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 미술의 잔혹성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최지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20세기 두 번의 세계대전을 통해 현대 미술가들은 폭력, 죽음과 같은 화두에 주목하였고 전쟁과 함께 억압적이고 폭력적인 시대적 배경을 보여주는 하나의 현상으로 공포스럽고, 기괴한 특성이 나타나는 ‘잔혹성’을 부각 시켰다. 미술가들은 전쟁 및 폭력성을 사용하여 반전과 반체제성을 표출하고 잔인하고 폭력적인 표현을 통해 인간의 타락함을 이미지화하였고 신체의 왜곡과 파괴, 해체를 통해 인간 본성의 잔인함을 표출하여 잔혹한 현실을 살아가는 현대인을 보여준다. 현대 미술가들은 이러한 잔혹성을 다양한 문화적 코드와 연결시키고 다양한 작품들을 선보였다. 특히 본 연구의 표본작가인 베이컨(Francis Bacon), 니취(Herman Nitsch), 채프만 형제(Jake and Dinos Chapman)등은 이 주제를 각각 인간의 가학성과 폭력적 신체를 통해 이미지화 하였다. 이러한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혐오적이며 비이성적 행동과 폭력적 요소들은 시대적인 혼란과 현대인의 불안 및 공포를 염두하여 고통과 격변의 현대사에 대한 작가의 철학적인 통찰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본 연구는 현대미술에 나타나는 잔혹한 이미지에 주목하여 잔혹성의 개념과 특성을 정리하고 베이컨(Francis Bacon), 니취(Herman Nitsch), 채프만 형제(Jake and Dinos Chapman) 등의 현대작가의 작품을 통해 본인의 작품과 비교하고 유사성 및 변별성을 이론과 적용시켜 고찰하였다. 예술에서의 참혹함이란 일반적인 의미에서 보여지는 폭력적이고 비이상적인 이미지와 형이상학적인 이해의 폭을 넘어 인간이 존재하는 공간과 그 공간의 표현 그리고 그것을 이해하기위한 수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잔혹성의 표현은 최근 시각예술분야에 관심이 집중되어 시각 정보들의 메시지 전달의 주요소로 이용되고 신체를 통했을때 가장 극적이며 훌륭하게 표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잔혹성의 특징을 신체를 통해 표현되는 양상에 따라 신체 파괴, 변형, 그리고 추함의 이미지로서 살펴보았다. 우리가 현대 미술에 나타나는 잔혹성의 이미지를 살펴보는 것은 현 시대의 잔혹성에 관한 인식과 그 표현 양상을 연구할 수 있는 가장 용이한 방법이며 잔혹성의 미적 가치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Through the two world wars hit the glob in 20th century, modern artists focused on the subjects such as death and violence. Thereafter, they have emphasized "cruelty" in which it interprets the oppressive and violent background of the modern time. Many contemporary artists depicted anti-establishment view of the society through the impression of wars and violence; they pictured humans' depravity through the cruel and violent expressions; They also expressed people living in the modern society by distortion and by dismantlement of the human bodies in their artworks. Modern artists created varieties of art works by connecting to the various cultures. Especially, for instance, Francis Bacon, Herman Nitsch, and Jake and Dinos Chapman those who inspired my study portrayed immortal cruelty and violence through human bodies. Their works effectively showed their philosophical views of the fast changing modern history accompanied by chaos ,uneasiness,fear, and pain. In my study, I have focused on cruel images of modern art and their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By doing this, I have fou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my works with the modern artists such as Francis Bacon, Herman Nitsch, and Chapman brothers. Cruelty in art represents a tool to understand the space where human beings exist and the expressions of the space beyond the general meaning of the cruelty which is the violent and abnormal images of the world. Such cruel illustration drew a great attention from visual art field, and it has been used to deliver many important messages creatively. Cruelty is depicted the most dramatically through human bodies. Therefore, I hav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cruelty in dismantled, distorted, and revolting images of the human bodies. Observation of cruelty in contemporary art is the most effect way to understand the discouraging modern society and is meaningful to understand its artistic value.

      • 과정(Process)을 주제로 한 조각 연구 : 연구자의 작품 중심으로

        명윤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 포스트-모더니즘의 현대미술작가들은 과거의 전통 형식을 탈피 한다기보다 과거의 형식을 소생시키려 한다는 게 특징이다. 따라서 과거로부터 또는 다른 문화들로부터 양식과 이미지를 차용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고급문화와 저급문화의 엄격한 구분을 피하고 장르를 넘나들기 위해 여러 가지 대중문화의 현상들이나 갖가지 환상적 요소들을 작품에 차용하기도 한다. 이렇게 차고 넘치는 문화예술의 범람 속에서도 현대 미술가들은 시대에 걸맞은 작품을 만들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한다. 본 연구는 작품이 만들어지는‘과정’을 주제로 하는 조각연구이다. 미술가들이 작품을 만든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처음의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작업을 하고, 마지막으로 작품을 남기는 일련의 과정이다. 이때 처음의 개념과 아이디어 및 실행과정은 완성된 작품의 뒤에 감추어져 드러나지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무시되기도 하고 부분적으로 생략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작가의 의식으로부터 발현되고 전개되는 창의적 여정의 중요성을 되짚어보고, 쉽게 지나쳐 버리는 과정의 의미를 다양한 이론적 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정된 질서로부터 탈주하여 끊임없는 생성을 강조하는 들뢰즈(Gilles Deleuze)의 생성과, ~되기 이론을 고찰할 것이다. 이후 과정 개념이 본격적으로 형성 되었던 과정미술(Process Art)에 대해 살펴보고, 현대미술에서는 어떻게 전개 되었는지 분석할 것이다. 이어 본 연구자의 작업 성향을 엿볼 수 있는 선행 작가들로 린다 벵글리스(Lynda Benglis)와 사이먼 데커(Simon Decker) 작업에 대해 살펴 볼 것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일련의 연구를 통해 연구 작품의 이론적 근거를 확립하였고, 선행 작가들과의 비교ㆍ분석을 거쳐 연구자의 작품에 대한 타당성을 확고히 할 수 있었다. Today's contemporary artists of postmodernism are characterized by their attempts to revive the forms of the past rather than escaping from the old traditional forms, thus borrowing styles and images from the past or other cultures in many cases. They also employ various phenomena of pop culture and all sorts of fantastic elements in their works to avoid the strict division of high and low culture and freely move across different genres. Even in those floods of culture and art, contemporary artists make constant efforts to create works fit for the times.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sculpture on the topic of "process" to create a work. When creating a work, artists generally go through a series of process from coming up with an idea in the beginning to completing a work at the end. The initial concepts, ideas and implementation processes are hidden behind the completed work, not visible to the viewers. Those processes are sometimes ignored or partially omitted. The present study reflected on the importance of creative journey that was manifested and developed from the consciousness of an artist and examined the meanings of processes that would be easily neglected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theories. In the study, the investigator looked into the generation and becoming theory of Gilles Deleuze that emphasized escape from a fixed order and continuous generation, examined process art that formed the concept of process in full scale, and analyzed its development in contemporary art. The study then delved into the works of Lynda Benglis and Simon Decker as previous artists through whom to peek at the creative tendencies of the investigator. Going through those research procedures, the investigator was able to establish a theoretical ground for the subject works and solidify their validity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previous artists.

      • 지하연계복합건축물 침수재난 대비 방안 연구 : 유지관리 측면에서

        양수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oday, cities have become high-rise and dense as a large population lives together, causing various problems. In particular, Seoul was developed intensively with high density as the rapid urbanization progressed, and new problems arose as buildings became high-rise and large due to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technology today. High-rise and large-scale buildings inevitably led to an increase in impermeable layers, and in recent years, flooding disasters caused by typhoons and heavy rains caused by climate change have caused a lot of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There are 418 skyscrapers and underground-linked complex buildings nationwide, 120 skyscrapers, and 298 underground-linked complex buildings (as of December 2021). In Seoul, there are 24 skyscrapers such as Lotte World Tower in Jamsil, Songpa-gu, and Three IFC in Yeouido, Yeongdeungpo-gu, 177 underground-linked buildings such as Seoul Express Bus Terminal in Banpo and Migliore in Myeong-dong, and 201 high-rise underground-linked buildings. High-rise underground-linked complex buildings are becoming indispensable in modern society where the population of large cities is concentrated. As the population gathers, the land where buildings can be built is limited, so vertical expansion has become an inevitable option. In the event of a disaster in such a high-rise underground-linked complex building, massive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are inevitable. In the event of disasters such as floods, typhoons, and floods in Seoul, a large city with the largest number of skyscrapers and 10 million people, we looked for ways to prepare for disasters in advance. In modern society, office workers in large cities go to and from work by public transportation. They start the day in an adjacent business building through an underground entrance through an underground passage through an underground connection passage, or use stairs to start, live, and spend most of their time in the office. In the reality that office workers in these large cities are connected to subway stations or underground shopping malls to spend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day, if the connection part of the building is not prepared for flooding, it will lead to a major disaster. According to various government reports and research analysis, torrential rains due to climate change, flood-causing environments due to urbanization, and risk factors due to increased flood-prone facilities in the near future. If the lives and property of citizens cannot be protected due to such torrential rains and poor management of facilities, the city will be paralyzed and the lives and property of citizens will not be protected. We looked into whether there was an effective countermeasure against this. Office workers examined whether there were any problems with the subway connecting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day, and reviewed laws related to high-rise buildings such as the Special Act on Disaster Management of High-rise and Underground Complex Building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High-rise Disaster Management Act"). In addition, data and statistics in related fields were referred to by using public data releas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data that the general public could not easily find using the information disclosure request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I hope that these efforts will not be reflected in the field and prevented with sputum, and I wrote the paper thinking that it would be a small foundation for protecting the safety and life of the people as a person working at a public institution if I could prepare in advance for a big disaster at a low cost. The focus of my research is First, the data obtained while working on various websites or public institutions were referenced, various terms were easily solved so that the general public could understand them, and related laws and similar papers were introduced to present the basis. Second,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accident cases of high-rise underground-linked complex buildings in Korea were tracked, the cause and management status of the accident were checked, and related laws and management systems were proposed. Third, we tried to express the voices of people working in the field by visiting the current building and listening to the opinions of related employees, listening to the opinions of public officials in related fields to improve the system and establish fundamental measures, and writing papers that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high-rise underground complex buildings in Korea. 오늘날 도시는 많은 인구가 모여 살면서 고층화, 밀집화되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특히 서울은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집중적으로 고밀도로 개발되었고, 오늘날 기술의 발전과 고도화로 인하여 건물이 고층화되고, 대형화되면서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건축물의 고층화와 대형화는 필연적으로 불투수층의 증가를 초래하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태풍과 호우로 인한 침수재난이 발생하여 많은 인명피해와 재산 피해가 발생하였다. 전국에 초고층 및 지하연계복합건축물은 모두 418개 동이 있으며, 초고층 건축물은 120개 동이 있고, 지하연계복합건축물은 298개 동(2021.12. 기준)이 있다. 서울에는 송파구 잠실에 있는 롯데월드타워와 영등포구 여의도에 있는 국제금융센터(Three IFC) 같은 초고층 건축물 24개 동과, 반포에 있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과 명동에 있는 밀리오레 등 지하연계복합건축물 177개 동과, 초고층 지하연계복합건축물이 총 201개 동이 분포해 있다. 초고층 지하연계복합건축물은 현대 사회에서 대도시의 인구가 밀집한 곳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건축물이 되어가고 있다. 인구는 모여드는데 건물을 지을 수 있는 땅은 한정되어 있어 수직으로의 증축은 피할 수 없는 선택지가 되었다. 그러한 초고층 지하연계복합건축물에서 재난이 발생하게 되면 대규모 인명피해와 재산 피해는 피할 수 없다. 그중에서 초고층과 지하연계복합건축물을 합친 수가 가장 많고 천만 인구가 거주하는 거대도시 서울에서 홍수, 태풍, 수해와 같은 재난이 발생할 경우, 대규모 인명피해와 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사전 재난 대비 방법은 없는지 알아보고, 법과 제도의 미비점은 없는지, 구조적 결함은 없는지, 유지관리 측면에서 부족한 부분은 없는지, 방재 공학을 전공한 사람으로서 최고의 방법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대안을 줄 수 없는지 알아보았다. 현대 사회에서 대도시의 직장인들은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출, 퇴근한다. 도시철도를 타고 이동하여 지하 역사에 내리고, 지하상가를 거처 지하의 연결통로를 지나 지하의 출입구를 통하거나, 계단을 이용하여 지상의 출입구를 통하여 인접한 업무용 건물에서 하루를 시작하고, 생활하며 시간 대부분을 사무실에서 지내고 있다. 이러한 대도시의 직장인들이 지하철역이나 지하상가와 연결되어 하루의 시작과 끝을 보내는 현실에서 건축물의 연계 부분이 침수 대비가 안 되어 있다면 대형재난으로 이어지고 말 것이다. 각종 정부 보고서와 연구 분석 결과 가까운 미래에 홍수 피해를 더욱 확대할 수 있는 요인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가 증가하고, 도시화에 따른 홍수 유발 환경이 증가하며, 홍수에 취약한 시설의 증가로 인한 위험 요인이 있다고 한다. 이러한 집중호우와 시설물의 부실 관리로 인하여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없다면 도시는 기능이 마비되고,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없을 것이다.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은 없는지를 알아보았다. 직장인들이 하루의 시작과 끝을 이어주는 지하철과 연계되는 부분에 문제는 없는지 살펴보았고, 초고층 및 지하연계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초고층 재난관리법」이라 함) 등 초고층 건축물과 관련된 법령 및 사전재난영향성검토협의 지침과 재난 예방 및 피해경감계획 수립 세부 지침 들을 살펴보고 검토하여 누락 되거나 미비한 부분은 없는지, 현재 유지관리 업무를 하고 있는 실무자의 눈으로 관찰하고 확인하여 현실에 맞고, 적은 비용으로 개선할 수 있는 부분은 없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관련분야의 자료와 통계는 공공기관에서 발표한 공개자료와 공공기관의 정보공개 청구제도를 활용하여 일반인들이 쉽게 찾아볼 수 없었던 자료들을 활용하여 참고토록 하였다. 이러한 노력들이 현장에서 조금이라도 반영이 되어 호미로 막을 수 있는 것을 가래로 막지 않아도 되었으면 좋겠고, 적은 비용으로 미리미리 대비하여 큰 재난을 대처할 수 있었으면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사람으로서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작은 밑거름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며 논문을 작성하였다. 중점적인 연구내용으로는 첫째, 각종 웹 사이트 또는 공공기관에 종사하면서 확보한 자료들을 참고하였고, 각종 용어를 쉽게 풀어 일반인들도 이해할 수 있게 하였고, 관련 법규와 유사 논문을 소개하여 근거를 제시하려고 노력하였다. 둘째, 우리나라 초고층 지하연계복합건축물의 현황과 실제 사고사례를 추적하였고, 서울의 침수 사고가 발생했던 지하역사 및 지하상가를 방문하여 사고 원인과 관리실태를 확인하고, 근본적인 대응 방안은 없는지 살펴보았고, 관련 법령 및 관리체계의 개선방안도 나름대로 제시하였다. 셋째, 현재 사용되고 있는 건물을 직접 찾아가 관련 직원들의 의견을 듣는 등 현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담으려 노력하였고, 관련분야에 종사하는 공무원들의 의견을 청취하여 제도개선과 함께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우리나라 초고층 지하연계복합건축물의 유지관리에 작은 보탬이 되는 논문을 작성하고자 노력하였다.

      • 주거형태에 따른 CORE 계획시 건축법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강은수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농경 중심에서 경제성장으로 소비자들의 기술 발달, 트랜드 변화 등 주거공간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아파트 구조는 크게 판상형과 타워형으로 분류되는데 전통적인 구조인 판상형과 복도형에서 시작하여 수요 등의 증가와 생활의 편리성을 추구하면서 고층화가 필요하였고, 이로 인해 타워형으로 점차 변화하였다. 보통 판상형은 직통계단 1개소로 이루어지고, 타워형은 직통계단 2개소로 이루어져 있다. 그렇다면 관련 건축법규들은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계단도 1개소에서 2개소로 층수도 5층 → 16층 → 30층 → 50층으로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는데 관련 법규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으며 어떤 개선사항이 필요한지 검토 및 분석하려고 한다. 이와 같이 주거시설 CORE 계획에서 적용되고 있는 건축 관련 법규를 검토 및 분석하고 안전·편리성 등 주거 기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 피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법규가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를 알아보려고 한다. 주거시설에서 화재사례를 분석해본 결과 Core 즉, 계단의 내화구조 성능의 저하로 다수층 또는 발화건물 전체 연소(화재확산)가 발생 건수에 비해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가 높아 화재 위험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Core 관련 건축법규에는 어떠한 것이 있고 어떠한 검토가 필요한지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첫 번째, 공동주택에서 직통계단 2개소 설치 및 승용 승강기를 비상용승강기로 하였을 때 어떠한 개선사항이 있는지 두 번째, 주거시설 4세대 이하인 경우 직통계단 2개소 면제기준에 대해서는 어떠한 개선사항이 있는지 세 번째, 피난계단과 특별피난계단이 200제곱미터, 400제곱미터마다 방화구획되어 있을 때 면제조항이 가능한 것에는 어떠한 개선사항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문제점 및 개정안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건축물의 외부마감재 같은 경우에는 직접적인 여러 화재의 원인으로 대두되면서 많은 법규의 개정안을 도출하였다. 하지만 계단 Core 관련하여서는 정량적이지 않고 정성적이다 보니 법규 개정안을 도출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여겨진다. 이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법규 및 CORE 계획의 개선사항 및 관련 법규를 분석하여 건축물의 안전성 확보와 법규의 해석적 연구를 바탕으로 법규 개정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re have also been many changes in residential space, such as the development of consumers' technologies and changes in trends, from agriculture to economic growth. Apartment structur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plate-shaped and tower-shaped, starting with the traditional structure of plate-shaped and corridor-shaped, and high-rise was needed to increase demand and convenience of life, which gradually changed to tower-shaped. Usually, the plate shape consists of one direct staircase, and the tower shape consists of two direct stairs. If so, it seems necessary to review what changes have been made to related building laws. The number of stairs is also continuously increasing from one to two, from 5th floor → 16th floor → 30th floor → 50th floor, and we will review and analyze what changes have been made to related laws and what improvements are needed. In this way, we would like to review and analyze building-related laws applied in the residential facility CORE plan, find out how the laws should be improved to improve evacuation safety while ensuring sufficient housing functions such as safet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an analysis of fire cases in residential facilities, the fire risk is high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fire-resistant structure of the stairs, resulting in higher property and human casualties than the total combustion (fire spread) of multiple floors or ignition buildings. Therefore, we looked into three main things: what are the core-related building laws and what review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improvements when installing two direct stairs in an apartment building and using a passenger elevator as an emergency elevator Second, what improvements are made to the criteria for exemption from two direct stairs for those with less than four households of residential facilities Third, when the evacuation stairs and special evacuation stairs are fire-resistant every 200 square meters and 400 square meters, it was investigated what improvements are made to the exemption clause possible, and problems and standards for revision were presented. In the case of exterior finishing materials of buildings, many amendments to laws were derived as they emerged as direct causes of various fires. However, as it is no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garding stair core, it is expected to take a lot of time to derive a revision to the law.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rovements and related laws of the law and CORE plan to secure the safety of buildings and lay the foundation for the revision of laws and regulations based on analytical research.

      • 위절제술을 받은 위암 환자에서의 삶의 질 : 한국어판 EORTC QLQ C-30 and gastric cancer module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

        이재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599

        위암 치료의 발달로 위암 환자의 장기 생존 예가 늘어나게 되면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저자는 EORTC QLQ C-30 and gastric cancer module의 한국어판(한국어판 설문지)을 작성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여 한국인 위암 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에 적절한 도구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신뢰도를 위한 검사-재검사 신뢰도의 피어슨 상관계수는 0.41-090이었고 내적 일관성 신뢰도의 Cronbach's α는 0.8745-0.9194이었다.(p<0.0001) 기준 타당도에서 각 영역의 피어슨 상관 계수는 0.543-0.852 (p<0.001) 이었다. 동시타당도에서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축약형의 전반적인 삶의 질과 한국어판 설문지의 각 영역 간 상관계수는 0.407-0.561(p<0.001)이었다. 구인타당도에서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축약형 및 삶의 질 전반적 추정치에 따른 삶의 질 점수와 한국어판 설문지의 삶의 질 점수는 비례하였다.(p<0.01) 변별타당도에서 한국어판 설문지는 남과 여, 50세 이하와 이상, 위전절제술과 위부분절제술 및 조기위암과 진행위암에 따른 차이를 변별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한국어판 설문지는 우리나라 위암 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에 신뢰성과 타당성이 높은 도구임이 판명되었다. As survival rates of gastric cancer patients has been improved in recent years, the quality of life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for assessing treatment effic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ORTC QLQ C-30 and gastric cancer module in order to examine its feasibility for use in clinical setting. Reliability of test-retest and internal consistency was evaluated by analysis of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0.41<r<0.90) and Cronbach's α(0.8745<α<0.9194). (p<0.001) Criterion validity was examined by inter-scale correlation. (0.543<r<0.852) Concurrent validity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EORTC QLQ C-30 and gastric cancer module with the Korean version of WHOQOL-BREF. The range of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overall QOL and each scales was from 0.407 to 0.561.(p<0.0001) The construct validity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following scores measured by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EORTC QLQ C-30 and gastric cancer module and WHOQOL-BREF and CGI. The scores was comparable to each other. The Korean version of the EORTC QLQ C-30 and gastric cancer module was also capable of discriminating among different groups of patients. We conclud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EORTC QLQ C-30 and gastric cancer module showed acceptable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good feasibility for use in the clinical setting among Korean gastric cancer patients after gastrectomy.

      • 금기된 욕망을 통한 조각연구 : 연구자의 작품 중심으로

        강인우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미술에서 성에 대한 욕망은 중요한 화두로 논의되고 있으며, 작가들은 자신의 혹은 타인의 성적욕망을 작품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드러낸다. 본 논문은 본인의 예술 창작 행위의 결과물들을 토대로 예술 작품에 나타나는 금기시되는 욕망의 표현 방법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조르주 바타이유와 지그문드 프로이드의‘성’에 대한 탐구를 통해 바라본 연구자의 개인적인 경험이 어떻게 본인의 작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 핵심을 이루고 있는 성적 욕망의 표현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그것이 갖는 예술적 의미와 가능성의 지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Ⅰ장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및 범위에 대한 접근을 시작으로 Ⅱ장에서는 작업의 이론적 접근을 위하여‘욕망’과‘집착’의 관점에서 조르주 바타이유와 지그문드 프로이드의 이론에 대해 살펴본다. Ⅲ장에서는 선행 작가 연구를 통해 예술 작품에 나타나는 금기시되고 있는‘성적 욕망’의 의미와 표출 방법을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본 연구자의 작업을 내용적,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성적 욕망의 내재성의 표현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일련의 연구를 통하여 본인의 작품 세계 형성에 있어 이론적 근거를 확립하고, 선행 작가들의 작품 분석을 통하여 연구자의 작품 활동에 대한 정당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In contemporary art, sexual desire is a heavily highlighted topic. Artists express their own or others’ sexual desire in various forms throughout their works. Using artistic creations made by the researcher as a base, this thesis thoroughly examines the ways in which forbidden desire is expressed in art.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explores how his own personal experience seen through the exploration of Georges Bataille and Sigmund Freud’s theory of ‘sexuality’ influences his artworks, and examines the methods of expression of sexual desire which forms the core of his artworks as well as their artistic meaning and possibility. Starting with chapter Ⅰ about the purpose of and methods used in this research, and range of aspects being approached, In chapterⅡ, the researcher examines Georges Bataille and Sigmund Freud’s theory based on perspectives of ‘Desire’ and ‘Obsession’ for a theoretical approach of artworks. In chapter Ⅲ, the researcher explores the previous expression and meaning of ‘Sexual Desire’, a topic which is forbidden in artworks, through research of other artists’ artworks. Based on this, In chapter Ⅳ, the researcher discusses about the intrinsic expression of sexual desire through an analysis of his artwork’s content and formal aspects. The researcher aims to establish a foundation of a theoretical basis through this research and provide a justification of the researcher’s artworks through an analysis of other artists’ artworks.

      • A Study on Handwritten Digit Recogni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and Stochastic Features

        칼리드 모하메드 알나제이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에서는 뛰어난 오픈 소스인 딥러닝을 이용한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활성화 함수로 1200개의 코어를 가진 Rectifier linear Units (RelU)를 사용하여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실시간 사용에 적합하게 학습과 테스트는 빠르게 수행할 수 있었다. CNN의 모든 변수는 가우시안 분포로 랜덤하게 초기화 되었으며 매 학습마다 학습율 변수는 서서히 감소한다. 각 배치마다 128개의 이미지를 사용하였다. 네트워크는 10,000번의 반복을 통해 학습하였으며 정확도는 약 93.5%를 달성하였다. This thesis presents Comparison an experiment, we used the best open source of deep learning. In addition, the experiment is conducted using high performance in activation function type Rectifier linear Units (RelU) which has 1200 cores. Thus, the training and testing are fast which satisfy real time applications. All parameters of CNN are randomly initialized using Gaussian distribution and the learning rate parameter is smoothly decreasing after each epoch. The number of images used in each batch is 128 samples. The network was trained with (10,000) iterations and a fast convergence was gotten after trivial number of iterations. Superior accuracy is achieved in this work which is 93.5%.

      • 시 작품집 ≪북극의 시간≫ 창작론

        문혜연 숭실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manuscript is the writing of the process of creative writing based on 50 poems written by the graduate school. The poetic thinking to start the writing, and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creative writing were organized through example of the creative poems. In chapter 1, defined the poem I thought. Before deciding on how to create poetry, thought it was necessary to explore the genre of poetry. So tryed to define the poem by asking questions about the poem. In chapter 2 about the background of creative writing, first, arranged the elements of determining the style of poetry. It is worth considering the process of forming a unique style of writing, and each of the nine items was organized, and the poetry was defined through the this manuscript's writer style. Next, introduced texts that influenced writing poems. Thought that I wanted to incorporate fantasy images into poetry, but it was always difficult to balance fantasy and reality. Through the prose poetry of Baudelaire, learned that using a realistic style of grammar can help to use prose closer to reality. Through Lee Jenny’s poems, found that act of naming objects creates a fantastic atmosphere. Also, learned that repetition is the best way to create rhythm, and variation of the rhythm is important too. Through the creative poem <Argentina>, looked back at that enlightenment. Finally, The exercise style of the writing learned in the graduate school Master course <Poetry Create Seminar>, explained a method of expressing one writing material as seven main feelings. Introduced poem <The Witch's Kitchen> and <Paper goldfish> for explain the effects of the exercise style of the writing. In Chapter 3, give a detail account the process of writing a poem. The process of presenting ideas come from the experience of everyday and the impression of painting, briefly explain that process through poems <Arctic Time>and <On Thursday>. Along with the actual creation process, composed creating a total of three poems : <Sue>, <Hyeongjeseom Island> and <Pretty penis>. And it was divided into categories of rhythm, prose poems, the balance between fantasy and reality. In addition, the poetry writing method like the play learned in <Poetry Creative Seminar > was effective in creating a poetic atmosphere and explained it as a <Refrigerator>. Lastly, revealed the process of modification for checking uniformity poetic images, poetic word and rhythm through <Door and Door>. In conclusion, reviewed the method of creativity discussed earlier and arranged the direction of this writer's poetry. This paper may be read as a personal interpretation to my poetry, but it can be meaningful as an objective analysis to check the poem, too. Before all else, It could sort out the creative method of what thought, intended to write, and wanted to write. Writing could be a product of genius, but thought it could be a way for a person to speak towards the world. Writing a good poem is important, but realized that it is important to know how to write and write what I want to write. Also, wanted to elaborate on how to create a poem that learned from graduate school. That's because the exercise style of the writing and the poetry writing method like the play were of help to create a poem. And thought it would help people who wanted to learn how to create poetry. In an appendix, have included fifty poems, including the <Arctic Time>. 본고는 필자가 대학원 석사 과정에서 집필한 시 50편을 바탕으로 창작의 과정을 정리한 글이다. 창작 이전의 영향과 배경부터 창작의 시작인 발상, 실제 집필, 퇴고의 과정을 실제 창작시를 예로 들며 정리했다. 제 1장 서론에서는 필자가 생각하는 시에 대해 정의해봤다. 시란 무엇인가? 라는 물음으로부터 뻗어나가 시에 대해 정리한 것으로, 시 창작에 대해 밝히기 전 시에 대한 장르적 탐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제 2장 창작의 배경에서는 우선 시의 스타일을 결정짓는 요소에 대해 정리했다. 문체(文體)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고심해 볼 만한 것으로, 아홉 가지의 항목에 대해 각각 정리하고 필자의 문체를 창작시 <매머드 연대기>를 예로 들어 정리했다. 그 다음으로는 시를 쓰기 까지 영향 받은 텍스트들을 소개했다. 필자는 환상적인 이미지들을 시 속에 담고 싶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는데, 항상 환상과 현실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어려웠다. 보들레르의 산문시를 통해, 환상적 시 스타일에는 보다 현실의 문법에 가까운 산문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이제니로부터는 명명의 힘을 통해 환상을 만들어내고, 시적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을 배웠다. 또, 반복이 리듬을 만들어내는 가장 좋은 방법이며, 그 반복에는 변주가 따라야 단조롭지 않다는 점을 배우고, 창작시 <아르헨티나>를 통해 되짚어 봤다. 마지막으로는 대학원 석사 과정 중 <시창작 세미나>에서 배운 문체연습으로, 하나의 제재를 일곱 가지의 주된 감정으로 표현해 보는 훈련 과정을 설명하고, 이를 통해 창작한 <마녀의 부엌>과 <종이 금붕어>로 그 효과를 소개했다. 3장에서는 창작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밝혔다. 발상을 이끌어오는 과정을 일상의 경험과 회화로 받은 인상으로 나누어 설명하며, 그 발상으로 이루어진 <북극의 시간>, <목요일> 2편의 시를 소개하였다. 실제 창작의 과정에서는 <수>, <형제섬>, <프리티 페니스> 등 총 3편의 시를 통해 필자가 시를 창작하는 방법을 리듬과 산문시, 환상과 현실의 균형의 항목으로 나눠 상세히 밝혔다. 또, <시창작 세미나>에서 배운 연극적 시 쓰기 방법이 시적 분위기 형성에 효과적임을 밝히고, 이를 창작시 <냉장고>로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문과 문>을 통해 리듬과 시어, 이미지의 통일성을 점검하는 퇴고의 과정을 밝혔다. 결론에서는 앞서 논했던 창작의 방법을 재검토하고, 필자의 시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정리했다. 본고는 필자가 스스로의 창작시에 대해 설명한다는 점에서 자신의 시에 대한 개인적 항변으로 읽힐 수도 있겠으나, 시를 쓰는 사람으로서 자신의 시를 객관적으로 점검해본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무엇보다 이전까지는 그저 쓴다고 생각했던 창작을 무엇을, 어떻게, 왜 쓰고자 하는지를 정리해보며, 창작이 번뜩이는 영감을 단숨에 써내려가는 천재적 능력일 수도 있지만, 한 사람이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게 말을 거는 방법일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좋은 시를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만큼 스스로 쓰고자 하는 바를 알고 쓰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또, 필자는 대학원 석사 과정에서 배운 시 창작 방법과 훈련 과정을 세세히 소개하고자 했는데, 문체연습과 연극적 시 쓰기 훈련 방법이 시 창작에 큰 도움이 되었던 것도 사실이거니와, 시 창작 방법에 대해 도움을 얻고자 하는 또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부록으로 <북극의 시간>을 포함한 50편의 창작시를 첨부하였다.

      • 진이정 시연구 : 윤회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차성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진이정은 불교와 힌두교 등에서 비롯된 윤회 사상을 시의 중심 소재로 사용하여 독특한 사유를 전개하고 있다. 윤회는 죽음과 태어남의 순환적인 반복으로 지상에서의 고통스러운 삶을 의미한다. 인간은 현생의 욕망과 집착을 버리고 업보를 씻을 때 비로소 윤회의 삶을 벗어나 해탈에 이르게 된다. 진이정의 시에서 부정적 현실을 극복하고 초월성을 추구하는 시적 주체의 삶은 윤회의 형태로 나타난다. 진이정은 1980~90년대의 당대 사회적 현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등단작을 포함한 초기시는 리얼리즘 계통의 시로 부조리한 노동현실과 억압적인 정치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을 담고 있다. 이후 시에서도 ‘미국’과 자본에 의해 ‘식민지’가 된 현실과 근대 문명에 의해 황폐화된 인간의 삶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보여 준다. 진이정의 시에는 이러한 부정적 현실 속에서 살아가는 시인이란 존재에 대한 자각이 드러나 있으며 부정적 현실을 넘어서서 초월적 가치를 찾기 위한 고통스런 삶의 방황이 나타난다. 이러한 방황의 시적 표현은 탈중심주의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요설과 다성적 화법, 그리고 시공간의 중첩으로 나타난다. 요설과 다성적 화법은 초월적 가치를 찾는 시적 주체가 현실 세계와 싸우는 가운데서 나타나는 특정한 시적 전략으로 볼 수 있다. 통일되고 일관된 화자가 아닌 이질적이고 다양한 목소리가 등장하여 자유연상과 무절제한 언어의 배열을 보여준다. 이는 초월적 가치와 정신적 고향을 잃은 채 파편화되고 해체화된 현대인의 내면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시공간의 중첩은 과거의 시공간과 현실의 시공간이 중첩되는 배치를 통해 다른 시공간의 ‘인물’ 혹은 전생의 ‘나’가 현실의 시적 주체와 겹쳐지면서 지상의 삶이 주는 슬픔과 그리움의 정서를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지상의 삶이란 알 수 없는 슬픔과 그리움으로 계속 반복된다는 윤회적 상상력에 기인한 시적 표현으로 볼 수 있다. 시적 주체는 이러한 방황 속에서 초월적 가치에 대한 추구를 보여준다. 부정적 현실인 속세의 시간을 극복하고 거대한 우주와의 합일을 꿈꾸는 것이다. 시적 주체는 윤회의 반복되는 삶의 고리를 끊고 해탈에 이르고자 한다. 또한 부정한 현실을 벗어나 유년으로 회귀하려는 욕망을 보인다. ‘나’는 유년 시절이 더러운 ‘진창’과 ‘기지촌’의 현실이고 슬픔과 고통으로 채워진 것을 알고 있지만 다시는 되돌아 갈 수 없는 그 시공간을 영원에 위치시키고자 한다. 시한부의 삶을 살아가는 시인은 모든 것이 무로 사라지는 죽음을 앞에 두고 유년시절을 포함한 자신의 생이 영원히 반복되기를 욕망하는 것이다. 시적 주체는 해탈을 위해서 윤회의 삶을 견디는 것이 아니라, 더러운 진창과 같은 세상에 대한 그리움 때문에 윤회하고 있다는 깨달음을 얻게 된다. 진이정의 시는 윤회로 인해 반복되는 영원회귀적 삶 속에서 인간과 세상에 대한 근원적인 그리움과 사랑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생에 대한 무한한 긍정의 시학으로 나아간다. 진이정의 시에 나타난 윤회적 상상력은 독특한 시세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시사적 의의를 지닌다.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윤회적 상상력은 일반적으로 자아와 대상의 동일화를 성취하고 초월적 가치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진이정의 시에 나타난 윤회는 사랑의 맺음과 대상과의 합일의 차원이 아니라 결코 대상에 도달할 수 없는 상태의 안타까움인 그리움의 시학으로 나아간다. 서정주의 경우 영원성으로 이어지는 윤회론적 시학으로 전후시대의 불안의식을 극복하였다면 진이정의 경우에는 사회역사적 차원이 아닌 개인적 차원에서의 현실 극복을 보여준다. 진이정은 현대인의 불안과 방황, 즉 근대를 앓고 있는 주체의 내면을 그대로 시에 전경화시킨다. 그리고 극복해야 할 부정적 세계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을 드러내고 지상의 세계에 서려있는 자신의 삶에 대한 긍정의 사유를 끌어내고 있다. 본고에서는 진이정의 시가 윤회적 상상력을 통해 삶에 대한 무한한 긍정에 이르는 과정과 그에 따른 형상화 방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의 시는 죽음을 눈앞에 둔 시인이 실제 삶과 죽음 사이에서의 치열한 고뇌를 통해 인간의 생에 대한 긍정의 시학으로 나아가는 진정성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