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사이버불링 경험에 미치는 영향

        박은주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정보사회의 발전과 함께 나타난 역기능으로서 최근 청소년의 문제행동 으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사이버불링의 피해양상이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이버 공간에서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정도가 사이버불 링 피해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과 인터넷이용특성에 따른 사이버불링 경 험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낮은 자기통제력으로 청소년의 초기 불링 연령이 어려질수록 성인기 이행으로 발달상의 어려움과 부적절한 사 회화 경험이 높아지는 것을 감안할 때, 청소년들의 개인심리적 변인인 자 기통제력의 중요성과 동시에 사이버불링에 대한 예방교육의 필요성을 강 조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 지역의 중학생 1~2 학년 남녀 398명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 400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응답이 불성실 한 대상을 제외한 398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내적 신뢰도(Crombach's Alpha's),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검증과 분산분석, 요인분석과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조사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통제력은 가정생활 만족도 차이에서는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가정생활 만족에 따라 낮은 자기통제력은 부모와 자녀간의 양육환경에서 오는 정서적 욕구불만을 사이버불링 가해경험으로 표현한다고 할 수가 있 다. 둘째, 인터넷이용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는 인터넷 이용이 많을수록 사 이버불링에 가담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고 할 수 있고, 낮은 자기통제 력 일수록 피해 가해경험이 많음을 알 수가 있었다. 인터넷을 가장 많이 하는 장소별 차이에서는 자기통제력이 낮은 경우 장소에 차이가 없이 언 제어디서나 불링이 일어난다고 해석 할 수 있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기간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인터넷을 이용하는 기간이 길수록 사이버불링 가해경험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낮은 자기통제력은 인터넷 이용이 높을수록 사이버불링 경험에 영향이 미 침을 알 수 있다.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자 중 인터넷을 가장 많이 하는 장소별 차이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음 을 알 수 있지만 청소년들이 자기통제력이 낮은 경우 인터넷을 가장 많이 하는 장소에는 차이가 없이 사이버불링 피해 가해경험이 일어난다고 해석 을 할 수가 있다. 셋째, 인터넷이용 특성은 자기통제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기간과 하루 핸드폰을 한번 이용하는 시간은 신뢰수준 이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터넷이 용 기간이 길수록 청소년들의 자기통제력에 영향이 미침을 알 수가 있으 며, 청소년들의 핸드폰 이용 시간 또한 자기통제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넷째,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에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것은 성별과 자기 통제력임을 알 수가 있다. 또한 가정생활 만족도와 핸드폰을 한번 이용하 는 시간이 사이버불링 가해경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학년과 자기통제력 또한 사이버불링 가해경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다섯째, 자기통제력은 사이버불링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는데, 자기통제력이 낮으면 사이버불링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이 높 아짐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사이버 공간에서 자기 제어 능력(자기통제력)이 부족한 청소년들이 심 리적 불안, 일탈 행동, 학업능력 저하, 사이버 폭력 및 범죄 등의 촉매제 로 작용하면서 더욱 큰 사회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 소년들이 자기통제력의 중요성과 사이버 상에서 행해지는 모든 행위에서 철저한 예방대책의 필요성에 대해 알고자 하였음을 본 논문의 의미를 찾 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청소년들의 건전한 정신과 사이버문화가 될 수 있도록 앞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청소년의 화장관심, 화장행동, 화장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도연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청소년의 화장행동, 화장관심, 화장만족도에 대하여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화장의 실태를 분석해보고, 여자청소년의 일반적 특성과 화장특성에 따른 화장행동, 화장관심, 화장만족도의 차이와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는 여자중고생을 대상으로 편의 표본 추출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응답이 회수가 되지 않은 20부의 설문지와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누락된 23부를 제외한 257부가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청소년의 화장의 실태를 알아본 결과 색조 화장품은 '아이라이너'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눈 화장의 경우 선호하는 색상계열은 '브라운 색상'을 선호하며, 그 이유는 색상이 자연스럽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입술 화장의 경우 선호하는 색상계열은 '핑크'를 선호하며, 그 이유는 색상이 자연스럽고 자신에게 어울리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화장을 통해 추구하는 이미지는 '자연스럽고 편안한 이미지'라는 응답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자신이 추구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화장품은 '아이라이너'라고 응답하였다. 화장을 하기 시작한 계기로는 '피부결점을 보완하기 위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타인에게 예쁘게 보이기 위해'라는 응답이 나왔다. 둘째, 여자청소년의 화장행동과 화장관심을 알아본 결과 화장행동은 '예의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화장관심에서는 '외모관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여자청소년의 일반적 특성과 화장특성에 따른 화장행동, 화장관심, 화장만족도의 차이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화장관심에서는 '언니유무', '용돈', '생활만족'에 차이가 있었고, 화장행동에서는 '언니유무', '용돈'에 차이가 있었고, 화장만족도에서는 '생활만족'에 차이가 있었다. 화장 특성에 따른 화장관심에서는 '화장유무', '화장시기', '화장계기'에 차이가 있었고, 화장행동에서는 '화장시기'. '화장계기'에 차이가 있었으며, 화장만족도에서는 '화장유무'. '화장시기'에 차이를 보였다. 셋째, 여자청소년의 일반적 특성, 화장관심, 화장행동이 화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 분석을 하였다. 화장만족도는 화장행동이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여자청소년의 화장행동을 문제로만 인식되는 것이 아닌 그들이 왜 화장을 하는지에 대해서 이해해야 하며, 올바른 화장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female teenagers’makeup behavior, interest in makeup and makeup satisfaction. In order to do this, an analysis of the status quo of makeup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conducted and differences and influence of makeup behavior, interest in makeup and satisfaction from makeup have been investigated.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300 femal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Gyeonngi-do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rough a survey, and after excluding 20 surveys which were not submitted, and 23 surveys with surveys conducted in bad faith, a total of 257 survey resul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program, and the analysis involve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frequency analysis, t-testing,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 summary of the results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ost widely applied makeup by female teenagers is eyeliner, and in the case of eye makeup the preferred color was brown, and the reason was because this color looks natural. In the case of lip makeup, the most preferred color was pink, and the reason for this was because this color is most natural and suits them well. The response revealed that the largest proportion of answers regarding image pursued through applying makeup was “a natural and calm image”, and in order to convey such an image the type of cosmetics that is most popularly used is eyeliner. The highest response rate for why they started wearing makeup was taken up by “in order to cover flaws in complexion” and the next highest response was “in order to look beautiful to others.” Secondly, results for makeup behavior and interest in makeup revealed that makeup behavior was due to “courtesy”, which received the highest response rate, and for interest in makeup, the most popular response was for “appearance management.”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makeup behavior, interest in makeup and satisfaction in makeup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akeup characteristics, differences in interest in makeup acco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ed “having a sister”, “allowance” and “life satisfaction”. Differences in makeup behavior included “having a sister” and “allowance”, and in satisfaction from makeup, differences arose from “life satisfaction”. Differences in interest in makeup arising from makeup characteristics included “wearing and not wearing makeup”, “time of starting to wear makeup”, and “reason for starting to wear makeup”, and differences in makeup behavior included “time of starting to wear makeup” and “reason for starting to wear makeup”, and in satisfaction from makeup there were differences in “wearing and not wearing makeup” and “time of starting to wear makeup.” Thirdl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terest in makeup and how makeup behavior influences satisfaction from makeup in female teenager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Satisfaction from makeup was most influenced by makeup behavior.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why female teenagers wear makeup, rather than merely recognize makeup behavior as problematic, and research on encouraging correct makeup behavior is necessary.

      • 중학생의 SNS 이용동기와 대인관계 및 공감능력에 관한 연구

        정재욱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Due to the distribution of Smart Phone and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e SNS use rate is now growing rapidly and also teenagers use SNS in their daily life and become important part of their life. Therefore, this research finds the use of SNS among teenagers and the correlation of SNS use, motive, empathy ability, and personal relationship.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eenagers among 14-16, 400 students of two middle schools in Seoul excluding insincere answers and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answers of 248 students. Difference verification is conducted to see the difference of empathy ability and personal relationship regarding to use of SN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es are used. The result is as follows. 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empathy ability regarding to use of SNS, there is difference of empathy ability according to SNS use depending on how many people they contact. There is, however, no difference on the other category. 2. 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the personal relationship regarding to use of SNS, there is difference of pers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SNS use depending on how many people they contact. 3.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for searching the relation on motive of SNS use among teenagers, empathy ability, and personal relationship, there is a meaningful correlation on other category except emotional factors of empathy ability and motive of SNS use for communicational purpose.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t meaning that it can provide the information on social relation beyond the personal aspect of SNS use among teenagers as the main factors are verified according to SNS use and analyzed the influence on empathy ability and pers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motive of SNS use in a situation of the lack of study on the foregoing factors. 현재 우리 사회는 인터넷의 발달과 스마트 폰의 보급으로 SNS의 이용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청소년들 역시 SNS의 활용이 일상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연구는 청소년의 SNS 이용에 대해 알아보고 SNS 이용 동기와 공감능력과 대인관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시에 중학교 2곳 총 400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중 불성실한 응답 등을 제외하고 248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SNS 이용에 따른 공감능력, 대인관계 등의 차이를 보기 위해 차이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이용에 따라 공감능력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연락하는 사람의 수에 따른 공감능력에 대해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기타 문항에 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SNS 이용에 따라 대인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락하는 사람의 수에 따라 대인관계 능력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중학생의 SNS 이용동기와 공감능력 대인관계의 유의 미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감능력의 정서적 요소와 이용동기의 커뮤니케이션적 동기의 상관관계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SNS 이용 및 이용동기가 공감능력 및 대인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SNS의 이용에 따른 주요 변수의 차이를 검증하고, SNS 이용동기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에 대한 상관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청소년들의 SNS 이용에 있어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관계에서의 SNS 활용에 대한 의미 있는 연구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중장기청소년쉼터 퇴소 여자청소년의 자립생활에 관한 연구

        최민애 광운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장기쉼터 퇴소 여자청소년이 어떻게 자립생활을 경험하고 있는지를 탐색해 봄으로써 그들의 자립생활여정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장기쉼터 퇴소 여자가출청소년의 자립생활이라는특정한 사례를 가지고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분석하여 어떠한 자립과정을겪고 있는 지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얻기 위하여 질적사례연구방법을적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중장기쉼터에서 퇴소 후 1년에서 2년 미만의 자립생활을 하고 있는 여자청소년 4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본 연구의 자료는 3개월에 걸쳐서 연구참여자 심층면접과 쉼터에 보관되어 온 연구참여자들에 대한 개별화일과 실무자와의 상담일지, 연구참여자의 일기, 연구자의 현장노트 등의 문헌 정보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참여자별 면접회수는 1-3회 정도로 진행하였으며, 면담시간은 2시간에서 3시간 정도 소요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방법은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사용하였다. 사례 내 분석은 사례 내 주제들을 찾기 위해 각 사례를 분석하는 것으로 연구참여자들의 쉼터 입·퇴소 과정 경험과 퇴소 후 자립생활 경험에서 나타나는 각 사례의 현상적 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각 사례들의 다양한 자립생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각 사례들에서 나타난 자립생활의 경험들을 통합하여 정리하고 이를 주제 형태로 서술하였다. 각 사례들에서 나타난 의미단위를 찾고 범주화 하여 중심개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60개의 의미단위와 18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5개의 범주인 자립생활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중장기쉼터에서 퇴소하고 난 후 공동생활에서 할수 없는 자신만의 공간과 규칙생활에서 벗어난 자유로움을 만끽하였다는것을 알 수 있었다.둘째, 연구참여자들은 퇴소 후 처음 경험하게 되는 낯선 사회로의 자립생활은 자유로움과 동시에 두려움과 외로움 등의 불안정한 정서를 가지게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런 여러 정서적 어려움은 퇴소 청소년들이 또래 청소년들이 일반가정에서 편히 지내는 모습과 비교하여 자신의 모습이 창피하고 초라하게 느껴지게 만들며, 자신감이 상실되어 자립생활을 더 힘들게 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에게서 받은 상처는 관계에 있어 소극적이고 스스로 단절을 시키며 폭넓은 대인관계를 어렵게 하고 적극적인 자립생활을 힘들게 함을 볼 수 있었다.셋째, 연구참여자들은 퇴소 후 자립생활을 통하여 많은 현실의 장벽들을 경험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퇴소청소년들은 열악한 환경에 있는 값싼 고시원 생활로 안전이 걱정되고 벅찬 임대료로 생활에 쪼들리며 기숙사가 있는 직장을 선택하는 등의 주거지의 불안정에 대해 힘들어하고 있었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은 자립생활을 시작하면서 처음에 가지고 있던돈을 다 써버리고 시간관리가 되지 않아 퇴근 후에 뭘 해야 할지 몰라 시간을 허비하며 매일의 똑같은 생활을 반복하는 등의 자기관리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낮은 학력과 자립초기 불안정한 정서들로 인하여 직장생활에서 텃새로 인한 동료관계의 어려움과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느끼며 이로 인한 스트레스가 질병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넷째, 연구참여자들은 정서적 어려움과 현실의 많은 장벽들로 인하여 무력감을 느끼며 회피하고픈 현실의 삶에 대해 나태해지는 모습을 보이고이는 쉽게 돈을 많이 벌고 싶은 유혹에 이끌리는 부정적인 삶으로 초대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다섯째, 연구참여자들은 퇴소 후 많은 어려움에 부딪히고 생활해나가는 과정에서 차츰 긍정적인 삶으로 전환하여 나아가고 있었다. 현실에 안주하고픈 부정적인 삶의 초대에 응하지 않고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며 적극적인 생활을 해나가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가족과 쉼터생활에서 받은 지지기반들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전환으로 에너지를 얻어 현실에 도전해 나아가며 목표를 정하고 더 나은 미래의 꿈을 꾸며 자립생활을 유지해나가고 있었다. 더 나아가 연구참여자들은 시설에서 수동적으로 주어진 환경에 의존하는 습관에 빠지지 않고 사회에서 떳떳한 어른으로 홀로서기를 위한 의지를 가지고 초기의 자립생활에 더욱 힘들게 느껴지는 현실의 어려움들을 이겨나가며 긍정적인 자립생활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장기쉼터 퇴소 여자청소년이 안정적인 자립생활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들은 다음과 같다. 정책적 제언으로 첫째, 퇴소청소년들이 주거 생활에서 안정적이 될 수 있는 주거 지원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둘째, 퇴소 후에도 정기적인 상담과 정서적인 지지를 통해 안정적인 자립생활의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퇴소청소년들이 일정기간 머물 수 있는 자립관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진학을 꿈꾸는 퇴소 청소년들을 위한 학자금 지원 및 각개인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자립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하다. 실천적 제안으로 첫째, 쉼터에서 퇴소 청소년들이 안정적인 자립생활을 유지할 수 있기 위한 사후지도 상담과 방문 등의 사례관리를 통한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요구된다. 둘째, 쉼터에서 오랜 시간 보호서비스와 상담, 교육지원 서비스, 진로체험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자립의지를 고취시키며 주도적인 삶의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장기적인 자립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중장기쉼터 퇴소청소년의 자립생활 경험을 통하여 퇴소청소년의 자립생활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자립생활을 이해하고 보다 더 안정적인 자립생활을 해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female adolescents discharged from mid- or long-term youth shelters lead an independent life an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ir independent living. For this purpose, qualitative case research was conducted to make in-depth exploration and analysis of the specific case―independent living of runaway female adolescents discharged from mid- or long-term youth shelters―and to get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their independent living.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four female adolescents who had been leading an independent life for one to less than two years after being discharged from mid- or long-term youth shelter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respondents enjoyed freedom from the regulations in their own space, which was impossible in group living, after being discharged from mid- or long-term youth shelters. Second, the respondents got unstable emotions, such as fear and loneliness, as well as freedom with independent living, in unfamiliar society with which they came to be first faced after being discharged. These emotional problems caused the discharged adolescents to feel embarrassed and unprivileged at themselves, as compared with their counterparts living comfortably with normal family, and led to less self-confidence, making it more difficult for them to lead an independent life. Moreover, the emotional wound they received from their family made them passive toward relationships and isolated, consequently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establish a wide rang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ead a positive independent life. Third, the respondents came to be faced with the barriers in reality, such as unstable residence, difficulties in self-management, and problems with work, while leading an independent life after being discharged. Fourth, the respondents felt helpless due to the emotional problems and lots of barriers in reality and began to live an idle life because of the reality they wanted to avoid; as a result, they were tempted to live a negative life to make money with ease. Fifth, the respondents rejected the negative life in reality, attempted to make a new change, and began to lead a positive life in the process of being faced with lots of difficulties in living after being discharged. With the positive change in perception of the support received from living in a shelter and their family, they were energetically leading an independent life by challenging the reality, setting a goal, and dreaming of a better future. Moreover, the respondents broke off the habit of relying passively on the given environment in a shelter and made efforts to make a positive independent life by overcoming the difficulties in reality, which interfered with independent living at its early stage, with a will to lead an independent life as a grown-up member of societ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trategic and practical suggestions can be made to help female adolescents discharged from mid- or long-term youth shelters lead an independent life with stability: As for strategic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a housing support policy to help the discharged adolescents have stable reside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independence center where the discharged adolescents can stay for a time being before they can lead an independent life stably through regular counseling and emotional support even after being discharged.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funding for study to those discharged adolescents who want to go to college and to develop diverse independence programs that mee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needs. As for practical suggestions, first, shelters need to provide continuous follow-up management through case management, involving follow-up guidance, counseling, and visits, which helps the discharged adolescents maintain an independent life stably Second, shelters need to devise a long-term independence plan for enhancing the will to be independent and improving the ability to lead their own life through diverse programs, including long-term protection service and counseling, educational support service, and career experience.

      • 중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업자신감과 자기조절학습전략에 미치는 영향

        연명은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 학생들은 OECD 국제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성취도는 최상위 수준을 나타내고 있지만 자기학습 관리 능력은 최하위에 머무르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업의 스트레스와 부담감 속에서 학습을 하고 있고, 학생뿐만 아니라 그들의 부모들도 자녀의 학업에 많은 부담과 관심을 가지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자녀의 학업에 관여하고 있다. 그러한 관심이 때로는 자녀에게 긍정적인 영향이 되어 학습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돕기도 하고, 또한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가지고 학습할 수 있도록 돕기도 한다. 그러나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들도 있다. 이는 부모가 어떠한 양육태도로 자녀를 양육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부모의 양육태도를 자녀의 입장에서 어떻게 느끼느냐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있어서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의 돌봄과 자율성존중, 과잉간섭적인 양육태도가 학업자신감과 자기조절학습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조절 학습전략사이에서 학업 자신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는 서울 양천구와 경기 광명시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1학년,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측정은 부모양육태도 검사와 학업자신감 검사, 자기조절학습전략 검사 도구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아버지의 경우에는 돌봄이 학업자신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기조절학습전략의 각 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인지조절에는 아버지의 돌봄, 동기조절에는 자율성존중, 행동조절에는 돌봄과 자율성존중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의 경우 학업 자신감에는 돌봄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과잉간섭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기 조절학습전략의 경우는 요인들 모두가 어머니의 돌봄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부와 모의 양육태도가 자기조절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친다면 학업 자신감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 하에 연구한 결과 학업자신감은 자기조절학습전략에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표집은 서울과 경기 소재의 각각 한 개교씩을 선정하고 중학교 1·2학년으로 한정하여 이루어졌는데 자녀의 발달 단계에 따라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서울과 경기지역 뿐 아니라 다양한 지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조사를 실시하여 표준화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사교육을 받지 않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면접법을 통해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학업자신감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을 갖는 것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Although Korean students were top ranked in OECD international study achievement, they ranked lowest in self-regulating learning. Majority of the students study in great pressure and their parents intervene in their child’s study with various methods by showing great interest. From time to time these interests help students to improve learning abilities and self-regulating abilities. However, in some cases negative effects occur. Thus, student’s learning is dependent on the method that parents initiate and how the student perceives parent’s way of education. This research will focus on how the father and mother's care and their respect for child's autonomy and over-involvement parenting attitude affect child's academic confid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from the point of the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aged adolescents. The research was progressed through a survey of 1st and 2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located in Yangchungu(Seoul) and Gwangmyeong(Gyeonggi), and the measurement analyzed through examination of parenting attitude, academic confid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SPSS 22.0 was utilized. Result of father side was that the father’s care had positive effect on academic confidence. In terms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each father’s care on cognitive control, respect for autonomy on motivation control, and care and respect for autonomy on behavior managemen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mother side, the students’ academic confidence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mother’s care but was negative by over-involvement. In terms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ll factors were positively influenced by mother’s care. As a result of progress of this research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parenting attitude will affect self-regulated learning and ultimately affect academic confidence, academic confidence was appeared to intermediate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The sample of this research was one school each from Seoul and Gyeonggi, and a follow-up study is required on how parenting attitude changes according to student’s development stage. Also, standardization is needed by expanding the survey to students of other various regions, and further research through student interview is needed to verify academic confid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influenced by parenting attitude.

      •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대처능력 및 도덕적 이탈과의 관계

        신정희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대처능력 및 도덕적 이탈과의 관계를 분석 해봄으로써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은평구 및 경기도 포천시에 거주하는 중학생 남녀 312명이며, 자료수집 방법은 설문지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청소년의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이경주(1997)의 가족, 친구, 학업, 교사, 신체 관련 5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스트레스 척도와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Patterson과 McCubbin(1983)이 고안한 문제대처행동능력(Adolescent-Coping Orientation for Problem Experiences : A-COPE)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도덕적 이탈 척도는 Bandura 등(1996)이 제작한 ‘도덕적 이탈 기제‘(Mechanisms of Moral Disengagement)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에 앞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도덕적 이탈 척도는 요인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 맞게 척도를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고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스트레스는 여자가 남자보다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의 5가지 요인 중에서 학업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능력은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대처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도덕적 이탈은 성적이 높을수록 도덕적 이탈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능력은 유의미하지 않은 관계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와 도덕적 이탈은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도덕적 이탈 간의 관계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도덕적 이탈 간의 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하여 스트레스와 도덕적 이탈에 관한 연구에 자료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looked into how adolescents’ stress, coping ability and moral disengagement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order to present a basic reference to help sound development and growth of adolescents. The study collected a total of 312 male and female students at middle school residing in Eunpyeong-gu of Seoul and Pocheon-si of Gyeonggi-do as research subjects and conducted a survey to gather data. As for research tools, in order to measure the adolescents’ stress, the study first used this stress scale designed by LEE Kyeong-joo (1997) which consists of five family-, peer-, academic performance-, teacher- and physical factors. The study took a measurement of the stress coping ability by using A-COPE (Adolescent-Coping Orientation for Problem Experiences) created by Patterson and McCubbin (1983). In addition, regarding how to know a degree of moral disengagement, the study worked on ‘Mechanisms of Moral Disengagement’ produced by Bandura and others (1996). Before getting into an investigation, the study carried out a factor analysis and made a few changes in scales of stress, stress coping ability and moral disengagement so that the scales would work favorably for this research itself. The study applied SPSS 22.0 to calculating a Cronbach’s α coefficient and then, proceeded with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a correlation analysis.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adolescents’ stress, the female research subjects came up with a higher level of stress compared to that of the males and, of the five stress factors, the academic performance stress appeare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In regard to the stress coping ability, the study noticed that the higher an economic level, the more efficiently the adolescents deal with stress. As for the moral disengagement, it turned out that the better the adolescents do with academic performance, the higher a level of moral disengagement. Second, the study confirmed that no significant relation is found between the stress and the stress coping ability but, when it comes to how the stress is connected to the moral disengagement, the study learned that the stress and the moral disengagement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each other. Add to that, the relation of the stress coping ability with the moral disengagement is considered positive. Such results above led the study to argue for the presence of the relation between the adolescents’ stress the moral disengagement and plus, the study successfully offered basic materials to contribute to any follow-up researches on the stress and the moral disengagement that would eventually improve the desirabl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adolescents.

      •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기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인영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tried to investigate the realities and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 use that are necessary for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variables, and if family function has an effect on smart phone addiction. As a proces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05 male and female 1st, 2nd and 3rd graders of middle schools in Paju, Gyeonggi Province.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the data acquired from questionnaires.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results. First, as for the difference of smart phone addiction accord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 us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Female showed higher degree of addiction than male, and 2nd graders showed higher degree of addiction than other graders, but not much difference among graders.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 u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ime to use, function of use and parents' use of phone. As for the factor of time to use, group that use smart phone more than 6 hours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addiction. As for the factor of function of use, group that use SNS(facebook, twitter etc.)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addiction. As for the factor of parents' use of phone, group whose parents don't use a phone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addiction. Seco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f middle school students' family function has an independent effect on smart phone addiction. The result showed that family function is significantly related to and has a negative effect on smart phone addiction.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tion, sub-factors of family function, had also a negative effect on the degree of smart phone addiction. Lastl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how much effect will the middle school students' family function have on the degree of smart phone addiction, wh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 use are added. The result showed that it had an effect on gender, time to use and family cohesion, suggesting that the family cohesion out of variables of family function is a proper influential variable. In this digital era, smart phone as a means is a useful one in living and people ceaselessly share knowledge in overflowing information. The generation ga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natural and parents need to make efforts to acknowledge and understand their children's thought and values. Therefore, family should make some opportunity to get together. Parents should never overlook when children use smart phone compulsively and be careful, and set up a clear rule to guide their children to keep it up.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변인에 필요한 개인적 특성, 스마트폰 사용특성의 실태 및 차이를 살펴보고, 가족기능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과정에서 경기도 파주시에 거주하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과 여학생 1, 2, 3학년 3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를 통해 얻은 자료로 신뢰도 분석. 빈도 분석, T-검증(T-test), 분산 분석(ANOVA), 상관관계 분석, 단순회귀 및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이 사용되었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요약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개인적 특성, 스마트폰 사용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의 차이결과, 먼저 개인적 특성에서는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중독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에서는 중 2학년이 중독의 수준이 높았지만 전반적으로 학년 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스마트폰 사용 특성에서는 사용 시간, 사용 기능, 부모 폰 사용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용 시간 요인에서는 6시간 이상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집단에서 중독의 수준이 가장 높았고 사용 기능에서는 SNS(페이스북, 트위터 등)를 사용하는 집단의 중독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모 폰 사용 요인에서는 두 분 모두 사용 안하는 집단에서 중독의 수준이 높았다. 둘째, 중학생의 가족기능이 스마트폰 중독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단순회귀 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가족기능은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며,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의 하위 요인인 가족응집성과 가족적응성 역시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중학생의 가족기능은 개인적 특성, 스마트폰 사용특성을 추가함으로써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어느 정도 설명력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 사용 시간, 가족응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기능의 변인 중 가족응집성의 영향력이 큰 변수로서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요즘 스마트폰이라는 수단은 생활에 유용한 존재이며 넘쳐나는 정보 속에 사람들은 끊임없이 지식을 공유한다. 특히 부모-자녀 간의 세대 차이는 자연스러운 일이므로 부모는 자녀의 생각과 가치를 인정하고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 부모는 자녀가 강박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 하는 경우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되며, 주의를 기울이고 분명한 규칙을 자녀와 함께 정하여 이를 지켜나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행복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국공립어린이집과 민간어린이집 중심으로

        최인숙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국공립어린이집과 민간어린이집을 중심으로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행복감이 교사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연구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사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5개시와 서울시 4개구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국공립어린이집과 민간어린이집 보육교사 중 담임교사 250명이다. 그 중 이 연구에서는 총 184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T-test 및 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절차에 따라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 중 만족도(급여 만족도, 근무시간 만족도, 종합적인 근무만족도)에 따라 교사효능감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국공립의 경우는 급여 만족도, 근무시간 만족도, 종합적인 근무만족도에서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고 차이검증에서 아주만족 집단이 조금 만족과 조금 불만인 집단에 비해 교사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민간의 경우는 급여 만족도, 근무시간 만족도, 종합적인 근무만족도에 따른 교사효능감 차이검증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둘째, 국공립과 민간 두 집단 간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행복감, 교사효능감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근무환경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에서는 국공립이 민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행복감,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련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근무환경의 3개 하위요인물리적 환경, 인적 환경, 업무 전문성 지원환경과 행복감 그리고 교사효능감의 2개 하위요인 일반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고 있다. 넷째, 보육교사 근무환경(물리적 환경, 인적 환경, 업무 전문성 지원환경)이 교사효능감(일반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국공립의 경우 물리적 환경과 인적환경이 일반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민간의 경우는 인적환경이 일반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육교사의 행복감이 교사효능감(일반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국공립과 민간 모두 행복감이 일반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두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행복감이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고 있는 급여 및 초과근무수당 등의 처우와 직장 내인간관계 등의 근무환경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겠고 행복감도 연습을 통하여 증대될 수 있다는 연구보고에 의해 보육교사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다양한 연수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겠다.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수준을 높이고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것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결국 보육공공성 강화와 질 높은 보육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데 기여하는 것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and analyze how daycare teachers' work environment and happiness affect their efficacy as teachers with emphasis on national/public daycare and private daycare and to seek the way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eacher efficacy and improve i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full-time daycare teachers working for national/public daycare and private daycare located in five cities of Gyeonggi-do Province and four districts of Seoul. Among the survey forms collected from them, a total of 184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analysis of data was process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8.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daycare teachers (satisfaction with salary, satisfaction with work hours, and general satisf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in satisfaction with salary, satisfaction with work hours, and general satisfaction in case of national/public daycare, and the 'highly satisfied' group showed higher teacher efficacy compared to the 'somewhat satisfied' and 'somewhat dissatisfied' groups. In case of private dayca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salary, satisfaction with work hours, and general satisfaction. Second, the difference in daycare teachers' work environment, happiness, and teacher efficacy was analyzed between national/public daycare teachers and private daycare teachers. As a resul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in the work environment, while national/public daycare showed higher happiness and teacher efficacy than private dayca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ir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related variables to discuss the correlation between daycare teachers' work environment, happiness, and teacher efficac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subfactors of work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happiness, and the two subfactors of teacher efficacy (general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Fourth, the influence of daycare teachers' work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on teacher efficacy (general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was examined. In case of national/public daycare, physical environment and human environ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general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while in private daycare, only human environ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general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Fifth, the influence of daycare teachers' happiness on teacher efficacy (general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was examined. In both national/public and private daycare, happi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general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The above findings show that daycare teachers' work environment and happines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acher efficacy. Therefore, daycare centers should improve teachers' salaries and overtime wages along with the general work environment, includ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workplace, which is currently inconsistent based on the type of daycare centers. As it has been reported that happiness can be improved based on practice, various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daycare teachers' happiness.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and happiness of daycare teachers can improve the teachers' teacher efficacy. This w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public benefit of daycare and the quality of daycare services.

      • 청소년의 온라인도박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송은미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청소년의 온라인도박행동의 실태를 파악하고, 청소년의 온라인 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개인요인, 부모요인, 또래요인으로 구분하여 각 요인이 온라인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서 청소년을 지도하고 교육함에 있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이 중에서 특성화고 2개교와 인문고 2개교를 선정, 총 11개 학급 300명을 표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결과 분석에는 부실 응답 설문지 14부를 제외한 286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dows 1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척도의 신뢰도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자의 1/3에 해당하는 청소년이 온라인도박게임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학생들의 대부분이 ‘평균 월1회 미만’ 으로 온라인 도박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려할 수준의 도박행동을 보인 청소년의 숫자는 미미했으며, 대부분 주변 친구나 지인의 소개로, 돈을 따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기대와 일시적 호기심으로 접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온라인 도박행동에 있어 특성화고 학생들이 인문고 학생들보다 스트레스, 또래도박행동, 또래동조성에서 근소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셋째, 청소년의 개인요인의 하위변인인 충동성과 스트레스가 온라인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충동성은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가족요인의 하위변인인 부모지지와 부모감독이 온라인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모두 유의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지지와 부모감독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온라인도박행동수준이 낮아지고 부모지지와 부모감독이 낮을수록 청소년의 온라인도박행동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청소년의 또래요인의 하위변인인 또래도박행동과 또래동조성이 온라인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또래친구들 중 도박행동경험이 있는 친구들이 많을수록, 또래동조성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온라인도박행동 정도가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여섯째, 청소년의 온라인도박행동에 대하여 일반적 특성을 통제변인으로 하여 개인요인, 부모요인, 또래요인을 위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또래요인이 청소년의 온라인도박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또래요인 중에서 또래도박행동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청소년기 또래의 영향력이 무엇보다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온라인 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생태계적 관점에 입각해 다각적이고 통합적으로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지며, 선행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최신 온라인 도박게임을 포함시켜 최근 청소년들의 온라인 도박행동 실태를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상당부분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청소년의 온라인 도박행동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또래요인인 또래도박행동, 또래동조성과 부모요인인 부모지지, 부모감독과 관련해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서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지도, 교육함에 있어 나아갈 방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