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술작품 속 수학 원리를 활용한 미술과 수학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고등학교 미술교과서를 중심으로

        조현아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과서 분석을 통해 수학 원리와 접목할 수 있는 작품을 선정하여 기본요소를 파악하고, 융합인재교육(STEAM)의 학습준거(상황제시-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와 프로세스폴리오를 적용하여 학습자의 부담은 줄이면서 학습의 이해를 돕는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융합교육 프로그램으로 총 4개로 구성8, 브로드웨이 부기우기와 도형의 위치관계, 밀로의 비너스, 비트루비우스의 인체비례와 황금분할, 에셔의 파충류와 테셀레이션, 멜랑콜리아Ⅰ, 씨름도와 마방진으로 구성된다. 각 프로그램은 학습목표-작품설명-과목별요소-단계별요소-융합수업 제안-프로세스폴리오 순으로 제안하였다. 학습목표를 제시하고, 미술작품에 대한 작가 설명 또는 미술기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과목별 요소에서는 미술적, 수학적 요소를 설명하고 교과서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였다. 단계별 요소에서는 주제에 대한 상황제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 순서로 구성하고, 융합수업 제안을 통해 다른 수업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스폴리오를 참고하여 프로그램의 전반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연구는 고등학교 미술교과서를 분석하여 미술작품 속 수학 원리를 찾아 보고고, 학생 스스로 미술과 수학의 연관성을 경험하는데 의의가 있으므로 그 내용이 심화과정에 중점을 두지 않고, 학생들이 흥미와 관심을 갖고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데 의미를 두었다. 학생들이 미술작품을 통해 미술과 수학의 연관성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미술과 수학적 요소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더 나아가 제작을 통해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술교과서를 바탕으로 미술작품 속 수학원리를 통해 미술과 수학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프로세스폴리오의 형식을 따르고 있으나 평가 부분을 구체화하지 못하였다. 평가를 포함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하고, 미술과 수학 뿐만 아니라 타교과와의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다양화되길 바란다. 교사의 역할은 융합수업에서 중요하므로 꾸준한 관심을 갖고, 창의․융합 역량을 높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at helps learners understand learning while reducing the burden on learners. First, through analyzing art textbooks, the basic elements are identified by selecting works that can be combined with mathematical principles. Then the application of STEAM's learning criterion (Presentation of Situations - Creative Design - Emotional Touch) and processfolio is applied. This convergence educational program consists of a total of 4 themes-Positional Relationship of Figures with Composition Ⅷ and Broadway boogie woogie, Golden Ratio with Vitruvian Man and Venus de Milo, Tessellation with M.C Escher reptiles, Magic square with Melencolia I and Ssireum(Korean Wrestling) Each program consists of the following stage: learning objectives, descriptions of the artwork, subject specific elements, learning criterion of STEAM, and Processfolio. First, learning objectives were stated, followed by brief explanation on the artist and descriptions or interpretations of the work to learn art techniques used in the art work. In the stage of the elements of each subject, artistic and mathematical elements were clarified and organiz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STEAM learning standards framework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the presentation of situation,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touch. Lastly, processfolio was referred to help evaluate the overall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 will get to know artists and art techniques through various artworks. By incorporating mathematical principles with art, students will gain new interest in class. Second,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can provide learners with the opportunity to know about the elements of art and mathematics in works of art. They can also have chance to think about a theme from an artistic and mathematical perspective. Third, while writing the processfolio, learners can improve integrative thinking and creativity by actively designing the contents of the class on the theme. They can also share their thoughts by exchanging opinions with friends. To activate convergence educational program in the field, the role of the teacher is essential. Most of all,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awareness of convergence education. As knowing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prepare convergence lessons regarding the theme, the cooperation amongst teachers across subjectsis required. This study proposed art and mathematics convergence program applying mathematics principles to work of art in the art text book. Although it is following the format of the process-folio, the evaluation method was not specified. More follow-up research including evaluation should be carried out, diversifying convergence program with other subjects as well as art and mathematic. Since the role of teachers is crucial in convergence classes, teachers should make active effort to enhance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e with their steady interest.

      •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미술교과방법론에 관한 연구

        김수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s aimed to survey the development of the Smart-Education-System, which could be possible due to the development of IT, and to work out how properly the Smart-devices can be used as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art education. In teaching-learning situation, the variety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can give students the possibilities to do the more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For an approach to these possibilities, the use of the Smart-devices in Art education is positively considered. In other words, it is very helpful to apply the Smart-devices to teaching-learning situation for students' creative activities in art education. In the main part of this study, the types and frames of the teaching-learning with the smart-devices were compared to survey the concept and methode of the teaching-learning with the smart-devices. In addition, the present political condition and the teacher's practical use of smart-devic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for the encouragement to apply smart-devices in the teaching-learning situation. The third chapter was focussed on the activating and promoting methode of the teaching-learning with the smart-devices in art education. After taking a look at how useful the smart-devices are in art education, the contents of smart-devices and the function of the Application in the smart-devices for the art education were analyzed. Moreover, the weak-point of the smart-devices referred to as Internet and online game addiction and its solution were also considered. The possibilities to teach and learn with smart-devices in practical situation were given to the fourth chapter.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with smart-devices can be based on the syllabus designed for making Application programs. The learning purpose presented in the syllabus is to encourage students to make an animation, which leads to increase the interest of the students. Although we could meet many limitations of disseminating as spreading the devices and making Applications to aggressively apply the smart-devices to the classes, we can make better teaching-learning situation in which students can learn not theoretically but more creatively if we reduce the limitations.

      • 현대사회에 있어 소통을 통한 미술관의 교육적 기능과 역할에 관한 연구

        윤인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그간 연구되어온 미술관의 교육 기능에서 출발하여 미술관의 소통을 통한 교육적 기능와 역할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우선적으로, 미술관이 사회전반에 걸쳐 논의되고 있는 역할과 사회적 가치에 대해 재고하고, 현대에 들어와 대두되고 있는 미술관과의 ‘소통’이라는 맥락을 통해 제기 될 수 있는 현대 미술관의 기대욕구를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오늘날 중점적으로 고찰 되는 미술관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연구하였고, 현재 수행하는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비롯한 교육 활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자는 소통을 통한 미술관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게 되었다. 첫째, 미술관의 매개적 특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현대적 미술관의 개념에서 더 나아가 미래지향적 미술관으로 발돋움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미술관은 방문객과 소통할 수 있는 매개자이며, 다양한 서비스를 강화하면 홍보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레지던스 프로그램과 교육활동을 통해 국제 교류를 활성화하는 새로운 미술관의 교육 효과를 얻는 것이다. 둘째, 미술관 조직에 교육 전문 부서를 편제하여 운영해야 한다. 현재 관람객 유치가 가장 중요하며, 만약 교육부서가 전문화된다면 마케팅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그리고 미술관에 전문적 지식을 가진 ‘미술관 에듀케이터’를 도입하여 미술관 교육 업무를 맡도록 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의 작가, 관련 전공자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시급하다. 앞으로 그들이 국제적인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세미나, 강연 등 교육 지원과 국제적인 교류가 활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미술관의 본질인 전시와 교육프로그램의 상호작용을 통해 미술관의 교육적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술관의 교육적 기능과 역할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바탕으로 소통과 교육적 역할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이유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미술관이 되기 위한 것이다. 국내 미술관에서 교육은 존재하지만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으며 참여가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그 원인으로 소극적인 교육 활동과 교육 전문가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교육프로그램 구성이 부족하고, 지역사회와 미술관에 맞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리고 미술관의 교육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지향적인 미술관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후속 연구가 있기를 바란다. 이를 통해 장기적인 측면에서 우리 미술관 교육의 발전가능성을 기대해본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function and role of art museum through 'communication' in society today. First of all, we have been reconsidered for the roles and social value of art museum through by general society, and could been deducted the desirable expectation by communicate with art museum in contemporary. Also, we considered the educational value, and investigated about the educational activity by particular program in society today. As a result, we can suggest the way of education of art museum by communication. Firstly, we have to make a opportunity for better education of art museum beyond the concept of general art museum by acceptance of perlocutionary characterization. The art museum is a mediator as a communication method with visitor, and we can have a promote effect by higher and various service for visitor. Also, we can have an educational effect in newly art museum by residence program and educational behaviors. Secondly, we have to manage the department of education specialty in art museum network. In now,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audience invitation, and if it is confirmed to specialize, i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for marketing to have a audience. Also, we need to have a specialized educator in art museum. Thirdly, the activation of retraining program for artist in local society and majored person are urgently needed. It must be activated to have a international specialist by seminar, lecture, educational supporting and international exchange. Lastly, we can achieve the educational value in essence of art museum by exhibition and interaction of educational progra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function and roles in art museum. Also, we can found the most important things of communication and roles of education by the result in this study. The important things mean active and enthusiastic. The education of art museum is existed, but it is not famous to a populace and still has shortage. In this sense, we realized that don't have any specialist for educational behavior. Also, the system of educational program is not good, we always need to have a developmental program for local area and art museum, have been research for activation. In this study, we will have a continuous research for developmental program for future oriented museum. We can have an expectation of developmental possibility for our art education in the long term.

      • 동시적(同時的) 사고를 통한 공간재구성의 조형성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송지윤 조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Sculptural Formation of Spatial Reorganization through Thought Based on Simultaneous Sight Abstract To see something requires visual judgement of the shapes of objects, their colors and the environment. To see and paint something in a painting is a representation of images through the perspectives of objects. Therefore, ‘to see’ means an act of remembering something and is essential in visual art. This study speculates on 'see' as simultaneity in experience and the environment rather than simultaneity where the chronological or visual meaning of 'see' is emphasized. Simultaneous sight in art is interpreted in two different ways: creation of simultaneous thinking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for which objects are reorganized through visual composition. The expression of new configurations and the world created by internal conflicts in the mental world due to the social environment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Simultaneity and simultaneous sight are common in that they are characterized by sociability as thought according to striking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speed. However, attitudes to their exploration and approaches used are different. Simultaneous thinking which expresses simultaneous perspectives of objects or scenes through visual composition in Cubism and Orphism is reinterpreted in Orphism which express the invisible configuration of colors and musical rhythm. Such characteristics are shown through a combination of new configurations and materials in contemporary art. Modern society requires the ability to have simultaneous thinking with much knowledge in a rapidly changing situation. When such thinking is expressed in the special space of the plane of painting, it is thinking in simultaneous sight in that it is accompanied by an afterimage of memory and imagination. To see something in the perspective of simultaneous sight means to remember something, and when we see the same object, we can interpret it differently. In that, it can be remembered differently according to a past environment or experience. To paint something on the plane of painting is an act done to express our experiences or memories, and after images of memories in our brain are expressed differently. 국문초록 무엇을 본다는 것은 대상의 형태와 색과 환경에 대한 시각판단이다. 회화에서 무엇을 보고 그린다는 것은 대상을 시지각하여 이미지의 표출이다. 따라서 ‘본다’라는 말은 무언가를 기억하는 행위이며 이는 시각예술에서는 필수요소이다. 본 연구는 미술의 기본 요소인 ‘보다(視)’라는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해석되고 있던 시간 또는 시각적 의미가 강조된 동시성(同時性)보다 경험과 환경적 의미로서의 동시성(同視性)으로 접근하는데 있다. 미술에서의 동시성(同時性)은 크게 두 가지로 다르게 해석 하고 있다. 하나는 현대사회의 기술발달에 의한 동시적(同時的) 사고의 생성으로 시각구성을 통해 대상을 재구성하는데 있고 또 다른 동시적(同視的) 사고는 사회 환경과 기술발달에 의한 정신세계 내적갈등으로 생겨난 새로운 형상과 세계를 나타나는데 있다. 이는 동시성(同時性)과 동시성(同視性)은 현대사회의 특징과 더불어 눈부신 기술발전과 속도에 따른 사고로서 사회성을 띤다는 점이 공통점으로 있지만 탐구하는 자세와 접근방식은 다르다고 보고 있다. 입체주의 시각구성과 오르피즘의 색체구성을 통해 대상이나 풍경을 동시(同時)에 시지각하여 표현방식을 시작으로 동시적(同視的)사고는 눈에 보이지 않은 색의 형상과 음악적 율동을 표현한 오르피즘에서 재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동시대미술에서는 새로운 형상과 물질들을 혼합, 혼성을 통하여 나타나는 특징이 보였다. 현대사회는 여러 분야에서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 접어들면서 많은 지식을 통한 동시적(同時的)사고를 지니는 능력을 요하고 있다. 이런 사고를 통해 회화의 평면이이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표현되었을 때는 기억의 잔상과 상상력을 수반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동시적(同視的) 사고로 접근 하고 있다. 이는 동시적(同視的) 시각에서 무엇을 본다는 것은 무엇을 기억한다는 말이고 같은 대상을 봤을 때 저마다 해석하는 입장이 다르다. 즉, 지내온 환경이나 경험에 따라 다르게 기억되고, 따라서 회화가 가지고 있는 평면에서 무언가를 그린다는 말은 개인이 갖고 있던 경험이나 기억을 표현하는 행위이며 이는 뇌에 남아있는 기억의 잔상은 각기 다르게 표현되어 진다.

      •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공용망 최적화에 대한 연구

        권혁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Renewable energy generation capacity in Korea is expected to reach about 63.8 GW by 2030 based on calculations using values from a power plan survey (Korea's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project plan implemented in September 2017) and the “3020” implementation plan prescribed in the 8th Basic Plan for Long-Term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that was announced in 2017. In order for the electrical grid to accommodate this capacity, an appropriate power system reinforcement plan is critical. In this paper, a variety of scenarios are constructed involving renewable energy capacity, interconnection measures and reinforcement measures. Based on these scenarios, the impacts of large-scale renewable energy connections on the future power systems are analyzed and a reinforcement plan is proposed based on the system assessment results. First, the scenario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renewable energy interconnection capacity and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from which a database is established. A dynamic model based on inverter-based resources is applied to the scenarios here. The transmission lines, high-voltage direct current and flexible alternating current transmission systems are reinforced to increase the stability and capabilities of the power systems considered here. Reinforcement measures are derived for each stage of renewable penetration based on static and dynamic analysis processes. As a result, when large-scale renewable energy has penetrated some areas in the future in Korean power systems, the most stable systems could be optimally configured by applying interconnection measure two and reinforcement measure two as described here.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ology, in this paper, comprehensive tests are performed based on predicted large-scale power systems in 2026 and 2031. Database creation and simulation are performed semi-automatically here using Power System Simulator for Engineering (PSS/E) and Python.

      • 현대인의 자기소외에 관한 회화적 패러독스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박다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Park Da Hye Paradoxical pictorialization on the self-alienation of modern society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man's self alienating characteristics as a personal process of research into pictorial reproductions of modern society. Contemporary French Philosopher, Henri Lefebvre, is known to have said "The greatest aspect of everydayness is the stubborn persistence that is like a black hole sucking up everything, indifferent to all." We live in a society where, even if some traumatic events were to occur sometime in our lives, we all eventually return back to our daily lives at some point, in repetition again. Therefore, modern man, as a member of society, before one is able to establish their own subjective criterion for one self, it's easy to feel at a loss and a burden for the endless competition of modern society. The first half of this paper is the theoretical approach, to prove the concept of everydayness and self alienating occurrences in modern times. In this chapter of modern life and the resulting external everyday self alienations, how these feature the past and present in everyday life. (based on personal works and pictorial representations) Mentioned in this paper, research on everyday life and self-alienation, in the 1920s and 1930s, this crisis of self alienation was already rampant amongst the French Intellectuals of this period, while Lefebvre and the young scholars gradually completed and the theory. Modern society's self-alienation and anxiety, desire and alienation of everyday occurrences related research through a variety of features that were mentioned in the latter part of this paper. Also surrealist art and techniques for overcoming the alienation in daily lives and its approach and influences of Pop Art, Installation Art, and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that were used will also be discussed and examined. Through the research of modern man's self-alienating tendencies and emotions, Various diversified paintings, and pictorial techniques were discussed and examined, and led to self-discoveries on how these elements make up a formative harmony. The feelings of human solitude, isolation, and loss stem from the ordinary and, prior to that, the fact that reproduce human surrealism has been used quite frequently in combination of objects and things in my day-to-day works, and serves as important material. By personal experience of the inner consciousness of black and white monotone reproduction is most closely related to our day-to-day contact with the outside while hiding their own role and at the same time revealing the emotions to the audience to face themselves and their ultimate goals. Emptiness, feelings of Loss, frustration, and anxiety are all instilled within all of us, and it is expressed in different ways for each individuals in their daily lives. My philosophical interest and inquiries are represented as paradoxical pictorial representations of self alienation and combinations of the ordinary, mundane, everyday objects and realism of facial expressions that correspond to the self alienating and isolating human nature is symbolized. Black and white has long been a symbol of the past and darkness. I have instead focused on the alternative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these pictorial techniques to bring forth messages of positive light and inspirations. Therefore, i strongly hope that this will be the wakeup call to face our realities of self alienating nature in this modern society and really examine our true nature. 초록 현대 사회의 자기소외에 관한 회화적 패러독스 본 논문은 본인의 회화적 재현에 대한 과정을 연구하고자 현대인의 자기소외적 일상의 특징들을 고찰한다. 현대 프랑스의 철학자 앙리 르페브르는 일상성의 가장 위대한 측면을 그 완강한 지속성에 있다고 말하였으며, 일상성에 대해서‘모든 것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여 무심한 듯 힘없는 듯 완만하게 제 갈 길을 가는 그 완강한 지속성’이라고 묘사하였다. 현대사회의 일상은 변함없이 지루하고 그 어느 것도 새로울 것이 없는 지금에 도달했다. 우리는 이 사회 속에서 어떠한 충격적인 사건이 일어나더라도 결국엔 다시 우리의 일상 속으로 돌아오는 것을 반복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현대인은 사회 구성원중 하나로서 주관적인 자신의 기준을 세우기도 전에 거대한 사회 시스템과 목적을 상실한 경쟁 구도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세워야 하는 커다란 부담감(자기소외와 같은) 을 쉽게 느끼기 마련이다. 본 논문의 전반부는 일상성과 자기소외에 관한「현대세계의 일상성」이라는 앙리 르페브르(Henri Lefebvre,1901~1991)의 저서 내용을 바탕으로 한 이론적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장에서는 현대인의 자기소외적인 일상과 그에 따른 일상성에 관한 특징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일상 속에서 과거와 현재의(본인작품 중심으로) 패러독스적인 현대회화가 탄생했음을 증명하려 한다. 본 논문에서 언급되는 일상생활과 소외에 대한 연구는 이미 1920년대와 1930년대 프랑스 지성계에 만연되었던 위기를 극복 하려는 과정에서 르페브르 등 소장학자들에 의해 그 이론이 점차 완성되어 갔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 우리 사회속의 현대인의 자기소외와 불안, 욕망 등 일상과 관련된 여러 가지 특징들을 소외를 통해 연구하였으며, 본 논문의 후반부에서 언급되는 초현실주의 미술에서 이와 같은 일상 속에서의 소외에 대한 극복으로써 현대미술적인 접근을 시도했던 초현실주의 대표적인 작가의 삶과 예술성을 연구한다. 그리고 그러한 영향으로 인해 팝아트에서도 역설과 도발을 소재로 한 설치미술이나 회화작업들이 등장한 것 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인의 자기소외적 일상의 이론적 연구와 자기소외적 감정을 통해 나타나는 회화적 패러독스(Paradox, 역설, 모순)을 다양한 관점으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결과로써 본인의 회화작업에서 자기소외나 상실감과 같은 감정에 대한 재현이 어떠한 형식과 내용으로 조형적 요소를 이루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인 작품에서 나타나는 현대사회 속 인간의 고독과 고립, 상실감은 바로 일상에서 비롯된 것이며, 그러한 사실을 재현하기에 앞서 초현실주의에 자주 사용되었던 인간과 일상적 사물오브제의 결합이 본인 작품의 중요한 소재로 작용한다. 개인적 경험에 의한 내면의식의 모노톤 재현은 우리의 일상에 가장 밀접하게 닿아있으면서도 스스로 외면하고 감추어왔던 감정을 드러내는 역할과 동시에 관객들에게 그것들과 스스로를 직면하게 하는 데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인간은 허무함과 상실감 그리고 좌절과 불안을 내면에 모두가 가지고 있다. 그것은 개인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되어 일상 속에 나타난다. 본인은 이런 감정들의 원인에 대한 본인의 철학적 관심과 사유를 회화적 패러독스로서 자기소외, 그리고 인간과 일상사물의 역설적 결합으로서 재현한다. 그리고 사실주의적인 인간의 얼굴표정을 통해 인간본성에 해당하는 소외와 고립, 불안과 위기의식을 나타내며 현대인의 자기소외를 상징한다. 흑백은 오랫동안 어두움과 과거를 상징하는 소재로 사용되어왔다. 하지만 본인은 작품속의 흑백에서 나타난 회화적 특성과 그 대안으로서의 재료적 활용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본인의 작품에서 관객에게 어두운 현실을 직시하고 상처를 딛고 일어나 새로운 미래를 도약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가 현대인의 일상과 자기소외적 감정에 대한 재인식과 소통에 대해서, 그리고 각 개인의 정체성을 다시금 생각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 초크아트의 공익적 특성을 활용한 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

        전미나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디지털화된 현대사회의 전반적인 분위기 속에서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아날로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비교적 역사가 짧은 초크아트는 1970년대에 시작되었지만, 시대적 분위기와 상반되게 아날로그 감성과 빈티지한 매력으로 점점 그 범위를 확대해왔다. 현재까지는 주로 상업적인 분야에서 전개되고 있으나 한국보다 비교적 그 역사가 긴 유럽, 미국, 일본 등에서는 상업 공간에서 사용되는 것 외에도 하나의 대중문화로 발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공익적인 부분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교육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한국에서는 초크아트가 상업적인 분야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을 뿐,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지 않으며, 초크아트에 대한 선행연구조차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생소한 미술 분야인 초크아트를 세계의 여러 사례를 통하여 현대적인 의미와 특성을 살펴보고, 교육적인 가치와 의의에 대해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초크아트의 개념과 역사, 보편적인 기능을 살펴보고, 보편적인 기능 이외에 세계의 여러 나라에서 공익적으로 활용된 사례를 통해 초크아트의 공익성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교육 분야에서 초크아트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일본의 사례와 그렇지 못한 한국 교육의 현실과 한계점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그리고 초크아트의 공익적 특성을 통한 교육적 가치와 의의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초크아트의 칠판과 분필에 대한 재해석들 통하여, 학생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써 다양하게 활용함으로써 점점 개인주의적 성향을 갖는 청소년들이 타인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줄 수 있다. 둘째, 초크아트의 촉각을 이용한 표현방법은 심리적 치유를 필요로 하는 현대인들에게 힐링아트의 하나로써 활용 될 수 있다. 셋째, 초크아트의 칠판과 분필, 손 글씨, 수작업이라는 아날로그 감성은 디지털 시대의 휴식처가 될 수 있는 따뜻하고 편안한 감성이며, 특히나 급격히 변화하는 시대를 살고 있는 청소년들에게는 더욱 필요한 감성이므로 교육적으로 활용될 가치가 있다. 넷째, 초크아트 재료의 용이성과 쉽게 지워진다는 소멸성은 대중이 참여할 수 있는 공공미술, 더 나아가 이벤트나 프로젝트로써 활용될 충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공익적 특성을 가지며, 그러한 면에서 초크아트는 학교를 벗어나 지역민과 소통하며 교감하는 도구로써 교육적인 활용가치가 있다. 다섯째, 초크아트의 공익적 특성은 자유학기제의 예술 활동영역에서 다양한 미술의 체험과 미술관련 직업의 탐색을 위해 활용될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초크아트에 대한 관련서적과 기존의 선행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새롭게 시도한 것으로, 현재까지의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을 뿐 실질적인 초크아트의 학습효과에 대해서는 밝혀내지 못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초크아트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고 현재의 한계점을 벗어나서 상업적인 분야에서의 활용은 물론이고 교육적 측면에서의 새로운 시도와 활용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또한 초크아트가 현대미술의 하나의 장르로서 의미를 지니며, 앞으로 한국에서 다양한 발전을 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In the overall trend of digitized modern society, interest in analog has been increasing worldwide. Chalk art, which has a relatively short history; began in the 1970s. But it has been gradually expanding its range by appealing its analogue sensibility, contrary to the time period. It has been developed in the commercial fields of Europ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here the history of Chalk art is relatively longer than Korea. It has been developed into a branch of the popular culture in addition to being used in commercial spaces. Especially in Japan, it is actively being used in education systems. However, chalk art has only been recognized as a type of the commercial fields in Korea and it hasn’t been utilized in education or other various fields. Neither any precedent researches on chalk art has been made. Correspondingly, this study focused on Korea’s unfamiliar art field, chalk art’s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through various cases worldwide, and examined its educational value and relevance. For this purpose, chapter 2 explored the concept, history, and universal functions of chalk art. In addition, it presents the public interest of chalk art through examples in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Chapter 3 proposes the educational values and significance of chalk art through viewing its characteristics in public interest and comparing the example of adaptation of chalk art in the Japanese educational system and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where it’s not being utilized. First, chalk art could potentially be used as a type of communication tools to create opportunities for younger generations, who are increasingly becoming individualistic, to communicate with others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he chalk and the board. Second, the expression method using the tactile of chalk can be utilized as one of the therapies for the people who needs psychological healing. Third, the analogue characteristics of chalk art, such as the chalk, board, handwriting and the concept of hand-work could provide warmth and comfort that could be a place to relax in the busy modern digitized world. Especially, since the analogue sensibility is needed for the younger generation, who are living in a era of rapid changes, it has high potential to be used for educational purposes. Fourth, the easy accessibility of chalk art materials and the ease in which they can be erased, have a public interest that they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public art that the public can participate. Furthermore, it could be used as an inclusive event or a project. In this respect, it has educational value as a tool to communicate with the locals outside the educational institution. Fifth, public interest characteristics of chalk art are worthy to be utilized in various elective art activities and art related career search. This study is a new attempt in the field of chalk art without any related articles or precedent researches. It is based on various examples, but it does not confirm or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chalk art in education. However,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it creates new perspective toward the chalk art and go beyond the current limitation and widely utilized in future education system, as well as in the commercial field. Also, I hope that chalk art take a bigger part as a genre of modern contemporary art, and will help us to make various developments in the future of Korea.

      • 중·고등학교 미술감상 교육에서 하브루타(Havruta)학습법의 적용과 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

        정하림 조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 교육 각계에서는 변화하는 시대에 맞는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교육 현장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극복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수시로 바뀌는 입시제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등장, 결과가 아닌 과정 중심의 평가 확대 등으로 현시대의 교육환경은 수업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창의력, 소통능력, 협력, 문제해결 능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시대의 교육은 기계가 대신할 수 없는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한다. 미술 교육 역시 변화하고 있다. 우리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수많은 이미지를 접할 수 있다. 시각 현상을 올바르게 읽어내는 능력이 필수적이며 이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2015 교육과정에서도 교육목표를 개정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학교현장에서 교사들에게 이를 위한 수업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 속에서 미술교육이 표현중심 실기수업에서 체계적인 감상 수업으로 강조점이 변화되고 있음을 발견하고 미술감상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적 의의를 살펴본 뒤 하브루타(Havruta)학습법을 적용하여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업을 제안하였다.하브루타(Havruta)학습법이 현시대에 효율적인 학습법임을 밝히고,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하브루타(Havruta)학습법의 연계성을 토대로 하브루타(Havruta)학습법을 적용한 미술감상 수업과정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감상과 하브루타(Havruta)학습법의 관련 단행본과 연구논문, 교육관련 연구 결과물을 활용하였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과 미술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문헌 연구로 진행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브루타(Havruta)학습법을 적용한 미술감상 수업은 학습자가 미술 작품에 대해 깊이 있게 사유하고 주체적으로 감상을 표현하며, 미적 안목과 비평능력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학습법이다. 혼자서 감상할 때는 발견할 수 없는 새로운 미적요소 발견이 가능 하며 능동적인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둘째, 하브루타(Havruta)학습법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비전을 이루는데 도움이 되고 핵심역량을 성취하는데 긍정적인 학습법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비전은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다. 하브루타(Havruta)학습법은 창의·융합에 효과적인 학습법임을 본 연구 2장 하브루타(Havruta)학습법의 교육적 효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 중심의 자발적인 학습법인 하브루타(Havruta)학습법을 통해 “학습 경험의 질 개선을 통한 행복한 학습의 구현”이라는 비전을 달성하는 데에도 긍정적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하브루타(Havruta)학습법은 교육과정의 성격과 유사점이 있으며 미술과 교과역량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본 연구의 3장에서 2015 미술과 교육과정과 하브루타(Havruta)학습법의 성격에 유사성을 밝히고 미술과 교과역량을 기르는데 도움이 됨을 확인하였다. 넷째, 미술과 내용체계에 맞춘 하브루타(Havruta)학습법을 적용한 미술감상 수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문중심, 비교중심, 논쟁중심의 3차시에 걸친 수업과정안을 제시함으로 하브루타(Havruta)학습법을 적용하여 미술감상 수업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하브루타(Havruta)학습법의 교육적 효과는 크지만 모든 교과, 모든 수업에 하브루타(Havruta)활동 만을 주장하면 안 될 것이다. 거꾸로 학습, 플립 러닝, 프로젝트 학습 등 교과의 특성과 수업 주제에 적합한 여러 가지 수업 방식이 활용되어야 한다. 빠르게 진도를 나가야 한다거나 평가만을 위한 단순 암기학습에는 적합하지 않다. 견고한 스키마 형성과 심도 있는 학습 이해를 위해 시간이 필요한 학습법이다. 하브루타(Havruta)학습법은 지식의 이해와 학습 내적 동기, 창의성 신장, 인성 함양 등의 역량을 길러주는 학습법으로 평생교육의 장기적 안목으로 대해야 한다. 본 연구 자료가 미술감상 교육의 중요성을 깨닫고 교육과정의 목표를 구현 할 수 있는 자료로 도움을 줄 것을 기대하며 하브루타(Havruta)학습법의 미술과 및 타 교과별 적용 방안이 개발되고 학생들이 즐겁게 학습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일어 날 것을 기대한다. Current education circles emphasize education that suits the changing times. We are trying to overcome many problems in the educational field. With the frequent changes in the admission system, the emergenc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expansion of process-oriented evaluations, not result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present era is demanding changes in classes. Many experts stress the need for creativity, communication, cooper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Education in this era should be changed to foster thinking power that machines cannot replace. Art education is also changing. We have access to numerous images through various media. The ability to read visual phenomena correctly is essential 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is emphasized. In the 2015 curriculum, education targets are also revised and presented, and teachers are required to teach at school sites.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he emphasis of art education was changing from expression-oriented practical classes to systematic appreciation classes, and suggested classes to satisfy this desire by apply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after examining the necessity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Revealing that the Havruta learning method is an efficient method of learning in the present era, the art appreciation course proposal apply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was proposed based on the link between the 2015 revised art course and the Havruta learning method. This study utilized the works of art appreciation, research papers and educational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Havruta learning method. And it was conducted as a general discuss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a literature study based on art and curriculum.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art appreciation class apply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i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in which learners reason deeply about art works, express appreciation on their own, and improve aesthetic eye and critical ability. It is possible to discover new aesthetic elements that cannot be found when appreciating alone, and active learning can be achieved. Second, the Havruta Learning Act is a positive learning method that helps achieve the vis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achieves key competences. The vision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the training of creative and fusion talents demanded by the future society."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Havruta learning method in Chapter 2 of the study, which shows that the Havruta learning method i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for creativity and fusion. We have also confirmed that the learner-oriented voluntary learning method, the Havruta learning method, is also positive in achieving the vision of "implementation of happy learning through the improve- ment of the quality of the learning experience." Third, the Havruta learning method has similarities to the nature of the curriculum and helps improve art and teaching ability. Chapter 3 of the present study revealed similarities between the 2015 art and curriculum and the character of the Havruta learning method and confirmed that it helped to develop art and teaching skills. Fourth, art appreciation classes can be conducted us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tailored to the art and content system.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art appreciation classes could be conducted by apply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by presenting a three-time course plan centered on questions, comparison and debate.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Havruta learning method is great, but it should not be argued that the Havruta activity is the only thing in all subjects, all classes. Reversely, a number of classroom character- istics, such as learning, flip-running, and project learning, and a number of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the class topic should be utilized. It is not suitable for rapid progress or simple rote learning just for evaluation. It is a method of learning that requires time to form a solid schema and to understand in-depth learn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should be treated as a long-term eye for lifelong education as a learning method that enhances the ability to understand knowledge and learn inner motivation, increase creativity and foster character. We hope that this research material will help students realize the importance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and realize the goals of the curriculum, and that art and other curricular applications of the Havruta learning method will be developed and follow-up studies will be actively conducted to enable students to enjoy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