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KELETAL MUSCLE INJURY, REPAIR AND FIBROTIC FACTORS FOLLOWING ECCENTRIC EXERCISE

        김주영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STUDY 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nges in the levels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TIMP-1),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β1) in response to strength recovery after eccentric exercise in humans. In this study, 35 healthy mal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and were divided into a fast recovery (FR) group (n = 8; FR, >80%) and a slow recovery (SR) group (n = 8; SR, <40%) on the basis of their recovery of maximal isometric strength (MIS) 96 hours after eccentric exercise. In the two groups, muscle soreness, and creatine kinase (CK) activity, MMP-9, TIMP-1, and TGF-β1 levels were measured during the 24- to 96-hour period after eccentric muscle contraction of the elbow flexor. In the study, muscle soreness (P < .001, effect size [ES]: −2.1), CK activity (P < .01, ES: −1.3), and TGF-β1 level (P < .01, ES: −2.2)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FR group than in the SR group (SR vs. FR: peak muscle soreness: 66.3 ± 13.9 vs. 36.3 ± 24.2 mm, peak CK activity: 3742.7 ± 1974.4 vs. 1044.8 ± 529.1 U/L, peak TGF-β1 level: 4.7 ± 0.8 vs. 2.9 ± 1.0 ng/mL),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MP-9 and TIMP-1 level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P > .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ar tissue formation caused by the pro-fibrotic activity of growth factors such as TGF-β1 is a potential cause of delay in strength recovery after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STUDY II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strument-assisted soft tissue mobilization (IASTM) on eccentric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and TGF-β1. Sixteen healthy 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IASTM group (n = 8) and the control group (n = 8). Each subject performed two sets of 25 eccentric contractions while positioning the elbow flexor on a modified preacher curl machine. IASTM was applied using a concave-shaped stainless-steel instrument for 8 minutes immediately and 48 hours after eccentric exercise. MIS, muscle soreness, and CK activity were measured as indicators of muscle damage. TGF-β1 levels were also assessed as a fibrotic factor. The recovery of MIS was quicker (control vs. IASTM: 96 h: 60.7% ± 7.9% vs. 89.1% ± 10.4%, P < .001, ES: 3.5), and that of TGF-β1 level was lower (control vs. IASTM: 48 h: 5.5 ± 1.9 vs. 2.4 ± 0.6, P < .01, ES: −1.6; 72 h: 5.6 ± 1.7 vs. 2.6 ± 0.5, 96 h: 5.2 ± 1.6 vs. 1.9 ± 0.5 ng/mL, P < .001, ES: −1.7 and −2, respectively) in the IASTM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soreness or CK activity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P > .05). In conclusion, IASTM can be an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fibrous scar tissue and restoring muscle function quickly after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 도매여행사의 브랜드 자산과 관계마케팅이 소매여행사의 신뢰, 관계만족 및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대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소매여행사는 도매여행사를 선택하기 위해서 늘 고민하고 있다. 그 이유는 소매여행사는 중․소규모의 여행사가 대부분이지만 소비자의 트렌드는 브랜드 자산을 신뢰할 만한 도매여행사를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소매여행사의 도매여행사의 선택은 자사의 운명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한 요인이라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이다. 최근 한국의 여행시장은 대내외적 환경변화의 요인으로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 속에서 소매여행사는 도매여행사와의 대리점 계약을 통하여 기업 경쟁력 확보와 안정적인 사업을 유지하려고 하고 있다. 2005년부터 대리점 사업을 안정적으로 진행해 온 여행사 매출순위 1, 2위의 하나투어, 모두투어와 대리점 시스템을 운영하지 않았던 대형 여행사들도 본격적인 대리점 유치와 확장에 전사적으로 집중하고 있으며, 기존의 여행상품 지원, 판매 수익 공유에서 한발 더 나아가 충성도 높은 대리점 유치를 위해 본사의 시스템, 브랜드, 사업성, 여행상품 서비스, 행사관리, 교육 및 훈련, 마케팅지원 등을 강화하고 있으며, 자사의 상품만을 판매시킬 목적으로 대리점을 프랜차이즈화 시키려는 시도도 계획하고 있다. 이런 관점을 종합해보면 도매여행사의 브랜드 자산과 관계마케팅이 소매여행사의 신뢰, 관계만족 및 관계지속의도에 관한 연구와 분석을 통하여 도․소매여행사의 이론적 개념 정립, 선행변수 요인 개발과 효율적이고 정확한 운영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매여행사의 브랜드 자산과 소매여행사와의 신뢰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도매여행사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인지도와 지각된 품질을 높게 지각할수록 소매여행사의 도매여행사와의 신뢰는 높아지는 것으로 예측되어 도매여행사의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인지도와 지각된 품질과 같은 브랜드 자산 요인이 소매여행사의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선행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설은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매여행사의 브랜드 자산과 소매여행사와의 관계만족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도매여행사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 지각된 품질을 높게 지각할수록 소매여행사의 도매여행사에 대한 관계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예측되어 도매여행사의 브랜드 이미지, 지각된 품질 등 브랜드 자산 요인이 소매여행사의 도매여행사와의 관계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선행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설 브랜드 인지도를 제외하고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매여행사의 관계마케팅과 소매여행사와의 신뢰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도매여행사의 가격 요인과 구조적 요인을 높게 지각할수록 소매여행사의 도매여행사에 대한 신뢰는 높아지는 것으로 예측되어 도매여행사의 가격 요인과 구조적 요인 등의 관계마케팅 요인이 소매여행사의 도매여행사와의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선행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설 사회적 요인을 제외하고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도매여행사의 관계마케팅과 소매여행사와의 관계만족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도매여행사에 대한 사회적 요인, 가격 요인, 구조적 요인을 높게 지각할수록 소매여행사의 도매여행사와의 관계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예측되어 도매여행사의 사회적 요인, 가격 요인, 구조적 요인 등 관계마케팅 요인 모두 소매여행사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선행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설은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도매여행사에 대한 신뢰와 소매여행사의 관계만족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소매여행사의 도매여행사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도매여행사와의 관계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도매여행사에 대한 신뢰는 관계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선행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설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도매여행사에 대한 신뢰와 소매여행사의 관계지속의도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소매여행사의 도매여행사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도매여행사와의 관계지속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도매여행사에 대한 신뢰는 관계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선행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설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도매여행사에 대한 관계만족과 소매여행사의 관계지속의도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소매여행사의 도매여행사에 대한 관계만족도가 높을수록 도매여행사와의 관계지속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도매여행사에 대한 관계만족은 관계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선행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설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를 바탕으로 도․소매여행사간의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서 몇 가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최근 대내외적 환경변화의 요인으로 급변하고 있는 한국의 여행시장의 특징으로 소비자는 중소 여행사 보다는 대형 여행사를 선호하는 추세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 속에서 소매 여행사들은 도매여행사와의 대리점 계약을 통하여 기업 경쟁력 확보와 안정적인 사업을 유지하려고 하고 있다. 첫째, 도매여행사의 브랜드 자산과 관계마케팅은 대리점이라 할 수 있는 소매여행사의 신뢰, 관계만족 및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있음을 지각하고 도․소매여행사가 더불어 발전하기 위한 여러 방법은 도매여행사는 브랜드 자산과 같은 이미지, 인지도, 지각된 품질을 강화시키고, 관계마케팅과 같은 가격 요인, 구조적 요인을 수립하고, 도매여행사는 소매여행사에게 신뢰와 관계만족을 상승시키기 위해 항상 노력하고, 도․소매여행사간의 관계지속의도를 소매여행사로부터 인정받아야 하겠다. 둘째, 국내 여행사의 대리점 시스템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안정화와 고도화 전략이 필요하다. 도매여행사는 소매여행사의 만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도매여행사는 여행 상품의 질을 높히고, 여행상품과 가격을 세분화 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소매여행사는 도매여행사의 브랜드 자산만 보고 모든 소매여행사가 몰리지 않는 것은 도매여행사와 소매여행사와의 합일성, 즉, 신뢰, 관계만족, 관계지속의도를 통한 관계마케팅의 변수가 있기 때문에 굳이 업계 1위만을 고집하지 않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도매여행사의 브랜드 자산과 관계마케팅을 가지고 소매여행사의 거래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소매여행사가 기업 대 기업의 관계 속에서 조직 간에 장기적으로 갈 수 있는 도․소매여행사와의 지속적인 신뢰를 위해서는 도매여행사는 여행시장을 이끌어 가고 있는 느낌, 우수한 종사원의 서비스, 이용할 만한 특별한 이유, 크게 다른 느낌을 갖는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시키고, 타 브랜드에 비해 가치가 있거나 개성, 차별성, 혁신적, 개성을 갖춘 상품을 가진 브랜드 인지도와 상품 종류의 다양함, 정확한 상품정보, 직원들의 친절, 직원의 업무 처리는 빠르고 정확한 지각된 품질을 통한 브랜드 자산을 높히고 지속적인 관계만족을 위해서는 브랜드 인지도와 지각된 품질을 높혀야 한다. 다섯째, 도매여행사의 관계마케팅 방법은 신뢰를 얻기 위한 소매여행사에게 할인 정책, 비수기의 할인제도, 투어 마일리지제도, 다양한 가격 옵션과 같은 가격 요인과 업무적으로 연결해 주는 온라인 예약시스템 운영, 공항에서의 다양한 서비스와 같은 구조적 요인을 강화하여 지속적인 신뢰를 지속해야 하며, 관계만족을 시키기 위해서는 가격 요인, 고객 정보를 데이터화, 고객의 욕구를 잘 파악, 우수 고객 서비스와 같은 사회적 요인, 구조적 요인을 높혀야 한다. 여섯째, 소매여행사의 신뢰가 높을수록 도매여행사의 관계만족과 관계지속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도매여행사는 성실, 정직, 약속, 문제 발생 시 해결 노력, 요구사항에 대한 관심, 제공하는 정보의 신뢰, 여행상품을 신뢰하도록 소매여행사에게 신뢰할 수 있는 믿음을 주어야 할 것이다. 일곱째, 도매여행사는 소매여행사와의 바람직한 관계지속의도를 위해서는 상담능력과 처리능력, 친절한 소통이 가능하도록 직원을 교육시키어 지속 가능한 책임감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소매여행사와의 빈번한 접촉을 통해 소매여행사를 만족시켜야 할 것이다. 여덞째, 도매여행사는 여행상품 지원, 판매 수익 공유에서 한발 더 나아가 충성도 높은 대리점 유치하기 위해 본사의 시스템, 브랜드, 사업성, 여행상품 서비스, 행사관리, 교육․훈련, 마케팅지원 등을 강화하여야 한다. The retail travel companies always think about which wholesale travel companies they make a business with. One of reasons that retail travel companies do business with wholesale travel companies is because retail travel companies is most likely to prefer reliable wholesalers as well as because retail travel companies are mostly dominated by small and medium-sized travel agencies in the structure of the Korean travel industry. Recently, the Korean tourism market has become rapidly changing in a variety of aspects. In the middle of these rapid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market, retail travel agencies are trying to secure business competitive advantages through an agency contract with wholesale travel agencies. The Hana Tour and Modu Tour, which ranked No. 1 and No. 2 in travel agency sales and that have been stable in agency business since 2005, as large travel agencies that did not operate all-tours and agency systems, are also focusing on attracting and expanding agencies throughout the company. These agencies are strengthening our system, brand, business ability, travel product service, event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marketing support, and the like to attract more loyal dealers. They are also planning an attempt to franchise dealers. This study suggests that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marketing of wholesale travel agencie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influence retail travel agency trust,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intention.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in establishing operational polici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es of the hypotheses set out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equity of wholesale travel agencies and trust with retail travel agencie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brand image, brand awareness and perceived quality of wholesale travel agencies, the higher the trust of retail travel agencies with wholesale travel agencies brand equity, brand awareness, and perceived quality are important predictors of retailer trust. Therefore, it turns out that all the hypotheses were affect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wholesaler's brand equity and satisfaction with retail travel agency, the higher perception of brand image and perceived quality of wholesale travel agency, the higher satisfaction of retail travel agency' brand equity, and perceived quality are the major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retail travel agencies' relationship with wholesale travel agents. Therefore, it shows that they affect the hypothetical brand except for the brand awareness.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marketing between wholesale travel agencies and trust with retail travel agencies, it is predicted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price factors and structural factors of wholesale travel agencies, the higher the confidence of retail travel agencies in wholesale travel agencies. Structural factors are also the major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rust of retail travel agencies with wholesale travel agents. Therefore, it is found that it influences excluding hypothesis social factors. Four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relationship marketing of wholesale travel agencies and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with retail travel agencie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ocial factors, price factors, and structural factors of wholesale travel agencies. This is because the relationship marketing factors such as the social factors, the price factors, and the structural factors of the wholesale travel agencies are all the leading factors positively affecting the relationship of the retail travel agencies. Therefore, all the hypotheses were affected. Fifth,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ust of wholesale travel agency and the satisfaction of retail travel agency showed that the higher the trust of wholesale travel agency of retail travel agency,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with wholesale travel agency. It is found that it is a leading factor that has a positive effect. Therefore, the hypotheses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Six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ust of wholesale travel agency and the relationship of retail travel agency relationship persistence, the higher the trust of wholesale travel agency of retail travel agency, the higher the intention to maintain relationship with wholesale travel agency. Trust is a major factor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persistence intention. Therefore, hypotheses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Seven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wholesale travel agency and relationship intention of retail travel agency, the higher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retail travel agency to wholesale travel agency, the higher the intention to maintain relationship with wholesale travel agency.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is a major factor that positively influences the relationship persistence intention. Therefore, hypothese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to be the direction that retail travel agencies should aim at. Recently, as a characteristic of Korea 's travel market, which is rapidly changing due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consumers tend to prefer large travel agencies rather than small and medium travel agencies. In the midst of such environmental changes, retail travel agencies are seeking to secure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stable business through agency agreements with wholesale travel agent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marketing of wholesale travel agencies is affected by retailer 's trust,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Brand image, brand awareness, and perceived quality, establishing price and structural factors such as relationship marketing, and wholesale travel agents are always striving to increase trus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retail travel agencies. Future studies should get recognition from the retail travel agency for the intention of continu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avel agencies. Second, in order to develop the agency system of domestic travel agencies, it is necessary to stabilize and upgrade strategies. To maximize the satisfaction of retail travel agencies, wholesale travel agencies need strategies to enhance the quality of travel products and to subdivide travel products and prices. Third, retail travel agencies do not attract all retail travel agencies because of the brand equity of wholesale travel agencies. This is due to the relationship marketing between wholesale travel agencies and retail travel agencies through trust,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intention. Fourth, in order to maintain the relationship of the retail travel company with the brand equity of the wholesale travel agency and the relationship marketing, the retail travel company can go long term between the organizations in the relationship of the enterprise to the company. Wholesalers are increasingly looking for ways to enhance their brand image with a feeling of leading the travel market, excellent employee service, special reason to use it, a different feeling, and to make products that are worthy of others, differentiated, innovative. Brand awareness and variety of product types, accurate product information, employee's kindness, and employee's work process should raise brand awareness and perceived quality in order to enhance brand equity through fast and accurate perceived quality and satisfy continuous relationships. Fifth, wholesaler 's relationship marketing method is to provide retail tour operators with confidence to operate online booking system that connects them with price factors such as discount policy, off-season discount system, tour mileage system, various price options, service, and so on. In order to satisfy the relationship,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ocial factors and structural factors such as data of price factors and customer information, grasp of customers' desires, and excellent customer service. Sixth, the higher the trust of retail travel agencies, the higher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of wholesale travel agencies. As a result, wholesale travel agencie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trust, honesty, promise, efforts to solve problems, interest in requirements. It will have to give reliable trust to retail travel agents to trust its travel products. Seventh, wholesale travel agents need a sustainable and responsible attitude by educating their employee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counseling ability, processing ability and kindness in order to maintain desirable relationship with retail travel agency. Therefore, frequent contact with retail travel agencies should satisfy retail travel agencies. Eighth, wholesale travel agencies should strengthen their systems, brands, business feasibility, travel product services, event management, education, training and marketing support in order to attract more loyal dealers.

      • 17세기 전반 비로자나 삼방불좌상 연구

        고지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studies the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 of the first half of the seventeenth century, which consist of Vairocana, Bhaisajyaguru and Amitabha Buddha. Specifically, I focus on the Vairocana five directional Buddhas of Geumsansa Temple (金山寺), Gimje,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 of Gwisinsa Temple (歸信寺), Gimje, and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 of Seonunsa Temple (禪雲寺), Gochang. Iconography of these statues represents three directions which are the East, Center, and West, each corresponding to Bhaisajaguru, Vairocana and Amitabha. This thesis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Vairocana five directional Buddhas and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 are interpreted as same concepts. I argue that these statues were utilized in the royal bless ritual, and that the socio-economic context significantly affected the function of the images. First I examine the ritual function of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 The three temples' statues were created in the early 17th century and were enshrined in the main Buddha Halls. Since the Buddha statues were the object of the ritual, there must have been a close relation between the statues and the ritual. Therefore, I analyze the rituals that were performed in the main Buddha Hall in the 17th century. Wunsudangasa (雲水壇歌詞) and Yeongsandaehoejagbeobjeolcha (靈山大會作法節次) are 16th-century manual books for gongyang, or offering rituals. These two ritual manuals were routinely performed at the main Buddha Hall. In the sixteenth century, the bless ritual for kings was newly listed in the ritual manuals mentioned above, and was compiled as an independent manual book as well. This ritual required the image of Buddha which encompasses all directions; since the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 symbolizes all directions, those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 are likely to have been the focus of such rituals. However, it is interesting that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 were created only in these three temples located near Jeonju. This can be explained through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temples. Buddha statues of the three temples were created in the order of Geumsansa-Gwisinsa-Seonunsa. Based on stylistic analysis, it can be assumed that this iconography was spread by Geumsansa Temple's Vairocana five directional Buddhas. Geumsansa Temple was rebuilt in the late 15th century by King Sejo and Prince Deokwon. At this time, the Vairocana five directional Buddhas were created. Geumsansa Vairocana five Buddhas, patronized by King Sejo, served as the object of the bless ritual for king. Subsequently, Geumsansa statues were destroyed by the war and restored to the same iconography in the early 17th century. The fact that the restored version followed the original iconography indicates that the monks of Geumsansa Temple were aware of the ritual function of the iconography. The restored statues were also shrined in the main Buddha Hall where the bless ritual was performed. The Vairocana three Buddhas statues of other two temples seem to have performed the same ritual function as the Geumsansa Vairocana five Buddhas. This is supported by these two facts: first, the Gwisinsa and Seonunsa statues were both enshrined in the main Buddha Hall of each temple; second, these two temples were under the influence of Geumsansa Temple. The monks of Geumsansa Temple participated in rebuilding Gwisinsa Temple and Seonunsa Temple. Therefore,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 of Gwisinsa and Seonunsa were influenced by the Geumsansa five Buddhas. Consequently, the bless ritual for kings is the key to understanding both the iconography and the specific location of the main Buddha Hall. The Buddha groups of three temples are monumental in their scales, being created at a comparatively early period. I argue that this can be explained in the economic context. Gwisinsa Temple was designated as a royal temple, wondang (願堂), by the royal family. Geumsansa Temple and Seonunsa Temple had been the royal temples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The royal temples belonged to the royal family's financial institution, Naesusa (內需司), and paid tribute to the royal family. In other words, the Wondang Temple played a important role in the royal finances. When the Wondang Temple was destroyed by the Imjin War, the royal family lost its financial base. Thus the reconstruction and sponsorship of the Wondang Temples were intended to stabilize the royal court’s financial status as well. This royal patronage explains the early commission and creation of the Buddha statues of those three temples. This royal context also implies the significance of those statues in ensuring the survival of Buddhism in the postwar period. In order to survive in the Confucian society, the Buddhist community needed to align with the fundamental value of Confucianism, loyalty (忠: chung). The temple practiced the value of loyalty through performing a bless ritual for king, and this led to the creation of the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 which functioned as the focus of the ritual. Therefore, the creation of the these statues serves as a good example of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 and the Buddhist community. 본고는 17세기 전반에 조성되었던 <김제 금산사 비로자나 5불상>(이하 <금산사 비로자나 5불상>), <김제 귀신사 비로자나 삼방불좌상>(이하 <귀신사상>), <고창 선운사 비로자나 삼방불좌상>(이하 <선운사상>)의 의례적 기능과 도상 선택의 이유 나아가 이를 둘러싼 사회경제적 배경을 검토하여 세 불상의 조성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이에 앞서 삼신불, 약사불, 미타불의 5불 구성이 비로자나불, 약사불, 미타불의 구성과 동일한 개념임을 전제로 논의하도록 하겠다. 이를 해명하기 위해 우선 비로자나 삼방불상의 의례적 기능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세 불상은 17세기 초에 조성되어 주불전 내에 봉안되었다. 불상이 의례의 대상이 되었기 때문에 불상의 도상과 의례 사이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17세기 주불전 내부에서 설행되었던 의례를 검토하였다. 『운수단가사』, 『영산대회작법절차』는 16세기 중반에 간행된 공양의식집으로 주불전 내부에서 일상적으로 설행되는 의례를 보여준다. 이 의식집들에는 15세기 공양 의식집과 달리 축성(祝聖)의례가 공양 의례 안에 포함되었고, 별도의 축성의례를 수록하였다. 따라서 공양의례와 축성의례의 대상이 곧 주불전 내부에 적합한 도상으로 선택되었을 것이다. 의식집을 살펴본 결과 이 의례에 요구되는 도상은 방위를 나타내는 제불(諸佛)이었다. 특히 석가 삼방불은 축성의례의 대상으로 명확하게 지시되었으며, 동시에 방위를 나타내는 여래였기 때문에 17세기부터 유행할 수 있었다. 비로자나 삼방불 도상은 여말선초부터 공간적 차원의 여래로 수용되었다. 따라서 <금산사 비로자나 5불상>, <귀신사상>, <선운사상>도 명종대 변화된 의례의 대상이 될 수 있었다. 흥미로운 점은 같은 시기에 동일한 개념을 가진 석가, 약사, 미타의 석가 삼방불이 유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주 일대에 위치한 세 사찰에서만 비로자나 삼방불 도상이 선택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세 사찰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통해 해명될 수 있다. 양식적 분석을 통해 금산사-귀신사-선운사상의 순서로 조성되었음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 도상이 금산사를 시작으로 지리적으로 인접한 귀신사, 선운사에 전파되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금산사는 세조와 덕원군에 의해 15세기 후반에 중창되면서 비로자나 5불상이 조성되었다. 이 불상군의 의례적 기능을 살펴보기 위해 동시기에 제작된 15세기 비로자나 삼방불, 5불 도상의 의례적 기능을 검토한 결과 비로자나 5불 도상이 축성의례와 연관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세조대 조성된 금산사 비로자나 5불상도 동일하게 축성의례의 대상으로 기능했을 것이다. 17세기 초 금산사 재건역 때 비로자나 5불 도상이 조성되었다. 이전에 조성되었던 도상을 그대로 복원했다는 점에서 이전에 조성된 불상의 의례적 기능을 인지하고 복원했을 가능성이 있다. 전쟁으로 소실된 후 3년 만에 금산사 재건이 시작되었다는 점, 형식적으로 <금산사 비로자나 5불상>이 17세기 통례와 다르다는 점, 축성의례의 공간인 대웅전에 봉안되었다는 세 가지 사실을 통해 이전에 조성되었던 5불상의 존재와 의례적 기능을 인지했던 사실이 확인된다. 따라서 17세기 초 조성된 <금산사 비로자나 5불상>도 축성의례의 대상으로 기능하였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귀신사와 선운사에서 동일한 개념을 가진 도상의 불상이 조성되었다. 조성의 선후관계를 보아 금산사의 영향 하에서 동일한 기능을 의도하고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해 보았다. 다음의 세 가지 측면을 바탕으로 이를 해명해 보았다. 첫째, 귀신사와 선운사는 재건 이전에 존재했던 전각과 존상을 복원할 수 있었지만 그렇지 않았다. 따라서 비로자나 삼방불 도상의 선택이 외부적 요소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둘째, 금산사가 도내 수사찰이었기 때문에 인근 지역 불사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귀신사와 선운사 재건역에 참여한 금산사 승려들로부터 이러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셋째, <귀신사상>, <선운사상>의 봉안공간과 두 사찰의 가람배치를 통해 금산사와 동일한 의례적 맥락을 고려했던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금산사 비로자나 5불상>은 축성의례의 대상으로 조성되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인근 사찰에서 동일한 의미, 기능을 가진 존상이 요구되었을 때 금산사 승려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그들에게 익숙한 도상을 적용했던 것이다. 따라서 이 세 불상의 조성은 기능적 측면에서 보자면 축성의례의 대상이라는 점이 강조된 결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들 세 불상은 모두 대형으로 조성되었다. 이것을 가능하게 했던 경제적 요인을 분석해 보았다. 귀신사의 경우 무경자수의 「귀신사 사적기」에 인조의 친부 원종대왕이 재건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필자는 해당 구절을 원종에 의한 귀신사 절수로 해석하였다. 즉 <귀신사상>의 조성 배경에는 궁방의 절수원당이라는 경제적 요소가 작용하였다. 금산사와 선운사는 조선 초기에 원당으로 지정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를 해석하기 위해 대형불상을 조성한 다른 사찰의 사례를 검토하였다. 이들 모두 15-16세기부터 왕실과 관련되었던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왕실과 관련된 사찰이 전후 대규모로 빠르게 재건되었던 것이다. 그 원인으로 왕실과 원당의 경제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명종대 내원당 정책과 내원당전의 분급은 왕실과 사찰 사이의 경제적 유착을 심화시켰다. 이러한 관계는 전후 재건역 당시에도 반영되었고 왕실 관련 사찰의 이른 시기 대규모 재건으로 이어졌다. 금산사와 선운사의 이른 재건과 대형 불상 조성은 왕실과 원당의 경제적 관계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세 사찰에 조성된 불상의 의의는 이러한 배경에서 파악될 수 있다. 축성의례의 대상인 삼방불상의 조성은 충의 실천이자 왕실, 관료의 재건역 허가와 후원에 대한 종교적 차원의 반대급부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삼방불상의 조성은 국가와 불교계 사이의 공생관계를 잘 보여주는 사례가 된다.

      • 도시공간 내 상업가로의 장소성 형성요인 중요도 분석

        김경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도시는 과거 급속한 성장의 과정을 겪으며 양적 성장을 시도해왔고, 그러한 결과에 따라 물리적인 기준에 치우치며 발전해왔다. 그러나 도시의 모습은 경제적ㆍ기술적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양식이 변화하고 이에 따른 삶의 질 증대로 인하여 점차 창의적이고 유연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상업가로에서는 문화라는 자원을 활용하여 도시 내에서 문화산업을 육성하고 문화를 향유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도시의 상업가로에서의 장소성은 고유의 의미보다도 도시의 상업주의와 연계되어 도시의 자본의 논리로 깊숙이 빠지면서 문화고유의 의미가 퇴색되는 경향을 나타낼 뿐 아니라, 인위적인 장소만들기 방식이 오히려 도시를 다른 지역으로부터 분리시키는데 기여할 뿐이라고 비평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소의 물리적 시설 및 환경 뿐 아니라 특정 장소가 가지는 역사적 의미, 그곳에서 이루어지는 구성원의 내,외부적인 네트워크와 사회적 활동까지 연계될 수 있는 상업가로의 장소성을 고려하도록 하였다. 구성원들을 통해 형성되는 도시공간의 상업가로의 장소성의 의미를 한정된 물리적 공간에서 한층 더 나아가 소프트웨어적 측면과 연계한 중요도를 도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도시공간 내 상업가로의 장소성의 의미가 구성원간의 사회적 활동 및 대내외적 교류가 일어날 수 있는 장소로 되도록 전환시키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장소의 시설과 환경, 장소의 역사성과 의미, 장소 내 문화형성과 사회적 활동, 구성원간 대내외적 교류 의 4그룹의 장소성 형성주체가 도출되었으며, 이에 따른 세부적 상업가로의 장소성 형성요소가 총 16가지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상업가로의 장소성 형성요소를 건축 및 설계 사무소, 연구직, 문화관련 스타트업 기업 및 사회적 기업 등 도시와 문화 관련 전문가 126명을 대상으로 중요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중요도 분석 결과 구성원간 대내외적 교류 항목의 구성원간 상호작용이 가장 중요하다고 도출되었고, 장소성 형성요인별 세부적인 장소성 형성의 요소로는 “장소의 독특한 경관”, “특정장소의 의미와 관념”, “주변 지역의 현상적 요인”, “구성원간 상호작용” 등이 각 장소성 형성 대분류 요인 중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업가로의 장소성 형성을 효과적으로 도모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들 수 있다. 첫째, 도시공간내 상업가로의 장소성 형성 유형은 과거 물리적 환경 위주의 그룹과는 다르게 소프트웨어적 측면의 유형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는 최근 장소성이 강한 사례를 연구했을 때도 볼 수 있듯이 현 시점의 장소성 있는 도시는 그 장소에 담겨 있는 컨텐츠의 독창성 및 화제성에 따라 장소성이 달라지고 있다. 같은 장소에서 벌어지는 활동이라도 컨텐츠에 따라 방문객이 모이는 정도와 어떤 방문객이 모이는지가 달라지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생각해보았을 때, 상업가로의 장소성은 장소 내에서 창의적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장소 내에서 지속가능한 자원 및 장소성 형성방안이 될 것이다. 둘째, 전문가 설문조사의 결과 구성원 교류의 관점이 상업가로의 장소성 요소에서는 강하게 나타남을 보았을 때, 구성원들의 그룹을 다양하게 하고 각각의 그룹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주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삶의 질을 중요시하고 생활문화가 확산되면서 취미를 기반으로 한 동호회나 동일한 연령층, 혹은 자녀의 연령층에 맞춰진 모임 등이 활성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다양한 그룹이 더욱 교류를 활성화 하고 주체적으로 구성원간의 교류를 확산시켜줄 수 있는 광장, 거리 등 생활문화적 기반시설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구성원의 교류가 시작점이 되어 장소를 더욱 활성화시키고 장소를 명소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지역주민과 지역 내 예술인 등의 수요에 맞춘 장소성 형성이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업가로의 장소성을 이루는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측면이 일방적으로 정해진다면, 그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및 효과 또한 제한적일 것이다. 주요한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교류가 이루어지기 좋은 환경이 어디인지, 그 장소를 이루는 컨텐츠는 무엇인지 긴밀한 교류 가운데 정해지는 것이 기존에 단순 물리적으로 정해지는 장소성에서 나오는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행정력이 있는 행정가들은 최소한의 역할을 가지고 지역의 구성원들을 지원해주고, 이후에 장소를 기획하고, 운영하는 것은 온전히 지역구성원에게 맡길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환경이 조성된다면, 구성원들에 의해 자생적으로 생겨난 장소에서 지속가능한 상업가로의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주제어 : 상업가로, 장소성, 장소형성요인, AHP 분석

      • 항공사 셀프서비스 기술요인이 고객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백선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항공업에서도 셀프서비스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 및 활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고객의 입장에서는 여행 전부터 여행 후까지 모든 단계에 셀프서비스 기술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보다 빠르고 정확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업무 처리의 절차를 간소화하고 신속하게 함으로써 그에 따른 인건비 및 기타 비용절감을 할 수 있게 되어 항공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공항의 객장에서의 일부의 고객들은 항공 탑승수속을 하는 단계에서 항공사가 제공해주는 무인탑승수속기기, 모바일 서비스, 웹 사이트, 셀프 백 드롭과 같은 셀프서비스 기술 옵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인적서비스를 통해서 탑승수속을 하려 오랜 시간동안 대기를 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항공사가 제공하는 셀프서비스 기술의 어떠한 요인이 고객만족과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함으로써 향후 항공사가 셀프서비스 기술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발전시키는데 있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항공사의 탑승수속과 관련한 셀프서비스 기술인 무인탑승수속기기, 모바일 서비스, 웹 사이트, 셀프 백 드롭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을 1년 이내에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하였고, 온라인 구글폼과 ‘마크로밀 엠브레인’ 설문 전문 조사업체를 통하여 설문조사를 2019년 2월 26일부터 3월 12일까지 총 15일 동안 진행하여 33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322부를 회수하였으나 유효한 응답 307부를 실증분석의 자료로 이용하였다. SPSS 2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Manova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통해서 연구 분석 및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첫째, 항공사의 셀프서비스 기술의 요인 중 용이성, 통제성, 즐거움, 절약성, 신뢰성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셀프서비스 기술의 요인 중 편리성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이 높으면 높을수록 고객만족 또한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항공사의 셀프서비스 기술의 요인 중 용이성, 통제성, 즐거움, 절약성, 편리성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셀프서비스 기술의 요인 중 신뢰성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이 높으면 높을수록 행동의도 또한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항공사의 셀프서비스 기술에 대한 고객만족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셀프서비스 기술에 대한 고객만족이 높으면 높을수록 행동의도 또한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항공사의 셀프서비스의 일부 측면만이 아닌 탑승수속과 관련한 셀프서비스 기술들에 관해 포괄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셀프서비스 기술의 요인들을 기존의 선행연구들보다 더 세밀한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검토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As the technology is getting advanced, self service technology is being introduced and utilized in an airline service industry. As a result of using self service technology in a service field, the customers were enable to use faster and more accurate service than ever before at any phase of their journey. For the airlines corporations, they were enable to offer their service to the customers more effectively as self service technology not only made the process of a task be simple and faster but also save labour costs and provide efficient service. However, even though airlines offer the self service technology options such as Kiosk, Mobile service, Web-site, Self Bag Drop service, it is very easy to see the people line up for the check in through service personnel for getting an airline ticket at the airport. By investigating which factors of self service technology effect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mplications in terms of more efficient ways of operation to utilize and develop self service technolog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ustomers who have experienced using self service technology concerning check-in service such as Kiosk, Mobile service, Web site or Self bag drop service within a year. Survey was conducted using by online Google form and ‘Macromill Embrain’ corporation from Feb26th of 2019 to Mar12th of 2019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30customers and collected from total 322customers but only 307reliabl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By using SPSS 22.0 program,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test, M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nfirm hypothesis and conduct empirical analysis. Thus,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as below. First, easiness, control, playfulness, saved time and reliability among factors of self service technology had significant impacts on customer satisfaction statistically. From the research, it is evident the higher the factors of self service technology except for the factor of convenience, the higher the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easiness, control, playfulness, saved timed and convenience among factors of self service technology had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 intention statistically. From the research, it is evident the higher the factors of self service technology except for the reliability, the higher behavior intention. Third, customer satisfaction relating to airline self service technology had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 intention. From the research, it is evident the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the higher behavior intention. This study was meaningful it indicated not one part of the airline self service technology but whole part of self service technology relating to check-in service process and in comparison to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self service technology in more detail. From the research,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potential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 in this study.

      • 한국관광의 서비스품질과 지각된 서비스가치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만과 홍콩인의 워킹홀리데이를 중심으로

        왕용선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워킹-홀리데이(working holiday)는 현재 젊은 청년들에게 긴 시간동안 상대국에서 관광기회를 주는 것이 주요 목적으로 언어와 문화를 배우면서 여행비용을 모으기 위한 취업활동을 허가하며, 취직과 법적 자격을 주는 새로운 생활 방식이다. 본 연구는 워킹홀리데이로 한국을 다녀온 대만, 홍콩 청년들을 대상으로 워킹홀리데이를 한 기간 동안 한국 관광에 대한 관광 서비스품질과 지각된 가치, 만족도, 행동의도를 조사하여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1년 9월 17일부터 24일까지 7일간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대상은 한국에 워킹홀리데이를 다녀온 대만, 홍콩 청년들로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설문지는 총 266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설문지 13부를 제외한 253부를 분석하기 위하여 명목척도와 등간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SPSS Ver 21.0의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타당도 분석, 구조모형 등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구성하여 실증분석을 위하여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 및 실무적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 서비스품질은 지각된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각된 가치를 높이기 위한 관광지의 서비스품질은 향상시킬 인식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관광 서비스품질은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물적 서비스품질은 만족도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크다고 보이며 관광시설의 깨끗함, 외관과 조경, 최신식 시설 등 시설관리를 잘 하면 관광지에서 얻은 만족도도 달라진 것을 의미한다. 셋째, 지각된 가치는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비금전적 가치는 영향력이 더 높다고 보이며 교통에 대한 좋은 인식, 호감 등에 따라 만족도가 높아진다. 넷째, 지각된 가치의 비금전적 가치가 행동의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각된 가치의 비금전적 가치에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만족도가 행동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만족도는 행동의도에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 관련 기업들이 차후에 워킹홀리데이 청년들 위주로 마케팅 정보를 참고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는 의의를 가진다. 둘째, 아직까지 워킹홀리데이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으며 주로 워킹홀리데이 참가자들의 동기와 변화를 연구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워킹홀리데이 대상자 인터뷰 조사결과를 통해서 청년들의 동기를 알게 되었으며, 한국에 온 동기는 매우 크고 향후 관광하려고 한국에 올 계획도 있다. 셋째, 심층 인터뷰를 통해서 대상자들은 한국은 안전성은 매우 좋은 편이지만 편의시설의 설정과 외국어 안내지도 배치가 잘 되지 않았다고 하였다. 향후 한국 관광 서비스품질이 향상되기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은 의미한다.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워킹홀리데이 현황에서 2011년~2020년에 여성 입국자수는 남성보다 매우 높게 나타난 점을 보이며 홍콩의 같은 경우는 남성 비율은 합계 입국자수의 9%, 대만은 6%에 불과하였다. 더 많은 남성 관광객들이 한국관광에 대한 어떤 생각이 갖고 있는지 한국에서 워킹홀리데이 하지 않는 이유 등 향후 연구의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에서 워킹홀리데이를 다녀온 대만과 홍콩인들 중에 여성비율은 남성보다 더 많은 점이 알 수 있으며 향후 여성위주로 마케팅 전략이 필요가 있다. 둘째, 2020년 1월부터 워킹홀리데이 비자 발급제한이 시작 되어 1년 반 이상이나 지나면서 현재 한국에서 워킹홀리데이 비자를 소지한 사람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 시대에 여행을 제대로 못하는 상황에서 한국관광을 어떻게 진행하는지, 그리고 심각한 상황에서도 한국에 온 이유는 무엇인지, 2020년 1월 이후에 한국에 워킹홀리데이 온 청년들을 위주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 Working-holiday is a new life style that allows youth to stay in a country for longer than the normal tourists and gives them the opportunity to take on short-term jobs to save money or at least help fund the trip. However, the number of Taiwanese young people doing working holiday in Korea has skyrocketed since 2017, which caused in some of them failing to get visa because of the number of applicants exceeding the limit. These young people's motivation to stay in Korea is stronger than normal tourists. Also, because of having opportunities to stay in Korea for a long time, they can experience life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aiwan and Hong Kong youths think about Korean touris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quality,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during they doing working holiday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7 days from September 17th to 24th, 2021, and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set up as Taiwanese and Hong Kong young people who went on working holidays in Korea. A total of 266 questionnaires were be tested and excluding 13 unfaithful questionnaires 253 copies b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through SPSS Ver 21.0.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or empirical analysis to verify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The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confirmed that tourism service qua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perceived value.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erception that will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tourist attractions in order to increase perceived value. Secondly, it was confirmed that tourism service qua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In particular, material service quality seems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the satisfaction from tourist has changed the facilities are well managed such as clean and new appearance of tourist facilities. Thirdly, it was confirmed that perceived value had a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In particular, non-monetary value seems to have a higher influence on satisfaction, such as good perception on the transportation or favor for the tour.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ourism satisfaction, the perceived service value should be higher, so if there is a discount system or price benefit at a Korea tourist region, it should be accurately notified, as well as the fee should be reasonably set at the tourist region. Fourthly, it was confirmed that the non-monetary value of perceived value had a positive (+)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influence relationship on behavioral intention in the non-monetary value factor of perceived value. In other words, financial value does not affect behavioral intention, so tourists cost paid at the Korea tourist region does not effect on their behavioral intention. Fifthly, it was confirmed tha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had a positive (+) effect, and satisfaction was analyzed to have an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When tourists feel pleasure, satisfaction in their impressed tourist region, it means that the tourists will visit Korea again and having positive attitude about Korea tourism.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is a limit to proceed interviews and surveys, so choosing to harvest sample on the Internet instead of face to face with several people in the COVID-19 situation. Moreover, as a result of more than half of the female participants of the survey are acquired, there is a need for future research, such as why more male tourists do not have working holidays in Korea. Finally, except for Seoul, Korea tourist regions are still undergoing tourism development sush as Jeju Island, Busan, and Gangwon-do and the working holiday tourists also have good travel memory in ther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marketing strategy that can attract more tourists in the future.

      • 식민지 조선에 재현된 일본불교 영장(靈場)의 석상 연구

        최종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식민지 조선에 일본불교의 순례 영장을 재현하는 데에 사용되었던 한국 소재 일본식 석상의 도상, 제작 배경, 활용의 양상과 기능을 종합적으로 밝힌 글이다.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신과 불보살이 머무는 곳 내지는 영험한 장소인 영장(靈場)을 순례하는 문화가 발달했다. 에도시대(江戸時代, 1603-1867)에는 영장 순례가 대중화되면서 사이고쿠33소관음영장, 시코쿠88소영장과 같이 널리 알려진 영장을 각 지역에 축소하여 재현한 지방영장(地方靈場)이 활발히 조성되기 시작했다. 근대에는 일본 본토뿐 아니라 일본인 다수가 이주했던 조선, 대만, 하와이 등지에도 지방영장이 만들어졌다. 오늘날 한국에서는 식민지기(1910-1945) 지방영장을 구성했던 소형 석상들이 발견된다. 필자는 지방영장 석상의 개별 사례를 소개한 선행 연구의 성과로부터 더 나아가 영장 순례와 관련된 일본의 불교 회화, 출판물과의 비교를 통해 석상의 시각적 특징을 고찰하고자 했다. 또한 동시대 언론, 지방지(地方誌), 사진엽서 속 단편적 기록과 일본, 대만 등지의 사례를 참조하여 식민지 조선에서 지방영장 석상이 제작되고 활용된 양상을 규명하려 했다. 기록에서 확인되는 식민지 조선의 지방영장 18곳을 종합하면 지방영장은 대부분 부산, 인천, 원산, 마산, 경성, 회령 등 식민지기 일본인이 다수 거주했던 지역에 만들어졌다. 지방영장을 조성한 이는 조선에 이주해 살던 일본인들이었다. 그들은 일군의 석상을 제작하고 거주지 혹은 인근 공터나 야산, 일본불교 사원의 경내에 이를 봉안하여 지방영장을 조성했다. 지방영장 석상은 사이고쿠 영장이나 시코쿠 영장의 33개, 88개 사원 본존을 대리하는 모각상(模刻像)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각 본존의 모습이 석상에 정확하게 재현되는 것은 부차적인 문제였다. 지방영장 조성의 핵심 과제는 33개나 88개, 경우에 따라서는 그 이상의 석상이 모여 하나의 세트로서 사이고쿠 혹은 시코쿠 영장 전체를 재현하는 것이었다. 현재 서울 화계사, 군산 동국사를 비롯하여 국내 각지에서 발견되는 석상의 도상을 『관음영장기도회』(1845)와 같은 영장 순례 관련 출판물을 통해 널리 알려진 각 사원 본존 도상과 비교하면 생략과 오류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대신 일군의 석상은 재질, 조각 기법, 형태 등에서 일관성을 갖추어 세트로서 하나의 지방영장을 이루고 있음을 드러냈다. 각각의 석상에는 사원 번호나 서로 다른 종류의 불보살이 새겨져 본영장에 포함된 각기 다른 사원의 대리물로서 최소한의 개별성을 확보했다. 석상들에서 관찰되는 일관성과 개별성은 국내 소재 지방영장 석상 특유의 현상은 아니나 식민지 조선이라는 맥락에서 고유한 기능과 의미를 가졌다. 일본인들에게 식민지 조선은 기회와 불안이 공존하는 이주지였으며, 조선인이라는 거대한 타자 집단과 부대끼며 살아가야 하는 곳이었다. 그들은 일본인 공동체나 네트워크를 꾸려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생활의 안정감을 추구했으며 성공적인 정착에 필요한 도움을 얻고자 했다. 석상으로 이루어진 지방영장은 조선의 일본인들이 결속을 도모하는 데에 기여했을 것이다. 지방영장을 통해 지역의 일본인들은 석상 시주자 집단을 비롯한 공동체 내지는 네트워크를 꾸렸다. 지방영장 시주는 한 석상에 1인 이상의 시주자가 배정되는 형태로 지역 일본인 사회에서 효과적으로 존재감을 발휘할 수 있는 시주 선택지였을 것이다. 시각적으로 일관성과 개별성을 갖춘 각 석상은 한 세트를 구성하는 특정한 개별 요소로 인식될 수 있었다. ‘□번 석상 시주자’로서 시주자들은 지방영장 조성에서 고유한 지분과 역할을 가졌으며 시주자 집단에 강한 소속감을 느낄 수 있었다. 석상은 시주자 집단과 각자의 지분을 지역 일본인 사회에 과시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지방영장에서 이루어진 지역 일본인들의 정기 순례 또한 친목과 결속을 다지는 기회였을 것이다. 오락적 요소를 동반한 정기 순례는 이주지에 재현한 고향 일본의 땅을 함께 거니는 일본인들의 지역 축제와도 같았다. 지방영장의 조성과 순례를 통해 재조선 일본인들은 자신들의 공동체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유지하며 ‘일본인’이라는 이름 아래 결속될 수 있었을 것이다. This thesis examines the iconography and social context of small-sized stone images of Japanese Buddhist pilgrimage routes recreated in Colonial Korea. Japanese settlers in various regions of Colonial Korea made such regional pilgrimage routes (chihō reijō)―also called copied pilgrimage routes (utsushi reijō)―in their towns. These routes served as local versions of Saikoku and Shikoku pilgrimage routes, the most famous courses for Buddhist pilgrimage in Japan. As substitutes for the main icons (honzon) of each temple along these famous routes, stone images were installed in Japanese Buddhist temples, hills, and parks to form miniature versions of the routes.  Generally, these stone images were not singular reproductions of main icons; instead sets of stone images were created to collectively represent pilgrimage routes. This can be seen by comparing the stone images with the icons in Japanese woodblock prints related to famous pilgrimages, such as the Illustrated record of sacred Kannon places (Kannon reijōki zue); specifically, doing so reveals that the iconography of the former is relatively simple and incorrect. Meanwhile, uniformity can be observed in the set of stone images along a pilgrimage route; within this set, each stone image demonstrates minimal individuality so that it can serve as a substitute for different temples, with temple numbers and different types of deities inscribed on the images. Regional pilgrimages and stone images placed along these routes connected Japanese settlers. Specifically, the settlers could form or enhance their communities and networks by erecting stone images and maintaining their pilgrimages. For instance, some settlers created a society of monetary contributors for stone images in which each contributor usually paid for one image. Since each image substituting for a particular temple was irreplaceable in the pilgrimage circuit, the contributor of each played an irreplaceable role and therefore likely felt a strong sense of belonging in their society. Notably, regional pilgrimages in Colonial Korea were made regularly and collectively by Japanese settlers. The settlers could use these events as opportunities to become acquainted and bond with each other. 本稿は、植民地朝鮮の地方霊場に設置されたものとして現在韓国に残っている石仏に注目し、その図像、造成の背景、活用の様態を明らかにする。植民地朝鮮の各地域に居住していた日本人たちは彼らが住む町に西国三十三所観音霊場や四国八十八所霊場を写した地方霊場(あるいは写し霊場)を造った。地方霊場の多くは、日本仏教宗派の寺院やその裏山もしくは里山等に位置したが、町の所々に札所が点在した事例もある。西国霊場と四国霊場の各札所の本尊が石仏に彫られ、参道に配置されて地方霊場を形成した。地域の日本人は集団を成して霊場を設けるための資金を賄った。 地方霊場の石仏が担った主な役割は、33個あるいは88個、場合によってはそれ以上の石仏が集まってひとつのセートとして西国や四国霊場全体を再現することにあり、それぞれの札所本尊の姿を正確に写すことは二次的な問題であった。現在ソウルの華溪寺、群山の東國寺等にある石仏の図像を『観音霊場記図会』など巡礼関係の書籍に見える札所本尊の図像と比較すると、石仏の図像に省略や間違いがあることが分かる。但し、ひとつの地方霊場を構成した一群の石仏は材質や様式上の統一性を持ち、この統一性は石仏がセートであることを表す。一方、それぞれの石仏には札所番号やその番号に応じた本尊が彫られ、セートでありながらも特定の一つの札所としての性格を示す。 石仏で設立された植民地朝鮮の地方霊場には、朝鮮の各地域に住んでいた日本人の紐帯を強める役割があったと思われる。地方霊場の造成や運営を通じて、その地域の日本人は講のような組織あるいは人脈を形成することができた。その例として石仏の願主の集団が挙げられる。願主は石仏一体に付き一人が指定されるのが普通であった。それぞれの石仏が、特定の札所としてのひとつの地方霊場の中で代替不可能なものであったように、それぞれの願主は、願主の集団の中で代替不可能な役割を担い、その集団に対する強い所属感を感じることができたと考えられる。地方霊場の巡礼は定期的な集団巡礼として行われた。巡礼は娯楽的な要素を伴い、祭りのような雰囲気をもっていた。在朝鮮日本人は移住地朝鮮に写した故郷の聖地としての地方霊場を一緒に巡礼しながら、親しみや繋がりを深めることができたのであろう。

      • 여행사 브랜드이미지와 서비스질이 고객만족과 관계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최빛나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how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relationship by perceived service due to the travel agency brand image. Specifically, it aims to identify that whether travel agency’s brand image has an influence on the sales and profit of the company like other industries by investigating how the travel agent’s image affects tourists in selecting their agent, which are listed, and how tourists’ service recognition in regard to the image exerts an influence on the brand image. The focus of this study is for investigation how the attributes in each area of service quality of travel agencies affect in the formation of travel agency brand image. To do this, a research model, in which service quality and the procedures of image formation were integrated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service quality and image formation,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research model, assumptions were established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r tourists who have used listed travel agencies to identify an influence of a travel agency’s brand image and its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empirical research were customers of Hana Tour, Mode Tour, Jau Tour, Redcap Tour, BT&I, Lotte Tour, and Sejung Tour. They responded questionnair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customers, who have used the travel products of seven travel agencies, and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survey accordingly, then after,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Not only Travel companies, but also all the companies can not survive, If they can not satisfy the customers compared to competing firms. To increase reliability of travel agencies is the way to make its customers satisfied, and, through continuous relationship, the travel agencies will be able to attract customers. Thus, customer satisfaction is very important factor in evaluating the service quality of tourism.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service quality tha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relationship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form of business. Therefore, this research tri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of travel agenc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types of travel business (listed travel agency). The results from analysis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major findings: First,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on the brand image reveal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service quality, corporality are high, then brand awareness is also high and serviceability are high, then brand value is also high. Second,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showed that timeliness/reliability, convenience had a grea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respectively. Third,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brand image on customer satisfaction revealed that if brand image and recognition of travel agency were high,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was also high. Fourth, the result suggests that customer satisfaction affects the relationship continuity. The truth that if customer satisfaction is high, relationship continuity is also high is presented. The empirical results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perceived service by the travel agency brand image have a decis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continuity. 본 연구의 목적은 여행사 브랜드이미지로 인한 지각된 서비스가 고객만족과 관계지속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즉, 관광자들이 여행사를 선택함에 있어 상장 여행사를 선택하고 이미지에 대한 서비스 인식이 여행사 브랜드이미지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함으로써 여행사의 이미지가 여타 산업에서처럼 기업의 매출과 이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인지 밝혀 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여행사 서비스 질의 각 차원별 속성들이 여행사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질과 이미지 형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서비스 질과 이미지 형성 과정을 통합시킨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모형을 근거로 가설을 설정하고 상장 여행사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관광자를 바탕으로 여행사 브랜드이미지와 서비스 질이 고객만족과 관계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 연구를 위한 조사대상은 하나투어, 모두투어, 자유투어, 레드캡투어, BT&I, 롯데관광개발, 세중여행사의 상품을 이용한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7개 여행사의 상품을 이용한 고객에게 조사자가 설문지를 배부한 후 응답토록 하게 한 후 회수하는 방법을 실시하였다. 여행기업 뿐만 아니라 모든 기업이 경쟁기업에 비해 고객을 만족 시킬 수 없다면 그 기업은 살아남을 수 없다. 여행사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여행사의 고객에게 만족을 주며 관계지속성을 통해 고객을 재창출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고객만족은 여행업 서비스 질에 대한 평가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고객만족과 관계지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서비스 질이 기업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정 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여행사 브랜드이미지와 여행사의 서비스 질이 고객만족과 관계지속성에 미치는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의 주요 발견점을 크게 네 가지 측면에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질이 여행사 브랜드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서비스 질 하위요인 중 유형성이 높으면 브랜드인지도 또한 높고, 편리성이 높으면 브랜드가치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 질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적시성/신뢰성 요인과 편리성 요인은 고객만족에 각각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행사 브랜드이미지는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행사 브랜드이미지의 하위요인인 브랜드인지도·브랜드가치가 높으면 고객만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객만족이 관계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객만족이 높으면 관계지속성 또한 높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에서도 여행사 브랜드이미지로 인한 지각된 서비스가 고객만족과 관계지속성에 결정적인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