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식업체 SNS특성요인이 이용자 신뢰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송윤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정보 시스템(IS)과 정보 통신(IT)의 발전은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의 발달을 촉진하고 미디어 산업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로 인해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발전과 더불어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분야는 대면접촉을 통한 전통적인 마케팅 PR수법에서 SNS를 통한 소셜 마케팅 및 바이럴 마케팅 분야로 확산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 떠오르는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외식업체 SNS특성이 이용자들에 대한 신뢰 그리고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SNS의 일반적인 특성인 정보품질 요인 아닌 소셜마케팅 중심으로 외식업체 SNS계정을 직접 사용해본 이용자들을 토대로 신뢰 및 지속적 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했다. 기존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본 연구는 외식업체 SNS특성 요인을 유희성, 기업명성, 사회적 특성으로 제안하였고 이용자들의 신뢰 및 지속적 이용의도와의 영향 관계를 AMOS 18을 통해 구조모형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전체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적합지수는 χ²=448.348 (df=254, χ²/df=1.76515, p-value=0.000), GFI=0.905, CFI=0.959, NFI=0.910, RMR=0.033으로 최적 모형이 도출되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설에 대한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업체 SNS 특성 요인 중 사회적 영향을 제외한 유희성, 기업명성, 의사결정지원, 그리고 댓글/리뷰 등이 외식업체 SNS이용자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식업체 SNS특성 요인 중 유희성을 제외한 기업명성, 사회적 영향, 의사결정지원 그리고 댓글/리뷰 등이 외식업체 SNS이용자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SNS 이용자의 신뢰는 지속적 이용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외식 기업의 특성 가운데는 소셜마케팅에 대한 경영진의 관심여부가 전반적인 외식업체의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향후 외식업체에서는 외식업체 SNS활동을 개혁적으로 변화시키는 노력과 경영진들이 SNS 마케팅이나 SNS를 통한 홍보활성화를 도모해야 외식업체 광고효과의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SNS마케팅 및 광고는 저비용 고효과를 가져오므로 향후에 대기업보다도 중소외식기업에서의 SNS마케팅활성화가 더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커피전문점 방문수요의 결정요인 분석

        최성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599

        In recent times, fast-growing domestic coffee market in Korea has dramatically as people's beverage trend diversifies and more brand cafe are open. In addition to the trend of expenditure in moder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with the new aspect of american style's beverage habit.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in coffee brand cafe deman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coffee brand cafe industry by classifying social class with the application of involvem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approach coffee brand consumers with the aspect of choice behavior according to coffee consumption. to accomplish an aim of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study were followed and the overall goal of this study, two different demand determinant approach methods were provided. First, it is to determine the attributes for coffee brand cafe selection. Second, from the frequency of coffee consumption, coffee demand was derived. With these results of choice behavior and demand prediction, this study may provide guideline to coffee industry when market segment. Data a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s of general public.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systematic sampling are used to select respondent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otal size of the sample was 997 and 807 of which as utilized. As a research methodology, a statistical package of SPSS 18.0 for Window was used to analyse the collected data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executed. Also LIMDEP(LIMited DEPendent variable model) 8.0 was used Negative Binomial Poisson Model for estimating determinants of frequency coffee consumption,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ntribute to identifying the determinants related positively to potential coffee brand markets. Moreover, the results may provide implication for marketing plans for brand coffee distributors.

      • 소득과 환율변동이 방한 일본인 관광수요에 미치는 영향

        안소연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21세기 고 부가가치 성장산업으로 대표되는 관광산업은 한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국가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 산업으로서 고용기회 확대, 세수증대, 외화획득의 용이함 등 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사회기반시설의 확충, 외국과의 문화교류 등으로 국민생활 전반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현재의 관광산업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사회적 환경변화와 함께 앞으로 더욱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국마다 관광객 수요 증대를 위한 정책 및 방안을 세우는 등의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래 관광수요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시대적 흐름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정책수립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며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방한 일본인 관광객 수요변화예측은 일본인 관광객이 국내 방한 관광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지속적인 수요확대를 전망하고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본인 관광객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수요예측은 향후 바람직한 한·일 관광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방한 일본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①원/엔화의 연도별 환율, ②연도별 1인당 실질 GDP, ③원/엔화의 분기별 환율, ④분기별 1인당 실질 GDP 변수를 이용하여 방한일본인 관광객 수요를 예측하고 있다. Eviews 5.0을 통한 분석에서 우선 불안정한 시계열의 회귀분석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가성적 회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위근 검정인 ADF검정을 하였는데 단위근을 갖는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하여 모든 시계열 변수가 불안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시계열변수들을 1차 차분하고 단위근 검정을 해본 결과 귀무가설을 기각하여 단위근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변수들간의 장기적 균형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Johansen의 공적분 검정법을 사용하여 검정한 결과 수준변수들 간에 서로 공적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준변수들 모두 차수가 같은 공통의 1차 적분관계에 있기 때문에 수준변수들로 구성된 방정식을 도출하여 회귀분석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연도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원/엔화 환율과 GDP의 증감이 방한 일본인 관광객 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연도별 데이터의 경우 1인당 실질 GDP가 1%변화할 때 방한일본인관광객수가 0.311%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기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원/엔화 환율이 방한 일본인 관광객수에 미치는 영향은 원/엔화 환율이 1%증가 할 때 일본인의 한국으로의 관광은 0.405%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셋째, 분기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1인당 실질 GDP증감이 방한 일본인 관광객수에 미치는 영향은 1인당 실질 GDP의 1% 상승은 방한 일본인 관광객 수의 2.211%의 상승을 나타내주고 있다. 넷째, 본 연구결과에서 방한 일본인 관광객수요에 미치는 영향은 환율의 보다는 1인당 실질 GDP의 요인의 탄력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일괄적인 관광계획이나 정책의 수립은 지양하고 각 요인에 따른 세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원/엔화 환율과 1인당 실질GDP는 수치적으로 관리가 가능한 대상이 아니라 타 산업 정책과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외생요인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원/엔화 환율의 변동과 GDP의 변화에 주목하고 원/엔화와 1인당 실질GDP의 상승과 하락에 따른 한국관광시장의 일본관광시장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주시와 대응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the quarterly data and yearly data of the number of Japanese tourists visiting Korea, GDP per person real adjusted for each season, and exchange rate of Yen against Korean won currency from 1980 to 2008 to analyze the influence on the demand of Japanese tourists to visit Korea with respect to income and change of exchange rate as well as estimating the elasticity to forecast the demand of Japanese tourists following the change of exchange rate and modification of GDP.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verification on the unit for variables prior to the regression analysis used ADF (Augmented Dickey-Fuller) verification method, and the verification of co-integration used the Johansen co-integration test.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reduction of demand of Japanese tourists to Korea in 2003 was attributed from the other external factors in SARS rather than the correlation of GDP or exchange rate that the result figure in 2003 was processed as the dummy variable.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e increase of income in the annual data influenced on the tourism demand, but the change of exchange rate of Yen against Won currency was shown to have weak correlation with the tourism demand, and when analyzing the data for each quarter, the change of income and the change of exchange rate displayed the influence on the demand of Japanese tourists to Korea. In particular, when 1% of Won/Yen exchange rate in the analysis of data for each quarter, the number of Japanese tourists to Korea increased 0.045%, and when actual GDP per each Japanese increased 1%, the number of Japanese tourists to Korea increased 2.211%. In this result of research, the influence on the demand of tourism for Japanese was higher with respect to the elasticity of factors for actual GDP per person, rather than the exchange rate. The exchange rate of Won/Yen and income are not the subject to manage quantitatively but have strong external nature that needs to be considered together with other industrial policies that it needs to make continuous attention and response to minimize the impact to the tourism market following the change of exchange rate and income.ㅃ

      • 웹2.0시대, 소비자중심의 “UCC관광정보”의 신뢰도가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현주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정보기술의 발달은 웹의 진화를 가져왔고, 이러한 웹의 진화는 참여, 공유, 확산의 “웹2.0”을 등장시켰다. 이러한 웹2.0의 등장은 인터넷과 관련이 높은 산업을 중심으로 기존 산업의 밸류체인(Value Chain)이 변화하고 새로운 질서가 도래하게 되었다. 특히, 정보의 의존도가 높은 관광산업의 경우, 패키지여행에서 자유여행으로, 보는 관광에서 체험관광으로 그 여행의 트렌드가 변화하게 되었고, 디지털 카메라등의 장비의 발달과 웹2.0의 대표적인 콘텐츠인 블로그(Blog)의 등장으로 인해 여행경험자들이 웹상에 자신의 이야기를 손쉽게 올리게 되면서, 이른바 생산과 소비를 동시에 하는 프로슈머(Prosumer)로 소비자 형태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또한 RSS, Tag 기능들로 인해 스크랩이나 퍼나르기가 쉽게 되면서, 정보의 확산이 급속도로 이뤄지게 되면서, 사용자 참여로 만들어진 ‘UCC관광정보’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정보의 양의 증가는 그 파급효과와 함께, 자연스럽게 정보와 정보원천의 신뢰성의 문제가 제기 되었다. 정보원천의 신뢰에 관한연구는 구전(Word of Mouth; W.0.M) 혹은 온라인 구전(e-W.O.M)등의 선행연구를 통해 소비자와 소비자 간의 정보의 가장 신뢰가 느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정보의 신뢰에 관한 연구는 서비스적 측면에서 웹사이트의 사용성(Usability)부분의 신뢰와 온라인 결제등의 시스템적인 성능(Performance)의 신뢰에 관한 연구위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웹2.0 환경에서 대두되고 있는 ‘UCC관광정보’의 신뢰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문제로 제기한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첫째, 웹2.0 환경에서 소비자 중심의 UCC관광정보의 특성요인이 정보의 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봄으로써, UCC관광정보의 신뢰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의 틀을 확립하고자 한다. 둘째, 이러한 정보의 종합적인 신뢰도(Credibility)가 소비자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봄으로써, 양질의 콘텐츠 개발과 향후 온라인 여행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설문조사는 2009년 4월 16일부터 4월 30일까지 약 2주간 실시하였고, 유효한 700부의 표본을 확보하여, SPSS를 이용한 빈도분석, 교차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AMOS 7.0을 이용하여 측정변수들에 대한 신뢰성 및 집중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경로계수와 공변량 구조방정식을 보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을 토대로 수정모형을 제안하였다. UCC관광정보의 특성은 아직까지 정의되어진 바 없으므로, 온라인 구전정보의 신뢰 영향요인인 유용성(Utility), 생생함(Vividness), 동의성(Consensus), 상호작용성(interaction)등의 4가지 요인과 UCC 콘텐츠의 특성에 적용될 수 있는 정보의 품질의 속성으로 유희성(Playfulness), 적시성(timeliness), 다양성(diversity)의 3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신뢰도(Credibility)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UCC관광정보를 정보로서 인식하는 이용자들이 정보의 유용성(Utility), 생생함(Vividness), 유희성(playfulness)의 3가지 요인에 따라 정보를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의 신뢰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유희성(Playfulness)은 다소 의외의 결과라고 생각될 수 있지만, 여행상품의 경우 타 유형재와는 달리 콘텐츠와 이미지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쾌락적인 즐거움이 소비자에게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UCC는 놀이문화로 출발하였기 때문에 UCC관광정보의 신뢰의 영향요인으로써 유희성(playfulness)은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겠다. 이러한 UCC관광정보의 종합적인 신뢰도는 소비자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본 결과 구매의도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UCC관광정보를 정보로서 인식하는 이용자들이 그 정보의 신뢰를 느꼈을 때, 구전의도가 형성된다고 말할 수 있으며, 기존의 온라인 구전(e-W.O.M)의 신뢰도에 관한 연구의 뒷받침해주는 결과라고 말할 수 있겠다. 또한 구매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온라인 여행사들은 이런 소비자 중심의 UCC관광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그 시사점이 있고, 웹콘텐츠 기획자가 향후 콘텐츠 기획 단계에서 정보의 유용성(Utility), 생생함(Vividness) 그리고 유희성(Playfulness)을 고려해서 구성한다면, 보다 나은 콘텐츠 개발에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되어진다. The evolution of web which generate participation, joint ownership, and diffusion was accompanied with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existing value chains of industries have been changed and new order has come by the emergence of web 2.0. Especially for tour industry, trends have changed from pakage tours to individual tours and from sightseeing to experience. With digital cameras and internet blogs, tourists became prosumer who do produce and consume posting their stories and photos. In addition scraps and transferring contents on internet became easy due to functions of RSS and Tag and it caused rapid expansion of information. Problems of reliability has issued with ripple effects after UCC(User Created Contents) Tourism Information has surprisingly increased. Results that information among consumers are most trusted through the study precedent on Word of Mouth; W.O.M and e-W.O.M were drawn by research for reliability of information source. However the research had focused on usability of web-site and performance of on-line system such as e-commerce. Therefore the necessity for studying credibility of UCC Tourism Information is questioned here.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2 weeks(16 to 30 April 2009).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crossing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fulfilled with 700 papers available. The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based 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MOS 7.0 to obtain reliability and convergent validity for measure variables. For hypothesis testing, path coefficients and Co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examined to present Correction Model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alysis. Features of UCC Tourism information has not defined yet, so reliability was measured 4 factors which affect reliability of information on-line (utility, vividness, consensus and interaction) and 3 factors which are adaptable to UCC contents(playfulness, timeliness and diversity). Summary is as follows. Users recognizing UCC Tourism information count on it according to utility, vividness and playfulness. Especially Playfulness, one of them, could be unexpected result but it fairly affects customers in regards to Tour Package which rely on contents and images comparing to tangible assets. Therefore Playfulness is an important factor for reliability. Total Credibility of UCC Tourism information has similar effects to purchasing intentions and Word of Mouth Intentions. Word of Mouth Intentions is formed when users trust in the information. That supports study of reliability on existing verbal on-line information. As a result, the point is using this consumer-oriented UCC Tourism Information that at most is good marketing plan for on-line tour companies. Considering Utility, Vividness and Playfulness is helpful for composing contents when a producer plans web contents.

      • 체험경제이론을 이용한 템플스테이 참가자의 만족도 연구 : 지각된 가치, 신뢰성,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명유진 세종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최근 장기화되고 있는 경기 불황과 현대인들의 스트레스 증가는 ‘쉼’의 의미가 쉬는 것 차제만으로도 충분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특히 현실에서 벗어나 몸과 마음을 치유 할 수 있는 힐링관광이 주목받으며 종교와는 상관없이 불교의 ‘템플스테이’나 천주교의 ‘피정’에 참여하는 일반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Pine & Gilmore의 체험경제적 관점에서 템플스테이 체험 요소와 만족도에 대한 지각된 가치, 신뢰성, 몰입의 매개변수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규명하고 체험요소들의 최적이 경험 상태인 ‘스윗 스팟(sweet spot’이 존재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ine & Gilmore의 체험경제 이론에 의한 ‘템플스테이 체험요소’에는 오락적, 일탈적, 미적 그리고 교육적 체험요소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조사하였다. 둘째, 템플스테이 체험요소과 만족도에 대한 정서적 가치, 사회적 가치, 신뢰성 및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적 가치의 매개효과 검정 결과 일탈적, 미적 체험에 완전매개 효과가 있었으며, 오락적, 교육적 체험에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사회적 가치의 매개효과 검정 결과 일탈적 체험에서 완전매개 효과가 있었으며, 교육적 체험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성과 정서적 몰입의 매개 효과 검정 결과 미적 체험에서 완전매개 효과가 있었으며, 오락적 및 교육적 체험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셋째, 매개변수 중 가장 중요한 변수는 정서적 가치로 오락적 체험과 교육적 체험에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으며, 미적 체험과 일탈적 체험에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을 이론적 기여도 차원에서 살펴보면, 템플스테이 체험의 선행연구에서는 템플스테이의 환경적 요소의 만족도에 대한 물리적 환경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템플스테이 체험의 구체적인 체험특성과 체험을 통한 템플스테이 참가자들의 행동을 규명한 실증분석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상황에서 템플스테이에 대한 체험적 접근을 통하여 정서적 가치, 사회적 가치, 신뢰성 및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연구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실무적으로 템플스테이 체험과 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적 가치가 부분매개효과와 완전매개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Pine & Gilmore의 체험경제 이론의 최적인 경험 상태인 ‘스윗 스팟(Sweet Spot)’을 경험 할 수 있음을 제시하여 템플스테이 참가자의 지속적인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의 구성과 문화관광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패밀리 레스토랑의 판매촉진유형별 선호도와 충성도에 관한 연구

        공민아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사회의 발달과 더불어 우리의 생활수준도 향상되었고 그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생활수준의 변화로 집에서 먹는 형태의 식생활 문화가 외식문화로 변화되면서 이미 우리 생활에 정착되었다. 이에 따라 외식업 역시 꾸준히 성장을 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현재 포화상태에 이르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현상으로 패밀리 레스토랑은 다양한 판매촉진유형을 이용하여 신규고객을 확보하고, 기존고객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밀리 레스토랑에서 시행하는 판매촉진 현황을 파악하고, 고객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이용형태에 따른 판매촉진유형의 선호도를 분석한다. 선호되어진 판매촉진유형이 고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판매촉진유형을 적극 사용하여 고객의 방문횟수를 증가시키고 1회 지불 비용을 높이는 것을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 방법을 병행하여 조사하였으며, 연구의 모형에서 설정된 가설검증을 하기 위하여 실증연구를 위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국내 패밀리 레스토랑을 이용한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조사된 실증자료는 데이터 코딩을 거쳐 통계패키지 SPSS Window(version17.0)을 이용하여 설문지결과에 대하여 빈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패밀리 레스토랑의 판매촉진유형중 가격이 할인된 세트메뉴와 제휴카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며, 그중에서도 제휴카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판매촉진유형중 대다수가 쿠폰을 선호한도고 나타나 있지만, 따로 챙겨 다녀야 하는 쿠폰 보다는 항상 휴대하는 제휴카드가 사용의 편리함으로 더 선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판매촉진유형 선호도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가격이 할인된 세트메뉴가 재방문의도에 대해 가장 영향력이 크다고 나타나며, 구전의도에서는 제휴카드가 영향력이 가장 크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패밀리 레스토랑의 판매촉진유형 선호도는 고객의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촉진의 주된 목적이 단기간의 즉각적인 매출증대에 있다고 하면 판매촉진에 의한 고객만족, 재방문의도, 구전의도는 판매촉진 목적달성에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할 것이다. 선호도나 재방문의도, 구전의도는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판매촉진의 효과는 아니지만, 패밀리 레스토랑 이용 시 경험하는 판매촉진유형에 따라 이용 후 실제 구매행동에서 변화가 일어난다는 측면에서 관심을 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판매촉진유형을 고려해서 구성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판매촉진의 마케팅 전략에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되어진다.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society, the living standards of people have been improved and subsequently, a variety of change has occurred. In particular, change in living standards brought about the change of dining culture from eating at home to eating out, and this culture has been settled in people's life. Accordingly, restaurant business continued to grow.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is business is already saturated. Due to this phenomenon, family restaurants have secured new customers by using various types of sales promotion and endeavored to keep their existing customers simultaneously.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esent conditions of sales promotion, implemented in family restaurants and analyzed the preference of sales promotion typ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and using styles. It examined whether preferred sales promotion types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s and tried to increase the frequencies of customer visit and raise pay costs per time by actively using sales promotion types. To attain the end of this research, I used both documentary research and empirical study, made a structuralized questionnaire for empirical study in order to verify hypothesis set in model research, and conducted survey for consumers who enjoyed family restaurants in Korea. To analyze collected data from the survey, statistics package SPSS Window(version17.0), I made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result of questionnaire. To summarize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The preference of discounted set menu and associated card appeared to be high in the sales promotion types of family restaurant. In particular, associated card accounted for the large weight. Contrary to existing studies indicating that most people preferred coupons in sales promotion types, it was revealed that associated card, which is convenient to use, is more preferred to coupons which should be separately prepared.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preference in sales promotion types on loyalt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discounted set menu in price has the biggest effect on the intention of re-visit, and the effect of associated card was the greatest in the word of mouth intention.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preference in the sales promotion types of family restaurant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If the main purpose of sales promotion is to increase immediate sales, customer satisfaction, intention to revisit by sales promo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and word of mouth intention will occupy the significant weight in attaining the purpose of sales promotion. Preference, intention to revisit, and word of mouth intention are not the effect of direct promotion in sales, but these factors attract the concern in the aspect that change in the real purchase behavior occurs after using according to sales promotion types. If future study includes diverse forms of sales promotion types, it will be helpful to the marketing strategy for more effective sales promotion.

      • SNS 정보제공자 특성이 방한 중국 관광객의 음식관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음식정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슝옌 세종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2017년 6월까지 중국 네티즌은 7.51억 이상의 규모로 전 세계 네티즌의 5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SNS는 관광과 관련하여 경험, 사진, 볼거리 등을 공유하는 사람이 점점 늘어나면서 관광산업에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 한국관광공사가 1984-2017 출입국국가별 월별 통계 결과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간 중국인 외래 관광객의 수량은 제일 많고 2017년 '사드'에 영향 미친 정치 환경에서도 중국인 외래 관광객의 수량은 4,169,353명 1순위로 나타났고 문화체육관광부의 연구 결과를 보면 한국 관광을 선택할 때 고려하는 요인으로 음식 및 미식 탐방이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국 음식에 많은 관심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식관광활성화를 위해 SNS 음식관광정보제공자의 특성에 대한 만족과 행동의도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정보제공에 따른 중국관광객의 인구 통계적 특성에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증 분석 결과 SNS 음식관광특성 중 정보제공자의 특성은 3개 요인으로 상호작용성, 전문성, 신뢰성으로 도출되어 각각 명명하였다. 둘째,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 결혼여부, 교육 수준, 직업, 월 소득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SNS종류, SNS 이용기간, 방문횟수, 체류기간, 방문목적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가설 검증 결과 정보제공자의 특성이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는 가설1은 부분 채택되었고 정보제공자의 특성이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는 가설2은 부분 채택되었다. 만족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는 가설3은 부분 채택되었다. 그리고 정보제공자의 특성과 행동의도간의 정보만족에 대한 매개효과 검증 결과는 가설4가 부분 채택되었다. By June 2017, China had more than 751 million Internet users, accounting for one-fifth of the world's total. The number of people sharing travel-related experiences and photos on SNS is increasing, which provides more opportunities for the tourism industry. According to the report, China has been the largest number of foreign tourists to South Korea in recent years, and the second most important factor in choosing to travel there is Korean foo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study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Provider on Food Tourism Behavioral Intention of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And the results show: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provider include three factors; Secon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factor, bu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actors of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occupation, income; Third,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actors of SNS types, internet age, travel times, travel periods and travel purposes; Fourth, hypothesis1, hypothesis2, hypothesis3, hypothesis4 all partly adopted according to the results.

      • IPA를 이용한 항저우 모간산 펜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LI ZHENTING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연구의 시사점 및 제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제시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 1 절 펜션 1. 펜션의 일반적 정의 ‘펜션(Pension)’이라는 용어는 원래 연금(年金), 은급(恩給)에서 파생된 것으로, 연금을 받고 유지되는 노후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식사를 제공하는 하숙집이나 기숙학교를 설립하는 것을 말한다. 유럽에 오래전부터 있던 민 박풍의 작은 숙박시설과 동일한 전 가족 구성원의 서비스로 쾌적하고 편안 한 분위기가 특징이다. 오동훈·박선영·이재순(2003)은 펜션이 고대 그리스의 여러 도시국가에 서 여행자에게 빵과 와인을 무료로 제공하는 ‘간이식당’ 형태의 펜션에서 유래되었다고 하였다. 최초의 간이식당 형태의 펜션은 호혜를 베푸는 환대 정신에서 출발하였으나 6세기경 화폐가 출현하고 상업 무역이 발달하면서 경제가 활기를 띠기 시작하자 언제부터인가 하나의 간이 숙소 영업으로 변 질되었다고 한다. 이후 유럽에서 퇴직 노인들이 여생을 연금과 펜션 경영으 로 보내게 되면서 원래 연금(年金), 은급(恩給)의 뜻인 펜션이라는 이름으로 확대, 발전하게 되었다고 한다. 펜션은 유럽풍 고급 펜션의 한 형태로 목재나 통나무 등으로 만든 소 규모 고급 펜션 시설을 말한다. 주로 개인 별장과 같은 아늑하고 가족적인 분위기를 지닌 새로운 스타일의 레저용 숙박시설로(이진희, 2000), 일정 연 한의 개인 주택을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5실 이하의 2인실을 제공하고, 운영 자로서 숙박은 물론 음식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임대료는 펜션 소 유자의 수입원의 일부일 뿐이다(Lanier, 1993). 한국의 펜션에 관한 법률개념은 2000년 제정된 제주도개발특별법을 통 해 나타난 뒤 2003년 7월 1일 제정된 제주국제도시특별법 휴양 펜션업에서 시행되었다. 2003년 8월 6일 관광펜션업을 관광 편의 시설업으로 지정하였 으며, 관광수요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펜션업은 시설과 환경에 따라 관광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프로그램에 포함시켜 차별화된 고급 숙박 형태로 자연 과 문화를 함께 즐기는 방향으로 실시하는 것이다. 한국에서의 펜션은 기존 숙박시설(민박, 콘도)과는 달리 시설의 고급화 를 추구한다. 전원생활을 안락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한 점 에서 그 차이를 찾을 수 있으며, 콘도와는 달리 보다 근접한 거리에서 자연 환경을 누림으로써 숙박 자체만으로도 하나의 관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김인호 등, 2003) 펜션은 독특한 숙박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전통적인 호텔 서비스와 구별 되며 특히 주변환경과 결합하여 지역 건축의 특성을 지닌 숙박 서비스를 형성한다(Carlos A, 2007). 또 호텔보다는 요금이 싸지만 민박보다는 비싸 독일 프랑스 등에서는 레저뿐만 아니라 도시, 농어촌까지 퍼져 숙박시설의 3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저렴한 가격에 가족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규모 고급 숙박시설로 개인 별장 같은 아늑함과 가족 분위기를 제공한다. 프랑스에서는 (Pension)이라고 하는데 영국과 미국에서는 B&B(Bed and B reakfast), 독일에서는 (Guest-haus),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는 Lodge로 펜션 과 비슷한 형태이다. 2. 중국 펜션의 정의 중국 국내 펜션의 시작, 발전, 연구는 외국에 비해 비교적 늦다. 중국 국 내 학자들은 민박, 홈스테이, 농가락(农家乐) 등 펜션 산업에 대한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펜션에 대한 정의는 비교적 많으며 통일되어 있지 않 다. 대만은 중국 내에서 '펜션' 개념이 비교적 일찍 도입된 지역이다. 대만 학자들은 펜션 주인이 자신의 집에서 방치된 방을 이용하여 현지의 인문 사회, 생태환경 자원을 존중하고 농업, 임업, 축산, 어업 활동을 결합한다는 전제하에 부업 방식으로 운영하는 숙박이라고 정의한다(陈沫ㆍ齐岩波ㆍ刘 海霞, 2014). 처음에 대륙의 많은 학자들이 펜션을 연구할 때 '숙박'의 수요 를 '홈스테이'로, '먹는' 수요를 '농가락'(农家乐)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생 각했다. 그러나 펜션의 발전과 자본시장의 유입에 따라 국내 학자들은 홈스 테이과 농가락이 결합 된 업그레이드의 개념으로 '펜션'이라는 명칭을 점차 인정하고 있다. 중국 국내 학계에서 펜션의 정의에 대한 논의는 크게 다음 세 가지가 있다. 첫째, 디자인 관점에서 王明泰(2015)는, 펜션은 현지 생태환경, 인문과 자연경관, 농림목어 생산활동 등의 자원과 결합한 것으로 농민이 유휴주택 을 이용, 그에 상응하는 숙박과 음식 시설을 설계하고 문화와 주제를 융합 하여 농촌 생활을 동경하는 여행자에게 숙식을 제공하는 곳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둘째, 자연 인문으로부터 출발한 杜娟(2017)은, 펜션은 일종의 정신 적 함축, 자유롭고 독립적인 정신 추구, 평화와 녹색의 건강을 추구하는 생 활 체험이라고 정의했다. 셋째, 경제적 관점에서 顾军正(2017)은, 펜션은 관 광지역 주민들이 자신이 머물 장소를 제공하고 관광객과 공유하는 공유경 제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펜션 관광을 경제문화로 여기는 도시인들은 빡빡한 도시 생활에 싫증을

      • 서울시내 게스트하우스 선택 속성이 고객만족 및 재방문 의도에 관한 연구 : 방한 중국 구매대행 게스트하우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쑨쓰원 세종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중국은 1987년 개혁개방 정책을 시실로 인해서 경제가 급속히 발전을 했다. 빠른 경제 발전과 중국의 관광시장은 급속하게 발전을 이루고 있다. 또한 중국의 해외 관광여행 정책은 크게 변화함에 따라 해외로 나가는 중국인 관광객도 큰 비중으로 증가하고 있어 해외여형 면에서도 세계적인 관광여행 대국이 될 것으로 예상이 된다. 또한 해외의 개성 있고 독특한 제품을 찾는 중국 국민을 위한 틈새 수요는 하나의 문화적인 코드를 형성할 정도로 해외 제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수요량이 커지면서 해외 제품 등 구매할 수 있는 방도도 새롭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 제일 대표적인 비즈니스모델은 바로 해외 개인 구매 대행이다. 언어 소통의 어려움 뿐만 아니라 비싼 배송비와 복잡한 통관 절차가 있기 때문에 여러 중국 소비자는 해외에서 직접 구매를 잘 이용하지 않고 해외 개인 구매 대행을 더 선호한다. 중국의 경제성장, 지리적 근접성, 한류의 영향, 위안화 절상 등 많은 요인들로 인해 중국 관광객들은 한국 방문이 급속히 증가하고 여러 구매 대행자가 제일 많이 구매 대행 목적으로 방문한 나라는 바로 한국이다. 관광객이 급하게 증가함에 한국 관광 숙박업도 끊임없이 늘어나고 있다. 그렇지만 관광객이 숙박 할 곳이 없다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비싼 호텔보다 편히 잠을 잘 수 있고 저렴한 곳의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그곳은 바로 게스트하우스가 대표적인 중저가 숙박시설이라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게스트하우스는 구매 대행자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묵을 수 있도록 갖춘 숙박시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을 방문한 중국 구매 대행을 대상으로 도시 게스트하우스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 관계를 검증하여 실증조사를 통한 실무적 자료를 제시하였다. China has developed rapidly in the economy in 1987 because of its policy of reform and openness.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tourism market in China are making fierce progress. In addition, China's overseas tourism policy has changed dramatically, and the number of Chinese tourists traveling overseas is also increasing. In addition, one of the niche demand for Chinese people who are looking for a unique and unique product abroad is the cultural code. As the demand for foreign products or brands increases, new ways of purchasing foreign products have appeared. The most representative business model among them is overseas personal purchasing agency. Not only is it difficult to communicate in the language, but also because of the expense of shipping and disposal of customs clearance, many Chinese consumers do not make good use of direct overseas purchases but rather choose foreign personal purchasing agents. Due to many factors such as China 's economic growth, geographical proximity,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and the appreciation of the yuan, Chinese tourists are visiting Korea very rapidly. The number of Korean tourists and hospitality businesses is also increasing steadily. However, there is a situation that tourists have no place to stay. In addition, it can sleep better than expensive hotels, and the demand is getting cheaper. It is a low-cost watermelon facility as a guest house representative. As a result, guesthouses are accommodation that allows buyers to stay at relatively low pr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level and revisit intention of city guesthouses (choice of residents)

      • 청소년기의 여가활동, 자아 정체성, 삶의 만족도의 관계 : 비(非)장애 및 장애 청소년 비교연구

        최혜경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Self Identity, and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ce -A comparative study of non-disabled and disabled adolescence - Choi, Hye-Kyung Department of Hospitality & Tourism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self identity and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ce. This especially is a comparative study of non-disabled and disabled adolescence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402 non-disabled and disabled adolescences(153 non-disabled , 126 hearing-impaired , 123 visually-impaired )in middle or high schools and special schools for deaf or blin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showed that first,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leisure activities (leisure constraints, desired leisure activities, leisure times, and leisure satisfac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students, such as non-disabled, visually-impaired and hearing-impaired. Second, the patterns of the leisure activities' influenced adolescence's self identity. Finally, adolescence's self-identity influenced their life satisfaction. Key words: adolescence, disabled, leisure activity, self-identity, life satisfaction 논문요약 청소년기의 여가활동, 자아정체성, 삶의 만족도의 관계 - 비(非)장애 및 장애 청소년 비교연구 -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여가활동, 자아 정체성,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것으로 비(非)장애 및 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교 연구하였다. 만 13세〜24세의 비(非)장애 및 장애 청소년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장애 유형은 장애 인구비율이 비슷하고, 다른 장애 유형에 비해 비교적 활동이 자유로운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으로 정하였다. 402부의 유효한 표본을 SPSS for Window Version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² 검증 , 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 유무 및 유형에 따라 여가활동의 행태(여가활동 제약요인, 희망 여가활동, 여가 횟수, 여가 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선호 여가활동 유형이 비(非)장애 및 장애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非)장애 및 장애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非)장애 및 장애 청소년들의 여가활동, 자아 정체성, 삶의 만족에 차별 없이 동등한 관심을 갖어야 할 필요성과 이들에게 보다 나은 여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 청소년 , 장애 청소년 , 여가활동 , 자아 정체성 , 삶의 만족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