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색채요법을 적용한 퇴행성슬관절염의 임상효과

        이준육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일본의 Kashima 색채연구소가 창안한 색채요법의 임상적 유의성과 이에 따른 보완․대체 의학적 가치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색채요법의 임상적 유의성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자 노인성 퇴행성슬관절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실행하고 실험전후의 관절가동범위와 통증정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실험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퇴행성슬관절염 환자의 관절 가동범위(ROM) 측정 결과에 따른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한 결과, 슬관절의 좌측 변화는 108.93°에서 124.29°, 우측 변화는 112.14°에서 126.7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01), 이것을 검정하기위하여 반복측정일원분산분석(One-way repeated measures ANOVA, RMD)을 실시한 결과 슬관절 좌, 우측의 ROM 변화는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p<0.001). 따라서 색채요법을 적용함에 따라 슬관절의 ROM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통증지수(VAS)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사전 10.00에서 3.2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이를 검정하기 위해 반복측정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통증지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어(p<0.001) 색채요법의 적용함에 따라 통증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근거로 색채요법을 적용한 퇴행성슬관절염에 대하여 관절가동범위와 통증의 변화에 임상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발현하는 것을 객관적으로 검증하였으며, 비침습적인 방법의 색채요법이 안전성과 즉효성을 특징으로 하는 요법으로써 주류의학(主流醫學)에 대하여 보완․대체 의학적 관점에서도 유의한 결과를 시사(示唆)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clinical significance and usefulness of color therapy i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CAM) by analyzing change in Range Of Motion(ROM) and pain in the knee joints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arthritis. 15 elderly women with degenerative knee arthriti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olors being used in this study are the coloring group produced by the Kashima Color Research Center in Japan. Standard color selection is based on the theory of human anatomy, physiology, pathology related to the acquiring mechanism of degenerative arthritis of the kne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fter color therapy intervention, knee joint ROM on the left and right side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knee arthritis increased from 108.93° to 124.29° and from 112.14° to 126.79° respectively(both p<0.001), Knee pain significantly reduced from 10.00 to 3.29.(p<0.001) In conclusion, color therapy resulted in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knee joint ROM and pain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arthritis of the knee. Therefore, color therapy is significantly proved that it is cost effective, non- invasive and safe CAM treatment.

      • 복근수축이 요추의 중력중심이동과 요추전만도에 미치는 영향 : 골반이 전방편위된 요통환자를 중심으로

        신민곤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골반이 전방편위된 만성 요통환자들을 대상으로 자세처방으로서 기립자세시의 복근수축이 요추의 중력중심이동과 요추전만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평소 서 있을 때의 적절한 복근수축 여부가 전방편위된 골반과 요추의 중립자세 회복에 도움이 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요통으로 K정형외과에 내원한 환자들 중 요통을 6개월 이상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호소하고 골반이 전방편위로 고착된 환자 21명(남 5명, 여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상의 중력중심선인 추선 옆에 환자를 기립자세를 취하게 하고 평소의 자세대로 선 모습과 요추가 굴곡 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수축할 수 있을 정도의 힘으로 적절히 복근을 수축한 후의 선 모습을 측면에서 방사선 촬영하였다. 이때 추선의 정렬중심은 환자의 외측 복사뼈 바로 전방으로 동일하게 위치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근수축 전 성별과 연령에 따른 요추전만도와 골반과 중력중심선과의 거리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복근수축 후 복근수축 전과 비교하여 남녀 모두에서 요추전만도의 변화는 없었고, 연령에 따른 요추전만도의 변화에서는 30대, 40대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50대에서 복근수축 후 요추전만도의 감소가 있었다.(p<0.01) 셋째, 복근수축 후 성별과 연령에 따른 골반과 중력중심선의 거리가 감소되는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01) 넷째, 전체집단의 복근수축 전․후의 요추전만도는 변화가 없었지만, 골반과 중력중심선의 거리가 감소되는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01) 본 연구의 결과로 골반이 전방편위된 만성요통환자의 복근수축이 요추전만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골반과 요추를 중립위치로 회복시키는데 유의한 방법임이 검증되었다. 복근수축은 척추의 중립자세 회복이 목적인 요부 안정화운동 후의 자세처방으로서 적절하고, 골반과 요추의 중립자세 회복에 도움을 주며, 골반 전방편위 자세로 인한 척추 후관절의 과도한 압박을 줄여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감초를 가미한 토복령탕이 중금속 해독에 미치는 영향 : 수은을 중심으로

        공경희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인간은 산업발전과 함께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농수산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농약, 등의 여러 가지 인공적인 화학물을 자연의 생태계에 투여하게 되었으며, 산업발전으로 인한 자원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폐기물들이 자연으로 재 흡수되는 과정에서 생태계가 나날이 오염되고, 파괴되는 등 여러 가지 심각한 환경오염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로 인한 각종 오염물질이 동식물을 거쳐 혹은 직간접적으로 생활환경 및 식생활을 통하여 유해한 중금속 성분이 인체 내로 유입되어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인간의 건강에 지속적으로 위협을 가하는 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중금속은 환경적인 요인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우리 생활 주변에 늘 함께 존 재한다. 따라서 우리는 인체 내에 축적되는 유해한 중금속 중독을 피하기 어려운 현실에 봉착해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중금속을 인체 내에 덜 쌓이게 하거나 혹은 많이 배출하게 하는 등, 해독하는 방법을 모색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목적은 천연물질인 감초를 가미한 토복령탕을 복용하여 인체 내에 축적되어 있는 수은을 중심으로 한 중금속 중독의 해독력에 대한 효과를 분석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중금속 해독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모발 검사를 통하여 먼저 인체 내에 축적되어 있는 중금속 농도를 측정한 후, 실험대상자를 A, B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감초를 가미한 토복령탕을 두 그룹에게 일정량을 달리하여 복용하게 한 후에 다시 2차 중금속 검사를 하여 인체 내에 축적되어 있는 중금속 농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1. Hg의 중금속 해독에 대해서 시기의 주 효과가 유의하게 나 타났다. 2. Pb, U, Cs, As, Al, Ba, As, 등 7개 항목의 중금속에 대해서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3. A그룹에서 Cd와 Tl만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 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감초를 가미한 토복령탕을 복용했을 때 A, B 두 그룹에서 Hg의 농도는 유의하게 모두 감소했음이 나타났으며, 복용량의 증가와 함께 Hg 해독력이 증가되었음을 나타냈다.

      • 노년기 섭생이 건강장수에 미치는 영향 : 종교활동노인을 중심으로

        김주연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동양의 각종 고전 문헌에서도 질병이 발생한 이후의 치료보다는 예방적 건강관리가 중요한 것으로 보고, 그 중 한 가지 방법으로 攝生法(섭생법)을 제시하고 있다. 즉 전통적인 건강관리법에서는 섭생(攝生)이야말로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방법 중 하나로 간주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옛 사람들은 일정한 원칙과 방법에 따라 섭생을 실시한다면 건강장수도 가능하다고 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이 인지하고 있는 특성 중 지각된 건강상태와 자기효능감이 섭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 노인으로는 2010년 9월 10일부터 11월 10일까지 S시에 소재하는 교회, 노인대학, 노인정 등에서 건강교육 프로그램에 참석한 60세 이상 노인 243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김애정1)의 섭생, Speake, Cowart와 Pellet2)가 개발하고 황미혜3)가 번역한 지각된 건강상태 등을 참고하였으며, 자기 효능감 측정은 Sherer와 Maddux(1982)에 의해 개발되고 오현수4)가 번역, 서현미5)가 수정한 도구를 이용하여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적처리를 위해서는 SPSS/WIN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빈도와 백분율, Cronbach‘s alpha 계수, 요인분석, t-test, Pearson's, 사후검증등 Duncan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지각된 건강상태는 100점 만점에 67.599점, 자기효능감은 100점 만점에 69.0206점, 섭생은 100점 만점에 66.008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각된 건강상태와 자기 효능감의 경우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었지만, 소득수준별로는 지각된 상태(F=4.744, p<0.003)와 자기 효능감(F=3.759, p<0.1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지각된 건강상태는 100만원 미만과 200만 원 이상 집단에서 측정도구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200만 원 이하와 300만 원 이상 집단에서 측정도구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섭생, 지각된 건강상태, 자기 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특히 섭생과 지각된 건강상태는 (r=.290, p<0.01)는 다른 변수와의 관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섭생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는 수면 및 휴식섭생, 식생활섭생, 운동섭생, 계절수면섭생, 성생활섭생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섭생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수면 및 휴식섭생 (r=.851, p<0.01)이 가장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식생활섭생 (r=.761, p<0.01), 운동섭생 (r=.663, p<0.01), 계절수면섭생 (r=.565, p<0.01), 성생활섭생 (r=.485, p<0.0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건강장수를 위한 섭생에서 ‘지각된 건강상태, 자기 효능감 변수가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확인시켜 준 셈이다. 그러므로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중․장년층으로 하여금 건강한 노후생활을 준비토록 하기 위해서는 이들 중요 영향요인들을 다양한 건강교육프로그램 운영에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뇌졸중환자의 경직감소를 위한 서양의학과 대체의학의 방법비교 : 인터넷 검색을 중심으로

        김양구 경기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method tried to decrease spasticity side on western medicine and alterative medicine, and apply the effect method in clinic by comparative analysis of effective numerical value. Data was analysed in the base of 39studies searched from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pubMed on the internet in SMC medical information center. (The keyword "spasticity & stroke & western medicine / spasticity & stroke & alterative medicine) From western medicine point of view, there were 7studies on treatment using the botulinum toxin(33.3%), 3studies on consideration decreasing spasticity of the stroke patients(14.2%), 2studies on treatment using the baclofen(9.5%), 2studies on effect of decreasing spasticity of training for strengthening goal and passive repeated movement(9.5%), 1study on effect of electronic needle(4.8%), 1study on treatment using the feedback(4.8%), 1study on effect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4.8%), 1study on effect of Coordination Dynamic Therapy(4.8%), 1study on treatment using the mirror and 1study on comparison between hospital rehabilitation program and home rehabilitation program(4.8%).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harmaco-therapy such as the botulinum toxin and the baclofen. From alterative medicine point of view, there were 7studies on treatment using the programed stretching or the electromyography feedback(38.9%), 4studies on treatment using the electronic needle(22.2%), 2studies on treatment using drug, marihuana and anesthetic(11.1%), 1study on grasping power test using botulinum toxin(5.5%), 1study on appling variety methods of the gait training(5.5%), 1study on spasticity test of stroke patient using regional reflex(5.5%), 1study on effect of the virtual reality exercise(5.5%) and 1study on effect of decreasing spasticity of the arm cycling(5.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lectronic needle and the electromyography feedback. In conclusion, From western medicine point of view, there were 47.6% at a high rate in the pharmaco-therapy such as the botulinum toxin, tizanidine, baclofen and so on. From alterative medicine point of view, there were 38.9% in the electronic needle and the electromyography feedback. Many of the treatments tried for stroke patients were lacked in the result such as more objective and standar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this finding.

      • 잣나무 구과 추출물의 항상화효과 및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

        유동엽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천연물의 활용이 날로 증가되는 현상과 더불어 이미 알려진 수목의 물질 소재에 대해 다양한 생리활성 검색을 실시하여 그 적용을 검토하여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 선택된 수종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침엽수중 가장 계절적으로 수량 확보가 용이 하고, 수목의 전혀 손상 없이 수집할 수 있는 잣나무에서 탈각하고 버려지는 구과(毬果)를 활용하여 수증기증류법에 의해 추출한 정유를 이용하여 항산화효과 및 항균에 대한 활성 정도를 검토 하였다. 항산화효과는 총 폴리페놀함량의 분석, DPPH법에 의한 free radical 소거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의 항목에 대해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흡광도 측정방법으로 생리활성 정도를 실험하였으며, 미생물의 항균활성 검증에는 E-coli, Staphylococcus aureus와 Candida albicans균에 대해 각각의 배양된 세균을 희석하여 초기 접종균수를 조정한 후 5분경과후의 세균수를 측정하여 초기 세균수에 대한 감소율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항균활성 정도를 연구하였다. 총 폴리페놀함량은 19.6mg/mL로 국내 다른 식물과 비교하여 낮게 나타냈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원액상태에서는 46.0%, 50%농도에서는 15.2% 10%농도에서는 8.8%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하였으며,. 대조군인 비타민 C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 또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 하였으며, 1%농도에서도 91.8%로 대조군인 비타민 C 84.9%보다 높은 결과로 나타나, 매우 뛰어난 아질산염 소거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균효과는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캔디다균에 대해 모두 99.9% 이상 살균되는 것으로 나타나 항균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내었다. 잣나무 구과에서 추출한 정유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에 대한연구와, 미생물에 대한 항균검토의 확대뿐 아니라 인체에 독성과 부작용등도 검토되어 일정한 안전성과 효과가 확인 된다면 합성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인 식품첨가물, 천연항균제 및 보조항산화제로써 이용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 BFO 착용이 pelvic level에 미치는 영향

        조기철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평발을 BFO를 이용하여 교정했을때 골반레벨의 교정효과도 있다.

      • 테이핑요법이 엉덩관절 상해 시 통증경감과 턴 아웃 R.O.M 변화에 미치는 영향 : 현대무용전공자를 중심으로

        장구보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83

        Abstract MS. Thesis The Influence of Taping Therapy on the Alleviation of Pain and the Change in the Turn-out R.O.M, in case of a Coxa Injury : Centered on those majoring in modern danceChang, Ku Bo Major in Manipulate Therapy Graduate School of Alternative Medicine Kyonggi University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alleviation of a pain and the effects made on R.O.M by applying taping to an injury in coxa. To accomplish this goal, 44 subjects majoring in modern dance with pain in the coxa were categorized into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 group with 22 subjects in it respectively, and the pain and R.O.M.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aping were measured with Baseline Dolorimeter and an angle measurer. Y-type of and I-type of taping were applied to the injured muscles of bending, stretching, gathering, stretching out, intortors and lateral rotators of the subjects’ coxa, the pain threshold value and the turn-out R.O.M were measured,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taping were compar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Faber and Patrick test of the coxa using Baseline Dolorimeter proved that there was significance in the pain alleviation test (P<0.05). Second, turn-out R.O.M test (P<0.05) using Baseline Goniometer turned out to be meaningful.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in the case of a coxa injury, the taping of muscles of hip flexor, extension, abduction, adduction, external rotation, internal rotation of a dancer’s coxa affected the decrease of pain and the turn-out R.O.M.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taping of muscles of hip flexor, extension, abduction, adduction, external rotation, internal rotation of a dancer with injured coxa will be able to used as a method of prevention and a conservational therapy for those majoring in modern dance who can be hindered by the negatively impeding elements of movements and mental slump by an injury occurred during a dance. 국문요지 석사학위청구논문테이핑요법이 엉덩관절 상해 시 통증경감과 턴 아웃 R.O.M 변화에 미치는 영향 -현대무용전공자를 중심으로-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수기치료 전공 장 구 보 본 연구의 목적은 엉덩관절 상해 시 테이핑의 적용에 따른 통증경감과 R.O.M 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엉덩관절 부위 통증이 있는 현대무용전공자 44명을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각각 22명씩 나누어 테이핑 적용 전, 후의 통증과 R.O.M 을 베이스라인압통측정기와 각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피험자의 환측 엉덩관절 굽힘, 폄, 모음, 벌림, 안쪽돌림, 가쪽돌림근에 Y자형과 I자형으로 테이핑을 하고 통증역치와 턴 아웃 R.O.M 을 측정하여 테이핑 전과 테이핑 후의 결과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Baseline Dolorimeter를 이용한 엉덩관절의 훼이버 패트릭 테스트 시 통증감소 검사(P<0.05)에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Baseline Goniometer를 이용한 턴 아웃 R.O.M 검사(P<0.05)에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엉덩관절 상해 시 무용수에게 엉덩관절 굽힘, 폄, 모음, 벌림, 안쪽돌림, 가쪽돌림근에 테이핑을 하는 것으로 엉덩관절 통증 감소와 턴아웃 R.O.M 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엉덩관절 상해가 있는 무용수를 대상으로 엉덩관절 굽 힘, 폄, 모음, 벌림, 안쪽돌림, 가쪽돌림근 테이핑은 무용상해로 동작의 부정 적 저해요소와 정신적 슬럼프로 연장 될 수 있는 현대무용 전공자들에게 예 방 및 보존적인 치료요법으로 이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 라복자(羅蔔子)를 이용한 이혈요법이 체지방 및 생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명숙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83

        무분별한 체중감량을 위한 잘못된 노력으로 오히려 질병에 노출될 기회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혈요법은 인체의 자가치유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탁월하며 각 장기와 부위가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게 만든다. 향후 비만관리에 천연 라복자를 이용한 이혈요법이 비만을 극복하는 좋은 방법 중 하나로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영골 함곡혈에 이온침 요법이 긴장형두통에 미치는 효과

        남순자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83

        본 연구는 여성에게 특히 발병율이 높은 긴장형두통(tension-headache) 질환자에게 이온침(microcurrent pulse stimulator))으로 영골․함곡혈을 자극한 전후 두통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MPS 자극 횟수에 따른 두통의 변화 및 실험 종결 후, 두통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긴장형두통 질환자에서 일시적인 효과뿐인 약물의 의존성을 예방하는 데 있었다. 피실험자는 서울 경기 지역의 거주자로 22-65세 여성으로 제한하였다. VAS(visual analogue scale)의 점수가 7cm이하, 약물치료를 받지 않는 상태이며, 암이나 뇌수술 병력이 없으며, 임신 상태가 아닌 여성들의 동의를 얻어 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은 1주 3회 2주간 실시되었다. 국제두통학회(IHS)분류 기준 개정판에 따른 긴장형두통(tension-headache) 의 진단기준에 적합한 3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실험자는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15명으로 분류하였다. 남좌여우의 취혈법에 따라 우측 영골․함곡혈에 MPS로 자극되었다. 실험군은 MPS on 상태에서 총 두 개 혈이 사용되었다. 대조군은 MPS off 상태에서 영골과 함곡혈에 200g의 압력으로만 자극되었다. 두 경혈에 각각 5분간 MPS을 자극한 후, 통증의 변화를 VAS의 점수에 따라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6.0을 사용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6회 동안 실험 전후 두통 변화의 분석을 위해 대응표본 T-test(Paired T-test)을 사용하였다. VAS에 의해 측정된 두통의 차이는, 6회에 걸친 실험분석을 위해 각 집단별로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자극의 시기와 집단 간의 차이도 개체 내 효과 검정을 하였다. 또한 자극을 가한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분석의 유의는 다음과 같이 검증하였다(p<0.1, p<0.05, p<0.001). 1) MPS 자극 전후 두통 차이 비교분석에서 MPS의 자극이 실험군에서 감소 효과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2) 대조군에서도 유의하였다(p<0.05). 3) MPS 자극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통 감소 효과가 높았으며, 유의하였다(p<0.001). 4) MPS 자극 종결 이후, 시간 경과에 따른 두 집단 간 두통의 차이는 저조하 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지 않았다(p>0.1). 연구 결과, 영골․함곡혈에 적용한 MPS 자극인, 저주파 전기 치료는 긴장형두통 질환자의 통증 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이 규명되었다. 키워드: 긴장형두통, 영골, 함곡, 이온침(MPS), 경혈, 저주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