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칼 융의 분석심리학을 통한 미술의 치유적 기능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강세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is thesis, I as an artist study that an artistic expression has what kind of healing function based on unconsciousness through creative activities. Mankind reveal and relieve the fear and anxiety through the artistic activities, and they seek consolation in mural paintings containing their wishes. Human has expressed their inner emotions and shamanistic themes in mural paintings before civilization has advanced. This history shows that the art and human are closely connected. Advanced modern civilization provides convenience and benefit to human, but the convenience is not the only one thing that makes people live comfortably. Because a feeling of satisfaction is different depends on what people think a value of life. Survival was a primary issue in prehistoric ages. However, a goal of modern peoples in this advanced society moves to an achieving self-fulfillment from just survival. A person innately wishes to live their own lives with the variety of experiences. Nevertheless, the experiences that the person faces are not always positive. This is because the negatives broken down by consciousness are latent in unconsciousness, and the negatives affect one’s personality and behavior. Therefore, I showed a basics of self-realization, which a person ultimately aims, are encounter and understanding with unconsciousness in this thesis. I specified Analytical psychology by C. G. Jung as a framework for a great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unconsciousness. Moreover, I study a variety of unconscious elements and the character of the elements. C. G. Jung divides one’s mental structure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in Analytical psychology. The consciousness is a part that a person is able to recognize, but the unconsciousness is the other part a person cannot perceive and unconscious part is bigger than the part of consciousness. Unconsciousness is composed of inherited elements from ancestors and elements, which are reflected one’s experiences but it is filtered by themselves. The unconsciousness has an effect on the situations that a person faces. C. G. Jung classifies the elements of unconsciousness as shadow, persona, anima and animus, self, etc. Furthermore, he defines characters and contents of each element. The elements are regarded as a sort of complex, and the complex is usually considered negatively. However, if the elements are well balanced and integrated, it can be a factor for a healthy ego. In this thesis, I study how the contents of unconsciousness appears in art activities to make healthy ego and well balance of unconscious elements. At the end of analysis part, I graft the healing function of art activities onto suppressed feelings by unconsciousness, and I also find out how the healing function of art affected a person. To provide the evidence, an artist studies the curative factor and the balance of reflection on oneself, relief of stress, and complex oneself. Eventually, finding the ways that an artist and audience communicate each other is an ultimate objective. 본 논문에서는 작가로서 본인의 창작 활동을 통해 개인이 가지는 무의식을 기반으로 미술적 표현이 어떠한 치유적 기능을 가지는가에 대해 연구한다. 선사시대의 벽화를 근거로 인간들은 예로부터 미술 활동을 통해 공포나 불안을 발현하여 해소하고 간절히 바라는 염원을 벽화로 남겨 위안을 얻고자 하였다. 이는 문명이 발전하기 전부터 인간은 벽화라는 미술 활동을 통해 내면의 감정을 표현하고 주술적인 의미를 담는 등 미술과 인간이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대의 발전된 문명은 인간에게 편의와 혜택을 제공한다. 하지만 편리함만이 인간의 삶을 윤택하게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인간이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 그 가치의 중요성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만족감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선사시대에서는 삶의 주요점이 주로 생존의 유무였다면 문명이 발전된 현대사회에서는 단순히 생명을 연명하는 것이 아닌 양질의 자아를 갖추고 실현하는데 그 목표를 둔다. 개인은 태어나면서부터 다양한 경험들을 통해 진정한 ‘나’로서 살아가기를 소망한다. 하지만 성장함에 따라 개인이 마주하게 되는 경험들은 항상 긍정적일 수만은 없다. 의식에 의해 위험요소로 분류된 부정적인 요소들이 무의식 내부에 잠재되어 개인의 성격과 행동에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개인이 궁극적으로 목표하는 자아실현의 가장 기초적 단계는 무의식과의 조우와 이해라는 점을 본 연구에서 보여주고 있다. 앞서 말한 무의식에 대하여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해 ‘칼 구스타프 융’의 ‘분석심리학’을 분석의 틀로 선정하고 무의식에 잠재되어 있는 다양한 무의식 요소의 종류와 각 요소들의 특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칼 융의 분석심리학에서는 인간의 정신 구조를 크게 ‘의식’과 ‘무의식’으로 나눈다. 의식은 개인이 겉으로 인지할 수 있는 부분이며 무의식은 의식에 지각되지 않은 부분으로 의식보다 훨씬 거대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무의식은 개인이 경험했으나 자아에 의해 여과된 것과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내용들이 차지하고 있는데 개인이 마주하는 상황에 따라 영향력을 행사하고는 한다. 칼 융은 이러한 무의식의 요소들을 ‘그림자’, ‘페르소나’, ‘아니마와 아니무스’, ‘자기’ 등으로 분류하고 각자의 특징과 내용들을 규정하였다. 이들은 콤플렉스의 일종으로 분류되는데 콤플렉스는 보통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지만 서로가 균형을 이루고 잘 통합된다면 건강한 자아를 갖출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의식 요소들의 균형을 통해 건강한 자아를 이루기 위해서 무의식의 내용들을 미술 활동에서 나타나는 심상들에서 찾아보고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미술 활동이 갖고 있는 치유의 기능과 무의식에 억압된 감정을 접목한다. 그리고 미술의 치유 기능이 개인에게 어떤 효과를 주고 활용 될 수 있는지를 연구한다. 또한 그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창작 활동을 진행하는 주체로서 창작자가 미술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자기반성, 스트레스 해소, 콤플렉스의 균형들을 직접 연구하고 치유적 요소를 연구한다. 그리고 치유적 힘을 가지고 있는 작품이 관람자와 어떤 방법으로 소통할 수 있는지 모색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욕망을 상징하는 주거공간에 관한 회화 연구 : 본인 작품 중심으로

        이상숙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is study, the inner world of self was to be reinterpreted through the desire expressed and the image of the inner world of the space was destroyed in the painting of the residential space expressing desire. To this end, based on the theory of Lacan and Fromm, the subject's desire was approached with a wider range of thinking, and the mental image expressed in the work was analyzed through the formative interpretation of Benjamin's allegory theory. The residential space has not only the safety of the family and the function of a shelter, but also the place of a small universe in which it is expressed and expands the life of existence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However, as the materialistic age of capitalism enters its age, housing forms are being packaged with a variety of functionalities, and are becoming an object of expanding the possessive desire that makes them obsess by providing attractive benefits. Therefore, housing space has been transformed from the value of residence to the value of goods, thus promoting material desire. We are expressing our desire by encouraging constant consumption in the society's atmosphere where collective consciousness is dominated by individuals, being absorbed as members of modern society. This desire has been extended and changed into various forms, and has been continuously chosen as the subject of painting. It reflects the secular desire of human beings, who have evolved into social animals, to gain compensation by acquiring material desires and social desires. In addition, human social and material desires are the recurring processes of overcoming in human life, and can also cause them to wander in search of objects. In this study, the vertically expressed space and plane division as the background of the work was symbolized by different colors as an extension of desire. In addition, the popular sofa tried to express the loneliness and loneliness of modern people through the shape that emptied the inner psychological image with an allegorical expression technique. The plant in the vase, in particular, represents a temporary property of desire, and the latter work, in which the plant disappeared, shows an attitude toward the life of the self that defends the conflict coming from the outside world and embraces it with the right desire. Thus, in this study, works are presented as images that are repeated in the reduction and extension of desire. These processes are expected to further emphasize symbolic expression, material selection and subject content amid the development of aesthetic grounds, forming the basis of the senses in future work activities. In addition, the desire expressed in the painting of residential space represents the inner world of human beings and unconscious thinking, which causes the placement of various modelling elements. The mental image expressed in the course of the work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self-provides and a beginning for creative work. 본 연구에서는 욕망을 표현한 주거공간의 회화 속에서 공간에 관한 심상적 이미지를 파악하고, 표출된 욕망을 통해 자아의 내면세계의 모습을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라캉과 프롬의 이론을 근간으로 하여 주체의 욕망을 보다 폭넓은 사고로 접근하며 벤야민의 알레고리이론으로 조형적 해석을 통해 작품에 표현된 심상적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주거공간은 가족의 안위와 쉼터의 기능뿐 아니라 자신이 표현되고 존재의 삶과 타인과의 관계를 확장시키는 작은 우주의 장소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자본주의의 물질 만능시대로 접어들면서 주거의 형태는 다양한 기능성으로 포장되고 있고, 매혹적인 편익성을 제공하여 집착하게 하는 소유 욕망을 확장하는 대상으로 변하고 있다. 따라서 주거공간은 거주의 가치에서 상품의 가치로 변모되어 물질적 욕망을 촉진시키고 있다. 우리는 현대사회의 구성원으로 흡수되어 개인보다는 집단의식이 주도를 이루는 사회의 풍속에서 끊임없는 소비를 부추기며 욕망을 표출하고 있다. 이러한 욕망은 다양한 모습으로 확장되고 변화되어 회화의 소재로서 지속적으로 선택되어 왔다. 그것은 사회적 동물로 진화되어온 인간은 물질적 욕망과 사회적 욕망 등을 획득해 보상을 얻으려는 세속적 욕망을 반영한다. 또한 인간의 사회적 욕망과 물질적 욕망은 인간의 생에서 극복과정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대상을 찾아 헤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ⅰ 본 연구에서 작품의 배경이 되는 수직으로 표현된 공간 및 평면 분할은 색채를 달리하여 욕망의 확장된 모습으로 상징되었다. 또한 대중적인 소파는 알레고리적 표현기법으로 내면의 심리적 이미지를 비워있는 형상을 통해 현대인의 고독과 쓸쓸함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특히 화병 속의 식물은 욕망의 한시적 속성을 보여주며 무상함을 의미하고, 식물이 사라진 후기 작품은 외부세계로부터 오는 충돌을 방어하며 올바른 욕망으로 수용하는 자아의 삶에 대한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작품들은 욕망의 축소와 확장이 반복된 이미지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그 경계에 머물고 있는 나의 내면세계와 자아 정체성의 상징으로 일상 속의 대중적인 의미를 함유하고 있는 소파를 통해 재구성되고 평면 속에 상징적인 서술 공간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차용된 조형 요소들은 작품의 형식적 특징을 상징적 의미와 결합시켜 소외된 주체의 욕망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과정들은 미학적 근거의 전개 속에 상징적 표현과 소재선택, 주제 내용을 더욱 강조하여 앞으로의 작품 활동에 감각의 토대를 형성해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주거공간의 회화 속에서 표현된 욕망은 인간의 내면세계와 무의식적 사고를 대변한 것으로 여러 조형 요소를 배치하게 만들어 준다. 그 작업과정 속에서 표현된 심상적 이미지는 자아성찰의 계기를 마련해주고, 창조적 작업의 단초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생태미술의 작품세계에 대한 연구

        양종용 강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강조와 이성에 대한 신뢰를 전제하는 인간중심적 세계관은 인간과 자연을 철저히 분리 시켰고 인간 스스로를 자연 우위에 올려놓았다. 그리고 인간의 이성으로 자연을 정복할 수 있으며 인간의 자연에 대한 지배논리를 정당화 해주었다. 근대에 이르러 인류는 이러한 인간중심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과학의 발전과 산업사회를 이룩하였지만, 동시에 자연의 무분별한 이용으로 자연환경의 오염과 파괴를 초래했다. 현재에도 여전히 인류문명은 끊임없이 진보하고 있지만, 자연환경의 문제는 또한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그리고 인간의 자연에 대한 비윤리적 태도는 인간 스스로에게도 확대되고 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인간사회의 일부는 자연환경의 심각한 문제가 곧 인류의 생존위기로 직결됨을 깨닫기 시작했다. 그리고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인간중심적 세계관, 즉 인간중심의 자연에 대한 태도로 일관하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동시에 과학, 정치, 철학, 예술 등 여러 학문분야에서는 이러한 비판적인 시각으로 인간중심적 세계관에 반대하고 그 극복과 대안으로써 생태학적 세계관으로의 전환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생태학적 세계관은 관점이나 접근 방법에 따라 심층생태학(Deep Ecology), 사회생태학(Socal Ecology), 영성생태학(Spiritual Ecology) 등 다양한 유형의 담론으로 논의 된다. 심층(또는 근본)생태학은 자연중심의 동양의 자연관에 영향을 받았다. 생물권 평등주의를 바탕으로 자연과 나의 통합을 중시하며 전체론적 윤리관을 주창한다. 반면 사회생태학은 인간의 지배하려는 성향과 같이 인간과 사회의 특성을 자연의 맥락에 포함시켜 자연사적인 탐구를 통해 자연과 사회의 연속성을 회복시키기고 자연과 인간은 공생하는 상호관계 회복시키고자 한다. 그리고 영성생태학은 자연 전체에 대한 연민이나 교감을 바탕으로 자연의 모든 생명체의 영성을 인정하고 이를 토대로 동반자적 윤리 실천을 끌어내고자 한다. 심층생태학을 물리학이론에서 발전시킨 프리초프 카프라(Fritjof Capra)는 그의 저서 「생명의 그물」을 통해 생태학의 핵심 개념은 ‘시스템적 사고’에 있다고 밝히며 그 구성하는 부분들은 연결되어 상호 의존하는 관계로 세계를 분리된 집합체가 아닌 통합된 전체로 보고 전체적인 맥락으로 구성하는 부분들과 그 관계들을 이해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즉 인간과 사회는 모두 자연의 순환과정 안에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생태담론들은 공통적으로 자연과 인간은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자연 안에 인간이 포함되어 있으며, 인간뿐만 아니라 자연을 구성하는 부분들이 통합되어 하나의 전체를 이룬다는 사고를 갖는다. 또한 그 부분들은 평등한 관계로 연결되어 서로 복잡한 상호작용을 하는 관계라 설명한다. 즉 생태학적 세계관은 반 인간중심주의로 자연과 인간, 그리고 사회를 포함해 지속가능한 공존의 관계를 추구하고 하며 그 근거로 ‘전체성’, ‘다양성’, ‘관계성’을 제시한다. 시스템적 사고의 관점에 따라 미술은 다른 학문들과 마찬가지로 세계를 이해하고 비판하며 인류문명을 이끌어 왔다. 그렇기 때문에 미술 역시 윤리적 측면에서 자연환경의 문제에 무관하지 않다. 또한 미학적 측면에서도 인간의 미적 실현은 독자적인 영역에서 고립되어 이루어질 수 없다. 20세기 중반 이후, 미술계에서도 모더니즘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과 함께 자연을 소재로 하는 작업들이 나타났다. 생태미술은 다른 생태학문과 마찬가지로 생태학적 세계관과 닿아 있으며 그 원리나 지향, 특성, 의미는 같은 맥락에 있다. 생태미술은 미술이기 때문에 미술작품으로써 미적 실현을 통해 생태학적 세계관을 표상하는 것이다. 생태미술은 작가가 자연을 대하는 태도에 따라 다양한 작업 방식과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연구에서는 대표적으로 4명의 작가를 중심으로 생태미술의 의미를 고찰한다. 리차드 롱(Richard Long)은 자연에 대해 관조적인 자세로 걷는 행위와 같은 흔적 수준의 작업을 한다. 그리고 앤디 골드워시(Andy Goldworthy)나 닐스 우도(Nils Udo)는 자연물을 재료로 인위적인 형상을 만드는 작업을 한다. 이들은 대부분 자연공간에서 자연물들을 재료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소성, 시간성, 자연현상 등이 작업에서 중요하다. 그리고 이들은 작업을 문화공간으로 가져와 전시를 하기도 한다. 마크 디온(Mark Dion)은 자연물뿐만 아니라 문화적 산물과 결합하는 방식의 설치작업부터 개념미술로써 교육의 방식, 다른 학문분야와 연계하는 퍼포먼스형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작업을 하는 작가다. 생태미술의 작가들은 공통적으로 자연을 소재로 작업을 하며 궁극적으로는 자연에 대한 존중과 자연과 인간의 공존의 관계를 추구하는 내용을 갖는다. 이들의 작품세계는 자연을 대하는 태도에서부터 작업을 하는 방식, 작업의 내용, 의미, 특성은 모두 생태학적 세계관의 맥락과 닿아 있다. 생태미술은 작품을 통해 인간이 자연에게 가한 폭력에 대해 반성하고 있고 자연에게 존중하는 자세를 보여주는 것이며, 나아가 인간과 자연은 지속가능한 공존의 관계, 조화로운 관계가 가능하다는 것을 작품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생태미술 작품을 통해 이를 인간과 사회에 권유하고 있는 것이다. Human-centric worldview which emphasizes human dignity and founded on the trust of human reason has completely separated man from nature. Mankind has put himself above nature. Man, with his reason, has treated nature as something to be conquered and such thinking legitimized our domineering approach over nature. In the modern era, humans, based on such man-centered worldview, have achieved scientific developments and accomplished an industrialized society. But at the same time, reckless exploitation of nature polluted and destroyed the natural environment. Today, the human civilization is still on its ceaseless progress and improvement but the issues relating to the natural environment are also becoming more serious. Further, mankind's unethical treatment of nature is replicated in our treatment of fellow human beings. In the 20th century, some members of the human society came to the realization that this serious problem faced by the natural environment directly leads to mankind's own survival being threatened. Also, they realized that the root of the problem lies in the man-centered worldview - in other words, the thoroughly human-centered approach in mankind's relationship with nature. Science, politics, philosophy, arts and other fields of academia started to take critical perspective and resisted such human-centered worldview. As a means of overcoming the problem and to provide an alternative, they began to demand a shift to ecological worldview. The discourse of ecological worldview may be categorized by its perspective or method of approach which include various different categories such as deep ecology, social ecology, spiritual ecology and others. Deep (basic) ecology is influenced by the Eastern nature-centered perspective. It emphasizes equality of all creatures and focuses on harmonization between the self and the nature as well as advocating a holistic ethics system. On the other hand, social ecology seeks to understand human's dominant tendencies and seeks to encompass human and societal characteristics within the context and bound of nature. Through study of natural history, it seeks to restore the continuity between the nature and society as well as restoring a co-existing and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Spiritual ecology focuses on enculturation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with the nature as a whole. It esteems all creatures and through this acceptance, it seeks to encourage practicing of ethics which is centered around the notion of companionship. Fritjof Capra, who established deep ecology from a physics theorem, stated that the essence of ecology lies in a "systematic thinking." He encourages us to see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existing between the constituent parts and not see the world as an aggregate of parts. Through this perspective, we would be able to see the parts and not lose sight of the relationship which exists between them. In other words, man and society are both within the nature's cyclical process. These discourses in ecology have a common idea which is that man and nature are not separate but man exists within nature and that man and other constituent parts of the nature integrate and come together to form a single body. Furthermore, these constituent parts are in equal relationship and are in a complex interaction with each other. Hence, the ecological worldview opposes human-centered worldview and it seeks to create a coexisting relationship between nature, man, society, culture and others. To make it possible it proposes holism, diversity, and relationship. Like other fields of academia, art understood and criticized the world through systematic thinking process and has influenced the human civilization. In this light, art is also ethically connected with the problems in the natural environment. Also, in aesthetical point of view, man's realization of aesthetics cannot come to being in man's isolated sphere. After mid-20th century, skepticism toward modernism also spread in the world of art and works began to appear with the nature as the subject matter. Ecological art, forms of ecological studies, is coherent with the ecological worldview sharing coherent principles, aim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Since ecological art is a form of art, is uses aesthetical expression and works of art to embody the ecological worldview. Ecological art has various methodologies and forms depending on how the artist relates and works with the nature. Richard Long takes an observational approach toward nature by walking through nature and leaving his traces. Andy Goldworthy and Nils Udo use materials found in nature and create artificial shapes. Since these artists create works in nature using natural materials, elements of place, time, and natural conditions are important to their artwork. Also, they bring their artwork into cultural spaces and exhibit them. Mark Dion uses natural materials but combines them with cultural products. He uses various different methods including installation artworks, using conceptual art as means of education, and putting on performances in conjunction with other fields of academia. Ecological artists share the common identity of using the nature as the subject matter and their work is based on their esteem for nature. Their work also proposes a coexisting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Their artwork is coherent with the ecological worldview in their approach toward the nature, methodology used, message being conveyed, and their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Ecological art, through works of art, expresses regret about the violence man has shown toward the nature and it expresses an approach toward the nature which is respectful and appreciative. Further, they convey the message that man and nature can sustainably coexist and be in harmony with each other. Through works of art, ecological art challenges and proposes to the mankind and society to embrace ecological worldview.

      • 네팔미술에 관한 연구 : 18세기 전후의 미술을 중심으로

        버룬, 포크렐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네팔미술에 관한 연구 (18세기 전후의 미술을 중심으로) 버룬 포크렐 강원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18세기까지 네팔이라는 나라는 세계에 노출되지 않았을 만큼 작고 고립된 미지의 나라였고 그만큼 세계의 크고 작은 변화가 네팔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네팔은 수출이나 수입을 통한 교역 보다는 자급자족에 의존하여 살았음에도 미술과 문화는 상당한 수준으로 발전해 있었다. 고전시대부터 힌두문화와 종교를 바탕으로 독특하고 다양하게 형성된 네팔의 전통문화는 주변국과 교류가 적었던 나라임에도 깊고 오래된 역사를 기반으로 번영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네팔은 왕국과 왕조에 따라 자신들 만에 형식과 방식을 추구했지만 종교를 바탕으로 한 문화는 고전시대부터 큰 변화가 없었기 때문에 미술 또한 형식과 기술에 변화만 있었을 뿐 주제와 목적은 종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긴 역사를 가지고 있는 반면 문화적으로 큰 변화는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는다. 네팔은 시대별로 볼 때 인정받고 있는 유물은 부처가 태어난 시대의 몇 가지 유물들과 키라트시대(Kirat)에 몇 유물이 있다. 파수파티나트사원(Pasupatinatha) 뒤에 아르여가트(Arya Ghat)에 있는 비루빠쳐(Virupaksha)의 동상은 지금까지 발견되었던 키라트시대의 유물 중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유물들은 이것 외에도 많이 발견되었지만 정확한 시대를 구분할 수 없어 릿처비 시대의 유물부터 시대적 구분을 한다. 네팔미술의 역사에서 왕조의 출현은 꼭 확인 되어야하는데 주변국가에서 넘어온 왕조들이 새로운 양식의 미술을 가져왔기 때문이다. 키라트(Kirat 800BC-300CE), 맂처비(Lichchhavi 300-879AD), 과도기(879-1200AD), 멀러(Malla 1200-1769AD)와 사허시대(Shah 1769-2008)까지 네팔미술의 변화가 있었다. 네팔미술은 특별하게 특별하게 회화보다 조각과 건축이 발달하였다. 회화의 발달이 더뎠던 것은 그려지는 바탕재료가 야자나무와 나무합판과 같이 오래 보관할 수 없는 것이었고, 종이가 귀했기 때문에, 회화에 필요한 재료들이 조각과 건축보다 발달되지 않았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약 9세기의 유물로 종교적 내용을 담고 있는 야자 나뭇잎과 나무합판에 삽화가 발견되어있다. 12세기 이후부터 네팔이 불화를 본격적으로 제작하기 시작하면서부터 회화영역도 빠르게 발전하기 시작했다. 멀러시대부터 네팔의 미술은 정점을 이루었다. 초기 멀러시대부터 미술이 번영되었다. 13세기경 아라니코(Araniko, 1245-1306)미술가가 티베트와 원나라까지 초청되어 파고다와 스투파를 제작하였다. 멀러왕조는 1200년부터 1769AD년까지 569년 동안 통치하면서 네팔미술은 큰 번영을 하였다. 네팔의 미술 중 크게 내세울 수 있을 만큼, 관광객이 찾아올 수 있는 몇가지 요소들은 멀러시대의 미술과 건축들이 있다. 멀러시대가 끝나고 사허시대는 영토 확장에 더욱 심혈을 기울였다. 사허시대에 주목할 만한 미술은 많지 않다. 하지만 사허왕조의 내부분열로 총리 정거 바하두르 라나(Junga Bahadur Rana)가 실질적인 정치적 힘을 가지면서 네팔의 미술은 다시 활기를 띠게 된다. 정거 바하두르 라나의 유럽여행에 함께 간 바주만 치트러까르(Bhajuman Chitrakar)로 인해 네팔미술을 유럽에 소개하고 유럽미술을 네팔에 소개할 수 있는 기회가 만들어졌다. 네팔 미술에 있어서 이 이벤트는 모더니즘으로 진입하는 긍정적인 단계를 부여해 주었다. 이후 서양미술은 점차적으로 네팔에 자리 잡게 된다. 네팔에 유럽미술과 건축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정거 바하두르 라나 총리 이후 총리들도 비슷한 성향을 가지고 있었고 네팔에 유럽의 미술은 안정적으로 자리 잡게 된다. 1950년에 라나총리시대가 끝나고 정치적으로 민주정치가 시작하면서 네팔미술도 동시에 새로움을 맞이한다. 1960년 이후 네팔에 모던미술이 시작되었다. 서양보다 100여년정도 늦게 네팔에 모더니즘이 들어왔다. 러인 싱 방델(Lain Sing BangDel)은 서양의 모더니즘을 처음 소개한 작가로 알려져 있다. 그 작가 다음으로 모던양식을 모방하는 작가들이 생겼다. 네팔의 전통, 문화적, 종교적 영향을 받아서 작업을 하는 것은 네팔 모던의 특징이다. 현재 사회적, 정치적 문제의식을 갖고 컨템포러리 미술을 진행하고 있는 작가들도 눈에 띤다. 여러 시대에 걸쳐 주변국가인 인도와 티베트의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진행되었던 네팔의 미술은 19세기부터 세계와 교류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서양의 양식을 모방했다. 19세기부터 서양의 양식을 모방하며 진행되던 네팔의 미술은 20세기부터 정식적으로 서양식 미술교육을 받은 작가들이 활동하면서 서양식 미술이 정식적으로 네팔에 자리 잡게 된다. 20세기 후반에는 뚜렷하게 미술의 발전 단계를 보여주면서 세계의 미술계와 소통하고 있다. A Study on the Arts of Nepal : Focusing on the Arts around the 18th Century Barun Pokhrel Department of Fine Arts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isty Abstract Nepal was such a small and isolated, unknown country that it had not been exposed to the world until the 18th century; therefore, small and big changes in the world have had no influence on Nepal. Although Nepal has depended mainly on self-sufficiency rather than trade through exports and imports, its arts and culture have developed to a significantly high level. Nepalese traditional culture that has been uniquely and diversely formed based on Hindu culture and religion shows that it has attained prosperity based on a deep and long history despite being a country whose exchange with the neighboring countries was minimal. There were changes only in the format and technology also in arts while their themes and objectives did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religion because there have been no big changes to the culture based on religion since the classical period even though each of Nepalese kingdoms and dynasties pursued its own format and manner. Therefore, while Nepalese arts have a long history, big cultural changes are not seen remarkably. When viewed in the context of the era, Nepal has several recognized artifacts of the era when Buddha was born and the Kirat era. The statue of Virupaksha temple at Arya Ghat behind the Pasupatinatha temple has the longest history among the artifacts of the Kirat era. Many artifacts other than this one are also found; however, the divisions of time periods are made from the artifacts of the Lichchhavi era because the exact time periods of those artifacts cannot be divided. The emergence of dynasties in the history of Nepalese arts must be identified because the dynasties that came over from neighboring countries brought new forms of arts. There had been changes in the arts of Nepal since the Kirat era (800BC~300CE), Lichchhavi era (300-879AD), transition period (879-1200AD), Malla era (1200-1769AD) and shah era (1769-2008). Sculpture and architecture were particularly developed more than painting in the arts of Nepal. The development of painting seems to have been slow because the materials of painting boards were the ones that cannot be kept for a long time like palm trees and plywood while paper was scarce. There are illustrations created on the palm tree leaves and plywood containing religious content, which are believed to be the artifacts created in around the 9th century. The area of painting has also begun to rapidly develop since the 12th century when Nepal began to produce Buddhist paintings in earnest. Nepalese arts reached their peak during that period. Araniko (1245-1306), a key figure in the arts of Nepal, was sent to Tibet to build a golden stupa and further to the Yuan Dynasty of China to develop and spread pagoda architecture. The arts of Nepal prospered significantly during the Malla era that lasted for 569 years from 1200 to 1769 AD. The arts and architecture of the Malla Dynasty are among several factors of the arts of Nepal proudly boasted enough to attract tourists. After the end of the Malla Dynasty, the shah Dynasty devoted itself further to territorial expansion. Even though there are not many remarkable arts of the shah Dynasty, the arts of Nepal were enlivened again when Prime Minster Junga Bahadur Rana had the substantial political power with the internal split of the shah Dynasty. The opportunities to introduce Nepalese magic to Europe and European arts to Nepal were made by Bhajuman Chitrakar who went on a trip Europe with Junga Bahadur Rana. This event in the arts of Nepal gave a positive step towards entering into modernism. Afterwards, European arts and architecture began to be popular as Western arts gradually established themselves in Nepal. The prime ministers who served after Prime Minster Junga Bahadur Rana also had similar tendencies, and European arts established themselves stably in Nepal. As democratic politics began politically with the end of Prime Minster Rana's period in 1950, the arts of Nepal were also given a fresh turn. Modern arts have begun in Nepal since 1960, and modernism was brought to Nepal about 100 years later than the West. Lain Singh Bangdel is known as the artist who introduced Western modernism to Nepal for the first time. The artists who imitated the modern style emerged after him. Production of works under the influence of Nepalese tradition, culture and religion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modern arts of Nepal. Artists who are developing the contemporary arts with critical minds against social and political problems can also be found. The arts of Nepal which have been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neighboring countries, India and Tibet, over several periods imitated the style of the West with the beginning of exchange with the world since the 19th century. the arts of Nepal which have been developed while imitating the style of the West have formally established themselves in Nepal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artists who have received Western arts education since the 20th century. Nepalese art circle is communicating with the art circles of the world clearly showing the stage of development of arts.

      • 르네 마그리트 회화의 데페이즈망 기법에 관한 연구

        박은성 강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초현실주의는 다다이즘(dadaism) 이후 나타난 사조로 문학, 음악, 미술 등 예술 전반에 걸쳐서 커다란 영향력을 나타내며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냈으며,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을 통해 억압되어 있던 무의식 세계에 대한 탐구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런 움직임들은 기존 철학이 인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고 화가들은 자신만의 무의식 탐구를 해 나갔다. 초현실주의자들에게 있어서 또는 초현실주의 회화 안에서의 표현기법은 이와 함께 다양하게 전개 되었다. 초현실주의의 다양한 표현기법으로는 무의식을 나타내기 위한 오토마티즘, 내적인 이미지표현을 위한 에른스트의 프로타주, 우연의 효과를 이용한 데칼코마니, 입체적 표현을 위한 콜라주, 그리고 명암의 추상적 표현을 이용한 만 레이의 레이요 그램, 마지막으로는 전위법이라 불리는 데페이즈망이 그 표현기법의 다양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표현기법들 속에서 기존의 마송, 달리 등이 사용한 초현실주의의 오토마티즘을 부정하며, 평범한 사실주의를 토대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한 르네 마그리트는 20세기 현대미술에 가장 큰 영향을 준 미술운동 중 하나인 초현실주의를 이끈 인물 중의 대표적인 한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데 키리코의 영향을 받아 1925년 초현실주의운동에 참여하게 된다. 그가 참여한 초현실주의는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을 그 뿌리에 두고 있으며 의식과 무의식 속에 나타난 꿈의 세계는 보다 넓은 상상력을 열어주었다. 오토마티즘에 관심을 가진 다른 초현실주의자들과는 달리 대상들의 객관적인 재현에 관심을 가졌던 그에게 나타난 대표적 표현기법인 데페이즈망의 형성배경은 작가의 지향성과 의도 심리 등 분류와 분석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작가의 의도와 관련이 없는 데페이즈망은 존재 할 수 없다. 그러므로 데페이즈망을 규명한다는 것은 그것과 연계된 작가의 지향성 의도와 심리 등을 분류하고 분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데페이즈망이라는 기법의 사용과 데페이즈망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표현욕구의식과 심리를 해석하고 르네 마그리트의 회화작품에서 보이는 데페이즈망을 4종류로 분류 하였다. 이러한 데페이즈망의 특성은 사물의 본래의 특성을 소거시키고 다른 개념으로 작가의 의도를 나타내는 특성을 갖게 된다. 그의 그림에서 느껴지는 시적인 분위기와 평범한 공간에 표현되어지는 사물의 이미지들은 본래의 물성을 망각하고 전혀 다른 성질과 개념으로서 등장하게 된다. 현대미술 속에 영향을 준 그는 신구상주의 회화에 있어서 인간이 닿을 수 있는 상 상력을 동원하여 새로운 리얼리티 세계를 표현하고 있었으며, 현실적인 이미지 안에서 제거와 첨가가 이루어져 사상적인 현실의 세계를 대비시킴으로써 그 효과를 얻는다. 이 점은 마그리트의 조형성에서 찾을 수 있는 내부세계가 증시됨으로 인해 단절된 외부세계와의 관계를 완화하며 새로운 접촉을 시도하고자한 르네 마그리트의 표현은 현실의 변형을 통한 새로운 이미지 생성과 시각적 경험의 세계를 마련해 준다. 초현실주의 회화에 나타난 표현기법들 중에서 데페이즈망은 르네 마그리트의 회화에 있어서 가장 큰 특징으로 나타난다. 그는 데페이즈망 기법의 탐구를 통하여서 자신만의 회화영역을 구축하였다. 후세에 르네 마그리트의 데페이즈망이 현대미술의 영향을 주게 되고 그로인해 현대미술과 밀접한 관계에 놓인 광고 안에서도 그 영향력이 입증된다. 이를 통해 르네 마그리트의 데페이즈망 기법은 초현실주의를 포함하여 현대 미술사 안에서의 독창적인 표현기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알레고리적 욕망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영숙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작품 속에 알레고리적 이미지 형태로 표출된 욕망을 통해 연구자 자아의 내면세계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이트, 라깡 그리고 들뢰즈의 이론을 근간으로 욕망 개념의 다양한 의미를 살펴보고 다른 한편 알레고리 이론을 통해 작품에 표현된 심상적 이미지들을 분석하였다.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끊임없이 무엇인가를 추구하고 목적 지향적으로 자신이 꿈꾸는 것을 실천하며 성취감을 취하려 한다. 욕망은 프로이트적 관점에서는 억압되어야 할 기제이지만 삶을 살아가는데 역동적인 힘을 부여하기도 하고 자신의 삶에 더 적극적으로 작동하여 삶을 풍요롭게 하기도 한다. 본인 작품은 본인의 음악적 경험을 통해 얻은 영감과 음악에 대한 욕망의 마음을 이차원적인 회화적 요소로 표현되었다. 음악을 통해 느끼는 감정과 정서가 그림언어로 표현되었고 음악에 대한 욕망이 작품의 주제이다. 음악에 대한 욕망은 현악기를 통해 알레고리화되고 충족되지 못한 욕망의 심미적 이미지들이 작품의 주된 회화적 요소를 이룬다. 본 연구에서 분석되는 작품들은 알레고리적 욕망을 시각화 한 작품들로서 바이올린, 첼로, 꽃이라는 매체를 통하여 결여의 욕망이 생산적인 욕망으로 변화되어 가는 과정으로 표현된 것이다. 욕망이 있다는 것은 목적 지향적인 삶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욕망의 추구와 실현은 많은 사람들이 이상적 자아실현을 바라는 것처럼 삶의 궁극적 행복을 의미하기도 한다. 연구자의 작품들은 이러한 욕망을 예술적 표현으로 승화시켜 밖으로 드러나도록 하였다. 욕망은 독립적인 존재로써 내적 감정으로 표현되고, 욕망이 신체의 에너지로 전환되는 것은 외적 감정으로 표현된다. 본인의 작품은 내적 욕망을 순수한 음악적 욕망으로 변형하여 시각적으로 표현되었다. 화면의 공간에서 욕망의 특징이 드러나며 그 욕망은 이미지 속에서 밖으로 뻗어 나가 또 다른 욕망을 생성하기도 한다. 욕망은 해소되는 것이 아니고 조금씩 변화되어 가는 것이다. 억압되었던 욕망은 긍정적 변화를 통해 또 다른 욕망을 생성하고 있다. 이미지의 이러한 작동방식은 알레고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알레고리는 예술적 표현기법이자 기술이다. 알레고리는 작품에서 표현되는 것과 작품을 대하는 수용자와의 수수께끼 놀이와도 같은 고도의 기법이다. 또한 이것은 하나의 말이나 표현이 또 하나의 다른 말이나 표현으로 중첩됨으로써 다중적 의미를 발생시키는 기법이다. 알레고리는 은유나 환유와 유사하지만 한 단어나 문장에 국한되지 않고 작품 전체를 이끌 수 있는 보다 넓은 수사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신체 에너지의 표출을 드러내는 춤추는 바이올린은 근본적인 욕망의 알레고리적 표현이다. 바이올린은 의인화되어 생동감 있는 움직임으로 표현되었으며 추상적인 관념인 사람의 영혼이 바이올린 내면에 내재되었다. 의인화는 알레고리로 정의되기도 한다. 시간성 역시 알레고리를 구성하는 근본적인 속성이며 알레고리적 기호와 의미의 관계에 동반되는 것이다. 시간의 이중적인 특성, 밤과 낮의 동시적이면서 양가적인 의미가 무의식과 의식의 이미지로 표현되었다. 밤과 대조적으로 낮은 밝은 색조를 띠며 무의식에 존재하던 욕망이 발현되는 곳으로 이중성을 동시에 나타낸다. 밤은 어두운 색조를 띠며 무의식의 내재된 욕망이 추동되는 곳으로 표현되었다. 본인 작품에는 주로 파편적 이미지가 등장하는데 이것은 무의식에 존재하는 것들로 분열적 속성을 띤다. 파편적 이미지는 전체성을 상실하며 전체성의 향수와 희망을 나타낸다. 파편적 이미지는 부분적인 오브제로 연결되어 비상(非像)의 알레고리를 형성한다. 이러한 파편적 이미지들은 일반적인 알레고리 의미를 따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자의적 의미의 알레고리를 형성하기도 한다. 또한 작품 밖에서 관람자에 의해서 파편적 해석이 존재하므로 알레고리의 범위는 더 연장되고 확장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알레고리적 기호의 해석은 난해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이미지가 나타내는 실재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와 직접적 상관이 없는 의미를 해석해야 한다는 난해성을 뜻한다. 결국 일차적 상징성이 아닌 욕망이 담긴 바이올린, 첼로, 꽃 등의 반복적인 이미지 또는 아이콘(Icon)은 본래 내재된 의미와 형상의 관계가 자의적이다. 또한 본래의 형상은 축소되고 은폐되는 과정에서 변용의 형태를 취하기도 한다. 이로써 본인만의 알레고리가 형성되고 그것은 관람자로 하여금 다차원적으로 해석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인의 작품 속에서 보여지는 상상력을 기초하여 관람자들은 다의적인 알레고리를 파편적으로 해석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인 연구는 작가, 작품 그리고 관람자를 통한 알레고리의 총체적 연상작용의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The study tried to interpret the inner world of the researcher’s self through the desire expressed in the form of an allegorical image in the work.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theories of Freud, Lacan and Deleuze, various meanings of the concept of desire were examined, and on the other hand, the imagery images expressed in the work were analyzed through the allegory theory. People living in the modern world are constantly pursuing something, aim-oriented, practice their dreams, and try to achieve a sense of accomplishment. Desire is a mechanism that should be suppressed from a Freudian point of view, but it also gives a dynamic power to one’s life and enriches one’s life by acting more actively in one’s life. My work is expressed the inspiration from my musical experience and the desire for music through two-demensional pictorial elements. The feeling and emotions felt through music are expressed through pictorial language, and the desire for music is the subject of my works. The desire for music is allegorized through string instruments, and the aesthetic images of unsatisfied desire form the main pictorial elements of the work. The works mainly analyzed in this study are visualizations of allegorical desire, and they are expressed the process of transforming lack of desire into productive desire through media such as violin, cello and flowers. To have desire means to live a purpose-oriented life. Therefore, the pursuit and realization of desires also mean the ultimate happiness in life, just as many people wish for ideal self-realization. The researcher’s works sublimated this desire into artistic expression so that it was revealed. Desire, as an independent existence, is expressed as an inner emotion, and the conversion of desire into the energy of the body is expressed as an external emotion. My work is visually expressed by transforming inner desire into pure musical desire. The characteristics of desire are revealed in the space of the screen, and that desire extends outward in the image to create another desire. Desire is not resolved, but gradually changes. The repressed desire is creating another desire through positive change. This way of working of images can be said to be allegorical. Allegory is an artistic expression technique and skill. Allegory is a high-level technique that is like a riddle game between what is expressed in the work and the viewer who interacts with the work. Also, this is a technique for generating multiple meanings by overlapping one word or expression with another word or expression. Allegory is similar to a metaphor or metonymy, but it is not limited to one word or sentence, and can be said to be a broader rhetorical expression that can guide the entire work. A dancing violin that reveals the expression of bodily energy is an allegorical expression of fundamental desire. The violin is personified and expressed with lively movement, and the soul of a person, an abstract concept, is embedded in the violin. Personification is sometimes defined as an allegory. Temporality is also a fundamental property constituting allegory, and it accompanies the relationship between allegorical signs and meanings. The dual nature of time, the simultaneous and ambivalent meaning of night and day, is expressed through images of the unconscious and consciousness. In contrast to the night, it has a bright low color tone, and it is a place where in the unconscious are expressed at the same time, showing duality. The night takes on a dark tone and is expressed as a place where the inner desire of the unconscious is driven. Fragmented images appear mainly in my works, which exist in the unconscious and have divisive properties. Fragmented images lose their totality and express nostalgia and hope for the whole. Fragmented images are connected to partial objects to form allegory of a formless. These fragmented images follow the general allegory meaning, but on the other hand, they also form an allegory of arbitray meaning. Also, since fragmentary interpretations exist outside the work by the viewer, the scope of the allegory can be further extended and expanded. Interpretation of these allegorical signs has the characteristic of difficulty. This means the difficulty of interpreting the meaning tha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image, not in the reality that the image represents. In the end, repetitive images or icons such as violin, cello, flowers, etc., which contain desire rather than primary assumptions, have an arbitrary relationship between the inherent meaning and form. Also, the original shape takes the form of transformation in the process of being reduced and concealed. In this way, an allegory is formed only by the person myself, and it can be interpreted multidimensionally by the viewer. In addition, based on the imagination shown in my work, viewers can fragmentally interpret the polymorphic allegory. In this aspect, my research is a study of the process of the overall association of allegory through the artist, the work, and the viewer.

      • '마음챙김'을 통한 인간의 내적 성장 표현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조가영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what negative emotions humans feel in life, "mindfulness" to alleviate emotional problems through them, and to analyze researchers' works based on the "mindfulness" theory. Modern people live without paying much attention to their state of mind in a rapidly changing and competitive society. Among the various emotions experienced in society, negative emotions such as stress, depression, or anxiety lead to mental problems in modern society such as depression, lethargy, and panic disorder. Therefore,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emotional ventilation is important as a "mindfulness" that does not leave negative emotions alone, but objectively looks at and is aware of one's own state of mind, and knows how to take care of and handle self-aware emotions. The researcher thought that humans and fruits grow into adults through various stages of growth and bear fruit, so he made it the main symbol of the work. Just as a lot of nutrients are needed for a tree to bear fruit through the characters and fruits expressed in the work, people also compare and convey that they grow internally through interest in themselves and reflection on themselves, thereby becoming a healthy adult. Unlike the actual size, the researcher's work is characterized by a small figure and a large reverse figure, which compares to fresh fruits that even people with negative emotions such as stress and depression can achieve healthy and solid internal growth through their "mindfulness." This study began with concerns about the state of mind that busy modern people are missing, and suggests that mental problems caused by unventilated and accumulated negative emotions can be cured and alleviated through their own mindfulness. The researcher tried to express and convey this poet's point as a work, and analyzed it and put research significance in spring. 본 연구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부정적 정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이를 통해 오는 정서적 문제 완화를 위한 ’마음챙김’에 대해서 연구하고, ‘마음챙김’이론을 기반으로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현대인들은 빠르게 변화하고 경쟁하는 사회 속에서 본인의 마음상태가 어떠한지에 대해 크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살아간다. 사회를 살아가면서 겪는 다양한 감정에서 스트레스, 우울이나 불안 등의 부정적 정서는 우울증, 무기력증, 공황장애 와 같은 현대사회의 정신적 문제로 이어진다. 이에 본 연구자는 부정적 정서를 그냥 둘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마음상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자각하는 것, 자각한 감정을 챙기고 다룰 줄 아는 ‘마음챙김’으로서 감정 환기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연구자는 인간과 과일이 성장에 있어 여러 단계를 거쳐 성인이 되고, 열매를 피우는 과정이 비슷하다고 생각하여 이 두가지 요소를 작품의 주 도상으로 삼았다. 작품에서 표현된 인물과 과일을 통해 나무가 열매를 피우기까지 많은 양분이 필요하듯, 사람도 자신을 향한 관심과 스스로의 성찰을 통해 내적 성장을 하고 이로써 건강한 성인으로 자라날 수 있음을 비유하여 전한다. 연구자의 작품은 크기의 대비를 사용하여 실제의 크기와 다르게, 즉 인물은 작게, 과일은 크게 역 도상으로 표현한 것이 조형적 특징이며, 이는 스트레스나 우울 같은 부정적 정서를 가진 사람도 스스로의 ’마음챙김‘을 통해 건강하고 단단한 내적 성장을 이룰수 있음을 싱그럽게 맺은 과일에 빗대어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바쁜 현대인들이 놓치며 살아가고 있는 스스로의 마음상태에 대한 우려에서 시작하였으며, 환기되지 않고 쌓이는 부정적 정서가 불러올 수 있는 정신적 문제들을 스스로의 마음챙김을 통해 치유되고 완화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연구자는 이 시사점을 작품으로서 표현하고 전달하려 했으며, 이를 분석해 봄에 연구 의의를 둔다.

      • 현대회화에서 오브제 표현에 관한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박흥선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미술에서 오브제 활용 범위의 확산은 회화의 탈장르화, 탈캔버스화, 탈평면화를 가져왔으며 개념미술로서 오브제 미술이 갖는 회화적 가치와 개념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다. 또한 현대의 미술작품과 표현방법은 오브제의 표현기법에 따라서 다양한 상징과 해석이 따를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오브제 미술작품의 회화적 표현을 위한 기법이 적용된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현대회화의 새로운 오브제 표현기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오브제의 새로운 표현기법을 도입한 작품의 내용을 분석 한 결과 작가는 오브제의 상징을 더하기 위해 오브제의 본질을 이용한 즉 실제 경험과 기억이 담긴 원석들을 이용하였다. 이것은 직접적인 기억을 담아내며 사실성의 이야기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시간성을 담은 원석 오브제를 이용하여 새로운 방식의 미술기법과 회화적 기법을 통해 새로운 오브제 표현기법을 고안한 작품으로 그 의미가 크다. 사물의 본질이 불러일으키는 의식 확대가 앞으로도 그 의미를 더하게 되며 현대미술의 발전 양상의 다양성으로 인해 오브제의 연구는 계속되어질 전망이다. 또한 오브제를 통한 무의식적 자아가 드러나거나 사람들의 시각으로는 보이지 않는 인간과 자연의 소통 그리고 작품이 이어주는 장치들로 인한 여러 가지 감정의 표출을 받게 된다. 현대미술의 특징은 새로움이지만 모든이 들이 그 새로움을 위한 실험정신에 집작할 필요는 없으며 현대미술에서 조형 활동 요구하는 새로운 것 보다는 새로운 가치관 정립에 따른 소재를 찾아 창조적이고 다각화적인 실험태도를 모색해 미의식이 찾고 그 특성의 본질적 이해와 보다 포괄적인 연구가 절실함을 느끼는 시점이기도 하다. 이처럼 본 연구는 전통적 회화의 순수성을 살려 작품을 제작하기 위한 작가의 내면적 고찰과 기교가 동시에 표현된 것이며 오브제 미술이 주는 새로운 물체성을 회화적 작품에 적용한데 그 가치가 있다. 따라서 현대미술에서 오브제는 작가의 개념을 포함하는 미술작품의 한 형태이자 동시에 작품의 중요한 소재로 활용 될 수 있으며, 그 범위와 표현방식에 따라 전통적 회화의 순수성을 살려 새롭게 탄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다. Enlarged scope of using objets in the comtemporary art has brought about genre-over, canvas-over and flarnes-over and the interest in the painting values and concepts that object art has as a conceptual art has increased as well. Besides, contemporary artworks and their expressive methods can be variously symbolized and interpretated according to expressive methods of objets, In this regard, the current study intended to study new objet expressing methods of the contemporary painting, focusing on the current author's works to which methods for painting expression of artworks using objets. Based upon this intention, the result of analyzing contents that employed new objet-expressing works showed that the author tried to contain direct memories by using the essence of objets, that is, using things with actual experiences and memories in a try to express stories of actuality while the enlarged consciousness aroused by the essence of works that devised new objet-expressing methods through new painting/artistic methods makes its background and significance more meaningful and study on objets coninues duc to the developing contemporary art and its diversity. Through objets, unconscious self reveals itself or various emotions reveal themselves through invisible communication between man and nature and through gadgets connected by artworks. The contemporary art is characterized by newness but not all should adhere to the experimental spirit for such newness. It's desperate time to build new sets of values asked for by the contemporary art, explore materials fit for them with creatives of aesthetic consciousness. Besides, the objets in the works express the author's internal consideration and techniques used to make artworks leaving the romance of traditional painting intact while having the thingness of the objet art used for pictorial works. Accordingly, objets in the contemporary art, as a pattern of artworks containing authors concept, can be used a viral factor in artworks and they also have the possiblity to be born anew, leaving the romance of the traditional painting int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