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말린 그래핀의 저진동수 영역에서의 라만 분광학 특성

        엄태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논문에서는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 IPA)을 이용하여 그래핀(graphene)을 말아보았으며, 말린 그래핀(scorlled graphene)의 특성을 라만 분광학적으로 연구하였다. 말린 그래핀은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와는 구별되는 라만 분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특히 120 근처에서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에서는 볼 수 없었던 라만 피크들이 관측되었으며 그 특성을 분석해 본 결과, 비틀어져 겹쳐있는 다중 겹 그래핀(twisted multi-layer graphene ; tMLG)에서의 Layer Breathing Mode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말린 그래핀에서 관측되는 저진동수 영역의 라만 피크(low-frequency Raman peak)들을 관찰하고 그 원리에 대해서 다각적으로 분석해 본다. We discuss Raman spectra of carbon nanoscrolls structure. We scrolled monolayer graphene by applying a droplet of isopropyl alcohol(IPA) solution(IPA/water~1:3) to the exfoliated graphene on substrate. In Raman spectroscopy, we have observed peculiar low-frequency Raman peaks below 120 only at certain positions of the scrolled graphene. The low-frequency Raman properties of the scrolled graphene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radial breathing mode(RBM) of carbon nanotubes, but similar to the layer breathing mode and the shear mode in twisted multi-layer graphene. From the similarities of Raman spectra between the scrolled graphene and the twisted multi-layer graphene, we argue that in such specific locations layers in the scrolled graphene encounter specific twisted angle between layers and result in the peculiar low frequency Raman peaks.

      • 레이저 투사를 통해 역학적으로 변형 된 이황화몰리브덴의 특성 연구

        김성원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TMD: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은 2차원 물질이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며 실리콘에 뒤지지 않는 고이동도를 가져 유연 및 투명 소자나 광전자 소자 응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이황화몰리브덴은 대표적인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 투사를 통해 역학적으로 이황화몰리브덴을 변형시켰다. SiO2 기판과 이황화몰리브덴의 열팽창 계수가 다르기 때문에 이황화몰리브덴이 레이저 투사를 통해 역학적으로 변형된다. 단일 겹의 이황화몰리브덴에 레이저 투사를 통해 주기적으로 변형 된 구조를 만들었다. 레이저 투사를 통해 역학적으로 변형 된 이황화몰리브덴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Raman과 AFM 측정을 통해 역학적 변형을 확인하였고 소자를 제작하여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레이저 투사를 통한 역학적 변형은 2차원 물질 응용에 있어서 많은 가능성을 제시 할 것이다. Layered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attracted a great deal of interest because of their attractive electronic, optoelectronic, and mechanical properties. MoS2 is a typical example of the layered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In this thesis we selectively deform the monolayer MoS2 by illuminating laser. The difference in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between MoS2 and SiO2 substrate results in the deformation. In addition, we bring attention to the periodic modulation of the structure generated in the monolayer by the laser irradiation. We used Raman spectroscopy to evaluate the strain in MoS2,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deformation in electrical properties. Strain engineering in MoS2 can open up many applications such as optics, electronics, optoelectronics, photovoltaics, and surface science.

      • 국공립 어린이집의 운영개선 방안연구

        임순선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사회적 변화로 맞벌이 가정의 증가와 보육료 지원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하여 어린이집에 자녀를 맡기고자 하는 가정들이 늘어나고,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대상의 연령이 점차 하향화되면서 부모들의 보육 서비스에 대한 질적 수준의 욕구도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들의 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요구가 무엇인지를 연구문제로 제시하였고 그에 따른 운영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보육특구로 지정된 서울 성동구에 거주하는 국공립 어린이집 부모 50명, 농공 지역을 이루는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국공립 어린이집 부모 50명, 농업과 어업 그리고 관광종사자 있는 제주시 구좌읍 국공립 어린이집 부모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둘째, 어린이집운영, 보육프로그램, 인적환경의 요구를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한 빈도분석 하여 부모의 요구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셋째, 설문지 구성은 부모 관련 변수로 연령, 학력, 소득, 취학 전 자녀 수, 거주형태, 직업, 배우자직업, 가족 구성, 위탁한 자녀 연령이다. 지역 관련 변수로 서울 성동구, 남양주 화도읍, 제주시 구좌읍의 국공립 어린이집에 다니는 부모이다. 종속변수로는 어린이집 운영에서 반 구성, 교사 대 아동 비율, 운영시각, 운영시간 시설의 문제, 교재교구, 실외놀이, 시설 규모, 주변 환경, 위치, 등 하원 방법, 보육료 타당성, 보육료 부담, 보육료 지급형태, 보육료 지원 혜택으로 두었다. 보육 프로그램으로는 프로그램의 중요성, 신체검사측정횟수, 식단제공관리자, 위생상태, 환아 관리, 화재 점검 교육, 희망프로그램, 어린이집 입학 이유, 어린이집 선택이유, 적합한 학습방법, 현장학습, 부모교육으로 두었다. 인적환경으로 보육교사의 학력, 결혼 여부, 연령, 경력, 교사의 역할, 교사상, 교사의 만족도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어린이집 운영 연구결과에 따른 부모 요구를 분석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반 구성은 동일연령 반을 선호하고 있다. 둘째, 어린이집 운영시간이 제주의 특성상 24시간을 요구하는 부모를 위한 보육시설의 설치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서설 규모의 부족함과 주변 환경의 적합하지 않다는 요구의 개선 방향은 현 정부의 보육정책인 국공립 40% 확충을 기대하는 것을 제안했다. 넷째, 기타 비용을 포함한 보육료 부담을 원하고 있는 분석은 교사나 자원 봉사자의 지원이나 보육료에 기타 비용을 포함하여 현실화를 이루게 하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보육 프로그램 부분의 부모 요구조사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중요성은 안전관리 부분과 제주에서는 교육 부분을 선호하였다. 이를 표준 보육 과정의 영유아를 위한 내용을 알리며 함께 공유 할 수 있는 제안을 하였다. 둘째, 연구지역의 어린이집에 보내는 이유는 단체 생활을 통한 원만한 성격 형성을 위해서이지만, 부모의 개인적인 시간을 위한 내용도 있어 개인적 성취도와 발전을 위한 시간적 배려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제시하였다. 셋째, 현장학습을 원하지 않는 서울의 18%와 남양주 2%를 위해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넷째, 부모 교육 프로그램은 면담상담과 가정통신, 부모 교육의 전반적인 부분을 가지고 있어 부모를 위한 교육방법으로 모든 부모에게 여러 가지 방법을 실천 할 수 있게 제시하였다. 인적 환경의 요구 내용은 첫째, 보육교사의 결혼은 유무와는 관련이 없었고 연령은 30∼39세가 가장 많이 요구 하였다. . 둘째, 교사의 경력은 모두가 3∼5년을 선호하였고 따뜻한 애정을 가지고 아이를 이해하는 교사가 가장 많은 것으로 요구 되면서 전체적으로 교사의 만족도는 높았다. 이처럼 연구 지역의 부모들은 어린이집 운영요구와 보육프로그램, 인적환경의 요구를 알 수 있었으며 지역적 특성에 맞는 요구의 개선방향을 제시 하였다.

      •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 리더십이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 임파워먼트, 조직헌신,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강미령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 리더십이 교사 임파워먼트, 조직헌신,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 230명, 경기지역 120명, 대구지역 100명의 국공립, 법인, 직장, 민간, 가정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회수한 설문지 41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는 2019년 9월 17일부터 10월 4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집원장의 감성리더십은 교사의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리더십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분석은 대인관계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리더십 하위요인인 감정통제와 대인관계가 조직 헌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항목들에서 표준화 계수의 크기를 기반으로 분석하면 대인관계 그리고 감정통제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역시 대인관계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인관계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린이집 원장에게 감성 리더십의 보유와 높은 대인관계를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들의 임파워먼트, 조직헌신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연구라는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으며, 특히 대인관계가 모든 항목에 일관된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a daycare center on teacher's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50 preschool teachers working for the national public, corporate, private and family members comprised of 230 in Seoul, 120 in Gyeonggi Province, and 100 in Daegu. The answers from 417 participants have been utilized for the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over the period of 17 September to 4 October 2019. The data analysis was process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the daycare center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eacher's empowerment. Analysis of the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on empowerment revealed that onl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effect. The influence of emotional leadership subfacto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nd that emotional disciplin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analysis of the two items based on the size of th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showed that they had an effect in the order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emotion control. Th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as also positively affect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irector of the day care center requires emotional leadership and hig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could be meaningful as a study that examines the effect of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on teacher's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have a consistent effect on all items.

      • 교사 인성이 유아 창의인성에 미치는 영향

        김다운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The Effect of Teacher Personality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KIM, Da U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KonK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 's personality on infant' s creative personality. In addition, it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 - infant relations qualit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ity of the childcare teacher will affect the personality of the childhood creativity." Second,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 personality on infant creativity personality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eacher - infant relationship."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nursery teachers who operated a 3 - to 5 - year - old nursery class in national public nursery, private day nursery, and day nursery in Seoul and 289 copies were used as research dat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theory was set as "The character of a child teacher will affect the creativity of an infant" first and second, "The impact of a child teacher's character on the creativity of an infant will depend on the quality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Data collected for the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4 program.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 test, one-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main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ersonality of the childcare teachers was 3.92 points on average of 5 points. The sub - factors were social relationship, positive self concept, job performance, creative personality, humanity factor. The quality of the teacher - infant relationship was average at 2.89 points out of 5 points. Affiliation, dependency, and conflict factor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e level of personality of infant creativity was 2.82 as high as 4 out of 4 points. Curiosity, openness, adventure, goal orientation, and independence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Second, the difference of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type of work organization was significant among the groups, and the quality of teacher - infant relationship and creativity of infant were not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post - test, the childcare teachers’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jor changes in the age of child care teachers is significant in their character. However, the quality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infant creativity were not significant. Post-mortems showed a high level of character for child care teachers in groups of 40s and older. Fourth, the main variation in teaching experience was shown to be significant in the characterization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 quality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was not significant. Post-mortems showed a high level of child care teachers in group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Fifth, the impact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on infant creativity was analyzed and the conflict factor was not significant to infant creativity, but when the factors of intimacy were higher than average, the nature of child care teacher had a static effect on infant creativity, and the dependency factor significantly affected the creativity of child care teacher when the child care teacher personality was lower than average.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when the caregiver 's career is more than 10 years, the highest personality of the childcare teacher can be analyzed as the teacher' s basic personality, which is the basic character, increases as the age increases. On the other hand, the personality of young childcare teachers with low experience and low age was measured, suggesting the necessity of re - education and preparation of programs related to cultivating detailed personality by beginning teachers and career. Second, we suggested periodic teacher - infant relationship measurement in day - care center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the personality of daycare teacher affects infant creativity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eacher - infant relationship. Ultimately, we should striv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teacher - infant relationship so that the intimacy of the teacher - infant relationship is enhanced and the dependency is lowered. Keyword : Teacher Personality, Quality of teacher-infant relationships, Young Children's Creativity 국문초록 교사 인성이 유아 창의인성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는 목적은 보육교사의 인성이 유아의 창의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더불어 교사-유아 관계의 질의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은 첫째, “보육교사의 인성은 유아 창의인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교사-유아 관계의 질에 따라 보육교사 인성이 유아 창의인성에 미치는 영향은 다를 것이다.” 로 설정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국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직장어린이집 등에 근무하는 만3세〜만5세를 담당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89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인성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92점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하위요인 별로는 사회관계, 긍정적 자아개념, 직무수행, 창의인성, 인간애 요인 순이었다. 교사-유아 관계의 질의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2.89점으로 보통수준이었다. 하위요인 별로는 친밀감, 의존성, 갈등 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 창의인성의 수준은 4점 만점에 평균 2.82로 높은 수준이었다. 하위요인 별로는 호기심, 개방성, 모험심, 목표지향성, 독립성 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주요변인 차이는 보육교사 인성이 집단 간 유의미하였고, 교사-유아 관계의 질과 유아 창의인성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사후 검정 결과 민간어린이집의 보육교사 인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 연령에 따른 주요변인 차이는 보육교사 인성은 유의미하였으나, 교사-유아 관계의 질과 유아 창의인성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사후검정 결과, 40대 이상 집단의 보육교사 인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교직경력에 따른 주요변인 차이는 보육교사 인성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유아 관계 질은 유의미 하지 않았다. 사후 검정 결과, 10년 이상 경력 집단의 보육교사 인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유아 관계의 질에 따른 보육교사 인성이 유아 창의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갈등 요인은 보육교사 인성이 유아의 창의인성에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친밀감 요인이 평균보다 높을 때, 보육교사의 인성이 유아 창의인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의존성 요인은 평균보다 낮을 때, 보육교사 인성이 유아의 창의인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보육교사의 경력이 10년 이상일 때 보육교사 인성이 가장 높은 것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교직 경험과 업무에 대한 능력이 자연스럽게 쌓이면서 교사의 기본 자질인 인성이 높아진다고 분석할 수 있다. 한편 경력이 적고 나이가 어린 보육교사의 인성이 낮게 측정되어 초임교사와 경력자별로 세부적 인성함양 관련 프로그램을 마련 및 재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둘째, 교사-유아 관계의 질에 따라 보육교사의 인성이 유아 창의인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에 따라 보육기관에서의 정기적인 교사-유아의 관계 측정을 제안하였다. 궁극적으로는 교사와 유아 관계의 친밀감은 높이고, 의존성을 낮추도록 교사-유아 관계의 질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보육교사 인성, 교사-유아 관계의 질, 유아 창의인성

      •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CCTV 의무화정책의 개선방안 연구 : CCTV 인식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을 중심으로

        박경옥 건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According to the recent data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child abuse by childcare teachers is rapidly increasing every year like 147 cases in 2011, 110 cases in 2012, 202 cases in 2013, 295 cases in 2014, and 427 cases in 2015. Especially, the abuse case of infant & young children is about 28% of the whole child abuse cases. In case of death caused by child abuse, the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five-year or less held a majority(60%), so that it is urgently needed to have the concrete analysis on the abuse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measures of it(Jang Hwa-Jeong et al, 2016). Thus, the government fully executed the CCTV obligation policy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Infant & Child Care Act」(2015.4.30) for the purpose of prevention of child abuse. The CCTV obligation policy has positive effects like solution of parents' anxiety and increase of their reliability of child safety and childcare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the issue of human rights violation and contraction of childcare activity has been suggested as it is recognized as means to observe and oppress teachers. Thu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by analyzing the positive/negative effects of CCTV obligation policy through the analysis on theses on the perception of installation of CCTV targeting childcare teachers and parents, for the effective enforcement of CCTV obligation policy. For this, it analyzed the results of 14 theses researching/analyzing the perception of installation of CCTV targeting domestic journals and theses. In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regarding the overall negative perception, it was shown in the order of contraction of educational activity, human rights violation, and negative perception while childcare teachers' negative perception was relatively higher than parents'. Regarding the installation of CCTV, childcare teachers showed high perception like violation of autonomy, difficulty in discipline, decline of trust between child and teacher, and encouragement of distrust, so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improvement measures. Second, regarding the positive perception, parents' relief was the highest, which showed the effects of installation of CCTV in day-care center on parents' feeling relieved of child safety and negative behaviors like abuse. Also, parents had relatively higher positive perception than childcare teachers. In summary, as the installation of CCTV only pursues the purpose of prevention of child abuse without considering its effects on the number, teacher's authority, and educational activity of childcare teachers, it is highly possible to increase childcare teachers' stress and also to work as a cause for lowering the quality of childcare, instead of showing positive effects of the policy. In order to decrease such negative effects of installation of CCTV,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the treatment of childcare teachers and also to change their perception to positively use CCTV based on the correct belief, and also to limit the installation place to reinforce the management of CCTV image and to minimize the human rights violation. 최근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보육교사들에 의한 아동학대는 2011년 147건, 2012년 110건, 2013년 202건, 2014년 295건, 2015년 427건으로 매년 급증하고 있다. 특히 영유아 학대사례는 전체 아동학대 사례의 약 28%를 차지하고 있고 아동학대로 인한 사망사건의 경우 5세 이하 영유아가 60%의 비율로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어 영유아 아동학대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과 그에 따른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장화정 외, 2016). 이에 정부에서는 아동학대 예방 및 방지를 목적으로 한「영유아보육법」개정(2015.4.30)을 통하여 CCTV 의무화정책을 전격적으로 실시하였다. CCTV 의무화정책은 학부모로 하여금 보육시설 및 영유아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되고 신뢰도가 높아졌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반면, 단편적으로 교사를 감시하고, 압박하는 수단으로 인식되어 인권침해 및 보육활동 위축이라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CTV 의무화정책의 효과적인 시행을 위해 CCTV 설치에 대한 보육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연구한 논문을 분석하고, CCTV 의무화정책의 긍정적·부정적 효과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의 대상은 CCTV 설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한 논문 14편의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전체적으로 부정적 인식에서는 교육활동 위축, 인권침해, 부정적 인식의 순으로 높은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으며, 보육교사의 부정적 인식이 학부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CCTV 설치로 인하여 보육교사는 자율성 침해, 훈육의 어려움, 아동과 교사간의 신뢰 저하 및 불신을 조장한다는 인식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인식에서는 학부모 안심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어린이집 CCTV 설치로 인하여 학부모는 자녀의 안전과 학대와 같은 부정적 행위로부터 안심하게 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긍정적 인식은 학부모가 보육교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CCTV 설치는 보육교사의 인원과 교권, 교육활동에 미칠 영향 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아동학대의 예방이라는 목적만 추구하고 있어서 정책의 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나기 보다는 보육교사의 스트레스를 상승시키고, 보육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CCTV 설치의 부정적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보육교사들이 올바른 신념을 가지고 긍정적으로 CCTV를 사용하여 생활할 수 있도록 보육교사의 처우 개선과 인식의 전환을 유도해야 한다. 또한 CCTV 영상의 관리를 강화하고, 인권침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설치장소의 제한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 해외사례를 통해 본 국가사이버안보전략 수립 방안 연구

        손수원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 사이버공간은 육지, 바다, 공중, 우주에 이어 제5의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사이버공간에서 일어나는 사이버공격, 사이버테러, 사이버전쟁이 국가안보를 심각히 위협하는 수준이 되었다. 탈냉전이후 국가안보는 무력에 의한 국방 위주의 전통적인 안보개념에서 경제, 환경, 에너지, 교통, 보건 등 비군사적 영역이 포함되는 포괄적인 안보로 확대하였다. 국가의 주요기반시설과 경제활동이 컴퓨터나 네트워크 기반으로 운영됨에 따라 사이버안보도 국가안보의 주요한 부분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은 사이버안보의 중요성을 일찌감치 인식하고 추진체계 구축, 법․규정 제정, 전략 수립 및 국제 협력방안 제시 등을 체계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다. 즉 국가안보전략에 사이버안보의 중요성을 명시하고, 국가전략에 따른 국가사이버안보전략을 수립․공표하고 있다. 점증하는 사이버안보 위협으로부터 사이버공간을 안전하게 방어하고, 평화와 번영을 약속하는 사이버공간을 보장함으로써 사이버주권을 수호하고 사이버 안보강국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이버안보전략 수립은 아직 국제적으로 명확히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사이버공간(cyberspace)’에서 발생하거나, 발생할지 모르는 국제적 분쟁에 대해 자국의 이니셔티브를 잡기 위한 선언적 측면도 있다. 우리나라는 정보통신 기술력이 높고 강대국에 둘러싸여 있어 사이버 공격 타깃 국가로 알려져 있으며, 거의 매년 사이버 침해 사고가 발생하다시피 하고 있다. 특히 사이버역량이 세계적 수준이라고 평가를 받는 북한과 대치 중인 특수한 안보환경 하에 있다. 물론 우리나라도 사이버안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사이버보안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2003년 전례 없는 인터넷 대란을 계기로 사이버안전센터를 설립하여 국가 차원의 대응 기반을 갖추었다. 2009년에는 국가 사이버위기종합대책을 수립하였고, 2011년 농협해킹사건 이후에는 국가사이버안보마스터플랜을 수립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수원 해킹(2014년), 국방망 해킹(2016년) 등 사이버테러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아직 국가사이버안보법도 제정되어 있지 못하다. 국가사이버안보에 관한 장기적이고 종합대책인 사이버안보전략도 부재하다. 2006년 17대 국회때 최초 발의된 국가사이버안보법안은 발의와 자동폐기를 반복하여 왔으며, 현재 정부입법안이 국회(정보위)에 계류 중이다. 세계 약 35개국이 국가사이버안보전략을 수립․시행하고, 사이버공간에서 자국의 이익확보를 위해 치열하게 경주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그간 산발적․단편적으로 추진해 온 사이버공간안보를 위한 제반 법․제도, 추진체계, 역할 등을 종합적으로 면밀히 검토하여야 할 때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국가사이버안보전략 수립 필요성을 인식하고, 전략 수립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사이버공간과 사이버안보에 대한 개념을 논의하고, 북한의 사이버전 역량을 분석하여 사이버안보위기 실태를 진단한다. 특히 미국, 영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주요 사이버안보분야 선진국 또는 주변4강의 국가사이버안보전략 추진경과와 전략내용을 비교․분석 연구하였다. 우리나라의 특수한 사이버안보 환경에 맞는 사이버안보전략에 수록할 항목과 이니셔티브(전략․플랜)를 도출하였다. 세상 모든 사물이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정부, 국방, 금융, 가정생활 등 사회 각 분야가 사이버공간속으로 들어가는 사물인터넷(IoT)시대를 앞두고 있다. 물리적공간과 사이버공간이 고도로 연결된 초연결융합사회에서 안전하고 자유로운 사이버공간을 확보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사이버안보전략은 국가 안보의 중요한 전략으로 시급히 수립하고 추진해야 할 분야이다.

      • 메이커스(1인 창조기업)의 창의성과 심리적 특성이 기술사업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부의 지원정책 중심으로

        이상호 금오공과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aim of this study, to increase the Makers' practical values, is that Makers' personal creativity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ave the relationship between a technology-commercialization and the Makers, The personal creativity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namely the principle elements of the entrepreneur's spirit, are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ships with the technology-commercialization and the lasting support of the government. Those are as follows. First, whethe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s influenced by the individual creativity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kers or not Second, whether the individual creativity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kers have the role regulated by the government or not. Third, it is to analyze the propensity for entrepreneurship motivation and difficulties of the personal creative company. As a result, First, the creativity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influences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econd, the regulatory effect of government supports in funding and educational support programs affects individual creativity. Third, this study showed that entrepreneurship motivation of personal creative company in order to have my small business is Commercialization of creative ideas with no retirement. And difficulties are insufficient guarantee of expected return, operating margin, financing, business instability and competition. In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environment, the creative and innovative technology, the core of a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future, is basic process to provide a new direction about a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to establish a national supporting policy.

      • MZ 세대의 온라인 뷰잉룸 이용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조하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과거에는 미술품 구입이나 미술 투자가 부자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비롯한 각종 첨단 기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시간과 공간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근무할 수 있고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MZ 세대들이 미술시장 소비층의 주류로 자리 잡았으며 그 영향력은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문화강대국으로 불리는 선진국에서는 그 가치를 더욱 높이기 위해 온라인 뷰잉룸의 다양한 활성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문화적 요구에 맞춰 우리나라에서도 모든 일반 대중들에게 온라인 뷰잉룸을 활성화시킨다는 목표로 다양한 시도를 이어 나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뷰잉룸을 통해 미술작품 구매 경험이 있는 MZ 세대 대상을 바탕으로 미술업계 전문가 집단 5명과 비전문가 집단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통해 알아보고 그 개선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크게 온라인 뷰잉룸의 이용경험과 효과, 온라인 뷰잉룸의 전망 그리고 온라인 뷰잉룸의 발전방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온라인 뷰잉룸의 이용경험과 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전문가 집단과 비전문가 집단 대부분은 온라인 뷰잉룸의 필요성에 대하여 긍정적 효과를 언급하였고 온라인 뷰잉룸으로 인해 편리성과 안락성을 얻음으로써 그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비전문가 집단은 온라인 뷰잉룸을 통해 미술에 대해 알게 되었다는 점과 더불어 다양한 측면의 미적 감각이 드러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추후 온라인 뷰잉룸은 보다 체계적이고 세분화된 시스템을 통하여 더 많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온라인 뷰잉룸의 전망에 대해 살펴보면 온라인 뷰잉룸은 SNS을 통해 광고효과 영향을 받고 있었다. 작가나 작품의 소식을 빠르게 알 수 있고, 유행하는 작품, 작가에 대해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오프라인에서 느껴지는 작품의 분위기가 온라인은 느낄 수 없다는 부정적인 측면도 나타났다. 온라인 뷰잉룸의 향상을 위해 이러한 온라인 뷰잉룸의 제약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온라인 뷰잉룸의 발전방향은 연구대상자로 참여한 전문가 집단과 비전문가 집단이 지니고 있는 미술현장과 온라인 뷰잉룸과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그들이 실제 구매 경험이 있는 인력으로서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분석되었다. 온라인 뷰잉룸의 구매경험이 일반 대중들에게 활성화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누구에게나 이해하기 쉬운 작가 설명과 작품 설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뷰잉룸이 MZ 세대뿐만 아닌 모든 세대들에게 활성화되기 위해선 온라인의 시스템 개선과 발전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부분에서 처우개선에 대한 방안도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past, buying art or investing in art was considered the exclusive property of the wealthy. As the spread of various high-tech devices, including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is rapidly increasing, it is possible to work anytime, anywhere and use various contents without time and space limitations. Currently, the MZ generation has become the mainstream of the art market consumers, and their influence is gradually expanding. Developed countries, which are called cultural powerhouses, are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to activate online viewing rooms to further increase their value. In line with these cultural demands, various attempts are being made in Korea with the goal of activating online viewing rooms for all general public. In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with 5 experts in the art industry and 8 non-experts among the MZ generation who had experience in purchasing art works through online viewing rooms to explore ways to improve online viewing room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largely divided into the experience and effectiveness of online viewing rooms, the prospects of online viewing rooms,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online viewing room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perience and effects of online viewing rooms, most of the expert groups and non-expert groups mentione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necessity of online viewing rooms and emphasized the necessity by obtaining convenience and comfort through online viewing room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non-professional group, who did not major in art, learned about art through the online viewing room, as well as revealed various aspects of aesthetic sense. Therefore, online viewing rooms will need to be more active through a more systematic and subdivided system in the future. Second, looking at the prospects of the online viewing room, the online viewing room was influenced by the advertising effect through SNS. In other words, through advertisements, news about artists or works can be known quickly, and information on popular works and artists has spread. However, there was also a negative aspect that the atmosphere of the work that can be felt offline cannot be felt online. In order to improve the online viewing room, the limitations of the online viewing room should be improved. Third, since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had actual purchasing experiences were composed of expert groups and non-expert groups on art sites and online viewing rooms,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online viewing rooms through efforts of interaction between groups. In order for the purchasing experience of the online viewing room to be revitalized to the general public, it was found that easy-to-understand explanations of artists and works were needed. In order for the online viewing room to be active not only for the MZ generation but for all generations, measures to improve treatment in the institutional part should be devised so that they can focus on improving and developing the onlin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