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의 정서지능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김형우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정서조절에 어려움을 가진 아동의 정서지능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감정조절이 잘 되지 않아 부적응 행동을 보인다는 이유로 시설에 의뢰된 8세 여자 아동으로, 정서지능 척도의 최저 31점에서 최고 155점 범위의 점수에서 69점의 낮은 점수를 받아 정서지능 증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아동이다. 프로그램은 2015년 10월부터 11월까지 주 2회, 매회 40분씩 총 12회기 동안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은 정서지능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문헌고찰(김현영, 최은영, 공마리아, 2013; 오정민, 2012; 이병래, 1997)한 후 선행연구들(강보민, 2015; 임정은, 2015; 김현영, 2013; 김은희, 2011; 박성미, 2011; 변정희, 2007)의 프로그램을 정리·참조하여 자기정서인식 단계, 자기정서조절 단계, 타인정서인식 단계, 타인정서조절 단계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미술치료 관찰에 나타난 정서지능의 변화, 정서지능 척도 상에 나타난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정서인식, 자기정서조절, 타인정서인식, 타인정서조절에서 정서지능의 긍정적인 항목의 수가 증가되는 모습을 보였고, 정서지능 척도 상의 점수가 증가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미술치료가 아동의 정서지능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가진 아동에게 정서지능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리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계기로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This study shows that art therapy can help the children who have difficulties in controlling their emotions to improve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The participant of the research was a 8-year-old girl who has maladjusted behaviors. She scored 69 points in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its score ranging from 31 points up to 155 points; and she was proved to need to get an Emoti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 The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two times a week from October to November in 2015; and each 12 section in the program was performed for 40 minutes. The program, including 4 stages : Oneself Emotional Awareness, Oneself Emotional Regulation, Another Emotional Awareness, and Another Emotional Regulation, was invented after the researcher reviewed and reorganized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books. After the therapy program, the participant's chang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in the result of the research. It shows that the therapy caused positive changes in 4 stages : Oneself Emotional Awareness, Oneself Emotional Regulation, Another Emotional Awareness, and Another Emotional Regulation and also increased scores in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art therapy can enhanc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effectively. Lastly, the researcher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reveal positive effects of art therapy; and expect many children who suffer emotions control problems to get the beneficial treatment.

      • 암환자의 불안 감소를 위한 만다라 미술치료 사례연구

        김세은 대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만다라 미술치료가 암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암 발생 후 치료를 받고 있는 암환자들로 재발 등에 대한 불안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3명의 암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5년 9월 2일부터 2015년 11월 30일까지 기초선 3회기, 중재 10회기, 유지 3회기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도구는 사전, 사후 불안 평가를 위해 Spielberger(1970)가 제작하고 이를 김정택(1978)이 번안하고 표준화한 상태 불안 척도(STAI)를 사용하였으며, 매 회기 불안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사용하였다. 만다라 프로그램은 정여주(2001)의 저서를 참고하여 46개의 원 만다라 중 암환자 10명에게 이완의 정도를 평가하도록 하여 이완의 정도가 높은 상위 20개의 문양 만다라를 제공하였으며, 문양과 매체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채색하도록 하였다(최은영, 공마리아, 2008). 이를 통해 회기 중 만다라에서 나타난 암환자의 불안 변화와 행동 관찰을 통해 비교·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다라 미술치료는 암환자의 불안척도 감소에 효과적이다. 둘째, 만다라 그림과 암환자의 행동 관찰을 비교 기술한 결과, 불안감소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다라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암환자의 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효과성이 입증되었으며, 암환자의 불안 감소를 위한 자료로서 의미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ndala art therapy with anxiety for Cancer Patient. The subjects were three cancer patients who receive the highest score for anxiety scal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3 sessions in baseline, 10 sessions in intervention, and 3 sessions in maintenance from September 2 to November 30, 2015. For verification of this study, measurements of Spielberg's anxiety scale(STAI) translated by Kim Jeong-taeck(1978) was used for pre and post test, and Visual Analogue Scale(VAS) was used for every session to evaluate anxiety of participants. The Mandala art therapy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Mandala and art therapy of Jung Yeo-ju(2001). Participants assessed 46 mandala patterns according to relaxation degree. 20 mandala patterns of high rank were provided. participants select patterns and paint freely(Choi eun-yeong, Kong maria, 2008). Also, the behavioral changes of anxiety during mandala art therapy program were compared and describ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ndala art therapy were effective in reducing anxiety scale of the cancer patient. Second, Mandala art therapy were effective in reducing anxiety of the cancer patien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behavior of cancer patients and mandala painting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was verified that mandala art therapy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in cancer patients' anxiety. and this study has a meaning as a material for a cancer patient anxiety.

      • 자기통제 증진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통제성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최서희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통제 증진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통제성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C시 소재 S중학교 3학년 중 자기통제성 척도 55점 이상 공격성 척도 80점 이상인 청소년 20명을 선정하여 10명을 실험집단으로, 10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기통제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15년 4월 15일부터 5월 8일까지 4주 동안 주 3회기로 진행하고, 회기마다 90분, 총 11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기통제성 척도와 공격성 척도 및 HTP그림검사이다. Grasmick, Tittle, Bursik, 와 Arneklev(1993)의 자기통제성 척도를 정혜승(1996)이 번안하고 조유정(2003)이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공격성 척도는 Marsee, Kimonis와 Frick(2004: 하문선, 김지현, 2013 재인용)의 PCS(Peer Conflict Scale)를 한영경(2008)이 번안하고 하문선, 김지현(2013)이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HTP는 Buck과 Hammer(1969: 김동연, 공마리아, 최외선, 2002재인용)에 의해 개발된 검사로, HTP에 나타난 공격성 변화를 살피고자 Hutton(1994: 공마리아, 최은영, 2015 재인용)이 개발한 지표 공격성 적대감(Aggressive and Hostility: AH)중 공격성 지표 분석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do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각 집단 사전‧사후‧추후 검사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및 단순 주 효과 분석, HTP에 나타난 공격성에 대한 사전·사후 대응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통제 증진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통제성 향상 및 공격성 완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of Art Therapy to improve self control for adolescents on aggression of them.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0 students (10 for experimental group and 10 for controlled group) chosen among third-year students of S middle school in C city. The score of self control scale of 20 students chosen for program was over 55 and the score of aggression scale of them was over 80. Art Therapy program to improve self control was proceeded three times a week for 4 weeks from April 15, 2015 to May 8, 2015. Each session took 90 minutes and 11 sessions in total were implemented. Self control scale, aggression scale and HTP drawing test were implemented. Concerning self control scale implemented on this study, it had been translated from Self control scale of Grasmick, Tittle, Bursik, 와 Arneklev(1993) by Jung, Hyeseung(1996) and used by Cho, Yoojung(2003). And concerning aggression scale implemented on this study, it had been translated from PCS(Peer Conflict Scale) of Marsee, Kimonis and Frick(2004: Ha, MoonSun and Kim, JiHyun cited at second in 2013) by Han, Younggyoung(2008), and used by Ha, MoonSun and Kim, JiHyun(2013). HTP was developed by Buck and Hammer(1969: Kim, DongYeon, Kong, Maria, and Choi, WoiSun cited at second in 2002), to check the change of aggression on HTP, aggression indicator analysis was used between indicators as Aggressive and Hostility developed Hutton(1994: Kong, Maria, Choi, EunYoung cited at second in 2015).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SPSS Window 18.0 program was used, and through this program,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preliminary, post and further inspection score among both groups, Repeated measure ANOVA, verification of simple main effect and also preliminary and post response t verification to aggression on HTP were performed. As results from this study, Art Therapy to improve self control was verified to be effective on mitigating control and aggression of adolescents.

      • 긍정심리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가 갱년기 여성의 행복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이예리 대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긍정심리에 근거한 미술치료가 갱년기 여성의 행복감 증진과 우울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C시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여성 중 L심리상담센터와 C시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지원자를 모집하여 갱년기 증상 측정도구(MENSI: Menopauause Symptom Index)와 우울척도검사(BDI: Beck Depression Inventory), 주관적 행복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중에서 갱년기 증상의 점수가 20점 이상, 우울 정도가 11점 이상, 주관적 행복감의 점수가 평균 14점 이하인 여성이며, 프로그램 참여 동의서를 제출한 여성 2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2회기, 매 회기 90분씩 2016년 1월∼2016년 6월까지 실시하였다. 긍정심리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Seligman(2006)의 긍정심리치료를 기초로 고영건(2009), 임영진(2010)의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과 홍주영(2010), 이미자(2010), 허정선(2012), 김지현(2014)의 긍정심리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갱년기 여성에 대한 긍정심리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및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통계 처리를 위해 SPSS WIN 18.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는 갱년기 여성의 행복감 중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는 갱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긍정심리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는 갱년기 우울 증상을 가진 여성에게 행복감을 증진시키며 우울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갱년기 여성들이 긍정적 정서 함양을 통해 심리적 안정과 행복을 찾을 수 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Applying a Positive Psychology on the feeling of happiness increase and depression decrease of climacteric women. The subjects include adult women residing in C city that were recruited from L psychology counseling center and C city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to counsel applicant. They had been tested Menopauause Symptom Index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subjective happiness measure. They were divided into twenty women of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both of which consisted of ten each who submitted program agreement of participation, climacteric symtoms score more than 20 points, depression score more than 11 points, subjective happiness measure's score less than average 14 points, among other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he positive psychology was based on Positive Psychotherapy(2006) of Seligman and refered to positive psychotherapy program of Ko Young-Kun(2006)&Im Young-Jin(2010) ,group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of Hong Joo-Young(2010)&Lee Mi-Ja(2010)&Hu Jung-Sun(2012)&Kim Ji-Hyun(2014) , and reorganized contents to fit this research. The program was organized over total 12 sessions with a 90-minute session.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applying a Positive Psychology for climacteric women, repeated measure ANOVA was carried out with the pre-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treated with the SPSS 18.0 program. The findings show. First that Group Art Therapy Applying a Positive Psychology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happiness of climacteric women. Secondly, Group Art Therapy Applying a Positive Psychology was effective for decreasing the depression of climacteric women. The findings indicate that Group Art Therapy Applying a Positive Psychology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happiness and decreasing the depression of climacteric women.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monstrated that positive foster emotion of climacteric women can find happy and be stable.

      • 긍정심리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수진 대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긍정심리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인의 긍정 정서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있는 I재활원 그룹홈에 거주하며 본 프로그램의 취지를 이해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지적장애인 2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 13명, 통제집단 10명을 배치하여 긍정심리기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수정된 한국판 긍정 정서 및 부정 정서 척도 (Korean-version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Revision; K-PANAS -R), 강예경(2013)이 번안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검사(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ID version; GSES-ID)와 사회적 자기효능감 검사(The Glasgow Social Self-Efficacy Scale-ID version; GSSES-ID)를 사용하였다. 중재기간은 2018년 3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총 14회기로 구성하였으며 주 2회, 매 회 60분씩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Statistics 24.0을 사용하였고,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을 활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과 단순 주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긍정심리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인의 긍정 정서와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긍정심리기반 집단미술치료는 지적장애인이 자신의 삶의 방식을 결정하고 주체적인 의사결정을 하며 다양한 사회적 기술 습득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이를 통해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부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a positive psychology-based group art therapy would affect positive emotions and self-efficacy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y. A total of 23 the intellectual disability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program and communicable person who were living in the home of the 'I' Rehabilitation Group in D City were selected as research targets, and the study conducted a positive psychology-based group art therapy onto these randomly arranged experimental group of 13 and control group of 10. Korean-version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Revision(K-PANAS-R) and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ID version(GSES-ID) which is reconstructed by kang(2013), The Glasgow Social Self-Efficacy Scale-ID version(GSSES-ID) which is reconstructed by kang(2013) as research tool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March of 2018 to April, and 14 sessions in total were held twice week for 60 minutes each. SPSS Statistics24.0 was used for processing data, and Independent t-test verified homogeneity. The study also conducted repeated measure ANOVA and Simple Main Effect analyzed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und from a preliminary test, a post-test. Findings of the research have revealed that a positive psychology-based group art therapy improves positive emotion and self-efficacy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y.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e findings indicate that a positive psychology-based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positive emotions and self-efficacy, and such therapy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that searching for live a positive quality of life, acquire variety of social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which the intellectual disability would be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therapy.

      • 성인여성의 페미니즘 성향과 외모관리행동의 관계에서 교육수준의 조절효과

        최영희 한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여성들의 페미니즘 성향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교육수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시대적 흐름에 맞는 미용서비스 제고를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성인여성 580명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페미니즘 성향을 외생변수로, 외모관리행동을 내생변수로 설정하고 구조모형을 구축하여 검증하였으며, 교육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기술적 통계, 신뢰도, 독립표본 t-test 및 연구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AMOS 21.0을 이용하여 최종모형 구축을 위한 가설적 모형의 부합도 및 가설검정과 교육수준에 대한 조절효과를 위해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페미니즘 성향은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대졸 이상 집단이 전문대졸 이하 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모관리행동은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인 성형관리행동, 네일관리행동, 메이크업관리행동에서 전문대졸 이하 집단이 대졸 이상 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페미니즘 성향은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인 성형관리행동, 네일관리행동, 체형관리행동, 메이크업관리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피부관리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대졸 이하 집단은 페미니즘 성향이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대졸 이상 집단에서는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인 성형관리행동, 네일관리행동, 체형관리행동, 메이크업관리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인여성의 페미니즘 성향이 강할수록 외모관리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페미니즘 성향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높아진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대중매체의 발달과 더불어 외모를 중시하는 풍조가 높아지고 있는 반면, 디지털 경제의 대중화된 페미니즘의 새로운 형태로 ‘탈코르셋 운동’이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다. ‘여성에게 요구되는 외모에 대한 압력’을 거부하는 탈코르셋 운동이 대중적으로 관찰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페미니즘의 일환인 탈코르셋 운동은 소비하지 말아야 할 것뿐만 아니라 대체할 소비 상품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향후 연구에서는 주체적인 여성성을 위한 ‘긍정적 형식의 미학’에 대한 후속 연구들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women's feminism on the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analyze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ir education level between them, providing basic data to offer beauty services fit for the flow of the times.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conducted an online survey with 580 adult women across the nation. In the study, the feminis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ere set as an exogenous and endogenous variable, respectively, and tested with a structural model to examine moderating effect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23.0 program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independent t-test, and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Hypothetical models were examined in fitness and tested with the AMOS 21.0 program to build a final model. Multiple 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moderating effect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eminism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or a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showed a greater feminism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community college or a lower educational institutio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Those who graduated from community college or a lower educational institution scored higher points in plastic surgery, nails, and make-up management behavior under the category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or a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Third, the feminism had negative effects on plastic surgery, nail, body shape, and make-up management behavior unde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no effects on skin management behavior. Finally, the feminism had no impact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mong those who graduated from community college or a lower educational institution. It had negative impacts on plastic surgery, nail, body shape, and make-up management behavior unde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mong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or a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a stronger feminism had negative effects o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adult women and that the feminism had greater impact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a higher educational level, thus holding their significance. While the trend of emphasizing appearances is growing with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the "Escape the Corset" movement is rising among the young generation as a new form of popularized feminism in a digital economy. The findings of the study have huge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Escape the Corset movement, which is to refuse pressure on women for their appearances, is observed among the public. As part of feminism, the Escape the Corset movement proposes alternative products as well as products that should not be consumed. In this sense, the study will hopefully be followed by future research on ‘aesthetics in positive forms’ for independent femininity.

      •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김소령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피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D시에 위치한 N보육원에 있는 초등학교 3∼4 학년가운데 프로그램에 참여를 원하는 아동 중 자아탄력성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14명의 아동이며 각 7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2020년 1월부터 2020년 5월까지 매 회기 70분씩 주 1회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서 박은희(1996)가 아동의 대상으로 개발하였고 정경희(2015)가 수정과 보안한 자아탄력성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서 동질성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자아탄력성 전체의 하위영역(대인관계, 활력성, 감정통제, 호기심, 낙관성)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on the self-elasticity of children in facilities and to provide the necessary basic data for improving children's self-elastic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hildren with relatively low self-elasticity scores among the 3rd and 4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N nursery school located in D city, and seven of them were placed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of 12 sessions once a week for 70 minutes each from January 2020 to May 2020. In order to verify changes in research subjects, Park Eun-hee (1996) developed it for children and used the self-elasticity test paper, a measure of inspection that was modified and secured by Jeong Kyung-hee (2015), as a preliminary, post and later inspection. The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through independent sample test (Independent – Test) to measure the effects,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epeated Measurement ANOVA (Repeated Measurement ANOVA) using the pre-, post- and post-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llective art therapy has also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self-elasticity scores and promoting lower-level areas (personal relationships, vitality, emotional control, curiosity, and optimism) through programs to improve the self-elasticity of children in facilities.

      • 간호사의 긍정정서 및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긍정심리기반 미술치료 사례연구

        정정윤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긍정심리기반 미술치료가 간호사의 긍정정서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B시에 위치한 B병원, 직무스트레스를 호소하는 간호사 중에서 직무스트레스 척도 점수 94점 이상인 간호사 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간호사 3명을 대상으로 하는 단일사례연구로서, 긍정심리기반 미술치료프로그램이 간호사의 긍정정서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기간은 2021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이며, 프로그램은 2021년 7월부터 2021년 9월까지, 총 10회기로 1회기당 90분씩 주 1회 진행되었다. 본 연구 도구로는 윤민지(2011)가 번안·수정한 긍정정서 및 부정 척도 중에서 긍정정서 18문항, Ivancevich와 Mattersor(1980)이 개발한 것을 김일경(1999)이 번안한 직무스트레스 척도지와 Lack(1996) PITR-SRC척도를 손무경(2004)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긍정심리기반 미술치료가 간호사의 긍정정서 향상 및 직무스트레스 가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연구를 종합해 볼 때, 긍정심리기반 미술치료가 간호사의 긍정정서 향상 및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가져온다는 것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긍정심리기반 미술치료프로그램을 간호사를 대상으로 적용한 긍정심리기반 프로그램이 부족한 현실에서 그 효과를 살폈던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y-based art therapy on positive emotions and occupational stress in nurs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three nurses with a score of 94 or higher on the occupational stress scale, among nurses complaining of job stress at B hospital in B City, South Korea. As a single case study targeting three nurses,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an art therapy program that i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on positive emotions and job stress in nurs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21 to December 2021, and the program from July 2021 to September 2021, with a total of 10 sessions composed of 9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18 questions on positive emotions extracted from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scale adapted and modified by Minji Yoon (2011), and the occupational stress scale first developed by Ivancevich and Mattersor (1980) and then revised by Ilkyung Kim (1999), and PITR (Heidi S Lack, 1996), which was adapted by Son Mu-kyung (2004) for the case of South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rt therapy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improved the nurses' positive sentiment and decreased their occupational stress. After the analysis, we could confirm that positive psychology-based art therapy effectively improves nurses' positive emotions and reduces job stres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probed the influence of positive psychology-based art therapy programs for nurses in the reality where sufficient positive psychology-based programs are lacking.

      •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은경 대구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중독 위험성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지역 초등학교 고학년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의 청소년(초등학교 4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척도)와 정신건강 척도 그리고 주소영(2008)이 사용한 아동용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065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거된 962부의 설문지 중 732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사항에 대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반군과 위험군의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스마트폰 사용실태에 차이를 나타내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일반군과 위험군의 스마트폰 중독, 정신건강, 회복탄력성으로 구성된 매개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Sobel test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이 회복탄력성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군과 위험군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학년, 성적, 학교생활만족도, 스마트폰 사용실태 중에서는 평일이용시간, 주말 및 공휴일 이용 시간, 스마트폰 의존도, 사용용도 및 이유, 사용 장소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일반군과 위험군에 있어 정신건강 전체와 각 하위요인에 있어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은 일반군과 위험군 모두에서 회복탄력성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에 따른 특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상담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위험 초등학생의 정신건강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는데 있어 위험군과 일반군 초등학생 모두에게 회복탄력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는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는 아동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심리치료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covery resilience on the link between the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ents in upper elementary grades in Daegu were surveyed by using two scales-smart phone addiction self-diagnosis scale (S-scale) for adolescent (designed for students between fourth elementary grade and high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and resilience scale for children developed by Joo (2008). Total 1,06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962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the data from 732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for the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s was used for analyzing participants’ general demographic information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was used to see how at-risk students for smart phone addiction differ from non-risk students for smart phone addiction in terms of demographic variables and smart phone use. Moreove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dopted to verify the mediation model for smart phone addiction, mental health, and recovery resilience.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Sobel test. Lastl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examine how the risks of smart phone addiction affect the students’ recovery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in length of smart phone use in weekdays and in weekends and holidays, degree of smart phone dependence, reasons for smart phone use, and places of smart phone use among demographic variables of at-risk students and non-risk students for smart phone addic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found in both student groups for the risks of smart phone addiction. Thir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hown in both groups in mental health and its sub-variables. The findings support the necessity of differentiated counseling interven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 addiction risk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they indicate the positive effects of resilience in at-risk and non-risk students for smart phone addiction in preventing and reducing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high by providing the data supporting for the development of relevant psychotherapy interventions and the encouragement to practice such interventions for the students who are faced with the danger of smart phone add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