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선행적 체간 안정화 교육을 포함한 가상현실기반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자세조절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 무작위 대조 연구

        이성민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선행적 체간 안정화 교육을 포함한 가상현실기반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자세 조절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연구 조건을 충족하는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 30명을 실험군 15명과 대조군 15명으로 무작위 대조 연구로 진행하였다. 실험군은 선행적 체간 안정화 교육 10분과 가상현실기반 훈련 20분으로 구성되어 주 3일, 총 3주간 시행하였으며, 대조군은 가상현실기반 훈련 20분으로 구성되어 주 3일, 총 3주간 시행하였다. 중재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자세 조절 평가로 한국형 체간 조절 능력 검사(Korean version trunk impairment scale, K-TIS)와 자세 평가 척도(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를 측정하였고, 동적 균형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버그 균형 검사(Berg balance scale)와 안정성 한계(Limit of stability, LOS)를 측정하였다. 정적 균형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압력 중심(Center of pressure)의 면적(mm²) 거리(cm), 흔들림 속도(cm/s)를 측정하였다. 중재에 따른 전·후 변화를 평가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K-TIS, PASS, BBS, LOS, COP가 치료 후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p<0.05). 그리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K-TIS, PASS, BBS, LOS, COP의 거리(cm)의 변화량이 치료 후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0.05). 본 연구를 통하여 선행적 체간 안정화 교육을 포함한 가상현실기반 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자세 조절 및 균형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적 체간 안정화 교육을 포함한 가상현실기반 훈련을 진행할 때 기대효과가 크다고 사료된다. 임상에서의 여러 가지의 응용이 필요할 것이라고 판단되며, 뇌졸중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임상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 플라이오메트릭 복합운동과 경두개직류전기자극이 일반 성인의 균형 및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송정혁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 대상으로 플라이오메트릭 복합운동과 경두개직류전기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이 균형 및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노량진 Y 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 중, 연구 조건을 충족하는 일반인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재 방법에 따라 플라이오메트릭 복합운동 + tDCS 군(실험군Ⅰ) 15명, 플라이오메트릭 복합운동 + sham tDCS 군(실험군Ⅱ) 15명, sham tDCS를 중재한 대조군 15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나누어 시행하였다. 실험군Ⅰ은 tDCS 20분 적용 후 플라이오메트릭 복합운동 30분씩 주 2회, 4주간 시행하였고, 실험군Ⅱ는 sham tDCS 20분 적용 후 플라이오메트릭 복합운동 30분씩 주 2회, 4주간 시행하였고, 대조군은 sham tDCS 만 20분씩, 주 2회, 4주간 시행하였다. 중재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Y-밸런스 도구(Y Balance Test Kit, Functional Movement Systems, Inc., USA), 줄자, 초시계Time watch(CASIO HS-80W, Japan), 니스포 제자리멀리뛰기 측정판(NJM-425)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집단 내 전·후 변화 결과는 실험군Ⅰ, 실험군Ⅱ에서 정적균형, 동적균형, 순발력, 민첩성은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001),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집단 간 비교에서는 실험군Ⅰ이 실험군Ⅱ와 대조군보다 정적균형, 동적균형, 순발력, 민첩성에서 더 큰 효과가 있었다(p<0.001).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았을 때, 플라이오메트릭 복합운동 + tDCS 중재가 일반인에게 균형 및 신체기능(순발력, 민첩성)에 효과적이고, 특히 운동성능 개선에 있어서 플라이오메트릭 복합운동과 tDCS를 병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중재가 될 수 있겠다. 주요어 : 플라이오메트릭 복합운동, 경두개직류전기자극, 균형, 순발력, 민첩성

      • 플라이오메트릭과 케틀벨의 복합운동이 시즌 중인 고교야구 투수들의 순발력, 근력, 동적 균형 및 볼 스피드에 미치는 영향

        김정훈 삼육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플라이오메트릭과 케틀벨의 복합운동을 통하여 시즌 중인 고교 야구 투수들의 순발력, 근력, 동적 균형 및 볼 스피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건강한 고교야구 투수 (n=30)을 대상으로 복합운동을 실시한 (n=10) 플라이오메트릭 운동을 실시한 (n=10)과 케틀벨 운동을 실시한 (n=10)으로 무작위 세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주 2회 4주간 실시하였다. 모든 연구 대상자는 연구 시작 전 사전검사에서 순발력, 근력, 동적 균형 및 볼 스피드를 측정하였다. 순발력 검사종목으로 수직 점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근력의 측정을 위하여 등속성 장비(isokinetic equipment)를 사용하였고, 동적 균형의 측정을 위하여 Y-balance test 장비를 사용하였다. 또한 볼 스피드 측정을 위하여스피드건(STALKER Pro-Ⅱ)의 장비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복합운동과 플라이오메트릭 운동 그리고 케틀벨 운동을 적용한 그룹에서 모두 순발력, 근력, 동적 균형 및 볼 스피드 증가에 효과가 있었으며(p<0.001), 복합운동군이 순발력, 근력, 동적 균형과 볼 스피드 증가에서 플라이오메트릭 운동과 케틀벨 운동만 적용한 군보다 유의 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1), 플라이오메트릭 운동군이 케틀벨 운동군보다 오른쪽 무릎관절 폄근의 근력 증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결과적으로 시즌 중인 투수들 대상으로 한 운동프로그램에서 복합운동이 플라이오메트릭 운동과 케틀벨 운동만 적용한 군보다 유의하게 향상 됨으로써 복합운동이 순발력, 근력, 동적 균형, 볼 스피드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이로 시즌 중인 고교야구 투수들에게 효율적인 운동프로그램 자료로 사료 된다.

      • 상부 경추 굴곡 검사를 위한 상부 경추 회전-굴곡 검사의 신뢰도 및 상관분석 연구

        최재성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상부 경추 회전-굴곡 검사의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건강한 성인 25명(여자 13명, 남자 12명)을 대상으로 상부 경추의 굴곡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경추 각도계를 착용한 후, 방사선 사진 분석, 상부 경추 굴곡-신전 검사, 상부 경추 회전-굴곡 검사를 실시하였다. 상부 경추 회전-굴곡 검사에서의 평균 굴곡 각도는 9.10° ± 3.04, 상부 경추 굴곡-신전 검사에서의 평균 굴곡 각도는 10.32° ± 3.64, 방사선사진 상 평균 굴곡 각도는 7.60° ± 2.71였다. 상부 경추 회전-굴곡 검사는 방사선 사진 분석(r = 0.810, p < 0.01)과 상부 경추 굴곡-신전 검사(r = 0.830, p < 0.01)와 각각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방사선 사진 분석은 상부 경추 굴곡-신전 검사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다(r = 0.782, p < 0.01). 세 가지의 검사 모두 각각에 대하여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상부 경추 회전-굴곡 검사의 측정자 내 신뢰도와 측정자 간 신뢰도 값은 높았다(ICC > 0.800). 본 연구를 통해 상부 경추 회전-굴곡 검사는 임상적으로 상부 경추의 단독적인 굴곡 각도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 의미가 있으며, 다음 연구에서는 더 많은 대상자와 다양한 군에서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어깨 으쓱 운동과 그라스톤 기법이 견갑골 하강 정렬을 가진 경부통 환자의 통증, 기능 및 견갑골 정렬에 미치는 영향.

        심주섭 삼육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견갑골 하강 정렬을 가진 경부통 환자를 대상으로 어깨 으쓱 운동과 그라스톤 기법의 복합중재가 압력 통각 역치, 경추 관절가동범위, 견갑골 정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H 의원에 내원한 경부통 환자 중에 연구 조건을 충족하는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재 방법에 따라 어깨 으쓱 운동과 그라스톤 기법을 병행한 복합중재 군(실험군 I) 15명, 그라스톤 기법만 중재한 단독중재 군(실험군 Ⅱ) 15명, 일반물리치료를 중재한 대조군 15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나누어 시행하였다. 실험군 Ⅰ은 어깨 으쓱 운동 10분과 그라스톤 기법 10분, 일반물리치료 15분씩 주 2회, 4주간 시행하였고, 실험군 Ⅱ는 그라스톤 기법 10분과 일반물리치료 15분씩 주 2회, 4주간 시행하였고, 대조군은 일반물리치료만 15분씩, 주 2회, 4주간 시행하였다. 중재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디지털 통각계, 디지털 듀얼 경사계, 방사선 촬영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집단 내 전․후 변화 결과는 실험군 I, 실험군 II, 대조군 모두에서 압력 통각 역치와 경추 관절가동범위는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001), 견갑골 정렬에서는 실험군 Ⅰ, 실험군 Ⅱ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고(p<0.05),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집단 간 비교에서는 실험군 I이 실험군 II와 대조군보다 압력 통각 역치, 경추 관절가동범위, 견갑골 정렬에서 더 큰 효과가 있었다(p<0.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어깨 으쓱 운동과 그라스톤 기법의 복합중재가 견갑골 하강 정렬을 가진 경부통 환자의 압력 통각 역치, 경추 관절가동범위, 견갑골 정렬에 효과적이고 특히 견갑골 정렬 개선 에 있어서는 어깨 으쓱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중재가 될 수 있겠다. 주요어 : 견갑골 하강 정렬, 경부통증, 어깨 으쓱 운동, 그라스톤 기법, 압력 통각 역치, 관절가동범위, 방사선 촬영

      • 경부통증환자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방머리자세 측정의 신뢰도와 타당도 및 상관분석 연구

        김명수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경부통증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머리척추각도와 방사선사진분석, 경추사진분석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 통증 정도와 머리척추각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대상자 40명의 시각적통증척도는 4.87 ± 1.40점 이었으며, 경부장애지수는 13.35 ± 6.69점 이었다. 스마트폰의 머리척추각도는 50.00° ± 6.60°, 방사선사진분석은 49.60° ± 6.15°, 경추사진분석은 48.69° ± 6.71°였다. 시각적통증척도와 머리척추각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며(r = -0.553), 경부장애지수와 머리척추각도 또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다(r = -0.378). 스마트폰과 방사선사진분석, 경추사진분석은 높은 수준의 타당도 값을 보였으며(r = 903 ∼ 975), 스마트폰의 측정자 내 신뢰도와 측정자 간 신뢰도 값은 높았다(ICC > 0.900). 본 연구를 통해서 스마트폰을 통한 측정은 방사선사진분석, 경추사진분석과 더불어 머리척추각도를 측정하는데 즉각적이고, 경제적이고, 환자 스스로 운동 후 효과를 평가하는데 주요한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 전방머리자세, 머리척추각도, 경부통증, 스마트폰

      • 물리치료학과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임상실습 만족도가 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주현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전국에 위치한 임상실습을 모두 마친 국내 물리치료(학)과 3, 4학년 대학생 176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자기효능감, 임상실습 만족도, 진로태도 성숙도 총 111문항으로 구성된 구글 설문지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방법은 일반적 특성, 자기효능감, 임상실습 만족도, 진로태도 성숙도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임상실습 만족도 및 자기효능감의 차이 검정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으로 분석 후 사후검증(Scheffe)을 하였고, 자기효능감, 임상실습 만족도 및 진로태도 성숙도 연구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였고, 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적, 물리치료(학)과 선택 동기,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 물리치료학 전공에 대한 만족도, 원하는 취업분야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는 물리치료(학)과 선택 동기,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 물리치료학 전공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도는 학업성적, 물리치료(학)과 선택 동기,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 물리치료학 전공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물리치료(학)과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 성숙도 그리고 임상실습 만족도와 진로태도 성숙도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물리치료(학)과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하위요인 모두 진로태도 성숙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임상실습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실습교과 만족도는 진로태도 성숙도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진로태도 성숙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대학교에서는 학생 개인의 진로 방향에 대한 자신감, 확고한 믿음, 적극적인 진로 탐색 등 진로태도 성숙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와 실습기관에서는 이론과 실습의 괴리를 줄이기 위해 임상실습 지침서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적용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나아가 학생들이 의료전문가로서 전문직관, 진로에 대한 확신, 직업 자아성찰을 할 수 있도록 실무 위주의 임상실습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물리치료 전문성을 강화하여 직업의 인식을 향상시킨다면 진로태도 성숙도가 향상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conducted a Google online survey consisting of a total of 111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maturity of career attitude, targeting 176 3rd and 4th year college students in physical therapy departments in Korea who completed all clinical practice located nationwide. As for the analysis metho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for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gener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maturity of career attitude. The difference test between self-efficacy,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an independent t-test and a one-way batch analysis (ANOVA), and post-test was used afte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was us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research variables. The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elf-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cademic performance, physical therapy department selection motiv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physical therapy major satisfaction, and desired employment field. The satisfaction level of clinical practi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otivation for choosing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satisfaction with the major of physical therapy. Career attitude matur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cademic performance, physical therapy department selection motiv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physical therapy major satisfaction. Second,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career attitude maturity,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physical therapy college students. Third, both self-efficacy and sub-factors of physical therapy college students 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satisfaction of the practical course, which is a sub-factor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In order to improve self-efficacy that can affect career attitude maturit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universities need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to enhance career attitude maturity, such as confidence in individual career directions, firm belief, and active career search. In addition, schools and practice institutions should try to actively apply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Furthermore, it is believed that career attitude maturity will be improved by strengthening physical therapy expertise by applying practical clinical practice programs so that students can have professional intuition, confidence in their careers, and self-reflection as medical experts.

      • The immediate effects of local vibration on ankle plantar flexor muscle activation and peak torque in healthy adults

        조민조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s of local vibration on ankle plantar flexor muscle activation and peak torque. This was a single-group study comprising, a total of 40 (20men and 20 women) participants with an average age of 22.3 years. All the participants concentric and eccentric peak torques in the gastrocnemius lateralis muscle were measured using an isokinetic device. Moreover, simultaneously, the participants’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by surface-electromyography. After the pre-experimental data were collected, the participants comfortably sit on the prepared chair with their hips and knees flexed at 90°. While in sitting position, local vibration was applied for 10minutes using a 1:1 ratio intermittent pulsing mode device based on a previous study. The post-experimental data were collected immediately after the local vibration by performing a similar process performed during the pre-experimental data collection.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and eccentric peak torque (p<0.05). On the contrary, concentric peak torque showed an insignificant difference with pre- and post-value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local vibration can be possibly considered as one of the effective ways to increase muscle activity and muscle performance, specifically the eccentric peak torque, in healthy adults. Additionally, further studies require uniform protocols for the various type of subjects such as the elderly to generalize the results on muscle activity and performance. Keywords: Local vibration, peak torque, muscle activity, surface-electromyography(s-EMG)

      • 등척성 수축 후 스트레칭이 근력 및 근수행력, 관절위치감각,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정광희 삼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정적 스트레칭과 등척성 수축 후 스트레칭을 적용하였을 때 근력, 근수행력, 관절위치감각,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신체 건강한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4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등척성 수축 후 스트레칭(postisometric stretching, PIS)군 20명, 정적 스트레칭(static stretching, SS)군 20명씩 무작위로 나누어 실험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두 그룹을 동시에 진행하였으며, PIS 훈련과 SS 훈련을 각각 10분간 시행하였다. 스트레칭 전·후 근력, 관절위치감각의 평가를 위해 등속성 장비를 사용하였고, 근수행력 평가를 위해 수직점프(vertical jump)를 측정하였으며, 전·후 유연성 비교를 위해 좌전굴 검사(sit and reach test)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PIS군의 근력은 슬관절 신전근, 굴곡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 하였으며(p<0.05), SS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약간의 감소가 있었다. 근파워 역시 PIS를 적용한 뒤 슬관절 굴곡근과 신전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관절위치감각검사(joint position-reposition test)에서 PIS군의 관절 위치 오차범위가 60°, 9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SS군은 오차범위 변화량의 유의한 감소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직점프에서 PIS군은 스트레칭 후 변화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p<0.05), SS군은 실험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유연성에서는 PIS군과 SS군 모두 운동 전·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앞으로의 연구에서 다양한 스트레칭 방법에 따른 즉각적인 효과 외에도 지속적인 관절위치감각, 근수행력의 변화에 관해서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주용어 : 등척성 수축 후 스트레칭, 근수행력, 관절위치감각, 유연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