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그린투어리즘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영암군 농촌체험관광을 중심으로

        송종철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들어 농업과 농촌은 물론 도시생활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의 하나로 그린투어리즘(농촌관광)이 대두되고 있다. 그린투어리즘은 주 5일 근무제 도입과 체험형 여가활동에 대한 인식이 고조되면서 산적한 농촌문제 해결의 한 해법이 되고 있다. 농촌에 있는 자연경관과 소박한 인정, 전통문화 등을 도시민들에게 제공하여 농촌에서는 이미지 제고와 소득 증대를, 도시민들에게는 색다른 체험을 통한 여가를 제공하는 윈윈(Win-Win)전략이다. 지난 2002년 출범한 참여정부는 국가균형발전을 국정의 핵심 의제 중 하나로 채택하고 다양한 지역활성화 정책들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활성화 정책의 주요 정책 추진 현황으로 농림부에서는 산하 농촌진흥청과 산림청 등과 함께 농촌체험, 녹색관광을 주제로 마을 단위 공간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지역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대두되는 농촌관광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사례분석 그리고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추진중인 다양한 농촌관광 프로그램의 실태와 문제점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농촌관광의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영암군을 중심으로 영암군이 농협과 함께 추진하는「녹색 농촌체험 마을」로써 "원행정마을", "영보마을", 신덕정마을"의 현황과 실태 분석을 하고 연구대상인 영암군의 농촌관광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방식을 사용하는데 그 분석방법은 영암군의 농촌체험관광을 체험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농촌관광 체험에 대한 생각과 문제점 및 발전방안을 물어보았다. 설문조사결과 관광객들은 농촌관광의 목적은 모두 "농촌의 자연경관을 즐기고 싶어서"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아이들의 교육학습을 위해서가 라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부부동반 또는 가족여행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연령층으로는 30~40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지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아는 경우가 가장 많아 인터넷을 통한 홍보효과 큼을 알 수 있어 인터넷의 홈페이지 구축과 홍보가 필요함을 느꼈다. 각종 시설물에 대한 만족도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개선해야 할 문제점으로는 시설물과 체험프로그램의 부족이 지적되었다. 영암군은 풍부하면서도 독특한 문화자산과 개발의 손길이 미치지 않은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특산물과 향토음식이 산재해 있어 농촌관광의 성공가능성이 어느 지역보다 높지만 보다 나은 농촌관광 활성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들을 추진하여야 한다. 첫째, 주민들의 공감대 형성 및 경영능력 향상이다. 둘째, 일반관광과는 구별되는 농촌 및 농업자원을 활용한 여가 체험 프로그램에 중점을 두고 차별화해야 한다. 셋째, 도시민과의 지속적인 교류활동을 통해 수요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따라서 영암군에서도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내 농촌관광 자원을 조직화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서비스 품질관리를 위해 인증제도를 도입하는 등 지속적으로 관련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농촌 활성화는 물론 관광상품 다양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그린투어리즘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전남 곡성군을 중심으로

        오성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들어 그린투어리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린투어리즘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우리나라 농업과 농촌 문제를 해결하고 농가의 농외소득을 올리는 한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농촌에서는 그린투어리즘을 통해 기존의 농촌자원을 활용하여 도시민들에게 다양한 농사체험 및 농촌문화를 소개하여, 농업에 대한 이해를 증진 시키고 농촌의 이미지를 제고하는 한 계기가 되고 있다. 또한 도시민들에게는 도시와 농촌간 공감대 형성의 한 공간이 되고 있다. 그러나 그린투어리즘이 국내에 본격적으로 도입된지 오래 되지 않아 운영 경험의 미숙과 경제성에 대한 논란 등으로 농가에서 선뜻 도입을 주저하고 있다. 더욱이 그린투어리즘의 추진에 앞서 국내 농촌지역에서 대대적으로 추진하였던 관광농원이 막대한 재원만 낭비한 채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한 점을 감안, 그린투어리즘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에 앞서 충분한 검증 및 세심한 전략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아울러 정부의 지원도 그 동안의 획일적이고 일방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마을 단위 및 운영주체의 자발적인 노력과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바탕으로 한 간접적인 형태로 지원되고 있는 바 그린투어리즘 추진은 마을주민 등으로 구성된 운영위원회 등의 전문성이 점차 요구된다. 특히 그린투어리즘을 추진하는 마을은 장밋빛 환상을 버리고 철저하고 객관적인 검증이 요구되고 있다. 그린투어리즘에 대한 안정적인 시스템이 마련되기 전까지는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필요하며 많은 재원과 노력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마을과 지역 특색 등 주변환경이 그린투어리즘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농도인 전남지역은 그린투어리즘을 추진하기에는 양면성을 갖고 있어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즉 대부분 농업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어 농촌환경을 상품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서울 등 주요 도시와의 원거리성 등 지리적으로 불리한 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각종 체험학교 등을 운영하면서 그린투어리즘을 추진하고 있는 곡성군의 그린투어리즘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발굴하여 발전 방안을 도출하고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그린투어리즘에 대한 국내외의 전반적인 실태를 분석하였고, 곡성군 그린투어 현장을 찾은 방문객 및 체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 현지실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발굴하였으며, 운영자들의 각종 의견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연구결과 그린투어리즘은 아직 초기 단계인데다, 운영자들의 인식 및 노하우 등이 부족하여 활성화되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의 프로그램도 단순하게 운영되고 있었다 .또한 각종 시설 역시 미흡해 이용자들의 불만이 컸으며, 지역 특색에 맞는 맞춤형프로그램 보다는 오직 단순체험형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또한 마을 주민들은 당초 예상과는 달리 수익성이 낮은 데다 많은 일손이 들어 점차 회의감을 느끼고 있으며, 일선 자치단체와 농협중앙회 등에서는 직접적인 지원 대신 현재의 추진상황 등을 관망하고 있어, 비약적인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다만 그린투어리즘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수년간의 시간이 필요한 점을 감안, 장기적인 차원에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그린투어리즘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홍보 및 관광객 유치전략과 시설 및 운영의 합리화 등이 필요하며, 도시민의 접근성 및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공간시스템 구축과 정부, 농업인 등 각 주체별 역할 분담도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Green-tourism has attracted many people's attention lately. It is highlighted as the alternative to solving a rural problem, which is getting worse, and to increasing farm income. A farm village has an opportunity to provide urbanites with a variety of agricultural experience by using the existing agricultural resources and to improve the image of farm village through green tourism. Urbanites can also have sympathy for a rural area by experiencing different culture. However, since green tourism has been introduced lately, operation experience is poor and criticism on economical efficiency is also being posed. For these, farm families hesitate to introduce it. Furthermore, a tourist farm project which was promoted on a large scale by a farm village before green tourism has ended in failure with enormous waste of financial resources. Thus before promoting green tourism seriously, sufficient inspection and careful strategy are needed. Also the government supports some project indirectly on the assumption of operation subject's spontaneous effort, breaking with its one-sided support method. Accordingly the main group of promoting green tourism needs professionalism.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o thoroughly and objectively verify leaders promoting green tourism because a lot of time and resources will be needed until a stable system is prepared.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village and local characteristics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activation of green tourism. As the Jeonnam area is an agricultural province, it has two faces in promoting green tourism, indicating careful attention. In other words, because the Jeonnam area is closely related to agriculture, it has limits of merchandising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a geographical disadvantage of being far from major cities including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the state of green tourism of Gokseong-gun who promotes green tourism by various kinds of experience schools, to derive development methods by finding out problems, and to suggest strategy. To do this, this study first analyzed the general state of green tourism at home and aborad and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for visitors and facility stayers. Problem was found out through examining a field state and operators' opinions were also analyzed to derive results. The findings suggest that green tourism has not been activated because it was on the early stage and operators lacked knowledge and know-how. Most programs were operated very simply. Users complained about poor facilities. Furthermore programs were operated in the form of simple experience without customer customized programs suitable to local characteristics. Since this project had low profitability and needed many helping hands against expectation, farm villagers doubted as to their success and it disturbed rapid growing. Considering that settling green tourism needs scores of years, it must be promoted in a long-term strategy.

      • 농산물 전자상거래 마케팅 전략 개발에 관한 연구

        서정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컴퓨터의 급속한 보급에 따른 정보사회의 성장은 전자상거래시장의 확대를 가져왔다. 그리고 새로운 유통의 경로로 주목받고 있다. 전자상거래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어 다양한 형태의 사이버 쇼핑몰들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농산물에 대한 전자상거래는 농산물 자체의 특성과 제반여건의 미비로 단순한 홍보 수준에 머물러 었다. 본 연구는 농산물전자상거래판매업체를 설립목적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하고 각 개별사이트별로 특성을 파악했다. 조사결과 회원제 실시는 대략 70%가 실시하고 있으며 원산지 표시 의무제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과 신용카드 결제가 일반적인 지불형태로 채태하고 있으며 전자지갑, Cyber-Cash 등 보다 발전적인 지불형태가 도입되고 있다. 배송기일은 일주일 이내에 전국배송을 실시하고 있고 배송의 형태는 주로 택배를 통해서 이루어지며 배송료는 무료배송원칙에 지역별, 가격대별로 차등부과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농산물 쇼핑몰 설립주체별로 제품, 가격, 촉진, 유통 전략 중 중점전략을 제시하고 이의 실행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growth of information society has brought about the extension of Electronic Commerce Market from the spread of computers. It has been watched as a new marketing route. The magnifying recognition of Electronic Commerce is the various forms of Cyber-Shopping-Malls. But Electronic Commerce of agricultural product is simply staying in the step of publicity because of the property of agricultural product and the lack of a given condition. This study classified a seller of Electronic Commerce to agricultural product into 3 types according to the chief object of establishment and analysed each site. According to the survey, 70% of them are enforcing the membership system and a seller are performing the obligation system of expression of one's native country. The common form of payment is by on-line and the credit card and as the developing form, they introduced the electronic wallet and Cyber-Cash etc. They deliver the goods anywhere in the country in a week and in the home-delivery. The charge of delivery is based on the rule of free delivery and have som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oduct price and the region. Finally, this study presented mainly the place, one of 4P(Product, Price, Promotion, Place} and a practical plan for each object of establishment.

      • 대도시 지역농협 신용ㆍ경제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기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도시화가 진전됨에 따라 대도시 지역농협은 제반 여건의 호조로 신용사업 부문에서 획기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이러한 신용사업의 성장이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구축하는데 크게 기여한 반면, 농지의 감소와 이농화에 따른 조합원 수의 감소는 대도시 지역농협이 존재해야 할 필요가 있는가를 제기하는 명분론이 제기 되기도 하고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역할론을 거론하기도 한다. 농산물 시장의 개방으로 우리나라의 농촌은 갈수록 피폐해지고 농업을 포기하는 농업인들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정부와 농협에 대한 농업인들의 요구사항은 당연히 높아지고 있고, 농협이 맡아야 할 역할도 그만큼 커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모두 수용하지 못하다보니 농협의 정체성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신용과 경제사업의 분리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경제적 약자인 농업인의 불만이 고조되어 농업인의 이익을 대변하는 농협을 성토하고 투쟁의 대상으로 여기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농촌에 소재한 지역농협보다 대도시에 소재한 지역농협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것이 농협의 신용과 경제사업 분리 논의를 더욱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외 경영환경 변화에 부응하여 농협의 기업적 성격이 강화되면서 대도시 지역농협의 신용과 경제사업의 균형적인 발전으로 농업인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향상을 이루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대도시 지역농협의 신용과 경제사업에 있어 그 주요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의 개선방안 그리고 발전방향을 연구해 보았다. 신용사업 분야에서는 첫째,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강한 조직을 육성한다. 둘째, 농협의 업무영역 확대를 위한 농정활동을 강화한다. 셋째, 비과세예탁금 일몰 시한을 재 연장하도록 농정활동을 강화한다. 넷째, 예탁금 중 저원가성예탁금 추진을 확대한다. 다섯째, 수익사업 중 비 이자수익사업 추진을 확대한다. 여섯째, 농협중앙회의 규제를 완화한다. 경제사업 분야에서는 첫째, 신 유통체계 구축과 직거래사업을 활성화 한다. 둘째, 소비지 유통기능을 활성화 한다. 셋째, 효율적인 구매사업을 실시한다. - 계통구매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 구매사업의 품목을 다양화한다. - 대농업인에 대한 서비스를 개선한다. 앞에서 언급한 개선방안을 토대로 대도시 지역농협을 활성화하고 그 기반위에서 다음과 같은 발전방향이 추진되면 신용과 경제사업의 분리가 아닌 21세기에 맞는 새로운 종합농협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다. 첫째, 농촌사랑운동의 선도적 실천을 주도하여 추진한다. 둘째, 대도시 지역농협의 역할을 강화하여 농․도 상생을 실현한다. 셋째, 대도시 지역농협 지역의 주민과 밀착화 사업을 추진한다. 넷째, 협동조합섹터로서의 신규사업을 개발하고 확대 추진한다.

      • 농산물 연합마케팅사업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 : 나주농산물 농협연합마케팅사업을 중심으로

        송가영 전남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Korean agriculture is in unstable condition and in crisis at the degree where the opinion which is "the Korean agriculture will be ruined" comes out. Because there are more negation element than the affirmative in the process to magnification of free trade agreement. Even though the countermeasure method for the preservation plan of the direct damage and the improvement plan of agriculture production structure which is following in result by contracting of Korea-Chile FTA and propulsion of Korea -U.S.A FTA is referred in policy dimension recently, there have not been presented any accurate plan which is for competitive power in the inter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market and stable sale-course in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market. Also the rapid change of agricultural products circulation structure has been continued because of circulation enterprise's sudden growth. and agriculture is getting difficult because the price in producing district is formed lower than the prime cost in reaping time. The farmer and the society's request is as follows that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must do the core role of agricultural products circulation and the plan which vitalize the economic business of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has been presented.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autonomous entity have confrontal subject, which is complementing the deficient point of producing district agricultural products circulation quickly for raising competitive power and securing the sale course in consuming district. Hereupon the NACF has established a promotion plan called "Agricultural Co-marketing Business" as a plan for producing district distribution activation business and participated in directly in 2000. From 2002 it make a dash on forming an organization and propelling the business on axis of city' n county unit. The Co-marketing business has been propelling with purposes , ①upward the market bargaining power of agricultural products, ②secure the competitive power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③ vitalize sale business of agricultural cooperation. This business has made a remarkable achievement in magnification of organization and scale, also in development of contents. But considering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and the recent cases on instabi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price in reaping time, The advance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circulation system must be propelled quickly. Whereupon the NACF is participating to and supporting the "Agricultural Co-marketing Business" and also the government is supporting with it by the "producing district Co-marketing organization nurturing business" , therefore the farmer's organization,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nd the local autonomous entity must fully cooperate for the final goal that security of sale course and improvement of buying price 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marketing For an example he present writer worked as a person in charge of the economic business at NACF Na-ju branch planned the Co-marketing business in 2002 and contributed to launch "Naju agricultural Co-marketing business cooperation" in 2003 The reason how it have developed into advanced system with comparison in 4 years duration is that the result based on the direct participation and full supporting in manpower and funds of the NACF ,also based on a participation of whole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 with sharing the part of labor cost as a proprietor body of business. Specially the growth of this business has been supported by Na-ju City, as a local autonomous entity. Na-ju City has fully supported the consulting business for propelling the Co-marketing business, commonness sorting and sale course cultivation, building cooperative system with agricultural cooperative and Co-marketing business corporation as the partner of region agricultural policy. Now "Na-ju agricultural Co-marketing business corporation" is already selected as "product district commonness marketing system" from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and support has been propelled as the strong-point APC. If It converts into the cooperation hereafter, it seems possible that the expansion of Co-marketing business for local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Na-ju pear, as a local specialty, and the broad area Co-marketing business including neighborhood area. As above, "Agricultural Co-marketing business" is connected directly to the security of competitive power in domestic market or local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local specialty. As the free trade agreement will be propelled and magnified hereafter, in the situation that agricultural products market opening is continuing in the international market, it is expected that this business will contribute greatly in securing competitive power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and it will play a big role in developing the circulation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Here it will be devised that the theory, actual condition and vitalization program for circulation structure through "The Agricultural Co-marketing business 한국농업이 자유무역협정(FTA)의 확대추진과정에서 긍정적 요소보다는 부정적 요소가 많아 ‘한국농업이 몰락할 수도 있다’라는 의견까지도 언급될 만큼 위기감과 함께 불안정한 상황인 것으로 파악된다. 최근 정책차원에서도 한-칠레 FTA의 체결과 한-미 FTA 추진 결과에 따른 대응방안으로 농업부문 직접 피해 보전방안과 농업의 생산구조개선을 강구할 것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 농산물 시장에서의 한국 농산물의 경쟁력확보 정책이나 국내시장에서의 안정적 판로확보 방안 등을 뚜렷이 제시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 소비지시장에서의 대형 유통업체의 급속한 성장에 따른 농산물의 직거래 확대 등 농산물 유통구조의 급격한 변화가 지속되고 있으며 최근 품목별 수확기에 산지 가격형성이 생산원가에도 못 미치는 사례가 늘고 있어 농업의 어려움이 가중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현실로 인하여 농업인은 물론 사회적 요구가 농협(중앙회 포함)에서 농산물 유통의 핵심적 역할을 해주길 갈망하고 있으며 농협의 경제사업 활성화를 위한 구조적 개혁 방안을 제시한 바도 있다. 또 농업정책의 주체인 중앙정부나 지자체도 산지 농산물유통의 미비점을 조속히 보완하여 경쟁력을 제고하는 노력과 함께 소비지의 판로를 확대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에 농협중앙회가 2000년 산지유통활성화사업 방안으로 농산물 연합마케팅사업추진계획을 수립하고 2002년부터 시군 단위 중심으로 조직 구성 및 사업추진에 매진하고 있다. 농산물연합마케팅사업은 ① 농산물의 시장교섭력제고, ② 우리농산물의 경쟁력 확보, ③ 농협의 판매사업 활성화를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최근 사업조직과 규모의 확대는 물론 사업내용의 발전이 괄목할만하다. 그러나 국내외의 농업환경을 감안하고 최근 수확기 농산물가격의 불안정사례들을 볼 때 농산물 유통체계의 선진화를 더욱 가속화하고 조속히 추진해야한다. 이에 농협중앙회가 적극참여하고 지원하는 농산물연합마케팅사업에 정부도 산지공동마케팅조직 육성사업으로 지원하고 있는 바 농업인조직과 농협 그리고 지자체가 지역 농산물의 마케팅 효율을 최대화하여 판로확보와 수취가 제고라는 산지 농산물 유통활동의 궁극적 목적을 위하여 적극 협력 추진해야할 사업이다. 예를 들어 나주농산물 연합마케팅사업은 2002년 저자가 농협중앙회나주시지부에서 경제사업 담당 책임자로 근무하면서 연합마케팅사업을 기획 추진하여 2003년부터 나주농산물 연합사업단이 출범하였으며 4년여 기간에 비교적 선진조직으로 발전하였다. 나주농산물연합마케팅사업이 연합사업의 선진조직으로 발전하기까지는 농협중앙회의 직접참여와 인력 및 자금 등 적극적 지원에 기초하였고, 관내의 전체 지역농협이 사업초기부터 연합사업단의 인건비 일부를 공동 분담하면서 사업주체로 공동 참여한 결과에 기인하여 가능했다고 생각한다. 특히 지자체인 나주시가 산지농산물 유통활성화사업을 중점 추진하면서 농협과 연합사업단을 지역농정의 동반자로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연합마케팅사업 추진에 관한 컨설팅사업과 공동선별 및 판로개척을 적극 지원한 것이 성장요인이 되었다. 나주농산물 연합사업단은 이미 농림부로부터 산지공동마케팅조직으로 선정되어 거점 APC의 지원이 추진되고 있으며 사업조직을 법인화하여 지역특산품인 나주배와 관내 농산물의 연합마케팅사업은 물론 인근지역을 포함한 광역의 연합사업까지 연계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은 사례로 볼 때 농산물연합마케팅사업이 지역농산물 또는 특산품의 국내시장 경쟁력과 직결되고 향후 자유무역협정이 확대 추진되면서 농산물시장의 개방화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국제시장에서의 한국농산물의 경쟁력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며 개방경제체제하에서 농산물유통의 발전을 위해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 여기에서는 농산물 연합마케팅사업의 이론과 실태 그리고 연합마케팅사업을 통한 농산물 유통체계 활성화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 動物藥品 流通構造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박병호 全南大學校 行政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599

        동물약품 유통구조는 여러가지 환경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은 제도적·법률적 환경이다. 우리나라 동물약품 유통경로는 약사법에서 유통참여자의 자격과 유통업소의 시설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나, 유통은 다원화되어 있고 변칙적인 유통경로가 발생되어 부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또한 동물약품상사의 개설에 있어 자격과 시설을 엄격히 규제해야함에도 불구하고 약사면허증 사본만을 게시토록 하고 있다. 이는 면허대여에 의한 무자격 종사자의 동물약품상사 개설을 쉽게 하여 도매상의 기능을 상실케 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동물약품의 복잡 다양한 유통경로는 치열한 판매경쟁과 유통기능의 미분화와 유통질서의 낙후성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중간상인 도매상, 소매상, 동물병원 등의 구조상 구분도 명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능 분리 또한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들간의 치열한 판매경쟁은 능률을 감소시키고 단위 유통비용을 증가시키며 유통의 효율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유통비용의 증가는 유통기관의 자기자본 빈곤을 초래하여 강매와 외상 거래를 불가피하게 한다. 그 부작용으로 각종 할인, 할증, 리베이트, 찬조금, 경품판매, 초과인도 현금특매, 할부판매 등의 보상제를 유도함으로써 난매와 강매의 여건 조성에 대한 원인이 된다. 우리나라 동물약품의 유통은 물류정보체계의 미구축으로 적정생산 적정공급의 정보체계가 미흡하다. 이로 인한 수요공급의 부적정화로 과다생산 후 폐기의 악순환이 이어지고 유통 및 거래의 불투명화로 인한 불법 변칙거래가 성행한다. 또한 희귀약품이나 필수약품 등의 동물약품 적기공급체계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처럼 비효율적인 유통구조의 개선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동물약품 유통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첫째, 동물약품 시장의 유통구조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을 펴야 한다. ① 유통단지를 체계적으로 조성한다. 이를 위한 관련 입법을 추진하고 기초조사를 실시한다. 나아가 내륙화물기지 및 복합화물터미널을 조성하고 공동집배송단지를 조성한다. ② 유통과정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협동조합을 체계화하고 중소유통단위의 조직화를 추진한다. ③ 유통정보화 및 물류표준화의 추진으로 POS 및 바코드시스템 보급확대와 EDI 구축 등 유통정보시스템을 구축한다. 동시에 물류관련기기에 대한 표준규격(KS)을 정비한다. ④ 무자료거래 근절을 위한 상설감시체계를 강화함은 물론 불공정거래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는 등 제조업 중심의 대리점 체계를 개선한다. ⑤ 유통산업 관련규제 완화로 창고·물류시설에 대한 토지·건축 규제와 화물운송사업에 대한 규제를 완화한다. 둘째, 광역물류센터와 지역배송센터를 설치하고 공동물류를 추진한다. 동물약품 물류센터의 설치 운영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① 물류센터 설치(공동물류)에 따른 물류비절감 효과 및 직·간접 판매 물류비의 절감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② 제약회사와 도매업체의 창고 및 배송차량의 축소내지 불필요로 인건비, 임대료 등의 경비절감이 가능하다. ③ 개별 기업의 투자비용의 절감 및 중복투자로 인한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④ 동물약품의 원활한 공급으로 신속하고 다양한 동물약품 구비가 가능하다. ⑤ 주문편리성 및 일괄주문에 의한 구매업무처리시간 및 주문비용 감소한다. ⑥ 도소매상이나 동물병원의 동물약품 재고를 감소하여 최소의 적정 재고유지로 인한 수급계획 및 관리비 절감할 수 있다. ⑦ 효과적인 공급망 관리를 위한 상호신뢰감 형성 및 전체물류흐름의 파악이 가능하다. ⑧ 사내업무의 개선 즉, 재고계획수립 용이, 간접관리비 절감 등 물류개선이 가능하다. 셋째, 가격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동물약품업계의 안정적 발전은 물론 경쟁력제고와 이미지 개선을 위해 고질적인 가격경쟁을 지양하고 품질경쟁과 서비스경쟁을 선택해야만 한다. 넷째, 동물약품 종사자들 중 특히 제조업체 전반의 합의된 개선의지가 절실히 요구된다. 가격표시제를 도입해 이를 준수함으로써 지나친 가격경쟁에서 탈피하고 적정한 마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고부가가치의 창출을 위해서 판매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며, 우수인력의 확보 및 유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다섯째, 유통종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한다. 동물약품 유통종합정보시스템은 동물약품 물류센터의 설립과 동시에 제약회사, 도소매업체, 물류조합, 양축농가를 정보망으로 연결하여 동물약품 유통업무를 자동화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그 큰 의미가 있다. 여섯째, 법적·제도적 장치를 개선한다. 동물약품의 취급자격은 약사에게만 국한하여서는 안되며, 수의학 전공자인 수의사에게도 동물약국 개설의 권한이 주어져야 한다. 이는 진단과 조제에 있어서도 적정을 기할 수 있고 실수요자인 양축농가의 오·남용으로 인한 약화사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약국개설의 규격 및 조건이 강화됨으로서 불법거래와 비정상거래를 방지하고 양축농가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국민의 고영양 공급원인 육류식품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보완장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distribution systems of animal health products are influenced by various kinds of environmental factor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re institutional and legal environment. The distribution systems of animal health products in Korea have the qualification and facility standards of distributors in accordance with the pharmacy law. However, some side effects are caused by diversified distribution systems and irregular distribution channels. In addition, even though the qualification and facility standards related to establishment of companies dealing with animal health products shall be strictly applied, the pharmacy law requires only the copy of a pharmacist license. Therefore, it contributes to weaken the functions of wholesalers as people without any licenses can easily establish the companies dealing with animal health products as borrowing a license. The animal health products industry in Korea do not have adequate information systems for appropriate production and supply because it doesn't have any logistics information systems. Accordingly, the supply-demand unbalance causes the vicious circle of over production and disposal. Moreover, illegal trades are prevalent because of non-transparency of distribution and trades. Furthermore, there is very little timely supply system of animal health products such as essential or rare health products. To improve the inefficient distribution systems explained above, the distribution systems for animal health products require the methods as follows. First, the distribution center needs to be systematically built to improve the distribution systems for animal health products. Furthermore, an inland cargo station, a complex cargo terminal and a joint collection and distribution complex shall be set up. Second, a cooperative federation shall be systemized and small and medium distribution units shall form the organization to enhance the efficiency in the distribution processes. Third, a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such as expansion of application of POS and a barcode system and EDI implementation shall be implemented by informatization of distribution and logistics. At the same time, the standard specification for the logistics related machinery shall be consolidated. . Fourth, the price systems shall be amended. The deep-seated price competitions shall be restrained and the competition of quality and service shall be activated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and images as well as for stable development of animal health products industry. Fifth, it is required for all workers engaged in animal health products industry to reach a consensus to improve. As introducing and conforming to the price marking system, they can be free from excessive price competitions and secure the appropriate margins. Sixth, an integrated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shall be implemented. The integrated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for animal health products shall be implemented to computerize the distribution processes as linking pharmaceutical firms, wholesalers and retailers, logistics association and livestock farmers at the same time as the logistics center for animal health products is established. Finally,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s shall be amended. The qualification for handling animal health products shall not be limited only to pharmacists. The veterinarians majored in veterinary medicines shall have the qualification to open the pharmacies for animal health products. Moreover, the institutional supports on the specification and terms to open the pharmacies shall be arranged.

      • 농산물 산지유통센터 개선에 관한 연구

        천인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99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국민소득수준이 향상되고, 소비자들의 농산물 소비가 고급화ㆍ다양화 되고 있으며, 맛과 영양 그리고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농산물의 고품질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렇듯 소비패턴의 변화, 유통구조의 변화, 글로벌 시대의 돌입으로 인한 수입농산물과의 경쟁의 심화 등 농산물 유통의 환경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규격화된 농산물에 대한 수요의 증가와 전통적 재래식 유통체계에서 산지유통센터의 중심의 유통체계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농산물 산지에서 포장센터, 종합처리장, 유통센터 등이 차별화 된 농산물을 생산 판매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고 주도적 유통활동을 하는 새로운 유통주체로 등장하고 있다. 농산물산지유통센터는 산지에서 농산물 유통을 주체적으로 수행하는 유통기구의 하나이며, 급변하는 유통환경 속에서 표준 규격화된 농산물을 생산 판매하는 경영체의 하나이다. 일부에서는 산지유통센터를 단순히 자동화된 선별ㆍ포장ㆍ예냉 등 현대적 유통시설물로만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산지유통센터는 기존의 유통 사업에 부수되는 시설물이면서 새로운 개념의 유통행위를 위한 사업장이다. 2000년도에 농수산물 유통공사의 산지유통센터 운영실적을 살펴보면 다수의 산지유통센터의 운영 실적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있다. 이에 대해 산지유통시설 운영실태 및 지원현황과 운영활성화 저해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해소하여 이용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해 보았다. 첫째, 기존 APC 중심 유통센터를 재정비하여 시설활용도를 높인다. 둘째, 기존의 산지유통센터를 리모델링하여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공정이 되도록 한다. 셋째, 주요출하처의 장단점을 활용하는 판매 전략을 수립한다. 넷째, 브랜드개발과 관리를 통한 경쟁력 제고 및 신뢰도를 향상 시킨다. 다섯째, 매취사업의 확대를 통한 안정적인 물량확보와 능동적인 조달체계를 개선 한다. 여섯째, 경영마인드를 확보하고 발전단계별 지도방향을 확립하여 저장 및 출하조절을 합리화하고 책임 경영제를 실시하여 운영실적에 따른 인센티브제를 도입 한다. As national income improves, consumers are seeking high quality products in terms of taste, nutrition and safety as food. Likewise, changes in marketing environment have been continuing in the areas of consumption patterns, marketing structure, and competitiveness against the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era of global trade liberalization. Specifically, marketing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with an emphasis on APC in lieu of conventional marketing system due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standardized agricultural products. This APC, as a new marketing agency, could improve the value-added by differentiating and selling the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packaging centers, aggregate processing centers, and marketing centers. APC is one of the marketing managements that are carrying out marketing services independently on the farm site and that are producing and selling standardized agricultural products. Some people might think that APC is simply a modern marketing structure for automated sorting, packaging, pre-refrigeration, etc. But, in fact, APC is an auxiliary facility attached to existing marketing structure with new concept of marketing services. According to the management record of Korea Agri-Trade Corporation(KSTC) in the year of 2000, many APCs showed records of rather poor business. In this study, analyses were made in management behavior together with detrimental factors for active utilization of APCs, in order to make new suggestions for further activation of them. First, the existing APCs should be utilized more through vertical integration on the site through large-scale APCs. Second, remodeling of current APCs should be made in order to implement the daily workload with rational and efficient processing. Third, marketing strategies should be employed based upon merits and demerits of major outlets for agricultural products. Fourth, both competitiveness and credibility should be improved through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brands. Fifth, it is necessary to secure enough quantity and active procurement system through larger volume of agricultural products purchased. Sixth, with attention on storage and sale control through strong management spirit and securing extension direction by development step, it is desirable to introduce an incentive system based on management record through management responsibility.

      • PL법과 돼지고기 유통에 관한 연구

        정민학 전남대학교 농업개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에 새로운 제도인 제조물책임(Product Liability)법이 발효되면서 각 기업들은 비상이 걸렸다. 새로운 법이 시행됨에 따라 완벽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노력하게 되었으며, 각 기업은 자기의 제품의 문제점을 검토하게 되었다. 특히 제조어버체 중에서도 식품전문 회사들의 제조물책임법 발효에 따른 대응을 보면, PL 전문가를 초빙하여 컨설팅과 직원 교육을 시행하고, 사내에 전문 부서와 팀을 구성 하여 전사적 차원에서 품질경영 활동을 할뿐만 아니라 원료 공급상의 경로, 제도상의 문제점 등 경영과 유통의 전반적인 문제들을 추적하고 연구하며 재검토하는 계기가 되었다. 지금까지 기존 기업들은 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KS규격, ISO system 및 HACCP(위해요소 중점 관리기준) 제도를 통해 생산성 향상을 기하고 제품의 안전성과 여러 부문에서 생산된 제품이 소비자에게 신뢰성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노력해 왔으며, 홍보에도 노력하여 왔었다. 여기에 최근 제조물책임법이 공포 되면서 각 제품별로 제조물에 대한 책임을 더욱 고양시키고 있는 것이다. 한편 육가공제품의 유통에 있어 방향 설정과 경제성을 검토하여 PL법에 부응하면서 소득 창출을 목적으로 "제조물책임법(PL법)과 돼지고기 유통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고 안전 축산물을 생산 공급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믿고 찾는 축산물을 선택할 수 있게 하며, 생산자와 유통에 관여하는 자는 안전한 축산물을 생산 공급하여 경쟁력을 재고시키고, 제조물 책임법을 하나하나 분석하여 생산부분, 제조 가공부문, 유통부문에 대하여 점검하고 건전한 소비를 권장하며 축산물의 고부가가치를 창출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설정하고자 본 논문의 의의를 설정하였다. 양축농가에서부터 안전 축산물 생산을 위한 노력과 국민건강을 책임진다는 의식전환과 위험 요인의 제거, 그리고 식육에 잔류 하거나 축척되어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의 사전 제거와 제조공정 중 위생관리 및 부정축산물 유통의 근절, 제조사는 품질관리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노력은 일회성이 아닌 상시적인 것이어야 한다. 더불어 강조하고 싶은 것은 전 직원이 PL법에 관한 관심을 갖고 업무에 임하고, 기업은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의 수립하고 이를 꾸준히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며, 제품을 사전점검 해보는 것도 유익할 것이다. 소비자에게 등급별 부분육 유통을 통하여 식육 정보를 제공하고 또한 완벽한 콜드체인 시스템을 운용하여 제품이 생산에서부터 소비자의 손에 이르기가지 보관, 판매, 위생관리를 강화하며, 안전 축산물과 가공 식품의 요리 용도에 따라 식육관리를 철저히 하여 효율적 소비를 유도해야 한다. 최근 PL 관련 여러 가지 조사 결과는 식품에 관한 PL사항이 80% 정도로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에 부응 하는 각종 대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식품 조장재의 환경호르몬(DEHA)문제, 알레르기 유발 식품 원료의 표시 의무화 문제, 식품 가공 시 GMO(유전자 변형) 원료사용 문제 등 사용을 자제 하거나 사용을 금지할 수 있는 "식품 등의 표시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소비자의 알 권리의 충족과 GMO(유전자 변형) 원료사용 식품과 안전 식품의 차별화로 제품의 경쟁력 강화와 가격 경쟁력을 갖추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PL법이 진정 소비자를 위하는 법이 되기 우해서는 소비자들도 관심을 갖고 소비자권리를 주장해야 한다. 기업도 전문가들을 동원, 나름대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지만 완벽할 수는 없다. 소비자들이 자신들의 정당한 권리를 주장할 때, 그런 소비자의 노력과 기업의 노력이 합쳐져 제조물책임법이 의도했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소비자들에게는 제품의 안전에 대한 의식이 제고되고 기업들에게는 경쟁력 제고의 계기가 될 것이다. As the Product Liability Law comes into effecti, all manufacturing companies are on alert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their products. Especially the food processing companies are under a state of emergency. IN this curcumstances, this paper aims at presenting a way of creating high valued products and competitiveness in pork processing industry. The way is investigated into three parts with an analysis of the Product Liability Law one by one; producing, manufacturing and distributing process. In the producing process, all producers must always try to eliminate the hazard elements to supply safe stock farm products with strict sanitation checks: the residue in meats affecting human body, its accumulation effects and eradication of illegal stock farm product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manufactureres' staffs are always doing wheir work in recognition of the PL Law. From production to consumers, a perfect cold system should be performed with reinforcing the safekeeping and sale controls. And they can guide consumers to an effective consumption with the information about meats to its purposes. In the distributing process, an "indication standard for foods" should be legislated for consumers' right toward restricting or prohibiting allergy-causing raw materials of food, DEHA of food covering materials, and the uses of GMO raw materials. With this, pork meat distribution companies can have competitiveness, differentiating safe foods from genetically modified foods. Consumers also try to insist their right so that the PL Law can be a real right for consumers. Mutual efforts of consumers and companies can improve the competitiveness with safety conscious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