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연령에 따른 팩 적용 및 부작용에 관한 연구

        송치은 성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 외부적 유해환경과 내부적 요인에 의해 피부 문제가 많아지고 있어 피부 관리의 필요성을 느끼는 추세이다. 피부 관리의 방법 중 홈 케어의 시장의 확대로 팩에 대한 구매와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팩과 관련한 적절한 적용과 부작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서울·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20~50대 이상의 연령대 여성들을 조사 대상하여 연령별 팩의 적절한 적용방법과 그에 따른 부작용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에 따른 팩 인식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팩의 일반적 지식에 관련한 문항은 20대와 30대의 인식률이 높게 나타난 반면, 팩의 실제 사용에 적용할 수 있는 문항은 40대 이상의 인식률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40대 이상의 경우 팩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원리 등을 알 수 있도록 교육하고 홍보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둘째, 연령에 따른 팩 구매요인 및 구매방법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젊은 층의 경우 통신매체에 대한 접근성이 용이하여 통신매체의 홍보 광고에서 팩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이 높게 나타났고, 중년층의 경우 SNS 등 통신매체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져 가족 및 친구에게서 팩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이 높게 나타나 연령별로 홍보 및 광고 방안에 차이를 두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연령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연령이 낮을수록 사용이 간편한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 수 있었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사용하였을 때 청량감이 있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령별에 적합한 다양한 팩이 생산 및 판매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셋째, 연령에 따른 팩 적용방법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본인이 선호하는 팩의 제형 타입은 모든 연령에서 시트 타입이 높게 나타났으나, 40대 이상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젤 타입과 크림 타입이 높게 나타났다. 이로 인해 복합성피부는 시트 타입을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알 수 있었고, 건성피부는 시트 타입과 더불어 젤 타입, 크림 타입 등 다양한 타입을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또한, 팩을 사용하는 목적은 모든 연령에서 피부 개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20대의 경우 두 번째로 자기만족, 30대의 경우 피부미백, 40대 이상의 경우 주름개선이 높게 나타나 연령별 팩을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홍보하는 마케팅 전략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넷째, 연령에 따른 팩 부작용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부작용에 대한 피부 대처 관리방법에서 20대, 30대는 다른 화장품을 사용하여 진정시킨다는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40대 이상은 아무것도 바르지 않고 방치한다는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연령에 따라 젊은 층에는 팩과 관련된 인식 부분과 중년층에는 부작용에 대한 관리 및 처치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피부미용 종사자의 미용경영 NCS 학습모듈 인식에 관한 연구

        김시연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피부미용 종사자의 미용경영 NCS 학습모듈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피부미용 종사자의 미용경영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미용 경영 요소와 피부미용 종사자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미용경영의 중점사항을 도출하고 NCS 학습모듈의 인식의 한계점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서울과 인천, 경기도 및 기타지역의 피부미용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경영에 필요한 우선순위를 조사한 결과, 피부미용 종사자들이 ‘경영일반’에 대한 중요성과 교육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피부미용 사업장이 영세하고 소규모 자영업의 형태가 많아 다른 서비스업종에 비해 경영의 일반적인 개념정립이 부족하여 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육을 받고 싶어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경영에 기초적인 교육을 받아 사업목표에 반영할 수 있도록 경영교육 프로그램이 개설되어야 하리라 여겨진다. 둘째, 피부미용 종사자의 사업장의 운영 자가 평가 실태의 설문 결과를 살펴보면, ‘재무관리’(F=34.696, p<.001)가 원장의 사업장 운영 자가 평가가 가장 높았으며, 현장 경험에 따른 사업장 운영 자가 평가는 5년 이상 현장경험자들이 ‘재무관리’(M=4.19)가 제일 잘 이루어진다고 응답하였다. 즉, 피부 미용 산업 재무관리는 원장이 거의 대부분 운영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직급이 높고 현장경험이 높을수록 재무관리를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경험과 직급에 따른 피부미용 샵 경영관리 NCS 학습모듈 인식에 대한 설문 결과를 살펴보면, 현장경험과 직급이 높을수록 피부미용 샵 경영관리 NCS 학습모듈 인식 및 교육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NCS 학습모듈을 교육받고 싶은 이유로는 ‘경영전략 수립’과 ‘경영상의 문제점 진단 및 방향 모색’을 위해서로 나타났다. 따라서 NCS 학습모듈을 피부미용사업장의 창업 전 경영전략 수립 시에 교육하거나 경영시 경영전략상 문제점이 도출될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진단 및 방향모색을 위해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NCS 학습모듈 교육이유로는 ‘경영전략 수립’과 ‘경영상의 문제점 진단 및 방향 모색’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부미용 샵 경영관리 NCS 학습모듈이 피부미용 사업장의 창업 전 경영전략 수립 시와 경영시 전략의 문제점이 발생 될 시 해결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경영전략 수립과 ‘경영상의 문제점 진단 및 방향 모색’을 위해 창업 전에 교육을 받고 싶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피부미용 샵 경영관리 NCS 학습모듈 인식 및 문제점을 살펴보면, ‘나는 피부미용 경영관리 NCS 학습모듈이 피부관리 종사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라고 생각하는 응답의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이러한 인식은 피부미용 샵 경영관리 NCS 학습모듈 필요성과 정의 상관이 있었다. 또한 피부미용 샵 경영관리 NCS 학습모듈 필요성에서 ‘직원관리하기’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직원관리에 대한 내용이 NCS 학습모듈에 더욱 구체적으로 작성되어야 하리라 여겨진다. 피부미용 샵 NCS 학습모듈의 문제점으로는 체계적인 연수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높아 NCS 학습모듈의 홍보 및 설명을 위한 체계적인 연수가 필요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피부미용종사자들이 미용경영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NCS 학습모듈의 홍보와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경영관리 내용을 조사하고 재검토, 수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중년여성의 네일미용관리 경험이 자아존중감과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신혜숙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여성의 중년기는 사회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이며 그동안 자신이 살아오면서 이룬 가정과 사회적 지위, 경제적 여유로 인하여 안정된 시기이다. 하지만 신체적 노화와 폐경으로 인하여 신체적, 생리적, 심리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으면서 스트레스와 함께 우울을 겪게 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스트레스와 우울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최근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미용관리에 많은 관심이 고조 되고 있다. 우울을 해소하기 위한 뷰티관련 영역 중 헤어, 피부, 메이컵 분야를 이용한 중년 여성의 우울감, 자아존중감에 관한 선행연구는 많았지만 최근에 가장 많이 선호하고 있는 네일미용과 경제적, 학력 수준에 따른 중년여성의 우울증,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네일미용관리 경험 유 ․ 무가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 우울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네일 미용 경험 유무에 따른 자아존중감, 우울척도와 이용실태에 대한 연구로 네일 미용을 이용하는 중년여성과 이용하지 않는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 우울감과 네일미용관리 이용실태를 파악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중년여성의 네일미용관리 경험실태를 보면 총 조사대상자 중 295명(57.1%)가 네일미용관리 경험이 있으며 그 중 연령이 50-55세가 62명(63.9%)으로 가장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은 대졸인 중년여성이 가장 많이 네일미용 관리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유 ‧ 무에 있어서는 기혼이 가장 많이 네일미용관리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수는 1명이 가장 많이 네일미용 관리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은 사무직인 중년여성이 가장 많이 네일미용관리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네일미용관리 경험 유 ‧ 무에서는 연령, 결혼 유 ‧ 무, 자녀수, 직업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소득과 네일미용관리 경험 유 ‧ 무를 보면 소득이 많을수록 네일미용관리 경험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X²=16.584 , p<.05). 네일샵 방문 횟수와 네일미용관리 비용을 보면 3∼6 개월에 1회 방문하여 2∼5만원 미만을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었고 네일샵 방문횟수와 네일미용관리 시술형태를 보면 7∼12개월에 1회 방문한다는 중년여성의 86.4%가 기본관리를 하였고 1개월에 2회 방문한다는 중년여성의 51.9%가 아트관리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네일미용관리를 경험한 중년여성이 네일미용관리를 경험하지 않은 중년여성보다 긍정적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고(p<.001),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네일미용관리를 경험하지 않은 중년여성이 낮게 나타나 긍정적 자아존중감을 가진 중년여성들이 네일미용관리를 더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001). 네일미용관리를 경험한 중년여성의 학력 ‧ 소득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을 조사한 결과 학력(p<.01)과 소득(p<.001)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네일미용관리 경험 유 ‧ 무에서는 네일미용관리를 경험한 중년여성의 우울척도가 낮게 나타나 네일미용관리가 중년여성의 우울증상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네일미용관리를 경험한 중년여성의 학력 ‧ 소득 수준에 따른 우울척도 결과 학력(p<.01) ‧ 소득(p<.001)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척도가 낮게 나타났다.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을 고찰해 본 결과 네일미용관리를 경험한 중년여성이 네일미용관리를 경험하지 않은 중년여성보다 자아존중감은 높고 우울감은 낮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네일미용관리는 다른 뷰티 영역의 관리에 비해 자신이 선호하는 네일 스타일을 직접 선택할 수 있으며, 부담 없는 비용과 짧은 시술시간으로 정신적, 시각적 만족을 빠르게 경험할 수 있어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여 진다. 네일미용관리 경험이 있는 중년여성의 방문횟수에 따른 분석결과 네일 샵 방문 횟수가 적을수록 기본관리를 받고 있으며 네일 샵 방문 횟수가 많을수록 아트관리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 중년여성의 경우 네일 샵 방문 시 처음에는 기본 관리로 시작하여 네일미용 기본관리에 만족할수록 아트관리로 전환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네일미용관리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저렴한 가격의 네일미용관리 프로그램을 만들어 관리한다면 네일미용관리가 중년여성의 우울증 해소와 자아존중감 상승에 가장 빨리 기여할 수 있는 훌륭한 도구로 사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 헤어미용교육에 활용되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분석 및 인식

        박혜린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Quality of service required for competitiveness has been increased due to enhancement of beauty industry, but the educational fields are limited to respond such demands of the industrial sites.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was developed in order to resolve such problems in limitations.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in this study analyzed the NCS for hair beauty and its perception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s. The researcher compared the performance criteria per competency unit of the hair beauty NCS with the current textbooks of hair beauty used in high schools for beauty in order to identify appropriateness of the levels, understood perception of the hair beauty NCS, identified importance and appropriateness of professional basic ability and the NCS competency unit for hair beauty, and investigated performance levels of the hair beauty NCS and professional basic ability in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type. In doing the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with which the hair beauty NCS could be complemented and adjusted in a way that it may contribute to reduction in time and cost of re-education in the beauty industrial sites and improvement in job efficiency. As for th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er compared three approved textbooks with the hair beauty NCS unit, and distributed 530 questionnaires for hair beauty professionals in the fields. A total of 50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eight competency units provided for high school levels from the analysis of the NCS and the three textbooks. The most frequent competency unit in the three textbooks was “Shampooing” in the Hair Beauty A, “Management of Scalp and Hair" in the Hair Beauty B, and “Basic Haircut” in the Basic Practice of Beauty. The shares of competency units were different in each textbook. Eight competency units that can be performed by those who graduate from high schools, including Safety and hygiene management of hair beauty business, Customer service of hair beauty business, Shampooing, Basic haircut, Basic hair permanent waving, Basic hair coloring, Management of scalp and hair, and Use of hair beauty products, should be added, while seven competency units that may exceed the levels of high schools, including Customer service counseling on beauty procedures, Applied haircut, Applied hair permanent waving, Applied hair coloring, Hair styling, Special hair styling, and Management of hair beauty business, should be reviewed for reduction or adjustment. In this context, difficulty control may be needed to generally reflect the NCS in the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Second, as for perception of the NCS, the subjects were positive, thinking that the NCS for hair beauty might be helpful in the industrial fields. However, overall perception on the NCS was still insufficient, requiring promotion and education on the NCS in order to enhance efficiency in hair beauty education. Third, technical ability among the professional basic abilities was most important in job performance, an ability that was more frequent in items for abilities that the subjects wanted to be educated most or were already educated. The ability might b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one in hair beauty performance, but it seemed that educational programs or opportunity required by hair beauty professionals were not enough, an insufficiency that require such programs appropriate for them. Four, customer service of hair beauty business among the hair beauty NCS competency unit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in performing hair beauty, and was more frequent in abilities that should be educated. However, it was less frequent in abilities that were educated. The result may indicate that customer service of hair beauty business is needed and that education required for performance of hair beauty professionals should be provided on the basis of significance in terms of jobs needed in the fields of hair beau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sufficient competency units in the levels of high schools should be added and adjusted in the textbooks used in high schools, that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for hair beauty professionals to be satisfied in terms of competency units that are considered important in performance in the fields, and that customer service of hair beauty business, which is shown to be important in the NCS competency units, should be educated by consideration of needs and sessions in the fields. This study was limited in that the hair beauty NCS competency units are still under development and adjustment and the results of its test demonstration has not been presented. Further studies may be needed more in-depth after the development is completed, in order to resolve discordance between the industrial fields and the educational fields in terms of the hair beauty NCS and to promote effective education on hair beauty. 미용 산업이 증가함에 따라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요구되는 서비스의 질이 높아지고 있으나, 산업현장의 요구에 부응하기에는 교육현장의 한계가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이 개발되었다. 이에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분석 및 인식을 조사하여 교육현장에서 효율적인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능력단위별 수행준거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미용고등학교 헤어미용 교과서를 비교하여 수준이 적합하게 구성되어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인식정도를 알아보고, 직업기초능력과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능력단위의 중요도와 적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직업기초능력을 교육기관별로 나누어 수행 수준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뷰티 산업 현장에서 소비되는 재교육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보완 수정해 나가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인정교과서 세 권을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능력단위와 비교하였고, 인식에 관한 연구는 헤어미용 산업현장에 종사하는 미용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530부를 배포하여 504부를 최종 분석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세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고등학교 수준에 해당되는 8가지 능력단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세 교과서에 가장 많이 기재된 능력단위는 헤어미용A 교과서는 샴푸 능력단위, 헤어미용B 교과서는 두피·모발 관리 능력단위, 미용기초실습 교과서는 기본헤어커트 능력단위가 가장 많이 기재되어 있었다. 각 교과서의 능력단위 비중이 각각 상이하게 기재되어 있어 고등학교 졸업자가 수행할 수 있는 미용업 안전위생관리, 미용업 고객서비스, 샴푸, 기본 헤어 커트, 기본 헤어 퍼머넌트웨이브, 기본 헤어 컬러, 두피·모발 관리, 헤어미용 전문제품 사용의 8가지 능력단위를 추가하여 첨부하고 고등학교 수준보다 높은 고객시술 서비스 상담, 응용 헤어 커트, 응용 헤어 퍼머넌트웨이브, 응용 헤어 컬러, 헤어스타일 연출, 특수머리 연출, 미용업 경영관리의 7가지 능력단위는 재검토하여 축소 수정해야 하리라 사료된다. 따라서 고등학교 교과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전체적으로 반영 할 수 있는 난이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둘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이 산업 현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며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현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이 부족하여 이에 따른 홍보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이를통해 미용교육에 효율성을 높여줄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직업기초능력 중 기술능력이 헤어미용분야 직무 수행 시 가장 중요하며, 가장 교육받고 싶어하거나, 이미 교육받은 능력의 문항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기술능력이 헤어 직무 시 가장 중요한 능력으로 여기고 있으나 미용 종사자들이 요구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교육기회가 미흡하므로 미용 종사자가 요구하는 능력의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여겨진다. 넷째,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능력단위 중 미용업 고객서비스가 헤어미용 직무수행 시 자장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미용업 고객서비스를 교육받아야 할 능력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교육받은 능력에서는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미용업 고객서비스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며 미용 현장에서 요구되는 직무에 따라 중요도를 재고려하여 미용 종사자들의 직무에 필요한 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으로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고등학교 수준에 해당되는 능력단위가 미흡한 부분에 대해 추가 및 수정되어야 한다. 또한 헤어미용 산업 현장 직무 시 중요하다고 나타난 기술능력에 대해 미용종사자가 만족할 만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능력단위에서 중요하다고 나타난 미용업 고객서비스에 대해 현장에 반영된 교육과 시수를 고려하여 교육해야 한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의 제언점은 현재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능력단위가 개발 수정 단계에 있으며 시범 운영 결과가 아직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추후 개발이 완성된 후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그리하여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산업현장과 교육현장의 불일치를 해소하고, 효과적인 미용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피부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류동희 성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의 산업구조는 지식, 기술, 정보의 경쟁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산업사회의 수요에 적합한 전문 인력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해 국가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개발하여 현장밀착 교육을 확대하고 있다. 특성화고, 전문대학 등의 교육기관과 산업체, 정부 등에서는 산업현장 맞춤형 핵심 전문 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한 교육과정 개편 및 운영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개발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이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맞게 구성되어있는지 살펴보고 교과서가 국가직무능력(NCS)의 항목과 얼마나 일치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고등학교 미용과 졸업자를 대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과정을 얼마나 수행 가능한지 설문을 통해 알아봄으로써 앞으로의 개선방안에 대해 모색하고 추후의 교과서 개발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32% 일치하였고 피부미용고객상담, 피부미용고객마무리, 피부미용기구활용, 피부미용위생관리, 피부미용 샵 경영관리 모두 포함되어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더욱 구체적인 교과목이 개설되어야 하며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맞는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비중을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피부미용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세 교과서 모두 피부미용피부분석과 얼굴관리에 대한 비중이 높았으나 전체적인 부분에서 낮은 비중을 차지하여 앞으로의 교과서에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항목의 비중을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론과 실무를 접할 수 있는 연계성 있는 교과서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셋째, 피부직무의 자가진단분석결과 기구활용이 가장 부족하다고 느낀 것으로 보아 수업 시 학생 개개인별 기기사용이 불가능했던 영향으로 사료된다. 이는 피부관리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기기에 관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수업에 관한 제정적인 지원이 있어야 하리라 사료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피부미용교과의 산업현장 맞춤형의 교육과정·교과서 개발 및 이에 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하리라 사료된다.

      • 블록체인 기술의 부동산 적용에 관한 연구

        김학무 상명대학교 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인 블록체인 (Blockchain)은 데이터를 블록에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하고 네트워크에 분산시켜 관리함으로써 그 활용성을 제고하고 다양한 수평적 사업 모델을 창출하고 있다. 기존의 부동산 시스템은 문서를 이용하여 부동산거래를 하므로 변·위조 등 보안 및 안전성에 취약하고 부동산 사기 등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국내 부동산거래 시스템을 고려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블록체인 기술을 부동산거래에 활용하는 방안을 고안함에 있다. 연구 방법은 첫째, 문헌 연구와 국내·외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거래와 관련된 사례 조사 및 분석을 통해 국내 부동산거래 시스템에 블록체인을 적용 시 필요한 제도적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된 필요사항을 기반으로 부동산거래 시스템의 블록체인 거래 모형을 도출하였다. 셋째, 블록체인 거래 모형을 통해 서비스 적용대상, 서비스 작동원리, 전반적인 서비스 운영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분석 결과로부터 블록체인을 이용한 부동산거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안전한 분산형 부동산거래 플랫폼을 통해 기존 문서 위주의 부동산거래에서 보이는 비효율적인 관리 및 불안전한 운영 방법을 개선할 수 있다. 둘째,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부동산거래 관계자들 사이의 상호 감시체제를 형성하고, 부동산 허위매물 방지를 통해 부동산거래에 있어 투명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셋째, 부동산거래 주체 간의 직접 매매 및 계약을 통해 거래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 소요 및 중개 수수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넷째,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거래는 정보의 비대칭으로 인한 기존 부동산 시장의 높은 진입장벽을 간소화되고 접근성이 쉬운 플랫폼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낮추는 등 개방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블록체인을 이용한 부동산거래 활용방안은 국내의 기존 부동산거래 시스템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새로운 부동산거래 시스템을 정착시키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Block chain is a distributed data storage technology that improves utility and creates a range of horizontal business models through storing data into blocks and distributing and managing them in a network by connecting them into a form of a chain. The current real estate system utilizes documents to undergo real estate transactions. Thereupon, this phenomenon issues real estate firms' lack of security and safety which makes them highly exposed and vulnerable to estate fraud. This study aims to employ safe and efficient block chain technology for real estate transactions in response to the domestic real estate system. Initially, the research method was aimed to analyze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related to domestic or foreign block chain-based real estate transactions, in which the institutional requirements for the applications of block chain to domestic real estate transactions were derived. Secondly, the block chain transaction model for the real estate trade system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deduced requirements. Thirdly, through the block chain model, the target audience of the service, how the service operates, and overall service operation plan were investigated. The real estate transaction utilization plan employing a block chai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from the research analysis results. First, through safe distribution-based real estate transaction platform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nefficient management and insecure operating procedures that exist in the current document-oriented real estate transactions. Second, by utilizing block chain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form a mutual monitoring system among parties involved in real estate transactions and significantly improve the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of real estate transactions by preventing false real estate sales. Third, it is possible to reduce time and brokerage fees that incur during the process of the transaction by direct sales and contracts between real estate transaction parties. Fourth, block chain-based real estate transactions can significantly enhance the openness of the real estate market by lowering high entry barriers in the current real estate market occurring based on information asymmetry.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simplified and easily accessible platforms and applications. Conclusively, this study highly anticipates that the real estate transaction utilization plan employing block chain will be greatly useful in improving the inefficiency of the existing real estate transaction system in Korea as well as establishing a new real estate transaction system.

      • 기능경기대회 피부미용종목 과제 분석 및 대회 참여 동기와 서비스 품질 만족도

        김현주 성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미용에 관한 관심이 학문과 예술로 승화되고 그에 맞는 교육과 제도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미용직업이 다양화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사회구조적 영향으로 인한 미용시장의 인력부족을 나타내고 있다. 현대 산업사회에 필요한 인재 육성을 위해 노동부에서는 숙련기술 장려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인의 기술숙련을 장려하고 사회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 기능경기대회를 열어 숙련기술 향상에 목적을 두고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이중 피부미용종목은 2010년 시범경기직종에서 2012년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으나 이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째, 2010년도부터 2014년까지 5년간 실시된 기능경기대회 피부미용부문 과제를 분석한 결과 매년 상이하게 변경됨을 알 수 있었다. 지방기능경기대회의 경우 얼굴관리 과제는 크게 변경이 없었고 제모관리는 웜 왁스와 하드왁스가 출제되었으며, 메이크업 부문에서는 매년 새로운 과제를 출제하면서 시대유행에 맞는 메이크업에 관한 과제가 출제 되었다. 전신관리 과제는 기본 동작을 통한 관리에서 2014년부터 시간이 연장이 되면서 전신관리 후 팩 관리가 추가 변경되었다. 전국기능경기대회의 경우 얼굴관리에서 매년 다른 종류의 기기를 이용한 관리가 출제되면서 국제기능경기대회의 얼굴관리와 연계될 수 있는 과제가 시행되었다. 매니큐어 과제에서는 시대의 유행에 따라 도출되는 디자인이 매년 출제되고 있다. 국제기능올림픽대회는 2011년 9개의 과제에서 2013년 11개의 과제로 변경되었으며 그 중 네일관리에서 2가지의 과제가 포함되어 네일에 대한 관심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모과제는 폐지되었으며 전신관리의 경우 랩 관리가 추가되었다. 둘째, 지방기능경기대회 피부부문 참가 선수들이 기능경기대회에 참여하게 된 동기에 따라 성장형, 연구형, 도전형, 미래형, 참여형의 요인과, 요인별 기능대회인식에 따라 전문습득형, 관심추구형, 과제인식형, 과제습득형의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기능경기대회에 대한 서비스 품질 만족도에 따라 개인적 만족도, 대회 환경 만족도, 사회적 만족도 요인으로 각각 분류하고 명명하였다. 셋째, 요인별 참가동기 분석 결과로 대회를 통해 취업이나 진학을 요인으로 하는 미래형이 높게 나타났으며 참가선수들이 대회를 통해서 숙련기술의 향상뿐만 아니라 이후 학문연구와 일자리에 관심이 높아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기능경기대회 서비스 품질 만족도 요인 중 개인적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대회에 대한 성적향상이나 출전에 대한 전문성 및 중요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지방기능대회에 입상할 경우 전국기능경기대회 출전계획에 따른 인식도를 분석한 결과 관심추구형이 높게 나타났다. 전국기능경기대회 출전하고자 하는 계획이 있는 경우 참여 동기 유형 중 성장형와 도전형에서 기능대회 참여동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기능수련을 위한 대회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 전국기능대회와 세계기능올림픽대회에 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구체적인 홍보가 더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따라서 대회 참가를 통해 자기기술의 숙련과 발전 및 만족에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되며 이에 발맞추어 국가에서는 시대가 요구하는 기능경기대회의 서비스 부분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문제점들을 보완 절충하여 반영되어진다면 질적으로 높은 숙련기술자를 양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 주택 매매시장 변동성에 관한 연구

        이현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주택시장은 공간시장과 자산시장으로 명확히 구분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주택가격은 수요와 공급, 그리고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변동하게 된다. 또한, 주택시장이 하위시장으로 고도로 세분화되고 있다. 이러한 주택시장의 변화와 특성은 주택가격의 예측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택가격을 예측하기 위한 세 개의 독립된 연구를 통하여 주택시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주택가격 예측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 연구는 고도로 세분화된 주택시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아파트매매가격을 대상으로 패널 VAR 모형을 활용하여 주택가격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수요공급요인과 거시경제요인으로 하여 분석하고,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택매매가격은 단기적으로 수요요인에 의해 변동되며, 장기적으로 공급요인에 의해 변동되는 것을 규명하였다. 또한,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로 하여 회사채수익률의 영향력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주택이 자산시장을 형성하는 투자재 성격으로 장기적으로 경기변동 한다는 경기순환이론을 바탕으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의 주택가격 순환주기와 순환주기의 영향요인을 HP 필터와 베이지안 VAR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03년부터 2020년까지의 순환주기는 서울과 경기도는 4회 인천은 3회 순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울의 확장기는 경기도와 인천보다 상대적으로 긴 기간을 보였고, 수축기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순환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모든 지역에서 전세가격 설명력이 높았으며, 특히 서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서울지역에서 갭(Gap) 투자가 성행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회사채수익률의 설명력은 경기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주택 자본에 대한 사용자 비용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 연구에서는 주택시장의 성격과 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서울시의 5대 권역의 주택가격 순환변동의 영향요인을 HP 필터와 FAVAR 모형을 활용하여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서울시 주택가격은 수요공급요인의 충격에는 하락하는 반응을 보였으며, 정책적 요인의 충격에는 상승하는 반응을 보였다. 또한, 서울시 권역별 주택매매가격에 대한 설명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동남권은 수요공급 요인보다 거시경제 요인에 의해 설명되는 비율이 높았으며, 동북권과 마포구를 포함하는 서북권은 소비자 심리요인의 설명력이 높았다. 동남권과 서남권은 정부의 경제정책 요인의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주택가격은 수요와 공급, 거시경제, 소비자심리, 정부정책 요인에 의해 변동하며, 주택시장은 고도로 세분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주택가격 안정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은 장단기 정책을 구분하여, 수요와 공급, 거시경제 등 다양한 요인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주택하위시장이 세분화됨에 따라 지역별 정책의 수단을 달리하여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갖는다. Since the housing market has the characteristic of a clear division between the space market and the asset market, the housing price is dependent on supply and demand and various factors affecting supply and dem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ccordingly, to seek better understanding of housing market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housing price forecasting, based on three independent papers on housing price forecasting. The first paper, tak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ly segmented housing market,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 in terms of supply and demand factors and macroeconomic factors by applying the Panel VAR model and using apartment sales prices in 25 autonomous districts of Seoul as samples and compared the status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results showed that housing price fluctuates by the demand factor in the short term and supply factor in the long term. There was also a larg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corporate bond yields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second study, based on the business cycle theory that housing is an investment product that forms the asset market and fluctuates over the long term, investigated the housing price circulation cycl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the metropolitan area by applying HP filter and Bayesian VAR models. The results showed that, from 2003 to 2020, the cycle was four time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hree times in Incheon.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Seoul has longer expansion period and shorter contraction period than that of Gyeonggi-do and Incheon. For the influencing factors of circulation cycle, the lump-sum housing lease price had high explanatory power in all regions, being highest in Seoul, explaining the reason Gap investment was strongest in Seoul. The third study, taking both the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 market into account, the factors affecting the cyclical changes of housing prices in the five districts of Seoul were multi-dimensionally analyzed using the HP filter and the FAVAR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housing price in Seoul fell in response to the shocks from supply and demand factors and rose in response to the shocks from policy factors.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explanatory power for housing price by district was identified: The strongest explanatory power was shown by macroeconomic factors rather than supply and demand factors in southeast region, while that was by consumer psychological factors in northeast region and northwest region including Mapo-gu. In southeast and southwest regions, it was policy factors of government. Taken together, it was found that housing price changes according to supply and demand, macroeconomic factors, consumer sentiment, and government policy factors and that the housing market is highly segmented. The government's policy for housing price stabilization, therefore, should be divided into short-term and long-term policies,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olicy that considers various factors such as demand, supply, and macroeconomic factors comprehensively.

      • 뷰티 서비스 편의성과 가치소비가 고객만족과 고객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영림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산업의 성장과 여성의 사회진출, 지위향상으로 뷰티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뷰티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치가 높아지게 되었고 서비스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방문 또는 재방문 하는 경향으로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더불어 현대사회의 소비 형태는 경제의 성장과 빠른 유행의 변화에 따라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으며, 소비자 개개인의 소비형태가 점차 자신이 주관적으로 가치를 두는 제품에는 비싸더라도 과감하게 소비하는 가치와 감성을 표현하는 가치소비로 변화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뷰티 서비스 편의성과 가치소비 특성을 활용하여 서비스제공과 마케팅을 하는 뷰티 샵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에 이와 관련한 뷰티 서비스 분야의 편의성과 가치소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뷰티 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20대 이상의 여성 대상으로 뷰티 서비스 편의성과 가치소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고객만족 및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서비스 이용형태를 조사한 결과 뷰티서비스 1년간 이용횟수는 ‘3개월에 1번 정도’, 1회 평균 지출비용은 ‘10만원 미만’, 1회 평균 소비시간은 ‘2시간 미만’, 관리의 주된 이유로는 ‘아름다움을 유지하기 위해’, 뷰티서비스의 정보를 얻는 곳은 ‘친구 및 가족 등의 지인’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뷰티서비스 편의성, 가치소비, 고객만족, 행동의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와 모두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다. 따라서 뷰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샵은 서비스 편의성과 가치소비를 고려한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고객만족과 행동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뷰티 서비스 편의성이 가치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가치소비는 네일과 피부 서비스 이용자의 의사결정 편의성이 높을수록, 헤어 서비스 이용자는 편익 편의성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나, 서비스 편의성과 가치소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넷째, 뷰티 서비스 편의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고객만족은 네일과 피부 서비스 이용자의 사후편익 편의성, 의사결정 편의성, 편익 편의성이 높을수록, 헤어 서비스 이용자의 의사결정 편의성과 사후편익 편의성, 거래 편의성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뷰티서비스를 제공하는 샵에서는 서비스 제공 후 발생하는 문제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매뉴얼과 빠르고 편리한 거래를 위한 결제 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다섯째, 뷰티 서비스 가치소비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고객만족은 네일과 피부 서비스 이용자의 사회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 감정적 가치가 높을수록, 헤어 서비스 이용자의 사회적 가치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나, 뷰티서비스 이용자의 가치소비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뷰티서비스를 제공하는 샵에서는 충분한 상담을 통해 고객의 니즈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서비스를 제공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여섯째, 뷰티 서비스 편의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행동의도는 네일과 피부 서비스 이용자의 편익 편의성과 의사결정 편의성이 높을수록, 헤어 서비스 이용자의 의사결정 편의성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나, 편의성과 행동의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또한 뷰티 서비스 가치소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행동의도는 네일과 피부 서비스 이용자의 사회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가 높을수록, 헤어 서비스 이용자의 사회적 가치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나, 가치소비와 행동의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편의성은 가치소비와 행동의도와 연관이 있으며, 행동의도는 가치소비와 연관이 되어있다. 이를 기반으로 뷰티서비스를 제공하는 샵에서는 고객이 의사결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해당 샵의 기본정보, 문의사항, 가격 등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여 의사결정을 높이고,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완벽하게 제공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서비스 편의성과 가치소비가 뷰티서비스 이용자의 고객만족,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밝히고 실증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또한 네일 서비스와 피부 서비스는 서비스 편의성과 가치소비의 하위 요인이 일치하는 부분이 많아 동일한 마케팅전략을 세울 수 있다. 반면, 헤어 서비스는 네일, 피부 서비스와는 서비스 편의성과 가치소비의 하위요인이 다름으로 헤어 서비스에 적합한 차별화 된 마케팅전략을 세워야 한다.

      • 피부미용 NCS 적용 학습모듈 직무중요도가 교육만족도 및 실무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이다빈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피부미용 NCS가 적용된 학습모듈 중요도가 교육만족도와 현장의 실무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피부미용 NCS(국가직무능력표준)가 적용된 피부미용 수업을 받은 전문대학교 재학생 501명을 추출하여 설문지조사 하였다. 본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미용 NCS 수업 수강경험에 따른 NCS 학습모듈 중요도는 수강경험이 있는 학생이 피부미용 피부분석, 피부미용 고객 마무리 관리, 얼굴관리, 피부미용 위생관리, 피부미용 고객 상담, 전신관리, 피부미용 기기활용, 피부미용 샵 경영관리, 피부미용 화장품 사용, 피부미용 특수관리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피부미용 NCS 수강기관에 따른 NCS 학습모듈 중요도는 피부미용 피부분석에서 직업훈련기관, 피부미용 학원, 고등학교 과목수업, 기타(독학)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NCS 학습모듈 실무적합도의 경우 2학년 보다 1학년이 NCS 학습모듈 이 실무에 더 적합하다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높게 나타났다. 셋째, NCS 학습모듈 중요도가 NCS 학습모듈 교육만족도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피부미용 기구 활용 항목이 NCS 실무교육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1학년이 학습모듈 중요도, 교육만족도, 실무적합도는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실무현장에 먼저 투입 될 2학년은 학습모듈 중요도, 교육만족도, 실무적합도는 모든 항목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는 2학년의 경우 NCS 학습모듈을 이용하여 교육하는 기간과 기존의 교육과 비교할 수 있으므로 중요도 및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학습모듈을 중심으로 교육시 기존의 교육과정과 연계해서 교육만족도와 실무적합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실무 교육과정이 운영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피부미용NCS 학습모듈의 실무교육에 필요한 기자재 구입 및 활용하는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에 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