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자원봉사만족도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통체의식 매개효과

        노수희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the impact of volunteer satisfaction, which is one of the 7 motivations-desires of social welfare majors, o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major, and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ty consciousness. Data were collected by an anonymous self-written questionnaire survey with 332 students in the 1st ~ 4th year who had volunteer experiences as social welfare majors at a university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a total of 319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13 that were inadequately answer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gender, year, credits, and economic level under control using SPSS 22.0.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olunte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Second,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ty consciousness showed that community conscious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satisfaction and their major satisfaction.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7가지 동기-욕구인 자원봉사만족도가 전공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사회복지전공대학생으로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1~4학년 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익명식 자기 기입 설문조사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조사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13부를 제외한 319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성별, 학년, 학점, 경제수준을 통제한 상태에서 SPSS 22.0을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만족도는 공동체의식과 전공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공동체의식 또한 전공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공동체의식은 자원봉사만족도와 전공만족도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실천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자의 겸직업무 실천경험에 관한 연구

        고미화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사회복지 환경은 사례관리의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어 지역사회복지관은 그 환경에 맞게 전문성을 키워가고 있지만 이런 노력에도 인력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역사회복지관은 사례관리 전담팀을 구성하였으나 타 업무를 같이 수행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사례관리 전담직원이 아닌 겸직 사례관리자가 여타 업무를 진행하면서 사례관리업무를 동시에 운영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체계적인 사례관리가 되지 않을 것으로 추측이 된다. 이에 사례관리자들이 현장에서 겸직을 맡으면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들여다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추진되고 있는 겸직업무 사례관리자들의 실천경험들이 어떠한지를 드러내는 것이 중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겸직업무 사례관리자의 실천경험은 어떠한가?”라는 연구 질문을 통해 겸직업무 사례관리자의 사례관리 실천경험의 본질을 드러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로써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인간 경험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고, 경험 주체의 생생한 체험과 인식을 통하여 현실의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의미의 발견을 위한 과정은 글쓰기를 통해서 개념을 추출하는 과정이며, 첫째, 반복적으로 읽기, 둘째, 성찰하기, 셋째, 의미 있는 구절 찾기, 넷째, 의미 단위로 묶기, 다섯째, 개념 추출하기, 여섯째, 문장화하기 순으로 하였다. 이러한 순환적 과정을 통해 연구자의 언어로 의미를 도출하였으며, 학문적 용어로 전환하여 겸직업무 사례관리자의 실천경험의 구조로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겸직업무 사례관리자의 경험의 구조는 92개의 의미단위, 26개의 드러난 주제, 8개의 본질적 주제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본질적 주제는 “사례관리업무 집중의 곤란”, “업무의 과부하”, “전문사례관리자로서의 성장이 정체됨”, “과무과다로 심신의 곤란”, “나를 버티게 하는 동력”, “겸직의 강점”, “전담 시 경험과의 비교”, “ 업무효율화를 위한 갈망”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의 전문성향상을 위해 현실적인 인력기준이 필요하며, 최소한의 인력기준으로 규정하기 보다는 전담인력기준 사례관리인원으로 기준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사회복지관의 모든 직원들에게 의무적인 사례관리 교육을 통하여 사례관리 관점과 실천이 일치가 될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사례관리자가 사례관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사례관리자가 해야 할 업무의 목적과 내용, 방법과 순서 등을 명확히 제시해 줄 수 있도록 업무의 명확한 규정이 필요하다. 넷째, 사례관리서식 간소화를 통한 사례관리실천과정에 실적 중심이 아닌 실천 중심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지역사회복지관 이 주도적인 환경이 될 수 있도록 조직체계의 재논의가 있어야 한다. 여섯째, 겸직사례관리자들의 심리적, 정서적인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기관차원, 사회복지사협회와 정책차원에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만 질적 조사가 이어졌고, 사례관리를 하는 다양한 기관이 포함되지 않았으며, 지역적으로 한계가 있다. 이에 후속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일반화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표본을 크기를 크게 하여 진행한다면 본 연구의 한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As the social welfare environment continues to require the professionalism of the case,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is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the lack of expertise in the environment, but the labor community is suffering from lack of manpowe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has formed a team of managing practices, but it is the reality that it is doing other tasks together. It is assumed that the case manager will not be managing case management as a case manater in case of a case manager, rather than managing case management tasks, but managing case management is unlikely to lead to systematic case management. In this case, we need to look at how case managers look at case management and other tasks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 was important to to expose the experience practices of concurrent managers working on cases in the fiel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tudy asks, " What is the experience of the practice of concurrent work manager?" and aims to demonstrate the nature of the practice of managing the practice or managing the case manager. The research method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human experience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to reveal the essence of reality through vivid experience and awareness of human experience. The process of identifying semantic meaning is the process of extracting concepts through writing, first, repeated reading, second, insight, third, find a meaningful phrase, fourth, bound in semantic unit, sixth, sentence writing. Through this recursive process, the language was derived from the language of the researchers and translated into the structure of the practice of managing the practice cases by converting to scholarly terms. The structure of the concurrent case manager has been derived from 92 semantic units, 26 revealing topics, and 8 essential thematic topics. The derived essence emerged as the " difficult of manage case management tasks", "too much work", "growing growth as a professinal case manager", a lot of work is physically demanding"," the strength of my support", "the advantages of plural offices", "comparison of experience when dedicated", "work efficientl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given First, staffing standards are needed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local community, and staffing standards should be definded as staffing standards, rather than staffing standards. Second, training is required to ensure that the case management perspective is harmonized with practice management through compulsory case management training for all employees a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Third,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case manager, the case manager requires a clear set of rules to clarify the purpose, content, and order of the tasks to be done by the case manager. Fourth, the practice of managing case management practices through simplification of case management should be carried out in practice rather than focusing on performance center. Fifth, it should be discussed again in the organizational system to lead the community to lead the initiative. Sixtgm efforts are needed for the institutional level,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policy level to resolv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the concurrent case managers. Finally, the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tudy was conducted only by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focusing exclusively on the local community, and there are regional limitations that cover the case and are limited in regional studies. Further research will reduce the limit of this study if the size of the sample is greatly reduc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generalization.

      • 아동양육시설 시설보호청소년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김상란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is study, social shrinkage, rejection sensitivity, and stigma were designated as risk factors based on prior research in order to analyze the child care facility's willingness to stand alone, and social support, adaptability, and self-efficacy as the protection factors for gender, age, school class, and sexuality. The purpose of the Chapter is to provide direction of involvement for more effective child care youth's independence by providing a two-way approach to reducing risk factors for child care facilities and enhancing protective factors. To achieve this goal, a four-week surve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 19 child care facilit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four weeks, and 206 parts were used in Stat, excluding six inappropriate questionnaires. Using the SPSS/WIN 22.0 statistical program, the collected data used the Scheffe method for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d post-testing to identify differences in independence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risk factors, protection factors and self-reliance,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simple correlation analysis,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n self-sufficiency. According to the study,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will for self-reliance, and the higher the will for self-reliance was for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business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higher the will for self-reliance and the higher the will for self-reliance than the lowest, lower, and middle and middle schools. Second, a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will and risk factors and the protective factors,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firs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isk and the protective factors. In other words, high risk factors indicate low protection.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and self-reliance also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other words, high risk means low self-sufficiency.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ctive factors and self-reliance has shown a positive correlation. In other words, if the protection factor is high, the self-reliance ratio is also high. Third,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that affect child care facilities' willingness to stand on their own feet indicated that social shrinkage, rejection sensitivity, and stigma would lower the willingness of self-reliance among young people. According to a study,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flexibility in the protection factor will increase social support, and the study has adopted both 1-3 degrees of the study hypothesis 2. Fourth, it was found that social deterioration, stigma,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self-reliance will affect self-reliance.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effects of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n the self-reliance of a facility's protective youth are found to be as follows. First, studies related to the existing willingness to self-reliance were conducted in separate reports of demographic or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but this study indicates the impact on the self-sufficiency of the facility's protective youth by looking at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together. Second, studies related to existing independence are based on the private approach of the facility protection youth, but this study identified the influence of various variables and analyzed their influence on the risk and protection factors comprehensively, so it is meaningful to demonstrate that the concept of elimination of risk factors and enhancement of protection factors can be applied to the independent will of the facility guardians. Third, the Act provided direction of involvement in the facility protection youth's self-reliance program by identifying the risk factor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independence in the protection factors.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시설보호청소년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회적 위축, 거부민감성, 낙인감을 위험요인으로, 사회적지지, 적응유연성, 자기효능감을 보호요인으로 성별, 연령, 학교급, 성적으로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아동양육시설 시설보호청소년의 자립의지의 위험요인을 감소시키고 보호요인을 강화시키는 양방향적인 접근을 제시하여 보다 효과적인 시설보호청소년의 자립에 대한 개입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아동양육시설 19개 시설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4주에 걸쳐서 조사가 실시되었고, 부적절한 설문지 6부를 제외한 206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립의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One way ANOVA와 사후검증으로 Scheffe방법을 사용하였다. 위험요인, 보호요인, 자립의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단순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위험요인, 보호요인이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립의지의 차이는 연령이 높을수록 자립의지가 높았으며 학교급은 인문고, 실업계고, 중학교로 인문고가 자립의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적에 따라서는 성적이 좋을수록 자립의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후검증 결과 최하, 하보다 상, 중이 자립의지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종속변수인 자립의지와 위험요인, 보호요인간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 먼저 위험요인과 보호요인과의 관계의 경우에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위험요인이 높으면 보호요인은 낮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위험요인과 자립의지와의 관계의 경우도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위험요인이 높으면 자립의지는 낮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보호요인과 자립의지와의 관계의 경우에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보호요인이 높으면 자립의지도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아동양육시설 시설 청소년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분석한 결과, 위험요인에서는 사회적 위축, 거부민감성, 낙인감이 높아지면 자립의지는 낮아질 것이라는 결과로 연구 가설 1의 1~3의 다 채택되었다. 보호요인에서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적응유연성이 높아지면 사회적 지지도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로 연구 가설 2의 1~3도 다 채택되었다. 넷째. 자립의지와 관련하여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있어 사회적위축, 낙인감,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가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설 보호 청소년의 자립의지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함의가 있다. 첫째, 기존의 자립의지와 관련한 연구들은 인구통계학적 또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따로 보고 실시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같이 살펴봄으로써 시설보호청소년의 자립의지에 영향력을 입증하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기존의 자립의지와 관련한 연구들은 시설 보호 청소년의 개인적 접근에 근거한 바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하였고,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대한 영향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으므로 위험요인들의 제거와 보호요인의 강화라는 개념을 시설 보호 청소년의 자립의지에 적용할 수 있음을 입증하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시설 보호 청소년의 자립의지에 대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있어 자립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혀 냄으로써 시설 보호 청소년의 자립프로그램에 개입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분노조절프로그램이 규율위반수용자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 교류분석이론을 중심으로

        한도완 신라대학교 상담치료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분노조절의 어려움으로 구치소 내에서 규율을 위반하여 징벌 경험이 있는 20대 수용자를 대상으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공격성과 충동성,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개입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교류분석이론에 근거한 분노조절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그 프로그램은 8회기로 구성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류분석이론에 근거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규율위반수용자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규율위반수용자의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규율위반수용자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규율위반수용자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부산 소재 P구치소의 심리치료팀의 추천으로 분노조절의 어려움을 겪는 규율위반 수용자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8명과 통제집단 8명으로 집단을 구성하였다. 교류분석이론에 근거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2021년 3월 12일~3월 29일 까지 매회기 당 1시간씩 3주 동안 실시하였다.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2.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처리하였으며, 연구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비모수검증을 활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과 교류분석이론에 근거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Wilcoxon-Ranks 검증과 Mann-Whitney U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류분석이론에 근거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집단 내 사전-사후 평균점수와 차이검증에서 공격성과 충동성, 자기효능감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으나 자기통제력은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두 집단 간 사전-사후 점수 변화량의 차이에서는 공격성, 충동성,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의 모든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논의를 통하여 규율위반수용자의 수용생활에 대한 심리적 부적응에 대하여 법 개정과 외부 심리관련 전문가의 채용이 요구되고 또한 여러 심리치료 이론을 절충하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anger-control training program on prisoners for disciplinary violations in the age of twenties who have experienced sentencing due to juvenile behavior caused by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 program is based off on transactional analysis and the paper specifically focuses on the effects of the decrease of aggression and increase of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of these prisoners. To reach these objectives, are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influence of anger-control training programs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to prisoners? Secondly, what influence do this anger-control training programs have on the impulsiveness of the prisoners? Thirdly, are there any impacts on the aspect of self-control that this anger-control training program has? Fourthly, is there an outcome regarding self-efficacy of these prisoners when going through such anger management programs? To test the legitimacy of this theory, under the suggestion of the psychotherapy team of P prison facility located in Busan, 16 subjects were chosen and half were each allocat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anger-control training program every two times a week for an hour each for four weeks for the total of eight times from 2021 March 12th to March 29th. The dependent variable so aggressiveness, impulsiveness,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were tested both before and after. On the contrary, the control group were tested only after wards and did not receive any particular treatment. The data used for the purpose of testing the thesis were collected through the usage of SPSS/WIN(20.0) program. Mann-Whitney U test, a non-parametric verification, was used for the verification of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Wilcoxon, a code ranking verification method, was used before and after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experiment. The following is a concise summarization of the experiment. First, through the testing th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anger-control train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aggressiveness, impulsiveness, and self-efficacy for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uch correlation sh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regard to self-control. Secondly, the difference in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in regard to aggressive and impulsive behavior,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ce in all methods of measurement. This experiment result shows the need for legislative change and the recruitment of professionals in the psychology field in regard to prisoners for disciplinary violations including the development and experiment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dealing with the compromise between various psychology theories.

      • 베이비부머 세대의 사회참여활동과 우울 간의 종단적 관계

        전명숙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베이비부머는 사회경제적 활동이 축소되는 시기에 직면함으로써 역할 상실의 위기에 처해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역할 상실은 베이비부머에게 사회로부터 배제되었다는 상실감과 경제적 위기에 대한 불안감, 자아 정체성의 혼란으로 인하여 스트레스가 증가되며, 이는 우울로 이어져 사회문제의 발생 원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부머의 사회참여활동이 그들의 상실된 역할을 대처하는 중요한 전략이라 예측하고 이를 실증연구를 통하여 입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사회참여활동의 범위와 분석시점, 세대 내의 이질성 등을 고려하여 사회참여활동과 우울의 변화궤적을 살펴보고, 궤적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사회참여활동 변화가 우울의 변화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베이비부머 세대를 전기와 후기 세대로 구분하여 그들 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베이비부머 세대의 사회참여활동을 강화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실천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연구원의 패널자료인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2차(2008년)부터 5차(2014년)까지의 자료에서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의 출생한 베이비부머 1,52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전체 베이비부머에서 전기 858명, 후기 662명으로 구분하여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부머 세대 내의 이질성을 확인하였다. 후기베이비부머 세대는 전기베이비부머 세대보다 학력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고, 노동활동의 참여비율이 높으며, 소득수준도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베이비부머 세대의 사회참여활동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며, 우울은 증가하는 변화궤적을 보였으며, 개인의 특성과 여건에 따라 그 변화속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전기 베이비부머가 후기 베이비부머에 비해 사회참여활동과 우울의 변화속도는 빠른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베이비부머 세대의 사회참여활동은 우울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며, 장기적으로 사회참여활동의 증가는 우울의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변화속도는 사회참여활동이 우울보다 빠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사회참여활동의 변화율이 우울의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은 전기보다 후기 베이비부머가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사회참여활동 궤적을 예측하는 요인으로는 학력, 노동활동참여, 소득으로 밝혀졌으며, 우울 궤적을 예측하는 요인으로는 배우자, 노동활동, 소득으로 밝혀졌다.또한 전․후기 베이비부머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차이가 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부머 세대의 사회참여활동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경제적 자원확보를 위한 지원, 직업관련 교육지원과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위한 정책으로 베이비부머 세대의 맞춤형 복지정책 강화, 사회참여활동 실태의 정책적 검토와 사회참여활동과 우울수준 개선을 위한 안정적 소득활동 지원 정책 등을 제안하였다. At moment, baby boomers are in a crisis of no role assumption as they face the time of reduction in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Without given role, baby boomers suffer a feeling of social isolation or a sense of loss, anxiety about financial crisis and self-identity confusion. These probably increase stress that is likely to stress and, even further, social problems. This study was designed as an empirical research whose purpose was to clarify the effect of baby boomer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under an assumption that those activities can be an important strategy for coping with those boomers’ role loss. For this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the changing trajectories of baby boomer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depressive symptoms and relations between the trajectories in order to determine how changes i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influence those in depressive symptoms in a long-term, provided the range of those activities, when to analyze them and heterogeneity within the baby boomer generation as a whole, all of which were suggested by prior researches, but still remain to be further discussed, were considered here. And then, this study divided baby boomers into the pre- and post-baby boomer generations and investigated differences between them. Finally, the study made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that could effectively facilitate the entire baby boomer generation’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o proceed this study, this author analyzed data about 1,520 baby boomers who were born in-between 1955 and 1963, which were from the 1st(2008) to 5th(2014) sessions of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Of the baby boomers, additionally, this study grouped 858 into the pre-baby boomer generation and the other 662 into the post-baby boomer generation, and examin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eterogeneity exists within the baby boomer generation as a hole. The post-baby boomer generation is higher in education level, labor participation rate and income level than the pre-baby boomer generation. Second, baby boomer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decrease over time and their depressive symptoms increases over time. The rate of changes in those boomers’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depressive symptoms vary depending on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That rate is higher in part of the pre-baby boomer generation that the post-baby boomer generation. Third, baby boomers’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reduce their depressive symptoms. Increase in those activitie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depressive symptoms reduction in a long-term. However, the rate of changes in baby boomer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is higher than that of changes in their depressive symptoms. Here, the size of the effect that the former rate has on the latter is larger in part of the post-baby boomer generation than the pre-baby boomer generation. Fourth, predictors for the trajectory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include education level, labor participation rate and income level and those for the trajectory of depressive symptoms, spouse, labor participation rate and income level. And it is apparent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 between the pre- and post-baby boomer gener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made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that would be able to strengthen the baby boomer generation’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hose practical suggestions included supporting baby boomers’ securement of financial resources, supporting vocational education for those boomers and developing volunteer activity programs for them. And the policy suggestions included strengthening welfare policies for the baby boomer generation, reviewing the current state of baby boomer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from the policy perspective and implementing supportive policies for those boomers’ stable income creation that would help their increase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reduced anxiety.

      • ADHD 아동의 낙관성 및 사회 유능성 향상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사회기술훈련과 긍정심리를 기반으로

        박준혁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기술훈련과 긍정심리를 활용하여 재구성한 집단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낙관성과 사회적 유능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인지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은 B시 소재의 초등학교 1-6학년 아동들 중 병원이나 기관에서 ADHD 진단을 받고 B시에 위치한 본 아동상담센터에 의뢰 및 선정한 20명이며,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각각 구성하였다. 아동들은 무작위로 구분을 하였으며 사전 설문지는 7월 한 달 동안 20명의 아동 및 부모들에게 실시하고 회수하였다. 그리고 사후 설문지는 9월 말 마지막 회기가 끝나고 모두 회수하였다. 통제집단은 남학생 8명, 여학생 2명 총 1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실험집단은 남학생 9명, 여학생 1명 총 10명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구성되었으며 아동의 강점, 긍정성, 사회기술, 또래 관계 등에 초점을 두었다. 프로그램 시간은 한 회기에 40분을 실시하고 10분간 부모와 일대일 상담을 진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는 아동의 낙관성 관련 12개 문항과 사회적 유능성의 공감, 외향성, 자기관리, 정서조절, 표현성의 5개 요인으로써 총 45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는 유사실험설계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ADHD 아동이 낙관성과 사회적 유능성 및 하위영역인 외향성, 자기관리, 정서조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ADHD 아동들을 위해 저학년과 고학년을 구분한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ADHD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ADHD 아동들의 효과성을 위해 다양한 변수들을 포함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subjects of research are elementary school B city elementary school children 1-6 grade students, hospitals and institutions receiving diagnosis of ADHD, We selected 20 people who were asked by this child consultation center in City B, composed of 10 experimental groups and 10 control groups. Children classified randomly and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collected and collected by 20 children and parents by the end of July and The ex post questionnaire was collected after the last session of the end of September. The control group consists of 8 male students and 2 girls in total and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9 male students and 1 female student in total.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12 sessions and focused on the child's strengths, affirmation, social skills, relationships of the same age, and so on. Program time was 40 minutes at one session and one by one consultation with parents for 10 minutes.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derived into 45 question items as five factors of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empathy, extroversion, self-management, emotional control, and expressiveness. and Maximum utilization related 12 question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 utilized a similar experimental design which constitute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hildren of ADHD in the experiment group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competence of suboptimal outcome, outwardness, self-management, emotion control which is maximized utilization outco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distinguishes between lower grades and higher grades for children of ADHD,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progress of the ADHD children's collective program is necessary. Finally, for the effects of children of ADHD, subsequent studies involving various variables are necessary.

      • 학교부적응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 음악활동 프로그램의 심리정서적 효과성에 관한 연구

        탁주영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부적응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집단음악활동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아동이 경험하는 심리현상 중 우울, 공격성, 낙관성의 긍정적인 변화를 도모하기 위해 이미 효과성이 검증된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여러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의 추천으로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아동을 무작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집단음악활동 프로그램을 수행한 후 차이를 비교하였다. 통제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던 반면, 실헙집단에서는 우울, 공격성이 감소되고 낙관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부적응의 아동 삶의 변화를 향상시키기 위해 심리정서적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부적응 아동의 특성과 욕구를 고려한 프로그램이 추가되고 개발되어 사회적 문제로 발전하고 있는 학교부적응 현상에 음악치료가 기여하여 학교부적응 아동과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심리치료의 방법으로 사용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a group music activity program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so as to solve the school maladjustment psychological emotional difficulties. In the psychological phenomenon experienced by the child, we conducted a program of 10 sessions that was already proven effective in order to promote positive change of depression, aggression, and optimism. Children who experience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with the recommendation of social worker at various local children 's cente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whereas in the working group, depression, aggression decreased and optimism improve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ompetence to improve the change of the life of the child who is school maladjustment. The program which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desires of the maladjusted children is added and developed.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a method of psychological treatment that positively affects maladjustment children and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