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적정보관리에서의 보안시스템 강화 방안 연구

        황동건 경일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정보의 운용에 있어서 변화된 디지털 지적관리체계의 환경 및 지적정보관리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한 후 이를 기초로 지적정보의 안전한 보호 및 관리를 위한 보안시스템 강화 방안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법․제도적 개선 방안으로서 지적정보 관리ㆍ제공상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법․제도 정비와 가공 지적정보 관리ㆍ제공을 위한 법․제정비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즉, 공개되어야 할 또는 보호되어야 할 지적정보의 범위, 전자적 침해행위로부터 지적정보의 보호, 지적정보 취급 담당자의 권한남용, 지적정보의 가공 등을 통해 편집물 또는 편집저작물 등으로 제공되는 지적정보에 관한 지식재산권 보호 등을 위한 법ㆍ제도적 대안을 도출하였다. 기술적 지원 방안으로서는 전자지도 형태의 지적데이터에 대한 저작권 표시 기법의 도입과 지적도면의 특성을 반영한 디지털워터마킹 기법의 도입과 구축에 대한 내용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에서 제안한 법․제도적 방안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기능할 있는 관련 규정의 마련의 연구가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지적정보의 보호를 통해 원만한 정보의 관리와 제공(유통)이 담보되기 위해서는 현행 관련 개별법들과의 유기적인 조화 및 기술적인 영역에서 강구될 수 있는 보호조치가 입법기술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준정부기관 경영평가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오원규 경일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developmental implications for performance management of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hereinafter referred as to “KCSC”) by the empirical analysis on how does KCSC's management evaluation affect KCSC's management results. Detailed objectives for achieving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establish the general concept between quasi-governmental agencies and their management assessment system. Second, define certain patterns and correlations through trend analysis on KCSC's management assessment and status of business performance. Third, after set up the hypothesis and conduct a factor analysis and hypothesis testing. Fourth, made suggestions to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based on the verified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temporal research scope of this study is from 1968 which starts management assessment to the quasi-governmental agencies, more empirical analysis was specified for the most recent three-year period (from 2011 to 2013), spatial research scope is limited to the KCSC. Main research contents are limit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business performance from management assessment through empirical analysis. Research method uses the historical and legal approach combining literature reviews, Internet and Questionnaire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and technical analysis methods were used. The purpose of the empirical analysis performed in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management assessment affects improvement of business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propose a research model including fundamental parameters (leadership,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management assessment performed) and parameters (climate change), control variables (incentives) are used to test the hypothesis. As a result, first, the leadership was found that it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and parameters of environmental change. However, the leadership has influence in the direction of the positive business performance; manager ha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in order to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apart fro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ha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business performance. Second,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was identified as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exerts both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business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chang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s a whole management system for business performance improvement, and needs to prepare a permanent management system for business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the results by regular monitoring and feedback.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delivers various information' to the employees and needs to produce a variety of ideas and management policies to maximize the advantages of the organization and to minimize the disadvantages. Third, the business impact assessment shows a significant effect on environmental change in the parameters. Leader and employees perform management assessment and needs to prepare the methods on capacity building increase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nd to implement the encouraged government policy. Fourth, environmental changes like cadastral survey market opening,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expansion, and cadastral resurvey project are key factors which can affect the KCSC's business performance. So the governors need an enterprise-wide effort to project implementation and systematic planning. Fifth, the incentiv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controller between the management assess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This means that the incentive plays an important role to make necessary behavioral changes in business performance management evaluation activity. Fair compensation is sure to be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business performance impersonally. Thus, based on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achieve a more efficient Business Performance in KCSC as a quasi-government agency, KCSC have to see the overall business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hat adequately contains the evaluation index system.

      • 우리나라 도서(島嶼)관리제도의 발전방향 연구

        유호철 경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도서관리제도를 도서정보의 관리 측면(조사ㆍ내용 및 운영)과 도서개발(이용)의 관리 측면에 중점을 두고 그에 관한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도서관리제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연구범위를 시간적․공간적․내용적 범위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1986년부터 2012년까지로 설정하였다. 공간적 범위는 우리나라 영토 내의 모든 도서지역으로 한정하고, 특정 국가의 도서를 참조하였다. 내용적 범위는 도서관리에 관한 기초 내용의 일반적 고찰, 도서관리제도에 관한 운영 실태분석, 그리고 우리나라 도서관리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범위 내에서 연구의 접근방법은 법률적 접근방법과 행정적 접근방법을 병행하였고, 연구의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 인터넷조사법을 적용하였으며, 연구의 분석방법은 기술적(記述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통해 우리나라 도서정보의 관리와 도서개발(이용) 실태를 분석ㆍ평가하고, 외국의 도서관리 사례를 통해 특징적인 시사점을 도출한 후, 우리나라 도서관리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 우리나라 지적통계 운용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김용덕 경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조사·산정적 측면, 조사 내용적 측면, 제공적 측면에서의 지적통계의 문제점을 분석․제시하였다. 조사·산정적 측면의 문제에 있어서는 통계 작성 과정에서 입력 오류를 걸러낼 장치가 없어 통계 산정에 있어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통계자료의 이용자들이 어떠한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제공되는 항목의 통계수치가 어떠한 방식으로 산정되었는지를 알아야 하나 현재의 지적통계상에는 항목별 수치만 수록하고 있을 뿐 이에 대한 설명들이 부재하여 통계 산정의 신뢰성 저하 문제를 제시하였다. 조사 내용적 측면에서는 과거와 비교할 경우 지적 및 부동산관련 분야는 디지털환경으로의 전환 등 많은 변화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지적통계의 항목들은 여전히 항목의 다양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통계자료의 만족도와 활용의 폭을 제약하는 중요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적통계 정보와 타 정보와의 연계성이 미흡하여 지적통계를 기반으로 다양한 가공통계를 생성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활용가능성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보 제공적 측면에서는 현재의 통계자료는 과거 40여년전부터 현재까지 표현방식의 변경 없이 주로 텍스트(수치) 형태의 정보로 제공하고 있어 지적전문가 외에는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가 어렵고 시각적으로 보기에도 매우 복잡한 한계성을 지적하였다. 또한 현재의 지적통계 자료는 텍스트 형태의 문자 정보만을 제공하기 있어 여러분야에서 공간분석 작업을 활용하기에는 한계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도시재생활성화사업에 관한 주민인식 및 지역애착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영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장대기 경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perceptions in a project of revitalizing urban regeneration and the factors related to their attachment to the local area, and furthermore, how much influence they have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projec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residents of Wansan-dong, Yeongcheon-si, Gyeongsangbuk-do.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one month (preliminary and main survey) from March 29 to April 30, 2021. As for the questionnaire response rate, a total of 500 people were surveyed, and 482 of them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resulting in a recovery rate of 96.4%, and 480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2 insincere responses.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asurement tool in this survey,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150 people for about two weeks from March 1 to 15, 2020. As a result of the preliminary survey,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by slightly modifying the difficult parts of the test questions and terms. Regarding the statistical data obtained through the survey, after setting 'awareness of a project of revitalizing urban regener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local attachment degree'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ject' as parameters, and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as a dependent variable, the study analyzed how resident perception and local attachment to the project affected resident participation.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s Subscription and AMOS 26.0 statistical software.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by Cronbach's α to examine the reliability. In addi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conducted to review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first research model using variables whos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structural equation by maximum likelihood method), and the correction index was used until a suitable model was found. In the final modified model, significance was verified through path coefficients and effect decomposition to confirm direct and indirect effects using the bootstrap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residents' awareness of the project, their attachment to the region,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project, the higher the degree of project participation. However,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did not increase just because the residents had an unconditional high degree of attachment to the area. This is because there is a lot of room for disagreement about the project depending on the interests of local residents. For example, since a small amount of construction work is also involved in the establishment of a business, residents with a high attachment to the area may rather have an objection to it. In addition, it is easy to get a backlash from the residents even if there are many concerns about noise and garbage issues, such as frequent tourist visits when the area becomes famous due to the regeneration project. Although there are many positive aspects of the project of revitalizing urban regeneration, it is not easy to persuade unconditional opposition to the project. Therefore, as shown i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by improving the local residents' awareness of the project and their satisfaction with i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increase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by instilling an understanding and positive perception of the project in the residents with a high degree of local attachment. 본 연구는 도시재생활성화사업에 대한 인식이 사업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토한 것이다. 이에 지역에 대한 애착 정도와 도시재생활성화사업에 대한 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함께 검토하여 각각의 변수가 실제 사업 참여도에 미치는 직접적, 간접적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표본은 경상북도 영천시 완산동 주민 500명을 대상으로 수집되었으며, 총 480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이전에 설문조사를 실시한 측정도구에 대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한편, 타당도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과정에서 “도시재생활성화사업에 대한 인식”의 측정변수인 필요성과 성공의지, “도시재생활성화사업에 대한 만족도”의 “지역애착 정도”의 측정변수인 가치인식과 지속성 변수 등 총 6개 항목이 제거되었다. 한편, 기술통계량 분석 결과, 분석 표본은 정규분포와 유사한 패턴인 것을 확인하였고, 최대우도법에 의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의 근거가 되었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은 최초 설정한 연구모형에 대한 구조모형 분석과 수정모형 분석 단계로 우수한 적합도를 가진 모형을 도출하기 위해 개선 과정을 거쳤다. 모형 적합도 개선 과정에서 “도시재생활성화사업에 대한 만족도”의 공원 및 녹지공간 확장, 위험관리상태, 생활만족도 상승 항목, “지역애착 정도”의 발전가능성, 추억거리 항목, “도시재생활성화사업에 대한 참여도”의 의견개진, 조사 및 행사참여 항목 등 총 7개 측정변수가 5차례에 걸쳐 순차적으로 제거되었다. 구조모형 분석 결과, 각각의 잠재변수를 설명해주는 측정변수들은 다음과 같다. “도시재생활성화사업에 대한 인식”은 인식도와 관심도로 설명할 수 있으며, 인식도가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지역애착 정도”는 유대감과 자부심, 지인추천으로 설명할 수 있었으며, 지인추천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도시재생활성화사업에 대한 만족도”는 문화활동 및 여가시설 증대, 상권활성화, 연계산업 육성, 주민역량강화 환경조성, 주민 소득수준 증가, 브랜드 가치증대, 사회적 갈등 완화로 설명할 수 있었으며, 상권활성화가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종속변수인 “도시재생활성화사업에 대한 참여도”는 자료 모니터링과 조직참여, 사업참여로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업 참여 항목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오차항 간 공분산 설정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를 향상시키는 수정모형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으로 경로계수와 효과분해의 방법으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최종 가설검증 결과, 직접효과와 관련된 5개 가설(가설 1, 2, 3, 6, 9)과 간접효과와 관련된 3개 가설(가설 4, 5, 8)이 채택되었다. 채택된 가설을 좀 더 구체적으로 검토해보면, 우선 도시재생활성화사업에 대한 인식의 관심도와 인식도는 지역애착 정도나 사업 만족도, 사업 참여도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사업 만족도와 참여도에는 간접적인 정(+)의 영향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애착 정도의 유대감, 자부심, 지인추천 정도는 도시재생활성화사업에 대한 만족도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사업 참여도에는 간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시재생활성화사업에 대한 만족도의 문화활동 및 여가시설 증대, 상권활성화, 연계산업 육성, 주민소득수준 증가, 브랜드 가치 증대, 사회적갈등 완화가 높아질수록 사업에 대한 참여도도 높아지는 직접적인 정(+)의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검토해보면, 도시재생활성화사업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이나 지역에 대한 애착심, 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업 참여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민들이 지역에 대한 애착도가 무조건적으로 높다고 하여 도시재생활성화사업의 참여도가 높아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도시재생활성화사업은 지역주민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찬반여부가 양분될 여지가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업조성에 대한 약간의 건설공사도 수반하기 때문에 지역에 대한 애착이 높은 주민들은 오히려 반대의 의견이 높아질 수도 있다. 또한, 재생사업으로 인해 지역이 유명세를 얻을 경우 관광객들의 방문이 잦아지는 등 소음이나 쓰레기 문제 등에 대해 걱정이 많을 경우에도 주민들의 반발을 사기 쉽다. 이처럼 도시재생활성화사업에 대한 긍정적 측면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무조건적인 반대의 입장을 설득하기에는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와 같이, 지역주민의 도시재생활성화사업에 대한 인식과 사업에 대한 만족도를 개선하여 사업에 대한 참여도를 높여야 한다. 또한, 지역애착 정도가 높은 주민들에게 도시재생활성화사업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 인식을 심어줌으로써 사업에 대한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미래사회의 지적제도 운영환경 변화에 관한 연구

        이승호 경일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A Study on the Change of Cadastral System Operation in the Future Society Lee, Sung-ho Department of Public Adminstration Graduate School, Kyungi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Lee, Hyun-Jo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state of cadastral system operat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ey issues of future social environment changes and the environmental change of cadastral system in Korea. First, the theoretical study on the cadastral system operation and the prediction of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future society was conducted. Second, the actual state of the cadastral system operation, thir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issues of future social environment changes and the changes in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cadastral system and fourth, the prospect of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future cadastral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as set as the detailed goal of the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and achieve the goals of this research, timeline for research was set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cadastral system to the present and the spatial range was limited Korea and advanced countries. The scope of contents was limited to the analysis of future changes in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future cadastral system according to the future social environment change issues. Within the scope, this study used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identify the consciousness and importance of cadastral system administration. The survey method used literature survey, case study, and questionnaire. Statistical analysis and descript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The hypothesis of the empirical analysis perform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with the expert group on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current cadastral system in the perspective of law, administration and technical ability will not be high. Second, the five key issues of future social environment change, unification, low growth, low fertility, super aging, disaster,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closely connected with cadastral system operation. Third, the five issues in the process of cadastral system operation can measure priorities and weight (importance) of cadastral survey, surveying, registration, management, and provision of information services. It is possible to find a meaningful prospect of sectors where the deviation from each measurement item is not large.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we could extrac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found to be ‘normal’ or ‘dissatisfied’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al environment (legal, administrative, technical) of the Korean cadastral system. Second, from the 87.7% of the respondents (384 out of 438 respondents), the five key issues of future social environment change (unification, low growth, low fertility, super aging, disaster,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closely related to cadastral system operation. Third, we examined the five key issues of future social environment change and the priority and weight (importance) of changes in cadastral system operating environment. As a resul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unification occupied a very high priority and weight in cadastral survey, surveying, registration, management, and provision of information services. The remainder was identified in the order of low fertility, super aging, disaster, and low growth. Based on the core issues of future social environment change,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to the change of future operating environment of cadastral system. Even though the expert group as an object of investigation is confined to intelligent civil servants and cadastral surveyors in order for more objective and comprehensiv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llect opinions of a wide range of stakeholders, including experts on futurism and related scholars in the field of cognitive science.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variables throughout the operation of the cadastral system in the process of forecasting the environment change of future cadastral system operation. Nevertheless, this study limited the five key variables (unification, low birth rate, low fertility, super aging, disaster,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a variety of research approaches such as the derivation of various variables that are not applicable to this study and factor analysis between various details of cadastral system operation.

      • 지적측량수행자제도의 발전방안 연구

        강병춘 경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1) 도해지역에 따른 제도적 한계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의 지적측량업무 전면개방은 매우 신중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고, (2) 지적측량수수료를 일반측량의 경우처럼 용역대가체계로 전환하는 것은, 지적측량수수료의 본질 및 법적 성격과 상치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제도적 폐단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현행의 수수료체계를 그대로 유지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만, 그와 같은 검토 및 판단과정에서, 본 연구는 현행 지적측량수행자제도의 운영에 있어서 지적측량업자의 입장을 충분히 감안한 제도적 보완장치가 이루어질 수 있음에 착안하여 그 발전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 토지소유자 합의에 기초한 지적재조사측량의 경계확정방안 연구

        이승호 경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지적재조사측량과정에서의 토지소유자간 합의경계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기존의 3개 지역 7개 지구에서 수행된 선행사업의 경계확정 실태를 바탕으로 합의경계의 유도과정 및 실적 등을 검토하였고, 2012년 경상북도지역 5개의 사업지구를 대상으로 사업추진의 일반적 사항과 더불어 경계확정에 상관성을 가지는 주요 내용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5개 사업지구 모두 미진한 사업진행을 보이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주된 요인으로는 지적재조사측량에 따른 합의경계 유도과정에서의 구조적ㆍ내용적인 문제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상경계설정의 기준이 명확히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 각종 위원회의 기능 및 역할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조정제도의 기능이 유명무실한 상태에 머무르고 있다는 점 등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 지적측량수수료 체계에 관한 연구

        김성우 경일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측량수수료의 용역대가체계 전환 문제에 관한 법리 검토를 수행하고, 지적측량 등에 따른 개별적인 표준품셈이 적용될 수 있는 고유한 지적측량수수료체계를 모색하는 것이었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연구범위로서, 시간적 범위는 1938년 4월 1일부터 2013년 12월 현재까지로 하고, 공간적 범위는 우리나라에 국한하며, 내용적 범위는 지적측량수수료체계의 실태 및 주요 현안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방법으로서, 접근방법은 역사적 접근방법(historical approach)과 법률적 접근방법(legal approach)을 사용하고,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 및 사례조사법을 병행하며, 분석방법은 기술적(記述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범위와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적측량수수료의 용역대가체계 전환 문제와 고유한 지적측량수수료체계의 정립 문제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측량업무는 지적측량수행자가 행정청으로부터 일정한 권한을 부여받아 대행하는 것이며, 그에 따른 지적측량수수료는 특정인의 대리인으로서 행한 노무의 대가(또는 보수)와는 구별된다. 따라서 지적측량수수료는 행정수수료로서 공공요금적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민간에게 개방된 지적측량 부문일지라도 행정수수료 자체를 용역의 대가체계로 전환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현재까지 지적측량수수료는 ‘측량’이라는 부분이 강조되어 건설공사 표준품셈의 기준에 따라 수수료를 산정해왔기 때문에,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개별적인 수수료의 종목 및 그에 따른 고유한 표준품셈을 갖추지 못하였다. 따라서 지적측량수수료 종목을 일목요연하게 관리할 수 있는 수수료의 분류체계를 개선하고 지적측량을 포함한 지적정보화 관련 수수료의 별도의 표준품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지적측량시장의 건전한 육성을 위하여, 정부는 지적측량수수료에 관한 적정 수준의 가이드라인이 제시될 수 있는 합리적인 지적측량수수료체계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지적측량수수료의 본질을 명확히 재정립한 후, 지적측량 등의 개별적인 표준품셈에 기초하여 고유한 지적측량수수료체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부분을 고려해 볼 때, 본 연구에서 검토된 연구의 결과는 지적측량수수료체계의 개선을 위한 정부의 노력을 촉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 지적사무와 관련된 위원회 운영의 개선방향 연구

        김수일 경일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지적사무 관련 위원회의 합리적ㆍ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현행 지적에 관한 법률 및 지적재조사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다섯 가지의 위원회에 관한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그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첫째, 지적사무 관련 위원회의 운영에 관한 법적 근거의 정비가 시급하다. 무엇보다도, 과거에 설치된 상태에서 무의미하게 방치되고 있는 위원회인 지적불부합지정리 추진위원회를 폐지하고, 지적재조사사업과 축척변경사업 상호간에 중복되는 부분을 감안하여 시군구 지적재조사위원회와 축척변경위원회의 기능을 적절히 재정립하여야 한다. 둘째, 지적사무 관련 위원회의 전문위원 구성체계를 정비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위원의 수적 열세의 극복과 전문 여성위원의 확보를 위한 인적풀(pool)을 구축하고, 위원 임기의 연임규정을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시⋅군⋅구와 시⋅도에서 특정 위원을 무리하게 중복 구성하기보다는 각 시도별로 상임위원을 제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위원회의 심의ㆍ의결과정을 체계화한다. 무엇보다도, 각각의 위원회별로 엄격한 심의ㆍ의결의 자격조건과 기준을 강화하고, 심의ㆍ의결과정에는 당해 사안과 직결되는 당사자를 포함한 주민 및 시민단체의 참여를 확장함으로써 위원회 운영의 민주성과 공정성을 제고시켜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