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오르프 교수법을 활용한 '창극 만들기' 초등음악교육 지도방안 개발 및 적용 : 흥보가 '박 타는 대목'을 중심으로

        박소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study aims to develop ‘Making Changguk Lessons’ based on Orff’s approach in order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Gukak, while suppor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ir teaching. To this end, prior researches on the Gukak lessons based on Orff’s approach are analyz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eaching plan. A simpl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general perception of Gukak 8 elementary school students (3 males, 5 females) at the K Child Welfare Institution located in K-dong distric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analysis, teachers’ observation log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investigat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making Changguk lesson increased the interest in Gukak for the students with active characters since the lesson includes various activities such as speaking, singing, bodily expressing, and instrument playing.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splayed an improved sense of responsibility, cooperation, physical expression, creativity, and flexibility after the group activity. Third, the students gained a sense of accomplishment,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preparation and participation. Fourth, playing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along with western instruments broadened students’ experience with music, thereby expanding their interest in the other instruments as well as other Korean traditional song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clude that the Making Changguk lesson based on Orff’s approach has a positive effect on providing for the students the easy access to Gukak. Continuation of the further developments on the Gukak instruction plan related would be anticipated 본 연구의 목적은 오르프 교수법을 적용한 ‘창극 만들기’ 지도방안을 개발하여 우리나라 전통음악인 국악을 학생들에게 쉽게 접근시키고, 초등교사들의 지도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오르프 교수법을 적용한 국악 수업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서울특별시 K 동에 있는 K 복지 아동시설의 초등학생 8명(남 3명, 여 5명)을 대상으로 수업 전 국악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간단한 설문지를 진행하였고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교사의 관찰일지와 설문 내용 및 인터뷰 내용을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말하기, 노래 부르기, 신체표현, 악기연주 등 다양한 활동을 포함한 오르프 교수법 적용‘창극 만들기’ 수업은 활동적인 초등학생들에게 적합하였고 이는 국악에 대한 흥미도를 높여주었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모둠 활동을 통해 책임감, 협동심, 신체 표현력, 창의력 그리고 유연성이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셋째, 학생들은 무대를 준비하고 공연을 하는 과정 속 성취감과 만족감,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 넷째, 국악기와 서양악기를 함께 연주해보고 판소리를 불러봄으로 다양한 악기, 음색을 경험하게 되었고 이 활동들을 통하여 향후 다른 악기와 국악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오르프 교수법을 적용한 ‘창극 만들기’ 수업은 학생들에게 국악을 쉽게 접근시키기에 긍정적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차후 더 많은 국악 관련 교수․학습 과정 개발이 지속해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한 서울, 경기 지역 예술고등학교 서양음악전공 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 조사

        김민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reciation of specialized music subjects and to analyze their correlation. The subject for this study is 11th & 12th students of arts high schools studying music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is study also aim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that will help students study more actively and take interest in specialized music subjects. In March 2011, The survey was conducted to 948 students 11th & 12th of arts high schools studying music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survey used the Likert's 5-Point scale and nominal scale questions and consisted of eight parts such as importance, interest, difficulty, necessity, lecture administration, lecture contents, lecture evaluation method and their performances improvement in their major As for the data processing method, SPSS Windows 12.0 version was used, and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one-way ANOVA, cross tabulation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nd Cronbach's α reliability analysis verified high reliability on the data. All participants of this survey had high appreciation on the specialized music subjects. Statistical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grade and the major in the study. Most of the students perceived that their performances in their major is improved by studying the specialized music subjects. The students' performances ability increased with their appreciation, except difficulty, of the specialized music subjects. It also increased whe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variable including of lecture administration, lecture method, and lecture material. According to these results, specialized music subjects need to consider the students' appreci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jor. It will help students to be more motivated an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ir education process by themselves. It will also improve their performances in their major. 본 연구의 목적은 서양음악을 전공하는 서울, 경기 지역 예술고등학교 2,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한 인식’,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한 만족도’, ‘음악과 전문 교과를 통한 전공실력향상도’를 조사하고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학생들이 음악과 전문 교과에 흥미를 가지고 보다 더 능동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11년 3월 현재 서울, 경기 지역 예술고등학교 5곳에 재학 중인 서양음악전공 2,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966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948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연구의 목적에 맞지 않거나 응답내용이 불성실하며 신뢰성이 떨어지는 설문지 64부를 제외한 884부를 연구 자료로 최종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한 전체 조사 대상자들의 평균 인식 및 만족도를 알아볼 수 있는 리커트 5점 척도와 이에 대한 이유를 알아볼 수 있는 명목 척도를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한 인식’은 중요도, 흥미도, 난이도, 필요도 4개의 영역으로,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한 만족도’는 수업운영, 수업내용, 평가방식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음악과 전문 교과를 통한 전공실력향상도’는 학생들의 응답에 의하여 파악하였다. 자료 처리를 위한 방법으로서 SPSS Windows 12.0 Version을 사용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다변량분석, 일원분산분석, 교차분석, t-검정,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료에 대한 오류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α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매우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전체 조사 대상자들은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하여 평균 3.81의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는 전공과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를 부분적으로 나타냈다. 또한 전체 조사대상자들은 음악과 전문 교과의 수업운영, 수업내용, 평가방식에 대해 대부분 만족하였다. 그 평균은 3.05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전공별, 학년별 차이는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전체 조사 대상자들은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해 비슷하게 만족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음악과 전문 교과를 통한 전공실력향상도는 평균 3.58로 나타나 대다수의 조사 대상자들이 음악과 전문 교과를 통하여 자신의 전공실력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전공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각 영역이 전공실력향상도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분석한 결과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한 중요도, 흥미도, 필요도,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전공실력향상도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난이도가 증가할수록 전공실력향상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음악 전문 교과 만족도 각 문항과 전공실력향상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업진행, 수업방식, 학습량 및 학습수준, 수업매체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전공실력향상도 또한 증가하였다. 즉, 음악과 전문 교과가 학생들의 학습량과 학습수준 및 흥미와 능력을 감안할수록, 수준별 수업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수업을 진행할수록, 효과적인 수업매체를 사용할수록 학생들이 인식하는 전공실력향상도는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가 학생들의 전공실력향상도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동기 부여되어 능동적으로 교육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현 교육과정의 목적에 따라 음악과 전문 교과는 각 전공의 특성을 배려하고 학생들의 흥미와 능력을 고려한 수준별 학습을 확대 해야한다고 제언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나아가 연구 대상을 전국 예술고등학교로 확대하고, 연구 범위를 ‘2009 개정 교육과정’으로 하며, 음악과 전문 교과를 통한 전공실력향상도를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보편타당한 측정도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더 많은 학생들이 음악과 전문 교과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이를 통해 그들의 전공실력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 국악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중학교 2학년 국악합창 수업 지도안 개발 및 적용 : 영화「두레소리」를 활용하여

        이지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 우리의 고유한 문화유산을 토대로 한 전통문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의 대표적 전통문화 유산인 국악이 학교교육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대중문화에 물들어 있는 청소년들의 감성과는 맞지 않아 공감이 쉽지 않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국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지도록 다양하고 효과적인 지도 방법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대중매체를 자주 접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국악과 관련된 영화를 수업자료로 활용하여 전통 민요를 합창으로 편곡한 곡을 부르도록 지도안을 개발 하였다. 이에 따라 학생들이 국악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 국악 교육의 목적 및 필요성과 영상매체가 청소년기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력과 교육적 필요성, 합창교육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국악합창 영화 「두레소리」를 동기유발 자료로 사용하여 ‘늴리리야 부분2부합창’을 불러볼 수 있도록 총 2차시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바탕으로 2015년 4월 충북 소재의 C여자 중학교 학생 32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총 2차시의 교수-학습 지도안 중 1차시에서는 학생들이 국악합창영화 「두레소리」의 주요장면을 감상하였다. 이 후 국악 마인드맵을 작성하여 국악에 대해 생각해 보고 이야기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늴리리야 부분2부합창’을 각 성부별로 나누어 불러 볼 수 있도록 하였다. 2차시에서는 1차시 때 과제였던 영화 「두레소리」 전편을 감상하고 작성하도록 한 감상활동지를 가지고 영화와 국악에 대해 발표하도록 하였다. 이 후 전 시간에 활동했던 늴리리야 부분2부합창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도록 하였다. 또한 모둠별로 화음에 맞게 불러보도록 하였다. 수업 후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화 「두레소리」를 감상하고 직접적으로 국악합창을 불러보는 국악수업이 국악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던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발된 교수-학습 지도안은 실제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하며 국악합창교육을 위한 수업자료로 적합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Nowadays, the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based on our unique cultural heritage is increasing. Accordingly, Korean traditional music, a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has occupies a large proportion of school education. However, it is not easy for teenagers emersed in pop culture to symphasize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efore, the various researches are needed to develop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hat evokes interest in teenagers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I developed the plan of teaching a traditional folk music rearranged as a choir referencing a movie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as a teaching material to help improving students’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 reviewed the objectives and necess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mpact and educational needs of visual media on teenagers, and importance of chorus education in literature. By using the Korean traditional chorus movie 「DURESORI」as a motivation material, I have developed the lesson plan of 2 class period to sing ‘Niliria Partial 2-Part Choir’. Based on this teaching-learning plan, I conducted the lesson targeting 32 students of the C Girls Junior High School located in Chungbuk province in April 2015. On the 1st class out of 2 class period of lesson plan, students watched key scenes of the Korean traditional chorus movie 「DURESORI」, and let them discuss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by creating a mind map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lso, the students sang ‘Niliria Partial 2-Part Choir’ by chorus part. On the 2nd period, the students watched the entire movie 「DURESORI」again and presented about the movie and Korean traditional movie based on the movie report they wrote. Thereafter, I asked the students to sing Niliria Partial 2-Part Chorus from the previous class more expressively, and also sing in tunes by group. I analyzed the survey I asked the students to fill out after the class. The result prove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in which the students watched the movie 「DURESORI」and sang the traditional music in chorus had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who have originally showed negative response towards.

      • 성악 발표회를 통한 연주경험이 초등학생의 음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지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elementary schooler's musical self-efficacy through the experience playing instruments on a vocal recital, this study purpose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usical self efficacy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gender, grade, an instrument lesson or not except singing lesson, and concert experience or not before this vocal recita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pretest and the post test about musical self-efficacy targeting 81 elementary schoolers participated in the vocal recital. Both tests' results were analyzed in using the SPSS WIN 12.0, a statistics program. The paper reached following conclusions: The result of tests measuring elementary schooler's musical self-efficacy level before and after the vocal recital showed that the experience of playing instrument on the vocal recital improved schooler's musical self-efficacy. Very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the sub-areas of musical self-efficacy, self-regulatory efficacy, and confident efficacy. Both areas of task difficulty preferenc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revealed positive and very similar effects. Improvements in the confident efficacy followed them. To identify some variables to influence on elementary schoolers' musical self-efficacy, the paper set the variables as grade, gender, instrument lesson or not except singing lesson, and concert experience or not before this vocal recital and analyze them. The analyz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analyzing two groups of lower grades and higher grades showed that the group of lower grades had more effects in improving schooler's musical self-efficacy level. Second, comparing the male and female student body, the vocal recital had positive effects in improving both genders' self-efficacy. However, results revealed greater effects generally on females students throughout the study. Third, comparing the student learning an instrument with singing lesson and the student without, the vocal recital yielded very positive effects in improving the both students' musical self-efficacy.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 learning an instrument with singing lesson had greater effect in improving his/her musical self-efficacy. Fourth, amo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concert for the first time, the experience playing instruments on the vocal recital showed promising effect in improving their musical self-efficacy. But more often students play instruments on concerts, the weaker their self-efficacy improvement becomes. However regardless of how many times, playing instruments on a concert showe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elementary schooler's musical self-efficacy, being only different in levels of effectivenes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aise musical self-efficacy through continual musical experiences. Summarizing from the above, a study could identify that the musical experience contributes very positively on raising elementary schooler's musical self-efficacy. Therefore students should be provided opportunities to gain as much musical experiences as possible through recitals or playing instruments. Students shall also be given proper musical environment which students can enjoy musical experiences daily. Abundant chances for elementary schoolers to learn the meaning and values of musical activity and opportunities to recognize the necessity for such activitie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should be prepared available. Furthermore, future researches will be continues to find more efficient and operational methods to be applied to elementary schools' curriculums and regular classes. 본 연구는 성악발표회를 통한 연주경험에 따른 초등학생의 음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여, 성별, 학년, 성악 이외에 배우는 악기의 유무, 성악 발표회 이전에 음악회 경험의 유무라는 변인에 따라, 음악적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성악발표회를 한 초등학생 81명을 대상으로 음악적 자기효능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 WIN 12.0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검사의 통계분석 결과를 통해 성악발표회를 통한 연주경험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성악발표회를 전후로 음악적 자기효능감을 검사한 결과, 성악발표회를 통한 연주경험이 초등학생의 음악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과제난이도 선호도(task difficulty preferen ce) 영역과, 자기조절 효능감(self-regulatory efficacy) 영역, 자신감(self-regulatory efficacy) 영역에서도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난이도 선호도 영역과 자기조절 효능감 영역은 비슷한 수준에서 효과가 있었고, 자신감은 그 다음 순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하여, 학년, 성별, 성악 이외에 배우는 악기의 유무, 성악발표회 이전에 음악회 경험의 유무를 변인으로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학년과 고학년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저학년이 음악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더 많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과 여학생을 비교하여보면,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 성악발표회는 음악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여학생에게 더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악 이외에 배우는 악기가 있는 학생과 성악 이외에 배우는 악기가 없는 학생 모두, 성악발표회가 음악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성악 이외에 배우는 악기가 있는 학생의 경우가 더 큰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회 경험이 처음인 경우, 음악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매우 큰 효과를 보이고, 음악회 연주의 경험이 많아질수록 향상의 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험의 유무에 상관없이 음악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기 때문에, 꾸준한 음악적 경험으로 음악적 자기효능감을 키워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성악발표회라는 음악적 경험은 초등학생의 음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발표나 연주를 통한 음악적 경험의 기회를 많이 제공해야 하여, 음악적 경험을 일상적으로 누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경험을 통해 음악활동의 의미와 가치를 체험하고 이를 통해 필요성을 자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하며, 더 나아가 초등학교 정규교과 수업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ASSURE 모형을 적용한 디지털매체 활용 국악창작수업 지도안 연구

        문수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교수매체를 체계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고안된 ASSURE 모형을 적용하여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국악창작수업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교육에서 디지털매체의 역할에 대한 문헌 연구와 ‘2009개정 교육과정’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매체의 활용과 국악창작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였고 ASSURE 수업설계모형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고등학교 ‘음악과 생활’ 10종 교과서의 국악창작단원 및 디지털매체 활용 단원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ASSURE 모형의 6단계 전략에 맞추어 실제 수업의 세부 내용을 설계하여 총 3차시의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수업의 구성은 1차시에서 국악과 경기민요에 대한 개념을 알고 경기민요 5음 음계와 여러 장단을 활용하여 민요풍 가락 만들기 활동을 한다. 노래를 창작하는 단계에서 스마트 폰의 건반 어플리케이션, 장구 어플리케이션 등이 활용된다. 2차시에서는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완성된 노래를 녹음하고 노래의 가사와 어울리는 장면을 짧은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3차시에서는 O.S.T의 개념을 알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윈도 무비 메이커(Windows Movie Maker)’를 활용하여 녹음된 노래 파일과 완성된 영상 파일을 편집하여 새로운 동영상을 제작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 된 ASSURE 모형을 적용한 디지털매체 활용 국악창작수업 지도안을 토대로 서울시 D여자고등학교 1학년 음악반 학생 28명을 대상으로 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을 마친 후 수업 및 지도안에 대한 만족도와 학습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사용법이 익숙한 스마트 폰, 컴퓨터 등의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특히 스마트 폰을 활용하는 학습에 대해서 높은 이해도 및 흥미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최근 교육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국악창작영역과 생활화영역의 활동을 함께 구성하였고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한 데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음악교육에서 디지털매체가 교수매체로서의 역할로써 충분히 활용되어 질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esson plans for composition clas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using digital media based on ASSURE model. The procedure of the study is as follow.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regarding the role of digital medium in music education and ASSURE model was conducted. High School music textbook published in ten different publishers were analyzed focusing on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digital medium. Based on this lesson plans for three class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lesson plans, three class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omposition class that uses digital medium, with the application of ASSURE model were conducted for 28 students of 10th grade Girls’ High School. After the class, a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satisfaction and study result of the class and guidance plan.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toward the class, where digital medium was used, was very high,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conducted. Also,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in which they had to use smart phones and computer, with which they were familiar with, and they especially demonstrated high degree of understanding and interest when studying with smart phone. The result showed that digital medium can sufficiently be utilized as an instructional medium in music education.

      • 원탁토론 모형을 적용한 음악교과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및 적용 : 대중음악에 대한 토론을 중심으로

        배단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 문 초 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아직 일반화되어 있지 않은 음악교과에 토론을 적용한 교수학습지도안을 음악 교사들에게 제공하여 음악 교과에서도 토론 수업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원탁토론 모형을 기반으로 3차시 음악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토론 수업에 사용된 주제는 교과서에 많은 비중이 실리며 학생들에게 여러 영향을 미치는 대중음악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토론의 의미와 필요성, 원탁토론 모형에 대한 이론적 연구 및 대중음악의 정의와 종류에 관한 이론적 연구를 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음악과 생활’ 10종 교과서에 제시된 토론 활동을 분석하여 토론주제를 음악교과 영역별로 분류하고 토론 주제어의 빈도수를 파악하여 제시하였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6단계로 구성된 원탁토론 모형을 3차시에 걸쳐 음악 수업에 적용하여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였으며, 경기도 G고등학교 1학년 33명을 대상으로 수업하였다. 1차시는 원탁 토론 모형의 주제 제시와 문제 분석단계에 해당하며 대중음악에 대해 살펴보고 토론 주제를 제시하여 학생들과 자유 토론을 하였다. 또한, 학생들에게 자기주장에 대한 논리적 근거를 찾는 과제를 내주며 사실 수집 단계를 거쳤다. 2차시는 원탁토론의 구체적 의견 교환과 의견 종합단계에 해당하며 조별로 토론 주제를 하나씩 맡아 원탁토론을 하였다. 1차시 과제를 통한 논리적 근거를 바탕으로 자기주장에 대한 입지를 다지며 조별 토론 활동지를 작성하였다. 3차시는 결론 도달단계에 해당하며 2차시에서 도출된 주장을 논리적 근거를 바탕으로 발표하며, 발표하지 않는 학생들은 동료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3차시 수업 후 설문조사를 통해 수업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전반적으로 학생들이 음악 교과에서 토론 수업에 대해 높은 만족도 및 이해도를 보였다. 특히 대부분 학생이 음악 교과에서 토론 수업이 유익하다고 답하였다. 또한, 토론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논리적·비판적 사고력과 발표력이 신장되었으며 토론을 편안하게 생각하였다. 이틀 통해 음악 교과에서도 토론 수업이 효과적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시작으로 앞으로 다양한 형태의 토론 수업이 음악 교과에서도 활성화되기 바란다.

      • 중학교 음악교과와 자유학기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이선민 숙명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과와 자유학기제 운영이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라는 교육과정의 변화를 인지하고, 이로 인한 음악교과에서의 변화와 차이점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또한 음악교과와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기제 내 음악활동의 운영방식을 파악하고, 이에 대해 학습의 주체인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안양시 소재의 중학교 23곳의 홈페이지와 학교알리미 공시 정보의 교육과정 편제표를 통해 학교별 음악교과 및 자유학기제 시수에 대해 조사하였다. 자유학기제와 자유학기제 내의 음악활동을 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음악교과, 자유학기제를 모두 경험한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먼저, 음악교과 및 자유학기제, 그리고 자유학기제 내 음악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목적을 수립하였다. 선행연구 고찰 이후 음악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음악교과, 자유학기제, 자유학기제 내 음악활동에 대해 학습의 주체인 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 대상을 설정하였고, 연구대상의 지역인 경기도 안양시를 대상으로 음악교과 및 자유학기제 시수 및 운영현황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과 시수 및 자유학기제로 인한 시수 감축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었다. 선행연구 고찰로 얻은 정보를 통해 음악교과 및 자유학기제에 관한 설문지를 제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경기도 안양시에 소재한 2곳의 학교에 각각 메일과 방문조사로 설문지를 배포 및 회수하였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음악교과와 자유학기제, 그리고 자유학기제 내 음악활동의 운영 및 시수,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기존 음악교과의 시수가 주로 주 1~2회로 이루어졌고, 이에 대해 학생들은 적당한 시수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음악교과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기존 음악교과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었다. 하지만 자유학기제 내 음악활동이 만족스러운 이유에 대해서 기존의 음악교과 수업의 내용보다 다양하고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기존 음악교과 수업보다 만족한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기존 음악교과의 내용과 방식의 다양성이 요구된다는 개선점이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인식을 통해 시험의 부담에서 벗어나 다양한 활동을 했다는 점에서는 자유학기제의 목적을 성취했다고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창의성 및 진로탐색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적은 도달하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창의성 및 진로탐색을 신장하기 위한 자유학기제의 개선점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foundation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music education and the free-semester system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study recognizes the free-semester system 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aims to look into the resulting chang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previous system and the free-semester system. Also,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music education, free-semester system, and music activities under the free-semester system are implemented while investigating the awareness of students about the educational con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structional time of music education and free-semester system in each school by looking at course schedules uploaded on websites of 23 middle schools in Anyang-si in Gyeonggi-do and the School Information Disclosure. In order to understand how students are aware of the free-semester system and music activities under the system, a survey was conducted on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both school music education and free-semester system. The research was conducted as the following. First, research goals were set after recognizing the need for theoretical research on music education, free-semester system, and music activities under the system. By taking previous studies into consideration, this research looked into students’thoughts on music education, free-semester system, and music activities under the system to find ways to effectively operate music education. Based on this, Anyang-si in Gyeonggi-do was chosen as a subject of study and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see instructional time of music education and the free-semester system, and its current operation. By conducting the investigation, information on instructional time and reduced instructional time under the free-semester system was acquired. Based on the insights provided from other previous studies, a questionnaire on music education and the free-semester system was design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wo schools in Anyang-si in Gyeonggi-do received and sent back the questionnaire via email or face-to-face. By analyzing the survey result,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students’ awareness of music education, free-semester system as well as the operation and instructional time of music activities under the system and thus to draw a conclusion. Music was originally taught around one or two times a week and most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instructional time. Also, they thought music needs to be taught in school and generally felt pleased with the existing music education. However, students were found to prefer music activities under the free-semester system because they can learn more diversified content in different ways under the free-semester system. Therefore, it is fair to say that the existing music education has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its content and teaching method. Not only that, the free-semester system appeared to achieve one of its purposes considering the system enables students to engage in diverse music activities without putting pressure of exams on student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system did not fulfill its other purposes: nurturing creativity and helping students search their future career paths. This gives room for improvement to the free-semester system.

      • 북한이탈 청소년의 1인 1악기 피아노 음악교육 사례연구

        이희승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북한이탈 청소년은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 시기에 혼자 혹은 가족과 함께 북한을 탈출하여 한국에 입국하였거나, 부모 중 한쪽이 북한 출신으로 제3국에서 출생한 자들을 말한다. 예술 교과의 하나인 1인 1악기 수업은 북한이탈 청소년의 불안정하고 예민한 특성을 잘 보듬어 줄 수 있는 교육적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그중 피아노는 접근성이 좋아 북한이탈 청소년에게 익숙하며 선호도가 높고 음악 교과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악기이다. 따라서, 북한이탈 청소년 1인 1악기 피아노 수업이 남한에서의 학교생활 적응과 그들의 정서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검증함과 동시에 앞으로 북한이탈 청소년을 위한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인 1악기 피아노 수업 전, 사전조사와 북한이탈 청소년을 위한 피아노 수업교재를 제작하였고 10주차 수업을 진행하면서 수업 관찰 일지 작성, 마지막 수업 후 심층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사전조사 결과는 연구 대상자들의 답변을 통해 몇 가지 특징으로 나눠 분석하였고 수업 관찰 일지는 10주차 수업을 연구자의 관점에서 관찰하고 기록한 것을 분석하였다. 심층 인터뷰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는데 개방 코딩 분석을 통해 하위범주를 뽑고 그것을 묶어 3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 청소년 1인 1악기 피아노 음악교육 사례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 1악기 피아노 수업을 통해 음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상승하였다. 학생들은 피아노 수업을 통해 음악 관심 장르가 더 생기고 피아노 및 음악 관련 영상을 더 찾아보았으며 다른 악기에 관한 관심도 생겼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1인 1악기 피아노 수업은 음악 교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피아노 수업을 통하여 악보 읽는 연습을 하므로 음악 기초이론에 대한 이해가 생겨 교과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생기고 그로 인해 더욱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게 되었다. 또한, 전문적인 음악 지식에 대한 호기심이 생겼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1인 1악기 피아노 수업은 학교생활 적응에 도움을 주었다. 처음에는 악보를 보는 것과 양손으로 치는 과정을 어려워했으나 마지막 수업에서 연주회를 통해 자존감과 성취감, 자기 발견, 즐거움, 편안함, 우울감 감소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악기연주 경험이 주는 긍정적 효과라고 할 수 있으며 북한이탈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1인 1악기 피아노 수업이 도움이 되었음을 시사하는 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사례연구가 북한이탈 청소년을 더 이해하고 그들의 학교생활 및 남한 사회적응을 도우며, 더 나은 교육적 방향을 제시하는 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refer to those who escape from North Korea and defect to South Korea either alone or with their family members during adolescence, the period where one's identity has not been established, or who are born from either parent who is native to North Korea in a third country. As a part of the arts curriculum, the music class, which assigns one musical instrument to each individual student, has educational characteristics that could well deal with the unstable and sensitive traits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Among many musical instruments, the piano, in particular, is so easily available that it is deemed relatively familiar and preferable among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The piano is also considered useful for music classe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monstrate the positive effects of the music class for one musical instrument per person among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i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South Korea as well as their emotional traits, and also to provide their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Prior to the initiation of the piano class, a feasibility study and a textbook for the piano class targeted at the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 students were prepared. Then, the class observation log was filled out during the 10 weeks of lessons and post-class in-depth interviews were also undertake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method of a qualitative case study.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copies collected were analyzed by categorizing the answers of the respondents into multiple features. For the class observation log, the contents of the 10-week lessons observed and recorded from the viewpoint of the investigator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post-class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in the method of a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For this, the sub-categories were selected through open coding analysis, and a total of three main categorie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e case study on the piano class for the one musical instrument per person structure among the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piano class contributed to increasing the students' interest in and attention to music. Through the piano class, it was found that students were also interested in other music genres, viewed more videos related to piano and music, and paid more attention to other musical instruments. Second, the piano class encouraged students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the music curriculum. While taking the piano lessons for over 10 weeks, students practiced reading music and could thus cultivate an understanding of basic music theory. In turn, they came to develop self-confidence in following the school curriculum and demonstrated a more active learning attitude. In addition, they were found to have curiosity about technical music knowledge. Third, the piano class helped students adjust to school life. Initially, the students had difficulty in reading music and playing the piano using two hands, but as they had a concert in the final lesson, they were found to exhibit self-esteem, a sense of accomplishment, self-discovery, a feeling of pleasure and comfort, and reduced melancholy. This indicates the positive effects of the experience in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and also suggests that the piano class helps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adjust to school life. Therefore, this case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gain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promoting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furthering social life in South Korea, and providing a positive direction for their education.

      • 주제중심 통합교육을 위한 음악교과 지도방안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최혜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음악교과서를 살펴보면 제재곡 중심의 단원별 구성 체제를 띄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은 주어진 곡을 잘 부르고, 간단한 음악적 지식을 익히며, 제재곡과 관련 있는 음악을 감상하는 것만으로도 수업의 목표를 달성했다고 여기는 경우가 많다. 또한 교과서 안에서 다루고 있는 제재곡의 수도 많기 때문에 배정된 수업시수 내에서 이것을 소화해 내기란 현실적으로 힘든 일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과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현재 음악 교과에서는 통합교육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과 내에서의 통합방법, 타 교과와의 통합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들이 논의되고 있다. 그 가운데, 음악교과 안에서 중심 주제를 바탕으로 이와 관련 있는 제재곡과 내용들을 연계하여 다루는 형태는 음악 내용에 대한 학생의 혼란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학생의 이해도와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므로 주제를 중심으로 하는 통합교육에 관한 탐구와 지도방안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과서 안의 내용들을 주제 중심의 통합적 단원으로 재구성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효율적인 수업지도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의 긍정적 효과를 살펴보고, 2007년 개정 교육과정과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12개의 대단원을 선정하였다. 대단원을 선정할 때에는 학생의 음악적 이해력과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는지, 교과 내용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기에 적합한지를 고려하였다. 이를 통해 ‘바로크 음악’, ‘고전주의 음악’, ‘극음악’, ‘낭만주의 음악’, ‘가곡’, ‘민족주의 음악’, ‘현대 음악’, ‘여러 가지 악기’, ‘조선시대의 정간보’, ‘조선시대의 성악곡과 기악곡’, ‘민요’, ‘우리 음악의 새로운 시도’를 대단원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통합교육의 긍정적 효과를 바탕으로 포가티(R. Fogarty)의 통합유형모형 중 ‘연결형’을 사용하여 주제중심 통합교육에 대한 수업설계를 하였다. 셋째, 주제중심 통합교육을 위한 수업지도방안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해보았다. 수업지도방안을 개발할 때에는 12개의 대단원 중 ‘극음악’에 대한 지도안 설계가 이루어졌으며, 총 6차시에 걸쳐 수업이 이루어졌다. 수업을 할 때에는 먼저 교사의 간단한 설명을 통해 기본적인 음악적 지식을 이해한 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 스스로가 다양한 음악활동을 해 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동, 이해, 생활화가 고르게 통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총 6차시에 걸친 수업이 끝난 뒤에는 수업에 참여한 7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제중심 통합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여섯 문항 구성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작성하도록 하였다. 주제중심 통합교육의 결과, 많은 수의 학생들이 6차시 수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핵심 주제를 잘 알고 있으며, 여기에 속한 여러 가지 소단원을 서로 연관 지을 수 있다고 대답하였다. 또한 극음악 내용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가 가능했으며, 수업 중 행해지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제중심의 통합교육이 수업내용에 대한 학생의 이해와 흥미, 참여도, 내용간의 관련성을 높이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음악극 만들기와 같은 수업을 진행할 때에는 음악을 편집하는 방법 등에 관한 선행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 교실환경은 학생들이 자유로운 음악수업을 하는데 무리가 없도록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를 갖추고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습내용을 다소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소수의 학생들도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에 대한 꾸준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이 보완된다면 더욱 효과적인 주제 중심의 통합적 교육이 될 것이라 여겨진다. 주제 중심의 통합적 교육은 대단원에 포함된 여러 개의 소단원들이 서로 연계성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으므로 학생의 음악적 이해도를 높일 수 있으며, 학생들 스스로가 생각의 폭을 탄력적으로 확장시켜 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단원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음악 활동이 요구되는 만큼 학생들이 관심과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임하게 되는 효과도 지닐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주제중심 통합교육 방안에 대한 현직 음악 교사들의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바라며, 이를 통해 음악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음악교과의 본질이 회복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e music textbooks used in the current education field are structured by chapters based on the songs in the text. In most cases, however, this structure leads to cases there people believe that just by singing well the selected songs, gaining basic knowledge about music, and listening to related songs, the goal of the music class is accomplished. Also, because the songs in the text in the textbooks are numerous, it is unrealistic to cover all the material in the limited hours of classes. Therefore, this problem raises the need to restructure the curriculum. In the recent music education field there have been attempts for integrating music education, and many methods such as a integrating within the music curriculum, and a integrating with other fields of study have been raised. Amongst these methods, the one that builds theme-based chapters containing related the songs in the text effectively minimize the students' confusion, and raises the quality of the class the and the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Thus, research on teaching methods for theme-based integrating music education is much in need. Responding to this need, this research took its aim to reconstruct the material in the music textbooks by theme-based chapters, and provide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at puts the restructured material into practice. The research took the following steps. First, the researcher examined the positive effects of integrating music education, considering 2007 education reform, and seventh grade music textbooks, the researcher selected twelve major topics. When selecting the topic the researcher considered whether the topics are effective in expanding the students' musical understanding and depth of thought, and whether they are apt in leading the students to form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 Through this process the researcher selected the twelve major topics as follows: ‘Music of the Baroque’, ‘Music of the Classical’, ‘Theater Music’, ‘Music of the Romantic’, ‘Lied’, ‘Music of Nationalism’, ‘Music of Modern’, ‘Various Instruments’, ‘Chung-gan-bo during Joseon Period’, ‘Vocal and Instrumental Music during Joseon Period’, ‘Folk Songs’, and ‘Experiments in our Traditional Korean Music’. Second, considering the positive effects of integrating education, and based on 'connected' of Fogarty's collective model made class designs for the theme-based integrating music education. Third, the researcher developed teaching methods for theme-based integrating music education, and by implementing them in the real education field tested their effectiveness. When designed teaching plans for 'Theater Music', and classes were held in total of six times. In the classes, by having the students first learn the basic material with some explanation from teachers, and then by having them engage in various musical activities, the classes evenly integrated and enhanced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 and adaptation of the material into their daily lives. Fourth, after the six classes, the 75 students in the class were asked to fill out a six-question survey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theme-based integrating music education. In the survey, many students said that after the six classes they became knowledge about the topic, and that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how the small topics under the major topic relate to each other. Many also said that after the classes they were able to form a general understanding about theater music, and that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lass activities. This kind of result tells us that theme-based integrating music education raises the students' understanding, intersest, participation in class, and the wholesomeness of the material. However, one should note that when classes involve activities such as musicals, teachings such as how to edit music should precede the class, and the class environment in general should have many multimedia equipments that allow flexibility in class activities. Also, for the students who find the material more difficult than others, there should be persistent research on developing innovative methods that will encourage these students to become proactive learners. If these points are covered,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theme-based integrating music education will be more effective. Integrating music education is effective in the sense that because the sub-topics under the major topics are related, it enhances the student's musical understanding and encourages them to elastically expand their depth of thought. Also, because various creative musical activities are necessary to learn the 12 topics, integrating music education leads students to build interest on the material and actively engage in class. Thus, in light of these positive effects of integrating music education,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ere be further in-depth research in the area, and that the expanded research will raise the effectiveness of music classes and restore the essence of music curriculum.

      • 일반고와 특성화(예술)고를 졸업한 음악대학생들의 학업, 진로,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윤지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regular high school and specialized (art) high school music education on the music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and future care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of learning, future career and self-efficacy between regular high school graduates and special (art) high school graduates during their music college life.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music college students' learning during their high school day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ampled 280 students enrolled at 3 music colleges in Seoul and thereb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them in order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of learning, future career and self-efficacy between the two groups.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for cross analysis depending on subjects' high school types. The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arting time for learning about musics was much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learning by subject were also much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Such findings may well suggest that the art high school graduates start to learn their major earlier than their counterparts, and therefore, that the former group has a higher self-efficacy. Furthermore, such findings may well suggest that the two group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the starting time for learning about their major, their high school academic environment and learning curriculum.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uture careers of the subject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ose from the arts high schools were more willing to choose the jobs related with their majors, which may well suggest that like the results of the preceding studies, the art high school graduates who had started their major earlier are more familiar to their majors, more confident in their majors and better prepared for their future career. Thirdly, the difference of self-efficacy would lead to the result that arts high school graduates showed better learning performances than their regular school counterparts, which may well suggest that the timing of starting the majors and the adaptability to the college curriculum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ll in all, this study confirmed the differences of self-efficacy for learning and future career between regular high school graduates and arts school ones, and thereupon, suggested the ways to help enhance regular high school graduates' academic performances at college.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고등학교와 특성화(예술)고등학교를 졸업한 음악 대학교 학생들이 고등학교에서 받았던 전공 관련 교육과 그 교육이 음악 대학에서의 자기효능감 및 학업, 진로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반고와 예술고를 졸업한 음악 대학생의 학업, 진로 및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고 고등학교에서 받은 전공 관련 교육에 대해 설문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3개의 음악 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280명이며 학업, 진로,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해 결과를 도출하였고, 졸업한 고등학교 유형에 따라 교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고와 일반고 학생들의 음악을 시작한 시점은 차이가 났고 과목별 학업 부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예술고를 졸업한 음대생들의 전공 시작 시점이 더 빠르며 이에 따라 이들의 전공 관련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 고와 예술고의 음악 전공을 시작한 시점과 학교 배경 변인 또는 수업 커리큘럼이 매우 다르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예술고와 일반고 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에 대해 알아본 결과 예술고 학생들이 일반고 학생들보다 전공과 관련된 직업을 더 선택하려 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선행 연구와 같은 결과로 전공을 일찍 시작한 예술고 학생들은 전공에 대해 더 익숙하고 전공 음악에 대한 자신감이나 준비도가 높아 음악과 관련 있는 직업을 더 선택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셋째,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예술고가 일반고에 비해 높은 결과를 나타 내었고 이는 전공을 시작한 시기와 교과목 적응도 차이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고와 예술고를 졸업한 음악 대학 학생들의 학업과 진로,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음악을 전공하는 일반고 학생들의 교육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