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건설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구정서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2003년 8월, 인천광역시는 송도?영종?청라등 3개 지구가 인천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후 최근 경제자유구역 개발을 본격화하고 있으며, 경제자유구역 개발에 따른 연결도로 및 인천대교 건설 등 SOC사업과 도시균형 발전을 위한 도시개발 및 도시재생 사업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인천의 산업구조와 향후 예정된 대규모 건설사업 등을 고려할 때 인천지역 건설산업이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생산 및 고용유발효과가 크고 지역경제의 성장동력인 건설산업을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고 지역경제 기반산업으로 육성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인천광역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3대 개발사업을 중점으로 투입비용을 계산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한 지역의 산업이나 업종이 한 단위 증가하였을 경우 직?간접적으로 자기 지역과 타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투입 산출 모형을 활용하였다.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은 28개 산업분야를 대상으로 인천, 서울?경기, 그 외 지역 등 3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생산유발효과와 고용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등을 분석하였다.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3대 개발사업에 대해 2003년부터 2020년까지 총 195조 4,279억원을 투입한 결과 생산유발효과는 383조 8,204억원, 고용유발효과는 316만 4천명, 취업유발효과는 363만 4천명 등의 경제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인천지역 건설업체의 관내 평균수주율(23.3%)을 감안하면 인천지역의 생산유발효과는 64조 7,503억원, 고용유발효과는 60만 8천명, 취업유발효과는 67만명 등의 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적으로 인천광역시의 3대 개발사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며, 생산유발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건설산업을 우선 육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 복합상업시설 활성화를 위한 테넌트요인 중요도분석

        이호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복합상업시설은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들이 이용하는 상업 시설이다. 복합상업시설은 1990년대 국내 최초의 복합상업시설이 나타난 이후 변화해가는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형태가 변화해왔다. 복합상업시설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스타필드를 시작으로 하는 제5세대 복합상업시설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시점이다. 기존 복합상업시설에 대한 중요도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어왔으나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요소를 다각화 하거나 과거 시설을 기준으로 진행된 연구가 많다. 본 연구는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복합상업시설 활성화요인으로 꼽히는 테넌트요인에 집중하여 최신 복합상업시설의 경향을 반영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본 연구는 최신 복합상업시설을 연구하는 다양한 사람들에게 중요한 활성화 요인을 재점검하고 이를 운영,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 될 것이다. 활성화 요인의 우선순위를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지는 AHP 설문지로 구성되었으며 설문지는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습니다. 분석결과 최상위 활성화 요인인 멀티플렉스의 강세는 변화 없으나 최신 경향의 체험, 문화시설이나 대규모 프랜차이즈가 아닌 특색있는 식음브랜드의 순위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제5차 복합상업시설의 연구와 개발에 대하여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참고자료가 될 것을 기대하며, 그 동안 최신 경향을 반영하지 못한 복합상업시설의 변화된 요소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이 논문이 그에 대한 주춧돌이 되었으면 한다. The multi-complex commercial facility is that is used by various classes of consumer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first commercial complex in Korea in the 1990s, the commercial complex has continuously changed in shape reflecting the changing needs of consumers. Research on the commercial complex has been going on, but research on the fifth generation commercial complex, starting with Starfield, is lacking.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importance of existing commercial complexes. However,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basis of past facilities or diversification of factor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tenant factors,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activating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in various previous researches, and reflect the tendency of the latest commercial complexe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will be provided as a basis for re - examining the important activation factors for various people studying the latest commercial complexes, and operating and developing them. To investigate the priority of activation facto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HP questionnaires. As a result, we can see that the strength of multiplex, which is the top activating factor, has not changed, but the ranking of distinctive food and beverage brands has increased rather than experience of new trends, culture facility or large franchis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reference material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5th commercial complex, and in the meantime, in-depth research on the changed elements of the commercial complex that does not reflect the latest trend I hope that this paper will be the cornerstone for this.

      • 경기도 인구구조에 따른 주택수요 추정

        심보람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order to resolve the incongruity of supply and demand of each local areas, the estimation of local demand on housing should be correctly conducted. However, the government is estimating the local demand on housing only at the level of city and province without consider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making it difficult to figure out objectively the appropriate demand on housing and capability of supply by each cities and provinces.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housing in Gyeonggi province, and estimate the scale of long-term supply and demand on housing using M-W model, by which to suggest the index for building the housing policy of Gyeonggi province and the housing index.The spatial range of this study was targeted on 31 cities and counties, and the temporal range was assumed on 14 years from 2007 to 2020. As for the content range, the local demand on housing was estimated considering income and housing cost, and the demand on housing in the whole Gyeonggi province was estimated based on the change of population composition by age, and the assumption on housing cost and income. As a consequence of this study, the demand on housing in Gyeonggi province was shown as high from over 50 years old, and beyond the age group of the highest demand, the demand on housing was maintained to the substantial degree until the age group over 80 years old.As a prospect for the demand on housing based on the M-W methodology, Gyeonggi province was showing the demand on housing over 1,080 thousands of households until 2020, and the demand was increasing, but the increase rate was gradually decreasing. This study focused on the long-term change of demand on hous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population composition in the level of the whole Gyeonggi province and the level of cities and counties, but for more correct estimation of demand on housing for each city and county, the estimation of the future population for them considering both the present and the future is additionally needed, and it is possible with the help of the wide-range data such as the housing price reflected various types of residence, the real income and housing cost of each household. In particular, the addition or correction of variables about the development business under planning or implementation at present by each cities and counties should also be carried out. 지역별 수급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주택 수요에 대한 추정이 정확하게 이루어 져야하며 정부에서는 수택수요 예측은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시·도 단위의 지역별 주택수요를 추정하고 있어 시·군별 적정한 주택수요와 공급능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의 주택현황을 분석하고 M-W모형을 이용하여 장기적인 주택의 수요·공급규모를 추정함으로써 경기도 주택정책 수립 및 주택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경기도의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2007년부터 2020년 까지 14년간의 기간으로 한다. 내용적 범위는 소득과 주거비용을 고려하여 주택의 지역별 수요 추정 및 인구의 연령구조변화, 주거비용과 소득에 대한 가정에 기초하여 경기도 주택수요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경기도의 주택수요는 50대 이후 높은 수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정점을 이루는 연령 구간 이후 80세 이상의 연령구간까지 주택수요는 상당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W 방법론에 근거하여 주택수요를 전망해 보면 경기도는 2020년까지 108만호의 이상의 주택공급 수요량을 보이고 있으며, 주택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증가율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총량적 측면 및 시·군별 측면에서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장기적인 주택수요 변화에 초점을 두었으나, 보다 정확한 시·군별 주택수요 추정을 위해서는 현재 인구 및 장래 인구를 고려한 시·군별 장래인구추계가 별도로 필요하며, 다양한 주거유형을 반영한 주택가격, 각 가구의 실제소득 및 주거비용 등 폭넓은 자료를 통해서 가능해 진다. 특히 각 시·군별로 현재 계획되고 있거나 추진 중인 개발 사업에 대한 변수의 추가 또는 보정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선형공원의 장소성 형성요인과 행동의도 : 경의선 숲길공원 연남동 구간을 중심으로

        박지향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선형공원은 철도 폐선 등 유휴 교통기반시설을 활용하여 도시에 녹지를 제공하는 전략적 공원 조성 방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한편, 공원의 자연성과 문화재의 역사성은 대상지의 장소성을 높이며, 높은 장소성은 방문객의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선형공원은 공원의 한 종류이자 과거 용도를 재생한다는 점에서 자연성과 역사성이 존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시민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장소성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형공원의 장소성 형성요인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집단 간 장소성 형성요인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장소성 형성요인이 방문자의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선형공원의 특징을 잘 보유하고, 방문자가 많은 경의선 숲길공원 연남동 구간이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선형공원의 장소성 형성요인과, 만족도 및 행동의도이다. 행동의도는 재방문의사와 타인추천의사로 정의하였다. 조사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72부를 회수하였다. 설문조사 중 장소성은 선행연구와 선형공원의 특성을 반영한 형용사 31개를 선정하여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행동의도(재방문의사, 타인추천의사)와 만족도도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SPSS Statistics 25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지의 장소성 수준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며 높게 형성되었다. 빈도분석 실시 결과 31개 장소성 형용사 중 28개의 형용사가 보통(3점) 이상을 받았다. ‘매력적인’, ‘개방적인’이 가장 점수를 높게 받았다. 둘째,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한 대상지의 장소성 형성요인은 자연성, 생동성, 일상성, 의미성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에서 나타나는 장소성 요인(자연성, 일상성, 상징성)과 유사하며, 선형공원의 빠른 이동을 나타내는 특성(Conduit)이 ‘생동성’에 반영되었다. 셋째, 대상지의 장소성 형성요인은 집단 간 차이를 보인다. 요인점수를 사용하여 t-test 및 ANOVA를 실시하였다. 60대 이상은 대상지의 옛 모습(철길)에 대한 사회적 기억으로 ‘의미성’ 점수가 높았다. 5회 이상 방문, 여가휴식 목적의 방문일수록 ‘일상성’의 점수가 높아 선형공원의 일상적 용도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대상지의 장소성 형성요인은 만족도와 행동의도(재방문의사, 타인추천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장소성 형성요인을 독립변수, 만족도와 행동의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소성이 강화될수록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장소성 강화와 재방문률 상승 방안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연구의 한계로 선형공원의 일부 구간에서만 조사를 실시하여 선형공원의 특성이 모두 반영되지 못한 점이 있다.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한 행동의도를 이분형 자료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자료의 손실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서 밝혀낸 장소성 형성요인을 타 선형공원에서 적용하여 일반화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4개의 장소성 형성요인의 출처를(조경, 프로그램 등) 역으로 추적하여, 추후 선형공원 설계 및 운영요소에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inear parks have recently been spotlighted as strategic parks that provide green spaces for cities by redeveloping underused traffic infrastructure including disclosed railways. The nature of linear parks and history of their cultural assets enhance the sense of place, contributing to visitors' satisfaction and their behavioral intentions. The linear parks may well harbor the sense of nature and history because they reuse existing old facilities. Significant sense of place also seems to be formed as the parks receive positive perception by citizen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that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linear parks and review the differences of such factors among groups and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visito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s for the spatial scope, this study focuses on Yeonnam-dong section of Gyeongui Line Forest Park because it preserves the characteristics of linear parks, favored by a large number of visitors. With regard to its contents, the study revolves around formative factors of the sampled park section, citizens' satisfaction and their behavioral intention. The behavioral intention was defined as intention of revisiting and recommending to others.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in which 172 subjects responded. The sense of place was measured with 5-point Likert scale using 31 adjective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linear parks. The behavioral intention and satisfaction were measured with 5-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5. The outcomes of the surve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ense of location of the sample park section was found positive in overall terms. The frequency analysis shows 28 out of the 31 adjectives regarding the sense of place scored higher than normal (3 points). The adjectives 'attractive' and 'open' scored the highest. Secondly, the formative factors of location were sense of nature, vitality, dailiness and significance, similar to ones found in ordinary parks (sense of nature, dailiness and symbolicity). The characteristic implying a rapid movement along the linear park (conduit) was reflected in 'vitality'. Thirdly, the formative factors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the groups. In this regard,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using the scores of the factors. In the group aged 60 or above, 'the sense' of the social memory of the old look (railway) scored higher. For subjects who had previously visited the section 5 times or more or for recreation, 'dailiness' scored higher, which clearly confirms the ordinary uses of the linear parks. Lastly, the formative factors we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subject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the determining factors of the sense of plac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shows the higher the sense of plac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which necessitates higher sense of place and higher ratio of revisiting. This study may be limited in that it sampled only a part of the linear park, not reviewing all its features. Besides,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subjects' behavioral intentions measured through the 5-point scales, the data might have been lost. Nevertheless, the outcomes of this study could be generalized by applying them to other linear parks. Furthermore, the sources of the 4 formative factors of the sense of place (landscape, program, etc.,) could be traced back to be reflected in futur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linear parks.

      • 지역산업구조가 지역혁신에 미치는 영향

        이현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산업구조가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Glaeser et al.(1992)은 지역경제의 성장에 대한 집적경제의 논의에 있어서 경제활동의 특성을 조명하였으며, Feldman and Audretsch(1999)는 경제활동의 특성을 혁신의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논의는 산업구조의 특화, 다양성, 경쟁에 대해 상반된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어떤 산업구조의 특성이 혁신발생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서 지역내 지식기반산업의 특화(specialization), 지역내 산업 다양성(diversity), 지역내 산업 경쟁(local competition)의 특성을 핵심변수로 설정하였다. 혁신의 기반이 되는 지식수준의 요인과 지역별 상이한 경제규모를 통제하기 위하여 각각 지역별 인적자본 수준과 종사자수를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공간단위 설정에 있어서 단순한 행정구역별 구분이 아닌 경제활동의 실질적 의미를 갖는 도시권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추정을 실시하였다. 동일한 독립변수에 대해서 절대적인 수량의 개념인 혁신발생량과 상대적인 밀도의 개념인 혁신집약도를 각각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산업구조의 효과가 갖는 의미를 구분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결과, 지식기반산업의 특화 변수와 지역내 인적자본수준은 혁신발생량과 혁신집약도에 모두 유의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지역내 산업 경쟁정도는 유의하나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내 산업 다양성과 지역 경제규모는 혁신발생량에는 유의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혁신집약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MAR류의 이론들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혁신활동을 위해서는 동종 산업 내에서 소수의 대규모 기업이 지배적인 경제적 환경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Porter류의 이론이 강조하는 지역경쟁의 우위와는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Schumpeter가 언급한 혁신의 독점우위론에 보다 적합한 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경제구조가 중소기업 중심이 아닌 대기업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 산업단지 입주기업 청년층 종사자 근로환경 인식 및 만족도 분석 : 서울디지털산업단지와 인천남동공업단지를 대상으로

        김동만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 초기의 산업단지는 기업이 개별 입지에 공장을 건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졌으나, 1961년 7월에 발표된 최초의 경제개발계획 5개년 계획(1962~1966)을 시작으로 국가경제발전을 위한 산업단지의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고 산업의 생산 및 활동을 정부가 주도하는 수출 전략을 폈으며 이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전 국토를 대상으로 하는 「국토건설종합계획법」 및 1964년 「수출산업고업단지조성법」을 제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결과로 1962년 울산공업단지가 건설되었고 이어 서울과 인천에 수출산업공단이 건설되었다. 2000년대에 이르러 IT산업 등의 발전으로 산업구조가 고도화됨에 따라 다양한 중앙정부부처들이 관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입지 개발을 추진하면서 입지의 다각화가 이루어져 외국인기업전용단지와 외국인투자지역 등의 제도가 도입되었고, IT기술의 발달과 함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소규모 단지의 필요성에 따라 도시첨단산업단지 등이 조성되었다. 초기에 조성되어 노후화된 산업단지는 산업 변화에 따라 경쟁력 저하 및 인력 수급문제가 발생되어 이의 재정비가 중요한 지역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작금의 첨단산업단지를 대표하는 서울디지털산업단지와 노후화된 초기의 산업단지를 대표하는 인천남동공업단지를 대상으로 청년층 종사자의 근로환경 인식 및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노후산업단지의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필요 요소를 도출하여 구조고도화 사업 및 재생 사업, 경쟁력강화 사업의 방향성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설문조사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기 전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산업단지 내 근로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21개의 평가 항목을 도출하고 서울디지털산업단지와 인천남동공업단지 청년층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평가 항목의 리커트(Likert) 5척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자료를 기반으로 서울디지털산업단지와 인천남동공업단지의 근로환경을 비교하기 위해 만족도와 중요도를 독립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만족도에서는 교통 환경에서 4개 항목, 시설환경에서 1개 항목이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고, 중요도에서는 교통 환경에서 3개 항목, 외부환경에서 1개 항목이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두 산업단지의 청년층 종사자들에게 근로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에 따라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청년층 종사자에서는 18개 항목에서, 인천남동공업단지의 청년층 종사자에서는 19개 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두 단지의 청년층 종사자들이 지각하는 특정 요소가 어떤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중요도와 만족도를 가지고 IPA분석을 통하여 중점 개선사항, 우선유지사항, 개선대상, 현상유지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노후 산업단지가 근로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산업단지에 종사하는 청년층의 근로환경을 설문을 통하여 어떠한 것에 중점을 두고 구조고도화 사업이나 재생 사업을 진행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청년층 취업률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반면 국가산업단지는 직원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에 현재의 청년층들은 어떠한 근로환경을 더 선호하는지를 확인하여 산업단지 재생 또는 구조고도화사업의 방향을 제시하는 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In the early days of Korea, industrial complexes consisted by individual companies in dindiviaual locations. For its efficient operation, the 「National Land Construction Comprehensive Plan Act」 and the “Export Industry Industrial Complex Creation Act” were enacted in 1964. As a result, the Ulsan Industrial Complex was built in 1962, followed by export industrial complexes in Seoul and Incheon. In the 2000s, as the industrial structure was advanc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T industry, various central government ministries promoted location development to foster related industries, while diversifying their locations by introducing a system for foreign company complexes and foreign investment zone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urban high-tech industrial complexes were c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need for small-scale complexes to secure competitiveness. The industrial complex, which was initially created and deteriorated, has become a regional issue in which reorganization is important due to the decrease in competitiveness and the problem of supply and demand of manpower according to industrial changes.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working environment perception and Satisfaction survey of youth workers were conducted for the Seoul Digital Industrial Complex, which represents the current high-tech industrial complex, and Incheon Namdong Industrial Complex, which represents the old industrial complex.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structural enhancement projects, regeneration projects, and competitiveness enhancement projects by deriving the necessary elements for improvement. First, prior to conducting surveys and field surveys, 21 evaluation items affecting the working environment in industrial complexes were derived, through review of prior studies, and evaluation items for young workers in Seoul Digital Industrial Complex and Incheon Namdong Industrial Complex were identified by using a survey of Likert scale was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the working environment of Seoul Digital Industrial Complex and Incheon Namdong Industrial Complex based on the survey data, an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on Satisfaction and Importance. The results showed that four items in the transportation environment and one item in the facility environment were different in the Satisfaction level, and three items in the transportation environment and one item in the external environment were found to be different in Importance. To the next,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items affecting the working environment for youth workers in the two industrial complexes. The results were significant in 18 items for youth workers in the Seoul Digital Industrial Complex and 19 items for youth workers in Incheon Namdong Industrial Complex. Lastly, the IPA analysis was used to derive key improvements, priority maintenance, improvement targets, and status quo wit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in order to find out what specific factors are perceived by youth workers in the two complexes. This study identifies the effects of old industrial complexes o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provides data on what to focus on and focus on the working environment of young people working in industrial complexes and to carry out structural height improvement projects or regeneration projects. While the employment rate of the youth is becoming a social problem,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 is having difficulties in hiring employees.

      • 도시지역내 토지이용패턴이 지방재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시·군을 중심으로

        서동환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Industry complex, started as a part of the Social Foundation Facilities expansion after 1960s, has been grown up based on the economy of national and region. However, as the rapid changes in industrial environment, requests for re-organization of industry complex functions has been submitted constantly.This study suggests that improvement directions about appropriateness of the size of infrastructures of industry complex and supporting facilities, and applies them as basic informations to establish the plan of industry complex constructed in near fu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and analyzed the surveys about satisfactions of roads, parks, green area and supporting facilities and etc to executives of the companies moved in Gumi Industry Complex(4th complex), Changwon National Industry Complex, Sihwa and Yeosu National Industry complex (seashore reclaiming regions) during inland areas of the National Industry Complex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1) satisfactions on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industry complex for executing industrial activities and overall industry sites were acceptable and similar in case of study object industry complexes. 2) Sihwa and Yeosu industry complex has lower satisfactions on the size of roads while Gumi and Changwon has comparatively high satisfactions. About parks and green area, Changwon has higher satisfaction than other industry complexes, but it shows that expansion of the green size built in near future is needed. 3) About green area and park when establishing future plans, Yeosu has higher demand on buffer green areas, and the other 3 complexes has higher demand on natural parks and athletic parks. 4) Gumi Industry Complex has higher satisfaction on supporting facilities than the other 3 industry complexes. Through this, it is required that establishing land plan via reasonable allocations which meet the natural peculiarity, sentiment of regions, and characteristics of moved-in companies than being restricted by standards exhibited in laws when establishing the land usage plans during planning industry complex in the future. 1960년대 이후 사회기반시설 확충의 일환으로 시작한 산업단지는 국가와 지역경제의 거점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급속한 산업환경 변화에 따라 산업단지 기능재편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관련법령에 따라 계획하고 있는 산업단지의 기반시설 규모의 적정여부와 지원시설 등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조성되는 산업단지의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가산업단지 중 임해 매립지인 시화 및 여수국가산업단지 확장단지, 내륙지역의 구미국가산업단지 제4단지와 창원국가산업단지에 입주한 업체의 경영자를 대상으로 토지이용계획과 관련한 도로, 공원, 녹지 및 지원시설 등에 대한 만족도를 설문조사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 산업활동 수행을 위한 산업용지의 면적, 위치 등 산업용지 전반에 대한 만족도는 연구대상 산업단지의 경우 무난하며 유사하다. 2) 도로규모는 시화와 여수산업단지는 만족도가 낮은데 비하여, 구미와 창원산업단지는 비교적 높아 도로규모를 다소 축소해도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공원 및 녹지공간에 대하여 창원은 다른 산업단지에 비해 녹지공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나 향후에 조성되는 산업단지는 녹지공간을 더 확충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계획수립 시 녹지 및 공원의 경우 여수산업단지는 완충녹지를, 3개 산업단지는 자연 및 체육공원에 대한 요구가 높다. 4) 구미산업단지는 지원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3개 산업단지에 비하여 높았다. 이를 통하여 향후 산업단지를 계획할 때 관련 법령에서 제시하는 기준에 얽매이기 보다는 지역의 자연적 특수성과 지역의 정서, 입주업체의 특성에 부합하는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