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faculty inbreeding means recruiting faculty members from among the graduates who graduated from the equivalent mother schools with degrees. Of those inbred faculty members, there are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scription’ and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chievement.’ Yongsoon Im(1993) presented a theoretical analysis model that could classify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place and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chievement by the level of department not by that of individuals. There are a number of methods classifying the department types, but one of the meaningful ways of investigating faculty inbreeding is to divide the types of departments by the size of faculty inbreeding rate and by that of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Yongsoon Im(1993) argued that when faculty inbreeding rates equal, the probability of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place would be higher in a department with a lower rate of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than in a department with a higher rate of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above argument by analyzing the research productivity of inbred faculty according to the department type. To achieve the purpose,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s assumed. First, what levels are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nd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by the department? Also, what types are the distribution of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nd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by the department? Second, what phases are the distributional types of departments when dividing department types based on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nd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Third, what difference is there in the research productivity of inbred faculty according to the department typ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 viewpoint of the study. This study verifies an analysis model of faculty inbreeding by analyzing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by the inbred faculty according to the department type. To provide a key to the settlement of these research questions, we mainly collect the required data by using a web database, Web of Science index and the ‘Faculty Directory of Universities in Korea’ published by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KCUE). The data are analyzed using SPSS 20.0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significance level for statistical process in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productivity by the department is p<.05. Based on the research method ab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partments with 0 of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ccording to the level of faculty inbreeding rate and that of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are 56.9%, and those with 0 of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0 are up to 60.2%. In the mean time, the departments with over 50% of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re 8.3%, and those with with over 10% of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are 1.8%. This phenomenon explicitly shows that a significant deviation in the distribution of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nd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in case of Korea. In terms of time, there is practically little change in the mean of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when the mean of the faculty inbreeding rate is decreased. Second, when classifying the departments into 4 types on the basis of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nd that of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the rate for newly?established type departments of type 4 which has simultaneously low both in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nd in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is the majority of the portion, and the rate for open?type departments of type 2 the lowest, the rates for conventional departments of type 1 and closed?type departments of type 3 are shown alike. In a stream of time for 15 years since 1990, these patterns are shown to be regular, and in terms of transitional trends, the rate for unreasonable closed?type departments of type 3 is increased and the rates for other conventional?type, open?type and newly?established type departments are relatively decreased. With a focus on the conventional type departments of type 1 and the closed?type departments of type 3 respectively with the high rate of faculty inbreeding, on the subjects of year 2005 departments such as physics, chemistry, mathematics and econom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earch productivity show that the level of the research productivity of the type 1 departments is distinctively higher than that of type 3 departments. Also, in case of the type 2 open?type departments and the type 4 newly?established type departments with the low rate of faculty inbreeding, even though the level of research productivity for the type 2 open?type departments is shown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type 4 newly?established type departments,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as for the department of chemistry, after reclassifying the department types by adjusting the mean of the rate of faculty inbreeding and the mean of the rate of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the level of research productivity for the type 2 open?type departments is shown to be higher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at of the type 4 depart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can conclude that there is a feasibility of distinguishing the two different types of faculty inbreeding between the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scription’ and the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chievement’ in a dimension of department units presented by Yongsoon Im(1993). This study empirically suggests that there is no necessity of regulating the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chievement while it is necessary to regulate the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scription, and by getting out of policy trends of regulating faculty inbreeding in one way assuming that every faculty inbreeding is connected only with ascription not with achievement as it is shown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faculty recruiting quarter system. 교수의 내적 충원(faculty inbreeding)이란 광의적으로 모교에서 학위수여 받은 졸업생을 교수로 채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내적 충원은 ‘연고성’ 내적 충원과 ‘성취성’ 내적 충원으로 분류된다.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로 임용순(1993)은 교수 개인 수준 차원이 아닌 학과 수준 차원에서 성취성 내적 충원과 연고성 내적 충원을 구분해낼 수 있는 이론적 분석모형을 제시한 바 있다. 교수 충원에 따른 학과 유형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교수의 내적 충원을 의미 있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학과의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의 크기에 따라 학과를 유형화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는 내적 충원이 동일한 수준이라면 외적 공급률이 낮은 학과가 외적 공급률이 높은 학과보다 연고성 내적 충원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임용순(1993)의 주장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주장의 타당성을 내적 충원 교수의 연구 실적을 학과유형별로 분석함으로써 검증해 보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의 세 가지 차원으로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 교수의 학과별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율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그리고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의 학과별 분포는 어떠한 형태를 보이는가? 둘째, 학과의 유형을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을 기준으로 네 가지로 구분할 때 학과의 유형별 분포는 어떠한 모습을 나타내는가? 그리고 이러한 분포는 시간적(1990년-2005년) 흐름 속에서 얼마나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는가? 셋째, 내적 충원 교수의 연구 실적은 학과유형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는 주로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발행한 『국·공립대학교원명부』와 웹 데이터베이스인 Web of Science 색인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그리고 자료 통계처리는 SPSS 20.0을 이용하였다. 학과유형별 연구 실적 분석할 때 통계처리의 유의수준은 p<.05의 수준을 적용하였다. 세 가지 차원의 연구방법에 따른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의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 수준을 분석한 결과 내적 충원률이 0(zero)인 학과는 전체학과의 56.9%, 외적 공급률이 0(zero)인 학과는 전체학과의 60.2%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내적 충원률이 50% 이상인 학과는 전체학과의 8.3%로 나타났으며 외적 공급률이 10% 이상인 학과는 전체학과의 1.8%를 차지했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의 경우 교수의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에 있어서 쏠림현상이 있음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한편 평균 내적 충원률은 감소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반해 평균 외적 공급률이 거의 변화가 없었다. 둘째, 교수의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을 기준으로 학과를 4개 유형으로 구분하였을 때, 전체분포 중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이 동시에 낮은 <유형 Ⅳ>의 신설형 학과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유형 Ⅱ>의 개방형 학과가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형 Ⅰ>의 전통형 학과와 <유형 Ⅲ>의 폐쇄형 학과의 비율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1990년 이후 15년 동안 이러한 패턴들이 일정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변화 경향으로는 바람직하지 않은 <유형 Ⅲ>의 폐쇄형 학과의 비율이 증가한데 비해서 그밖에 다른 전통형, 개방형, 신설형 학과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적 충원률이 높은 <유형 Ⅰ>의 전통형 학과와 <유형 Ⅲ>의 폐쇄형 학과의 경우 2005년도를 기준으로 물리학과, 화학과, 수학과, 그리고 경제학과를 대상으로 한 내적 충원 교수의 연구 실적을 분석한 결과, <유형 Ⅰ>의 전통형 학과의 연구 실적 수준이 <유형 Ⅲ>의 폐쇄형 학과의 연구 실적 수준보다 뚜렷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 충원률이 낮은 <유형 Ⅱ>의 개방형 학과와 <유형 Ⅳ>의 신설형 학과의 경우, <유형 Ⅱ>의 개방형 학과의 연구 실적 수준이 <유형 Ⅳ>의 신설형 학과의 연구 실적 수준보다 높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다만, 화학과의 경우 평균 내충률과 평균 외공률을 바탕으로 하여 유형별 분포가 덜 편포되도록 조정하여 분석한 결과 <유형 Ⅱ>의 개방형 학과의 연구 실적 수준이 <유형 Ⅳ>의 신설형 학과의 연구 실적 수준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임용순(1993)이 제시한 내적 충원의 두 가지 형태인 ‘연고성’ 내적 충원과 ‘성취성’ 내적 충원을 학과단위 차원에서 구분하여 연구되어야 한다는 당위성이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교수임용 쿼터제도 도입의 필요성에 대한 재확인의 기회가 되었다. 지금까지 내적 충원을 모두 연고성 내적 충원으로 가정하고 그것을 일방적으로 규제하려는 정책적 시도에서 벗어나, 연고성 내적 충원은 규제하되 성취성 내적 충원은 규제할 필요가 없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몽골 아이들의 미래가 된 재한몽골학교가 어떤 배경에서 설립되었는지 자세히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찾아내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세 가지다. 첫째, 재한몽골학교의 설립 배경은 무엇인가? 둘째, 재한몽골학교의 설립 과정성의 어려움은 무엇이고, 그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하였는가? 셋째, 재한몽골학교는 어떠한 특성을 가졌는가? 또한 사회에 어떠한 기여를 하였는가? 이 논문에서는 양적 통계분석방식이 아니라 문헌을 고찰하는 방법을 주로 택하였다. 문헌연구에서 재한몽골학교의 설립과 운영에 관련되는 문헌과 국내의 간행물 및 선행연구 자료들을 참고하였으며 학술지 등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고 인터넷 웹사이트 등의 각종미디어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또한 이와 함께 법무부, 통계청, 국가인권위원회, 교육과학기술부 등에서 만들어지는 관련 통계자료, 법령 및 관련 신문 기사 등을 수집, 활용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9년부터 시작한 재한몽골학교는 국내 유일의 몽골 이주노동자 자녀 학교이며 서울시 교육청과 몽골교육부로부터도 인가를 받은 정식 외국인학교이다. 몽골의 학제를 도입하여 초등학교 과정은 1-5 학년, 중학교 과정은 6-9 학년, 고등학교 과정은 10-12 학년이며 현재 필수과정으로 유치원과정을 신설할 예정이다. 재한몽골학교는 몽골 이주노동자 자녀들에게 제대로 된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면서 교육권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한국과 몽골을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둘째, 재한몽골학교는 1999년 설립 이래 지금까지 재정적인 문제나 학생 및 교사, 교육과정 또는 시설 면에서 수많은 어려움을 극복해 왔다. 그런데 학교의 운영은 예나 지금이나 어려움이 많다. 다문화가정 이주민들을 위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 많지만 한국에 장기 거주하는 외국인가정 아이들을 위한 지원은 미미한 상황이다. 보통 외국인학교라고 하면 ‘귀족학교’를 떠올리게 되지만 선진국 외국인학교와 달리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이주노동자 자녀들이 다니는 재한몽골학교는 정부 정책이나 지원 대상이 아니며 한국과 몽골 양국의 관계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관심을 덜 받는 편이다. 따라서 몽골이나 한국 정부에서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해결되지 않은 문제는 학생의 비자 문제이다. 이주노동자 자녀들의 후속 이주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한국 정부는 이주노동자의 가족 동반 입국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주 아동 및 청소년들이 법적 지위상의 문제로 교육권을 침해 받고 있다. 동반 입국을 못하더라도 단기 체류 비자로 입국하여 장기 체류 비자를 발급받으려면 출입국관리사무소에서 요청 사항이 많아 안 해주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노동 목적으로 한국 땅에 들어온 부모를 따라 한시적으로 오는 아이들이 교육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국 정부에서 실질적인 지위 개선을 보장하는 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background of establishment of the Mongolian school in Korea and look up the following issues. Below research problems are set up for clarification of purpose of the research. 1. What is the foundation background of the Mongolia school in Korea? 2. What was the difficulties of process of establishment of the Mongolia school in Korea and how they got over the difficulties. 3.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Mongolia school in Korea? And what is its social contributions? The research has taken a document research method and not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I referred to professional literatures, publications and preceding research data that are related to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Mongolia school in Korea. Also I have compared and analysed academic journals, carried out collection analysis of media data like internet websites. Along with that I collected and made practical use of statistical data, legislation and articles from Ministry of Justic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Mongolia school in Korea established in 1999 is one and only Mongolia school for migrant workers' children in the country and a formal international school obtained authorization from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the Mongolia Ministry of Education. It has introduced in the Mongolia school system and has the elementary school course of 1-5th grade, middle school course of 6-9th grade and high school course of 10-12th grade. They are planning to establish a kindergardener's course as a mandatory course. The Mongolia school in Korea is providing an opportunity of good and proper education to a lot of Mongolian migrant workers' children and also playing a role of a mediator between Korea and Mongolia. The Mongolia school in Korea has overcome a number of difficulties as financial issues, students, teachers, curriculum and facilities. But still there are lots of difficulties of the school operation. The Korean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upports multicultural families well, however, they hardly support migrant workers' children. Usually, international schools recall 'elite private schools' of developed country. But the Mongolia school in Korea is not a target of government policy or support and receives little interest even though it is playing a very important role of development of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Mongolia. Therefore, a big support from Mongolian government and Korean government is urgently needed. And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is visa issues of students. Migrant workers' children are encroached upon the right to education due to the legal status because the Korean government is prohibiting 'accompanied by his family entry' in spite of subsequent migration. Sometimes they try to change a short stay visa into a long stay visa, but the immigration office tends not to allow it.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guarantee those children's visa status so that they can receive benefits of education.
본 연구는 사립전문대학의 학생 자원 확보에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0년 후인 2020년경 학령인구가 급속도로 감소하며 입학자원 감소와 미충원인원의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예측 결과를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듯이 전문대학의 학생 자원의 확보의 미래는 어려움의 연속일 것이다. 또한 학생 이 납부한 등록금에 의존이 높은 사립대학의 특성상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 학생 자원 확보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연구의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사립전문대학의 학생 자원 확보 수준은 어느 정도 인가? 둘째, 학생 자원 확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학생 자원 확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학알리미 공식 홈페이지에서 수집한 2015년 공시자료를 근거를 토대로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의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전문대학의 학생 자원 확보의 수준을 대변하는 신입생 충원율과 재학생 충원율의 평균값은 각각 98.41%, 107.28%로 나타났다. 신입생 충원율이 100%를 충족하는 전문대학의 수는 79개교 충족하지 못한 대학의 수는 50개교로 나타났다. 또한 재학생 충원율이 100%를 넘는 전문대학의 수는 92개교 37개교로 타나났다. 둘째, 학생 자원 확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구성한 모형 I ,Ⅱ,Ⅲ에서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수 1인당 학생 수, 취업률, 학생 1인당 교육비로 나타났으며 교수 1인당 학생 수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다. Barro(1999)는 선행연구에서 교수 1인당 학생 수를 경제 성장의 원인분석을 위한 국가 간 실증분석에서 교육의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대리변수로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과 학생 자원 확보율 향상을 높이는 가능성을 시사 하바 있었다. 일반적으로 교수 1인당 학생 수가 적을수록 교원과 학생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교육이 내실 있게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 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학생 자원 확보율을 위하여 경쟁력 있는 전문대학을 희망하는 각 대학에서 교수 1인당 학생수와 관련하여 개선의 여지를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전문대학은 전임교수 1인당 학생 수를 낮출 수 있는 개선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현재 입학자원 감소에 대응하는 전략의 하나로 대학의 예산을 감축한다는 명분의 전임교원을 가능한 한 임용하지 않으려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연구 결과에서도 살펴보듯이 오히려 학생 자원 확보에 어려움을 가속화 할 것이다. 지속적으로 전임교원을 가능한 한 임용하려 하지 않는다면 전문대학의 경우에는 생존가능성은 지속적으로 희미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취업률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 2015년 기준 전문대학의 취업률(국·공립포함)은 평균 67.8%, 4년제 대학의 64.5% 대비하여 3.3%높게 나타났다. 전문대학의 설립 취지는 전문 인력인 양성에 목표에 있음을 비추어 볼 때 전문대학의 취업률 향상 방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정부는 취업률에 효과적이라고 실증된 교육지표들을 사용하여 대학을 지원하고 그 지표를 얼마나 달성했는지에 대한 평가를 해야 할 것이다. 실증적 분석 없이 지표를 사용하여 재정지원을 확대 실시하기 보다는 취업률의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된 지표에 집중하여 재정을 지원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affecting factors on securing students resources of private junior colleges. As we can see from the predictiv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2020 ten years later the school-age population will decline rapidly, admission resources will decrease, so it will have difficulties in filling of students, the future of securing students resources of the junior colleges will be a series of difficulties. Also, because of the nature of private colleges of highly dependent on tuition fees paid by students, there is a need to identify the factors in securing students resources for sustainable operation. To this end the problems of the study are set as follows: First, which level is the securing students resources of the private colleges? Second, what a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ecuring students resources? Third, what are the plans for improv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ecuring student resourc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on the basis of the 2015 disclosure data being collected on the University Official Website Alerts, frequenc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utiliz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for the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freshmen filling ratio and students filling ratio which represents the level of securing students resources of private junior colleges appeared to 98.41 percent, 107.28 percent, respectively. The number of junior colleges that meets the 100% in freshmen filling ratio was 79 colleges, the number that does not meet the 100% was 50 colleges. Also, the number of junior colleges that exceeds 100% in students filling ratio appeared 92 colleges, the number that does not exceed appeared 37 colleges. Second, in configured models I, Ⅱ, Ⅲ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securing students resources, commonly affecting variables appeared students per professor, employment rate, education costs per student, and students per professor affected most significantly. Barro(1999), in previous research, used the number of students per professor as a surrogate indicating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empirical analysis between countries for the analysis of economic growth, through this he suggested the possibil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o raise improving of the ratio of securing students resources. In general, the smaller number of students per professor, this allows clos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likelihood be higher that makes education be made substantial. Therefore, in each college wishing to competitive colleges in order to secure students resources ratio, we will be able to see at a room for improvement in relation to the number of students per professor. Third, junior colleges should provide improvement measures to lower the number of students per 1 full-time professor. Now, colleges do not want appoint a full-time faculty as possible as one of the strategies that respond to reduced admission resources in the name of cutting the budget of college. However, as we have seen in the study, this would rather speed up the difficulties in securing students resources. If colleges do not want appoint a full-time faculty as possible continuously, survivability is expected to be continuously dimmed in case of junior colleges. In addition, colleges must have a continuous interest in order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In 2015, the employment rate of junior colleges (including national and public) was an average of 67.8 percent, it was 3.3% higher compared to the 64.5% of four-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light of the goal of which the establishment spirit of the junior college is training of experts, colleges will continue to have an interest in improving employment measures. The government will have to support colleges by using educational indicators that demonstrated to be effective in employment rate and will have an evaluation of how much achieve those indicators. Rather than expansion of financial support by using without empirical indicators, it will be effective for financial support focusing on the indicators that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termination of the employment rate.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중등직업교육 개선 연구 : 건축과 사례를 중심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중등직업교육 개선 연구 - 건축과 사례를 중심으로 - 김 기 청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이 연구는 우리나라 중등직업교육의 변천사를 알아보고 현행 고교 단계 직업교육의 현황과 추진 정책을 통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도입배경과 그 간 개발 및 추진된 정책 방향을 고찰한다. 여기서, NCS 시범운영 학교의 사례를 통해서 제기된 전반적인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 중 2016학년도부터 전국의 마이스터고, 특성화고에 전면 도입되는 NCS 기반 중등직업교육과정 개발 단계에서 최우선적으로 중요시 되는 문제점에 대하여 건축과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과제는 다음 4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및 활용의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를 진단한다. 둘째, 2009 개정 건축시공 관련 교과와 NCS 건축시공 관련 실무과목간의 연관성을 비교?분석한다. 셋째, 2009 개정 건축시공 관련 교과의 내용요소와 NCS 건축시공 관련 실무과목 능력단위간의 연관성을 비교?분석한다. 넷째, 2009 개정 건축시공 관련 교과의 성취기준과 NCS 건축시공 관련 실무과목 수행준거간의 연관성을 비교?분석한다. 위와 같은 연구문제의 결과를 얻기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및 중등직업교육과 관련된 문헌, 연구논문, NCS 시범운영 학교교 담당교사와의 면담 등의 자료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대부분이 최근 2년간에 개발되었으며 전문가 구성 및 관리의 부실함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의 질적인 문제와 과다한 예산 지출, 교육과정 개발상의 모순점이 제기 되었다. 둘째, 2009 개정 건축시공 관련 교과와 NCS 건축시공 관련 실무과목간의 미연관성(6개교과, 46%)이 제기된다. 셋째, 2009 개정 건축시공 과련 교과 내용요소와 NCS 건축시공 관련 실무과목 능력단위간의 미연관성(24/59, 40.7%)이 제기된다. 넷째, 2009 개정 건축시공 관련 교과 성취기준과 NCS 건축시공 관련 실무과목 수행준거간의 연관성은 단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능력단위를 요구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중등직업교육과정 개발에 다음과 같은 정책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중등직업교육과정 도입 전에 NCS 시범운영 학교에서 자체 개발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자료의 충분한 검토·반영을 해야 한다. 또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중등직업교육의 단계적인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기존 건축시공 관련 교과와 미연관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건축시공 관련 실무과목의 교육현장 적용의 문제점 및 타당성 검토를 해야 한다. 셋째, 기존 건축시공 관련 교과 내용요소와 NCS 건축시공 관련 실무과목 능력단위간의 미연관된 능력단위의 교육과정 개발?적용에 있어 충분한 검토를 해야 한다. 넷째, 기존 건축시공 관련 교과 성취기준과 NCS 건축시공 관련 실무과목 수행준거간의 연관성에서 제기된 단계적인 높은 수준의 능력단위를 요구하므로 반복, 발전의 교수·학습을 통한 상위수준 능력단위의 교수·학습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정책 제언이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중등직업교육 개발과정에 반영되어 2016년부터 전면 도입되는 한국형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성공적인 도입·정착이 이루어지길 바라는 바이다. ASTRACT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Based on NCS - Focused on the Case of Architecture Department - Kim, Gi Cheong Major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doption background through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current high-school level job education and policy, and previous development and achievement and policy direction. In this study, I analyze proposed problems through the case of NCS model school and deal with the most important problems focused on the architect subject in the development stage of NCS adopted at every vocational school and meister school from 2016. Therefore, The assignmen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on following 4 factors. First, analyz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CS and diagnose the problem. Second, compare and analyze the connection between construction work of 2009 revised curriculum and competency unit of NCS architect subjects. Third, compare and analyz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ent factors of construction work subject of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competency uni of NCS architect subject. Fourth, compare and analyze the connection between the achievement standard of 2009 revised architect subjects and performance criteria of NCS architect subject. To ge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oblem, I got following results through NCS and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nd literatures, thesis and the interview with the teacher of the NCS model school. First, most of NCS has been developed for 2 years recently and qualitative part of NCS, excessive budget expense and the contrariety of curriculum development have been controversial. Second, the disconnection between 2009 revised construction work and NCS construction is proposed. Third, the disconnection between the content factors on the 2009 revised construction work and the competency unit on NCS construction work. Fourth, the connection between the achievement standard of 2009 revised construction work and the performance criteria on NCS construction work demand higher level competency unit by stage. Therefore, I propose following policy about NCS based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on base of research results. First, The self-developed curriculum and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of NCS model school should be reviewed and applied after enough consideration. Also, NCS based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needs to be adopted by stage. Second, the problems and the validity on the real application of the present construction work and disconnected construction work should be reviewed. Third,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n the disconnected competency unit the content factors of present construction work and NCS construction work competency unit should be reviewed. Fourth, the performance criteria of the present construction work and high level competency unit proposed in the connection of NCS construction work should be demanded by stage. Therefor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high level competency unit through the enough repetition in low level competency unit should be needed. I hope the policy proposal of NCS based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process proposed on the base of the research result is considered and the korean style NCS will be adopted and applied successfully from 2016.
Integrated education means to educate the special education subjects in general schools for the normal development of social ability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or temporarily to make the students who are in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participate for education into the curriculum of general schools. By Kim Hyeon-sook(2001), integrated education reduces the negative perception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it can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recognition of the diversity and the disabled through recognizing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other. And, by Kim Eun-kyeong(2008), parents' perception on the disabled and the integrated education affects directly to the childre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needs of parents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correct integrated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arents' percep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of kindergarten based on the empirical data through questionnaires to parents of integrating kindergartens that integrated education are made and general kindergartens around Chuncheon City, Kangwon Province.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is study set up research problems as follows: First, which level is the percep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Third, after finding ou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cceptance of recognition of integrated education, what i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that can activate the integrated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wo kindergartens where integrated education were conducted among public kindergartens and four general kindergartens in Chuncheon City, Kangwon Province were selected. To them survey questionnaires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were distributed, and they were recovered and analyzed. SPSS 22 statistics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and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post-hoc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thre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sis of parents' perception on integrated education, comprehensive percep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showed a very high level of recognition to the average 4.21. Also, the result of analysis by ques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decrease of preoccupation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was the highest average 4.33, social development of normal children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understanding of the need for integrated education,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were next in order. In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research subjects, men than women, less than age 30, in education more than junior college graduation, children less than two people, in economic power more than 3 million won per month, presence than absence in case of presence or absence of acquaintances, were higher recognition. Also, in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kindergarten, integrating kindergarten of an average of 4.37 was higher than general kindergarten in percep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Second,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erception and related variables was analyzed by separation of life experienc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knowledge of disability, parents' rearing attitudes. Although group that had higher life experienc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a higher average of 4.38, but with p=.081, regardless of life experienc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ercep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showed high. In disability knowledge, group that had higher disability knowledge had a higher recognition of average of 4.48, in parents' rearing attitudes, permissive parents was average of 4.48, it showed a higher percep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Third, as the way to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integrated education, this researcher proposed the reverse integration and parents involvement class. Parents involvement class was analyzed into three division such as 'nature experience program,' 'education materials,' 'understanding heart.' As a result, parents involvement class was average of 4.03, its positive response was higher than the reverse integration, in parents involvement class 'nature experience program,' 'understanding heart.' 'education materials' are in order. Based on this analysis, perception of integrated education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integrated education were proposed, and proposal that can contribut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education was suggested. 통합교육이란 특수교육 대상자의 정상적인 사회적 능력의 발달을 위하여 일반학교에서 특수교육 대상자를 교육하거나, 특수교육 기관의 재학생을 일반학교의 교육과정에 일시적으로 참여시켜 교육하는 것을 말한다. 김현숙(2011)에 의하면, 통합교육이 장애아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감소시키며, 서로에 대한 차이점을 인식하여 다양성과 장애에 대한 인식의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김은경(2008)은 부모의 장애 및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자녀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올바른 통합교육을 위해서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시를 중심으로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는 통합유치원과 일반유치원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자료를 바탕으로 유치원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조사를 목표로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의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인식은 어느 수준인가? 둘째,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통합교육의 인식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통합교육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발전방향은 무언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원도 춘천시의 공립유치원 중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2곳과 일반유치원 4곳을 선정하여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인식조사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2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통계분석은 빈도분석, 분산분석, 사후분석을 이용하였다. 세 가지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종합적인 인식은 평균 4.21로 매우 높은 인식 수준을 보였다. 또한,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문항별 분석 결과, 통합교육을 통한 선입견 감소가 평균 4.33으로 가장 높았으며, 통합교육을 통한 일반아동들의 사회성 발달,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 통합교육의 통한 장애아동들의 의사소통능력 발달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인식은 남자보다 여자가, 연령은 30대 미만, 학력은 전문대 졸업 이상, 자녀는 두 명 이하, 경제력은 300만원 이상, 장애지인 유무는 지인이 있는 경우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의 유형에 따른 인식은 통합유치원이 평균 4.37로 일반유치원보다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둘째, 학부모의 인식과 관련변인과의 관계 분석은 장애인과의 생활경험, 장애에 대한 지식, 부모의 양육태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장애인과의 생활경험이 높은 집단이 평균 4.38로 인식이 높았으나, p=.081로 장애인과의 생활경험과 관계없이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인식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지식은 장애지식이 높은 집단이 평균 4.48로 인식이 높았으며, 부모양육태도는 양육태도가 허용적인 부모가 평균 4.48로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합교육의 발전방향을 위하여 방법으로 역통합과 학부모 참여 수업을 제시하였다. 학부모 참여 수업은 ‘자연체험 프로그램’, ‘교육자료집’, ‘마음 이해하기’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부모 참여 수업이 평균 4.03으로 역통합보다 긍정적인 반응이 높았으며, 학부모 참여 수업 중 ‘자연체험’ 프로그램과 ‘마음이해하기’, ‘교육자료집’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통합교육의 인식과 통합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으며, 통합교육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기여할 수 있는 제언을 제시하였다.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공·사립간 연계성 분석
박효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본 연구는 공·사립간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의 연계 실태를 분석하여, 연계정도를 확인하고 연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의 연계 정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의 전반적 연계정도는 어떠한가? 셋째, 공·사립간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넷째,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의 연계강화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문헌고찰과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고찰은 관련도서와 관련논문을 참고하였다. 또한 강원도 영서지역 중 춘천시, 원주시, 홍천군, 양구군, 영월군, 정선군, 화천군 유치원을 선정하여 일선 유치원에 근무하는 공·사립유치원 교사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여 설문 항목 간 교차분석과 분산분석으로 기관유형, 교직경력, 학급연령, 유치원 규모별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 필요성을 분석한 결과 공·사립 유치원 모두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았다. 또한 교사들이 인식하는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필요성은 5점 척도로 놓고 보았을 때 4.20포인트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이를 다양한 기초변인인 교직경력, 유치원 규모, 학급연령, 공·사립별로 비교했을 때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 필요성은 기초변인에 상관없이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전반적 연계정도는 3.37포인트로 보통의 연계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유치원 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수준이 4.20포인트에 비해, 실제 이루어지는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 정도가 매우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의 공·사립별 전반적 연계정도를 비교해 본 결과 공립유치원은 3.74포인트, 사립유치원은 3.10포인트로 공립유치원이 0.64포인트 높은 연계정도를 보였다. 이 차이를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 방법의 4가지 측면인 목표, 내용 선정 및 조직, 교수-학습방법, 평가의 측면으로 나누었을 때에도 모든 경우에서 사립유치원보다 공립유치원의 연계정도가 더 높았다. 넷째, 생활주제와 관련된 체험활동 위주의 행사 선정, 행사 계획과 실행의 자율성 보장, 형식적인 행사의 종류와 수를 줄이는 방법 등이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특히 사립유치원에서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 참여 행사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제시와 교사가 유치원 교육과정과 연계된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교사들의 참여도를 높이고 교사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풍토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과정과 연계된 부모 참여 행사를 선정·실행할 수 있도록 교사들이 부모 참여 행사를 진단 및 평가해보는 시간을 마련하고, 부모 참여 행사 활동 및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of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This study is also intended to explore measures to increase the linkage.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raised. Q 1: How do the teachers perceive the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of kindergartens? Q 2: How strong is the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of kindergartens? Q 3: How ar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different in terms of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Q 4: What measures can be taken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curriculum of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To answer the questions, a literature study and survey were conducted in parallel. For the literature study, related books and research papers were used as a referenc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15 teachers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the following regions of Gangwon-do's Youngseo area: Chuncheon City; Wonju City; Hongcheon County; Yanggu County; Yeongweol County; Jeongseon County; Hwacheon Count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21.0 to conduct cross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connection with the following: institution type; teaching experience; age of students; scale of kindergart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aid the parental events should be related to their class curriculum. It is because they want the events to be educational for students. Thus, they believe the events should fit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their class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Second, the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of kindergartens scored 3.37; it indicates that the linkage is 'average.' The linkage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4.20, the level perceived to be ideal by the teachers. Thus, the actual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of kindergartens is not high. Third, when the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of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was compa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Public kindergartens scored 3.74, while private kindergartens scored 3.10. Thus, public kindergartens scored 0.64 higher,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the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The difference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following four aspects of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objectives;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teaching-learning methods; evaluation. It revealed that the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at public kindergartens was greater, compared to private kindergartens. Among the four aspects, the weakest linkage was found in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Fourth, in terms of measures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of kindergartens, the highest number of teachers chose ‘conducting activities based on real experience related to everyday lives.' It was followed by ‘ensuring the autonomy of teachers upon event planning and execution' and ‘reducing the types and number of unhelpful, formal events.' To increase the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of private kindergartens, the following are suggested. First, providing an ideal direction on the parental events. Second,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to make plans related to the curriculum of kindergartens. Third, reflecting the opinions of teachers in the planning. Fourth, examining and assessing the past parental events to select and conduct events related to the curriculum. Fifth, providing teacher training as to the parental events and curriculum reorganization.
일과 전 스포츠 활동 참여가 학교폭력 예방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일과 전 스포츠 활동’ 참여가 학교폭력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일과 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청소년기의 사회성 발달과 학교생활적응 발달, 그리고 학교폭력 감소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세 가지이다. 첫째, 일과 전 스포츠 활동(HS리그)의 주요 내용을 분석한다. 둘째, 일과 전 스포츠 활동(HS리그)의 실시 전과 실시 후에 학교폭력 가해 정도의 변화를 분석한다. 셋째, 일과 전 스포츠 활동 참여가 학교폭력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의 대상은 정규 교육과정과는 별도로 일과 전 시간에 스포츠 활동을 3년째 실시하고 있는, 강원도 W시 소재 H중학교의 스포츠 활동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전에 30여 명의 학생들과 10여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300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무성의한 기입과 누락된 자료를 제외하고 총 271부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국내 선행연구에서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사용하였던 도구들 중에서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것을 참고하여 수정하고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Window SPSS를 활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일과 전 스포츠 활동(HS리그)’의 참여가 중학교 남학생의 학교폭력 가해행동 변화, 즉 학교폭력 예방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과 전 스포츠 활동(HS리그)’ 참여는 사회성 변화(발달)와 학교생활적응 변화(발달)에도 큰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일과 전 스포츠 활동(HS리그)’ 참여가 학교폭력 예방에 미친 영향은 직접적인 결과라기보다는, 사회성 변화(발달)와 학교생활적응(발달) 변화에 의해 이루어진 2차적인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지금까지의 분석 결과 ‘일과 전 스포츠 활동(HS리그)’의 참여가 먼저 사회성 변화(발달)와 학교생활적응 변화를 가져왔고, 그 2차적인 결과로 학교폭력 가해행동 변화(학교폭력 감소), 즉 학교폭력 예방의 효과가 발생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aims to figure out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To prove this, it was analyzed that there is an influence of participating in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 on the adolescent social development, their adaptability for school life and the decrease of school violence. Also, it is suspect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bove four factors. There are three issues for this research project which helps achieve the goal of the research. The first issue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HS League). Second is to study how the number of school violence incidents has changed after running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 Last is to analyze the impact of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 on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The subject of study is the students from H Boy’s Middle School in W-si, Gangwon-do. They have joined the above mentioned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 for more than three years in addition to standardized school curriculum. Before conducting the survey, there were interviews with about 30 students and 10 teachers. About 300 sheets of questionaries were distributed for the survey. Except for unreliable and blank data, in total 271 volumes were used for the actual analysis. Some of the testing tools for the survey were customized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fter being edited and compensated for through the verification proces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in national-wide preceding research. ‘Window SPSS’ was used to process the data and analysis of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The following results came out according to those kinds of research tools mentioned above.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tion of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HS League) has an impact on the change of middle school boy’s involvement in school violence, which is,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lso, the engagement of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HS League) strongly boosts the students’ development of sociality and adaptability for their school life.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the engagement of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HS League) has caused no direct result on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It was an indirect result that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HS League) has brought after this activity initially helps develop the students’ sociability and adaptability for their school life. In other words, so far,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engagement of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HS League) first brought about the students’ development of social and adaptability for their school life. Then, as a secondary result, it helps reduce the change of middle school boy’s involvement in school violence, which is,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징검다리 모형’을 활용한 동아리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 강원도 소규모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이현선 강원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이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내 소규모 초등학교에 적용 가능한 ‘징검다리 모형’을 개발하여 동아리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소규모학교를 활성화시키는 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세 가지이다. 첫째, 강원도내 소규모학교 동아리활동 운영의 실태와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 강원도내 소규모학교 활성화를 위한 지역교육협의회 구성 및 지역사회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연계방안은 무엇인가? 셋째, 동아리활동 활성화를 위한 ‘징검다리 모형’의 효과성과 적용 가능성은 어떠한가? ‘징검다리 모형’은 교육지원청이 주관하여 지역사회와 소규모학교를 연계하는 모형이다. 교육지원청은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사회 유관기관 인사로 지역교육협의회를 구성한 후, 교육지원청 홈페이지에 지역자원간의 네트워크 및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여 소규모학교를 지원한다. 지역교육협의회는 징검다리를 밟듯이 연 4회 이상 주기적으로 소규모학교의 주요 행사에 참여하여 각 기관의 역할을 점검하고, 정보를 교환하여 소규모학교와 지속적인 지원협의와 피드백을 실시하는 운영방식이다. 모형 개발과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첫째 여러 형태의 선행 연구 문헌(관련 학회 학술지, 학위 논문, 국내?외 단행본, 관련 기관 발표 자료, 인터넷 자료 등)을 탐색하고 참조하였다. 둘째, 다양한 전문가 집단(강원대학교 교육행정 전공 박사과정 연구 모임, 2013 강원도 교원 학습연구년 연구결과 발표회, 강원도 작은학교 연구회 워크숍)을 통해 모형을 수정?보완하였다. 셋째, 강원도내 전교생수 60명 이하 소규모학교 190개교(분교 47개교 포함)에 재직하는 85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602명을 통계 처리하였다. 이러한 과정에 따른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학교에서 동아리활동 운영의 문제점은 평균값 3.62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의 소규모학교 협력과 지원 필요성은 평균값 4.0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교육지원청이 주도하여 지역교육협의회를 구성하고, 온라인 운영시스템을 운영해야한다는 설문의 응답은 평균값 3.9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소규모학교의 동아리활동이 활성화에 ‘징검다리 모형’이 기여할 것이라고 소규모학교 교사들은 평균값 3.73으로 응답하였다. 소규모학교 교사들은 ‘징검다리 모형’을 통해서 지역의 다양한 자원이 활용되어, 소규모학교와 지역사회가 함께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창의적 체험활동이 도입되고 3년이 지났지만 동아리활동 운영에 대해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이 연구에서 제안한 ‘징검다리 모형’에 관하여 비교적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인적?물적 자원의 지원과 이를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이 도입되는 것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셋째, 교사들은 ‘징검다리 모형’을 통해 현행 동아리활동 운영의 문제점과 어려움에 대한 개선 가능성을 비교적 긍정적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결국 ‘징검다리 모형’은 소규모 초등학교의 동아리활동 운영방식 개선을 계기로, 소규모학교 교육과정을 탄력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소규모학교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the model of stepping-stone which designed the support system of the club activities to stimulate the small size elementary school.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ed: First, how have been the club activities of the small size elementary school operated and what are the problems involved in it? Second, what are the strategies to make the body of educational supporting system and to develop effective community based activity programs in order to relate the body and the programs. Third, was the stepping-stone model affordable and adoptable? The stepping-stone model represents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central boards of education, the body of educational supporting system in the community, and the community resources related to supporting the small size elementary school. The stepping-stone model, in particular, is the interconnecting system between central and local educational supporting system formally and informally. Mainly the central board of education will be monitoring the club activities of the school and giving feedback regularly. Research review including various journals, articles, books, and thesis was done to develop the model. In addition, the model was revised and renewed in the way of peer review. As the final step to verify the model, the survey from 850 school teachers working in the 190 small size elementary schools in Gangwon province was conducted 602 teachers answer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identified in three areas. First, in the area of operating cell activities, the mean score was 3.63, that is, the school teachers in the survey had experience some problems to operate the school club activities. Second, in the area of the supporting system from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needs of the support, the mean score was very high as 4.06. Teachers in the survey positively recognized that systematic web monitoring system including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would be suggestable. Third, in the area of adoptability in this model to stimulate the school club activities, the mean score was 3.73. It means that the school teachers in this survey had positive expectation from the model. In conclusion, the stepping-stone model would be the alternative way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chool club activities and could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small sized elementary schools in Gangwon province. Key words : stepping-stone model, small sized elementary school, school club activities, community connection education conference, small sized school vit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