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D-ABC기반 수술간호활동 원가분석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이 수술실 간호사의 원가관리역량에 미치는 효과

        유정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15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ime-Driven Activity Costing (TD-ABC) based operating room nursing cost activity analysis Simulation program and to examine the effect on cost perception, attitude, management behavior,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among operating nurses. Method : This study refers to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8 operating room nurses working in four special hospital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y were divided into 2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and each group includes 54 subjects respectively. The research period started from December 2017 after being approved by the research ethics committee of the school.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until May 28, 2018.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five stages in accordance with the ADDIE model: Analysis - Design - Development - Intervention - Evaluation. A simulation training program of TD-ABC based cost analysis was developed by analyzing the subjects’ needs which was identified by pre-survey before training.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taught the simulation training program theoretically for a total of four hours, two times of two hours per week. After that, on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ained the simulation program for a total of 8 hours, four times of two hours per week.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imulation training program before the class and two post-surveys were conducted after the theoretical class and the simulation training program respectively. Result 1)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on cost perception score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2)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on cost attitude scores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3)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on cost management behavior score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4)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on cost knowledg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5)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self confidence scor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6)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learning satisfaction scor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In summary, these results of this indicated that the simulation training program of TD-ABC based operating room nursing cost analysis is effective in improving operating room nurses' recognition, attitude, management behavior,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regarding nursing cost perception. Therefore, if the scope of application is expanded through developing scenarios adopting various cases, the simulation training program can be used not only as education materials to improve nurses’ cost management capacity, but also as a basis for nursing cost analysis and cost management.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를 위한 TD-ABC기반 수술간호활동 원가분석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간호원가 인식, 간호원가에 대한 태도, 간호원가 관리행동, 간호원가 지식, 간호원가 수행자신감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 소재 척추관절 전문병원에 근무 중인 수술실 간호사로 실험군 54명, 대조군 54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기간은 해당학교의 연구윤리위원회 승인을 받은 2017년 12월부터 시작하여 2018년 1월부터 5월 28일까지 자료수집이 진행되었다. 연구절차는 ADDIE 모형에 근거하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로 진행되었다. 교육 참여 전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대상자의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반영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주1회 2시간씩 2회 총 4시간 이론 강의교육을 진행 한 후 실험군에게 주 1회 2시간씩 4회 총 8시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교육을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교육 평가를 위해 이론교육 종료 후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교육이 종료된 후 총 2번의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이선영(2000)이 개발하고 임지영 등(2016)이 수정, 보완한 간호원가 인식, 간호원가 태도, 간호원가 관리행동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간호원가 지식 및 수행자신감은 이현희(2017)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육만족도는 윤언자(1990)가 개발하고 이종란(2014)이 수정ㆍ보완한 교육 만족도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양적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D-ABC 기반 수술간호활동 원가분석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1) 간호원가 인식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실험군 4.01±0.34점, 대조군3.85±0.42점 / t=2.160, p=.033) 2) 간호원가 태도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실험군 3.82±0.27점, 대조군의 3.56±0.31점 / u=-4.691, p<.001) 3) 간호원가 관리행동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실험군 3.78±0.24점, 대조군 3.53±0.25점 / u=-4.737, p<.001) 4) 간호원가 지식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실험군 14..69±1.61점, 대조군 11.88±1.6점 / u=-7.056, p<.001). 5) 간호원가 수행자신감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실험군 7.44±0.52점, 대조군 3.68±0.49점 / u=-8.882, p<.001). 6) 교육만족도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실험군이 9.14±1.34점, 대조군의 6.02±0.22점 / t=6.041, p<.001). 7) 교육 유지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TD-ABC 기반 수술간호활동 원가분석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4주의 시간 경과 후에 간호원가 인식(t=1.949, p=.088), 간호원가 태도(z=1.639, p=.695), 간호원가 지식(z=-0.749, p=.454), 간호원가 수행자신감(z=-0.691, p=.490)은 교육 효과가 유지되었고 간호원가 관리행동은 교육효과가 유지되지 않았다(t=3.468, p=.001).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TD-ABC 기반 수술간호활동 원가분석 프로그램은 수술실 간호사의 간호원가 인식, 간호원가에 대한 태도, 간호원가 관리행동, 간호원가 지식, 간호원가 수행자신감 및 교육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인 교육임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다양한 사례를 적용한 시나리오 개발을 통하여 활용범위를 확장한다면 간호사의 원가관리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간호 원가분석 및 원가관리를 위한 근거자료로도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종합병원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분석과 벤치마킹 전략

        고국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ABSTRACT Product Management Efficiency of Nursing Units in General Hospitals and Development of Benchmarking Strategies Gug Jin Ko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of Inha University (Directed by Prof. Ji Young Lim, RN, Ph.D, MB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fficient nursing care management in terms of product management by deriving the efficiency analysis and benchmarking strategy of general hospital nursing unit.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systematic review of the efficiency of nursing unit product management was conducted. Two foreign documents, 12 domestic documents, four nursing management textbooks and two product related manuals were extracted The input variables, the output variable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selected. In the second stage, data were collected about the variables and influential factors of 30 nursing units of 7 general hospitals over 500 beds, and efficiency analysis and Tobit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the last three steps, five nursing unit managers with five efficacy points and five nursing unit managers with low efficiency scores were identified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derive a benchmarking strateg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Review of systematic literature In addition to prior studies on the efficiency of nursing unit product management, studies conducted on inputs and output variables of specific products were also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access direct variables on the efficiency of nursing unit goods management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non-papers.5, and 5 variables were extracted. Also, 14 factors were extract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unit manager and characteristics of hospital and nursing unit. 2) Analysis of nursing unit goods management efficiency The results of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showed that 7 of the 30 nursing units had a higher efficiency in the comparison unit in terms of the product management efficiency score of 1, and the remaining 23 nursing units were relatively inefficient. And the nursing units and the weights that can benchmark the nursing units with low efficiency and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nursing unit with the efficiency score of 1 are presented to derive a detailed management plan for the inefficient item management items. In addition, the Tobit regression analysis for the influencing factors showed that the chi-square value was 37.27 and the model fit was p<.01,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not significant. This implies that the efficiency of nursing unit product management can be measured adequately even with the input variables and the output variables of this study. 3) Developing a benchmarking strateg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decision-making methods between the reference group and the non-acceptance group to establish a detailed benchmarking strategy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nursing unit product management. The detailed benchmarking strategy led to the recognition of the right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odity management, the hospital management, and the nursing unit manager in the nursing unit dimension. In addition, the nursing - level strategy and the hospital - level strategy for enterprise - wide solutions are sought for an integrated solu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ory, practice, and research centered on nursing units for the product management part in hospital management efficiency.   Second, based on data envelope analysis, it can be used as a basis to prevent inefficiency cost by presenting concrete and clear benchmarking strategy.   Third, the benchmarking strategy derived from focus group interview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upplementary materials on improving the management of goods. Key words: nursing unit, product management, efficiency, Data Envelopment 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 benchmarking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분석과 벤치마킹 전략을 도출하여 물품 관리 측면에서의 간호관리 효율화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총 3단계로 수행되었으며 1단계는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로 국외문헌 2편과 국내문헌 12편, 4개의 간호관리학 교재 및 연구대상 병원 중 2곳의 물품관련 매뉴얼을 추출하여 물품에 대한 투입변수 및 산출변수, 영향요인을 선정하였다. 2단계에서는 500 병상 이상의 7개 종합병원 30개 간호단위를 대상으로 선정된 변수와 영향요인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여 효율성 분석과 토빗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 3단계에서 자료포락분석으로 확인된 효율성 점수가 1인 간호단위 관리자 5인과 효율성 점수가 낮은 순으로 구성된 간호단위 관리자 5인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수행하여 벤치마킹 전략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계적 문헌고찰 간호단위 물품관리의 효율성에 관한 선행 연구는 물론, 구체적인 물품을 투입변수와 산출변수로 수행된 연구도 매우 미흡한 상태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과 비논문 문헌을 통해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에 대한 직접적인 변수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고 간호단위에서 사용하는 수액세트, 주사기, 알코올솜, 정맥주사용 주사바늘, 린넨류에 관한 투입변수 5개와 산출변수 5개를 추출할 수 있었다, 또한, 간호단위 관리자의 일반적 특성과 병원 및 간호단위의 특성에 대해 14개 영향요인을 추출하였다. 2)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분석 자료포락분석 결과 전체 30개의 간호단위 중 7개의 간호단위의 물품관리 효율성 점수가 1점으로 비교 단위 내에서의 상대적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나머지 23개의 간호단위는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효율성 점수가 1인 간호단위의 참조 횟수와 효율성이 낮은 간호단위가 벤치마킹할 수 있는 간호단위와 가중치를 제시하여 비효율적인 물품관리 항목에 대해 구체적인 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영향요인에 대한 토빗회귀분석은 카이제곱 값이 37.27이고 p<.01 로 모형 적합성을 보였고,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다고 분석되었다. 이는 본 연구의 투입변수와 산출변수만 가지고도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을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3) 벤치마킹 전략 개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해 준거집단과 비준거집단의 물품관리에 관한 의사결정방식의 차이를 분석하여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개선을 위한 세부 벤치마킹 전략을 수립하였다. 세부 벤치마킹 전략으로 간호단위 차원에서 물품관리와 병원 경영, 간호단위 관리자에 대한 올바른 관계 인식제고를 도출했고 효과적인 물품 재고량 확인과 효율적인 물품 신청 및 물품관리 문제 해결에 대한 전략을 도출하였다. 또한, 통합적인 해결방안 모색을 위한 간호부 차원의 전략과 전사적인 해결 방안 제시를 위한 병원 차원의 전략을 도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기대효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병원 경영 효율성에 있어 물품관리 부분에 대해 간호단위를 중심으로 이론과 실무 및 연구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자료포락분석을 기반으로 구체적이고 명확한 벤치마킹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비효율적인 비용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포커스그룹인터뷰을 통해 도출된 벤치마킹 전략은 물품관리 업무개선에 관한 보충 자료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중심어 :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자료포락분석, 포커스그룹인터뷰, 벤치마킹

      • 부모의 놀이참여 및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유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arent'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ren's playfulness affect children's happiness through self-regulation. In this Study, subjects were 274 children who were 4 through 5 years old. The scales used for this study were Children's Happiness, Parent's Play Participation , Children's Playfulness, Self-Regulation of Children Questionnaire. To analysis the result of survey, SPSS 22.0 program has been employed, it was analysed in Cronbach's α, correlation analysis of Pearson. Also, Baron & Kenny model and Sobel test were appl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happiness by ag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double-income family. and private education Second, children's happiness, parent's play participation, children's playfulness, self-regul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s Third, children's self-regulation mediated partly the effect that mother's play participation, father'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ren's playfulness affect on children's happiness In conclusion, children's self-regulation mediated the effect that parent'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ren's playfulness affect on children's happines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parent's play participation, children's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for improving children's happi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help children improve the happiness.

      • NICU간호사의 극소저출생체중아를 위한 인공호흡기 간호에 대한 지식 및 교육요구도

        방미경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치료가 필요한 극소저출생체중아를 다루는 NICU 간호사를 대상으로 인공호흡기간호에 대한 지식 및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여 NICU 간호사를 위한 효율적인 인공호흡기관리 및 간호 지침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0년 10월 13일부터 11월 30일까지 서울, 경기도 소재의 level 2~3수준의 NICU 간호사 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지식과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3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과 교육 요구도는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과 교육 요구도 비교는 t-test, ANOVA로 분석하고, Scheffe test로 사후검정 하였다.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 및 교육 요구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은 평균 3.13점,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교육요구도는 평균 3.2점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에서는 ‘연령’(F=2.80, p=.045),‘직위’(t=2.90, p=.005),‘근무경력’(F=4.36, p=.007), ‘VLBWI 인공호흡기간호 경험 유무’(t=2.20, p=.030), ‘인공호흡기 교육받은 경험 유무’ (t=5.71, p<.001), ‘인공호흡기 교육받은 횟수’ (F=14.28 p<.001), ‘교육희망주기(회/년)’(F=4.44, p=.015), ‘주로 정보를 얻는 곳’(F=5.27, p=.00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교육 요구도에서‘주로 정보를 얻는 곳’(F=3.28, p=.04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과 교육요구도와의 상관관계 결과, 통계적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r=.02, p=.857),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과 교육요구도의 하위영역별 상관관계에서는 지식 하위영역에서 ‘인공호흡기 관련 감염예방간호’와 교육요구도 하위영역의 ‘인공호흡기 적용 의한 2차문제 예방간호’(r=.23, p=.037),‘호흡기제거를 위한 간호’(r=.22, p=.045)간의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로, 극소저출생체중아를 위한 인공호흡기 간호 질 향상을 위해선 극소저출생체중아 및 미숙아의 특성에 대한 인공호흡기 치료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을 증진시켜 학습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교육제공이 우선시 필요하다. 또한 응급상황 대처에 대한 중점적인 교육과 극소저출생체중아에게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인공호흡기 간호제공을 위해서 간호사의 수행자신감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지식 습득을 위한 교육은 물론 실습중심의 임상교육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효과적인 교육주기 및 시간을 고려한 교육 제공이 필요하다.

      • 서울지역 20~30대 일부 성인의 식품첨가물 인식 및 지식수준에 따른 식행동 분석

        이다경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서울지역 20∼30대 일부 성인의 식품첨가물 인식 및 지식 수준에 따라 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식품첨가물의 올바른 인식 제공과 식품첨가물의 교육의 필요성을 연구하는데 이바지 하고자 하였다. 통계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서울지역 20∼30대 성인 152명을 대상으로 일반사항, 식품첨가물 지식, 식품첨가물 인식, 식품첨가물 교육의 필요성, 식행동 5개 영역으로 빈도분석을 통해 비울과 빈도를 산출하였고, 지식과 식행동 문항에 대해서는 100점으로 점수화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성별, 연령에 따른 유의성 검증을 위해 x²검증을 실시하였다. 성별, 연령 및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에 따라 식품첨가물의 지식 및 식행동 점수의 유의성 검증을 T-test와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e의 다중범위 검증을 실시하였다. 식품첨가물 지식 수준과 식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을 살펴보면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이 식품첨가물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고, 식품첨가물에 대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불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은 화학물질로 인한 불안감이 69.6%를 차지하였다. 또한 식품첨가물에서 가장 중요한점은 식품첨가물의 안정성이 77%로 안정성을 중요시 하고 있었다. 식품첨가물 지식 수준에서는 대표적인 식품첨가물을 구분하는 문항에서는 감미료와 조미료에 대한 정답률이 가장 낮았으며, ‘물엿, 연근에 사용되는 롱갈리트는 사용이 허가된 식품첨가물이다’ 문항에서 16명(10.5%)으로 정답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문항으로 식품첨가물의 지식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할 수는 없지만 정답률로 비교 했을때 대체적으로 낮은 지식을 갖고있다고 사료 된다. 식품첨가물의 필요성에서는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이 식품첨가물 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없었고 교육을 희망하고 있었다. 교육내용으로는 식품첨가물의 안정성이 53.9%를 차지하였다. 이는 추후에 성인을 대상으로 한 식품첨가물 교육에서 안정성을 중점적으로 다룰 필요성을 시사한다.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면 20대가 30대에 비해 식품첨가물의 안정성과 ADI 관계를 인지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외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 수준은 연령에 따른 보이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인식수준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과 마찬가지로 성별과 연령에 따른 식품첨가물 지식 수준 점수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연령에 따라 식품첨가물 지식 점수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성별에 따라서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 지식 수준에 차이가 있으나, 식행동에는 차이가 없었다. 연령에 따라서는 인식수준, 지식 수준, 식행동 점수에 차이가 없었다.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에 따른 식품첨가물 지식 수준 점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과 지식 수준 사이에 관련성이 있음을 유추 할 수 있다. ‘식품첨가물’을 들어본 경험이 있는 경우 식행동 점수는 높았으며. 가공식품 섭취 시 원재료명 및 함량을 확인한다고 응답한 경우 식행동 점수가 가장 높았던 점을 유추하여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올바른 식행동을 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에 따른 식품첨가물 식행동 점수는 ‘식품첨가물’을 들어본 경험이 있는 경우 식행동 점수는 높았으며. 가공식품 섭취 시 원재료명 및 함량을 확인한다고 응답한 경우 식행동 점수가 가장 높았던 점을 유추하여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올바른 식행동을 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식품첨가물 지식 수준 점수와 식행동 점수 사이의 상관성을 살펴보면, 0.17정도의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식품첨가물 지식 수준이 식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식품첨가물 인식 및 지식 수준이 식행동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식품첨가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 개선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한 식품첨가물의 안정성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자아분화 수준과 타인수용정도가 대인관계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내외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하지희 경북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성인진입기의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면서 초기 성인기가 시작되는 시기로, 이 시기의 긍정적인 대인관계 형성은 청년들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발달과업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진입기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분화수준과 타인수용정도가 대인관계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내외향성이 어떠한 조절효과가 있는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많은 성인진입기 대학생들의 대인관계유능성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과 더불어 대인관계유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merging adulthood's self-differnciation and other acceptance on interpersonal competence. In this study, subjects were 315 emerging adulthood who were 20 through 25 years old.

      • 자기-빠져들기와 자기-거리두기가 아동의 정서적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 성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at self-reflection mediated the effect of self-immersing and self-distancing on children’s emotional reactivity. In this study, subjects were 201 children who were 5th and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ey were assigned to self-immersing and self-distancing group and were asked to write recent anger experience so that the experimenter could measure the emotional reactivity of participants. And then they should re-write the anger experience by self-immersed or self-distanced perspective for alleviating their emotional reactivity triggered by first writing.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teachers with a sound recorder and questionnaires in each class.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partial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ith SPSS 23.0 program and SPSS PROCESS macro.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emotional reactivity by age, grade, memory information and self-distancing assessmen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elf-distancing, children’s emotional reactivity and self-reflection. Third, self-reflection mediated the effect that self-immersing and self-distancing affected children’s emotional reactivity. In conclusion, self-reflection mediated the effects of self-immersing and self-distancing on children’s emotional reactivity. The finding of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design programs to improve emotional regulation and be used to cognitive behavior therapy.

      • 성격강점 과소, 과다, 적정 활용이 긍정심리적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양선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강점의 활용이 완전한 정신건강 모형의 두 축인 정신적 웰빙 및 정신장애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파악함으로써 성격강점의 활용에 기초한 정신건강 증진 방안에 대한 임상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삶의 만족, 플로리싱, 정신적 웰빙 및 일반적인 정신건강과 성격강점 과소/과다/적정 활용의 관계를 탐색하고, 완전한 정신건강 모형에 따른 정신건강유형 집단들의 성격강점의 활용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20~59세의 성인 400명(남성 200명, 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활용 검사, 삶의 만족, 플로리싱, 정신적 웰빙, 일반 정신건강 척도를 온라인 설문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내적일관성 신뢰도,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Keyes의 완전한 정신건강 모형에 따라 정신건강 유형 집단을 분류하고, 집단 간에 성격강점 활용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및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관계 분석 결과 성격강점 전체의 적정 활용은 삶의 만족, 플로리싱, 정신적 웰빙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일반 정신건강 문제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반면, 성격강점 전체의 과소 활용은 상반된 양상이 나타났으며, 성격강점 전체의 과다 활용은 일반 정신건강 문제와의 관계에서만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성격강점 전체의 과소 활용과 과다 활용이 안녕감 및 일반 정신건강 문제와의 관계에서 나타낸 상관계수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성격강점 전체의 과소 활용이 과다 활용에 비해 일반 정신건강 문제와 유의미하게 더 큰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성격강점의 적정 활용 및 부적절한 활용(과소 및 과다 활용)이 삶의 만족, 플로리싱, 정신적 웰빙, 일반 정신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삶의 만족, 플로리싱, 정신적 웰빙과 일반 정신건강 문제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성격강점은 열정과 희망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반적 결과와는 대조적으로 성격강점의 적정 활용 중 감사 적정 활용은 정신적 웰빙과 심리적 웰빙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성격강점의 과소 및 과다 활용 중 호기심 과소(무관심)는 삶의 만족에 정적 영향을, 겸손 과소(근거없는 자만)는 플로리싱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지능 과다(과잉분석)와 겸손 과소는 일반 정신건강 문제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Keyes의 완전한 정신건강 유형에 따라 집단을 분류한 결과 완전한 정신건강 집단, 불완전한 정신건강 집단, 완전한 정신장애 집단의 세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성격강점 전체의 적정 활용은 완전한 정신건강 집단이 가장 높고, 불완전한 정신건강 집단, 완전한 정신장애 집단 순으로 나타난 반면, 성격강점 전체의 과소 활용은 상반된 양상을 보였다. 특히 성격강점 과다 활용의 경우 겸손 과다를 제외하고는 세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심리적 부적응 및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상담 및 심리치료 과정에서 내담자의 성격강점 활용 정도를 평가하여 부적절한 활용, 즉 과소 및 과다 활용에 개입하는 것이 심리적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성격강점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훈련을 통해 인지적, 정서적,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안녕감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기존의 성격강점 척도 점수와 관련된 연구들의 지평을 넓혀 성격강점 활용 검사를 통해 측정한 성격강점의 활용 정도가 안녕감 관련 변인 및 정신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성격강점 활용에 대한 개입 필요성을 확인했다는데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향우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 직무스트레스가 종합병원 임상간호사의 우울과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유혜자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직무스트레스가 종합병원 임상간호사의 우울과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가 임상간호사의 우울과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기 위해 2013년 5월 17일부터 5월 30일까지 S시 종합병원 2곳의 간호사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조사 내용으로는 일반적 특성, 직무스트레스, 우울 및 수면장애 정도를 알아보았다. 직무스트레스가 우울과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분석으로 일 반적 특성에 대해서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직무 스트레스, 우울, 수면장애의 정도는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우울, 수면장애의 차이는 t-test 및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직무스트레스, 우울, 수면장애간의 관련성은 Pearson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가 우울과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직무스트레스의 평균 점수는 60.9점 이었고 표준편차는 6.24, 최소값 46, 최 대값 80 이었다. 우울의 평균 점수는 19.8점 이었고 표준편차는 10.95, 최소값 1, 최대값 55 이었다. 수면장애의 평균 점수는 32.1이었고 표준편차는 9.05, 최 소값 15, 최대값 57 이었다(표 2). 2) 세 변수의 상관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 0.45,  <.001), 수면장 애( = 0.31,  <.001)간에서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스트레스가 증가 할수록 우울, 수면장애가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우울과 수면장애( = 0.67,  <.001) 역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 vi - 3)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직 무스트레스가 1점 증가할 때 우울은 0.41점 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 반적 특성을 포함하여 분석한 결과 연령, 결혼여부, 자녀, 종교, 임상경력, 급여 수준, 근무부서, 근무형태, 직위의 9개 항목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으로 파악되었다. 4) 직무스트레스가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한 결 과, 직무스트레스가 수면장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 었고, 직무스트레스 1점 증가할 때 수면장애는 0.27점 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일반적 특성을 포함하여 분석한 결과 연령과 근무형태 2개 항목에서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세 이상의 간호사는 30세 미만인 간호 사보다 수면장애가 -0.19 감소하였다. 2, 3교대근무 간호사는 주간근무 간호사 보다 수면장애가 0.32 증가하였고, 주간 및 3교대근무 간호사는 2교대근무 간호 사보다 수면장애가 0.14 증가하였다. 즉, 수면장애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30대 미만의 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사에게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비추어 임상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우울 및 수면 장애의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고, 직무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임상간호사를 위한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파악 하여 위험 요인에의 노출을 감소시키도록 기존보다 좀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겠다. 핵심어: 임상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우울, 수면장애 ABSTRACT Effects of Job Stress on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 of Hospital Clinical Nurses YOO, HAE JA Depar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of Inha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Lim, Ji Young, Ph. D., RN To find out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 of clinical nurses, this study has been carried with objects of study being 170 clinical nurses from two different hospitals in City S for the period from May 17th through to 30th, 2013. A self-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o collect data, and the survey contained: general characteristics; job stress; depression; and the degree of sleep disorders. As an analys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 th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had been used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alysis, while average, standard deviation, minimum and maximum values were used to analyse the degree of job stress,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job stress,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s due to general characteristics had been analysed using the T-test and ANOVA,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s had been analys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s had been analysed using multiple regression. - 46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or job stress, the average score 60.9, standard deviation was 6.24, minimum was 46, and maximum was 80. For depression, the average score was 19.8, standard deviation was 10.95, minimum was 1 and maximum was 55. For sleep disorders, the average score was 32.1, standard deviation was 9.05, minimum was 15, and maximum was 57 (Table 2). 2) As a result of a correlation analysis on the three variables, it was shown that job stres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ach of: depression ( = 0.45,  <.001); and sleep disorders ( = 0.31,  <.001). In other words, with the increase of job stress, it was identified that depression and sleep orders will also increase.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s ( = 0.67,  <.001) also showe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3) To ver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depress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d been carried out and the results showed: depress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tress; and while job stress increases by 1 point, depression is increased by 0.41 point. When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inclu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none of the nine items: age; marital status; children; religion; clinical experience; salary level; working department; type of work; and job title had a significant effect. 4) To ver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sleep disorder,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d been carried out and the results showed: job stres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leep disorders; and while job stress increases by 1 point, sleep disorder is increased by 0.27 point. When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inclu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wo items, the age and the type of work,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sult. Nurses over the age of 30 had less sleep disorders - 47 - by -0.19 than nurses who were less than 30 years of age. Nurses that had two or three shifts a day had 0.32 larger sleep disorders than nurses that worked for normal daily hours. Nurses that worked day hours and three shifts had higher sleep disorders than two-shift nurses by 0.14. In other words, sleep disorder was found higher for nurses that had higher job stress, less than 30 years of age with shift work. As reflected on the results found, it is necessary to have plans to reduce job stress for clinical nurses to prevent them from having job stress and the side effects of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s. Also, a medi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effectively manage such job stress. In addition, more attention and active actions will be required to reduce exposures to risky factors by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cause job stress for clinical nurses. Key words: clinical nurse, job stress, depression, sleep dis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