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자층 증착법을 통한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의 성능 향상과 패터닝 공정 개발

        김기환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양자점(quantum dot, QD)은 입자의 크기 및 조성의 변화를 통해 밴드갭(band gap)의 제어 가 가능하여 다양하게 발광 파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좁은 반치폭(full-width at half maximum)으로 인해 높은 색 순도를 표현하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차세대 발광 소재로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양자점은 nm 스케일의 크기로 형성 되어 있어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열과 습도, 빛에 의해서 표면에서 산화와 분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현재 디스플레이 시장에 QD light-emitting didoe (QD-LED) 또는 QLED 의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리고 소자(device)로 제작 되었을 때 문제가 되는 것들 중 가 장 대두되는 부분은 수명 문제와 열화(degradation)현상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QLED 의 구 조 에서 양자점 층(QD film)에 주입되는 전자과 정공의 전하 불균형(charage unbalance)에서 나 타나는 현상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과 양자점층 사이 원 자층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 중간층을 삽입, 양자점에 주입 되는 전하의 balance 를 조절 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리고 양자점 층 위 ALD 를 실시했을 때 양자점의 용매 (solvent)인 toluene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 추가적인 실험을 통해 다른 용 매들에 대해서도 저항성을 갖는 것 또한 확인 하였다. 이에 optical lithography 를 실시했을 때에 소수성(hydrophobic)의 성질을 갖고 있는 감광제(photoresist)에 대한 저항성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Pixel patterning의 구현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했고, 여러 가지 test 를 실 시해 본 결과 2200 PPI (pixels per inch) 이상의 해상도를 나타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로 QLED 의 비용절감, 공정 간소화에 따른 대중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 이라는 기대를 갖 고 있다. Quantum dots can implement various emission wavelengths by controlling the band gap through changes in the size and composition of the dots. In addition, since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expressing high color purity due to its narrow full width half maximum,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as a next-generation light emitting material. However, because quantum dots are formed in the size of the nm scale, they are chemically unstable, and oxidation and decomposition occur on the surface due to heat, humidity, and light. Because of this, it is difficult to commercialize QLED in the current display market. And among the things that cause problems when manufactured as a device, the lifetime and degradation phenomena are the most emerging. This problem is due to a phenomenon occurring in the chrage unbalance of electrons and holes injected into the quantum dot film in the structure of the QLED.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is an experiment to control the balance with holes by inserting an ALD intermediate layer between the charge transport layer and the quantum dot layer, reducing the amount of electron charge transfer injected into the quantum dot film. did. And when ALD was performed on the quantum dot layer, it was confirmed that the quantum dot exhibited resistance to toluene, a solvent. It was also confirmed that it has resistance to other solvents through additional experiments. Thus, when optical lithography was performed, resistance to photoresist, which has hydrophobic properties, wa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pixel patterning was confirmed, and as a result of conducting various tests, a resolution of >2200p.p.i.(pixcel per inch) was show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popularization of QLEDs through cost reduction and process simplification.

      • 토양에서 분리한 미생물의 2,4-D 분해 특성에 관한 연구

        한명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599

        2,4-D는 최초 유기성 제초제로 개발되어 1940년대 후반부터 수중이나 육상 전범위의 제초제로 많은 양이 사용되어졌으며, 이로 인해 지표수와 지하수에서 자주 검출되고 땅과 침전물의 구성 요소에서 쉽게 걸러진다. 2,4-D가 인간에 노출되면 모든 기관의 급성 출혈을 일으키고 신경 절에서 중심신경계의 세포를 변질시키며 Hodgkin's disease의 원인이 된다. 또한 2,4-D는 인간의 부드러운 조직에 육종(sarcoma)을 일으키고 digs에서 악성임파종(lymphoma)을 초래하는 발암물질이다. 여러 환경에 축적 되어있고 오염 가능성 높은 2,4-D를 생물체에 무해하게 제거해 주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최근 토양미생물에 의한 2,4-D 분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4-D가 화합물질로 만들어진 이래 이 화합물의 이화 작용의 특성은 아주 흥미 있는 분야가 되어왔다. 이에 세균에 의한 2,4-D의 분해는 생화학적, 유전적, 생태학적 분야에서 집중적으로 연구되어져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토양에서 2,4-D의 remediation이 주 목표가 되어왔다. 미생물은 2,4-D를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대사 작용을 함으로써 2,4-D를 분해한다. 그러나 미생물에 의한 2,4-D의 mineralization에 대한 보고는 많이 되어 있지는 않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에서 2,4-D를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미생물을 분리하여 임으로 NOH 1, 2, 3, 4라 명명하고 이중 토양박테리아, NOH 2의 2,4-D의 분해에 대한 최적조건을 연구하기 위해서, 반응표면법이 사용하였다. 2,4-D 분해와 Biomass의 생산에 관여하는 pH, 온도, 영양소의 농도와 같은 외적인자의 상호관계를 반응표면법으로 고찰하는데 pH, 온도, 영양물의 양은 세 개의 매개변수로 서로 상호의존적이었다. 실험 계획을 포함하고 있는 표면반응법과 회귀분석은 세 개의 매개변수의 최적 정점을 발견할 때 고려되는 세 개 반응 위에서 그들의 결과를 평가할 때 효과적이었다. Pollution of soil and water by chlorinated aromatic compounds used as herbicides, pesticides, preservatives, solvents, and lubricants is a problem of increasing environmental concern. Of these compounds,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is a widely used herbicide and easily leached from soils and sediment components, being frequently detected in surface waters and ground water. The toxicity of 2,4-D has been reported that the exposure of human to 2,4-D causes acute congestion of all organs, degenerative changes in the ganglionic cells of the central nerve system, and Hodgkin's disease. 2,4-D is also a carcinogen causing soft-tissue sarcoma in humans and malignant lymphoma in digs. Since 2,4-D is a recent origin compound, the characteristics of catabolism of this compound are sure of an interesting field. The degradation of 2,4-D by bacteria has been studied intensively at the biochemical, genetic, and ecological level. However, most studies have been targeted for the remediation of 2,4-D in the soil-oriented places. Degradation efficiency of 2,4-D can be approached either empirically or by statistical methods. The latter gives more complete information for process optimization because experimental design techniques can provide statistical models show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In our stud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applied to optimize abiotic factors; pH, temp, and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for degradation of 2,4-D in the liquid culture.

      • MAESO가 첨가된 광촉매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효율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이승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태양전지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높은 에너지 변환효율과 낮은 제조가격의 특징을 지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 DSSC)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크게 TiO2 나노 결정 소재, 염료, 전해질 및 백금 상대전극 등 4가지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TiO2 나노결정 소재개발 분야로서 표면적이 넓고 기공이 일정한 분포로 뚫려있는 광촉매를 합성한 후, 염료의 흡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Plant Oil 중 MAESO를 이용하여 광촉매의 개질화를 수행하였다. 개질화 방법으로 MAESO를 광촉매에 응착시켜 소성시킴으로서 광촉매 표면에 -COOH, -OH 기능기를 부여하였다. 개질화된 광촉매를 이용하여 광감응제인 염료의 흡착실험과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TiO2 electrode에 사용하여 전지의 에너지 변환효율 성능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사용된 P-25와 실험실에서 제조한 광촉매, 개질화를 통한 광촉매를 사용하여 염료의 흡착실험을 수행한 결과 개질화한 광촉매가 가장 좋은 흡착능을 보였다. 그리고 태양전지의 성능을 측정한 결과 개질화한 광촉매가 다른 광촉매에 비해 단락 전류와 에너지 변환효율이 모두 증가함을 보였다. 이는 MAESO로부터 광촉매가 부여받은 -COOH와 -OH 기능기의 작용으로 인하여 광촉매와 염료와의 결합에너지의 증가와 보다 많은 염료의 흡착량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 영업사원의 역량이 상사의 리더십 유형에 따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C사 사례를 중심으로

        김성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21세기의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조직의 전략적 경영목표 달성 여부는 고성과를 창출해 낼 수 있는 경쟁력 있는 인적자원에 달려 있다. 따라서 기업 입장에서는 우수한 인력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지, 그리고 새롭게 확보한 인재를 어떻게 동기부여를 하여 기업을 떠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성과를 내도록 유도할 것인가가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2011년 이후 국내 제약기업들은 약가 인하 및 리베이트 금지 등 규제가 강화되고 경쟁이 심화되면서 제약기업의 영업활동의 경우 극히 제한되어 있는 고객(의사, 약사)을 상대하는 특성으로 인하여 제약회사 영업사원의 행동은 성과를 창출하고 기업의 매출을 극대화 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업사원의 역량과 직무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조직의 지원에 관련된 영향 중 상사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영업사원들이 좋은 성과를 내고, 나아가 조직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는 영업사원들의 역량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파악하여 역량 및 리더십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C제약사 1년 이상 근무한 영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영업역량과 직무성과와의 관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영업역량의 동기특질역량 중 영향력 행사와 성취지향성이 높을수록 자기개념역량 중 유연성, 자기 확신이 높을수록 지식기술역량 중 업무전문지식, 관계형성, 자기평가/지속적 학습추구가 높을수록 종속변수인 성과에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역량은 성별, 연령, 학력, 유통분류 등에 따른 역량의 차이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지만 직급에 따른 역량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직급이 높을수록 종속변수인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사의 리더십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조절효과에서는 상사의 리더십 중 변혁적 리더십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거래적 리더십은 조절효과의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영업역량 인 동기특질역량 중 영향력행사와 성취지향성이, 자기개념역량 중 자기확신이 조절효과의 유의성이 나타났으며, 지식기술역량 중 자기평가 및 지속적 학습추구에서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의 리더십은 성과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업역량 중 특히 동기특질역량이 성과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성취지향성 역량이 가장 큰 상관이 있다고 나타났다. 이는 모든 역량이 성과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동기특질역량이 빙산모형에서 가장 깊은 곳에 있어서 잘 드러나지는 않지만 성과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타고난 특질과 관련된 역량을 조직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육, 훈련 등을 통한 인적자원 관리 전략보다는 선발을 통해 동기특질역량이 높은 지원자를 채용하여 성과를 높이는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동기특질역량을 영업사원 선발에 활용한다면 매우 성과에 유의한 선발 지표가 되리라고 생각된다. 또한 자기개념역량과 지식기술역량은 영업사원 선발 후 교육과 훈련의 지표로 활용된다면 영업사원의 성과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영업역량은 성별 및 학력 등에 무관하며 직급에 따라 역량이 유의미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성과가 높은 사람이 직급이 높은 즉, 근속년수가 오래된 것을 보여주지만 근속년수가 높다고 해서 모두 성과가 높은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영업현장에서 영업사원을 관리할 때 영업경력이나 직급을 감안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상사의 리더십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조절효과에서는 상사의 리더십 중 변혁적 리더십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거래적 리더십은 조절효과의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영업역량 인 동기특질역량 중 영향력행사와 성취지향성이, 자기개념역량 중 자기확신이 조절효과의 유의성이 나타났으며, 지식기술역량 중 자기평가 및 지속적 학습추구에서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의 리더십 유형과 성과와의 관계에는 변혁적 리더십의 개별적 배려와 거래적 리더십 중 조건적 보상이 높을수록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업사원의 특성상 리더가 부하의 욕구에 개인적 관심을 보이고, 부하를 신뢰하고 고취하는 개별적 배려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영업실적에 따른 반대급부와 외부지향성을 중시하는 영업사원의 특징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상사의 리더십 인지 정도는 연구대상 조직의 상황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상황이라고 생각 된다. 결론적으로 영업사원을 관리함에 있어 개인적 배려와 인간관계를 통한 꾸준한 지원과 금전적, 비금전적 보상에 대한 욕구를 증대시켜 개인과 조직의 성과를 극대화하여야 할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In the rapidly-changing environment of the 21st century, the achievement of an organization's strategic management goals must depend on whether their human resources are competent enough to create added values. Hence, from the perspective of a business organization, it is very important for them how to recruit competent human resources, how to motivate them to make continued efforts to achieve the goals given to them staying with their employer. Since 2011, the prices of drugs have been falling, while the rebate has been prohibited with the regulations strengthened and the competitions more fierce. Nevertheless, the salespeople working for the pharmaceutical companies cannot but have their customers (doctors and pharmacists) engaged in their sales activities. Namely, their business performances and their company's sales depend much on their human relationships and connections. With such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lespeople's competence and their job performance, depending on their supervisors' leadership types, and thereupon, determining the factors of their competence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their organization, and thereby, providing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the development of salespeople's competence and their supervisors' leadership. To this end, the salespeople who had been working for 'C' pharmaceutical company for more than a year were sampled to be subject to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ubjects' business competence and their job performances. To be specific, the dependent variable 'job perform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ch factors of the business competence as motivation attributes (active human relationship and high motivation), self-concept (flexibility and self-conviction), competence of knowledge and technology (business expertise, human relationship skill, self-rating/sustained learning). Second, the job performance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and marketing target, bu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ank. Namely, the higher a salesperson's rank was, his or her job performances were higher. Third, in view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supervisors' leadership types, it was found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significant, while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was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such factors of the motivation attributes as active human relationship and high motivation had some moderating effects, together with such factors of the competence of knowledge and technology as self-rating and sustained learning, on the job performances. Again, supervisors'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direct effects, if any, on their subordinates' job performanc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irst, the motivation attributes were most influential among the business competence factors over the job performances, and particularly, the high motivation was most significant. Such findings may well suggest that every factor of competence i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job performances, and especially, that the motivation attributes a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job performances, although they are hidden deep in the iceberg model. In order to make the best use of such inborn attributes for the sales promotion, it is deemed important to recruit the highly motivated people rather than educate and train the salespeople. If the motivation attributes should be referred to for the recruitment of the salespeople, the result would be very positive for the business performances. Furthermore, if the self-concept and knowledge/technology competences should be reflected in the post-employment education and training, the results would be very desirabl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job performance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ender and academic background, while being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ank. Such finding suggests that those highly performing employees might be highly ranked, but that all high-ranking employees would not show high job performances, Anyway, it is deemed necessary to manage their salespeople in consideration of their business career or rank. Third, it was found that only the transformation leadership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s, while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had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other hand, active human relationship and high motivation (both belonging to the motivation attributes) as well as self-conviction and sustained learning (belonging to the self-concept)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job performances. Furthermore, the personalized consideration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conditional compensation of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job performances. Such finding may suggest that supervisors are obliged to pay attention to their subordinates' needs, trusting and encouraging them, and further that salespeople should be managed with the reasonable reward system and some personalized concerns. Of course, salespeople's awareness of their supervisors' leadership differ depending on the types of organizations. All in all, it is deemed essential to manage the salespeople with personalized concerns, sustained encouragement, financial and non-financial rewards in order to maximize the performances of an organization.

      • 초기경력자의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과 OJT 성과에서 선배와의 관계강도 조절효과 분석 : 국내 여행기업 H사를 중심으로

        박찬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초기 경력자의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과 OJT 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과 OJT 성과와의 관계에서 선배와의 관계강도가 갖는 조절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문제는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초기 경력자의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은 OJT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초기 경력자와 선배와의 관계강도 정도는 OJT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초기 경력자의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과 OJT 성과 간의 관계에서 선배와의 관계강도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국내 여행기업 H사에 근무하는 7년 이하의 초기 경력자 302명의 설문조사 자료로 최종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 검사를 거쳐 적합하게 나온 문항만을 최종 분석에서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조절효과분석이다. 자료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기 경력자의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이 OJT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다중회귀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H사 초기 경력자들의 초기 경력자의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인 현장직무 환경, 피교육자의 학습동기, 지도 선배의 능력, OJT 설계와 OJT 지원은 OJT 성과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변수인 초기 경력자와 선배와의 관계강도 정도는 OJT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다중회귀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 결과 선배와의 관계강도 정도는 OJT 성과의 하위 변수인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모두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모형에 대한 상대적으로 낮은 설명력은 OJT 성과에 관해 영향을 미치는 선배와의 관계강도 이외의 다른 요인들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초기 경력자의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이 OJT 성과 간의 관계에서 선배와의 관계강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선배와의 관계강도는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 중 현장직무 환경, OJT 설계, OJT 지원과 OJT 성과(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리하면 첫째, 초기 경력자의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인 현장직무 환경과 피교육자의 학습동기, 지도 선배의 능력, OJT 설계, OJT 지원 5가지 변인 모두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마찬가지로 조직몰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배와의 관계강도는 OJT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배와의 관계강도는 현장직무 환경, OJT 설계, OJT 지원과 OJT 성과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하수슬러지 탄화물의 흡착성능 향상을 위한 폐목재 활용연구

        송주섭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인구의 증가와 산업사회의 발전으로 많은 양의 폐기물들이 발생됨에 따라 발생된 폐기물을 단순 처리하는 단계를 넘어 폐자원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화온도와 탄화시간에 따른 하수슬러지와 폐목재의 탄화특성을 고찰하여 흡착제로 사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하수슬러지와 폐목재의 회분함량은 각각 18.9 wt%, 2.6 wt%로 슬러지가 회분함량이 많으며 탄소성분은 각각 36.3 wt%, 53.4 wt%로 나타났다. 하수슬러지는 400℃에서 60분 동안 탄화시켰을 때 최대 요오드흡착능이 137.2 ㎎/g이었으며 폐목재의 경우 500℃에서 40분간 탄화시킨 탄화물에서 최대 요오드 흡착능이 305.5 ㎎/g이었다. 하수슬러지 탄화물을 이용한 요오드 흡착능보다 폐목재를 혼합한 (0.5:1) 탄화물에서 60.9%의 흡착능 향상이 이루어졌다. With the increasing amount of waste as a result of increasing population and development of industrial society, the interest in using waste as a source of resource rather simply disposing of them is being heightene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optimal carbonization properties of sludge and waste wood at the different temperature and time, and to indentify the possibility as an adsorbent. Ash content of sewage sludge and waste wood was 18.9 wt% and 2.6 wt% respectively, and amount of carbon substance of those was 36.3 wt% and 53.4 wt%, respectively. The maximum adsorption amount of iodine onto sewage sludge carbonized at 400℃ for 60 min was 137.3 mg/g and in case of waste wood carbonized at 500℃ for 40min was 305.5 mg/g The adsorption amount of iodine onto mixed carbide of sewage sludge and waste wood (0.5:1) increased 60.9% compared to carbide of sewage sludge.

      • 통독 이후 도시건축촉진 프로그램(Stadtebauforderung program)의 형성과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구 동독지역의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오석규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In West Germany, the Urban Development Act(Städtebauförderungsgesetz) was enacted in 1971, creating a national support method for urban development. The Urban Development Act was incorporated into the Federal Construction Act (Bundesbaugesetz) in 1986 and was implemented as the Urban Development(Städtebauförderung). The urban promotion and development policy (Städtebualiche Sanierungs- und Entwicklungsmaßnahme) was operated for the Urban Development(Städtebauförderung). The purpose of this program was to eliminate the harmful effects of urban development. In 1990 East and West Germany achieved peaceful unification. There were many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but among them, the improvement of the urban environment in East Germany was the most urgent. Recognizing this situation, the government of East and West Germany implemented temporary transitional policies when preparing for German unification. The representative pilot city program (Modellstadtprogramm) in 1989 and the immediate program (Sofortprogramm) in 1990 were implemented in cities in the East German region. In 1990 a plan for the Urban Development(Konzeption für die Durchführung der Städtebauförderung) was implemented, and the Urban Development program to be implemented after unification was prepared. Under this background, the urban promotion and development policy program (Städtebauliche Sanierungs- und Entwicklungsmaßnahme) and the urban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program (Städtebaulicher Denkmalschutz) began in 1991 after German unification. And currently, 6 programs of the Urban Development are in operation. The urban promotion and development policy program was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urgent physical improvement of the deteriorated urban environment in the former East German region, and mainly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for public infrastructure facilities had been carried out. The program remained operational until 2012. The urban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program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in the historic downtown area of the East German region. In 1999, the Social City Program (Soziale Stadt) was launched with the aim of resolving social problems arising from urban change, focusing on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2001, the Urban Redevelopment in East Germany Program(Stadtumbau Ost) was launched to solve social problems such as rising public housing ratios due to the outflow of the population in the former East German region. In 2008, the Active City Center and Regional Center Program(Aktive Stadt-und Ortszentren), which aims to strengthen urban functions in a changing urban environment, has been implemented and is in progress. In 2010, the Small Cities and Villages Program(Kleinere Städte und Gemeinde) was launched with the aim of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public assistance(Daseinsvorsorge) through networks between small cities and villages. In 2017, the Future grren urban Program(Zukunft Stadtgrün) was launched to build an eco-friendly urban environment by securing public green spaces. Urban Development(Städtebauförderung) is based on the German Constitution, and the Federal Construction Act provides a business support method. The federal government provides 30% of the total cost of the projects projected by the villages and local governments, and another 30% is supported by the state government. The principle is such that 40% is covered by the village and local governments. This method of support is a fundamental principle in creating democratic business decisions and processes. Urban Development(Städtebauförderung) has been conducted in the same way for the past 50 years. At the same time, it is being practiced with content development. Urban Development(Städtebauförderung)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deteriorated urban environment in the former East German region, and for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the East and West Germany. Since then, Urban Development(Städtebauförderung) was influenced by Agenda 21 (1992), which focuses on sustainable environmental development:, Aalborg Charta (1994), which embodies the methodology for defining sustainability:, and integrated sustainable urban planning and Leipzig Charta (2007), which has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s the main content, and is currently progressing toward the goal of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developed programs of Urban Development(Städtebauförderung) have evolved from one-dimensional physical improvement, and suggest solutions to social problems arising from urban decline. And when the contents and purpose of each program are combined, it has the same context as the urban regeneration currently being discussed. For this reason, Urban Development(Städtebauförderung) can be regarded as a policy for urban regeneration in a boarder context. A number of policies were implemented to improve the deteriorated urban environment in the former East German region after German unification, the most important of which was Urban Development(Städtebauförderung). In the early period after German unification, there were difficulties in the implementation of Urban Development(Städtebauförderung) due to the heterogeneous situation related to individual private property rights in the former East German region and the adaptation of the residents of the former East Germany to changes in the system. But the Urban Development(Städtebauförderung) projects were actively carried out in the former East German region. As a result, the cities in former East Germany have recovered to 80% of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ones in West Germany. Urban Development(Städtebauförderung) has achieved successful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the cities of former East Germany after German unification, and is the most important policy for achieving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by actively responding to the urban decline problems of German cities, including former West Germany. The characters of Urban Development(Städtebauförderung) are as follows. ① The bottom-up business decision and progress ② Support method for business ③ Clarity of purpose of each program and interoperability between programs ④ The ideological development of the programs and research support 구 서독에서는 1971년 도시건축촉진법(Städtebauförderungsgesetz)이 제정되면서 도시개발의 국가적 지원방법을 만들어 냈다. 도시건축지원법은 1986년 연방건설법 (Bundesbaugesetz)에 병합되면서 도시건축촉진으로 시행되었다. 도시건축촉진에는 도시 건축적 정비와 개발조치 프로그램(Städtebualiche Sanierungs- und Entwicklungsmaßnahme)이 운영되었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도시 개발상에서 발생하 는 폐해를 없애기 위함이었다. 1990년 구 동, 서독은 평화적 통일을 만들어 냈다. 통독 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들이 있었지만, 그중에서도 낙후된 구 동독의 도시환경 개선은 가장 시급한 문제였 다. 이러한 상황을 공감한 구 동, 서독 정부는 통독을 준비하면 한시적 경과조치를 시행 하였는데, 대표적으로 1989년 시범도시프로그램(Modellstadtprogramm)과 1990년 즉시 프로그램(Sofortprogramm)을 구 동독지역의 도시에 시행하였다. 또한, 1990년에는 도 시건축촉진을 위한 계획(Konzeption für die Durchführung der Städtebauförderung)을 시행하면서 통독 이후 시행될 도시건축촉진 프로그램을 준비하 였다. 앞선 사전조치를 배경으로 통독 이후 1991년에 도시건축적 정비와 개발조치 프로그 램(Städtebauliche Sanierungs- und Entwicklungsmaßnahme)과 도시건축적 문화재 보호 프로그램(Städtebaulicher Denkmalschutz)이 실행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에는 6 가지의 도시건축촉진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도시건축적 정비와 개발조치 프로그램‘은 구 동독지역의 낙후된 도시환경의 시급한 물리적 개선을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주로 공공 인프라시설의 환경개선 사업이 이루어 졌다. 이 프로그램은 2012년까지 운영이 되었다. ‘도시건축적 문화재보호 프로그램’은 낙 후되고 방치된 구 동독지역의 역사 도심의 환경개선을 위하여 진행되었다. 1999년에는 주거 환경의 개선을 중심으로 도시변화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사회적 도시 프로그램’(Soziale Stadt)이 시작되었다. 2001년에는 구 동독지역의 인구 유출로 인한 공가율 상승 등의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동독의 도시재개발 프로그 램(Stadtumbau Ost)’이 실행되었다. 2008년에는 변화하는 도시의 환경에서의 도심 기능 의 강화를 목적으로는 하는 ‘활동적 도심과 지역중심 프로그램’(Aktive Stadt- und Ortszentren)이 시행되어 진행되고 있다. 2010년에는 소도시와 마을간의 네트워크를 통 한 공공지원(Daseinsvorsorge) 기능의 강화를 목적으로 ‘소도시와 마을 프로그 램’(Kleinere Städte und Gemeinde)이 시작되었다. 2017년에는 공공 녹지공간의 확보 를 통한 친환경적인 도시환경의 구축을 목적으로 ‘미래의 도시공원 프로그램’(Zukunft Stadtgrün)이 시작되었다. 도시건축촉진은 독일 헌법에 근거하여, 연방건설법에 사업지원 방식이 규정되어 있는 데, 마을과 지자체에서 상정한 프로젝트의 총 사업비중 30%를 연방정부가 지원하며, 30%는 주 정부가 지원하고 나머지 40%는 마을과 지자체에서 충당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지원방법은 민주적인 사업의 결정과 진행방식을 만들어 내는 기본적 인 원칙이다. 도시건축촉진은 지난 50년 동안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동시에 내용적 발 전을 하면서 실행되고 있다. 도시건축촉진은 통독 이후 초기에는 구 동독지역의 낙후된 도시환경의 개선과 구 동, 서독 간의 균형발전을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그 후 도시 건축촉진은 지속가능한 환경개발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1992년의 어젠더 21(Agenda 21), 지속가능성의 정의 방법론을 구체화한 1994년의 알보르르 헌장(Aalborg Charta), 지속가능한 통합적 도시계획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2007년의 라이프치히 헌장(Leipzig Charta) 등에 영향을 받으면서 내용적 발전을 하면서, 현재에는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건축촉진의 발전된 프로그램들의 목적과 내용은 일차 원적인 물리적 개선에서부터 발전하여, 도시쇠퇴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각 프로그램의 내용과 목적을 종합해보면, 현재 논의되고 있는 도시재생과 같은 맥락을 가지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해서 도시건축촉진은 넓은 범 위에서 도시재생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통독 이후 구 동독지역의 낙후된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정책이 시행되었 는데,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도시건축촉진이었다. 통독 이후 초기에는 구 동독지역 에서의 개인 사유재산권에 관련한 이질적 상황과 체제의 변화에 대한 구 동독 주민의 적 응 등의 이유로 해서 도시건축촉진의 실행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었으나, 통독 과정의 부 정적인 과도기적 상황이 해소되면서 구 동독지역에서 도시건축지원 사업은 활발히 진행 되었다. 그 결과 현재 구 동독지역의 도시는 구 서독지역의 도시에 비하면 약 80%의 상 황까지 회복이 되었다. 도시건축촉진은 통독 이후 구 동독지역 도시의 성공적인 환경개선을 이루었으며, 구 서독지역을 포함한 독일 지역 도시의 도시쇠퇴문제에 대해서 적극적인 대응을 하면서 지 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이루어내기 위한 가장 중요한 정책이며, 이러한 도시건축촉진은 특 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향식 사업의 결정과 진행 과정 둘째, 사업에 대한 지원방식 셋째, 각 프로그램의 목적의 명확성과 프로그램 간의 연동성 넷째, 프로그램의 이념적 발전과 이를 위한 연구지원

      • 수질정화 시스템을 이용한 빗물의 음용수화에 관한 연구

        김성태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빗물의 음용수화하기 위한 정수 시스템은 전남 진도 해수욕장에서 채취한 40mesh 모래와 대나무 활성탄, 키토산 비드, UV-C 반응기로 구성되어 있다. 대나무 활성탄의 물리적 특성으로는 비표면적이 1,092 m2/g, 평균세공직경이 9.448Å이었으며, 키토산은 비표면적과 평균세공직경이 350 m2/g, 428Å이었다. 빗물내의 부유고형물은 모래에 의해 제거 되었으며, 유기화합물과 중금속은 각각 대나무 활성탄과 키토산 비드에 의해 제거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빗물을 장기간 보관 시 병원성 미생물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UV-C을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의 사멸율은 반응 1분 후에는 약 93% 이었으며, 2분 후 부터는 병원성 미생물이 100% 사멸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질정화 시스템을 적용한 빗물은 표층수 및 지하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좋은 수질로 사람이 먹어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