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일·미 교과교실형 중등학교 교사공간 구성요소 비교 분석

        정동열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Depending on the objective and the method of public education, the curriculums have been revised. After the 7th public education revision in 2007 and 2008, it include a systematic and concrete framework. This produces outstanding individuals adaptable to current and future society. These revisions require to change from general course + special course to the subject-class course on which student moving on each class. This change have been adapted in 2009, and the government pursue this subject-class course to be entirely extended all. Although the government attempting, the school hesitates planning and remodeling the class because of absence of rare operating pre-case. This research have purpose to produce the reference for remodeling and planning the class optimized to the subject-class course through domestic and abroad floor plan and area analysis of the subject-class course school. First chapter refers the background, purpose and scopes of this research and present rough understanding through research flow chart. Next chapter, the definition and change of public education, and the content of 2009 education revision are searched. Also the pros and cons of the subject-class course are analyzed. Chapter 3, this suggest the research survey plan and the current example of the subject-class course in Korea, Japan, and US are shown. Also this chapter clarify spatial interpretation and somparison of Methods. Chapter 4, the components consisting of the variation type are suggested and sorted by criteria. Next, each sorted each components in Korea, Japan and US are compared. Chapter 5, through the floor plan analysis method, this research occupying area per person on each class room sample for relative comparing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spatial moving support areas, student support areas. The conclusions are bellow. The arrangements of Korea school remodeled vary. Mainly one side corridor typeand variation type+meeting room, subject block and center homebase are found. In Korea, new schools mainly have variation type+meeting room+media space, subject block and center homebase under the H-shape and ㄷ-shape arrangement and middle corridor type, one side corridor type structure. The classroom arrangement in Japan also are various. They mainly have one side corridor type structure, the some school have middle corridor type structure. Subject block consists of variation type, meeting room and media space. 4 schools are under distributed homebase and 2 schools are under center homebase. In cases of 4 schools in US, there are H-shape and ㅡ-shape under middle corridor type structure. subject block consists of variation type, meeting room and media space, with outside locker. Second conclusion, the rooms of the subject-class course school for instructor is sorted according to the subject-class course demand, in for classification; Space areas,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Spatial moving support areas, Student support areas, Spatial Moving areas. Space areas: variation type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meeting room, office, media space, etc, Spatial moving support areas : homebase, rounge, locker, etc, Student support areas : student union office, restroom, water foundation, etc Spatial Moving areas : corridor, stairs, elevator, etc Third, according to comparing the component of these schools, the basic overall constitutions are similar. but there are difference in name of the room and use of the space. In Space areas, depending on the lectured subject, it varies. In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this space is used for the instructor rather than students in Korea, but instructor and student share the space in Japan and US. In case of spatial moving support areas, homebase in Japan is distinguished by the use of space. this space In US is composed of locker differently from Korea and Japan. Comparing student support areas, The space in Japan seems relatively monotoneous. There are varient component in US such as snack bar or cafeteria. Spatial moving areas areas in Korea, Japan, US has common thing. And more the area in US is used for student's society activity. Fourth, the comparison of occupying area of Contemporary results that remodeled spaces in Korea and the space in Japan mainly have Space areas, rarely have Student support areas. In US there are most Spatial Moving areas and hardly spatial moving support areas. Ratio of Space areas in comparision three nation is the highest in US and lowest in Japan. Korea case has relatively more Space areas than Japan’s, this is because rearrangement of plane structure.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is most located in US, also there are many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in Japan. The case of Korea has most low ratio of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The reason is difficult rearrangement due to limitation of spatial Composition. Spatial Moving areas is relatively located in newly remodeled space in Japan and US. This is because the locker is occupied at corridor in US. Student support areas is located more in US, and less in Japan. New school has more the space. Spatial Moving areas is located highly in Korea. This is because of wide corridor and one side corridor type plane structure. In US, it has lowly located for the reason why the part of plane structure of middle corridor type is used for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Fifth, occupying area per student is the highest in Japan and the lowest in Korea remodeled case. Spatial Moving areas is the largest occupying area and Student support areas is the lowest occupying area. The summary of comparison with cases in Korea, Japan and US is bellow. Occupying area per student of Spatial Moving areas is the largest in Japan, next US, newly constructed, and last remodeled space. Variation type in Japan is various. Also Variation type per student in Japan is spacious. In Korea case, areas of Variation type is more roomy which is the result of the plan for the subject-class course. Also occupying area of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is large in Japan. This is because move areas in Japan is used for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The case in US is simillar to Japan case. In Korea case, There low occupying area of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this is because of limited plane structure and limitation of budget. Spatial Moving areas is the largest in Japan case , larger in Korea and lowest in US case. This is because of guidance behavior in Korea and Japan. In US case the locker is located in this areas which is different from homebase of Japan and Korea. In Japan case, the number of component of this areas is low, but the each area of the component is larger than other nation's case. The area In Korea case remodeled is larger than newly constructed. This is because the consideration of plan for convenient space for student. Spatial Moving areas is smallest in remodeled room. the areas in newly constructed space is larger than the remodeled space. The areas is most larger in Japan, this is because of the plan that when operating the subject-class course, the crowd is avoided. In US case, student support areas is shared with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in plane structure of middle corridor type . This result in the small areas occupation area. This research is for application in plan for school. It includes the comparison with floor plan of Korean remodeled, newly constructed, the classroom in Japan, the classroom in US. Domestic school is remodeled for the subject-class course. The classroom is prepared which is insufficient comparing US and Japan case. This research can be applicate for planning composition of space factors and occupying area of each student. However this paper is only limited in floor plan analysis. The more case analysis for planning the subject-class course-classroom is necessary. 시대의 변화에 따라 교육이 추구하는 목표와 방법도 변화하였으며 그에 따라 교육과정도 변화를 거듭해 왔고 1997년 선진형 교육을 위한 7차 교육과정 개편이 후 2007, 2009 개정을 거치면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틀이 마련되어 현재와 미래사회에 적응력을 높인 우수한 인재가 배출될 수 있도록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변화로 교수 및 학습공간과 운영방법의 변화가 필요함에 따라 기존의 일반교실+특별교실형 운영방식이 교과 전용교실을 갖추어 학생이 수업을 위해 교실을 옮겨다니는 교과교실제가 시행되는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이에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2009년부터 기존학교들에 대한 교과교실형 전환이 시도 되었으며, 2014년 중․고교 전면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런 대대적인 확대 추친에도 불구하고 국내 학교의 교과교실제 운영사례가 극히 드물어 리모델링 및 신설 학교에 대한 계획자료가 부족한 실정으로 이들 학교 시설에 대한 대응 방안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국외 교과교실형 운영학교의 평면 및 면적 분석을 통하여 신축 및 리모델링 학교의 교과교실형 운영 계획을 위한 자료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범위 및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연구 흐름도를 통해 본 연구의 계략적 흐름을 파악한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이 되는 문헌 조사를 통하여 교육과정의 정의와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2009 교육과정 개편 내용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학교 운영방식에 대한 조사와 교과교실형 운영방식의 정의 및 장․단점, 특징을 정리 하였다. 3장에서는 본 연구의 계획에 대한 구체적 서술로 연구 및 조사 계획을 제시하고 한국, 일본, 미국 조사대상 교과교실형 중등학교의 일반적 현황을 정리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하는 공간의 해석 및 분석 방법을 제시 하였다. 4장에서는 교과교실형 중등학교의 공간 구성요소를 분류하고 이 요소들을 영역별로 재분류하여 한국, 일본, 미국 교과교실형 중등학교를 영역별 요소비교를 하였다. 5장에서는 평면 자료 분석을 통하여 조사대상 학교의 공간이용관련, 교과학습지원, 공간이동지원, 학생편의지원, 공간이동관련 영역별 상대적 비교를 위해 면적 비율 분석을 하였으며 학생 1인 점유 면적 비교를 위해 이들 영역별 공간에 대한 학생수별 점유 면적을 분석을 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리모델링 중등학교는 다양한 배치 유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로 편복도형 구조와 교과교실+교과협의실의 교과블록 및 중앙집중형 배치의 홈베이스를 이루고 있다. 국내 신설 중등학교는 H형, ㄷ형의 배치 유형을 나타내고 중복도형, 편복도형의 구조와 교과교실+교사연구실+교과미디어의 교과블록 및 분산형 배치의 홈베이스를 이루고 있다. 일본 중등학교는 다양한 배치 유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로 편복도형의 구조를 갖고 있고 일부 중복도형 구조를 갖고 있다. 교과블록의 경우 교과교실+교과협의실+교과미디어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홈베이스는 분산형 4개교, 중앙집중형 2개교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미국 중등학교 4개교의 경우 H형, ㅡ형의 배치 유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로 중복도형의 구조를 갖고 있다. 교과블록은 교과교실+교과협의실+교과미디어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락커가 복도에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교과교실형 중등학교 교사공간은 교과과실제의 소요공간 요구 및 활동에 따라 공간이용관련영역, 교과학습지원영역, 공간이동지원영역, 학생편의지원영역, 공간이동관련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들 영역의 요소를 보면 공간이용관련영역은 교과교실, 교과학습지원영역은 교과협의실, 교과준비실, 교과미디어 등, 공간이동지원영역은 홈베이스, 라운지, 락커 등, 학생편의지원영역은 학생회실, 화장실, 음수대 등, 공간이동관련영역은 복도, 계단, 승강구 등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셋째, 이상의 영역들의 중심으로 조사대상학교의 요소를 비교한 결과 공간구성 요소의 기본적인 틀은 유사하지만 명칭의 차이와 학생들의 생활 관리에서 나타나는 차이가 주를 이룬다. 공간이용관련영역의 경우 교과목 종류에 따른 교과교실의 종류의 차이를 알 수 있다. 교과학습지원영역의 경우 국내는 학생이용 보다는 교사의 교수․학습을 지원하는 요소의 비중이 높으며 일본과 미국은 학생과 교사가 사용하는 요소가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공간이동지원영역의 경우 국내와 일본은 생활관리에 의한 홈베이스의 구별이 확실하며 미국은 국내와 일본과는 다른 락커라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편의지원영역의 경우 일본이 비교적 단조로운 요소를 보이며 미국은 스낵코너 및 카페테리아 등 다양한 요소를 보인다. 공간이동관련영역의 경우 한․일․미 모두 유사함을 보이지만 활용면에 있어 미국은 단체활동이나 서클활동, 예술 창작활동 등 다양한 활동의 장소로 이용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영역별 면적 분석을 위해 영역별 점유면적을 상대적 비교를 한 결과 국내 리모델링은 공간이용관련영역 비율이 높고 학생편의지원영역은 낮으며, 국내 신설은 공간이동관련영역이 높고 학생편의지원영역이 낮으며, 일본은 공간이동관련영역이 높고 학생편의지원영역이 낮으며, 미국은 공간이용관련영역이 높고 공간이동지원영역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영역별 비교를 보면 공간이용관련영역은 미국이 가장 높은 점유 비율을 나타내고 일본이 가장 낮은 점유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국내의 경우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이지만 이는 단순한 평면구조의 재배치 이유로 판단된다. 교과학습지원영역은 미국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일본도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국내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점유비율을 보이는데 이는 평면구성의 제약에 따른 재배치의 어려움 때문으로 판단된다. 공간이동지원영역은 일본, 한국 신설, 리모델링이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유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생활지도의 차이로 판단되며 미국의 경우 복도에 일부에 락커를 배치하는 정도의 이용 특성 때문으로 판단된다. 학생편의지원영역은 미국이 가장 높은 점유 비율을 나타내며 일본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나타낸다. 국내의 경우 신설학교 계획시 다소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공간이동관련영역은 국내 신설학교가 가장 높은 점유비율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이동을 위한 넓은 복도와 편복도형 평면구조로 인한 이유로 판단되며, 미국의 경우 비교적 낮은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는 중복도형의 평면구조와 복도의 일부를 교과학습지원영역으로 활용하는 이유로 판단된다. 다섯째, 학생수별 점유면적을 보면 전체적으로 학생 1인당 점유 면적이 일본이 가장 높으며, 국내 리모델링이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영역별로는 공간이용관련영역이 제일 높은 점유 면적을 갖으며 학생편의지원영역이 가장 낮고 한․일․미 조사대상학교를 영역별로 비교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공간이용관련영역의 학생 1인당 점유면적은 일본이 가장 높고 미국, 국내신설, 리모델링 순으로 점유 면적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일본의 경우 교과교실의 다양성과 더불어 학생 수 대비 교과교실의 면적이 넓은 것을 알 수 있으며 국내는 신설에서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초기 계획시 교과교실제를 위한 계획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교과학습지원영역 역시 일본이 가장 높은 점유면적을 보이고 있다. 상대적으로 넓은 점유 면적을 보이는 일본은 다양한 교과학습지원 요소와 이동영역을 교과학습지원영역으로 사용함에 따른 이유로 판단되며, 미국 역시 일본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국내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점유 면적을 보이는데 이는 제한적 평면 구조와 예산의 제약 때문으로 판단된다. 공간이동지원영역은 일본이 가장 높은 점유 면적을 보이며, 미국이 가장 낮은 점유 면적을 나타낸다. 일본과 국내의 경우 생활지도 때문에 미국에 비해 넓은 점유 면적을 보이며 미국은 국내와 일본의 홈베이스와는 다른 락커를 복도에 배치하는 특징 때문으로 판단된다. 학생편의지원영역은 일본이 가장 넓은 점유 면적을 갖고 미국 역시 국내에 비해 넓은 점유면적을 갖는다. 일본의 경우 이 영역의 요소가 적은 특징을 보였으나 적은요소에서도 학생이 사용하는 면적은 상대적으로 넓음을 알 수 있다. 국내의 경우 리모델링에 비해 신설의 점유 면적이 넓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리모델링의 제한적 평면구조에서 벗어나 학생 생활 지원을 위한 편의 공간요소를 학교계획시 반영한 결과로 판단된다. 공간이동관련영역은 국내 리모델링이 가장 좁은 면적을 갖고 신설이 리모델링에 비해 넓어짐을 알 수 있다. 일본의 경우 가장 넓은 점유면적을 보이는데 이는 학교 계획 초기부터 교과교실제 운영을 위해 이동시 혼잡을 최소화하기 위한 계획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미국은 중복도형의 평면구조와 복도에 학생편의지원 및 교과학습지원공간과 공유되어 다소 좁은 점유 면적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교실제 실시에 따른 교사공간 계획자료 도출을 위하여 국내 리모델링 및 신설 학교와 일본 및 미국 학교의 평면자료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 교과교실형 중등학교는 리모델링을 거쳐 신설 계획되면서 공간영역의 구성이 정비 되었지만 교과교실제가 선 시행된 일본 및 미국 학교에 비해 아직은 부족한 실정으로 본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공간 구성 요소 및 영역별 면적 구성, 학생 1인 점유 면적의 정비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일부 학교의 평면자료 분석만으로 연구하였으므로 분석의 양이 미흡하다 할 수 있다. 앞으로 더 많은 교과교실형 중등학교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교과교실형 교육공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한·중 중학교 교사공간 구성요소 비교 분석

        제갈효량 전남대학교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시대의 변화에 따라 교육이 추구하는 목표와 방법도 변화하였으며 그에 따라 교육과정도 변화를 거듭해 왔고 1997년 선진형 교육을 위한 7차 교육과정 개편 이 후 2007, 2009 개정을 거치면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틀이 마련되어 현재와 미래사회에 적응력을 높인 우수한 인재가 배출될 수 있도록 시행되고 있다. 이러 한 교육과정의 변화로 교수 및 학습공간과 운영방법의 변화가 필요함에 따라 기존의 일반교실+특별교실형 운영방식이 교과 전용교실을 갖추어 학생이 수업을 위해 교실을 옮겨다니는 교과교실제가 시행되는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이에 교육 과학기술부에서는 2009년부터 기존학교들에 대한 교과교실형 전환이 시도 되었 으며, 2014년 중․고교 전면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 중등교육의 수업 운영방법은 일반교실+특별교실 운영방식으로 운영돼 왔다. 중국의 교육은 이 교실 운영에서도 약진했지만 학교생활지원에는 소홀해 학생들의 학습 스트레스도 크다. 따라서 한·중 두 가지 교실 운영 제도에서 어떻게 장점을 취하고 보완할 것인지 서로 참고할 필요가 있다. 이번 연구는 한·중 양국의 서로 다른 교실 운영 학교 계획과 면적 비교·분석을 통해 두 가지 수업 운영 방식에 대한 개선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1장에서 연구의 배경, 목적, 범위, 방법을 설명하였다. 2장에서는 연구와 조사 계획을 상세히 설명하고 한·중 양국의 중학교 일반상황을 요약했다. 공간에 대한 분석 계획과 분석 방법도 제시됐다. 3장에서는 한·중 중학교의 공간 구성요소를 분류하고 이 요소들을 영역 별로 재분류하여 한·중 중학교를 영역별 요소비교를 하였다. 4장에서는 평면 자료 분석을 통하여 조사대상 학교의 공간이용관련, 교과학습지 원, 공간이동지원, 학생편의지원, 공간이동관련 영역별 상대적 비교를 위해 면적 비율 분석을 하였으며 학생 1인 점유 면적 비교를 위해 이들 영역별 공간에 대 한 학생수별 점유 면적을 분석을 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에 언급한 조사 대상 학교 영역 요소 비교한 결과 공간적 구성 요소의 기본적인 틀은 유사하지만 공간이용관련영역의 경우, 학교 운영 방식에 따른 차이를 알 수 있으며, 전체 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알 수 있다. 교과학습지원영역의 경우, 중국에서 교사의 교육 학습을 지원하는 요소의 비율은 한국 학생들이 사용하는 요소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공간이동지원영역의 경우, 한국 학생과 중국 학생의 캠퍼스 생활이 홈베이스생활 관리를 통해 확연히 구분된다. 학생편의지원영역의 경우, 중국은 비교적 단조로운 요소를 보여주는 반면, 한국은 학생 회관, 탈의실, 욕실 등 다양한 요소를 가지고 있다. 공간이동관련영역의 경우, 한국과 중국이 유사하지만 한국은 교과교실형에서 홈베이스, 라운지 등 이동관련 공간의 구성요소가 상대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교실 사이를 이동할 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기에서 학생들의 성과를 전시할 수도 있다. 중국의 구성요소은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순한 편이다. 자주 이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학생들에게 강의 사이에 휴식과 산책이라는 기능만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영역별 점유 영역을 비교하여 영역 분석을 한 결과 한·중 양국 공간이용영역이 전체 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인다. 그 한·중의 평균 공간이용비율은 34.9%이고 중국은 40.2%이다. 동시에 교육과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교과학습지원영역의 비중은 두 번째로 높으며 중국 교과학습지원영역 평균 비율은 11.9%이고 한국 교과학습지원영역 평균 비율은 6.3%이다. 중국의 공간 이용관련영역 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지만, 공간이동지원영역, 공간이동관련영역의 비율은 각각 0%, 26.8%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공간이동지원영역과 공간이동관련영역의 비율은 각각 7.6%와 30.3%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학교의 디자인은 학생들의 학습에 더 중점을 둔 반면 한국 학교의 디자인은 학생들의 학습을 고려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삶에 대한 배려를 강조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학생편의지원영역에 있어서 한국은 6.2%로 중국의 10%보다 낮은 편이지만, 한국의 학생편의지원 요소가 더 많다. 이에 비해 중국은 더 단조롭고 지루해 보인다. 높은 면적 비율은 또한 큰 학교 크기 또는 학생 수가 많기 때문일 수가 있다. 셋째, 학생수가 차지하는 면적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학생 1인당 평균 차지하는 면적에 있어서 한국은 7.5제곱미터이고, 중국은 6제곱미터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나누어 보면 한국과 중국의 공간이용관련영역이 각각 3.2, 3.7로 비슷한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공간이동지원영역에서 한국 학생 1인당 평균 사용 면적이 0.6제곱미터이고 중국은 0.1제곱미터 미만이거나 아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편의지원에서 중국 학생 1인당 평균 차지하는 면적은 0.9제곱미터이고 한국은 0.5제곱미터이다. 공간이동관련영역에서 한국 학생 1인당 평균 차지하는 면적은 2.7제곱미터이고 중국은 2.3제곱미터이다. 이는 한국에서 교과교실 제도를 시행하고 있고 또 학생들이 이동해야 하므로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세계 교육 환경에서 한국과 중국의 교실 계획 및 교실 운영 방식의 차이점을 비교하고자 하여 현행 한국 교과 교실 제도의 교실 공간 계획과 중국 현행 U+V자형 교실 제도의 교실 공간 계획을 바탕으로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두 범주 간의 고유한 차이로 인해 이 비교는 여전히 충분하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이번 비교를 통해 서로에게 참조할 수 있는 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일부 학교의 데이터만 분석했고 조사 대상 학교 수가 적어 샘플이 많지 않다는 점이 존재한다는 게 사실이다. 향후 더 많은 한국 교과 교실형 사례를 분석하여 중국 교실 운영 및 기획 진전을 주목하여 한중 양국 교육 공간에 대해 더 많은 연구를 이루고자 한다. The goals and methods pursued by education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and the curriculum has changed accordingly, and after the 7th curriculum reorganization for advanced education in 1997, a systematic and specific framework has been established to produce excellent talents who are adaptable to the present and future society. As such changes in the curriculum require changes in teaching and learning space and operation methods, the existing general class+special class-type operation method has a curriculum-only class, which marks a turning point in which students move their classrooms for classes. Accordingl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s attempted to change the curriculum classroom type for existing schools since 2009, and aims to expand middle and high schools in 2014. However, in China, the method of operating secondary education classes has been operated by operating general and special classes. Chinese education has also made strides in the operation of this classroom, but it is also very stressful for students to learn as it is also very stressful for students to learn as it is negligent in supporting school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fer to each other how to take advantage and supplement the two classroom operating systems in Korea and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improvement plan for two class management methods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different classroom management school plans and areas between Korea and China. First, in Chapter 1,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were explained. Chapter 2 explains the research and investigation plans in detail and summarizes the general situation of middle schools in both Korea and China. An analysis plan and analysis method for space were also presented. Chapter 3 classifies the spatial components of Korean-Chinese middle schools and reclassifies them by area.Middle and middle schools were compared by area. Chapter 4 analyzed the area ratio for relative comparison by area related to space use, subject learning support, space movement support, student convenience support, and space movement of the surveyed schools, and analyzed the area occupied by the number of students. The conclusions are bellow.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lements of the surveyed school area mentioned above, the basic framework of spatial components is similar, but in the case of spatial use-related area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ethod of school operation can be seen, and the proportion of the total area is the highest. In the case of the subject learning support area, the proportion of factors that support teachers' educational learning in China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used by Korean students. In the case of the space movement support area, the campus life of Korean and Chinese students is clearly distinguished through home base life management. In the case of student convenience support, China shows relatively monotonous elements, while Korea has various elements such as student halls, changing rooms, and bathrooms. In the case of space movement-related areas, Korea and China are similar, but in Korea, the components of movement-related spaces such as home bases and lounges are relatively diverse in the subject classroom type. Not only can it be used to move between classrooms, but it can also display students' achievements here. China's components are relatively simple in comparison. This is because there is no need to move often. Students can only be provided with the functions of relaxation and walking between lectures.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occupied areas by area and analyzing the areas, it seems that the space use areas of both Korea and China account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total area. The average space use ratio between Korea and China is 34.9%, and China is 40.2%.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support education and learning, the proportion of subject learning support areas is the second highest, the average ratio of Chinese subject learning support areas is 11.9%, and the average ratio of Korean subject learning support areas is 6.3%. China's ratio of space use-related areas is relatively high, but the ratio of space movement support areas and space movement-related areas is relatively low at 0% and 26.8%, respectively. The proportions of space movement support areas and space movement-related areas in Korea were found to be 7.6% and 30.3%, respectively. It can be seen that the design of Chinese schools focuses more on students' learning, while the design of Korean schools not only considers students' learning but also emphasizes consideration for students' lives. In terms of student convenience support, Korea is 6.2%, which is lower than China's 10%, but there are more elements of student convenience support in Korea. In contrast, China seems more monotonous and boring. The high area ratio may also be due to the large school size or large number of students. Third, looking at the area occupied by the number of students as a whole, it was found that Korea was 7.5 square meters and China was 6 square meters. Dividing by area, the areas related to space use in Korea and China occupy similar areas of 3.2, 3.7, respectively. In the area of space movement support, the average usage area per Korean student was 0.6 square meters, and China was found to be less than or without 0.1 square meters. The average area per Chinese student in student convenience support is 0.9 square meters, and Korea is 0.5 square meters. In the area related to spatial movement, the average area per Korean student is 2.7 square meters, and China is 2.3 square meters. This is because the curriculum class system is implemented in Korea and more space is needed because students have to move. In this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lassroom space plan of the current Korean curriculum system and the classroom space plan of the current U+V classroom system in China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classroom planning and classroom operation methods in the current global educational environment. However, due to the uniqu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ategories, this comparison still does not seem sufficient. However, I think this comparison can provide each other with references. It is true that this study analyzed only the data of some schools and that there are not many samples due to the small number of schools surveyed. In the future, by analyzing more Korean subject classroom-type cases, we intend to conduct mor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space between Korea and China by paying attention to the operation and planning progress of Chinese classrooms.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Uzbek Elementary Schools That Focus on Architectural Space Elements

        AZAMOV BUNYODBEK OYBEK UGLI 전남대학교%0A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architecture of schools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s' learning and behavior. Research shows that well-designed school facilities can positively affect student achievement, attendance, behavior, and overall well-being. The right physical environment can influence how students feel, function, and learn. A well-designed classroom can enhance student learning by providing a comfortable, aesthetically pleasing environment that fosters creativity and collaboration. Appropriate lighting can improve student alertness, concentration, and overall academic performance and etc. The architectural styles and features of elementary schools in South Korea vary depending on the time of construction, location, and the school's size and budget. Generally, modern elementary schools in South Korea follow a standardized model designed to foster a safe and productive learning environment. Some common features of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s include compact and efficient designs, open and airy classrooms, dedicated space for student activities and outdoor play, and advanced technology infrastructure. Many schools also incorporate natural elements such as courtyards, green roofs, and gardens to promot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connect students with n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architectural space elements in different elementary school systems in Korea and Uzbekistan, and the purpose is also to establish basic planning data for elementary school spatial design by comparing and analyzing architectural space elements applied to these two systems. This study is limited to elementary schools operating under the theme of general classroom + special classroom (U+V) and subject classroom (U). After reorganizing the 7th curriculum focusing on globalization, informatization, and diversification, the composition of two typ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spaces was analyzed. Additionally, the composition of teacher spaces among Korean and Uzbek classrooms was compared. Overall,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various architectural space elements of elementary schools in South Korea and Uzbekistan. A total of 6 schools have been chosen for analysis to clearly point out differences in the architecture of elementary schools in both countri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the previous study, the spatial elements related to space manipulation by classroom-sty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divided into four zones: space use-related zone, subject learning support zone, spatial movement-related zone, and student convenience support zone. The efficient allocation of space for each of these four zones has been calculated so that the area per person gives clear indications as to what’s a better system to apply in elementary schools. Cultural contexts and their impacts have been scrutinize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nation’s schools have been examined and the plans have been designed to improve schools by learning from the expertise of each other. All of these factors combined have helped to develop a framework by which countries can establish an effective elementary school system in terms of their architectural space elements and features. 학교의 건축은 학생들의 학습과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잘 설계된 학교 시설은 학생의 성취도, 출석, 행동 및 전반적인 복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올바른 물리적 환경은 학생들이 느끼고, 기능하고, 학습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잘 설계된 교실은 창의성과 협력을 촉진하는 편안하고 미학적으로 즐거운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학생의 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적절한 조명은 학생의 주의력, 집중력 및 전반적인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한국 초등학교의 건축 양식과 특징은 건축 시기, 위치, 학교 규모와 예산에 따라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현대 초등학교는 안전하고 생산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고안된 표준화된 모델을 따르고 있다. 한국 초등학교의 공통적인 특징으로는 컴팩트하고 효율적인 디자인, 개방적이고 통풍이 잘되는 교실, 학생 활동과 야외 놀이를 위한 전용 공간, 첨단 기술 인프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많은 학교에서는 안뜰, 녹색 지붕, 정원과 같은 자연 요소를 통합하여 환경 지속 가능성을 촉진하고 학생들을 자연과 연결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우즈벡이라는 서로 다른 초등학교 물리적 시스템 내 건축공간 요소 간의 차이를 탐색하는 것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이 두 시스템에 적용되는 건축공간 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초등학교 공간디자인을 위한 기초적 계획자료를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일반 교실 + 특별 교실 (U+V) 및 교과 교실 (U) 주제로 운영되는 초등학교에 한정되었다. 글로벌화, 정보화, 다양성을 중점으로 하는 7 학년 과정을 재구성한 후 두 유형의 초등학교 교사 공간 구성이 분석되었고, 한국과 우즈베키스탄 교실 간의 교사 공간 구성도 비교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초등학교 건축 공간 요소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둔다. 총 6 개의 학교가 선택되어 양국 초등학교 건축의 차이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 분석되었다. 이전 연구의 분류 방법에 따르면 교실 형태의 초등학교 교사에 의한 공간 조작과 관련된 공간 요소는 공간 사용 관련 영역, 과목 학습 지원 영역, 공간 이동 관련 영역 및 학생 편의 지원 영역으로 나눠진다. 이 네 가지 영역 각각에 대한 효율적인 공간 할당이 계산되어 각각의 인당 면적이 초등학교에 적용할 더 나은 시스템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한다. 문화적 맥락과 그 영향이 면밀히 조사되었다. 각 국가의 학교의 장단점이 검토되었으며, 서로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학교를 개선하기 위한 계획이 수립되었다. 이러한 모든 요소가 결합되어 국가가 건축 공간 요소와 특징 측면에서 효과적인 초등학교 시스템을 수립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 ECO-School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진 전남대학교%0A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recent years, we have been experiencing record-breaking heatwaves every summer and historically extreme cold winters, all attributed to climate change. This year, in 2023, the world once again witnessed the highest temperatures ever recorded. Earth's temperature is rising each year, and according to the BBC, there are forecasts that our overheating world is likely to break a key temperature limit for the first time within the next five years. There are warnings that the annual average global temperature increase could surpass 1.5°C around 2027, a level higher than pre-industrial levels. Environmental protection has been a topic of discussion for some time, but the concept of protecting the environment used to be somewhat vague. However,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we are now in a situation where protecting the environment is inevitable for our future, which is right in front of us. In society, there is a widespread application of eco-friendly concepts and technologies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school building construction. This research aims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eco-friendly elements in school buildings in South Korea,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state of eco-schools in the countr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eco-schools, their statu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their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Subsequently, 30 schools in South Korea were selected for an investigation of the application of eco-friendly concepts and technologies in eco-school buildings. I conducted research and investigation by selecting 30 schools including those that have received eco-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schools designated as eco-schools by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schools that have started to introduce eco-friendly concepts and schools in the Jeolla-do Province, which still lacks sufficient preceding research in this field.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based on six aspects: site utilization, creation of green spaces, use of water resources, building materials and resource recycling, energy utilization, and creation of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Additionally, it considered eco-school planning elements such as site planning, building planning, building greening, outdoor greenery, water resource conservation, water resource utilization, building materials, resource recycling, design, design and plants, building facilities, solar heating systems, and indoor environments. A total of 30 schools were selected for investig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with five schools examined for each of the six aspects. The schools were chosen from different regions: 5 in the Gyeonggi Province, 1 in Gyeongsangbuk-do, 1 in Gwangju, 2 in Seoul, 1 in Ulsan, 8 in Jeollanam-do, 5 in Jeollabuk-do, 5 in Chungcheongnam-do, and 2 in Chungcheongbuk-do. After researching eco-school cases, the school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 level of eco-friendly element application: Introduction type, Leap type, and Settlement type. This classification was applied using relative evaluation to five schools studied for each of the major aspects and detailed methods in Table 2. Introduction type refers to schools with approximately 1-2 detailed element items installed, based on the number of items. Leap type includes schools with more detailed element items installed compared to the Introduction type schools but fewer than those in the Settlement type. Settlement type encompasses schools with an above-average number of detailed element items installed. If I analyze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I can potentially conduct both aspect-based and region-based analyses. In terms of aspects, it was observed that the indoor environment and water resource utilization categories had the highest level of application. This could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students spend most of their time indoors, making indoor spaces a primary focus for the application of eco-friendly concepts. Additionally, water resource utilization mainly featured cost-effective eco-technologies focusing on efficient storage facilities. The most lacking aspect appeared to be creation of green spaces, as it was challenging to find schools with greenery incorporated into building structures, such as rooftop or wall gardens. Most schools primarily focused on green spaces through small kitchen gardens. In terms of regional analysis, the Gyeongbuk and Ulsan regions had too few schools for meaningful analysis. On the other hand, the Seoul/Gyeonggi region and the Chungnam/Chungbuk region primarily featured schools falling into the introduction and settlement type. In contrast, the Gwangju/Jeonnam/Jeonbuk region had a mix of introduction, leap, and settlement types, indicating that many schools in this region are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adopting eco-friendly concepts. Through this study, I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eco-friendly school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South Korea, it was observed that eco-friendly technologies have been limited to installing solar power generation, when it comes to a high-cost option. Through this study, we conducted a multifaceted analysis of the state of eco-friendly school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South Korea, it was observed that the adoption of high-cost eco-friendly technologies, such as solar power generation, was limited. Instead, schools focused on implementing low-cost eco-technologies, including ponds, tree planting, permeable paving, low-flow toilets/showers, rainwater usage, usage of recycling or low-pollution building materials, waste separation, window/door placement, usage of natural lighting, maintaining optimal temperature and humidity, ventilation systems, noise control, and lighting control. Although this study was limited to a small sample of 30 schools, the comparative analysis revealed that eco-friendly school buildings in South Korea primarily prioritize low-cost eco-technologies and concepts. I hope that in the future, with active investments at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level, there will be an expansion of eco-friendly schools not only in quantity but also in quality. 최근 몇 년간 우리는 기후 온난화로 매년 역사상 최고 더위의 여름을 보내고, 겨울은 역사상 최고 추위의 겨울을 보내고 있다. 2023년 올해 여름도 전 세계가 역대급 최고의 더위를 경험하였다. 지구의 기온은 해마다 상승 중이며, BBC에 따르면 향후 5년 이내에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의 주요 마지노선이 깨질 수 있다는 전망이 최초로 언급되었다. 2027년경 지구 연평균 기온 상승 폭이 1.5°C 이상 높아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으며, 이는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높은 수준이라는 것이다. 환경문제가 화제가 되는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만, 예전에는 막연하게 환경을 보호한다는 개념이었다면, 이제는 정말 바로 눈앞에 닥친 우리의 미래를 위해 환경 보호를 해야 할 수밖에 없는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사회에서는 전반적으로 다방면으로 친환경 기술 등 친환경 개념을 적용시키고 있으며, 이는 학교 건축물에도 해당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친환경 학교 건축물의 친환경 요소 적용 현황을 파악하고 비교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Eco-school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문헌적 고찰을 통해 Eco-school의 개념과 Eco-school의 국내외 현황, 건축적 특성 등을 조사한 뒤 친환경기술과 친환경 개념이 적용된 국내학교 30곳을 선정하여 Eco-school 건축물의 친환경개념과 기술 적용현황을 조사하였다. 30곳의 학교는 친환경건축물인증을 받은 학교, 시도교육청에서 Eco-school로 선정한 학교와 친환경개념을 도입하기 시작한 학교들이며, 아직 선행연구 부문이 부족한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학교를 선정하여 조사 및 연구하였다. 조사는 부지 이용, 녹지공간의 조성, 수자원의 이용, 건축재료 및 자원재활용, 에너지 이용,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의 6가지 측면과 부지계획, 건축물계획, 건축물 녹화, 옥외공간녹화, 수자원 보전, 수자원 활용, 건축재료, 자원재활용, 디자인, 디자인 및 식물, 건축설비, 태양열 이용 시스템, 실내환경 등의 Eco-school 계획 요소를 기준으로 진행하였다. 총 30개의 학교를 위 6개의 측면을 기준으로 각 측면마다 서로 다른 5개의 학교를 조사 및 비교분석을 하였다. 학교는 지역별로, 경기지역 5곳, 경북지역 1곳, 광주지역 1곳, 서울지역 2곳, 울산 1곳, 전남 8곳, 전북 5곳, 충남 5곳, 충북 2곳으로 선정하였다. Eco-school의 사례를 조사한 뒤 학교들을 친환경 요소 적용 수준을 기반으로 도입, 도약, 정착형 3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이는 표2의 Eco-school 계획 요소 및 세부수법의 주요 측면 별 조사한 5개의 학교 안에서 3개의 유형을 적용하기 위해 상대평가를 적용하였다. 도입형은 세부요소 항목 개수 기준 1~2개 정도 설치된 학교를 말한다. 도약형은 도입형 학교보다는 더 많은 세부요소 항목이, 정착형보다는 적게 설치 된 학교를 말한다. 정착형은 평균 이상의 세부 요소 항목이 설치된 학교를 말한다. 조사한 자료의 기준에 한하여 조사자료의 분석은 Eco-school의 특성별 분석과 지역별 분석을 기초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특성별 분석의 기준으로는 쾌적한 실내환경과 수자원의 이용 부문이 가장 많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아마도 학생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 실내다 보니, 실내를 중심으로 친환경개념이 우선으로 적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수자원의 이용의 경우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한 우수시설 위주의 친환경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장 미비한 부문으로 확인이 되는 부문은 녹지공간의 조성 부문으로 옥상이나 벽면녹화 등의 건축물이 녹화된 학교의 사례를 찾기가 어려웠으며, 주로 텃밭 운영을 중심으로 녹지를 조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기준으로는 경북 울산 지역은 학교 사례가 너무 적어 분석이 무의미하며, 서울경기지역이나 충남 충북지역은 도약형과 정착형 학교가 주를 이루고 있고, 광주전남전북 지역은 도입형, 도약형, 정착형 학교 사례가 모두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광주전남전북 지역이 친환경 개념 도입 시작 단계에 있는 학교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외 친환경 학교 실태를 분석한 결과, 국내는 아직까지 고비용의 친환경 기술은 태양광 발전 설비로 머물러 다소 제한적이었으며, 연못, 나무식재, 투수성 포장, 저흐름 변기/샤워기, 우수 이용, 재활용 또는 저공해 건축재료 사용, 쓰레기 분리수거, 창/문 배치, 주광 이용, 적정 온습도 유지, 환기시스템, 소음조절, 현휘조절 등 저비용의 친환경 기술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비록 30개의 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제한적인 사례에 대한 연구였으나, 지금까지의 비교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친환경 학교 건축물은 저비용의 친환경 기술이 적용된 건축물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정부 또는 지방자치 수준에서의 활발한 투자를 통해 양보다 질적인 친환경 학교의 보급 및 확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