 결과에 미치는 영향

        김소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stening test methods on test performance.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desirable listening test methods of getting valid, unadulterated test sc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nnel and sequence of test inputs based on Bachman's Test Method Facets theory and Test Usefulness, and the critical importance of testing methods by Choi, In-chull. Preliminary analysis compared effects of channel(oral vs. visual) and sequence(order and frequency of passage and question) for all data gathered. For further analysis, the data were separated according to two groups based on students' level producing different results when they were grouped. Following test delivery, students were each surveyed to gather personal perceptions of listening test methods they experienced. For this purpose, the study tests the following research hypotheses. (1) When the question and the passage of the input are presented twice, the test score will be higher. (2) When the choice of the input is presented orally, the difficulty of the test will increase. (3) The channel and sequence of the input will affect the test discriminability and the test reliability. (4) The effects of different testing methods on the listening test will differ according to student level. The major findings from the data results from 291 middle school students a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the passage and the question affects the test discriminability and the test reliability. Listening test methods which present the passage and the question twice stimulate students' natural cognitive process, causing test authenticity to increase. (2) The channel of the input affects the difficulty of the test. When the input is presented visually, students' test-taking strategy using the visual information works to perform the listening task, and the test validity decreases. In contrast, when the input is presented orally, the amount of the information retained and the memory factor affect the test score. It decreases the test validity, too. (3) Sequence of the input affects both levels of ability more than the channel of the input. For higher level students, test discriminability and test reliability is greatest in the sequence of passage (oral) → question(visual) → passage(oral) → question(visual) → choice(visual). The lower level's test discriminability and the test reliability is greatest in the sequence of passage (oral) → question(oral) → passage(oral) → question(oral) → choice(visual). (4) The effects of different testing methods on the listening test differs according to student level. The frequency of the input increases discriminability of the results in higher level students. Oral presentation of choices results in low correctness.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1) Students prefer visual presentation of choices because of their test-taking strategy or test-wiseness. (2) Students consider the visual presentation of choices to be more helpful than the two presentations of the passage and question. However, some others feel that visual presentation of questions does not provide an adequate assessment of listening ability. (3) A slight majority of students expressed desire to be tested in various ways. The remainder of students reported concern with unfamiliarity of new testing methods. (3) When the passage and the question is presented once, they feel burdened because of the great amount of information presented in a short time. (4) Lower level students feel challenged when input is presented orally because of the great amount of information to remember. (5) Many of the students agree to attempt various methods of test presentation in hopes of increasing English a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hannel and sequence of the listening test input affect test performance in a different way according to student level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the validity of the listening test, the first thing seriously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process of listening test development is to prevent unwarranted interference of presentation methods of the question, the passage and the choice.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more valid listening tests can be proposed as follows: (1) The passage and the question should be presented twice to get more valid measurements for both levels of listening ability. (2) The channel of the question should be strongly considered to make the listening test more valid. For most middle school students, visual presentation of the question can get more valid results. However, if student level is very advanced, it can be presented orally to maximize validity. (3) Except for the very low level students, it is more appropriate to present choices of the input orally to prevent students from illegal use of test- taking strategy. (4) There is no single perfect listening test method for all level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e various types of testing methods according to student ability to get the most valid test scores. 본 연구는 영어 듣기 시험 방식이 수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여 수험자의 순수한 듣기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바람직한 듣기시험방식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Bachman의 시험방식양상과 평가 유용도 이론, 그리고 평가방식의 결정적 중요성에 대한 최인철의 주장, Shohamy의 시험 방식의 중요성을 이론적 배경으로 다음과 같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입력의 제시 경로(음성 vs. 문자)와 제시 순서가 수험자의 듣기 능력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네 가지의 서로 다른 듣기시험방식으로 실시된 듣기 평가의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듣기시험방식이 수험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타당성을 보다 심도 있게 확보하기 위해 수험자의 언어능력에 따라 상위권과 하위권 두 집단으로 수험자를 구분하여 두 집단의 각 시험 방식에 대한 수험 결과를 다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을 통해 듣기 시험 방식에 대한 수험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듣기 시험에서 질문과 내용을 두 번씩 들려줄 때 측정 결과는 더 높게 나타날 것이다. (2) 듣기 시험에서 선택지가 음성으로 제시될 때, 평가의 난이도는 높아질 것 이다. (3) 입력의 제시 경로와 제시 순서는 평가의 변별도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4) 듣기 시험 방식이 수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수험자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291명의 중학생을 실험 대상으로 얻은 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듣기 시험에서 질문과 내용의 제시 횟수는 평가의 변별도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친다. 내용과 질문을 두 번씩 제시하는 시험 방식은 수험자가 자연스러운 인지 과정을 거쳐 놓친 정보를 다시 듣고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시험의 난이도는 낮추고 실제성은 높인다. (2) 입력의 제시 경로는 평가의 난이도와 타당도에 영향을 미친다. 입력이 문자로 제시될 때, 수험자의 수험 전략이 수험 과정에 개입하여 순수한 듣기 능력 측정을 방해하기 때문에 평가의 타당도를 낮추는 결과를 초래한다. 반면에, 입력이 음성으로 제시되면, 수험자가 기억해야 할 입력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수험자의 기억 능력 요인이 평가의 결과에 영향을 미쳐 평가의 타당도는 낮아진다. (3) 상위권과 하위권 집단 모두 입력의 제시 경로보다는 입력의 제시 순서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상위권 집단은 ‘내용(음성) → 질문(문자) → 내용(음성) → 질문(문자) → 선택지(문자)’의 시험 방식에서 변별도와 타당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하위권 집단은 ‘내용(음성) → 질문(음성) → 내용(음성) → 질문(음성) → 선택지(문자)’의 시험 방식에서 변별도와 타당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듣기 시험 방식이 상위권과 하위권 집단의 수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난다. 입력의 제시 횟수의 증가는 상위권 집단의 변별도를 높였고, 선택지의 음성 경로 제시 방식은 하위권 집단의 정답률을 낮추었다. 시험 방식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다수의 학생들은 수험 전략을 사용하여 듣기 시험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선택지가 문자로 제시되는 방법을 선호한다. 반면에, 다른 일부 학생들은 문자로 제시된 질문과 선택지 때문에 진정한 듣기 능력 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2) 학생들은 선택지의 제시 경로가 문자인 시험 방식이 내용과 질문이 두 번씩 제시되는 시험 방식보다 수험 과정에 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3) 새로운 듣기 평가 방식이 낯설어서 불편하다고 생각하는 학생들 보다 다양한 방식의 듣기평가에의 노출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학생들의 수가 조금 더 많았다. 일부 학생들은 새로운 방식의 듣기 평가가 자신들의 영어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4) 듣고 기억해야 하는 정보의 양의 증가하기 때문에, 내용과 질문이 한 번만 제시되는 시험 방식에 대해 학생들은 부담을 느꼈다. 하위권 집단은 입력이 음성으로 제시되는 경우, 기억력에 대한 부담을 크게 느꼈다. (5) 질문이 문자로 제시되는 경우, 정확하게 질문을 파악할 수 있어서 도움이 된다는 의견과 문자로 제시된 질문을 보고 내용을 미리 예측한 후 일부 필요한 정보만 듣게 되기 때문에 듣기 과정에 방해가 된다는 의견이 비슷하게 공존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듣기 시험방식에서 입력의 제시 경로와 횟수는 수험자의 언어 능력 수준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듣기 시험 제시 방식과 수험자의 수험 전략의 상호작용이 듣기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수험자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시험 방식의 개발에 대한 노력이 시급하다. 듣기 시험의 타당도를 최대화하기 위해 평가의 개발 단계에서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은 입력의 제시 방식에 따른 부당한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타당한 듣기 평가 방식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타당한 듣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위권과 하위권 집단 모두에게 내용과 질문이 두 번씩 제시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 (2) 질문의 제시 경로는 듣기 평가를 더 타당하게 하기 위해 심각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듣기 시험에서는 질문이 문자로 제시될 때 더 타당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수험자의 수준이 아주 높은 경우, 평가의 타당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질문 또한 문자로 제시할 수 있다. (3) 수험자의 언어능력 수준이 아주 낮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험 과정에 개입될 수 있는 학생들의 부당한 수험 전략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선택지를 음성으로 제시하는 시험 방식이 더 적절하다. (4) 다양한 수준과 특성을 가지고 있는 모든 학생들에게 통용될 수 있는 단 하나의 완벽한 듣기 시험 방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수험자의 수준과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평가방식이 개발되어야 한다.

      • 영어 독해시험의 일지문 일문항과 일지문 다문항의 효과성 비교

        이성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영어 독해 평가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한 지문에 한 문제가 제공되는 일지문 일문항(OPOI: One Passage One Item, 최인철, 1997)과 한 지문에 여러 개의 문제가 제공되는 일지문 다문항(OPMI: One Passage Multiple Items)이 있다. 시험의 타당도 측면에서 OPOI와 OPMI로 인한 국부독립성(Local Independence)과 국부종속성(Local Dependence)여부는 독해평가에 영향을 미친다. 지문이 포함하는 배경지식, 문제와 문제 간의 관계, 풀이 전략 등은 개개인의 인지능력의 차이에 따른 것으로 이는 시험 도구가 의도하는 바, 진정한 독해력 측정에 방해 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 개개인의 배경 지식, 학습 정도 여부와 인지 능력이 독해 평가 수행 시, 영향을 끼친다는 가설을 OPOI를 채택한 TEPS와 OPMI를 채택한 TOEFL지문을 각각 제공하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 증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집단으로 대다수의 강의가 영어로 이루어지는 이공계 K대학과 특정 일부 학과에서만 영어강의가 진행되는 일반 C 대학을 수험집단으로 삼았다. OPOI 방식에 따른 결과는 K대학과 C대학의 양 집단의 평균에는 상당한 차가 있으나, 표준편차는 거의 동일하다(평균- K대학: 20.8785, C대학: 13.8394/ 표준편차- K대학: 5.27394, C대학: 5.29461). 이는 각 집단 의 수준과 관련 없이, 집단 내 수험자들의 수준이 비슷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OPMI의 경우, K대학과 C대학의 양 집단 평균에 상당한 차가 있을 뿐만 아니라, 표준편차 또한 두드러지게 차이가 난다(평균- K대학: 19.6717, C대학: 12.0219/ 표준편차- K대학: 6.65222, C대학: 4.73328). 평소에 영어를 도구적 목적으로 다루는 K대학의 수험자 개개인의 학습, 인지능력의 차이에 대한 반응도가 영어에 노출될 기회가 거의 없는 C대학 수험자들에 비하여 많이 난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설문 조사의 학습자 유형에 따른 항목(1-TEPS 학습자, 2-TOEFL 학습자, 3- TEPS, TOEFL 학습자, 4- 무학습자)에서 TEPS와 TOEFL 모두 학습한 3번 유형의 수험자들이 가장 높은 평균을 기록하였다. 이유로는, OPOI와 OPMI를 모두 학습, 익숙해졌고 이를 통해 독해실력 자체가 상승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또한 ‘본인은 OPOI와 OPMI 중 어떤 유형이 더 편한가요?’에 대한 결과로, 수험자들은 학습 유형에 상관없이 OPOI 방식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PMI 방식을 불편하다고 생각하는 수험자 대부분은 긴 지문에 심리적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부종속으로 인한 부당한 이익을 감지하고 있었다. 반면, OPOI가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로 OPMI 학습자들은 국부종속에 의해 맥락만 파악하면 쉽게 풀이할 수 있는 이점에 충분히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다. 실험 결과와 설문조사는, 영어 독해평가의 타당도 측면에서 비교적 짧고 그다지 전문적이지 않은 내용을 포함하는 지문과 그에 따른 한 문항만이 제시되는 OPOI가 긴 지문에 심도 깊은 내용을 포함하고 여러 문항이 동시 제시되는 OPMI보다 객관성을 띠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중학교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의 채점자 신뢰도 및 학생과 교사의 인식

        염지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15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는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의 개발을 발표하였고 이것은 대학입시에서 말하기와 쓰기 영역을 최초로 평가한다는 점에서 영어교육계의 큰 패러다임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는 1998년에 ‘수행평가’라는 용어가 사용된 이래 제 7차 교육과정의 도입과 함께 영어 말하기 시험이 본격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수행평가가 실시됨과 동시에 많은 연구들이 쏟아져 나왔고 많은 문제들이 제기되었다. 이 시점에서 학교 현장에서 말하기 평가가 잘 시행되고 있는지 현 주소를 살펴보고 재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수행평가의 채점자인 교사에 초점을 두어 채점자 요인이 말하기 평가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교사들이 채점한 말하기 평가 점수를 분석한 후,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우리나라 교육 실정에 맞는 말하기 수행평가의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중학교 말하기 수행평가 점수의 채점자에 따른 점수 변화를 관찰하였다. 둘째, 학생들을 채점자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눠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점수를 분석하였다. 셋째, 말하기 수행평가의 흥미도, 만족도, 난이도, 필요성 등과 관련하여 설문지를 통해 학생들의 영어능력 차이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넷째, 말하기 수행평가의 실시방법, 효과, 만족도 등에 대해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말하기 수행평가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일원변량분석 결과 교사A가 채점한 2회의 말하기 수행평가 점수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A와 교사B가 채점한 점수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립표본 검정 결과, 교사A와 교사B가 채점한 말하기 평가의 집단 간 점수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상관관계 분석 결과 교사A가 채점한 2회 채점 점수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나, 교사A와 교사B가 채점한 점수 간에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학생들은 수행평가의 반영비율, 필요성, 채점기준에서 영어능력 차이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없었다. 다섯째, 말하기 수행평가의 만족도, 채점의 공정성, 효과, 흥미도 변화, 난이도 등에 대한 인식에서는 학생들의 영어능력 차이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교사는 현재 말하기 수행평가의 운영에 있어 현실적 제약으로 의사소통적 수행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말하기 수행평가의 문제점 및 개선점에 따른 교사와 학생의 인식차이에서는 주목할 만한 차이점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말하기 수행평가 실시를 위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말하기 수행평가 채점에서 2인 이상의 복수 채점을 원칙으로 해야 한다. 둘째, 복수 채점을 하기에 교사 수급문제가 걸림돌이 된다면 채점자 연수를 철저히 실시한 후 1인 채점을 권장한다. 셋째, 영어교사들을 대상으로 평가자로서의 교사 연수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최인철(2005)이 제안한 COPI를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채점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실용성의 문제까지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이다.

      • 시험 유용성 이론에 근거한 중학교 정기고사 타당도 검증

        정연이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학교 정기고사의 유용성을 구인 타당도, 신뢰도, 진정성, 상호작용성, 영향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문항 분석은 코퍼스 프로그램을 이용한 어휘 난이도 분석과 가독성 분석을 통한 양적 접근, 그리고 원어민 강사들의 질적 분석을 통해 진행하였다. 또한 중학교 정기고사의 역류효과는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정기고사의 평가문항은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제대로 평가하고 있지 않다. 둘째, 중학교 정기고사의 평가문항의 난이도와 체제는 일관성이 없다. 셋째, 중학교 정기고사의 평가문항은 실제 의사소통능력이 요구되는 상황의 특성을 균형 있게 나타내지 않는다. 넷째, 중학교 정기고사의 평가문항은 수험자의 언어능력, 정의적 스키마, 명제적 지식이 언어시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잘 드러날 수 있도록 하지 않는다. 다섯째, 중학교 정기고사의 평가문항은 학생, 교사 및 사회와 교육체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학교 정기고사의 유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가 중학교 정기고사 출제에 있어서 큰 영향력이 있기를 기대한다.

      • 고등학교 영어회화 교과의 과업중심 평가 타당성 검증 : 실용영어회화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김혜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영어회화 교과는 실생활의 다양한 주제를 바탕으로 한 실용적인 내용 및 활동 중심의 수업을 통해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실용적 언어능력 습득을 위한 다양한 과업중심 수업과 평가에 대해 필요성을 느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실제 적극적으로 시행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영어회화 교과의 목적에 맞는 수업과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경기도 소재 H 고등학교 2학년 25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 참여 과업중심 수행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가 학생들의 과업중심 수행평가에 대한 정의적인 인식과 학업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과업중심 수행평가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경기도에서 근무하시는 고등학교 영어교사 62명과 25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업중심 평가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과업중심 수업-평가를 설계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과업중심 수행평가 실시 후 학생들의 평가에 대한 인식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과업중심 수행평가의 실시를 통한 학생들의 성적 변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과업중심 수행평가 실시 이전인 2015학년도 1학기 실용영어회화 성적과 실시 이후인 2015학년도 2학기 실용영어회화 성적을 비교, 분석 하였다. 더불어, 과업중심 수행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 등 정의적인 면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다섯 단계로 나눈 성적대별로 학생들을 표집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과업중심 수업 및 평가의 실시를 통해 학생들은 이전보다 수업 참여도와 학습량이 증가하였으며, 수업 분위기도 상당히 좋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평가와 수업과의 관련성과 평가활동 수준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학생들이 느끼는 평가 타당도에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으며 과업중심 수행평가를 통한 영어능력의 향상에 대해서도 95%이상의 학생이 영어의 네 기능 중 한 가지 부분에서의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여 과업중심 수행평가가 대한 학생들의 정의적인 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과업중심 수행평가 이전과 이후의 성적 변화를 다섯 단계로 성적대를 나누어 대응표본 t분석을 실시하여 확인 결과, 전체적인 학업 성취도와 읽기와 듣기 평가에서는 뚜렷한 성적 향상의 결과를 보여줬으나 쓰기와 말하기 평가에서는 성적이 약간 하락하였음을 확인했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 면담 결과, 여기에는 과업중심 수행평가 이전과 이후 평가의 난이도 차이, 채점자 신뢰도에서의 변수, 많아진 과업중심 수행평가 횟수와 활동의 다양성에서 오는 학생의 피로도 등이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해 충분한 연구와 보완이 이루어진 후에 과업중심 수행평가를 시행한다면 영어능력의 모든 영역에서 학생들에게 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과업중심 수행평가가 확대 시행되기 위해서 교사는 과업중심 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연수 등을 통해 역량을 강화하고, 각 교육청과 연수 기관들은 교사들에게 다양한 연수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교사가 과업중심 평가에 충분한 시간을 투자할 수 있도록 교원 업무 경감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꾸준한 과업중심 수업-평가 실시와 함께 그 평가가 다시 수업방법 개선에 활용되는 washback이 충분히 이루어져서 학습자의 학습 수준, 상황 등에 맞도록 지속적인 수업방법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The) test usefulness of the Vietnam's college English entrance xxam

        Bui Thien Sao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goal of this thesis was to investigate the test usefulness of the Vietnam’s College English Entrance Exam (VCEEE). It examined how the VCEEE represents the frameworks of test usefulness, language knowledge, and test task characteristics proposed by Bachman (1990) and Bachman and Palmer (1996). In this research, a corpus of seven entrance tests from 2010 to 2015 was compiled, two mock entrance tests were administered to 44 Vietnamese eleven graders, and two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to 203 students (both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and 37 high school teachers of English in Vietnam. Subsequently, the author conducted a number of analyses: a corpus linguistics analysis of the test input, qualitative analyses of test content and quality, an item analysis anda correlation analysis of the test scores collected from the two mock tests, and, finally, a descriptiv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result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VCEEE largely employed the multiple choice test method, and the language input of the tests was composed of mainly low level vocabulary, having the readability level fluctuate over the years. The VCEEE was shown to mainly assess vocabulary and grammar knowledge and reading skills. In terms of knowledge components proposed by Bachman and Palmer (1996), the most tested knowledge area in the VCEEE was grammatical, followed by textual and functional knowledge. In terms of skills, receptive skills rather than productive ones were tested before 2015. Additionally, a bias in tested aspects and a fluctuation in item number pertaining to these aspects existed in every knowledge area or skill. Moreover, the findings show that although the VCEEE had relatively high internal reliability, the consistency between the tests of different years and the test discriminability did not reach a satisfactory level. Furthermore, the authenticity and interactiveness of the tests varied across test methods. Finally, the VCEEE was indicated to have substantial impacts on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 school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left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to entrance test developers and education policy makers in Vietnam.

      • The multicultural classroom : Korean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s multicultural inclusivity pre and post TESOL certification

        FRANKLAND DEVIN MICHAEL BLACKBURN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data from 40 South Korean pre-service teachers in reference to their perceived levels of confidence in teaching in multiculturally inclusive classrooms pre and post TESOL certificat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multicultural inclusivity was defined as the effort to meet the educational and scholastic adjustment needs of a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 population. Additionally, it incorporated the notion to seek to provide an education through which all students, regardless of ethnicity or gender, feel equally challenged and have an equal chance of academic success (Ponterotto, et al., 1990). Given the large influx in recent immigration to South Korea, and its subsequent diversification of a relatively monocultural student population, this study aimed at bringing attention to the growing need for awareness in regards to the adoption of multiculturally inclusive best practices within the Korean framework for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if Korean pre-service teachers feel that it is in fact necessary to cater to multicultural inclusivity in relation to pedagogical best practice. Secondly, if in fact pre-service teachers place value on multicultural inclusivity, then how prepared to effectively teach in inclusive classrooms were they upon TESOL program comple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majority of pre-service teachers do in fact feel that multicultural inclusivity should be incorporated into pedagogical best practice; however, the same majority also reports a lack of training and preparation for fostering such inclusivity post program completion. Keywords: multicultural education, inclusivity, pedagogy, pre-service teachers

      •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 절대평가 도입의 쟁점

        신루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troduction of criterion referenced assessment for the English test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In order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new type of CSAT assessment, this study applied two analysis methods. First, according to researches that were conducted using a variety of quantitative analysis programs on English Text books, EBS text books and CSAT, the results show that the policy of utilizing the EBS text books should be modified in terms of the difficulty and authenticity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is study has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to illustrate how the CSAT has been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which shows content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test. As a result, in discussions on the issue of the criterion referenced assessment,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subject matter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improved content development and construct validity to ensure the successful adaption of the 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 for the CS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