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실업태권도 선수단 변천과정

        함준 한국체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한국 실업태권도선수단의 창단과 운영 등의 변천과정을 알아봄으로써 실업태권도관련 연구에 관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 앞으로 실업태권도관련 연구에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과 실업태권도선수단 변천과정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창기의 태권도 실업팀 창단은 1970년대 현대자동차태권도선수단을 시작으로 시대의 흐름과 요구에 부합하듯이 순차적으로 창단되기 시작하였으며, 1983년 4월 설악케이블카, 1985년 제천시청, 1986년 서울 지하철 공사, 1988년 현대자동차, 1989년 현대정공 등이 연이어 6개 선수단을 창단하였다. 그러나 경제위기와 경영난으로 인해 해체되는 팀들이 생겨나게 되었고 당시 창단이 되어서 현재까지 남아있는 선수단은 국군체육부대뿐이다. 이시기 태권도 실업선수단 창단의 의미는, 태권도선수들의 대학졸업 후 진로의 확대와 사기진작을 북돋았으며, 선수생활을 오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주었고, 한 기업을 대표하는 직장운동선수단으로서 태권도선수단의 시작을 알렸다는데 있다. 둘째, 도약기의 태권도실업팀 창단은 1990년 춘천시청을 시작으로 1994년 영천시청, 1995년 인천시청을 포함하여 10개의 선수단이 창단되었다. 이시기 태권도실업선수단 창단의 의미는 경기침체의 한파속에서 비인기종목실업팀이 하나씩 사라지고 있었던 상황에서 1986년 아시안게임, 1988 서울올림픽,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에 태권도가 정식, 또는 시범종목으로 채택됨과 같은 태권도경기의 국제화, 세계화가 시작되었고, 이에 따른 정부의 체육장려 정책 등에 힘입어 태권도실업팀의 창단이 활성화되기 시작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국내·외적인 상황은 태권도경기의 입지를 확고하게 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와 함께 태권도계로 보아서는 태권도 종주국으로서 올림픽과 아시안게임을 비롯한 각종 국제경기에서 그 위상을 지켜내야 하는 문제가 대두 되었고, 이상과 같은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국내 태권도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이 그 해결방안이 되었다고 사료된다.. 셋째, 번영기에는 수성구청등 16개의 선수단이 창단되었다. 이 기간에는 태권도가 올림픽경기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어져서 2000년 시드니올림픽, 2004년 아테네올림픽, 2008년 베이징올림픽, 2012년 런던올림픽대회 등 네 차례에 걸쳐 성공적으로 경기가 치러졌으며, 태권도경기의 국제화, 세계화가 완성되어 가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기간 중에 창단되었던 실업팀의 면면을 들여다보면 일반 기업들의 투자에 의한 창단보다는 주로 도민체전과 전국체전에 활용하기 위한 창단으로서 정부중심의 관공서 위주의 팀들이 창단되고, 운영되고 있어 아쉬움이 남는 부분이 있다고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업팀에서 품새선수 위주의 실업선수단이 창단되고 있는 현실은 태권도가 과거 겨루기경기 위주의 발전을 지향했다는 현실을 인정할 때, 태권도가 가지고 있는 무도성과 무도적 교육의 가치 재발견, 그리고 태권도경기의 참여확대라는 측면 등에서 바람직한 발전현상이라고 판단된다. 넷째, 한국 실업태권도연맹에서 주도한 개혁과 변화, 그리고 창의적인 도전은 비록 시행착오를 겪기는 하였지만 ‘재미있는 태권도’의 실현 등에서 긍정적인 발전을 이루어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단체전을 과감하게 도입하고, 차등득점제도의 조기도입과 확대실시 등, 경기규칙의 전면적 개정을 통한 적용 등은 관중들로 하여금 태권도 경기가 ‘재미있다’는 평을 받게 하였으며, 다른 태권도 단체들에게 모범을 보였으며 그중에서도 세계태권도연맹의 단체전 도입에는 긍정적이고도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끝으로 한국실업태권도 선수단의 선수지원과 복지가 향상되려면 더 많은 실업팀이 창단되어야 하고, 그 중심에는 민간 기업들의 체육에 대한 많은 투자가 이루어져야 질적인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따라서 좀 더 많은 민간 기업으로 하여금 운동선수단의 창단을 할 수 있도록 장려하여 태권도 뿐 만아니라 다양한 종목에서 더 많은 선수들이 더 좋은 환경에서 선수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고 사료된다. 이와 같은 방안은 운동선수들의 사회적 진출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선수로서 선수생명을 늘리게 되어 개인은 물론 그 종목의 경기력발전을 가져오게 되며, 결과적으로는 운동선수들의 삶의 질의 향상과 함께, 국위선양을 할 수 있게 되는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 태권도 시범의 공연화 현상에 따른 시범단원들의 진로탐색

        장창순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태권도시범과 공연경험을 통한 진로문제 과정의 탐색을 위하여, 태권도 시범공연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시점인 2008년부터 현재까지 태권도 시범공연에 직접 참가했던 국기원 시범단, 대한태권도협회 시범공연단, 세계태권도연맹 시범단, K-TIGERS 시범단 출신 전공자들 중 9명을 선정하여 질적연구(Qualitative Research)방법 중의 하나인 사례연구방법을 채택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태권도수련과정에서 접하게 된 태권도 시범장면과, 시범대회 출전 경험 등을 통하여 시범에 대한 인식과 함께 자신감 상승 등을 경험하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태권도와 시범공연이 자신의 적성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진로를 결정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은 대학진학의 진로결정에도 결정적인 작용을 하게 되었으며, 이후 시범단원으로서 시범공연 활동을 하며 해외파견, 국내공연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얻게 된 효능감과 자존감이 태권도 시범공연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져다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시범단에 입단하게 되면서 시범공연의 연습과 준비, 실제 공연에 참여하는 등의 활동에 따라 시범단 활동 이외의 일상에서 시간의 부족을 느끼고 있었으며, 특히 대학의 정규수업에 참여치 못하게 됨과 이에 따른 대학의 수업할애, 출석 불인정 등과 같은 부분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범공연에 참여하고 있는 시범단원들은 훈련과 공연에서 나타나는 부상에 대한 공연주체로부터의 미흡한 사후처리 과정과 함께, 비정기적이며, 단기간으로 진행되는 공연에 따른 불확실한 수입에 대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범공연단 선배들의 불확실한 진로과정을 목격하게 되면서 자신의 진로에 대하여 깊은 고민과 심각한 갈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태권도 시범공연의 배우만으로서 생계를 유지하는 것에 대하여 회의적이며, 대부분 각자 개인 팀을 꾸려 활동하거나 태권도장 운영을 하는 등의 활동을 통하여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적인 시범공연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8주간의 하지 근력 운동을 동반한 복합 운동프로그램이 자유품새 선수의 근활성도, 자세균형능력, 하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허연석 한국체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태권도학과 자유품새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지 근력(웨이트)운동을 동반한 태권도 복합운동프로그램군 15명과 단순 태권도 운동프로그램군 15명으로 나누어 8주간 운동프로그램을 적용 후 근활성도, 자세균형능력, 하지기능의 차이를 분석하여 자유품새 기술 발휘 향상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두 집단을 0주차, 8주차 근활성도검사(EMG), 자세균형검사(테트락스), 하지기능(8자형 호프검사)를 두 번 실시하였다. 두 집단 사이와 8주간 전·후에 따라 나타난 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반복측정이원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 ANOVA)를 실시하였다. 상호작용 없이 주 효과가 있을 경우에는 집단 간 변화량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했으며, 집단 내 중재 전·후 변화값을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8주간 하지 근력(웨이트)운동을 동반한 태권도 운동프로그램과 단순 태권도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 결과, 하지 근활성도에서 두 집단 모든 근육에서 운동프로그램 적용 전·후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또한 각각 집단의 전·후 차이값을 비교한 결과 오른쪽 안쪽넓은근, 왼쪽 안쪽 장딴지근, 왼쪽 가쪽 장딴지근, 왼쪽 반막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둘째, 8주간 하지 근력(웨이트)운동을 동반한 태권도 운동프로그램과 단순 태권도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 결과, 눈을 뜬 상태에 자세균형능력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각각 집단의 전·후 차이값을 비교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셋째, 8주간 하지 근력(웨이트)운동을 동반한 태권도 운동프로그램과 단순 태권도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 결과, 하지기능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또한 각각 집단의 전·후 차이값을 비교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연구 결과, 자유품새 선수들에게 단순 태권도 기술운동 프로그램이 아닌 근력운동을 동반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근활성도, 자세균형능력, 하지기능을 높이기 위해 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주요어 : 자유품새 선수, 복합운동프로그램, 근활성도, 자세균형능력, 하지기능 This study divided 15 taekwondo combined exercise program group and 15 simple taekwondo exercise program group and 15 simple taekwondo exercise program group for taekwondo and free poomsae athle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to provide data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free poomsae technology. Two groups were performed twice at week 0, week 8 muscle activity test (EMG), postural balance test (Tetrax) and lower extremity function (8-shaped hop test).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between the two groups and before and after 8 weeks. In the case of a main effect without interaction, an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all data was = .05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as a result of applying taekwondo exercise program and simple taekwondo exercise program with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weight) exercise for 8 week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exercise program in all muscles of both groups (p <0.05). ).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ight medial wide muscle, left medial calf muscle, left medial calf muscle, and left hemilateral muscl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e and post differences between groups (p <0.05). Secon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Taekwondo exercise program and the simple Taekwondo exercise program with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weight) exercise for 8 week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ure balance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comparing the differences,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Thir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Taekwondo exercise program and the simple Taekwondo exercise program with muscle strength (weight) exercise for 8 weeks, the lower limb fun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0.05).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of each group,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with strength training, rather than the simple Taekwondo technical exercise program, is a more effective way to increase muscle activity, postural balance and lower limb function for free-formed athletes. Key words: free poomsae athlete, combined exercise program, muscle activity, postural balance ability, lower extremity function

      • 학부모의 태권도장 선택요인 탐색

        김동복 한국체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학부모의 태권도장 선택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이루어졌다. 심층면담을 조사도구로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에 대한 귀납적 분석을 연구방법으로써 사용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진행된 연구의 결과에서 규명된 학부모의 태권도장 선택요인은 모두 8가지 선택요인으로 검증되었다. 제1요인 입지 요인은 자녀의 안전한 활동을 보장하는 거주지 및 학교와 태권도장과의 접근성을 중요시한다. 제2요인 사범의 전문성 요인은 지도의 태권도 기술 기능에 대한 전문적인 능력 및 교육자적 자질에 대한 정도를 중요시하는 요인이다. 제3요인 추천 요인은 학부모들의 태권도장 선택에 있어서 시간적 편의를 위해 주변인들의 긍정적 의견을 참고하게 되는 경우를 의미하며 궁극적으로 태권도장의 이미지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된다. 제4요인 시설 및 환경은 태권도장의 내부 인테리어 및 부대시설의 구성에 관한 요인으로 자녀들의 안전한 수련환경과 전문적인 학습을 위한 도구 준비정도를 살펴보는 요인이다. 제5요인 교육철학 요인은 태권도장에 보내지는 자녀가 양질의 수련지도를 받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도자의 전문성과 함께 지도자의 인격과 철학에 근간하여 영향을 받는다는 인식에 의한 선택요인이다. 제6요인 태권도 프로그램 요인은 태권도장임에도 불구하고 우선순위에서는 상위를 차지하지는 못했지만 학부모들이 태권도장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기본적인 요구는 분명히 존재하고 있음을 다시금 확인하게 하였다. 제7요인 스포츠 프로그램 요인은 자녀의 다양한 경험을 저비용 고효율의 학습 환경에서 이루어지길 바라는 학부모들의 요구에 의해 최근 가장 중요시되는 요인들 중 하나였지만 우선순위의 상위는 차지하지 못하였다. 제8요인 생활편의 요인은 맞벌이 부부가 많은 현대사회에의 특징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중요요인으로서 가정 또는 학교에서 미흡한 것을 태권도장에서 해결하려는 학부모들의 욕구에서 발현된 것으로서 등하교 관리, 생일이벤트 등의 부수적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결론에 따라 향후 태권도장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질적 연구의 한계가 지니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이를 양적연구로 변환한 후속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둘째, 선택요인과 함께 비교할 수 있도록 태권도장 지도자가 효과적인 태권도장의 경영성과 달성을 위해 중요시하는 경영품질 구성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의 수행이 가능할 것이다. 셋째, 학부모의 선택요인에 의해 결정된 태권도장에서 직접 수련하는 수련생의 만족도를 규명하는 연구도 의미 있는 결과를 지닐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 태권도 수련이 자폐아동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영향 : 단일대상연구

        이석용 한국체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跆拳道) 수련프로그램이 자폐아의 상동행동 빈도수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 파악하는 데 있다. 이는 태권도 수련이 지닌 기능적인 측면과 신체 발달적인 측면에서 교육적 가치를 인식함으로써 태권도의 가치를 보다 확실하게 규명하고 파악해 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실험은 전라북도 익산시 소재의 A 태권도장에서 상동행동 빈도수가 높은 2명의 자폐아를 대상으로 시작하였다. 이들은 자발적으로 참여하였으나 관찰과 측정 도중 1명이 중도 하차하였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1명을 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 참여자는 자폐성 장애(自閉障碍)로 분류된 13살 남자 아동이다. 이 논문은 ABAB 반전설계법을 사용하여 6주에 걸쳐 22회기의 연구관찰과 측정을 시행하였으며, 각각의 회기마다 촬영된 50분의 수업 중 25분의 본 운동 영상을 등간기록법으로 측정하여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등간기록법(Interval recording)을 통한 A(기초선), B(처치), A(기초선 반복), B(처치 반복) 설계이며 이를 단일 대상자 연구로 실시한 것이다. 본 연구는 상동행동 빈도수가 높은 자폐아동에게 태권도 수련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태권도 수련이 자폐아 A의 태권도 띠 좌우 흔들기 상동행동의 빈도수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태권도 수련이 자폐아 A의 손가락 쥐었다 폈다 하는 상동행동의 빈도수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태권도 수련이 자폐아 A의 머리 흔들기 상동행동의 빈도수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넷째, 태권도 수련이 자폐아 A의 각 상동행동의 빈도수 감소의 변화는 수련 이후보다 수련 중일 때 더 효과가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and understand the effects of Taekwondo training on the stereotyped behaviors of an autistic child. This aims to more clearly examine and understand the value of Taekwondo and also the educational value of Taekwondo training in the aspect of function and physical development. As the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two autistic children with high frequency of stereotyped behaviors,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a Taekwondo studio located in Iksan-si, Jeollabuk-do. After excluding one of them who dropped out in the middle of observation and measurement, this study selected the rest 13-year old boy classified into autism. By using the ABAB reversal design, total 22 sessions of research observation and measurement were conducted for total six weeks. The 25-minute images recorded in each session of total 50-minute class were measured by using the interval recording. In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single subject based on A(base line), B(treatment), A(repetition of base line), and B(repetition of treatment) design through the interval recording. In the results of applying the Taekwondo training program to the autistic child, the conclusions were obtained as follows. First, the Taekwondo training had effects on the decrease of autistic child A’s stereotyped behavior of shaking his Taekwondo belt from side to side. Second, the Taekwondo training had effects on the decrease of autistic child A’s stereotyped behavior of clenching and opening his fists. Third, the Taekwondo training had effects on the decrease of autistic child A’s stereotyped behavior of shaking his head. Fourth, the decrease range of each stereotyped behavior of autistic child A was bigger during the Taekwondo training than after the training.

      • 관광 문화상품으로 태권도 시범의 공연 예술적 가치 탐구

        심주용 한국체육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태권도 시범공연을 관광 문화상품으로서 공연 예술적 가치를 보다 크게 인식 시키고, 이를 공연예술과 문화콘텐츠의 한 장르로 육성하기 위한 접근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연구이다. 국내외 관광시장 동향과, 관광 상품화 전략, 태권도와 관광, 국내 태권도 시범단과 상설 시범공연단의 비교분석 등을 통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노력하였다. 21세기의 대표적인 성장 동력산업인 태권도는 관광 문화산업으로서 굴뚝 없는 산업, 고부가 청정산업 등 문화관광 산업에 붙는 수식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문화 관광산업은 21세기 세계 경제·문화·사회를 이끌어 나갈 전략적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세계 모든 국가는 자국의 관광 문화산업 발전을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여 나가고 있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 라는 말처럼 관광 문화상품도 한국적인 문화와 내용을 담고 있는 문화콘텐츠 상품을 개발 이용하여 관광시장에 승부 했을 때, 세계적인 관광 문화상품으로 성장할 수 있을 거라 사료된다. 태권도는 한국을 상징하는 10대 문화로 지정되었을 만큼 한국의 대표적 문화상징이자 상품이다. 태권도를 활용한 관광 문화상품은 세계관광시장의 변화 즉, 동적인 관광, 문화·스포츠·공연관람·체험관광의 형태로 한국관광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전략이 될 것이라는 확신으로 관광 문화상품으로서 태권도가 가지고 있는 공연 예술적 가치를 통해 관광 문화상품화 전략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는 바이다. 첫째, 세계적인 스포츠 관광 문화단지로써 태권도원의 국제적 인프라 구축. 둘째, 태권도 문화콘텐츠 및 문화산업의 개발. 셋째, 전 세계 태권도인을 위한 관광 문화상품을 개발. 넷째, 문화공연과 태권도를 접목. 다섯째, 태권도 관광서비스의 소프트웨어적인 경쟁력 강화 및 관광정보 연계체계 구축. 여섯째, 태권도 시범이 공연예술로서의 가치 창출에 대한 적극적인 정부 지원. 일곱째, 태권도 시범의 상설 공연문화 정착. 위와 같은 태권도의 관광 문화상품화 전략은 21세기 국가전략산업인 관광 문화산업에 한국의 고유문화 유산이자 한국인에 의한 세계인의 스포츠(무도)로 발전한 태권도를 이용함으로써 외화 획득, 국가 브랜드 이미지 향상, 공연예술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태권도 위상확립과 보급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 이 연구는 문헌자료의 분석을 토대로 이루어졌다는 측면에서 향후의 연구에서 관광 문화상품으로 태권도 시범의 공연 예술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통한 세부적인 발전방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설문조사 등의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태권도장 수련생의 수련프로그램에 따른 수련만족 및 수련지속

        길민재 한국체육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태권도를 수련하고 있는 수련생들을 대상으로 수련프로그램에 따른 수련생들의 수련만족 및 수련지속에 대해 실질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서 태권도를 수련하고 있는 초등학교 4~6학년, 중학교, 고등학생 총3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처리는 빈도분석, 독립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성별에 따른 수련만족의 차이는 태권도와 체력에서 여성보다 남성이 각각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p<.05). 수련기간에 따른 수련만족의 차이는 인성과 지도자에서 1년미만보다 3년이상의 수련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수련목적에 따른 수련만족의 차이는 체력에서 성격개발보다 기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단(段) 유무에 따른 수련지속의 차이는 구전의도에서 유급자보다 유단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수련기간에 따른 수련지속의 차이는 구전의도에서 1년미만보다 3년이상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셋째, 태권도 수련프로그램에 따른 수련만족과 수련지속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수련만족은 수련지속에 정(+)의 방향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넷째, 태권도 수련프로그램에 따른 수련만족은 태권도와 체력, 지도자는 수련지속의 하위변인 모두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성은 추천의도와 구전의도에서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태권도 자유품새 평가 기준의 개선방안 탐색 : - 기계체조 마루 종목과 비교를 중심으로 -

        장한별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태권도 자유품새 경기의 평가 기준의 개선 방안을 탐색함에 목적을 두고 문헌연구와 심층면담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품새 평가 기준의 문제점은 기술력의 난이도 점수와 기술 지침의 부재, 추상적이고 주관적인 연출력 평가, 비효율적인 심판제도, 제도적 장치의 부재로 나타났다. 둘째, 자유품새와 여자 마루운동을 비교 분석한 결과, 여자 마루운동은 기술 난도와 기술 지침, 감점 사항이 명확하였고 심판의 분리를 통한 전문성 확보, 심판의 평가 기록 의무화, 여자기술위원회의 신기술 심의, 매년 규칙 갱신 등과 같은 특성이 있었고, 이를 자유품새의 특성에 맞춰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자유품새 평가 기준의 개선 방안으로는 난이도 점수와 기술지침 확립, 연출력의 내용 보강과 감점사항 세분화, 분리 채점과 평가 기록을 통한 심판 평가 제도, 전광판 표출 세분화, 자유품새의 제도적 장치가 되는 기술위원회의 창설, 공청회나 경기규칙 강습회와 같은 소통의 장 마련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올림픽과 같은 국제 경기의 정식 종목으로 발전하기 위한 변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criteria for evaluation of freestyle poomsae.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freestyle poomsae and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women's floor exercise, the study compared two sports. Through this, it wanted to accept the merits of the women's floor exercis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thods of freestyle poomsae was identif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blems with freestyle poomsae’s evaluation criteria are 1) the lack of technical difficulty score, technical guidance, 2) abstract and subjective production score evaluation, 3) inefficient grading method, 4) lack of systematic equipment. Second, it is important to compare and analyze the floor exercise and freestyle poomsae. Important content is as follows: Detailed and clear technical guidelines and deductions, ensure professionalism by separating judges, useful function of the Technical Committee(review new technologies, and update rules every year). Third, as a way to improve the evaluation criteria of freestyle poomsae, the establishment of difficulty scores and technical guidelines, strengthening and reducing production, and forming a technical committee. Based on this study, it should be changed and develop to official sports events such as the Olympics. We need to try to develop the freestyle poomsae into a fairer game.

      • 태권도 품새 경기 활성화 방안

        김연부 한국체육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태권도 품새경기의 활성화 방안을 위하여 현행 태권도 품새경기의 경기규칙과 채점방식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우슈, 체조, 피겨스케이트의 경기규칙, 채점방식등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 같은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을 심층면접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품새경기는 신뢰성이 있는 객관적인 기준으로 평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태권도는 한 명의 심판이 숙련성과 정확성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각 선수들을 채점하고 있지만 우슈나 체조, 피겨스케이트의 경우는 심판마다 각자가 가지고 있는 전공 채점분야가 나뉘어져 있다. 심판으로서 자기 전문 분야에 해당되는 기술 점수나 예술 점수에 대한 판단만하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판단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채점 방식은 선수들뿐만 아니라 관중들도 쉽게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어서 이런 부분을 태권도에 적용한다면 심판의 채점방식에 대해서 좀 더 신뢰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품새경기에서 매년 조금씩 바뀌고 있는 평가기준, 애매모호한 경기 규칙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과 함께, 선수, 지도자, 심판들이 함께 할 수 있는 교육, 토론 등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창작품새를 만들어 경기에 경연하도록 하고, 시상에 있어서도 공인품새부분의 입상자와, 창작품새부분의 입상자를 각각 시상하고, 마지막으로 두 부분을 합산한 입상자를 시상하는 방식을 취한다면 오히려 발전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경기를 평가하는 심판의 전문화와 심판원 위치의 다각화이다. 심판장을 포함하여 10명의 심판으로 구성되어 동작의 질, 연기수준, 난이도를 나누어 평가하고 있는 우슈나, 8명의 심판으로 구성되어 난이도와 연기를 평가하고 있는 체조경기, 5-9명으로 구성되어 기술, 난이도, 예술을 평가하는 피겨스케이트는 각자가 자기의 전문 분야를 구분하여 평가한다. 특히 피겨스케이트는 5명 이하의 심판으로 구성된 경기일 경우에는 최고와 최하의 점수를 제외하지 않고 채점함으로 5명 모두의 점수가 판단 기준이 된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사안이라고 본다. 심판의 위치에 있어서도 정면을 포함하여 측면이나 후면 등 다른 각도에 위치하게 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고 또한 심판의 수도 7명 이상으로 하여 다른 경기에서와 마찬가지로 평가의 기준을 전문성을 갖춘 각자의 심판으로 구성하여 진행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넷째, 경기방식의 개선이다. 예선전에서는 참가인원에 따라 시간이 걸리더라도 컷오프 방식을 도입하여 모든 선수들이 자기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체조에서와 같이 일차적인 경기를 한번 치르도록 하고 상위점수에 오른 선수들은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진행하여 순위를 정하는 경기 방식을 고려해 볼 가치가 있다. 이러한 경기방식은 첫 번째 경기가 결승전 경기처럼 되는 아쉬운 경기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품새경기의 시간지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보다 명확한 평가를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프리, 쇼트의 프로그램으로 우열을 가리는 피겨스케이트처럼, 태권도 또한 모든 경기에 모든 선수가 참여하여 자신의 기량을 맘껏 발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그 경연으로 채점하여 컷 오프 하는 방식을 따른다면 강자와 약자 모두에게 경기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결승전으로 향해 갈수록 더욱 더 흥미를 유발하는 대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섯째, 경기 품새의 도입이다. 우슈와 체조, 피겨스케이트와 같이 난이도에 따른 가산점을 주는 배점방식은 필수적인 방안이며, 난이도에 차등을 두고 기본을 중시하는 범주 안에서 화려하고 멋진 기술개발을 유도한다면 더 좋은 경기로 발전할 것이다. 이와 함께 창작 품새부분을 좀 더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창작 품새가 중요한 이유는 기존의 재정품새와 더불어 품새경기에서 새로운 기술을 개발 할 수 있다는 것이며, 그와 함께 흥미를 유발하여 단조로운 현재의 품새 경기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창작품새의 경우 체조나 피겨스케이트와 같이 음악을 첨가하고, 균형과 힘, 아름다움과 조화로움, 의상과 기술점수 등을 적용한다면 흥미롭고 즐거운 운동이 될 것이고, 하나의 작품으로 오랫동안 사랑을 받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