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내적 충원 교수의 학과유형별 연구 실적 차이 분석

        유훼 강원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47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faculty inbreeding means recruiting faculty members from among the graduates who graduated from the equivalent mother schools with degrees. Of those inbred faculty members, there are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scription’ and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chievement.’ Yongsoon Im(1993) presented a theoretical analysis model that could classify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place and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chievement by the level of department not by that of individuals. There are a number of methods classifying the department types, but one of the meaningful ways of investigating faculty inbreeding is to divide the types of departments by the size of faculty inbreeding rate and by that of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Yongsoon Im(1993) argued that when faculty inbreeding rates equal, the probability of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place would be higher in a department with a lower rate of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than in a department with a higher rate of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above argument by analyzing the research productivity of inbred faculty according to the department type. To achieve the purpose,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s assumed. First, what levels are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nd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by the department? Also, what types are the distribution of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nd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by the department? Second, what phases are the distributional types of departments when dividing department types based on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nd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Third, what difference is there in the research productivity of inbred faculty according to the department typ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 viewpoint of the study. This study verifies an analysis model of faculty inbreeding by analyzing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by the inbred faculty according to the department type. To provide a key to the settlement of these research questions, we mainly collect the required data by using a web database, Web of Science index and the ‘Faculty Directory of Universities in Korea’ published by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KCUE). The data are analyzed using SPSS 20.0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significance level for statistical process in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productivity by the department is p<.05. Based on the research method ab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partments with 0 of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ccording to the level of faculty inbreeding rate and that of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are 56.9%, and those with 0 of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0 are up to 60.2%. In the mean time, the departments with over 50% of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re 8.3%, and those with with over 10% of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are 1.8%. This phenomenon explicitly shows that a significant deviation in the distribution of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nd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in case of Korea. In terms of time, there is practically little change in the mean of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when the mean of the faculty inbreeding rate is decreased. Second, when classifying the departments into 4 types on the basis of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nd that of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the rate for newly?established type departments of type 4 which has simultaneously low both in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nd in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is the majority of the portion, and the rate for open?type departments of type 2 the lowest, the rates for conventional departments of type 1 and closed?type departments of type 3 are shown alike. In a stream of time for 15 years since 1990, these patterns are shown to be regular, and in terms of transitional trends, the rate for unreasonable closed?type departments of type 3 is increased and the rates for other conventional?type, open?type and newly?established type departments are relatively decreased. With a focus on the conventional type departments of type 1 and the closed?type departments of type 3 respectively with the high rate of faculty inbreeding, on the subjects of year 2005 departments such as physics, chemistry, mathematics and econom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earch productivity show that the level of the research productivity of the type 1 departments is distinctively higher than that of type 3 departments. Also, in case of the type 2 open?type departments and the type 4 newly?established type departments with the low rate of faculty inbreeding, even though the level of research productivity for the type 2 open?type departments is shown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type 4 newly?established type departments,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as for the department of chemistry, after reclassifying the department types by adjusting the mean of the rate of faculty inbreeding and the mean of the rate of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the level of research productivity for the type 2 open?type departments is shown to be higher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at of the type 4 depart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can conclude that there is a feasibility of distinguishing the two different types of faculty inbreeding between the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scription’ and the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chievement’ in a dimension of department units presented by Yongsoon Im(1993). This study empirically suggests that there is no necessity of regulating the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chievement while it is necessary to regulate the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scription, and by getting out of policy trends of regulating faculty inbreeding in one way assuming that every faculty inbreeding is connected only with ascription not with achievement as it is shown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faculty recruiting quarter system. 교수의 내적 충원(faculty inbreeding)이란 광의적으로 모교에서 학위수여 받은 졸업생을 교수로 채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내적 충원은 ‘연고성’ 내적 충원과 ‘성취성’ 내적 충원으로 분류된다.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로 임용순(1993)은 교수 개인 수준 차원이 아닌 학과 수준 차원에서 성취성 내적 충원과 연고성 내적 충원을 구분해낼 수 있는 이론적 분석모형을 제시한 바 있다. 교수 충원에 따른 학과 유형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교수의 내적 충원을 의미 있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학과의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의 크기에 따라 학과를 유형화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는 내적 충원이 동일한 수준이라면 외적 공급률이 낮은 학과가 외적 공급률이 높은 학과보다 연고성 내적 충원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임용순(1993)의 주장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주장의 타당성을 내적 충원 교수의 연구 실적을 학과유형별로 분석함으로써 검증해 보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의 세 가지 차원으로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 교수의 학과별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율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그리고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의 학과별 분포는 어떠한 형태를 보이는가? 둘째, 학과의 유형을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을 기준으로 네 가지로 구분할 때 학과의 유형별 분포는 어떠한 모습을 나타내는가? 그리고 이러한 분포는 시간적(1990년-2005년) 흐름 속에서 얼마나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는가? 셋째, 내적 충원 교수의 연구 실적은 학과유형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는 주로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발행한 『국·공립대학교원명부』와 웹 데이터베이스인 Web of Science 색인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그리고 자료 통계처리는 SPSS 20.0을 이용하였다. 학과유형별 연구 실적 분석할 때 통계처리의 유의수준은 p<.05의 수준을 적용하였다. 세 가지 차원의 연구방법에 따른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의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 수준을 분석한 결과 내적 충원률이 0(zero)인 학과는 전체학과의 56.9%, 외적 공급률이 0(zero)인 학과는 전체학과의 60.2%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내적 충원률이 50% 이상인 학과는 전체학과의 8.3%로 나타났으며 외적 공급률이 10% 이상인 학과는 전체학과의 1.8%를 차지했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의 경우 교수의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에 있어서 쏠림현상이 있음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한편 평균 내적 충원률은 감소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반해 평균 외적 공급률이 거의 변화가 없었다. 둘째, 교수의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을 기준으로 학과를 4개 유형으로 구분하였을 때, 전체분포 중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이 동시에 낮은 <유형 Ⅳ>의 신설형 학과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유형 Ⅱ>의 개방형 학과가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형 Ⅰ>의 전통형 학과와 <유형 Ⅲ>의 폐쇄형 학과의 비율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1990년 이후 15년 동안 이러한 패턴들이 일정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변화 경향으로는 바람직하지 않은 <유형 Ⅲ>의 폐쇄형 학과의 비율이 증가한데 비해서 그밖에 다른 전통형, 개방형, 신설형 학과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적 충원률이 높은 <유형 Ⅰ>의 전통형 학과와 <유형 Ⅲ>의 폐쇄형 학과의 경우 2005년도를 기준으로 물리학과, 화학과, 수학과, 그리고 경제학과를 대상으로 한 내적 충원 교수의 연구 실적을 분석한 결과, <유형 Ⅰ>의 전통형 학과의 연구 실적 수준이 <유형 Ⅲ>의 폐쇄형 학과의 연구 실적 수준보다 뚜렷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 충원률이 낮은 <유형 Ⅱ>의 개방형 학과와 <유형 Ⅳ>의 신설형 학과의 경우, <유형 Ⅱ>의 개방형 학과의 연구 실적 수준이 <유형 Ⅳ>의 신설형 학과의 연구 실적 수준보다 높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다만, 화학과의 경우 평균 내충률과 평균 외공률을 바탕으로 하여 유형별 분포가 덜 편포되도록 조정하여 분석한 결과 <유형 Ⅱ>의 개방형 학과의 연구 실적 수준이 <유형 Ⅳ>의 신설형 학과의 연구 실적 수준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임용순(1993)이 제시한 내적 충원의 두 가지 형태인 ‘연고성’ 내적 충원과 ‘성취성’ 내적 충원을 학과단위 차원에서 구분하여 연구되어야 한다는 당위성이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교수임용 쿼터제도 도입의 필요성에 대한 재확인의 기회가 되었다. 지금까지 내적 충원을 모두 연고성 내적 충원으로 가정하고 그것을 일방적으로 규제하려는 정책적 시도에서 벗어나, 연고성 내적 충원은 규제하되 성취성 내적 충원은 규제할 필요가 없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강원도 화천군의 폐교사례 분석을 통한 활용개선 방안 연구

        박병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find effective and efficient ways to utilize closed school facilities. To achieve this purpose, I analyzed eight different closed school facilities cases in terms of selling, renting and using. To gather more information,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interested parties, such as Hwacheon Office of Education officers, Hwacheon elected officials, resident representatives, and school facility user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methods, there were three findings as follows: First, the interested parties need to change their views on closed school facilities. More specifically, the old view that closed school facilities are judged only by their economic value should be changed to a new view that closed school facilities are still educational facilities. Second, a task force team composed of interested parties?tentatively named the Closed School Facilities Preparation Committee?should be established and managed in order to plan how to best utilize the facilities in question. Third, a new system should be developed to maintain the facilities, create more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he interested parties, provide the users of the facilities with more useful information, and distribute a variety of information on the facilities to potential users. In conclusion, in order to promote the use of closed school facilities, interested parties should change their view so that they can see them as educational facilities. Such a new perspective can be spread and reinforced through a task force team consisting of interested parties. The more we generate a positive perspective on closed school facilities, the more such facilities will be utilized as valuable educational facilities. Once this proposed system is introduced, we would be able to optimize the potential of closed school fac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화천군의 8개 폐교를 대상으로 사례를 분석하고 폐교운영 관련이해 당사자들의 심층면접을 통해서 효율적인 활용개선 방안을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화천군 여덟 곳의 폐교를 매각, 임대 및 대부, 자체활용 등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사례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폐교와 관련된 이해 당사자인 교육지원청 공무원, 군청 담당공무원, 마을대표인 이장과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폐교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폐교와 연관이 있는 이해 당사자들인 담당 공무원, 마을주민과 사용자들이 폐교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필요함을 깨닫게 되었다. 지금까지 폐교활용에 관해서 우리는 주로 경제적 관점으로 접근했었다. 폐교를 경제적 가치로만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외부적으로는 학교의 문이 닫힌 것이지만 내부적으로는 교육적 기능이 계속 살아 있는‘열린 학교’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둘째, 폐교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갖기 위해서는 폐교와 관련된 공무원들과 지역주민들이 폐교 활성화에 대해 서로 협의하고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의사 결정 기구가 필요하다. 향후 폐교가 발생하는 시점에서 교육지원청이 주관이 되어 지방자치단체와 마을주민, 학부모 등 이해 당사자들로 구성된 가칭‘폐교운영위원회’를 구성하여 폐교에 대한 문제점을 개진하고 소통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폐교운영위원회를 설치하여 폐교와 관련된 이해 당사자간에 효율적인 폐교관리, 활용방안 및 갈등해결 방안이 해결 되었다고 끝나는 것은 아니다. 폐교는 지역여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다양한 활용방안들을 생각할 수 있다. 교육적 기능이 살아있는 폐교에 볼거리, 먹거리, 놀이거리가 있고 재미가 있는 시설이라든지 체험활동을 할 수 있는 곳이라면 더 좋은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폐교를 이용한 경제적 이득을 내기 위해서는 산학협력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제 폐교는 없어진 학교가 아니라 살아있는 학교로서 우리에게 좋은 것들을 제공하는 아름답고 추억이 있는 장소로 탈바꿈할 때가 왔다고 판단된다. 앞으로 폐교에 대한 변수들이 많기에 지속적으로 관리해야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의 문제점들이 발생할 때 그 문제점들을 잘 해결하기 위해서 이해 당사자간의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제도적 장치는 폐교를 활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는 좋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폐교에 대한 정보를 통해서 폐교에 대한 홍보의 역할을 하기도 할 것이다.

      • New Terrorism과 한국의 대응방안

        박광은 성균관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most clear difference of the 'neo-terrorism' distinguished from the traditional one is its simultaneous and multi-occurring mass-destructions using Nuclear, Biological and Chemical(NBC) weapons and its classified objects and purpose. However, the trend that the terrorism adapts itself to the irregular warfare and the fact that the anti-coalition terrorists in the Irag keep terrorize on US military resolutely and damaging successfully show us that the terrorism is continuously evolving itself in the indefinite pattern. After the 9.11 terror and the War on Iraq, hegemony of US has led ROK to take part in the international conflict as an inspector and to enlarge the role and the size of the military in the conflict region, which immediately raised the high level of threat to the koreans and legations internally and externally by being a target of terror. 'Neo-terrorism' occurs in the big cities. Most of the terror doesn't occur in rural areas, but in the big city and urban area targeting civilians, policemen, military, valuable facilities and diplomatic legations etc.. The threat of 'neo-terrorism' in ROK appears in various ways attribute to the globalization, and urbanization. This statement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population of Seoul which reaches up to 10,000,000, and the links of terrorists became very facilitative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with higher speed, automated system controlling people's living and even complicated military communication systems. Bi-functional high story building is rising in the downtown area and multi-functional facilities such as super-stores (malls) and travel terminals are keep expanding its size and compositions. Thus, current downtown area in Seoul possesses many valuable targets to the the terrorists. Despite the current situation of Seoul and governmental trial of anti-terror drill and bring in and passing the bill of preventing terror, preparation for the possible outbreak is at the very low level due to the security frigidity and wide spread individualism. Korean counter-terrorism policy is well developed compare to that of other countries because of the various experiences from DPRK's terror attempt against ROK for the past 50 years. Still, considering the new threat of evolving "neo-terrorism" in the world, it is necessary for us to estimate our responding capability thoroughly. In conclusion, for ROK's situation to defend itself from the terror of DPRK and other hostile countries, it is very necessary to permanently coordinate and organize professional agencies based on a 'joint threat management system.' Through this process, terror related organizations in each fields, such as military, police, fire-department, medical-services will do their job effectively in combined manner to carry out 'crisis controling act' including mitigation, prevention, response, and restoration. From the legal point of view, the National Assembly must bring in and pass the bill of controlling and preventing terror by prohibiting any possible environment for the outbreak and we should use it as a basic keynote for the prevention law of terror. Finally, for the matter of reporting any related issue on terror by domestic and foreign mass-media, we should make mass-media do the self-inspection by the law, and we should construct an organic relationship and maintain a joint corresponding system and public information by signing in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related to the terrorism.

      • 일과 전 스포츠 활동 참여가 학교폭력 예방에 미치는 영향

        김진수 강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일과 전 스포츠 활동’ 참여가 학교폭력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일과 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청소년기의 사회성 발달과 학교생활적응 발달, 그리고 학교폭력 감소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세 가지이다. 첫째, 일과 전 스포츠 활동(HS리그)의 주요 내용을 분석한다. 둘째, 일과 전 스포츠 활동(HS리그)의 실시 전과 실시 후에 학교폭력 가해 정도의 변화를 분석한다. 셋째, 일과 전 스포츠 활동 참여가 학교폭력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의 대상은 정규 교육과정과는 별도로 일과 전 시간에 스포츠 활동을 3년째 실시하고 있는, 강원도 W시 소재 H중학교의 스포츠 활동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전에 30여 명의 학생들과 10여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300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무성의한 기입과 누락된 자료를 제외하고 총 271부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국내 선행연구에서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사용하였던 도구들 중에서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것을 참고하여 수정하고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Window SPSS를 활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일과 전 스포츠 활동(HS리그)’의 참여가 중학교 남학생의 학교폭력 가해행동 변화, 즉 학교폭력 예방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과 전 스포츠 활동(HS리그)’ 참여는 사회성 변화(발달)와 학교생활적응 변화(발달)에도 큰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일과 전 스포츠 활동(HS리그)’ 참여가 학교폭력 예방에 미친 영향은 직접적인 결과라기보다는, 사회성 변화(발달)와 학교생활적응(발달) 변화에 의해 이루어진 2차적인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지금까지의 분석 결과 ‘일과 전 스포츠 활동(HS리그)’의 참여가 먼저 사회성 변화(발달)와 학교생활적응 변화를 가져왔고, 그 2차적인 결과로 학교폭력 가해행동 변화(학교폭력 감소), 즉 학교폭력 예방의 효과가 발생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aims to figure out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To prove this, it was analyzed that there is an influence of participating in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 on the adolescent social development, their adaptability for school life and the decrease of school violence. Also, it is suspect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bove four factors. There are three issues for this research project which helps achieve the goal of the research. The first issue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HS League). Second is to study how the number of school violence incidents has changed after running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 Last is to analyze the impact of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 on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The subject of study is the students from H Boy’s Middle School in W-si, Gangwon-do. They have joined the above mentioned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 for more than three years in addition to standardized school curriculum. Before conducting the survey, there were interviews with about 30 students and 10 teachers. About 300 sheets of questionaries were distributed for the survey. Except for unreliable and blank data, in total 271 volumes were used for the actual analysis. Some of the testing tools for the survey were customized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fter being edited and compensated for through the verification proces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in national-wide preceding research. ‘Window SPSS’ was used to process the data and analysis of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The following results came out according to those kinds of research tools mentioned above.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tion of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HS League) has an impact on the change of middle school boy’s involvement in school violence, which is,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lso, the engagement of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HS League) strongly boosts the students’ development of sociality and adaptability for their school life.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the engagement of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HS League) has caused no direct result on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It was an indirect result that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HS League) has brought after this activity initially helps develop the students’ sociability and adaptability for their school life. In other words, so far,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engagement of ‘before-school sports activities’(HS League) first brought about the students’ development of social and adaptability for their school life. Then, as a secondary result, it helps reduce the change of middle school boy’s involvement in school violence, which is,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공·사립간 연계성 분석

        박효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공·사립간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의 연계 실태를 분석하여, 연계정도를 확인하고 연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의 연계 정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의 전반적 연계정도는 어떠한가? 셋째, 공·사립간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넷째,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의 연계강화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문헌고찰과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고찰은 관련도서와 관련논문을 참고하였다. 또한 강원도 영서지역 중 춘천시, 원주시, 홍천군, 양구군, 영월군, 정선군, 화천군 유치원을 선정하여 일선 유치원에 근무하는 공·사립유치원 교사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여 설문 항목 간 교차분석과 분산분석으로 기관유형, 교직경력, 학급연령, 유치원 규모별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 필요성을 분석한 결과 공·사립 유치원 모두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았다. 또한 교사들이 인식하는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필요성은 5점 척도로 놓고 보았을 때 4.20포인트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이를 다양한 기초변인인 교직경력, 유치원 규모, 학급연령, 공·사립별로 비교했을 때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 필요성은 기초변인에 상관없이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전반적 연계정도는 3.37포인트로 보통의 연계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유치원 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수준이 4.20포인트에 비해, 실제 이루어지는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 정도가 매우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의 공·사립별 전반적 연계정도를 비교해 본 결과 공립유치원은 3.74포인트, 사립유치원은 3.10포인트로 공립유치원이 0.64포인트 높은 연계정도를 보였다. 이 차이를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 방법의 4가지 측면인 목표, 내용 선정 및 조직, 교수-학습방법, 평가의 측면으로 나누었을 때에도 모든 경우에서 사립유치원보다 공립유치원의 연계정도가 더 높았다. 넷째, 생활주제와 관련된 체험활동 위주의 행사 선정, 행사 계획과 실행의 자율성 보장, 형식적인 행사의 종류와 수를 줄이는 방법 등이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특히 사립유치원에서 부모 참여 행사와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 참여 행사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제시와 교사가 유치원 교육과정과 연계된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교사들의 참여도를 높이고 교사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풍토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과정과 연계된 부모 참여 행사를 선정·실행할 수 있도록 교사들이 부모 참여 행사를 진단 및 평가해보는 시간을 마련하고, 부모 참여 행사 활동 및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of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This study is also intended to explore measures to increase the linkage.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raised. Q 1: How do the teachers perceive the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of kindergartens? Q 2: How strong is the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of kindergartens? Q 3: How ar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different in terms of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Q 4: What measures can be taken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curriculum of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To answer the questions, a literature study and survey were conducted in parallel. For the literature study, related books and research papers were used as a referenc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15 teachers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the following regions of Gangwon-do's Youngseo area: Chuncheon City; Wonju City; Hongcheon County; Yanggu County; Yeongweol County; Jeongseon County; Hwacheon Count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21.0 to conduct cross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connection with the following: institution type; teaching experience; age of students; scale of kindergart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aid the parental events should be related to their class curriculum. It is because they want the events to be educational for students. Thus, they believe the events should fit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their class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Second, the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of kindergartens scored 3.37; it indicates that the linkage is 'average.' The linkage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4.20, the level perceived to be ideal by the teachers. Thus, the actual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of kindergartens is not high. Third, when the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of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was compa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Public kindergartens scored 3.74, while private kindergartens scored 3.10. Thus, public kindergartens scored 0.64 higher,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the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The difference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following four aspects of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objectives;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teaching-learning methods; evaluation. It revealed that the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at public kindergartens was greater, compared to private kindergartens. Among the four aspects, the weakest linkage was found in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Fourth, in terms of measures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of kindergartens, the highest number of teachers chose ‘conducting activities based on real experience related to everyday lives.' It was followed by ‘ensuring the autonomy of teachers upon event planning and execution' and ‘reducing the types and number of unhelpful, formal events.' To increase the linkage between parental events and class curriculum of private kindergartens, the following are suggested. First, providing an ideal direction on the parental events. Second,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to make plans related to the curriculum of kindergartens. Third, reflecting the opinions of teachers in the planning. Fourth, examining and assessing the past parental events to select and conduct events related to the curriculum. Fifth, providing teacher training as to the parental events and curriculum reorganization.

      • 유치원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분석

        김지원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Integrated education means to educate the special education subjects in general schools for the normal development of social ability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or temporarily to make the students who are in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participate for education into the curriculum of general schools. By Kim Hyeon-sook(2001), integrated education reduces the negative perception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it can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recognition of the diversity and the disabled through recognizing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other. And, by Kim Eun-kyeong(2008), parents' perception on the disabled and the integrated education affects directly to the childre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needs of parents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correct integrated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arents' percep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of kindergarten based on the empirical data through questionnaires to parents of integrating kindergartens that integrated education are made and general kindergartens around Chuncheon City, Kangwon Province.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is study set up research problems as follows: First, which level is the percep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Third, after finding ou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cceptance of recognition of integrated education, what i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that can activate the integrated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wo kindergartens where integrated education were conducted among public kindergartens and four general kindergartens in Chuncheon City, Kangwon Province were selected. To them survey questionnaires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were distributed, and they were recovered and analyzed. SPSS 22 statistics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and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post-hoc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thre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sis of parents' perception on integrated education, comprehensive percep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showed a very high level of recognition to the average 4.21. Also, the result of analysis by ques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decrease of preoccupation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was the highest average 4.33, social development of normal children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understanding of the need for integrated education,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were next in order. In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research subjects, men than women, less than age 30, in education more than junior college graduation, children less than two people, in economic power more than 3 million won per month, presence than absence in case of presence or absence of acquaintances, were higher recognition. Also, in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kindergarten, integrating kindergarten of an average of 4.37 was higher than general kindergarten in percep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Second,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erception and related variables was analyzed by separation of life experienc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knowledge of disability, parents' rearing attitudes. Although group that had higher life experienc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a higher average of 4.38, but with p=.081, regardless of life experienc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ercep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showed high. In disability knowledge, group that had higher disability knowledge had a higher recognition of average of 4.48, in parents' rearing attitudes, permissive parents was average of 4.48, it showed a higher percep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Third, as the way to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integrated education, this researcher proposed the reverse integration and parents involvement class. Parents involvement class was analyzed into three division such as 'nature experience program,' 'education materials,' 'understanding heart.' As a result, parents involvement class was average of 4.03, its positive response was higher than the reverse integration, in parents involvement class 'nature experience program,' 'understanding heart.' 'education materials' are in order. Based on this analysis, perception of integrated education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integrated education were proposed, and proposal that can contribut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education was suggested. 통합교육이란 특수교육 대상자의 정상적인 사회적 능력의 발달을 위하여 일반학교에서 특수교육 대상자를 교육하거나, 특수교육 기관의 재학생을 일반학교의 교육과정에 일시적으로 참여시켜 교육하는 것을 말한다. 김현숙(2011)에 의하면, 통합교육이 장애아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감소시키며, 서로에 대한 차이점을 인식하여 다양성과 장애에 대한 인식의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김은경(2008)은 부모의 장애 및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자녀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올바른 통합교육을 위해서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시를 중심으로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는 통합유치원과 일반유치원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자료를 바탕으로 유치원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조사를 목표로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의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인식은 어느 수준인가? 둘째,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통합교육의 인식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통합교육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발전방향은 무언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원도 춘천시의 공립유치원 중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2곳과 일반유치원 4곳을 선정하여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인식조사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2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통계분석은 빈도분석, 분산분석, 사후분석을 이용하였다. 세 가지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종합적인 인식은 평균 4.21로 매우 높은 인식 수준을 보였다. 또한,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문항별 분석 결과, 통합교육을 통한 선입견 감소가 평균 4.33으로 가장 높았으며, 통합교육을 통한 일반아동들의 사회성 발달,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 통합교육의 통한 장애아동들의 의사소통능력 발달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인식은 남자보다 여자가, 연령은 30대 미만, 학력은 전문대 졸업 이상, 자녀는 두 명 이하, 경제력은 300만원 이상, 장애지인 유무는 지인이 있는 경우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의 유형에 따른 인식은 통합유치원이 평균 4.37로 일반유치원보다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둘째, 학부모의 인식과 관련변인과의 관계 분석은 장애인과의 생활경험, 장애에 대한 지식, 부모의 양육태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장애인과의 생활경험이 높은 집단이 평균 4.38로 인식이 높았으나, p=.081로 장애인과의 생활경험과 관계없이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인식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지식은 장애지식이 높은 집단이 평균 4.48로 인식이 높았으며, 부모양육태도는 양육태도가 허용적인 부모가 평균 4.48로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합교육의 발전방향을 위하여 방법으로 역통합과 학부모 참여 수업을 제시하였다. 학부모 참여 수업은 ‘자연체험 프로그램’, ‘교육자료집’, ‘마음 이해하기’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부모 참여 수업이 평균 4.03으로 역통합보다 긍정적인 반응이 높았으며, 학부모 참여 수업 중 ‘자연체험’ 프로그램과 ‘마음이해하기’, ‘교육자료집’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통합교육의 인식과 통합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으며, 통합교육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기여할 수 있는 제언을 제시하였다.

      •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중등직업교육 개선 연구 : 건축과 사례를 중심으로

        김기청 강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중등직업교육 개선 연구 - 건축과 사례를 중심으로 - 김 기 청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이 연구는 우리나라 중등직업교육의 변천사를 알아보고 현행 고교 단계 직업교육의 현황과 추진 정책을 통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도입배경과 그 간 개발 및 추진된 정책 방향을 고찰한다. 여기서, NCS 시범운영 학교의 사례를 통해서 제기된 전반적인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 중 2016학년도부터 전국의 마이스터고, 특성화고에 전면 도입되는 NCS 기반 중등직업교육과정 개발 단계에서 최우선적으로 중요시 되는 문제점에 대하여 건축과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과제는 다음 4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및 활용의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를 진단한다. 둘째, 2009 개정 건축시공 관련 교과와 NCS 건축시공 관련 실무과목간의 연관성을 비교?분석한다. 셋째, 2009 개정 건축시공 관련 교과의 내용요소와 NCS 건축시공 관련 실무과목 능력단위간의 연관성을 비교?분석한다. 넷째, 2009 개정 건축시공 관련 교과의 성취기준과 NCS 건축시공 관련 실무과목 수행준거간의 연관성을 비교?분석한다. 위와 같은 연구문제의 결과를 얻기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및 중등직업교육과 관련된 문헌, 연구논문, NCS 시범운영 학교교 담당교사와의 면담 등의 자료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대부분이 최근 2년간에 개발되었으며 전문가 구성 및 관리의 부실함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의 질적인 문제와 과다한 예산 지출, 교육과정 개발상의 모순점이 제기 되었다. 둘째, 2009 개정 건축시공 관련 교과와 NCS 건축시공 관련 실무과목간의 미연관성(6개교과, 46%)이 제기된다. 셋째, 2009 개정 건축시공 과련 교과 내용요소와 NCS 건축시공 관련 실무과목 능력단위간의 미연관성(24/59, 40.7%)이 제기된다. 넷째, 2009 개정 건축시공 관련 교과 성취기준과 NCS 건축시공 관련 실무과목 수행준거간의 연관성은 단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능력단위를 요구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중등직업교육과정 개발에 다음과 같은 정책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중등직업교육과정 도입 전에 NCS 시범운영 학교에서 자체 개발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자료의 충분한 검토·반영을 해야 한다. 또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중등직업교육의 단계적인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기존 건축시공 관련 교과와 미연관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건축시공 관련 실무과목의 교육현장 적용의 문제점 및 타당성 검토를 해야 한다. 셋째, 기존 건축시공 관련 교과 내용요소와 NCS 건축시공 관련 실무과목 능력단위간의 미연관된 능력단위의 교육과정 개발?적용에 있어 충분한 검토를 해야 한다. 넷째, 기존 건축시공 관련 교과 성취기준과 NCS 건축시공 관련 실무과목 수행준거간의 연관성에서 제기된 단계적인 높은 수준의 능력단위를 요구하므로 반복, 발전의 교수·학습을 통한 상위수준 능력단위의 교수·학습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정책 제언이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중등직업교육 개발과정에 반영되어 2016년부터 전면 도입되는 한국형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성공적인 도입·정착이 이루어지길 바라는 바이다. ASTRACT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Based on NCS - Focused on the Case of Architecture Department - Kim, Gi Cheong Major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doption background through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current high-school level job education and policy, and previous development and achievement and policy direction. In this study, I analyze proposed problems through the case of NCS model school and deal with the most important problems focused on the architect subject in the development stage of NCS adopted at every vocational school and meister school from 2016. Therefore, The assignmen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on following 4 factors. First, analyz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CS and diagnose the problem. Second, compare and analyze the connection between construction work of 2009 revised curriculum and competency unit of NCS architect subjects. Third, compare and analyz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ent factors of construction work subject of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competency uni of NCS architect subject. Fourth, compare and analyze the connection between the achievement standard of 2009 revised architect subjects and performance criteria of NCS architect subject. To ge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oblem, I got following results through NCS and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nd literatures, thesis and the interview with the teacher of the NCS model school. First, most of NCS has been developed for 2 years recently and qualitative part of NCS, excessive budget expense and the contrariety of curriculum development have been controversial. Second, the disconnection between 2009 revised construction work and NCS construction is proposed. Third, the disconnection between the content factors on the 2009 revised construction work and the competency unit on NCS construction work. Fourth, the connection between the achievement standard of 2009 revised construction work and the performance criteria on NCS construction work demand higher level competency unit by stage. Therefore, I propose following policy about NCS based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on base of research results. First, The self-developed curriculum and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of NCS model school should be reviewed and applied after enough consideration. Also, NCS based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needs to be adopted by stage. Second, the problems and the validity on the real application of the present construction work and disconnected construction work should be reviewed. Third,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n the disconnected competency unit the content factors of present construction work and NCS construction work competency unit should be reviewed. Fourth, the performance criteria of the present construction work and high level competency unit proposed in the connection of NCS construction work should be demanded by stage. Therefor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high level competency unit through the enough repetition in low level competency unit should be needed. I hope the policy proposal of NCS based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process proposed on the base of the research result is considered and the korean style NCS will be adopted and applied successfully from 2016.

      • 사립전문대학 학생 자원 확보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김진욱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사립전문대학의 학생 자원 확보에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0년 후인 2020년경 학령인구가 급속도로 감소하며 입학자원 감소와 미충원인원의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예측 결과를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듯이 전문대학의 학생 자원의 확보의 미래는 어려움의 연속일 것이다. 또한 학생 이 납부한 등록금에 의존이 높은 사립대학의 특성상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 학생 자원 확보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연구의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사립전문대학의 학생 자원 확보 수준은 어느 정도 인가? 둘째, 학생 자원 확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학생 자원 확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학알리미 공식 홈페이지에서 수집한 2015년 공시자료를 근거를 토대로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의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전문대학의 학생 자원 확보의 수준을 대변하는 신입생 충원율과 재학생 충원율의 평균값은 각각 98.41%, 107.28%로 나타났다. 신입생 충원율이 100%를 충족하는 전문대학의 수는 79개교 충족하지 못한 대학의 수는 50개교로 나타났다. 또한 재학생 충원율이 100%를 넘는 전문대학의 수는 92개교 37개교로 타나났다. 둘째, 학생 자원 확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구성한 모형 I ,Ⅱ,Ⅲ에서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수 1인당 학생 수, 취업률, 학생 1인당 교육비로 나타났으며 교수 1인당 학생 수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다. Barro(1999)는 선행연구에서 교수 1인당 학생 수를 경제 성장의 원인분석을 위한 국가 간 실증분석에서 교육의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대리변수로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과 학생 자원 확보율 향상을 높이는 가능성을 시사 하바 있었다. 일반적으로 교수 1인당 학생 수가 적을수록 교원과 학생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교육이 내실 있게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 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학생 자원 확보율을 위하여 경쟁력 있는 전문대학을 희망하는 각 대학에서 교수 1인당 학생수와 관련하여 개선의 여지를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전문대학은 전임교수 1인당 학생 수를 낮출 수 있는 개선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현재 입학자원 감소에 대응하는 전략의 하나로 대학의 예산을 감축한다는 명분의 전임교원을 가능한 한 임용하지 않으려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연구 결과에서도 살펴보듯이 오히려 학생 자원 확보에 어려움을 가속화 할 것이다. 지속적으로 전임교원을 가능한 한 임용하려 하지 않는다면 전문대학의 경우에는 생존가능성은 지속적으로 희미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취업률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 2015년 기준 전문대학의 취업률(국·공립포함)은 평균 67.8%, 4년제 대학의 64.5% 대비하여 3.3%높게 나타났다. 전문대학의 설립 취지는 전문 인력인 양성에 목표에 있음을 비추어 볼 때 전문대학의 취업률 향상 방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정부는 취업률에 효과적이라고 실증된 교육지표들을 사용하여 대학을 지원하고 그 지표를 얼마나 달성했는지에 대한 평가를 해야 할 것이다. 실증적 분석 없이 지표를 사용하여 재정지원을 확대 실시하기 보다는 취업률의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된 지표에 집중하여 재정을 지원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affecting factors on securing students resources of private junior colleges. As we can see from the predictiv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2020 ten years later the school-age population will decline rapidly, admission resources will decrease, so it will have difficulties in filling of students, the future of securing students resources of the junior colleges will be a series of difficulties. Also, because of the nature of private colleges of highly dependent on tuition fees paid by students, there is a need to identify the factors in securing students resources for sustainable operation. To this end the problems of the study are set as follows: First, which level is the securing students resources of the private colleges? Second, what a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ecuring students resources? Third, what are the plans for improv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ecuring student resourc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on the basis of the 2015 disclosure data being collected on the University Official Website Alerts, frequenc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utiliz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for the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freshmen filling ratio and students filling ratio which represents the level of securing students resources of private junior colleges appeared to 98.41 percent, 107.28 percent, respectively. The number of junior colleges that meets the 100% in freshmen filling ratio was 79 colleges, the number that does not meet the 100% was 50 colleges. Also, the number of junior colleges that exceeds 100% in students filling ratio appeared 92 colleges, the number that does not exceed appeared 37 colleges. Second, in configured models I, Ⅱ, Ⅲ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securing students resources, commonly affecting variables appeared students per professor, employment rate, education costs per student, and students per professor affected most significantly. Barro(1999), in previous research, used the number of students per professor as a surrogate indicating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empirical analysis between countries for the analysis of economic growth, through this he suggested the possibil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o raise improving of the ratio of securing students resources. In general, the smaller number of students per professor, this allows clos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likelihood be higher that makes education be made substantial. Therefore, in each college wishing to competitive colleges in order to secure students resources ratio, we will be able to see at a room for improvement in relation to the number of students per professor. Third, junior colleges should provide improvement measures to lower the number of students per 1 full-time professor. Now, colleges do not want appoint a full-time faculty as possible as one of the strategies that respond to reduced admission resources in the name of cutting the budget of college. However, as we have seen in the study, this would rather speed up the difficulties in securing students resources. If colleges do not want appoint a full-time faculty as possible continuously, survivability is expected to be continuously dimmed in case of junior colleges. In addition, colleges must have a continuous interest in order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In 2015, the employment rate of junior colleges (including national and public) was an average of 67.8 percent, it was 3.3% higher compared to the 64.5% of four-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light of the goal of which the establishment spirit of the junior college is training of experts, colleges will continue to have an interest in improving employment measures. The government will have to support colleges by using educational indicators that demonstrated to be effective in employment rate and will have an evaluation of how much achieve those indicators. Rather than expansion of financial support by using without empirical indicators, it will be effective for financial support focusing on the indicators that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termination of the employment 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