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 형상 회화에서 공간의 혼성에 관한 연구 : 리얼리티 공간의 새 지평

        구성욱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Since works of art are supposed to be actualized within particular time and space and that perceived by the viewer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space has been the most nuclear issue in any kind of art. This is not only associated with the matter of formativity but applied to the world intended to be revealed by art, the characteristics of reality or substantiality, and the area of experience it provides to the viewers. Particularly, painting is done limitedly within the space of a canvas, so the matter of space design can be the beginning to the end in it. This thesis originates basically from this assumption. If an arbitrary painting work reflects particular reality, the properties of that reality are primarily reflected to the space design of that painting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he examples of it can be found often in the dépaysement space of perspective painting, realism painting, or surrealism, the flat and pure painting space of modernism, and also the deconstructive, fragmentary, and incoherent space of postmodernism. Also, if modernism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is world spatially, postmodernism was meant to combine space with the reality of time and otherness anyhow. Examining these cases, we can find it is obvious that the space of painting has been influenced by the view of art or view of reality in each time or artist crucially. Of course, in this age, it is required to have the view of reality as well as space of painting right for this time. Here, this researcher is going to refer the altered aspects of this space design to hybridity and trans-boundaries in space, and this study will prove the hybrid tendencies of contemporary painting space are closely related to those of trans-boundaries in reality and consider how such phenomena are reflected in the practice of painting. This author aims to investigate study works and sample works to analyze and verify how the hybrid aspects of space shown in different ways change the specialization of space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rans-boundaries in reality and ways of reflection. To attain the goal through methodological analysis, the properties of trans-boundarie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hybrid aspects of dimensions, the elements of dualistic contrast in trans-boundaries, and double-bind. Regarding the hybridity of dimensions, this researcher has analyzed the hybrid aspects of two-dimensions and three-dimensions, reproductive dimensions, painting dimensions, and substantial dimensions, and about the elements of dualistic contrast in trans-boundaries, this author has established what are unconscious and conscious, illusionary and substantial, time and space, invisible and visible, latent and real, and also the area of a subject and an object and analyzed how these boundary elements produce overlapping or trans-boundary properties within the study works and sample works. Lastly, about the aspects of double-bind, since these boundary elements imply directivity, this author deems that trans-boundaries should have the properties of double-bind, that is, bidirectivity. As sample artists, this researcher has come up with Magritte and Go Yeong-hun sharing similar aspects and elements to those of study works and applied the analysis method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e results, hybridity in space does not simply mean space overlapping, hybridity, or combination but also involves trans-boundary aspects among the chances or elements constructing reality. Particularly in Magritte, it is induced by trans-boundaries that are conscious and unconscious and real and latent, and hybridity in dimensions is attained within three-dimensional space by the arrangement of dépaysement among three-dimensional objects. Because Magritte’s painting is highly intellectual and intended to be suggested as a kind of matter, it is very subtle to accept that the subject binds to the object directly. Meanwhile, Go Yeong-hun combines three-dimensional illusionary images with real old books, so trans-boundaries between illusion and substantiality and hybridity in space take place. Particularly, Go Yeong-hun arouses hybridity from not placing any difference between representational illusionary images and the status of substantiality. Concerning the matter of double-bind, it may seem like the primary bind as substantiality binds to the representational image (stone); however, we can also say that the secondary bind takes place in that the stone is approved to be substantial again and the artist himself is invested to it. Lastly, the study works reveal hybridity in dimensions embracing the aspects of both Go Yeong-hun and Magritte, and about the binding of those works, they not only make real objects bind to real objects but also allow rebinding to latency and subjectivity, which means they actualize double-bind. In conclusion, this research has found that in the study works, the tendencies of hybridity in space are aroused by trans-boundaries in reality, the space of memory, and established the theory that defining the properties of reality is reflected in the space of work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roles in suggesting what aspects may appear in ‘the virtual’ painting space afterwards. 특정한 시공간과 그 시공간에 대한 관객의 지각 속에 현실화되어야 하는 예술작품에서 공간의 문제는 모든 예술에서 가장 핵심적인 문제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문제는 단순히 조형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예술이 보여주려는 세계나 실재의 특성, 그리고 그것이 관객에게 제공하는 경험의 영역에까지 적용된다. 특히 회화는 캔버스 공간의 제약 안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공간 설계의 문제는 회화의 시작과 끝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다음의 기본 가정으로부터 시작하고 있다. 임의의 회화 작품이 특정한 실재성을 반영하고 있다면, 그 실재성의 성격은 일차적으로 회화의 공간 설계에 직접적으로건 간접적으로건 반영된다. 그 실례들은 원근법 회화, 사실주의 회화, 초현실주의의 데페이즈망 공간, 모더니즘의 평면적인 순수 회화적 공간,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체적, 파편적, 지리멸렬한 공간들에서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모더니즘이 세계를 공간적으로 이해하려 했다면, 포스트모더니즘은 공간에 어떻게든시간성과 타자성의 실재를 접목하려 했다. 이런 사례들을 검토할 때 회화적 공간은 시대나 작가가 가진 예술관이나 실재관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받아왔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물론 동시대에는 동시대에 맞는 실재관과 회화적 공간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이 공간 설계의 변화된 양상을 공간의 혼성과 탈경계화라고 부르고, 동시대 회화 공간의 혼성 경향은 리얼리티의 탈경계 경향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입증하고 이런 현상이 회화적 실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연구작품과 표본작품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식으로 나타나는 공간의 혼성 양상이 실재의 탈경계성의 성격과 반영의 방식에 따라 공간의 특성화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검증하려 했다. 이를 위해 방법적 분석을 위해 탈경계적 성격을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다. 그것은 차원의 혼성 측면, 탈경계의 이원적 대립 요소, 그리고 이중 귀속의 여부이다. 차원의 혼성은 2차원과 3차원, 재현적 차원, 회화적 차원, 실재 차원 등이 어떻게 혼성되는지를 분석하였고, 탈경계의 이원적 대립 요소로서 무의식과 의식, 환영과 실재, 시간과 공간, 비가시적 것과 가시적인 것, 잠재적인 것과 현실적인 것, 주체의 영역과 객체의 영역 등을 설정하고 이 경계적 요소들이 표본작품과 연구작품에서 어떻게 중첩과 탈경계적 성격을 만드는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중귀속 여부는 이 경계적 요소들의 방향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진정한 탈경계는 이중귀속 즉 양방향성이 가능해야할 것으로 보았다. 표본작가로는 연구작품과 유사한 측면과 요소를 공유하고 있는 마그리트와 고영훈을 등장시켜 위의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공간의 혼성은 단순히 공간의 중첩, 혼성, 접합을 의미하기보다 리얼리티를 구성하는 계기들과 요소들 간의 탈경계적 측면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보였다. 특히 마그리트의 경우 의식과 무의식, 현실과 잠재적인 것의 탈경계에 의해 유발되고, 차원의 혼성은 3차원 공간 내에서, 3차원적 대상 간의 데페이즈망의 배치에 의해 달성되었다. 마그리트의 회화는 다소 지성적인 측면이 강하고 회화를 하나의 문제로 제시하려하기 때문에 주체가 대상으로 직접 귀속되는 것의 허용은 미미하다. 고영훈의 경우, 3차원 환영 이미지와 실재 고서를 결합한다는 점에서 환영과 실재의 탈경계 및 공간의 혼성이 일어난다. 특히 고영훈의 경우, 표상적 환영 이미지와 실재의 지위에 차등을 주지 않는다는 점에서 혼성이 유발된다. 이중귀속의 문제는 실재를 표상 이미지(돌)로 귀속한다는 점에서는 일차 귀속인 것처럼 보이나, 그 돌을 다시 실재인 것으로 승인하고 그것에 작가 자신을 위임한다는 점에서 2차 귀속이 일어난다고 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작품의 경우, 고영훈과 마그리트를 종합하는 차원의 혼성을 보이며, 작품은 현실적 대상을 통해 귀속 여부는 현실적 객체로의 귀속과 더불어 재차 잠재성과 주체성으로의 재귀속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이중귀속을 실현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연구자는 이 논문을 통해 연구작품에서 공간의 혼성 경향이 기억 공간이라는 실재의 탈경계성에 의해 유발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실재의 성격 규정이 작품의 공간에 반영된다는 이론을 확립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가상’의 회화적 공간으로의 반영이 어떤 양상을 띨 수 있는지 시사하는 역할도 할 것으로 보인다.

      • 회화의 내면공간과 상징에 관한 연구 :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김정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누구나 혼자서 태어날 수 없듯이, 엄마의 뱃속에서부터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하며 살아가는 것은 인간 존재의 피할 수 없는 전제이다.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거울과 같은 현상처럼 자아 정체성이 타인에 반사되어 되돌아온다. 본인은 그것을 자각의 한 방식이라고 보는데, 그렇게 경험되고 기억되어 저장 되는 곳을 내면공간이라고 정의 했다. 즉 내면공간이란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자각되는 자아정체성이 기억하는 이야기가 채워지는 공간을 정의하기 위해 도입한 개념으로, 자아의식 속 경험체계를 가리킨다. 본인의 작품제작은 그러한 이야기를 이미지로 전환되는 과정을 거쳐 상징성을 지닌 캐릭터들로 화면 속에서 연출되고 표현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본 논문에서 말하는 이야기는 타인과의 관계의 구조에 연관된 것이라기보다, 타인을 통해 비쳐진 자신의 모습, 즉 자아 정체성의 자각과 그로 인한 내적 인상과 관련된 것이다. 즉,󰡐나󰡑로 출발한 세계의 상(像)을 담고자 한 것이 아니라󰡐타자󰡑로 인해 자각되는󰡐나󰡑로써 상호적인 관계들의 이야기를 담고자 하였다. 또한 내적 인상의 표현은 상징화된 캐릭터가 화면을 구성하는 요소로 작용을 하며, 각각의 캐릭터들은 구체적인 정보를 숨긴 채 보는 이를 상상의 세계로 이끄는 장치로 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고찰로 인해 내면공간에 채워진 이야기들의 상징화가 캐릭터를 이용하여 구성, 연출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표현체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캐릭터에 내재되어있는 상징성의 의미를 살펴보면서 분석을 중심으로 제작의 발전과정을 거쳐 현재의 작품에 이르게 되기까지를 다루고 있다. 기법적인 면에서는 어린이의 드로잉에서 순수함의 갈망의 의미로 크레파스의 질감을 만들어 내고자 고안해낸 현재의 제작방식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상징성을 띈 독특한 이미지의 캐릭터와 잘 맞는다는 점과 작품의 독자성을 돋보이게 하는 결과를 가져다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징화된 각각의 캐릭터들에 대해 화면에서의 역할과 구성, 그에 따른 효과와 의미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작품분석 중 화면상의 여백에 대한 그 의미와 화면 효과에 관한 것, 그리고 각각의 캐릭터간의 경계선을 포함하여, 캐릭터의 이미지가 구성되는 부분과 하얀 여백과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연구 작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여백과 경계에 주목하는 것은 내면공간을 이루는 바탕이 의식적 공간으로, 여백은 무의식적인 미지의 공간으로 구분되는데 이것은 의식과 무의식의 관계와 같이 화면상의 내면공간과 여백은 그러한 존재를 드러내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생겨나는 내면공간 속 이야기의 상징화 표현에 대한 분석을 통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자각되는 내용이 어떻게 회화적 표현으로 이어지는지, 그 표현체계를 명백히 하고, 그것에 관한 객관적 시각과 해석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인의 작품세계에 독창성을 확고히 하고자 하였고 보다 발전적인 작품을 위해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요소들을 끊임없이 탐구하고 모색하고자 한다. Human being is social creature. As he is not able to give a birth to himself, building a relationship with others is inevitable proposition through his life. “ego-identity” is reflected back from others as if reflected on mirror. The painter sees it as a process of self-awareness and defines a place as the ‘inner space’ where the processes are experienced and stored. In other words, ‘The inner space’ is a concept to define the space that is filled with stories which comes to the ego-identity’s recollection through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is an experience system within self-conscious. The paintings are composed by way of expression and choreography of symbolic characters on screen, through the process of translation of recollected stories to images. The stories on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painter himself, self-conscious of ego and inner-impression triggered by the self-conscious, rather than the structure of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In other words, these series of works are intended to tell stories of mutual relationship through figures of the painter himself that is perceived by others, rather than figure of the world which is originated from himself. Also, while the expression of inner-impressions acts as factors that let symbolized characters compose the screen, each characters leads people to the world of imagination with specific but hidden meanings. This study addresses the way of composition and choreography of symbolization of stories that fill ‘the inner space’ through the introspection on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its expression system. Also, while examining meaning of symbolism which is inherent in the characters,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development on painting production. In terms of Techniques, crayon like texture of current painting technique that is initiated from the craving for innocence drawings of children is examined and it is explained harmonization of the technique and unique images of the characters, and emphasization on painting’s originality. This study also analyzes roles and composition of each symbolized characters on screen and their effects and meanings. It is also explained on this study with examples of research works that meaning and effect of negative space on screen including borders between characters, between composition of characters and white negative space. In explanation of meaning of negative space and borders, inner-space as background and negative space are defined as consciousness space and unconsciousness, unknown space. As a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 and unconscious, the inner-space and negative space on screen is created to reveal the existence of unconscious. This study aims to clearly define how self-conscious within relationship translated to painterly expression and projects an objective point of view and interpretation. Through this process, the painter pursues to firmly establish the originality of works and meanwhile, further study and investigation will be continued on social existence and its reflection for future works.

      • 현대회화에서 전치효과를 활용한 상실과 부재의 표현 연구

        김희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ay a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researcher’s work as an example of the expression of desire and its objective art through the expression of loss and absence using the displacement effect in contemporary painting. Under this context, surrealism desired to realize a world of context that is different from previous reappearance. Neo-Expressionism also proposed a new approach like the new-historicist idea by stressing collective experience related to the scars of World War II. Surrealism adopted the dépaysement technique to inspire the will of loss and restoration of humanity and neo-expressionism proceeded in a way that reconstructed collective personal memory of history. Such pictorial response has accepted many intellectual resources, especially from the psychoanalysis of Freud and its succeeding desire theory of J. Lacan. With this context in mind, the researcher wants to be in line with its pictorial legacy handling human desire and its loss by borrowing the objects of everyday life. In doing so, the researcher also deals with objects of desire and absence of these with its loss as a theme. In terms of technique, it handles loss and absence from the everyday life by juxtaposing heterogenic objects which introduced the uncanny scenes intentionally. In particular, the study tries to project the loss and absence of the viewer to the impression of painting through dramatization of it pictorially. Such attempt is intended to revive the items of loss and absence in the present time by starting from destroying the existing reproduction. Though it handles a figure realistically in line with this, it has true meaning that the image of the figure goes beyond the indexicability and recourses the world of absence into the present time. It inevitably invokes transcendental significance in the creation and acceptance of the work. This is not irrelevant to Freud’s understanding of cathaxis in his psychoanalysis. It also strengthens the connection with the objet petit a of Jacques Lacan, who succeeded this discuss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al with the possibility of dramatization as a way of recoursing loss and absence into the present time and presenting the absence. It has a meaning of trying to find the personal and social significance of painting by handling ‘the present of absence’ in a methodical way. In chapter I, it has to borrow the dépaysement and the representation technically for the loss of the object of desire and presence of the absence. As a part, the significance of the dramatization is focused on. In Chapter II, the study deals with the research procedure. Firstly, it defined the main terms and tri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later development of this study. Thus, the concepts of loss, absence, dépaysement, and uncanny were defined and then the theoretical basis for analyzing the sample works of sample artists and the researcher was discussed. Chapter III examined the sample artists in detail under the classification of types, and extended them to the possibility of reviewing and interpreting the works of the researcher. René Magritte, a surrealist artist, and David Hockney, who expresses the absence of space and time were selected as sample artists, remarking the prejudication of common points and differentiation points with the researcher. In this sense, it could be seen to have a similar context with Magritte and Hockney, the sample artists, where the circulation of desire-loss-absence was to be realized in painting by dramatizing its cycle of repetition. In the process of such repetition, the researcher finds out existence by seeking the painting that embodies absence in a present time as a process of creating the self. It could be said that the artist work could achieve uniqueness different from sample artists as the existence could be confirmed through contemporary icons and it could have importance. 본 연구는 현대 회화에서 전치 효과를 이용하여 상실과 부재의 표현을 통한 욕망의 표출과 그의 객관적 예술의 한 가지 예시로서의 연구자의 작품세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이론적 배경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초현실주의는 이런 상황 속에서 이전의 재현주의와는 다른 맥락의 세계를 구현코자 했다. 신표현주의 역시 2차 대전의 상흔과 관련한 집단 경험을 전면에 부각시켜 신역사주의적 발상과 같은 새로운 모색을 제시하였다. 초현실주의는 데페이즈망(dépaysement) 기법을 빌려 인간성의 상실과 복원의 의지를 고무시켰으며 신표현주의는 역사에 대한 집단적 개인적 기억을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나아갔다. 이러한 회화적 대응은 특히 프로이트(S. Freud)의 정신분석과 이를 발전시킨 탈근대기 라캉(J. Lacan)의 욕망 이론으로부터 많은 지적 자원을 받아들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배경에서 일상의 사물들을 빌려 인간의 욕망과 그 상실을 다루고자 함으로써 이러한 회화적 유산과 맥을 같이 하고자한다. 그럼으로써 연구자 또한 욕망하는 대상과 이것들의 상실에 즈음한 부재를 주제로 다룬다. 기법 면에서는 이질적으로 보이는 사물들을 병존시켜 일상의 삶에서 비롯되는 상실과 부재를 다루어 회화를 통해 언캐니(uncanny)한 씬(scene)을 의도적으로 등장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를 회화적으로 드라마화함(Dramatization)으로써, 관람자가 자신의 상실과 부재를 회화의 감상에 투사할 수 있도록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는 기존의 재현을 파기하는데서 시작함으로써 상실과 부재의 품목을 현재의 시간 속에서 되살려내려는데 뜻이 있다. 이와 연계해서 형상을 사실적으로 다루지만 그림의 이미지가 지시성을 뛰어 넘어 부재의 세계를 현재의 시간 속에 불러들이는데 참 뜻이 있다. 이 때문에 작품의 창작과 수용 면에서 필연적으로 초월적 의의를 불러온다. 이것은 특히 프로이트가 자신의 정신분석에서 제기한 카텍시스(cathaxis)의 이해와 무관치 않다. 또한 이 논의를 계승했던 자크 라캉(Jacques Lacan)의 소타자(Objet petit a)와의 연관성을 강화한다. 본 논문은 상실과 부재를 현재의 시간 속에 불러들여 부재를 현재화하는 방법으로 드라마화의 가능성을 다루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부재의 현전’을 방법적으로 다룸으로써 회화의 개인적, 사회적 의의를 모색하려는 데 뜻이 있다. Ⅰ장에서는 욕망하는 대상의 상실과 부재의 현전을 위해서는 기법적으로는 필연적으로 데페이즈망과 재현을 빌리지 않으면 안 되고 이 일환으로 드라마화의 의의를 중점적으로 고찰한다. 이에 Ⅱ장에서는 연구의 절차를 다루었는데, 먼저는 주요 용어를 정의함으로써 본 논문의 이후 전개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했다. 그에 따라 여기에서는 상실, 부재, 데페이즈망, 언캐니 등의 개념을 차례로 규정하고 다음으로는 표본작가와 연구자의 연구표본작품을 분석할 이론적 토대를 다루었다. Ⅲ장에서는 표본작가를 유형별 분류 아래서 심층 고찰하고 이를 연구자의 작품에 대한 고찰과 해석의 가능성으로 확장시켰다. 표본작가로는 초현실주의 작가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와 시공간적 부재를 표현해내는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를 선정하고 장차 연구자와의 공유성과 차별성을 예단하고자 함을 언급하였다. 표본작가로 심층 고찰하였던 마그리트나 호크니와는 이러한 점에서 유사한 맥락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여기에는 욕망-상실-부재의 순환이 하나의 반복의 과정을 회화적으로 드라마화하여 구현하는 것이었다. 이 반복의 과정에서 연구자는 자아를 생성하는 과정으로서 부재를 현전화하는 회화를 추구함으로써 존재성을 찾아간다. 그리고 그 존재성은 동시대적 아이콘들을 통해 확인된다는 점에서 표본작가들과는 다른 독자성을 성취한다는 것을 규명하고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 현대 회화에서 공간의 파편화와 가상생명 이미지의 창발효과 연구

        김태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explores the fragmentation of space in contemporary painting. It probes the conditions and procedures by which the ‘Virtual Life Image’ is created. The main point is the basic principle where a virtual life image has an emergent effect within the painting’s space.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is essentially a verification process within the production stage of the art, in order to distill the conditions of the spatial arrangement of elements which provoke such an emergent effect.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principles of spatial form and the means of inducing visual images; to study paintings through a scientific and quantitative lens. To provide for contextual backgrounds to launch the investigation, I utilized previous instances where ‘algorithms’ were used in production of art. The grounds for these algorithms lay in themes within quantum theory and non-linear scientific thinking. I analyze the instances of post-modern deconstructions and contexts cited within the concept of fragmented space in contemporary paintings. Thereafter we progress to globalism which is presented as the alternative to post-modernism, through discussion of Kim's theory and Katherine Hayles. The evolution of the quantum scientific paradigm and the tendencies of globalism have brought about discussion on nonlinearity, which is a fragmented spatial composition. Fractal theory (Benoit Mandelbroit), complex theory, chaos theory, artificial life theory, were utilized to demonstrate nonlinearity, and Kim’s theory was used validate and analyze. Chapter I explores the transitions from linearity to nonlinearity in the spatial realm of paintings. The chapter discusses the limits of fragmentation of space and image, and offers paradigm movement theory and fusion theory as alternatives. The fragmentation in a pictorial space that is information oriented and re-contextualized had been in a post-modern context. The nonlinear space is compared and analyzed, at first, within the post-modern context and then subsequently within the globalism context. I gave examples of the images made using nonlinearity concept, in the fields of life art, genetic art, and bio art which deal with nonlinear arrangement and reconfiguration of data.  Chapter II identifies the core question at hand to the matter of nonlinearity and its methodology.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that manifest virtuality and the elements within. Life image is impossible to manifest under linearity therefore nonlinearity is essential. In addition, the following three hypotheses are presented as conditions enabling such nonlinearity for virtual life images. The three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 the emergent effect of the virtual life image will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nonlinear arrangement of the image and will decrease in inverse proportion to its linear arrangement. Second, in the arrangement of virtual life images, the linear and nonlinear arrangements of image units will be sensitive to the constants (C) and initial values ​​(a, b) of the array module of the units of “sensory values.” Third, the emergent effect of virtual life image will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the nonlinear nature of constants and initial values ​​of array module. Prior to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I first analyzed and theoretically examined the emergence of virtual space from the recognition of nonlinear fragmented space. The methodology involved research on algorithms that generate images such as artificial life theory and genetic art. Virtual life, artificial life and virtual life images based on virtual space have been witnessed in contemporary art in various mediums. The various virtual imagery have different multi-layered structures and layers, and the distinction of the sub-images is different from the meaning of re-mediacy, non-mediacy, or hyper-mediacy. My virtual life image was classified as the top level hyper-mediacy method. In Chapter III, Karl Sims and William Latham, who produce virtual life images using the hyper-parametric method described above, are introduced as precedent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my virtual life image, the differences in the sensory value of nonlinearity as wells as the degree of emergent effect, was analyzed against the hypotheses. The emergent effect of images were analyzed by in turn analyzing the algorithms of Sims and Latham. I analyzed the application of genetic art, generative art, and fractal theory, which produce the emergent effects in their images. In addition, I have studied the development method of the my virtual life image by stages, and specified the background and the image production processes that made them. Chapter IV discusses the important topics of quantitative validation and interpretation. I quantitatively analyze the interpretations derived from the three hypotheses, and expand the discussion to implications for the greater art world. The three hypotheses seek to validate the emergent effect of virtual life images. The effect va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nonlinearity, and is sensitive to the image’s constants and initial values related to its nonlinearity at the generation stage. In conclusion, we can see that virtual life image essentially depends on emergent effects and nonlinear operating methods similar to real life. Much as real life depends on genetic information for its morphology during its gestation, virtual life image also relies on a set of initial information to produce the required emergent effects. I have demonstrated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principle that created the virtual life image, and examined under what conditions the emergent effects of the virtual life image are affected. I hope this study leads to a new applied methodology in interpreting an image, beyond the traditional approach of subjective perspectives, into an analysis of the emergent effects which led to its creation. 본 연구는 현대회화 공간에서 파편화의 배경을 기조하고 배경의 전환에서 가상생명 이미지의 창발 조건과 절차를 조명한다. 가상생명 이미지(virtual life image)가 회화공간에서 창발 효과(emergent effect)를 야기할 때, 이를 촉발하는 원리와 이 때 감각 요소의 공간 배열의 조건이란 무엇인 지를 작품제작 과정을 빌려 검증한다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다. 회화에서 시각적 이미지의 발현 과정을 감각적 분석을 넘어서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방식으로 적극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공간 조형의 원리와 이미지의 발현방식과 그에 관한 배경연구와 조건을 분석한다. 이미지 발현의 조건으로 개인적으로 구현되어진 알고리즘을 찾아 보고자 한다. 이러한 알고리즘의 배경에는 과학적 사고 그리고 비선형적 과학적 사고가 자리잡고 있음을 연구한다. 위의 연구 목적을 위하여 현대회화에서 공간의 파편화 개념 근저에 자리하고 있는 탈근대주의적 해체와 정황을 분석하고, 그 이후의 대안론으로 제시되는 글로벌리즘에 대해 김스이론과 케서린 헤일즈(Katherine Hayles)의 논의을 통하여 구체화하였다. 새로운 전기의 양자과학적 패러다임의 변화와 글로벌리즘의 경향은 파편화된 공간 구성 방식인 비선형성 논의에 대한 필요성을 촉발시켰다. 이러한 논의는 비선형(nonlinearity) 구조를 분석하는데 있어 복잡계 이론(complex theory)인 브누아 만델브로(Benoit Mandelbrot)의 프랙탈 이론(fractal theory)과 함께, 카오스 이론(chaos theory), 인공생명(artificial life) 이론 등을 방법론적으로 사용하였으며 특히 중점적으로 김스이론을 통하여 이를 증명하고 해석하였다. 제I장은 회화 공간에서 선형성으로부터 비선형으로 전환 배경을 연구하였다. 공간과 이미지의 파편화의 한계를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 패러다임 이동론과 융합론을 제시하였다. 연구 과제로서 정보화 되고 재맥락화 되는 회화 공간에서의 파편화의 징후를 예시하며 비선형 공간을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미지의 비선형성이 유발시키는 이미지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 정보의 비선형적 배열과 조작으로 이루어지는 가상생명 이미지의 등장을 다루고 급진적으로 생명을 직접 다루고 있는 생명예술, 유전예술, 바이오 아트를 소개하였다. 제II장은 문제제기와 방법론으로 이어졌다. 가상생명 이미지를 야기하는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우선 가상성을 현현하게 하는 조건이 무엇인지, 생명이미지를 발현하는 요소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었다. 생명 이미지는 선형성 아래 발현하기 어려우며 비선형성이 필수적인 것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비선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으로 아래와 같이 세 개의 가설을 제시하여 구체적인 사례와 예시를 들었다. 세 개의 가설은 아래와 같다. 첫째, 가상생명이미지의 창발효과는 이미지의 비선형 안배에 비례해서 커지고 그것의 선형 안배에 반비례해서 작아질 것이다. 둘째, 가상생명이미지의 안배에 있어서 이미지 단위의 선형안배와 비선형안배는 감가(感價, sensory values) 단위들의 배열모듈의 상수(C)와 초기값(a, b)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다. 셋째, 가상생명 이미지의 창발효과는 배열모듈의 상수와 초기값의 비선형적 성질 여하에 따라 증감할 것이다. 가설의 검증에 앞서, 먼저 그 배경으로 비선형성이 작용하는 파편화된 공간의 인식으로부터 가상공간(virtual space)의 등장을 분석하고,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방법론으로는 인공생명이론, 발생예술(genetic art)과 같은 이미지를 창출하는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가상공간에 기반한 가상생명성과 인공 생명성 그리고 가상생명 이미지는 다양한 매체와 방식으로 현대예술에서 목격되었다. 다양한 가상생명 이미지는 각기 다른 다층적 구조와 층위를 띄고 있었으며, 그 종차의 구분을 재매개(remediacy), 비매개 혹은 직접성(immediacy), 상위비매개(hypermediacy)의 의미의 차이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중에서 가장 상위 단계인 상위비매개(하이퍼매개)방식으로 연구자의 가상생명 이미지를 분류하였다. 제III장에서는 위와 같은 하이퍼매개 방식으로 가상생명이미지를 제작하는 칼 심스(Karl Sims)와 윌리엄 래텀(William Latham)을 표본작가로 등장시키고 연구자의 가상생명이미지와 비교 분석을 통해 비선형의 감가의 차이, 창발효과 면의 차이를 가설에 대입하여 검증하였다. 각 표본작가들의 알고리즘의 분석으로 이미지의 창발현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들의 주된 이미지의 창발 방법인 유전자 예술, 발생 예술, 프랙탈 이론에 대해 적용방식에 관해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자의 가상생명 이미지의 전개 방식에 관해 단계별로 연구하였으며, 연구작의 가상생명 이미지를 제작하게 만든 배경과 이미지 제작과정을 명시하였다. 제IV장에서는 이 논문에서 중요하게 제시되고 있는 수리적 검증과 해석이 진행되었다. 세 가지 가설이 도출하고 있는 각각의 해석과 더불어 이러한 예술에서 확장된 논의가 무엇인지 제시하였다. 세 가지 가설이 수리적으로 검증하려 하는 가상생명 이미지의 창발효과는 비선형의 안배에 의해 차별성을 지니며, 비선형의 발생단계에서 상수와 초기값에 의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발생단계를 결정짓는 상수와 초기값의 비선형성의 성질에 따라 창발효과가 영향을 받는다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과적으로 실제 생명이 존재하는 방식과 유사한 가상생명성은 생명의 창발적 현상과 비선형적 작동방식이 필수적인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생명의 발아단계에서 유전적 정보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형태발현에 차이가 나는 것과 같이 가상생명이미지의 창발효과 또한 초기 정보가 중요하게 작동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상생명이미지를 창발시킨 그 구조와 원리의 상호관계를 증명하였고 어떠한 조건에서 생명이미지의 창발효과가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분석 방식은 시각이미지의 분석에 있어서 단지 시각적 결과물의 분석 방식에서 벗어나 이미지의 발현방식에 관한 새로운 방법론으로 제시됨이 분명할 것으로 예견된다.

      • 시각예술에 있어서 이미지의 존재방식과 그 양가적 의미에 관한 연구 : 연구자 회화연작의 구조분석을 중심으로

        이수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시각 이미지의 양가성(Ambivalence)을 기반으로 작품의 의미를 생산하고자 하는 연구자의 작품을 가능한 깊이 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시각 이미지의 역사에서 상징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표현 형식으로 전승되어 온 알레고리에 각별히 주목한다. 본 연구는 시뮬라크르적인 복제 이미지들이 범람하는 현대 자본주의 지각환경을 살펴보고, 이어 알레고리의 고유한 특징들과 알레고리적 이미지 구성 방법들을 분석해 볼 것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세 가지 연작〈동우춘설(冬雨春雪)〉연작; 2004-2009과〈이기적 욕망〉연작; 2010-2011 그리고〈부유(浮遊)〉연작; 2012-2014의 작품들을 상세히 논의해 볼 것이다. 본래 알레고리(Allegory)는 바로크 시대처럼 어떤 감각적 이미지와 그 이미지가 지시하는 의미, 이 둘 사이의 간극이 갑자기 급격하게 멀어진 시대에 널리 확산된 표현 형식이었다. 그런데 20세기 현대 자본주의 세계에 들어와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 폴 드 만(Paul de Man), 크랙 오웬스(Craig Owens) 등의 이론가들이 알레고리를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는데, 그 배경은 자본주의적 교환가치의 압도적인 지배, 시뮬라크르적 이미지의 확산, 예술의 새로운 기능 변화 등에 있었다. 드 만은 다의적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수사의 수사’로서 알레고리를 주목하고 있으며, 오웬스는 아예 현대 예술의 대표적인 기법이자 함축된 인식활동으로서 알레고리를 부각시킨다. 연구자는 이러한 대표적인 알레고리 이론을 재구성하고, 아울러 알레고리적 구성 방법으로 이미지의 구상성 연출, 이미지의 중첩과 이미지의 대구와 대조 그리고 이미지의 차용과 가공 등 네 가지를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연구 작품과 내용적, 형식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된 선행 작가로서 안젤름 키퍼(Anselm Kiefer)와 제임스 로젠퀴스트(James Rosenquist)를 선정하였고, 이들의 작품에 표현된 이미지의 양가성과 화면 구성에 따른 다양한 의미화 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연구자에게는 키퍼와 로젠퀴스트가 형상 회화의 사회적 기능을 새롭게 실험하고 확장시킨 점도 중요한 지점이었다. 연구자는 이상의 논거를 토대로,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문명사적 문제점과 위기를 회화적인 방법으로 주제화하는 시리즈 연구 작품들을 분석한다. 중의적인 알레고리의 특성을 통해 상반된 이미지나 사실적 형상과 문장의 통합을 시도하는 것을 살펴본다. 그리고 상이한 이미지의 병치를 통해 다양하게 의미를 생산하는 측면도 논의한다. 결국 연구 작품들이 감상자들로 하여금 어떻게 현대 사회에 대해 비판적인 성찰과 인식을 시도하도록 유도하는지 가능한 명확히 드러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as deeply as possible my artworks intended to produce their meaning based on visual image’s ambivalence. To this end, this study pays a special attention to allegory, one of the most important representative formats along with symbol in the history of visual image. I explored modern capitalism’s lay of the land, which is overflowing with reproduced simulacra images, and then analyze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allegory and allegorical image’s construction method. Based on the findings I unfolded in-depth discussions about my three set of series: Winter Rain and Spring Snow series (2004-2009), Selfish Desire series (2010-2011), and Floating series (2012-2014). Originally, allegory was a widely used form of representation during the ages like Baroque when the gap between sensible image and the meaning of the image widened all of a sudden. Entering modern capitalism of the 20thcentury, there had been an intensive discussion about allegory among theorists including Walter Benjamin, Paul de Man, Craig Owens, and so forth. Its background was dominant control of capitalistic exchange value, spread of simulacra images, shifting function of art, and so on. Paul de Man focused on allegory as ‘rhetoric of rhetoric’ that enables polysemous interpretation; Craig Owens highlighted allegory as one of the most well-known technique of modern art and implicit awareness. I reconstructed major theories on allegory as mentioned above, and analyzed four ways of allegorical construction: representation of construction of images, overlapping of images, parallel and comparison of images, and borrowing and processing of images. This study selected Anselm Kiefer and James Rosenquist as preceding authors who are closely related to my works in terms of content and format. And then it examined ambivalence of images expressed in their works and various process of granting meanings based on screen composition. For me, it was considered important that Kiefer and Rosenquist explored and expanded social functions of figurative art. Based on the discussions above, I analyzed issues of the history of civilization that today’s society is suffering from, and works of series that were created under a theme built by pictorial expressing of the crisis. Also, I explored attempts to integrate conflicting images or realistic figures and sentences through characteristics of neutral allegory. And I discussed the aspect of creating meanings variably through juxtaposition of conflicting images. Ultimately, I intended to reveal as clearly as possible how my works encourage viewers to try to recognize and reflect of modern society critically.

      • 현대 회화의 이미지 차용에서 알레고리 전략과 상호텍스트의 역할

        최수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emphasizes on how image-borrowing, which stood out during the rise of postmodernism, has settled down in artistic creation as a method or a concept instead of being hostile. Furthermore, this research goes through the procedures of how image-borrowing has been accepted as a new style of painting called ‘image creating’ in contemporary art after 1960’s. Image-borrowing is particularly noted procedure that causes an allegory that is based on the return of concreteness and narrative, especially in neo-expressionism as well as intertextuality that is derived to reproduce advertising images borrowed from the media of pop art. This research aims to review on image-borrowing that appeared in contemporary art and at the source of allegory and intertextuality where the natures of these two sources are revealed in examples of researcher’s work. The example artists and researcher’s works were analyzed to see how allegory and intertextuality were used and how the image-borrowing and allegorical impulse out of symbol impulse was expressed. More specific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er researched the aspect of image-borrowing of pop art that was affected by the great increase of commercial image as background usage in dramatic changes and developments of capitalism and consumer culture in 1960s. Next, the aspect of the image-borrowing ripened through pop art, and based on acquired justification in the big trend of times, it dealt with image-borrowing of neo-expressionism which was overwhelming throughout the 1980s. Here the researcher noted the procedure was developed by neo-expressionism style of painting with a brush stroke on the canvas rather than the mechanical methods such as silk screen. Image-borrowing of neo-expressionism and pop art showed a different pattern. That is because it seemed like a whole new aspect to cause the allegory. Allegory revealed an entirely different aspect from occurrence in intertextuality suggested by pop art. The above procedure is considered significant for the preliminarily contemplating of borrowing, intertextuality and allegory. Next, borrowing, intertextuality, allegory,- the three concepts dealt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leading theorists such as Frederick Jameson and Jean Baudrillard (borrowing and simulacra), Walter Benjamin and Craig Owens (allegory), Roland Barthes and Julia Kristeva (intertextuality). Following section, Andy Warhol and Anselm Kiefer were selected as example artists and research was done on their example works. In dealing with these examples, work of intertextuality and allegory that was portrayed in image-borrowing and the results of borrowing were deeply dealt with. Finally,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earcher's work have been done. To do this, three concepts above have been used by dividing a researcher’s works into smaller parts and specifically investigating the expression of three key aspects of the concept. Researcher's works that have been discussed through the procedure above had a goal to share the flow of huge changes in contemporary art along with peculiar personal interests, experiences and re-imaging of the image-borrowing in a discriminatory way. The distinctive sides of this research can be distinguished well with intertextuality and allegory, but the whole works can be seen as a mix of both concepts. The researcher emphasized to find the origin of intertextuality based on the original text of everyday life and highlights the intertextuality in the process of borrowing the images collected around by asking what the significance of an allegory is on behalf of the researchers. The work of researchers each exists as an independent text, but the intertextuality of these texts was highly emphasized in this research. 본 연구는 탈근대주의가 등장하면서 대두된 이미지의 차용이 복제의 시대를 맞아 예술 창작에서 적대시되기 보다는 하나의 방법이자 개념으로 정착되는 과정을 다루는 데 목적을 두고, 1960년대 이후 현대 회화에서‘이미지 제작’이라는 새로운 회화의 방법론으로서 차용 방식이 전개되는 여러 절차를 다루었다. 이미지 차용은 그 구체적인 절차로 팝 아트의 대중 매체에서 차용한 광고 이미지나 상업적인 이미지를 재생산하는 데서 비롯된 상호텍스트는 물론 특히 신표현주의에서 구상성과 내러티브의 복귀를 바탕으로 하는 알레고리를 야기하는 절차는 특히 주목해야 할 것으로 간주되었다. 본 논문은 현대 회화에 등장하는 이미지의 차용과 그로 인해 야기되는 상호텍스트, 알레고리의 원천을 살펴보고, 연구자의 표본 작품에서 드러나는 상호텍스트와 알레고리의 성격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상호텍스트와 알레고리가 표본작가와 연구자의 작품에서 어떻게 작동되는지, 그리고 이미지의 차용과 상징 충동을 벗어난 알레고리 충동이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분석, 검토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1960년대 자본주의와 소비문화의 극적인 변화, 발전을 배경으로 하는 상업적 이미지의 폭발적 증가에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팝 아트의 이미지 차용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어 팝 아트를 통해 이미지 차용의 양상이 무르익고, 시대의 큰 흐름 속에서 획득된 당위성을 바탕으로 1980년대를 크게 풍미했던 신표현주의의 이미지 차용 양상을 다루었다. 여기에서는 실크 스크린과 같은 기계적 방식 보다는 캔버스와 붓의 스트로크라는 회화적 양식으로 발전한 데서 신표현주의가 발흥했던 절차에 주목했다. 신표현주의의 차용 방식은 팝 아트의 이미지 차용과는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그것은 이른바 알레고리를 야기하는 전혀 새로운 양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알레고리는 팝 아트가 제기하는 상호텍스트의 발현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드러냈다. 위의 절차는 차용, 상호텍스트 그리고 알레고리의 제 양상을 예비적으로 고찰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다음으로는 차용, 상호텍스트, 알레고리 세 가지 개념을 프레드릭 제임슨과 장 보드리야르(차용과 시뮬라크르), 발터 벤야민과 크렉 오웬스(알레고리), 롤랑 바르트와 줄리아 크리스테바(상호텍스트)와 같은 선행 이론가들의 주장과 연구를 빌려 그것들이 이루어진 이론적 배경을 다루었다. 이어 앤디 워홀과 안젤름 키퍼를 표본작가로 선정하고 그들의 예시 작품들을 고찰하였다. 이들의 예시를 다룸에서는 이미지 차용의 제 양상과 차용의 결과가 시사하는 상호텍스트, 알레고리의 작동을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그 도구로서는 위 세 개념을 빌렸다. 이를 위해 연구자의 표본작들을 유형별로 나누어 세 가지 핵심 개념의 구체적 발현 양태를 고찰하였다. 이상의 절차들에서 살펴본 연구작들은 현대미술의 커다란 변화의 흐름을 공유하면서 연구자 특유의 개인적 관심과 경험, 사유를 차용 이미지를 빌려 재이미지화하는 차별적 방식을 보여주려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자의 특징적인 면은 각각의 작품들을 상호텍스트와 알레고리로 구분할 수 있지만, 전체 작품을 관류하는 양상은 두 개념의 혼재라고 볼 수 있다. 연구자가 일상과 주변에서 수집한 이미지들을 차용하는 과정에서 상호텍스트를 부각시킴으로써 연구자를 대리하는 알레고리로서의 기표가 무엇인지를 묻고, 알레고리 기표의 원본 텍스트를 기반에 둔 상호텍스트의 기원을 찾고자 했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했다. 연구자 각개의 작품은 각각 독립된 텍스트로 존재하지만 이것들은 상호텍스트적으로 연계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 식물 이미지를 통한 존재의 순환 표현 연구 :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원지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사회는 인간중심의 자동화된 생산구조로 인해 인간의 물질적인 생활은 풍요로워졌지만, 끊임없이 빨라지는 생산의 속도와 물질적 자극에 의해 많은 것을 잃어가고 있다. 이러한 산업화의 특성으로 인간은 물질적 가치를 중요시 하게 되고 그로인한 가치관의 혼란과 개인주의가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대두되고 있다. 즉, 보다 나은 삶을 살고자하는 개인의 이기심과 물질적 욕망으로 인해 근본적인 삶의 의미를 망각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삶에 대한 진정한 의미를 상실한 현대의 가치를 회복하고 인간 존재의 깊이를 찾기 위해서 존재의 순환성에 주목했다. 주체로부터 벗어나야 자유를 얻고 그로부터 진정한 삶의 본질을 볼 수 있다는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의 말처럼 나로부터 벗어나 생명과 삶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인간존재의 의미를 찾아야한다. 숨을 쉰다는 것은 살아있다는 것이고 삶은 곧 생성의 과정이다. 다시 말해 생성과 변화의 순환과정은 무한 반복하는 존재자체이다. 따라서 본인의 작품은 인간의 삶을 식물이미지에 투영하고 그 생명의 순환성을 통하여 삶에 대한 본질적 가치를 찾고자 했다. 그리고 자연현상의 질서는 우주 전체의 질서라고 할 수 있고 이것이 모든 것의 중심이라는 동양의 자연관을 바탕으로 작업을 전개하였다. 이 같은 자연관은 생성과 소멸이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자연의 일부로서, 인간 역시 탄생하고 죽음을 맞이하면서 다시 자연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자연의 본성을 이해하는 것이 우리의 궁극적인 삶을 알아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연의 순환원리를 단순한 재현이 아닌 행위와 이미지의 상징을 통해 표현한다. 앙리 베르그송(Henri Bergson)은 지속하는 시간 속에서 물질과 정신이 밀접하게 연결된다고 말한다. 즉 의식은 변화를 통해 드러나고 움직인다는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동양에서는‘물아일체(物我一體)’를 통해서 자연을 해석하는데, 이것은 대상과 의식이 일치함으로써 근본에 다가갈 수 있다는 것이다. 본인은 식물 이미지를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몰입하는 행위를 통해 의식이 소멸하는 상태를 경험한다. 이러한 몰두의 과정으로 시간과 공간 안에서 무한히 펼쳐지는 연속적인 움직임을 갖게 된다. 이를 통한 자아의 상실은 주체 중심에서 우주 중심의 자아로 확장하게 됨으로서 다양한 관점으로 세계를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작품과 본인이 일체화 되는 과정은 순환하는 자연의 본성과 연결될 수 있고, 그 작품을 통해 의미를 드러낼 수 있다. 또한 생명력이 강한 식물의 이미지를 차용함으로써 삶과 그 이면에 은폐된 소멸을 통해 순환하는 자연을 표현하게 된다. 결국 작품은 이미지의 가시적 모방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미지를 통해 삶을 바라봄으로써 물질적인 것에서 벗어나 궁극적 삶의 의미를 사유하고자 하는 것이다. Modern society became plentiful due to the automated industrial structure. However, they got lost a lot of things because of continuously fasting speed of production and physical stimulus. Due to this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ization, people became focusing on physical values, so confusion of one’s values and individualism rose as social pathology phenomena. In other words, individuals who want to live in the better life lost the meaning of the radical life, in the ground of selfishness and physical desire. I concentrate on circularity to recover the sincere value of the society that lost real value of the life and find the depth of the existence of human being. As Friedrich Nietzsche said that we can get freedom and can see the principal of our lives by escaping from subjects, we have to deviate from ourselves and find the meaning of the men’s existence embracing the whole life. Breathing means we are alive, and life is the process of formation. Particularly, cyclical process of formation and change is countlessly repeated existence. Therefore, I try to reflect the life of human being into botanical images and find the substantial values about the life through circularity of the life. And, I made works of art, based on oriental view of nature that focuses that the order of natural phenomena is the order of the whole universe and it is the core of everything. This view of nature is that formation and extinction are the parts of continually repeated nature, and is the place where people experience birth and death and return to. Accordingly, understanding the essentiality of nature leads us to figure out ultimate our lives. I express repeated principal of nature through action and symbol of the images, not through simple embodiment. Henri Bergson said that material and spirit are nearly connected in continuous time. That is, consciousness is shown and moved by change. Similarly, in Asia, nature is interpreted through Mul-ah-il-che(物我一體), which means we can get close to the principal by corresponding with objects and consciousness. I experience state of extinction by representing the botanical images realistically and action being immersed in my works. By this process of being absorbed in the works, continued movement spread countlessly in time and space is shown. Through that, loss of the ego moves from subject-center to the ego of universe-center to see the world in diverse viewpoints. Like this, the process to combine between the works and myself can be connected to the basis of cycling nature, through them. Additionally, by borrowing botanical images having strong vitality, I can embody the circulating nature supported by concealed extinction. Consequently, I do not focus on the visible imitation of the images, but I want to speculate the meaning of radical life by getting out of physical things through looking at the like though the images.

      • 들뢰즈의 감각론을 통한 현대회화의 해석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홍수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my paintings created from 2009 through 2016 from the sensationalist perspective of Gilles Deleuze and discuss them with his conceptual terms. Seeing, feeling, and drawing people, forests, and objects is not reproducing what the artist has seen through mundane eyes, but “translating” what he/she has seen and felt through “affection.” Some of my paintings have been inspired by Gustav Klimt, Edvard Munch, and John Everett Millais to borrow their styles. What I have borrowed to create are the images of affection that rise inside of myself as an artist without filling or narrow the gap between the originals, but somewhat in between the perception of confusion and the act of reluctance and hesitation. I analyze the paintings using the conceptual terms of Deleuze’s sensationalism. I approached “The Drawing of Lines Like Rhizomes” from the perspective of Deleuze’s sensationalism. The interpretation of rhizomes has functioned as useful tools of analysis. Also, the artworks which I have produced by borrowing various elements were discussed by the concepts of “affect” and “affection” and interpreted as “images of affection.” Also, my empty faces without eyes, noses, or mouths can be explained by Deleuze’s “visagété” The concept of perception of smooth spaces (espace lisse) and Striated spaces (espace strie) from the perception theory played significant roles on interpreting the unjustification technique applied to the Forest series. Then I discussed how Klimt, Francis Bacon, and Kiki Smith were related to Deleuze’s sensationalism. I discovered what Deleuze had in common with Klimt, Bacon, and Smith and what was different. Some similarities were found between Klimt’s repeated tree barks and my line drawings and this could be interpreted by the properties of rhizomes. Also, my Looking for Nymph inspired by Klimt’s Mermaids has the “empty faces” with no eyes, noses, or mouths that can be analyzed in relation to Bacon's “Corps sans organes.” Also, the empty face in my Girl may seem similar to Smith’s girl, but it reflects my own unique method of expression not found in any work of the three preceding artists. Moreover, the conceptual terms of Deleuze’s sensationalism were applied to analyze three of my series. With the Girl series, faceness, affect, and affection were discussed in depth and related to the images of contemplation to support my study. The “line drawings similar to rhizomes” from the girl’s head were analyzed based on Deleuze’s theory of “brains” and “The body escapes from itself”, which is related to Deleuze’s sensationalist theory of bodies without organs, underwent an in-depth analysis with the empty faces missing eyes, noses, and mouths. Also, the Forest series was used to interpret the rhizomes, lines, and wrinkles and the repeated rhizomes were thoroughly analyzed to discuss the different types of lines of Deleuze and Félix Guattari by major lines. Deleuze’s wrinkle theory was used to discuss the repetition of double wrinkles to interpret my Forest images in various ways. My Deep Forest was used to discuss the concept of scars and marks of outbreaks in Deleuze’s work. His concepts of smooth spaces and Striated spaces became the major theories behind my unjustification method and my Edvard 1, 2, an image of affection inspired by Munch and Klimt’s The Kiss, analyzed the world touched by eyes and its mutants based on sensationalism. Finally, for the Object series, I discussed that the repetition of Andy Warhol’s Campbell Soup can and the repetition of my line drawings of cell division are different. Based on Deleuze’s sensationalism, Richard Serra’s steel work was compared with force and kinetics and the lines of my Object series were compared with kinetics and dynamics. My Girl, Forest, and Object series reflect Deleuze’s rhizomes and faceness, but the Girl series is the only one with faces missing eyes, noses, and mouths and all three series are mostly composed of line drawings of rhizomes. The process of translation into the production method is borrowed by affection or affected by mundane motifs such as people, forests, and objects. Borrowing by affection and being affected by mundane motifs are translated into artworks through girls, forests, objects. 본 연구는 연구자가 2009년부터 2016년까지 제작한 회화작품을 질 들뢰즈 (Gilles Deleuze)의 감각론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며 그의 개념어들을 통해 고찰해보려는 목적을 가진다. 사람과 숲 그리고 사물이라는 대상을 보고 느끼고, 그것을 그린다는 것은 주체로서의 작가가 일상적인 눈을 통해 본 것을 재모사하는 측면이 아니라 작가가 보고 느낀 것을 ‘감응’을 통해‘번역’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연구자의 일부 회화작품은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 에드바르트 뭉크 (Edvard Munch) 그리고 존 에버렛 밀레이(John Everett Millais)의 작품에 영감을 받았고 그것을 차용하였다. 연구자가 차용하여 제작된 작품은 원작의 작품들과의 간극을 메우지도, 채우지도 않으면서도 동시에 어떤 부분에서는 혼란시키는 지각과 머뭇거리며 망설이는 행위 사이에 있는, 또 다른 작가로서의 연구자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감응의 이미지이다. 본 연구자는 회화작품을 들뢰즈의 감각론 개념어들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연구자는 `리좀(rhizome)과 같은 선들의 드로잉'을 들뢰즈의 감각론적 관점으로 접근했다. 이때의 리좀적 해석은 작품을 해석하는 유용한 틀로 기능하였다. 그리고 연구자가 여러 요소를 차용하여 제작한 작품을 ‘정동(affect)’과 ‘감응(affection)’의 개념으로 논의하면서 ‘감응의 이미지’로 해석 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의 작품에 등장하는 이목구비가 그려져 있지 않은 텅 빈 얼굴은 들뢰즈의 ‘얼굴성(visagéité)’을 통해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지각이론에서 매끈한 공간(espace lisse)과 홈패인 공간(espace strie)으로서의 지각 개념은 연구작품 <숲> 연작에서의 흘리기 기법을 해석하는데에 있어 주요 역할을 하였다. 이어서 연구자는 세 명의 선행 작가들인 클림트,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그리고 키키 스미스(Kiki Smith)를 통해 들뢰즈의 감각론과의 관계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그 안에서 연구자는 클림트, 베이커, 스미스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클림트의 반복되는 나무껍질들과 연구자의 드로잉 선들의 비교에서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는데 리좀적 특성을 통해 해석 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클림트의 <인어들(Mermaids)>을 보고 영감을 받아 차용한 연구자의 <님프를 찾아서>에서는 이목구비가 그려져 있지 않은‘텅 빈 얼굴성’을 베이컨의 ‘기관 없는 신체(corps sans organes)’에 대입하여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연구자의 <소녀>에서 이목구비가 부재한 얼굴은 얼핏 보면 스미스의 소녀이미지와 유사하지만 앞의 세 명의 선행작가들 작품에서 볼 수 없는 차별화된 연구자만의 개성적인 표현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연구자의 작품에 대한 들뢰즈의 감각론적인 개념어들을 통해 세 가지 연작별 작품 해석을 개진하였다. <소녀> 연작을 통해 얼굴성, 정동과 감응에 대해 심층 고찰함으로써, 사유의 이미지와 연계시켜 연구 의도를 상론하였다. 소녀의 머리로부터 나오는 `리좀과 같은 선들의 드로잉'을 들뢰즈의 `뇌' 이론으로 작품분석을 하였고, 들뢰즈의 감각론으로서 기관 없는 신체 이론과 같은 ‘신체가 빠져나간다’는 연구자의 이목구비가 그려져 있지 않은 텅 빈 얼굴성으로 심층 분석하였다. 그리고 <숲> 연작을 통해 리좀, 선들, 주름에 관하여 해석을 하였고, 거듭 언급된 리좀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Félix Guattari)의 수많은 선들의 종류를 본 논문에서는 주요한 선들로 구분하여 상론하였다. 들뢰즈의 주름 이론을 통해 이중 주름의 반복성을 논의함으로써 연구자의 <숲> 이미지를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자의 <Deep forest>를 통해 들뢰즈의 돌발 흔적과 돌발 표시의 개념을 상론하였다. 그의 매끈한 공간과 홈패인 공간의 개념은 연구자의 흘리기 기법을 설명하는 주요 이론이 되었으며, 뭉크와 클림트의 <The Kiss>를 보고 영감을 받은 감응의 이미지로서 연구자의 <Edvard 에드바르드1,2>는 눈으로 만지는 세계와 그 변종들이라는 감각론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사물> 연작을 통해 앤디 워홀(Andy Warhol)의 캠벨수프 캔의 수열적인 제품의 반복성과 연구자의 세포분열로서의 드로잉 선들의 반복성은 차이를 가지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들뢰즈의 감각론을 통해 리처드 세라(Richard Serra)의 강철 작품은 힘과 운동성으로, 연구자의 사물연작에서 선들은 운동성과 역동성으로 비교하며 해석하였다. 연구작품 <소녀>, <숲>, <사물> 연작은 들뢰즈의 리좀과 얼굴성이 존재하는데 <소녀> 연작에서만이 이목구비가 결여된 얼굴성이 존재하고, 소녀, 숲, 사물 세 가지 연작 모두 리좀과 같은 드로잉 선들이 주요한 표현 방식으로 등장한다. 연구자에게 작품 제작방식으로서의 번역과정은 감응에 의해 차용하게 되거나 사람과 숲, 사물이라는 일상적인 모티프들에 정동된다. 그렇게 감응으로 인한 차용과 일상적인 모티프들에 의한 정동 과정은 소녀, 숲, 사물이라는 소재를 통해 작품으로 나타나게 된다.

      • 한국 근현대 회화의 경매가격 분석에 의한 가격지수 연구 : 2005년부터 2014년까지의 한국 경매시장을 중심으로

        김영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Korean arts market is gradually globalizing, but organized systems to manage artworks and their prices have not been established. When an overseas collector wants to invest in Korean artworks, there is no reliable price index for her or his reference. Therefore, the Korean arts market has not fully developed and Korean artists face difficulties accessing the international arts market. This study aims to set a pricing standard for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paintings and establish a transparent price index in an effort to solve these problems. We collected time series data on paintings traded by 14 auction companies during times when auction markets were active in the Korean arts market in the 10 years between 2005 and 2014. Based on the total monetary value of the paintings that were sold, the top 20 artists were selected, and we created a price index according to our analysis of the auction prices. First, to investigate the history, structure, and status of the Korean arts market and to examine the process of price formation for artworks in the market, previous studies were assessed to determine the necessity and objectivity of developing a price index of artworks. The work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base materials, themes, coloring materials, and sizes, and price averages were estimated and indexed. Furthermore, the significance of each work in terms of art history was considered, artworks were encoded according to their themes, and the prices of artworks by format were calculated. In addition, we conducted a survey to determine whether the format-based pricing system is actually used and whether the pricing is according to the sizes of works, and we statistically analyzed the extent of the correlation of size with auction price. Moreover,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verage price and the sizes of works to clarify whether, when artworks of the same base materials and themes by the same artist increased in size, the price would proportionally increase, by analyzing the prices of the works in the Korean art auction market. Furthermore, a price index of artworks and an auctioned-off rate were derived for the 20 artists by analyzing collected data on the items sold off,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verage auctioned-off price and the frequency of the auction was estimated. Because the price index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theme of the work, it clearly reflected the artist’s position in the arts market. However, the index does not comprehensively cover all of an artist’s work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e price index of artworks and the auctioned-off rate index were integrated into a single index, termed “artist competitiveness index,”which reflects the auctioned-off prices and the quantities of each artist’s sold works. By analyzing the works sold by 14 auction companies, including works sold through Seoul Auction and K Auction in Hong Kong and Macao, price indices were examined. The results found that Lee U-fan was ranked first among the top 20 artists in terms of total auctioned-off value, followed by Kim Whan-ki, Park Soo-keun, Lee Dae-won, Kim Chong-hak, Chun Kyung-ja, Oh Chi-gyun, Kim Tschang-yeul, Lee Joong-sub, Chang Uc-chin, Do Sang-bong, Yi Sang-bom, Park Seo-bo, Yoo Yeong-kuk, Kim Sou, Chung Sang-hwa, Chun Kwang-young, Oh Chi-ho, Kim Ki-chang, and Kim Hyung-gn. Seventeen artists created Western paintings and three created Korean paintings (Chun Kyung-ja, Yi Sang-bom, and Kim Ki-chang). Although Lee U-fan was first in auctioned-off value, the highest price per format was Park Soo-keun, and the painter with the most auctioned-off items was Kim Ki-chang.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rices of works included size of the work, age of the painter, production method, premium of the artist in the market, genre of the artwork, materials used, whether the artist is alive, the effect of the artist’s death, and artistic value. Moreover, the size of an artwork is used as a price-differentiating factor in international markets as well as in the Korean arts market. The works of Park Soo-keun ranked first with KRW 280,201,206 per format because the price index was calculated based on price per format. Park Soo-keun also had the highest competitiveness index, with the highest price per format and an auctioned-off rate of 91.63%. The auctioned-off index was highest for the works of Chung Sang-hwa(81.97%), who is the leading painter of the highly popular Korean monochrome painting, which has led the Korean arts market since 2014. The auctioned-off rate indicates a painter’s popularity at a specific time, and the rate tended to be higher among the works that are deemed undervalued or rare. In addition, regarding the format-based pricing system, whether the format (the unit of canvas, which was created in France) actually influenced the prices of the works and the extent of the correlation between size and price were investigated. Using painters, collectors, auction dealers, galleries, studios, professors of the arts, and journalists/critics in the field of arts who were using the “format standard table” as our respondents, we conducted a nationwide survey to measure the ext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ize and price, and the standard for the price application ratio was statistically estimated. About 95.6% of the survey respondents (n = 283) reported that the format-based pricing system was in use, and about 88.8% (n = 263) of the respondents stated that a work’s price was proportionate to its siz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prices of works at an auction market in which prices are influenced by numerous factors, such as subjective preferences, competition, and investment intentions of collectors, the format-based pricing system was effectively in place up to 150 formats. The only differences among works that used the same efforts and techniques by the same artist were costs of the materials, labor, and work hours, which are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created work. Thus, the primary market, such as art galleries and art fairs, were still using the format-based pricing system to price the artworks. 한국 미술시장은 점차 국제화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그에 따른 작품과 가격을 관리하는 체계적인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다. 해외의 컬렉터들이 한국 작가의 작품에 투자하고자 할 때 신뢰할 만한 가격 지표도 없다. 때문에 한국 미술시장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한국 작가들의 국제 미술시장 진입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제약들을 해결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로 한국 근현대회화의 가격 기준을 마련하고 가격지수를 보다 투명하게 정립해 보자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미술시장 구조에서 경매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 간 주요 14개 경매회사에서 낙찰된 회화 작품을 수집한 시계열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낙찰 총액을 기준으로 상위 20명의 화가를 도출한 후, 이들의 ‘경매가격 분석에 의한 가격지수’를 밝혔다. 여기서 먼저 한국 미술시장의 역사, 시장구조와 현황, 작품가격의 생성 구조를 밝히기 위해 문헌 조사를 실시하여 미술품 가격지수 개발의 필요성과 객관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각 화가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바탕 재료, 작품 주제, 작업 시기, 채색 재료, 작품 크기 등을 분류하여 가격의 평균을 도출한 후 이를 지수화 하였다. 나아가 작품의 미술사적 위상을 살펴보고 화가별 작품의 주제를 코드화 하였으며 이에 따른 주제 구분 호당가격을 산출하였다. 또한 호당가격제의 통용 여부와 작품 크기의 증감에 따른 가격 책정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경매가격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한국 미술품 경매시장에서의 가격 분석을 통하여 동일한 화가의 바탕 재료와 작품 주제가 같은 작품인 경우에는 크기가 커지면 가격도 어느 정도 비례하여 상승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작품의 평균가격과 크기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20명 화가의 미술품 가격지수와 출품 수 대비 낙찰 수를 분석하여 ‘낙찰률지수’를 도출하고 미술품 평균가격과 낙찰 빈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으로 도출되는 ‘미술품 가격지수’는 각 화가의 주요 주제가 분류되어 산출되기에 미술시장에서 화가의 위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특징이 있는 반면에 화가의 모든 작품을 종합하여 하나의 지수로 나타내는 데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미술품 가격지수’와 ‘낙찰률지수’를 종합하여 각 화가의 낙찰 금액과 수량을 하나의 지수로 나타내는 ‘화가 경쟁력지수’를 산출해 내었다. 서울옥션, K옥션에 의해 홍콩, 마카오 등에서 거래된 작품을 포함한 14개 경매회사에서 낙찰된 작품을 분석하여 가격지수를 검토해본 결과 낙찰 총액 기준 상위 20명의 화가 중 1위는 이우환이었다. 그리고 이어서 김환기, 박수근, 이대원, 김종학, 천경자, 오치균, 김창열, 이중섭, 장욱진, 도상봉, 이상범, 박서보, 유영국, 김흥수, 정상화, 전광영, 오지호, 김기창, 김형근 순서로 도출되었다. 이들 가운데 서양화 화가는 17명이었고, 한국화 화가는 3명으로 천경자, 이상범, 김기창이 포함되었다. 여기서 낙찰 총액이 가장 많은 화가는 이우환이었고, 호당가격이 가장 높은 화가는 박수근이었으며, 낙찰수가 가장 많은 화가는 김기창으로 조사되었다. 작품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작품의 크기, 화가의 나이, 제작방식, 작가의 프리미엄, 작품의 장르, 재료, 작가의 생존 여부, 사망 효과, 예술적 가치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었고 작품의 크기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작품가격에 차등을 두는 근거로서 작용되고 있었다. 호당가격을 기준으로 미술품 가격지수를 산출한 결과, 박수근의 작품이 호당 280,201,206원을 기록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낙찰률지수는 2014년 이후 한국 미술시장을 이끄는 단색화 열풍의 중심 작가인 정상화의 작품이 81.97%의 낙찰률을 기록하여 가장 높았다. 낙찰률지수는 그 시대에 선호되는 화가의 지표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현재의 작품이 저평가되어 있다고 여겨지는 화가나, 작품이 희귀한 작고 화가의 작품에서 높게 나타났다. 화가의 경쟁력지수는 최고의 호당가격과 91.63%의 낙찰률을 기록한 박수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호당가격제가 통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프랑스에서 제정되어 유입된 화포(畵布, canvas) 크기의 단위인 ‘호(號, format)’가 작품가격 책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작품 크기가 커지면 가격도 어느 정도 비례하여 상승하는지 알아보았다. 여기서 ‘호수기준표(號數基準表)’를 사용하고 있는 화가와 컬렉터, 경매ㆍ화랑ㆍ화방, 미술전공 교수, 미술 관련 기자ㆍ평론가 등 다섯 분야를 대상으로 하여 전국 규모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작품 크기가 가격 산정에 적용되는 비율은 어느 정도인지 통계에 의한 ‘가격 적용비율 기준’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95.6%(283명)가 호당가격제가 통용되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88.8%(263명)의 응답자가 그림의 크기가 커지면 작품가격도 어느 정도 비례하여 상승한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컬렉터의 주관적인 선호도, 경쟁 심리, 투자 의도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 경매시장에서의 작품가격을 분석한 결과, 작품의 크기가 커지면 가격도 상승하는 호당가격제가 150호까지 확연하게 성립되고 있었다. 특히 화가에게 있어서 같은 열정과 기법으로 완성한 작품의 가격을 차등할 수 있는 유일한 근거는 크기에 비례되는 재료비, 노동력, 작업 기간 등이기 때문에 화랑, 아트페어 등과 같은 1차 시장에서는 이러한 요인을 바탕으로 호수기준표에 따라 비례적으로 가격을 정하는 호당가격제가 여전히 작품가격을 산정하는 기준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