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태권도 품새 지도자의 코칭특성과 선수의 실패내성, 의도적 연습 및 비교성향의 관계

        이명오 한국체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15

        국문요약 태권도 품새 지도자의 코칭특성과 선수의 실패내성, 의도적 연습 및 비교성향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이명오 본 연구는 태권도 품새 지도자의 코칭특성과 태권도 품새 선수의 실패내성, 의도적 연습 및 비교성향의 관계를 규명하여 품새 지도자에게 효율적인 지도특성 전략을 제시해주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2021년 대한태권도협회에 등록된 태권도 품새 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452명의 선수를 집락표집방법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태권도 품새 지도자의 코칭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Doney & Canon(1997)이 개발한 설문지를 한국 실정에 따라 최관용, 전승훈, 정부경(2014)이 활용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태권도 품새 선수의 실패내성은 김아영(1994)이 개발한 한국형 학구적 실패내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의도적 연습은 Vallerand et al.(2008)이 개발하고 양명환(2015)이 번안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비교성향은 Gibbons & Buunk(1999)가 개발하고 이자연(2017)이 번안한 설문지를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내적일관성을 검증하는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여 검증하였다. 자료처리는 통계 프로그램 SPSS PC+ 22.0 Version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표준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태권도 품새 지도자의 코칭특성과 태권도 품새 선수의 실패내성, 의도적 연습 및 비교성향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코칭특성, 실패내성, 의도적 연습, 비교성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 Scheffe 사후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코칭특성과 실패내성, 비교성향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도적 연습은 전체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 간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코칭특성, 실패내성, 의도적 연습, 비교성향은 일부 하위변인에서만 관련성이 있었으나 p<.01, p<.05 수준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권도 품새 지도자의 코칭특성에 따른 실패내성, 의도적 연습 및 비교성향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태권도 품새 지도자의 코칭특성은 태권도 품새 선수의 실패내성, 의도적 연습, 비교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권도 품새 선수의 실패내성에 따른 의도적 연습 및 비교성향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태권도 품새 선수의 실패내성은 의도적 연습과 비교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태권도 품새 선수의 의도적 연습에 따른 비교성향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태권도 품새 선수의 의도적 연습은 비교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태권도 품새, 코칭특성, 실패내성, 의도적 연습, 비교성향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Taekwondo Poomsae Instructors’ Coaching Characteristics and Failure Tolerance, Deliberate Practice and Comparison Orientation Lee, Myeong-Oh Graduate School of Physical Education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aekwondo poomsae instructors’ coaching characteristics and poomsae athletes’ failure tolerance, deliberate practice and comparison orientation, thereby suggesting efficient coaching characteristics strategies to poomsae instructors. As for research subjects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aekwondo poomsae athletes registered at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 in 2021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a questionnaire survey of 452 athletes were carried out, using the cluster sampling plan. To look into Taekwondo poomsae instructors’ coaching characteristic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Doney and Canon (1997) and used by Choi Kwan-yong, Jeon Seung-hun, and Jeong Bu-kyung (2014) according to Korean situation was used; as for poomsae athletes’ failure tolerance,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Vallerand et al. (2008) and adapted by Yang Myung-hwan (2015) was used; and as for comparison orientation,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Gibbons and Buunk (1999) and adapted by Lee Ja-young (2003) was used after it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to suit the research purpose. As for data processing, descriptive statistical data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PC+ 22.0 Ver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rough the above proced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aekwondo poomsae instructors’ coaching characteristics and poomsae athletes’ failure tolerance, deliberate practice and comparison orientation,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coaching characteristics, failure tolerance, deliberate practice, and comparison orientation, which are variables set in this study, were related in some sub-variables; however, there was no problem of multicollinear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in coaching characteristics, comparison orientation, and failure tolera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at there were overall differences in deliberate practice. Third, it was found that Taekwondo poomsae instructors’ coaching characteristics had positive effects on Taekwondo athletes’ failure tolerance, deliberate practice, and comparison orienta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aekwondo poomsae athletes’ failure tolerance had positive effects on deliberate practice and comparison orientation. Fifth, Taekwondo poomsae athletes’ deliberate practice had positive effects on comparison orientation. Key Word: Taekwondo Poomsae, Coaching Characteristics, Failure Tolerance, Deliberate Practice, Comparison Orientation

      • 육상 단거리 지도자의 코칭행동에 따른 지도자 신뢰 및 팀 분위기의 관계

        최선웅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문요약 육상 단거리 지도자의 코칭행동에 따른 지도자 신뢰 및 팀 분위기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스포츠코칭학과 최 선 웅 이 연구는 육상 단거리 지도자의 코칭행동에 따른 지도자 신뢰 및 팀 분위기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으로 2014년 현재 대한육상경기연맹에 선수등록이 되어 있는 육상 단거리 선수(일반, 대학, 고등부)를 선정하여 308명의 선수를 집락무선표집(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하였다. 조사도구로 육상 단거리 지도자의 코칭행동은 강상조, 안문용, 최관용, 김혜진(2010)이 쓴 코치론에서 말하는 코치 지도능력 평가척도를 연구목적에 맞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지도자 신뢰는 Cook, Wall(1980)이 개발한 설문지를 이재연(2002)이 번안하고 사용한 것을 연구목적에 맞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팀 분위기는 Jones, James(1979) 개발한 설문지를 민윤기(1987)가 번안하고 최소빈(2002)이 사용한 설문지를 연구목적에 맞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WINDOWS용 SPSS PC+ 15.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그리고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육상 단거리 지도자의 코칭행동에 따른 지도자 신뢰 및 팀 분위기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육상 단거리 지도자의 코칭행동에 따른 지도자 신뢰 및 팀 분위기에는 부분적으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육상 단거리 지도자의 코칭행동에 따른 지도자 신뢰에는 관계가 있다. 육상 단거리 지도자의 코칭행동에 따른 지도자 신뢰에 미치는 영향은 모든 하위요인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육상 단거리 지도자의 코칭행동에 따른 팀 분위기에는 관계가 있다. 육상 단거리 지도자의 코칭행동에 따른 팀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은 모든 하위요인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육상 단거리 선수의 지도자 신뢰와 팀 분위기에는 관계가 있다. 육상 단거리 선수의 지도자 신뢰가 팀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주요어: 육상 단거리, 코칭행동, 지도자 신뢰, 팀 분위기

      • 유소년 축구팀의 체력 및 기본기술 수준과 경기력의 관계

        함상헌 한국체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유소년 축구선수들의 체력과 기본기술 수준 및 경기력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3년도 초등부 전국축구리그 서울특별시 권역리그 참가하고 있는 2개의 팀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팀을 대상으로 주축선수 13명의 체력과 축구 기본기술을 리그 시작 전에 측정 하였으며 경기력은 리그가 끝난 후 평가 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WINDOWS용 SPSS PC+ 15.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과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유소년 축구선수들의 체력과 기본기술 수준이 경기력과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소년 S팀의 측정한 평균치는 505 Agility Test 4.62초, 트래핑 2.38개, 드리블 11.49초, 슈팅 1.08개, 헤딩 .92개로 측정됐으며 유소년 I팀은 505 Agility Test 4.81초, 트래핑 1.62개, 드리블 13.91초, 슈팅 .92개, 헤딩 .62개로 측정됐다. 둘째, 유소년 축구팀의 체력 및 기본기술에 대한 차이는 부분적으로 505 Agility Test(p=.042), 트래핑(p=.017), 드리블(p=.001)에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다. 셋째, 유소년 축구팀의 체력 및 기본기술은 경기력과 상관관계가 있다.

      • 유아 태권도 지도자의 코칭교육 요인 탐색과 중요도 분석

        김철용 한국체육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연구에서는 유아 태권도 지도자의 코칭교육을 위한 요인을 탐색하고 도출된 요인들 간의 중요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먼저, 유아 태권도 지도자의 코칭교육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유아 수련생 지도경력 10년 이상과 평균 수련생 200명 이상인 자를 선정기준으로 하여 전문가 회의를 통해 유아 태권도 우수지도자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문헌조사와 심층면담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 범주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진실성과 윤리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인 검증을 받았다. 이후 도출된 요인을 설문지로 구성하여 1차 중요도 분석과 2차 중요도 분석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1차 중요도 분석에서는 추출된 코칭교육 요인을 지도자 교육 이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연구대상은 유아 태권도 지도자 교육에 참여한 지도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총 200명의 표본을 수집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8부를 제외한 총 192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2차 중요도 분석은 지도자 교육 이후 6개월간 현장 적용 후 1차 중요도 분석에 사용된 같은 설문지와 같은 지도자를 대상으로 2차 코칭교육 요인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1차, 2차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통계프로그램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먼저, 유아 태권도 지도자의 코칭교육 요인은 교육요인과 운영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째, 교육요인은 유아 태권도 지도자들이 유아에 대한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특성에 적합한 태권도 교육을 말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프로그램, 교육내용, 교수방법, 학습자 이해 지식 4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프로그램요인의 하위구성요인은 신체발달, 음악활용, 도구활용 등이다. 교육내용요인의 하위구성요인은 인성교육, 연령별교육, 단계별교육, 체험활동 등이다. 교수방법요인의 하위구성요인은 상황극, 재미와 흥미, 설명과 시범, 수준을 고려한 의사소통 등이다. 학습자 이해 지식요인의 하위구성요인은 관심과 관찰, 신체발달의 이해 등이다. 둘째, 운영요인은 유아 태권도 지도자들이 학부모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유아 태권도장 운영에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관리 및 운영내용을 말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학부모 눈높이, 공개심사, 지도자 관리, 홍보 4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학부모 눈높이 요인의 하위구성요인은 지도자 신뢰, 소통과 공감, 연령별 수련환경 등이다. 공개심사의 구성요인의 프로그램 구성, 지도자 이미지 향상, 공개심사를 통한 홍보 등이다. 지도자 관리요인의 하위구성요인은 시대변화에 적응, 지도자의 자질, 주기적인 교육 등이다. 홍보요인의 하위구성요인은 외부홍보, 내부홍보 등이다. 도출된 유아 태권도 지도자의 코칭교육 요인에 대한 1차, 2차 중요도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 설문조사 결과 1위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키는 지도방법, 2위 지도자의 자질, 3위 지도자의 긍정적 피드백, 4위 학부모의 지도자 신뢰, 5위 수준을 고려한 의사소통, 6위 지도자의 관심과 관찰, 7위 인성교육을 활용한 지도, 공동 7위 연령별 차별화된 지도, 9위 학부모와의 소통과 공감, 10위 연령에 따른 신체발달의 이해, 11위 신체발달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도, 12위 시대변화에 따른 연구 및 환경변화, 공동 12위 음악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도, 14위 연령별 수련환경 조성, 15위 주기적인 지도자 교육제공, 16위 지도자의 설명과 시범을 통한 지도방법, 17위 상담기법과 참관수업을 활용한 내부홍보, 18위 공개심사를 활용한 지도자 이미지 향상, 19위 유아 수련생의 실력별, 단계별 지도, 20위 공개심사를 통한 태권도장의 홍보, 21위 도구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도, 22위 공개심사의 프로그램 구성, 23위 상황극을 활용한 지도방법, 24위 전단지, 현수막을 활용한 외부홍보, 25위 공·휴일을 활용한 다양한 체험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2차 설문조사는 교육내용에 대한 현장적용 후에 중요도에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에 2차 설문조사 결과 교육요인의 하위구성요인인 음악활용 프로그램 요인과 운영요인의 하위구성요인인 공개심사를 통한 홍보 요인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다른 요인들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for coaching training of Taekwondo instructors for infant trainees and analyze the importance of the derived factors. For this purpose, first, to explore the coaching training factors of Taekwondo instructors for infant trainees,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with five excellent Taekwondo instructors for infant trainees as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meetings with experts with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more than 10 years’ experience of instruction of infant trainees and 200 trainees on average. The qualitative research conducted an inductive category analysis,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and collecting in-depth interview materials. Also, this study took ongoing verification in order to secure the integrity and ethics of the study. Then,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with the factors deriv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importance analysis and the second importance analysis. The first importance analysis conducted a survey with an instructor education with the extracted coaching training factors. Thus, as for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collected samples of 200 instructors who attended an education for Taekwondo instructors for infant trainees,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in the final analysis, 192 copies were used, excluding eight copies. The second importance analysis checked the differences in the coaching training factors with the same questionnaires used in the first importance analysis and the same instructors after application to the field for six months after the instructor education. With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were conducted, using statistics software SPSS 20.0 for the research purpose,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of all, coaching training factors of Taekwondo instructors for infant trainees could be divided into educational factors and operational factors. First, the educational factors refer to Taekwondo education of Taekwondo instructors for infant trainees appropriate for infants’ physical, ment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Thes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including program,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method, and knowledge of understanding of learners. Sub-components of the program factor include physical development, utilization of music, and utilizing tools. Sub-component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factor include personality education, education by age, education by stage, and experience activity. Sub-components of the teaching method factor include theater of situations, fun and interest, description and demonstration, and communication considering the level. Sub-components of the factor of knowledge of understanding of learners include interest and observation, and understanding of physical development. Second, the operational factors refer to the contents of management and operation for Taekwondo instructors for infant trainees to meet parents’ needs and increase competitiveness in the operation of Taekwondo studios for infant trainees. Thes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including parents’ eye-level, open test, instructor management, and promotion. Sub-components of the parents’ eye-level factor include trust with instructors, communication and empathy, and training environment by age. Sub-components of the open test factor include program composition, instructor’s image improvement, and promotion through an open test. Sub-components of the instructor management factor include adaptation to change of the times, instructor’s qualifications, and periodic training. Sub-components of the promotion factor include external promotion and internal promotion. The results of the first and second importance analyses of the drawn coaching training factors of Taekwondo instructors for infant trainee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first survey, 1st: teaching method for arousing fun and interest; 2nd: instructor’s qualifications; 3rd: instructor’s positive feedback; 4th: parents’ trust with the instructor; 5th: communication considering the level, 6th: instructor’s interest and observation; 7th: instruction utilizing personality education; tied for 7th: differentiated training by age, 9th: communication and empathy with parents; 10th: understanding of physical development by age; 11th: instruction utilizing a physical development program; 12th: changes in research and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tied for 12th: instruction utilizing a music program; 14th: creation of an instruction environment by age; 15th: providing regular instructor education; 16th: teaching method through the instructor’s explanation and demonstration; 17th: internal promotion utilizing counseling techniques and observation classes; 18th: improvement of instructor’s image, utilizing an open test; 19th: instruction of infant trainees by ability and stage; 20th: promotion of the Taekwondo studio through an open test; 21st: instruction utilizing a tool program; 22nd: composition of program of open test; 23rd: teaching method utilizing theater of situations; 24th: external promotion utilizing leaflets and banners; and 25th: various experience activities utilizing holiday. The second survey analyzed changes in importance after applying the educational contents to the field. As a result of the second survey,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sub-component of the educational factors, the factor of the program utilizing music and sub-component of the operational factors, the factor of promotion through an open test,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other factors.

      • 유소년 육상 코치를 위한 코칭역량 모델 개발

        김경지 한국체육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유소년 육상 코치가 갖추어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에 따른 유소년 육상 코치의 코칭역량 모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Lucia & Lepsinger(1999)가 제시한 ‘새로운 역량모델개발 방법론(Starting from Scratch)’을 적용하여 코칭역량 모델을 개발하였다. 새로운 역량모델개발 방법론은 7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방법을 활용하여 개발단계와 검증단계로 나누어 재구성하였다. 코칭역량 모델 개발 단계는 첫째,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개방형 설문지 조사를 위해 육상 전문가 137명, 행동사건면담을 위해 유소년 육상 코치 5명, 타당성 검증을 위해 전문가 집단 11명, 코칭역량 모델의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유소년 육상 코치 7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둘째, 유소년 육상 코치의 코칭역량 개발을 위해 개방형 설문지와 행동사건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셋째, 수집된 자료는 Lucia & Lepsinger(1999)가 제시한 역량요소 도출, 잠정역량과 인용문 제시, 잠정역량도출의 3단계 분석기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고 잠정적 코칭역량 모델을 구축하였다. 코칭역량 모델 검증 단계는 첫째, 코칭역량 모델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전문가 집단에게 7점 Likert 척도를 활용하여 코칭역량의 중요 정도를 파악하였으며, 내용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을 산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근거로 코칭역량 모델을 개발하였다. 둘째, 육상 코치를 대상으로 역량모델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46개의 행동지표를 중심으로 5단계 Likert 척도로 구성하였다. 코칭역량의 현재수준과 중요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으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코칭역량의 우선순위를 확인하고자 Borich 요구도 값을 산출하였다. 셋째, 유소년 육상 코치의 코칭역량 모델은 코칭기술, 선수특성파악, 코지자질로 3개의 역량군을 도출하였다. 코칭기술 역량군은 지도방법, 의사소통, 동기부여, 코칭 지식습득 등 4개의 역량과 21개의 행동지표를 포함하고 있다. 선수특성파악 역량군은 선수선발, 선수파악, 선수관리, 유소년이해 등 4개의 역량과 19개의 행동지표를 포함하고 있으며, 코치자질 역량군은 코치언행, 훈련 외 교육 등 2개의 역량과 6개의 행동지표를 포함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competency youth track and field coaches should have, and therefore, develop the coaching competency model for them. To this end, it developed the coaching competency model by applying the 'Starting from Scratch' suggested by Lucia and Lepsinger(1999). It reorganized the 'Starting from Scratch' consisting of seven steps into the steps of development and that of verification. The development steps coaching competency model are as follows: First, it selected the participants: 137 track and field professionals for the open-end questionnaire survey; 5 youth track and field coaches for interviews about behavior accidents; a group of 11 professionals for the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74 youth track and field coaches for the examination of the need for the coaching competency model. Second, the related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open-en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bout behavior accidents, in order to develop the coaching competency of youth track and field coaches. Thir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ree-step analysis technique consisting of drawing competency factors, suggesting tentative competency and quotes, and drawing tentative competency, and then the model of tentative coaching competency was built. The verification steps of the coaching competency model are as follows: First, it examined the importance of coaching competency of a group of professionals based on the Likert 7-point scale,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aching competency model and produced the content validity ratio. Second, it constructed the Likert 5-point scale around 46 behavior indices, in order to examine track and field coaches' need for the competency model. To compare the current level with the importance level, of coaching competency, a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by using SPSS 22.0, and values of the Borish need was produced to verity the priority of coaching competency. Third, the youth track and field coaching competency model draws three competency groups. The group of coaching skill competencies includes 4 competencies such as instruction methods, communication, motivation and acquisition of coaching knowledge, and 21 behavior indices; the group of competencies for understanding athletes' characteristics includes four competencies such as selection,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athletes and understanding of the youth, and 19 behavior indices; and the group of coaches' quality includes two competencies such as speech and behavior of coaches and education except for training, and six behavior indices.

      • 카라테 우수선수들의 경기 전략 분석

        차승민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카라테 우수선수들의 경기 상황에서 사용하는 전략을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카라테 우수선수는 세계선수권에서 메달 결정전에 진출한 선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본 CHAMP에서 공식 판매되는 제24회 세계선수권 DVD를 구입하여 수집된 자료를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전문가와의 회의를 통하여 만들어진 경기 분석표를 토대로 반복적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카라테 우수선수의 기술의 종류는 전체 선수의 총 기술의 시도(367회) 중 상단 치기가 242회(66%)로 가장 많이 시도되었으며, 얼굴 부위(상단)의 공격이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제 24회 카라테 세계선수권 대회에서 승리선수의 공격 시도횟수(190회)와 패배선수의 공격 시도 횟수(177회)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기술의 성공률에서 승리선수는 190회 중 41회(22%), 패배선수 177회 중 13회(7%)로 차이가 있다. 셋째, 제 24회 카라테 세계선수권 대회에서 승자와 패자의 초반 선 득점 전략에서 선 득점을 취하고 승리한 경우가 8경기, 선 득점을 취하고 패배한 경우가 5경기이므로 선 득점을 취한 집단이 승리할 확률이 높다. 넷째, 제 24회 카라테 세계선수권 대회에서는 수비적인 전략보다 공격적인 전략이 많이 사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strategies used in the game situations of Karate's outstanding players. Karate was targeted at athletes who advanced to the medal-winning competition at the World Championships, and the official 24th World Championship DVD was purchased by Japan's CHAMP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repeatedly based on a competitive analysis table produced by experts. The analysis conclusions through the above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karate excellence technique was the most frequent of the total (367 attempts) of the total skills of the entire player, with 242 (66%), and many attacks on the face (top) were made.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attacks (190 times) and the number of attacks (177 times) by the winning player at the 24th Karate World Championships was not significant, but the success rate of the technology was 41 (22%) out of 190 times and 13 (7%) out of 177 times. Third, at the 24th Karate World Championships, there is a high chance that the team that scores first will win, as it has scored first in eight games and lost first in five games. Fourth, at the 24th Karate World Championships, more aggressive strategies were used than defensive strategies.

      • 공수도 경기내용 분석에 따른 대응방안 연구

        이말수 한국체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우수 공수도 선수들의 공격패턴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대응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4년 제22회 세계 공수도선수권대회 체급별 결승전 10경기의 영상을 수집해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체급별 승자와 패자의 득점, 득점방법, 공격횟수, 공격패턴, 공격부위, 반칙횟수를 분석기록지에 기록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작성이 완료된 기록에 평균값을 구하기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 Version 15.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과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세계 선수권 결승전에 오른 선수들의 경기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4년 제22회 세계 공수도선수권대회 체급별 결승전에 오른 승자와 패자, 성별, 공격 패턴에 따른 공격횟수에는 차이가 없다. 둘째, 2014년 제22회 세계 공수도선수권대회 체급별 결승전에 오른 승자와 패자의 공격패턴 유형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득점과 연결된 공격패턴에는 차이가 있다. 셋째, 2014년 제22회 세계 공수도선수권대회 체급별 결승전에 오른 승자와 패자의 공격부위, 공격기술로 인한 득점에는 차이가 있다. 넷째, 2014년 제22회 세계 공수도선수권대회 체급별 결승전에 오른 승자와 패자의 C2 반칙횟수에는 차이가 있다. 다섯째, 경기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한 대응방안으로는 C2반칙을 적절하게 이용해야 하며, 선제공격 시 득점 성공률을 높이고, 쇼크 후 공격법이나 방어 후 공격법이 득점률이 높은 만큼 그와 관련된 훈련 비중을 상향시켜야 한다.

      • 태권도 지도자의 전문성에 따른 수업

        신성진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태권도 지도자의 전문성에 따른 수업몰입 및 도장에 대한 충성도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으로는 2016년 현재 대한태권도협회에 선수등록을 필한 국내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 소속되어 있는 태권도 품새 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311명의 태권도 품새 선수를 집락무선표집(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하였다. 태권도 품새 지도자의 전문성을 보기 위하여 이용한 조사도구는 김아람(2011)이 제작한 설문지를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업몰입을 묻는 조사도구는 Jackson & Marsh(1996)가 개발한 수업몰입 척도를 토대로 손영수, 최만식, 문익수(2002)가 국내에서 번안하여 이용한 설문문항을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였고, 도장에 대한 충성도에 대한 설문지는 최천(2012)의 브랜드에 대한 애착도 연구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WINDOWS용 SPSS PC+ 15.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그리고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태권도 품새 지도자의 전문성에 따른 수업몰입 및 도장에 대한 충성도의 관계를 해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태권도 지도자의 전문성, 수업몰입 및 도장에 대한 충성도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 훈련시간에 따라 태권도 지도자의 전문성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년, 지도받은 지도자, 훈련시간 및 전국대회 입상경력에 따라 수업몰입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도장에 대한 충성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지도자의 전문성과 수업몰입은 관계가 있다. 태권도 지도자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수업몰입은 높다. 셋째, 태권도 지도자의 전문성과 도장에 대한 충성도는 관계가 있다. 태권도 지도자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도장에 대한 충성도는 높다. 넷째, 태권도 품새 선수의 수업몰입과 도장에 대한 충성도는 관계가 있다. 태권도 품새 선수의 수업몰입이 높을수록 도장에 대한 충성도는 높다. 주요어 : 태권도 지도자의 전문성, 수업몰입, 도장에 대한 충성도

      • 대학축구 우수지도자의 코칭요인 탐색

        이기남 한국체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대학축구 우수지도자의 코칭 요인탐색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이 기 남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축구우수지도자의 코칭요인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축구 지도경력 10년 이상의 대학축구 지도자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과 문헌고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분석과정에서 전문가의 협의를 통해 연구의 진실성과 윤리성을 검증받았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대학축구 우수지도자의 코칭요인을 분석하고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축구선수 코치는 코칭 시 축구기술과 전술만을 코칭 하는 것이 아닌 올바른 인성을 갖추도록 코칭 해야 한다. 둘째, 대학축구선수코치는 코칭 시 선수들에게만 근면 성실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지도자 본인이 먼저 훈련이나 생활에서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선수들에게 보여주어야 한다. 셋째, 대학축구선수 코치는 코칭 시 선수들이 스스로 무언가를 성취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해주어야 한다. 넷째 대학축구선수코치는 코칭 시 선수들과 지속적으로 의사소통을 하여 선수가 훈련과 생활에서 가진 고민을 나누고 소통하며 공감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째, 대학축구선수 코치는 코칭 할 때 훈련과 경기뿐만 아니라 선수들의 진로를 올바르게 설정해주어야 한다. 여섯째, 대학축구선수 코치는 코칭 시 명확한 지도철학을 지녀야 한다. 일곱째 대학축구선수 코치는 코칭 시 전술과 체력을 코칭하는 것이 훈련에서 가장 중요하다. 여덟째, 대학축구선수 코치들은 본인들을 혼합형 지도자라고 하였다. 훈련 때는 강하고 권위적으로 코칭 하지만 사생활은 민주적이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선호했다. 대학축구 우수지도자의 코칭요인 차이점은 직접적 코칭과 간접적 코칭 2가지로 분류되었다. A 지도자와 C 지도자는 팀 운영뿐 아니라 훈련과 경기상황의 모든 시작과 끝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직접적 코칭 방식으로 선수들을 코칭 했다. 반면 B지도자와 D 지도자는 훈련과 경기 시 훈련을 잘 시키는 지도자에게 적절한 역할을 부여하며 본인은 훈련에 관여하기 보다는 전체적인 팀 운영과 관리를 하는 관리자로서 역할을 하는 간접적 코칭 방식으로 선수들을 코칭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