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비주얼 머천다이징 디자인의 연구동향 분석 : 학위논문과 학술지(1987년~2015년)를 중심으로

        조은아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Under the goal of examining research trends regarding visual merchandising in the nation, this study reviewed the concepts and areas of visual merchandising design in addition to the concepts of merchandising and covered the definitions and previous studies of research trends. The study will claim its significance as the first study to digitize and systemize materials related to visual merchandising design in the academic aspec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in the industries and academic circles related to visual merchandising design in the nation. <Chapter 1 of Introduction> discussed the backgrounds and need, goals and significance, and scopes and methods of the study. It examined scientific treatises, dissertations, and previous studies from 1987 to August, 2015 according to the research backgrounds, goals, scopes and methods. <Chapter 2 of Theoretical Backgrounds> examined the analysis results of understanding and research trends of visual merchandising design. For the understanding of visual merchandising, it discussed the concept of merchandising,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visual merchandising design, and design areas of visual merchandising. For the understanding of research trend analysis, it reviewed previous studies to define and analyze research trends and considered research analysis methods. <Chapter 3 of Research Design> examined the papers to be analyzed and the specific research methods and analysis criteria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visual merchandising design. The objects of analysis were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It searched titles and keywords including VMD, VM, visual merchandising, and visual merchandising design in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visual merchandising and published between 1987 and 2015 at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s for the methodology for VMD trends, it conducted analysis by the topic areas and research methods through the traditional narrative examination, a qualitative approach. It also discussed the criteria to analyze the trends in visual merchandising design by the periods and items. The concerned keyword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paper titles, which show the content of paper in the most implicative manner, and the keywords, titles, and abstracts written by the authors. <Chapter 4 of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Visual Merchandising Design in the Nation> discussed analysis of VMD by the periods and items based on the content of Chapter 2 and the research design of Chapter 3. The trends by the period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beginning and expansion period of VMD(1987-1995) when the product and space direction was researched, the development and maturation period of VMD(1996-2005) when strategic VMD marketing was researched, and the stable maturation and combination period of VMD(2006-2015) when complex VMD marketing was researched. The trends by the stud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design and business administr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departments. The trends by the objects expanded from the fashion field of complex and single stores to other fields. There were VMD researches even in virtual space like online shopping malls. The trends by the topics broadened in scope from design to marketing and from corporations to consumers. <Chapter 5 of Conclusions> sorted out the overall findings of the study and reached conclusions, wrapping up the paper. There were researches on the occupational clusters related to VMD since the first department store in the nation in 1930 and on the VMD trends from the industrial perspective in 2008, but no research has ever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VMD with a focus on scientific treatises and dissertations from the academic perspective. The present study thus holds its significance for its systematic arrangement of trends from the academic perspective. 본 논문은 국내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머천다이징의 개념을 기본에 두고, 비주얼 머천다이징 디자인의 개념과 영역을 살펴보며 동시에 연구동향에 대한 정의 및 선행연구를 고찰한다. 이는 비주얼 머천다이징 디자인의 관련 자료를 학계 측면에서 정량적으로 수치화, 체계화 한 연구를 시초한 것에 의의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국내 비주얼 머천다이징 디자인과 관련된 업계와 학계에 기초자료로서의 활용가치가 있다. <제 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목적 및 의의, 범위 및 방법에 관해서 논한다. 본 논문의 시대적 대상이 되는 1987년부터 2015년 8월까지의 학술 논문과 학위논문, 선행 연구에 관한 고찰과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그리고 연구의 범위 및 방법으로 나누어 논술한다. <제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비주얼 머천다이징 디자인의 이해와 연구동향 분석을 고찰한다. 비주얼 머천다이징 이해에서는 머천다이징 개념, 비주얼 머천다이징 디자인의 정의와 개념,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디자인의 영역에 대해 논한다. 연구 동향 분석의 이해에서는 연구동향의 정의와 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선행연구를 파악하고 연구 분석 방법을 고찰한다. <제 3장 연구 설계>에서는 비주얼 머천다이징 디자인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대상으로 선정한 논문과, 구체적인 연구방법과 분석기준에 대해 살펴본다. 분석대상은 학위논문과 학술지로, 1987년부터 2015년까지 발표된 비주얼 머천다이징 관련 학술지, 학위논문, VMD, VM, 비주얼 머천다이징, 비주얼 머천다이징 디자인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이용하여 제목 및 주제어 검색을 한다. 비주얼 머천다이징 디자인 동향에 대한 연구방법을 정성적인 방법인 전통적인 내러티브 고찰을 통해 주제 영역별 및 연구방법 분석을 하고자 한다. 분석기준으로 시기별과 항목별로 나누어 비주얼 머천다이징 디자인의 동향 분석기준을 논한다. 먼저 논문의 내용을 가장 함축적으로 드러내는 논문의 제목과, 논문의 저자가 기술한 주제어, 제목 및 초록을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통해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제 4장 국내 비주얼 머천다이징 디자인 연구동향 분석>은 2장의 내용을 기초로 하는 본론과 제 3장의 연구 설계를 토대로 VMD에 대한 시기별 분석과 항목별 분석으로 나누어 논술한다. 시기별 동향은 제품·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를 다룬 VMD의 태동 및 확장기(1987-1995년), VMD전략적 마케팅 연구를 다룬 VMD의 전개 및 성숙기(1996-2005년), 복합적 마케팅 연구를 다룬 VMD의 안전 성숙기 및 복합기(2006-2015)로 구분된다. 둘째, 학문별 동향은 디자인학과에서 인문사회계열의 경영학과가 주로 나타났다. 대상별 동향은 복합 및 단독매장의 패션분야에서 다른 영역으로 확장되었고, 인터넷쇼핑몰과 같은 가상공간에서도 VMD연구가 나타났다. 주제별 동향은 디자인에서 마케팅 방향으로 범주가 넓어졌고, 기업측면연구에서 소비자 측면의 연구가 증가함이 확인된다. <제 5장 결론>은 본 논문의 전체를 정리하는 결론으로써 논하며 전체를 끝맺고 있다. 과거 1930년 국내에 백화점이 처음 들어와 VMD와 관련된 직업군과 2008년 업계측면의 VMD동향연구가 발표되었으나 학계측면의 학위와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VMD연구 동향분석은 전무하여, 본 연구는 학계측면의 동향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에 의의가 있다.

      • 리빙디자인에 적용된 아트모티브 : 매체미학적 관점에서의 '-graph'와 'iconology'개념을 중심으로

        김정아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is about the study of art-motifs and applications of the art-motif which is useful in a Living Design, as a new design category. At the first, basically the definition of a living design and art-motif is announced and then, the case studies of design and art-motifs is presented to derive characteristics of art-motifs and the applications from the design process. The case study and analysis is from the view point of Medien&auml;sthetik. This thesis is “"Art-motif in Living Design”" and consisted of the title, the first introductory chapter and 2,3,4 of main chapter and conclusion chapter. <Chapter 1 Introduction> is the background, purpose and significance, scope and method of the research. The definition of a living design and art-motif and the summary of other precedent studies also belong to this section. <Chapter 2 Living Design and Medien&auml;sthetik>is the chapter for theoretical insights. Section 1 provides that the concept of living design is design for human life and something alive and it would be the main theme to developing human’'s future life. Section 2 is an announcement of Medien&auml;sthetik as a new view point of aesthetics which runs parallel with a science and new media having characteristics that it is from the considering a world of image, attentive process of acceptance and acceptor, and it also backs up the art as enjoy or having fun. <Chapter 3 Case studies> presents many kinds of design such as graphics, fashions, products, space which art motifs are applied. The cases are from the insights of art history, design works and mass media including web searching. It also provides the idea that the design with art-motif is a kind of visual communications and the designer and the public who is going to use the design products should be the main agents of the communications. The analysis of this case study is that the process of making art motif for design is considered as an element of visual perception and outcome of design or reactions of user as an element of understanding. <Chapter 4 The deduction of key points from the view of Medien&auml;sthetik>is suggestion of ‘'-graph’' and ‘'iconology’' as important concept in design with art motif. In this visual communication, between designers and users such as living design and art motif, ‘'-graph’' is a kind of starting points of semiotics which is based on aesthetic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aesthetic elements, ‘'iconology’' is a kind of understanding system admits diversity of meanings from the ‘'-graph’' the public take in. This idea and key points are related closely to media, living design, and Medien&auml;sthetik and can be the basic foundation developing and activating a living design, especially actual design processes, because life-close design become more popular and more familiar to the people and the mass media will function as well inevitably. Finally, < Chapter 5 Conclusion> summarizes this thesis and suggests the vision of the living design that the key words, ‘'-graph’' and ‘'iconology’' make the design process and tools verity and methodical, so as design has a helpful effect on human life and life style. 본 논문은 '리빙디자인'이라는 새로운 디자인 영역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아트모티브(Art Motif)와 관련하여, 이를 이용한 디자인 과정과 그 방법론적 특성을 학문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리빙디자인의 정의 및 아트모티브에 대한 이해를 기본에 두고, 리빙디자인에 적용된 아트모티브의 실제 사례를 분석하여 디자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과 디자인 과정상의 특성을 도출함으로써 이와 관련한 디자인 방법론적 탐구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이다. 실제 사례의 분석은 매체미학적 관점이 그 토대가 되었다. 본 논문은 '리빙디자인에 적용된 아트모티브에 관한 연구'로서 제 1장 서론, 제 2, 3, 4장의 본론, 제 5장 결론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와 방법에 관해 논한다. '리빙디자인'과 '아트모티브'에 대한 용어 및 그와 관련한 선행연구에 대한 정리도 본 연구의 전제가 된다. <제 2장 리빙디자인과 매체미학>은 연구의 바탕이 되는 이론 및 개념에 대한 고찰의 장이다. 제 1절은 리빙디자인 개념과 발전 양상을 부연(敷衍)하고, 제 2절은 새로운 미학적 시각으로서의 매체미학에 대해 정리한다. '과학기술과 매체의 발달'이라는 시대적 배경을 공유하는 리빙디자인과 매체미학에 대한 이해는 본 연구에서 전개될 사례의 분석 기틀이자 핵심개념 도출의 학문적 토대가 된다. 본 연구의 주된 관점으로서, 이미지 중심, 수용과정 및 수용자 중심, 즐김의 예술을 표방하는 매체미학적 특성 또한 본 장에서 제시된다. <제 3장 사례 분석>에서는 미술사, 디자인 분야별 집성(集成), 대중매체 등을 통해 수집된 사례를 분석한다. 아트모티브를 적용한 디자인을 예술 작품, 디자인, 대중 사이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으로 보고, 이를 행위 주체자인 디자이너 중심에서 세분화 하여 분석항목을 정리하되, 앞 장에서 언급한 매체미학의 특성에 입각하여 이미지의 지각과 대중적 수용 과정에 그 비중을 둔다. 디자이너가 예술 작품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그것을 모티브화 하여 새로운 디자인에 적용하게 되는 일련의 과정과 완성된 디자인을 통해 디자이너에서 디자인을 사용하는 사용자, 혹은 그것을 직,간접적으로 접하게 되는 대중에게 전달되어 지는 의미 체계를 앞서 언급한 매체미학적 특성에 부합시켜 사례를 분석 한다. 그러한 결과로서 예술 작품이 아트모티브화 되는 과정은 미적 경험과 인식 경험을 전제로 하는 시각적 조형요소로, 디자인 결과물과 아트모티브를 통한 디자이너와 대중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은 지시작용과 해석작용을 전제로 하는 인지적 의미요소로 분류될 수 있다. <제 4장 매체미학적 관점에서의 핵심 개념 도출>에서는 매체미학적 관점을 종합 정리함과 동시에, 제 3장에 근거하여 아트모티브를 적용한 리빙디자인의 과정의 핵심 개념을 제시한다. 디자인의 과정에서 아트모티브를 적용함에 있어, 사고의 전개 및 디자인의 방법, 대중적 수용의 단계에서 부각되는 이론적 체계의 분석 과정을 거치면서 본 연구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체계의 시발점으로서 미적경험과 인식경험을 토대로 대중에게 제시되는 발화(發話)적 개념과 그것을 수용하게되는 대중의 이해 및 해석의 단계에 주목하게 된다.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발단이자 의미의 표현적 측면을 강조한 포괄적 개념, 즉 '~으로 그리다/ 쓰다'의 의미를 가지는 어미적 형태의 개념어인 '-그래프(-graph)' 와 디자인 결과물이 대중에 의해 이해, 해석되는 인지적 의미 요소인 수용(受用)적 개념인 '아이코놀로지(iconology)'가 주요 개념으로 제시된다. 또한, 이렇게 디자인 과정과 수용자 측면에서의 의미 전달 체계를 중심으로 하는 단계적이고 포괄적 개념의 고찰을 통해 20세기 이후 필연적으로 등장할 수 밖에 없었던 매체미학과 리빙디자인에 적극 활용되는 아트모티브, 그 디자인의 수용 과정에 근거한 연구의 당위성을 재확인 할 수 있으며, 이는 리빙디자인에 있어 다양한 방법론적 탐구의 토대가 됨을 언급한다. 마지막으로 <제 5장 결론>에 있어서는, 앞 장의 내용 및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서, 본 논문에서 새롭게 제시된 '-그래프(-graph)'와 '아이코놀로지(iconology)' 개념이 디자인학과 리빙디자인의 학제적 영역을 확장하고, 그 가치 실현의 의의를 가짐을 전망하며 본 논문 전체를 맺음 한다.

      • 강단 화예디자인의 상징 표현에 대한 연구 : 기독교 상징 체계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송희경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to present design basis of the pulpit floral art and design not a 'pulpit floral arrangement' with a simple ornamental concept and to conrtibute to make a theory for embodying the pulpit floral art and design based on it, through systematically classifying symbolic expression methods to be used in the pulpit floral art and design. For it, the study reviewed significance of Christian worship , worship places and meanings of pulpit flowers and general symbolic systen of Christianity and analyzed symbolic expressions shown in pulpit floral art and design within Christian worship places. The pulpit floral art and design has used a great deal of symbolic methods in most of expressions as it was greatly influenced by Christian symbolic system. The study grouped those expression into linguistic symbols and visible symbols and investigated into its practical uses, sepatately at seasonal and non-seasonal terms. Worship is an exchange with God,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best services and praise that human being can offer to deuty, and they need a place to do worship. Pulpit flowers used to create worship atmosphere, greatly harmonize with the act of worship, and help believers to purify their mind and to feel more mental security before entering into worship. The pulpit floral work of art has a significance that it have an effect ro srimulate religious piety. The church year involves seasonal divisions different from solar nalendar, and symbolic expression of the pulpit floral art and design comes in two; linguistic and visible. The linguistic symbol refers to simplified expression of an object not confining to conceptual shapes, and it can be analyzed in the light of abstract side. The abstract aspect the symbol leaves room to spare, which can actively reflect creative intention of a designer. Thus, it can repreasent more aspects of expressions of desigh than symbolic expression. The visible symbol means a way to depict what the bible said, directly and concreately. It definitely indicates vocabularies and ebents related to God's words, and viewers can understand them very easily and exactly. The visible symbol can be subdiciede nto expressions of colors, materials and styles under the condeptual category of depictive expression. The pulpit floral art and design depending on the church year, use visible symbols with significance. Accordingly, the visible symbol expression is characterized more by traditional way of expression based on christian symbolic system rather than by creative idea of a designer. The pulpit floral art and design for non-seasonal terms indecates those performed for commemorative weeks excluding seasonal terms based on the church year, and it can greatly reflect creative ideas of a maker and linguistic symbolic expression focusing on abstract aspect is mainly used. In the study, i delved into the floral desigh performed at non-seasonal terms, which have been hardly discussed before, and i made sure that pulpit floral art and design at non-seasonal terms make the most use of various kinds of aesthetic tools to represent themes. Introducing desigh concepts, through reviews of works of art in detail. It suggests that floral design expression and elements can be more abundantly applied to non-seasonal pulpit floral art and design than seasonal ones. This study also tried to reveal that the pulpit floral art and design does not remain as a "pulpit floral arrangement" but has a sighnificant part to play in the floral area. Based on it, i expect that a new area of the pulpit floral art and design can be discovered, which would have at once originality and aesthetic quality that may combine with basic principles of Christianity. 본고는 강단 화예디자인에 활용되는 상징 표현의 방법을 체계적으로 분류함으로써, 단순한 장식적 개념으로서의 "강단꽃꽃이"가 아닌 강단 화예의 디자인적 근거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강단 화예디자인의 구상 및 작품 표현을 위한 이론화 작업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기독교 예배와 예배공간 및 강단화의 의미와 기독교 일반의 상징체계를 고찰한 뒤, 기독교 예배공간 내의 강단 화예에 나타난 상징표현을 분석하였다. 강단 화예디자인은 기독교의 상징체계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바 대부분의 표현에 있어 상징적 방법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강단 화예디자인에 쓰이는 표현 방법을 언어적 상징과 가시적 상징으로 분류한 뒤, 교회력에 따른 절기 및 비절기 기간에 각각의 표현 방법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예배란 하나님과의 교류로서 거룩한 존재에게 인간이 드릴 수 있는 최상의 봉사와 찬양을 드리는 행위이며 이러한 예배를 위해서는 예배공간이 필요하다. 예배 환경 조성을 위해 강단부에서 사용되는 강단화는 신앙의 표현이자 예배와 조화를 이루어 성도들의 마음을 정화시키고 예배 시작 전 마음의 평화와 안정감을 느끼게 해주는 기능을 한다. 강단 화예작품은 성도들로 하여금 신앙적 경건성에 대한 자각을 불러일으키는 효과를 지닌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본고에서는 강단 화예디자인의 상징 표현을 언어적 상징과 가시적 상징으로 분류한 뒤, 그것이 절기 및 비절기 강단 강단 화예디자인에 반영되는 양상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언어적 상징은 구상적인 형태에 얽매이지 않고 대상을 단순화하여 표현하는 방법으로 추상적 표현의 측면에서 분석이 가능하다. 이 때 상징이 지니는 추상성으로 말미암아 작가 개인의 창조적 의도가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여지가 생기게 된다. 그로 인해 가시적 상징 표현에 비해 디자인의 표현 양상에 있어 더 많은 다양성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가시적 상징을 성경말씀의 내용을 직접적 구체적으로 작품에 표현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말씀과 관련된 어휘 및 사건들을 구체적으로 지시하는 가시적인 형태를 통해 표현되므로 고나찰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동시에 빠르고 정확하게 내용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지닌다. 가시적 상징은 설명적 표현이라는 개념적 범주 아래 색채-재료-형태 표현 등의 하위 범주로 세분화된다. 교회력의 절기에 따른 강단화예디자인 상징표현에서는 절기에 따라 반드시 예전색을 사용해야 하는 강제성으로 인해 실제 작품 표현시 추상적인 언어적 상징보다는 관찰자가 쉽고 명확하게 절기와 절기의 의미를 알 수 있게끔 해주는 가시적 상징이 주로 사용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시적 상징 표현에서는 작가 개인의 창작적 의도가 부각되기보다는 기독교 상징 체계에 근거한 전통적 표현방식이 강조되는 특징을 띠게 된다. 비절기 강단 화예디자인은 교회력의 절기를 제외한 기념주일에 행해지는 강단 화예디자인을 가르키는 것으로서 비절기 기념 주일에는 작가의 창작적 의도가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전통적 상징성이 강조되는 가시적 상징보다는 추상성이 강조되는 언어적 상징표현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논외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비절기 주일 강단 화예디자인에 착목하여 비절기 주일의 강단화에도 주제를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심미적 방법들이 활용되며 따라서 디자인의 개념이 도입되어 있음을 작품에 대한 구체적 검토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절기 강단화보다는 비절기 강단화에서 화예디자인적 방법과 요소가 더욱 풍부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은 강단 화예디자인이 단순히 교회 공간의 장식적 요소 곧 기존의 '강단꽃꽃이'가 아닌 화예디자인의 한 영역으로서의 의의를 지님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토대로 독창성과 심미성을 지니면서도 기독교 신앙의 근본 원리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강단 화예디자인의 새로운 영역이 개척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교육 모형 연구 :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감성 교육을 중심으로

        이성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꽃과 식물은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해주며 미술 작업에 예술적 영감을 불어넣어주는 소재이다. 꽃과 식물을 이용한 예술 분야로는 전통적으로 화훼, 원예, 화예디자인이 있는데, 특히 화예디자인은 자연 소재 중심의 디자인을 범주화한 분야로, 식물 자체가 갖는 생명력의 아름다움을 자연적으로 구현하여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 들어 꽃과 식물의 활용은 환경과의 상관성을 작품으로 연출하는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분야로도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술적 특성만으로는 미래의 화예디자인을 발전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 화예는 환경으로부터 받는 영향이 절대적인데 이는 다른 디자인 분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화예디자인의 고유한 특성이며 단점이라고도 할 수 있다. 오늘날 화예의 재배에서 폐기까지의 시스템에서는 한정된 자원에 대한 보전과 자연친화적인 요소들을 고려하지 못한 프로세스가 많이 실행되고 있다. 이는 현 상황에 대한 디자인계의 환경 관련 문제의식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서, 시대변화에 시의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것이기에 결코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없다. 최근 이에 대한 반성적 의미에서 화예디자인 및 환경디자인 분야에서는 공통적으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지속가능성의 중요도가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화예 및 환경연출디자인 관련 전공에서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교육을 하거나, 전공의 별도 트랙(Track)으로 관련 교육을 제공하는 학과는 아직 없다.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기반으로 한 교육의 시작은 자연의 관찰과 체험을 바탕으로 하며, 이에 자연환경 관련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자연 요소를 활용한 지속가능성 교육 가운데, 특히 자연연출 요소의 분야가 중심이 되는 ‘화예’는 자연의 원리 및 특성을 이용해 디자인적 기능으로 조형하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분야이다. 이를 연출적 영역으로 더욱 확장하여,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영역이 다루는 구체적인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체계적인 교육 과정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화예 분야가 영속성을 가지고 발전하려면, 현 교과과정에 ‘생태적 관점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 자각이 포함된 ‘공감적 감성교육’이 필요하다. 감성교육은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방법 중 하나로, 인간 삶의 포괄적인 영역에서 가장 기본적인 한 국면으로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 감정이입 능력, 공감 능력, 문제해결 능력의 기능을 강조한다. 특히,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바르게 인지하고 조절해 궁극적으로 문제해결에 창의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창의적 감성교육을 융합한 교육 모형을 구축한다면, 화예디자인과 환경연출디자인 분야에서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문제가 심각한 21세기에 적합하며 영속성이 있고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실시 중인 지속가능성, 화예디자인, 환경연출디자인 관련 전공의 교과과정 및 교과목의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시사하였다. 국내에서는 서울대학교, 해외에서는 코넬 대학교,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위틀 대학교들의 지속가능 개발 디자인 교과과목에 대한 벤치마크 분석을 토대로,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적용한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감성교육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육모형의 개발 절차는 첫째, ‘교육모형도 개발’, 둘째, ‘교육트랙 및 모듈 개발’, 셋째, ‘교육평가의 평가’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먼저 교육모형도 개발 단계에서는 기존의 체계적∙비체계적 교육모형인, ‘타일러’, ‘워커’, ‘아이즈너’와 문제 중심 학습인 ‘PBL’ 학습 모형을 재구성하여 교육모형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교육트랙 및 모듈은 본 연구의 핵심 키워드인 ‘생태적 지속가능성’의 5차원(미학, 윤리, 환경, 사회, 경제적 측면)과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프로세스 5단계(재배생산-디자인-유통소비-사후처리-인력교육)를 적용하여 개발한바, 지속가능 생태 감성교육 중심으로 한,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교육트랙에 대한 총 25가지 종류의 모듈을 개발 및 제안하였다. 개발한 모듈은 두 가지 이상 선택적으로 융합 및 응용하여 교과과목을 구성할 수 있으며 교과과정은 단계별로, 1)교과 중심 모형(기초단계), 2)감성교육 중심 모형(중급단계), 3)문제해결 중심 모형(상급단계)으로 분류하였다. 개발한 교육모듈의 교과과정, 교과목은 ‘학습방법(method):이론/실습’, ‘학습과정(sequence):지속가능성/화예디자인/환경연출디자인’, ‘학습범위(scope):기초-중급-상급’의 틀로 나누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모듈을 적용한 교과목에서는 학습 단계가 높아질수록, 지속가능성, 환경연출디자인, 화예디자인 각각의 개념을 서로 조화롭게 유기적이고 통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으며,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교육과정에는 각 모듈의 요소가 높은 연결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제로 웨이스트와 심미디자인’ 교과목은 생태적 지속가능성의 ‘경제적’ 차원인 ‘에너지 효율성’의 내용과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프로세스의 ‘미학적’ 단계의 ‘미의식’ 내용을 융합하였고, 문제해결과 감성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상급 단계의 교과과목이다. 따라서, 25개의 교육 모듈로 구성된 화예 환경연출디자인의 학습 과정은 창의적이고 감성적이며, 학습 결과도 환경문제와 그로 인한 각종 사회 문제에 대한 현실적이며 효과적인 문제해결을 제시하는 디자인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교과 과정의 교육평가는 학습자의 학습목표 달성도를 측정하여 실시하도록 제안하였는데 먼저, 선행연구를 근거로 학습자 수행 평가지를 구성한 후,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학습 수행 평가지의 타당성, 실용성 등을 검증하였다. 인터뷰 결과를 취합 분석하여 도출한,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반영하여 기존에 제안한 평가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학습 수행 평가지를 구성하였다. 과거 환경이라는 개념을 바라보는 시각은 인간이 자연과 대치하는 상황에서 자연을 이용하고 활용한다는 측면이 강했지만, 현재 인간이 자연의 일부로 포함된다는 관점이 강조되고 있다. 산업 발전과 아름다움에만 치중되어 있던 인간중심의 지속가능성이 아닌, 생태적 지속가능성 기반의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감성 교육은 인간이 자연의 일부로서, 지속가능성의 문제점과 자연의 생명성, 순환성, 희소성, 친환경성, 독창성 등을 보다 깊이있게 통찰하고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지속가능 생태 감성적 태도를 지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21세기의 교육은 이러한 생태적 지속가능성 기반의 관점을 받아들이고 보다 거시적인 차원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해 고민해야 하는 것이다. 미래 세대가 성장하여 향후 생태계의 부정적인 변화를 늦추도록 하기 위해서는 현재 학교 교육에 환경소양, 생태소양을 키우기 위한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교육과정이 추가되어야 한다. 특히, 교육과정이 생태적 지속가능성 문제에 대한 지식 습득에 그치지 않고, 자연 요소를 활용한 연출 디자인 활동 등을 통해 실천과 행동 단계까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면 더욱 효과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시작한 본 연구는 생태적 지속가능성 차원을 수용하고,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감성 교육의 교과 과정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이와 관련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학문적∙실무적 자료로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단편적인 화예디자인이나 환경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이 아닌, 미래지향적인 지속가능 생태 감성 개념을 적용한 화예 중심 환경연출디자인 교과과정을 제시하였고, 융합을 강조한 실천가능한 25가지 교육모듈을 개발하여 화예디자인이 대학에서 독립된 미술 및 디자인 교과과정으로 자리잡고 발전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 제시한 교육모형과 모듈이 미술 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도입되어, 21세기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감성 교육의 저변확대에 이바지하길 바란다. Flowers and plants enrich human life and give inspiration to art. The field of art utilizing flowers and plants includes floral art, horticulture, and floral art design. Among them, the floral art design is characterized by its use of natural materials. It sublimates the beauty of the vitality of the flowers and plants into artwork. In recent years, the use of flowers and plants has expanded into floral environment art design, which expresses th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in the form of designs. However, such artistic characteristics alone are insufficient to further develop flower designs for the future. Floral art is under the absolute influence from the environment, which cannot be found in other design fields, and is a unique characteristic as well as a disadvantage. Today, many processes, such as flower cultivation and the disposal of used flowers, do not consider the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that is scare and limited. This is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in the field of art and design of the current environmental issues, which is undesirable as this ignores the urgent calls from society. In response to the criticism,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sustainability' in floral art and environmental design. Despite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sustainability, very few departments offer courses or tracks on floral art environmental design focusing on ecological sustainability. Ecological sustainability education requires observation and experience of nature, and it is high time to bring a paradigm shift to education about the natural environment. Among many fields that use natural elements, the floral art of which the natural elements are at the center can teach design education, emphasizing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nature. It is necessary to further expand this into the field of floral art environmental design and establish the curriculum which underpins ecological sustainability. For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floral art, emotional education that includes recognition and awareness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needs to be incorporated into the current curriculum. Emotional education is an educational method suited for cultivating 'creative and integrated' talents. It emphasizes empathy and the ability to control emotion and solve problems in all aspects of human life. In particular, by accurately recognizing and regulating emotions of self and others, people can solve problems more creatively. A combination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and creative, emotional education can create an education model that is lasting and suitable for the 21st century threaten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This model can cultivate minds that proactively find solutions for the problems plaguing society and its members. To achieve this aim, the researcher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urriculum and courses related to sustainability, floral art, and environmental design in domestic and foreign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universities that this study benchmarked include Seoul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Cornell University (USA), School of Art Institute of Chicago (USA), Rhodes Islands School of Design (USA), and Whitley University (UK).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urses these schools offer, this study proposed the "emotional education model focusing on ecological sustainability for floral art environmental desig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ducational model as follows: education model development, education track and module development, education evaluation.First, in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educational model, the framework of the educational model was proposed by reconstructing Tyler, Walker, and Eisner's models, along with the Problem-Based Learning model. Second, this study identified five key aspects (aesthetic, ethical,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and the five stages of the environmental direct design process (cultivation & production-design-distribution & consumption-disposal- education). The track and module were developed using a combination of the five aspects and five stages of sustainability, resulting in 25 modules. A subject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wo or more modules. The proposed curriculum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such as 1) subject-centered model (basic level), 2) emotional education-centered model (intermediate level), and 3) problem-solving model (advanced level). Depending on the content, the curriculum and courses can be categorized as method: (theory/practice), sequence (sustainability/floral art/environmental design), and the scope of learning (basic/intermediate/advanced). The courses that this study developed are expected to teach the concepts of sustainability, floral art, and environmental design in a cohesive, comprehensive, and integrative way as the modules have higher levels of correlations and interdependency. For example, Zero Waste and Aesthetic Design,' an advanced level course focusing on Emotional Education, has integrated energy efficiency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and aesthetic perception from the aesthetic theory. Therefore, the learning process of floral art environment design composed of 25 education modules is creative and emphatic, and the learning outcome of these modules are expected to be practical and realistic designs solutions for various social issues. Last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evaluation of learning outcomes measures learners' achievement of the learning objectives of the courses. For this aim, this study first designed an interview questionnaire based on past studies and conducted in-depth personal interviews with expert panel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usability of the evalua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and reflected on the revising and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of learning outcomes. Traditionally, the view on the environment has been dominated by the idea that humans and nature have constant struggles and conflicts and that humans can and need to maximize the utility of nature. The recent trend, however, has started to view that humans are a part of nature, not a dominant player in an ecological system. The proposed curriculum is founded upon ecological sustainability that argues that sustainability should not be human-centered, and sustainability education must explore and contemplate the vitality, circular nature, and scarcity, ecology, and distinctiveness of nature. This approach can cultivate emotional intelligence that values ecological sustainability. The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requires the acceptance of such a perception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and demands the macro-perspective on sustainability. This ecological sustainability education curriculum can prevent and delay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destruction of the ecological system by fostering positive mindsets and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and ecology. In specific, the proposed curriculum will deliver not only theoretical and conceptual learning but also actions and corrective measures that employ natural elements and resources, which is anticipated to be more effective and valuable. The contribution of the current study lies in its proposed curriculum for ecological sustainability education, which improves the weaknesses of the past studies and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nsights for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future. In specific, the curriculum this study proposed is not for floral art or environmental design, respectively, but the convergent education program for floral art environmental design founded upon futuristic ecological sustainability. The integrative 25 modules are specifically design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floral art to be offered as a stand-alone curriculum in art departments or art schools. This study hopes that the proposed curriculum and modules are introduced to various academic fields and serve as a catalyst to exp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and emotional education for the higher education scenes in the 21st century.

      • 디자인 분야에 나타난 FUN 연출 사례연구 : 시대별 주 경향 분석을 중심으로

        이혜문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method and developmental aspect of expressions related to the changes with time. The case of representation of 'fun' in the field of design will be explained with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production design, characterization and representation techniques of 'fun'. Modern society is flooded with new information. And for the contemporary people looking for information, visual expression of information is delivered more effectively compared to the language expression. This information delivery method gives modern people the visual satisfaction, and it uses 'fun' as a distinguished way to communicate. Before organizing expression techniques and methods for 'fun' in the field of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fun' are visualized by incorporating description of a situation or an object, visual modification with changing locations, and conversion of functions into the aspect of expression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fun' and the aspect of expression development according to different times. And we present the flow of “fun” expression by different eras as the fundamental data. This study is titled as 'A Case Study of Fun Direction in Design Field' and is organized into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s 2 and 3, Chapter 4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Chapter 5 conclusion. In Chapter 1 Introduction, the originality of this study is shown through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method, and preceding studies. Chapter 2 consists of production design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fun'. Section 1 defines the concept of production design and discusses about the visual aspect and meaning of information and the aspects of functional information in the production design. Section 2 considers the general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fun', and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fun' were derived using dictionary definition and internet word search tool. In addition, expression techniques and methods to visualize the characteristics of “fun” were studied. Chapter 3 is based on Chapter 2, with Section 1 discussing about the case study overview and methods. The scope of analysis was from 1950 to 2013, classified into four eras based on the design companies and the core keywords of the eras, concentrated on the images containing “fun” characteristics in the field of designs. For the image analysis method, Kobayashi image scale was used with the positioning method to analyze the expression method and developmental aspect. With this analysis, in Section 2, the visualiz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fun” and the expression technique and flow of methods in the fields of ①advertisement ②products ③space ④fashion were based to derive aspects of expression development of “fun” by eras in the ①visual modification ②functional conversion. In Section 3, the entire Chapter 3 is summed up. Chapter 4 drew the flow of 'fun' representation and expression by different eras based on the case studies of products, space, and fashion design, to derive the characteristic of 'fun' representation with the changes in time. In Section 1, with the characteristic of 'fun' expression, the flow of characteristic is emphasized on friendliness, and gradually emphasized on humor and contradictoriness. In Section 2, as the expression method of 'fun', strong image expression is progressively emphasized into story telling. Section 3 derives the flow of visual modification gradually enhancing into functional conversion, in the aspect of 'fun' expression development. Section 4 presents comprehensive summary of the characteristic of flow in the production of “fun” applied in the field of design. Finally, in Chapter 5,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laid out in Sections 1-4. In the field of production design, ①expression characteristic ②expression method ③expression development aspects of the characteristics is suggest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ime, and the direction of 'fun' expression for the flow of future production is presented as the basic data in this entire study. 본 논문은 디자인분야에서 나타나는 펀(fun) 연출의 사례를 해명함에 있어 연출디자인의 개념과 펀(fun)의 특성 및 표현 기법을 기본 이해에 두고 펀(fun)의 특성을 시각화하는 표현 방법과 표현전개 측면에 관하여 시대적 흐름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대 사회는 새로운 정보 홍수로 인하여 정보를 습득하는 현대인들에게는 언어적 표현보다 시각적 표현이 정보를 전달함에 있어 효율적이다. 이러한 정보전달 방법은 현대인들의 시각을 충족시키고, 차별화된 방법으로 펀(fun)을 소통의 수단으로 이용한다. 디자인분야에서는 펀(fun)의 표현 기법과 방법을 구성하기 이전에 표현 전개 측면을 어떤 상황이나 대상의 내용 및 위치를 바꾸는 시각적 변형과 기능적 전환으로 설계하여 펀(fun)의 특성을 시각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펀(fun)의 특성 및 방법 그리고 표현 전개측면을 시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시대적 펀(fun)의 표현 흐름 특성을 기초적 자료로 제시한다. 이에, 본 논문은 ‘디자인 분야에 나타난 FUN 연출 사례연구’라 제목하고, 제 1 장 서론, 제 2, 3, 4 장의 이론적 이해 및 본론 제 5장을 결론으로 구성한다. 제 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범위 및 방법,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독창성을 밝힌다. 제 2장 연출 디자인과 펀(fun)의 이론적 배경으로, 제 1절은 연출디자인의 개념을 정의하고, 연출 디자인이 갖는 정보의 시각적 측면과 의미·기능정보 측면을 논한다. 제 2절은 펀(fun)에 관한 일반적 개념과 특성에 대한 고찰로 펀(fun)의 사전적 정의와 인터넷 어휘망 툴(tool)을 통해 나타나는 일반적인 펀(fun)의 특성을 도출한다. 아울러 펀(fun)의 특성을 시각화는 표현 기법과 방법에 관하여 고찰한다. 제 3장에서는 제 2장을 근거하여, 제 1절에서 사례 분석 개요 및 방법에 대해서 논한다. 분석 범위는 1950년에서 2013년까지로 디자인 사 및 시대의 핵심 키워드 근거로 4개의 시대로 분류하여 디자인 분야에서 펀(fun) 특성이 적용된 이미지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미지 분석방법은 고바야시 이미지 스케일을 도입하여 포지셔닝 방법으로 표현 방법과 전개 측면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 방법을 통하여 제 2절에서는 ①광고 ②제품 ③공간 ④패션 디자인의 분야의 펀(fun) 특성을 시각화하는 펀(fun) 특성과 표현 기법 그리고 방법의 흐름을 바탕으로 시대별로 나타나는 펀(fun)의 표현 전개 측면을 ①시각적 변형 ②기능적 전환으로 도출한다. 그리고 제 3절에서는 3장의 전체를 정리한다. 제 4장에서는 시대별 펀(fun) 연출의 표현 흐름 도출로 광고, 제품, 공간 그리고 패션 디자인 분야의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펀(fun) 연출의 시대적 흐름 특성을 도출했다. 제 1절에서는 펀(fun)의 표현 특성으로 특성의 흐름은 친근성에서 점차적으로 재치성과 모순성을 강조한다. 제 2절에서는 펀(fun)의 표현 방법으로 강한 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에서 점차적으로 스토리성을 강조한다. 제 3절에서는 펀(fun)의 표현 전개 측면으로 시각적 변형에서 점차적으로 기능적 전환이 증가되는 흐름을 도출했다. 제 4절에서는 디자인에서 펀(fun)이 적용된 디자인 분야의 연출 흐름의 특성을 종합소결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제 5장은 제 1장부터 제 4장까지 나열한 본 논문의 요약으로 연출 디자인 분야에서 펀(fun)의 ①표현 특성 ②표현 방법 ③표현 전개 측면의 시대적 흐름의 특성을 제시하며 향후 연출 디자인에서의 펀(fun)의 표현 방향을 기초적 자료로 제시하며 본 논문 전체를 맺고 있다.

      • 퓨전(Fusion)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식음공간을 중심으로

        이현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퓨전(Fusion)의 공간적 특성을 해명함에 있어서 퓨전의 개념상의 이해를 그 기본에 두고 과거로부터 있어온 퓨전의 경향을 디자인적 사조나 양식에 근거하여 고찰하며 그것의 규명을 통하여 국내 식음공간에 나타난 퓨전 요소와 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이다. 이에, 본 논문은 퓨전(Fusion)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식음공간을 중심으로- 라고 제목하고 제1장의 서론, 제2, 3, 4, 5장의 본론 및 결론으로 구성된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 기본적 시점 및 방법에 관해서 논한다. <제2장 퓨전의 이해>에서는 퓨전의 역사적 배경과 일반적 경향을 논하고 그것의 기초가 되는 시대적 상황 및 사상적 배경을 퓨전의 개념요소로 묶어 다다이즘(Dadaism), 팝 아트(Pop Arts), 미니멀리즘(Minimalism),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젠 스타일(Zen Style)과 같은 디자인적 사조나 양식으로 고찰하여 퓨전의 전체적인 모습을 이해하고 음식, 패션, 영화, 음악에서의 퓨전을 알아본다. <제3장 공간에서의 퓨전 경향>에서는 상술한 제2장의 본론으로서 퓨전을 건축, 실내디자인, 가구디자인, 조명디자인의 분야 내에서 세 가지의 팩터를 설정, 세부적으로 고찰한다. <제4장 식음공간에서의 퓨전 요소 분류 및 해석>에서는 사례조사의 결과를 정리하고 있다. 국내의 식음공간에 관한 사례를 그 조사대상으로 한정하고, 그 내용을 공간적 퓨전 현상에서 보여지는 다양한 형태로 유형화한다. <제5장 퓨전 요소의 유형 분류>에 있어서는 전장까지의 고찰 즉, 퓨전의 전반적 이해를 기초로 퓨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고찰을 여섯 가지 팩터로 나누어 분석하고 있다. 우선 퓨전의 공간적 특성에 있어서 시간적 측면, 장소적 측면, 속성적 측면으로 나누고, 이 팩터에서 다시 세분화하여 장소의 혼합, 성질의 혼합, 시간의 혼합, 재질의 혼합, 성성(性性)의 혼합, 스타일의 혼합으로 분류, 분석하여 그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본 장 전체를 맺고 있다. <제6장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집적하여 최종적인 결론을 이끌어내고, 퓨전의 디자인적 측면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fusion factor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eating and drinking places in Korea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fusion concepts and a consideration of fusion trends from a viewpoint of design trends and styles from the past. The title was decided as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Fusion - from a perspective of eating and drinking places -. And Chapter Ⅰ covers the introduction, the body expands from Chapter Ⅱ to Ⅴ, and Chapter Ⅵ provides the conclusions. <Chapter Ⅰ, the Introduction> is a discussion of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e study, the basic perspectives, and methodology. In <Chapter Ⅱ, Understanding of Fusion>, first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general trends of fusion were considered. And the situations of the times and backgrounds of thoughts that served as their base were all included in the concept factors of fusion and examined from a perspective of design trends and styles such as Dadaism, Pop Arts, Minimalism, Post-Modernism and Zen Style. Thus the overall picture of fusion was drawn, and the fusion in foods, fashion, movies and music was put in thought. <Chapter Ⅲ, the Fusion Trends in Space> made the main discours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in Chapter Ⅱ. The three factors of fusion were chosen and considered in depth in the area of architecture, interior design, furniture design, and lighting design. <Chapter Ⅳ, Class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Fusion Factors in Eating and Drinking Places> provides the results of case studies. Eating and drinking places in Korea constituted the subjects of case studies, in which the spatial fusion phenomena were concreted in diverse types. In <Chapter Ⅴ, Analysis of Fusion Factor Typ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fusion were analyzed and studied into six factors based 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fusion, on which the consideration efforts so far focus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fusion were categorized into three aspects of time, place, and attributes. These three factors were sub-itemized into the mixture of places, of characters, of time, of materials, of nature of sex, and of styles. Thus the characteristics became clear in the end of the chapter. In <Chapter Ⅵ, th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put together to draw the final conclusions. And the potential of fusion in the world of design was suggested.

      • 살롱문화공간에 관한 연구 : 문화와 공간의 변화 및 관계성을 중심으로

        강현정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살롱문화의 역사적 고찰이며, 그 중에서도 살롱의 문화와 살롱문화공간특성의 관계성을 다룸으로써 살롱의 시대, 문화, 공간의 가치와 현대 살롱문화컨셉의 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시대의 발달 과정에 나타난 살롱의 근원적 문화와 공간의 총체적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호학적 접근에 근거하여 시대, 문화, 공간의 사회 활동 해석을 전제로 한다. 이어 앞의 전제를 바탕으로 살롱의 초기개념에 대한 해석, 살롱 용어의 해석, 시대에 나타난 살롱 특성 체계와 살롱의 시대, 문화, 공간을 유기적 관계로 제시한다. 살롱의 체계적 분석을 위해 초기 살롱의 문헌, 그림, 사진, 영화, 다큐멘터리 자료를 기준으로 하며, 르네상스 시대부터 현재(2019년 3월)까지의 시대 구성과 문화, 공간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고찰하여 살롱문화와 살롱문화공간특성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결과로 도출 한다. 살롱은 인간 중심의 사회적 활동으로 개인과 개인의 가치관이 동시에 일치하여 나타나는 시간, 문화, 공간이다. 대화를 소통의 수단으로 주최자와 참여자가 공통적 주제를 논하며 이 과정에서 형성된 동일한 즐거움을 통해 자아의 실현과 사회적 활동의 가치를 이루게 된다. 연구는 먼저 살롱의 사회, 문화적 배경에 대한 연구를 위해 문화 총체성의 관점을 바탕으로 시대에 따라 발전된 살롱 문화의 특성을 해석하고 살롱 주제와 연관된 사회 및 문화 콘텐츠, 공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호학적 해석과 상관 관계성의 방법으로 접근한다. 연구는 이어, 살롱용어의 개념 해석을 시작으로 문화 현상에 따라 나타난 살롱의 의미를 해석하여 나타난 유의어를 파악한다. 살롱은 초기 모임의 장소로 해석되었으나, 시대에 따라 변화되는 신분, 계층, 생활양식, 생활관습 등에 의해 살롱의 의미가 다르게 해석되어 나타난다. 살롱의 역사적 전개는 그리스 문화에서 시작된 토론 중심의 모임 ‘아고라’에서 출발하여 모임의 형태가 구체적으로 형성되는 르네상스를 지나 산업화를 거쳐 현재(2019년 3월)까지의 역사적 구성에 근저한 살롱의 시대적 변화과정을 토대로 살롱유형 특성을 3가지로 도출한다. 1. 초기 ‘살롱(Salon)’으로 르네상스 시대부터 산업화 이전까지의 일상문화공간의 살롱으로 지칭한다. 살롱은 상류층 주택의 생활공간에서 사교, 휴식, 지적활동의 수직적 고급문화 활동의 장소이며, 시대의 유행된 실내양식 특성이 표현된다. 2. 산업화 이후의 살롱은 주택의 공간에서 분리된 독립적 목적 공간으로 인식과 형식의 주제가 사회적 교류의 연결로 나타난 ‘살롱문화(salon culture)’의 가치가 보편화 된다. 특히, 이 시기에는 계급이 계층으로 변화, 확장되어 도시화, 산업화에 따른 대중적 수평 문화의 사회적 활동이 활성화를 이룬다. 대중문화의 대표적 특성으로 나타난 예술, 소비문화의 독립적 발달은 살롱문화의 콘텐츠 발달에 영향을 주어 산업화 이후 살롱문화의 정체성이 범주적 보편성으로 확장되어 발전한다. 3. 현대의 살롱문화는 신분과 사회적 지위를 논하지 않는 사회적 관계에 따른 ‘소셜문화(social culture)’ 활동을 바탕으로 경험과 체험이 공유문화로 나타나며 실용적 기능성과 합리적 의식이 공간특성으로 표현된다.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상호교류 역할은 현대 사회의 특징으로 개인의 관심, 취향, 기호에 따른 선택과 과거 지적 문화 정신의 가치를 모방하는 살롱 컨셉을 지향하며, 다양한 주제와 사용 목적에 따른 복합문화의 특성을 지닌 포용력 있는 공유공간을 선호한다. 위의 살롱의 역사적 전개에서 도출된 3가지 살롱문화와 살롱문화공간의 유형을 토대로 시대특성, 문화의 유의어와 콘텐츠의 가치, 공간의 특성에 대한 정체성이 표현된 사례를 ‘살롱’, ‘살롱문화’, ‘소셜문화’ 로 분류하여 연구 분석 하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기 살롱의 ● 1차적 시대 특성은 사전적 개념인 `방’으로 해석되며, 주택의 실내 양식을 표현하고 있다. ● 2차적 문화 특성은 상류층의 일상생활을 바탕으로 사교적 활동으로 인한 즐거움의 경험과 고급취향문화에 가치를 둔 문화이다. ● 3차적 공간 특성은 특권층의 휴식, 놀이를 중심으로 한 폐쇄적 공간으로 다목적 기능을 가진 가변공간이다. 2. 산업화 이후 살롱문화의 ● 1차적 시대 특성은 산업화에 따른 국제적 보편성으로 자유주의 경제 활동에 기반을 둔 대중적 시대 문화의 확산이다. ● 2차적 문화 특성은 문화 콘텐츠 목적에 가치를 둔 사회적 경험활동으로 평준화, 독립화, 세분화, 다양화되어 분야별 문화 특성이 명료하다. ● 3차적 공간 특성은 문화 주제의 목적이 뚜렷한 개별적 독자성이 강조된 공간으로 문화 콘텐츠와 사용자 계층에 따라 공간구분이 명확화 된다. 3. 현대 소셜문화의 ● 1차적 시대 특성은 글로벌 디지털 정보화를 바탕으로 한 복잡한 네트워크 문화의 다양한 혼재와 개인의 라이프 스타일 특성이 나타난다. ● 2차적 문화 특성은 개인의 취향에 대한 경험의 가치와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는 사회활동을 기반으로 인식에 대한 지향적 가치의 공유이다. ● 3차적 공간특성은 주제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적 취향과 기능에 초점을 맞춘 합리성이 강조된 다목적 복합문화공간으로 완전한 개방과 포용공간으로 서비스 기능이 첨가된 자유로운 사회적 활동의 공유 공간이다. 사례로 연구된 자료로 도출된 살롱문화와 살롱문화공간의 보편적 특성은 개인의 취향과 사회적 활동이 동일시되면서 같은 문화를 인식, 소통하는 과정에서 누리는 즐거움과 그에 대한 긍정적인 해답을 얻기 위한 공유이다. 즉, 개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각각 다르게 경험하는 시대, 문화, 공간을 사회적 활동으로 함께 경험과 체험을 공유하는 특별한 가치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나타난 살롱문화와 살롱공간특성의 관계는 Ⅰ. 문화 총체성 관점으로 살롱을 논하며 그 결론은 인간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활동과 연관된 시대특성, 생활양식, 생활관습 등의 복합적 경험과 체험이 다양한 그물망식 연결로 구성되어 해석된다. Ⅱ. 시간성, 가치성, 정체성, 목적성, 지속성과 융합되어 부분이 아닌 전체적으로 해석되는 사회 문화 현상의 연속적 관계에 대한 보편적 가치 해석이다. Ⅲ. 살롱 참여자들은 사회적 활동의 경험과 체험을 바탕으로 시대, 문화, 공간의 동일한 조건에서 누리는 즐거움, ‘En·joy’로 만족감을 공유하는 것이다. 살롱은 인간의 본질적 즐거움을 추구하는 문화의 보편적 전파로 시간의 차이만 있을 뿐 누구에게나 동일한 즐거움 누리는 것으로 표현되며 이러한 즐거움은 인간의 사회적 활동을 통한 놀이의 만남, 소통, 경험, 체험 등의 다양한 관계 맺기의 문화 총체적 결과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살롱, 살롱문화, 소셜문화에서 나타난 인간중심의 사회활동에 대한 놀이로 휴식, 힐링, 경험, 체험 등을 같은 시간, 같은 문화, 같은 공간에서 누리고, 공유하는 즐거움을 토대로 현재와 미래의 총체적 살롱문화 컨셉을 ‘En·joy’ 문화로 제시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살롱의 시대, 문화, 공간의 관계성에 대한 총체적 특성에 관한 연구로 살롱 용어의 개념연구와 기호적 접근에 의한 유의어 해석, 살롱문화의 기능과 특성, 살롱의 역사적 전개를 바탕으로 살롱문화와 공간의 변화 및 관계성을 특성에 관한 연구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살롱문화의 특성을 전반적으로 이해, 해석, 연구하는데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하며 살롱의 ‘En·joy’의 컨셉이 교육 분야의 문화 콘텐츠 활용, 기업의 서비스 문화와 연계되어 살롱의 최적경험을 위한 모델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is paper as a historical consideration of salon culture was to suggest era, culture and spatial value of salon, by addressing relationship between salon culture and cultu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alon. This study assumed social activity in terms of Time, culture and space based on semiologic approach to understand and interpret fundamental culture and comprehensive attributes of salon as a space which has appeared in development of era. Based on such assumption, this study demonstrated initial concept, terminology, characteristic system of era, and organic connection between era, culture and space of salon developed. For systematic analysis on salon, historical change and development of salon culture and space from the Renaissance up to date (Mar 2019) were considered in review of literatures, paintings, photos, movies and documentary materials relevant to the early days of salon and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alon was demonstrated. Salon is the time, culture and space where individuals and their values become to match by human-centered social activities. With dialog as a mean of communication, organizers and participants discuss common topics. Via common amusement formed in this process, self-realization and value of social activities are fulfilled.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salon culture that have been developed by time were interpreted at the viewpoint of cultural totality in order to explor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salon, and understanding of social/cultural content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alon were attempted based on semiologic interpretation and correlation approach. In addition, meaning of salon that has been appeared according to cultural phenomenon was studied, starting from interpreting concept, terminologies and synonyms relevant to salon. Salon was generally understood as a space for meeting; however, what salon stands for might vary depending on status, class, lifestyle and customs which are changing by time. Salon might be classified as three types as below, based on historical change from Greek culture represented by discussion meeting ‘Agora’ to the Renaissance, industrialization and the present (Mar. 2019). 1. Initial ‘Salon’ from the Renaissance until industrialization was a space for daily cultural activities. It was included in living space of the upper class housing for high-culture social and mental activities and resting in which on-trend interior style was applied. 2. Post-industrialization Salon represented an independent space separated from residential housing where value of salon culture in combination of cognition and convention became to be generalized by social connections. In particular, social activities in horizontal public culture had been vitalized by effect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hen class changed and extended to hierarchy at this time. Independent development of art and consumer culture representative of public culture led to developing contents of salon culture, resulting in that identity of salon culture extended to categorical generality. 3. Modern salon culture is characterized as sharing of experience based on social culture by social relationship regardless of status and position, in which practical functionality and reasonable cognition are represented a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Cross fertilization by digital network-based communication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SALON that mimics choices based on personal interest, preference and taste and intelligent culture of the past is perused and a shared space depending on topic and purpose is preferred. Based on three types of salon culture drawn from historical progress, cases that identity of salon is expressed by chronology, cultural synonyms, content values and spatial nature are classified as ‘Salon’, ‘salon culture’ and ‘social culture’ for analysis. Results of analysis are as below. 1. Salon ● The primary time characteristic of initial Salon is interpreted as ‘room’ in lexical concept, representing interior style of housing. ● The secondary cultural characteristic is based on experience in amusement from social activities in high-class daily life and high-class preference. ● The tertiary spatial characteristic is closeness and variableness with multi-function where resting and playing of the privileged class are centered. 2. salon culture ● The primary time characteristic of post-industrialization salon culture is expansion of public culture based on capitalistic economy with global universality according to industrialization. ● The secondary cultural characteristic is standardization, independence, subdivision and diversification of culture based on experience in social activities. ● The tertiary spatial characteristic is subdivision per stratum of cultural contents users, with distinctive individual identity of cultural purpose. 3. social culture ● The primary time characteristic of modern social culture is network culture by global digital information in virtue of industrialization and advanced science, in which divergent cultures and individual life styles are mixed. ● The secondary cultural characteristic is shared value of cognition based on social activities in association with experiences by personal preference. ● The tertiary spatial characteristic is multi-functional/complex cultural space focused on selective preference of users, with complete openness and engagement. Universality of salon and Salon culture demonstrated in case study is indicated as amusement by recognizing and communicating the same culture and sharing of such amusement when personal preference and social activities match. In other words, sharing of time, culture and space by individual lifestyle based on social activities is valued. Accordingly, correlation between salon culture and spatial characteristic thereof is as below. Ⅰ. Complex experiences in time characteristics, lifestyle and custom are connected each other in forms of various networks based on social communication, which is called cultural totality. Ⅱ. Continu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is interpreted as universal value as time, value, identity, purpose and continuity of culture are melded together. Ⅲ. salon participants share amusement and satisfaction from experience in social activities in same condition of time, culture and space. salon is the place where same amusement is enjoyed due to universal culture diffusion to pursue essential pleasure. Such amusement is general result of culture including meeting, communication, playing and experience. Human-centered social activities shown in Salon, salon culture and social culture suggest ‘En·joy’ culture as the overall concept of salon culture in present and future, which is based on shared amusement from resting, healing, playing and experience in same time, culture and space. This study was about overall characteristics of salon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time, culture and space, in which change of and relationship between salon culture and space were explored by interpretation of synonyms based on semiologic approach according to function and nature as well as historical process of sal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become a theoretical basis for understanding, interpreting and studying of salon culture. It is expected that the concept of ‘En·joy’ in salon culture can be used in developing a model of ultimate experience in salon in relation to utiliza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corporate service culture.

      • 화예디자인에서의 키네틱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타 장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경옥 淑明女子大學校 디자인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floral art and design refers to an area of art to represent human's inner plastic world by using materials from nature. In modern times, aesthetic sense has come to be individualized through massive change and development, requiring in-depth research into artistic and aesthetic aspects. While in most of art styles, genres are broken down and forms of art are shared, the boundary of expression to be overlapped. In this study, I intend to look into kineticism in association with the floral art and design, in an attempt to seek for a new style in the floral art and design. The kineticism emerging from scientific development and influences of advanced media in the 21st century, introduces movement to art. It exactly meets to the tendency of pro-environment design, technology design or human-centered design, which the 2st century design aims at. For this end, in the second chapter of this study, the kineticism which first brings four-dimensional temporal and spatial concepts into art will be reviewed in its significanc in terms of art history, through examining kinetic factors shown in paintings and sculptures. Its distinctions are approached in the light of conceptual viewpoint. In the third chapter, judging from that approach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 plastic arts is also significant. In order to understand diversified and substantial form of expression in the light of aesthetics, the kinetic factors in modern architecture that denies fixation or immobility, and instead attempts virtual movement. In addition, the kinetic factors are also analyzed in the area of dresses and their ornaments in pursuit of enlarged expressions through passage of time and involvement of viewers, breaking away from fixed clothes styles. Next, the fourth chapter tells about elements of kinetic motions shown in the floral art and design from the substantial viewpoint, by categorizing them into expression of actual movement, relative movement, and virtual movement, through applying how to categorize in architecture and dresses centering on concepts reviewed above. In the fifth chapter, distinctions and limitations apeared in introduction of motions in the floral art and design are revealed, suggesting direction for conversion of thought to enlarge expression in spectators, to get actively involved in the artworks, artworks of design, when design are transformed into human-centered design by non-material, technologic design from expression of new material development. The floral art and design that has limitedness according to passage of time has achieved diversity in expression and skills under the more challenging in conducting experiments, and spectators to be ready to accept it. Also, establishment of theoetical system is urgently needed in order to contribute to creation of the contemporary value by interpreting values and spirits of expression styles. With this study, I expect to lay the groundwork for recognizing vitality and unlimited possibility that the floral art and design has, and for enhancing creative spirit and extending areas in the world of artworks in this field following transformation of aesthetic value. 화예디자인이란 작가가 자연 소재를 이용하여 인간의 내적인 조형세계를 표현하는 것이다. 현대에 이르러 미의식이 개성화되면서 상당한 변화와 발전을 하게되어 예술적·학문적으로 깊이 있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많은 예술 형태가 장르의 파괴, 형식의 공유를 추구하고 있는 가운데 화예디자인에서도 표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형식과 영역이 서로 중첩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고는 화예디자인의 새로운 형식의 모색으로 20세기 과학의 발전과 첨단 매체의 영향으로 대두된, 예술에 움직임 요소를 도입하여 표현하는 키네티시즘을 화예디자인과 연계해서 고찰해 보려고 한다. 이는 21세기 디자인이 추구하는 인간 중심의 디자인, 테크놀로지 디자인, 친환경 디자인의 경향에 부합하므로 연계해서 고찰하는 것은 의미있는 연구라 생각한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으로 2장에서는 회화와 조각에 나타나는 작품의 움직임 요소를 살펴봄으로써, ㅇ메술에 4차원의 시간성과 공간성을 도입한 최초의 미술양식인 키네티시즘의 미술사적 의의를 고찰하여 그 특징을 개념론적 입장에서 접근하였다. 3장에서는 흥미롭게 펼쳐지는 다양하고 실체화된 표현양상을 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른 조형예술과의 비교를 통한 접근도 의미가 있다고 보아 고정성과 부동성을 부정하고 실제적 움직임의 도입을 시도하는 현대 건축에서의 키네틱적 요소를 분석하고, 고정적인 복식의 형태에서 벗어나 시간의 흐름과 관람자의 참여를 통한 확장된 표현을 추구하고 있는 복식에서의 키네틱적 요소를 분석하여 화예디자인과의 상관론적 관점에서 비교 분석 하였다. 4장에서는 앞서 살펴 본 개념을 카네티시즘의 축으로 하여 건축·복식에서의 분류 방법을 적용하여 화예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키네틱적 움직임의 요소를 실제적 움직임의 표현, 상대적 움직임의 표현, 가상적 움직임으이 표현으로 나누어 실제론적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5장에서는 이상에서 살펴본 화예디자인에서의 움직임 요소 도입에 나타는 특징과 한계성을 밝히고 화예디자인의 표현 확장을 위해 사고의 전환에 따른 방향을 제시한다. 기존의 수동적이던 관객을 작품에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움직임을 표현하는 작품으로 21세기 디자인이 지향하는 상호성, 쌍방성에 의한 인간중심의 디자인으로, 비물질재료를 도입하여 나타내는 작품에서 친환경 디자인으로, 기계도입 및 신소재 개발에 따른 작품의 표현에서 테크놀로지 디자인으로 현대가 추구하는 디자인 경항에 한 단계 다가갈 수 있도록 움직임의 작품을 재현해 보았다. 시간적 변화에 따른 유한성을 지닌 화예디자인은 문화, 예술사조의 영향을 받으며 표현적, 기술적 다양성을 이룩해 왔으나 이제는 작가들의 다양한 실험정신과 관객의 적극적인 수용이 요구되며 또한 표현 양식들의 가치와 정신을 해석하고 체계화시켜 동시대적 가치창출에 기여하도록 이론적인 체계의 정립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가 초석이 되어 화예디자인 자체가 지니고 있는 생명력과 무한한 가능성을 인식하고 새로운 것에 대한 창조적인 정신의 고양과 미적 가치의 전환에 따른 화예 작품세계에서의 영역 확장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전자제품 브랜드 공간 VMD 특성에 관한 연구: 감성 체험 공간을 중심으로

        오현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nics brand space representation, which focuses on VMD aspects, analyzes stores of brands that sell electronics, electricity, and home appliances through emotional experience spaces, explains characteristics, and concludes. It consists of an introduction to Chapter Ⅰ, a main body of Chapter Ⅱ, Ⅲ, and a conclusion of Chapter Ⅳ. <Chapter Ⅰ. Introduction> discusse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its scope and method. Furthermore, we consider prior studies related to VMD, emotional experience elements, and electronics brand space characteristics, which become keywords in this paper, to lay the foundation of the theoretical foundation. <Chapter Ⅱ. Exploring VMD and Emotional Experience Elements in Electronics Brand Space> 1. Exploring and objectives of Visual Merchandising (VMD), key background, spatial components VP (Point of Presentation), and IP (Item of Presentation). Finish the whole chapter. <Chapter Ⅲ. Case Study and Analysis> i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hapters Ⅰ and Ⅱ. The premise of case analysis is 1. The premise of case analysis, 2. Space design analysis by brand, and 3. The analysis is divided into surveys. 1. For the premise of case analysis, information on five electronic product sales spaces of domestic and foreign brands is provided for the connection between brand identity and sales space. 2. Analysis of spatial design by brand 2.1. Analyze and aggregate the identity of each brand 2.2. [Graphic Identity, Product Identity, Space Identity], [Physical Side (store facade, features, functional elements, directing elements), [Experiential line, display height, experience features].] Following the analysis, we construct our analysis results with [physical side (form/pattern, material/technique positioning, color positioning), [experiential side (human behavior)], and [space image aspect (space structure, spatial color, spatial image features).] Subsequently, 2.3.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derived [space comparison analysis] and [VMD element analysis] and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ased on the VMD described in Chapter 12. 2.4. Emotional design element analysis analyzes the five previously analyzed brands according to [Five senses (visual, tactile, olfactory, taste, hearing), [Fresh stimuli, user activity, interaction)], [Other elements (form, color, light).] 3. The survey concludes this chapter by investigating the feeling of brand space along with store blueprints for user-centered sentiment analysis and quantifying the results. In <Chapter Ⅳ.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the core ideas are selected by summing up 21 items analyzed in Chapter Ⅲ and 2.4.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otional experience space. The following table of contents summarizes the entire paper based on Chapter Ⅰ, Ⅱ, and Ⅲ Ⅳ above. 2. Derives keywords for spatial design based on comprehensive analysis. 3. proposes emotional experience electronic brand space and VMD. 4. discusses implications and near future prospects. In this paper, the electronics sales space, sensibility, and experiential aspects are analyzed using various tools, which differentiates them from existing research. Also, based on this, it is unique to propose an electronic brand space that applies emotional experience elements of the post-corona era. While marketing in the electronics market is expanding the use of digital media from offline to online experiences, physical space experiences based on designs that touch people's emotions should be emphasized in the future post-corona era. It is determined that strategy and comprehensive research will be needed accordingly. 본 논문은 전자제품 브랜드 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로 전자, 전기, 가전 제품을 판매하는 브랜드의 매장을 VMD 측면에 중점을 두고 감성 체험 공간의 시점을 통해 분석하고 특성을 해명해내어 그 결과를 반영한 작품으로 결론에 이르는 논문이다. Ⅰ장의 서론, Ⅱ, Ⅲ장의 본론, Ⅳ장의 결론으로 구성된다. <Ⅰ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에 관해서 논한다. 또한 본 논문의 키워드가 되는 VMD, 감성 체험 요소, 전자제품 브랜드 공간 특성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이론적 기반의 초석을 다진다. <Ⅱ장. 전자제품 브랜드 공간의 VMD와 감성 체험 요소에 관한 고찰>에서는 1. 전자제품 판매 공간에서 중요한 요소인 시각적 상품 정책과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VMD(Visual Merchandising)의 이론적 고찰과 목적, 시대적 배경과 공간구성요소 VP(Visual Presentation), PP(Point of Presentation), IP(Item of Presentation)의 유형별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2. 감성 요소와 체험 공간을 통해 감성에 관한 이론과 브랜드의 핵심 요소인 체험에 관해 논하고, 3. 전자제품의 시대적 발전 과정과 전자 산업 동향에 따른 브랜드의 공간 특성에 대해 살펴보며 본 장 전체를 마무리한다. <Ⅲ장. 사례 조사 및 분석>에서는 상술한 Ⅰ장과 Ⅱ장에 근거한 본론으로서, 1. 사례 분석의 전제, 2. 브랜드 별 공간 디자인 분석, 3. 설문조사로 나누어 분석하고 있다. 1. 사례 분석의 전제의 경우, 브랜드의 아이덴티티와 판매 공간의 연결성을 위해 국내외 브랜드 다섯 개의 전자 제품 판매 공간에 대한 정보를 설명하고 있다. 2. 브랜드 별 공간 디자인 분석은 2.1. 각 브랜드의 Identity를 분석하여 종합하고 2.2. [공간 개요(Graphic Identity, Product Identity, Space Identity)], [물리적 측면(매장 파사드, 특징, 기능 요소, 연출 요소)], [체험적 측면(동선, 진열대 높낮이, 공간 체험 특징)], [공간 이미지 측면(구역 별 이미지 형용사)]으로 분류하여 사례를 분석한다. 분석 따라 [물리적 측면(형태/패턴, 재료/기법 포지셔닝, 컬러 포지셔닝)], [체험적 측면(인간 행태)], [공간 이미지 측면(공간 구조, 공간 색상, 공간 이미지 특징)]으로 분석 결과를 구성한다. 이어서 2.3. 에서는 Ⅱ장에 서술한 VMD에 근거하여 도출해낸 [공간 비교 분석]과 [VMD 요소 분석], [공통점과 차이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2.4. 감성 디자인 요소 분석에서는 앞서 분석한 다섯 개 브랜드를 [오감 요소(시각, 촉각, 후각, 미각, 청각)], [상호작용 요소(신선한 자극, 사용자 적극성, 상호작용)], [기타 요소(형태, 색, 빛)]에 따라 분석한다. 3. 설문 조사는 사용자 중심의 감성 요소 분석을 위해 매장 청사진과 함께 브랜드 공간의 느낌을 조사하여 결과를 수치화 시키며 본 장을 마무리하고 있다. <Ⅳ장. 결론 및 시사점>에서는 1. 감성 체험 공간 특성 종합으로 Ⅲ장 2.4. 에서 분석한 21가지를 평가항목에 따라 합계를 내, 핵심 아이디어를 선정한다. 다음 목차로는 상술한 Ⅰ, Ⅱ, Ⅲ장에 근거한 결론으로서 본 논문의 전체를 정리하여 2. 종합 분석을 토대로 한 공간 디자인 제안의 전제로 공간 디자인을 위한 키워드를 도출, 3. 감성 체험 전자 브랜드 공간 및 VMD를 제안하고 4. 시사점 및 근미래 전망을 결론으로서 논하며 전체의 내용을 끝맺음 한다. 본 논문에서 전자 제품 판매 공간과 감성, 체험적 측면을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여 분석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의 차별성을 갖는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감성 체험 요소를 적용한 전자 브랜드 공간을 제안한 것에 대해서 독자성을 가지고 있다. 전자 제품 시장의 마케팅이 오프라인 체험에서 온라인 체험 중심으로 바뀌면서 디지털 매체의 활용을 확대하는 추세이지만,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질 높은 가상 체험을 중시함과 동시에 사람의 감성을 터치하는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물리적 공간 체험을 역으로 중시해야 한다. 그에 따른 전략과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