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Syntax and Semantics of Fragments in English Echo Questions

        조영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yntax and semantics of fragments in English echo questions. Sub-sentential phrases which have the same meaning and function as full sentential echo questions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previous literature. In the present thesis, I argue that these fragments are the results of a clausal ellipsis, and that an in-situ deletion analysis that excludes movement of a focused constituent to the periphery of a clause is required to derive the fragments. With regard to the semantics of echo questions and echo fragments, following Beaver et al.’s (2017) analysis, I suggest the idea of incorporating the notion of QUD (Question Under Discussion; Roberts, 1996) into the focus-based accounts of the derivation of echo questions (Beck & Reis, 2018), in need of taking the effect of context into consideration. Also, I argue that an echo fragment has the same meaning as its corresponding full-fledged echo question, because the former is syntactically derived from the latter by means of an ellipsis at PF: Their meanings thus remain identical to each other. In terms of the syntax of echo fragments, I first argue for an in-situ deletion approach (Griffiths et al. 2018, 2020). I show that the fragment of echo questions can present itself in various sizes including immovable XPs, which are not generally allowed to move; thereby arguing against the movement and deletion approach (Merchant, 2001, 2004, etc.). Then I propose that a syntactic identity condition is in need (Merchant, 2008a), by providing novel empirical examples that undermine the semantic identity condition. Lastly, I argue that implementing Büring’s (2006) unrestricted vertical focus projection allows for massive fragments—the fragments consisting of a constituent bigger than a single narrowly focused constituent. 본 논문의 목적은 영어의 메아리 질문(echo questions)의 조각문(fragment)에 대한 구조와 의미를 살펴 보는 것이다. 본 논문의 저자는 수문 구문(sluicing), 조각 대답(fragment answers)등의 생략 구문과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는 메아리 질문의 조각문 또한 절 생략(clausal ellipsis)의 결과이며, 메아리 질문에서의 생략을 설명하는 데에는 초점 구문(focused phrase)의 절 주변부(clause periphery)로의 이동을 배제한 제자리 삭제(in-situ deletion) 접근법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먼저, 본 저자는 Beck and Reis (2018)에 기반하여 메아리 질문의 의미는 초점의 역할을 통해 도출된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의미 형성과정 설명에 있어 QUD(Question Under Discussion) 개념을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메아리 질문은 선행 발화와 구조와 의미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을 수 있는데, Beaver, Roberts, Simons, and Tonhauser (2017)의 논의를 따라 그 다름의 정도를 QUD (Roberts, 1996, etc.)로 설명할 수 있음을 보이고, 이는 초점의 역할을 강조하는 본 논문의 주장과 병립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메아리 질문의 의미는 생략 후 조각문 상태에서도 유지되기 때문에, 그 의미 형성 과정을 논의하는 것은 중요하다. 조각문의 통사 구조와 관련해서, 본 저자는 먼저 메아리 질문의 생략에서는 일반적으로는 이동할 수 없는 구문들(immovable phrases)을 포함해 잔여구(remnant)가 다양한 크기로 나타날 수 있음을 기반으로 Merchant (2001, 2004)등이 주장한 이동 후 삭제(movement and deletion) 접근법에 반대하고 제자리 삭제 접근법을 지지한다. 또한, 본 저자는 의미적 동일성 조건만으로 인허될 수 없는 구조적 불일치와 관련된 새로운 예문들을 제공함으로써, 메아리 질문의 생략에서는 통사적 동일성 조건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Merchant, 2008a). 마지막으로 Büring (2006)의 비제한적 초점 투사(unrestricted focus projection)는 좁은 초점을 받은 성분(narrowly focused element)이 단독으로 등장하는 것보다 크기가 큰 거대 조각문(massive fragments)을 가능하게 한다고 주장한다.

      • 일의 의미가 직장인의 안녕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와 일과 삶 균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환규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eaning in work, wellbeing, depression, meaning in life, and work-life balance. A total of 505 Korean employees were recruited, including 329 male employees(=39.7, =7.8) and 176 female employees(=35.1, =8.4). The entire sample was divided into Sample 1(N=253) and Sample 2(N=252). The study set a hypothetical research model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ajor variables and verified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Cross validation was done to test if the selected final model fits to the new data sample. Model applicability was examined by comparing groups distinguished by gender, age and company. In the first phase, CFA was conducted using Sample 1 data.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ere .24~.62 and the correlations among all variables were significant (p<.05 level). All measurement variables in the measurement model showed good loading value(<.06)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e measurement model was fit to the data and resulted in the following good fit indices: χ2(df=94, N=253)=276.381, TLI=.902, CFI=.923, RMSEA=.088. In the second phas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xamined using Sample 1.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meaning in work, meaning in life, wellbeing, work-life balance and depression was verified. The result were the following : χ2(df=96, N=253)=282.087, TLI=.902, CFI=.922, RMSEA=.088.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meaning in work had positive effect on meaning in life, work-life balance and wellbeing, but did not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Second, meaning in life was positively affect wellbeing but did not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Third, work-life bala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wellbeing and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Fourth, results from the bootstrapping analysis using phantom variable showed that meaning in life and work-life balance had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in work and wellbeing. Fifth, meaning in life did not hav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in work and depression whereas work-life balance had full mediation effect. In the third phase, cross validation study was done with Sample 2(N=252) to examine generalizability of final model and resulted in the following fit indices: χ2(df=96, N=252)=334.735, TLI=.893, CFI=.915, RMSEA=.100, indicating that the cross validation model fit was acceptable.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cross validation model was the same as the result of final model. In the fourth phase, multiple group structure modelling was conducted with the entire sample(N=505).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 First, male employees' meaning in life, meaning in work and work-life balance had significant effect on wellbeing whereas meaning in work and work-life balance significantly affected female employees' wellbeing. As for depression, male employees' meaning in life and work-life balance had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whereas only work-life balance significantly affected female employees' depression. Second, meaning in work, meaning in life and work-life balanc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wellbeing for the 25~35 and 36~45 age band. In the case of 46~60 age group, only meaning in life and work-life balanc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wellbeing. Work-life balance had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in all age groups. Third, in case of employees in large companies, meaning in work, meaning in life, and work-life balance significantly affected wellbeing. Also, work-life balance had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whereas meaning in work and meaning in life did not have signigicant effect on depression. For the employees in other company group however, only meaning in work and work-life balance significantly affected wellbeing; and work-life balance had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whereas meaning in work and meaning in life did not have signigicant effect on depression.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의 일의 의미, 안녕감, 우울, 삶의 의미 그리고 일과 삶의 균형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남자 직장인 329명(=39.7, =7.8)과 여자 직장인 176명(=35.1, =8.4), 총 505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적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수집된 자료를 표본 1(N=253)과 표본 2(N=252)로 구분하여 측정모형 및 구조모형을 검증하였고, 채택된 최종모형이 새로운 표본자료에도 잘 부합하는지 모형의 교차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성별, 연령대별, 기업별 집단구분에 따른 비교를 통하여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표본 1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측정모형의 주요 적합도지수는 χ2(df=94, N=253)= 276.381, TLI= .902, CFI= .923, RMSEA= .088이었다. 변인 간 상관은 .24에서 .62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모든 측정변인들 간 상관이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하였으며, 측정모형의 모든 측정변수들이 표준화추정치 기준으로 .6 이상의 양호한 값을 보이고 있으며, C.R. 값을 기준으로 할 때도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표본 1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직장인의 일의 의미, 안녕감, 우울, 삶의 의미 그리고 일과 삶의 균형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한 결과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들은 χ2(df=96, N=253) = 282.087, TLI = .902, CFI = .922, RMSEA = .088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의 의미는 삶의 의미, 일과 삶의 균형, 그리고 안녕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우울에는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의 의미는 안녕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우울에는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과 삶의 균형은 안녕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우울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팬텀변수를 사용하여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결과 일의 의미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삶의 의미, 그리고 일과 삶의 균형이 부분매개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일의 의미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삶의 의미는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진 반면, 일과 삶의 균형은 이들 간의 관계를 완전히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최종모형의 일반화 가능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표본 2를 사용하여 교차타당화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차타당화 모형의 적합도 지수들은 χ2=334.735, 자유도(df)=96, TLI=.893, CFI=.915, RMSEA=.100으로 나타나 교차타당화 모형의 적합도가 수용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교차타당화 모형의 검증결과는 최종모형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채택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성별, 연령별 그리고 기업 집단별 다중집단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집단구분에 따른 다중집단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남성 직장인은 삶의 의미, 일의 의미와 일과 삶의 균형 세 변인이 모두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일의 의미와 일과 삶의 균형만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만 삶의 의미는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성 직장인은 일의 의미와 일과 삶의 균형만이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삶의 의미는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일과 삶의 균형만이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일의 의미와 삶의 의미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연령 집단구분에 따른 다중집단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20~35세와 36~45세 직장인은 일의 의미, 삶의 의미, 일과 삶이 균형이 안녕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일과 삶의 균형은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만 일의 의미와 삶의 의미는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6~60세 직장인은 삶의 의미와 일과 삶의 균형이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일의 의미는 안녕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5세와 36~45세 직장인은 일과 삶의 균형만이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일의 의미와 삶의 의미는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6~60세 직장인은 일과 삶의 균형이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일의 의미와 삶의 의미는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 구분에 따른 다중집단 구모모형을 분석한 결과 일의 의미는 대기업 직장인의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기타기업 직장인의 안녕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대기업 직장인과 기타기업 직장인의 우울에는 일과 삶의 균형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 상담자의 낙관성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 및 일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윤정림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상담자의 낙관성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와 일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도권 소재의 심리상담센터 및 학술대회 등을 방문하여 상담 경력이 1년 이상이며, 주당 상담 시간이 10시간 이상인 상담자 11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와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의 인구학적 특성(성별, 연령, 자격증 유무, 상담 경력, 주당 상담 시간) 및 낙관성, 안녕감, 소진 및 일의 의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상담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낙관성, 안녕감, 소진과 일의 의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담자의 연령이 높고, 상담관련 전문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며, 상담 경력이 긴 경우 일의 의미에 더 큰 가치를 두었다. 주당 상담 시간이 많은 경우 낙관성과 안녕감이 낮은 수준을 보였고, 소진은 하위요인마다 다른 결과를 보이는데 연령이 낮을수록 높은 신체적 피로감을, 상담 경력이 짧을수록 따라 낮은 무능감을 보였다. 이어 변인간 관계 확인을 위해 가설적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첫째, 낙관성이 소진을 매개로 안녕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낙관성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일의 의미의 조절효과가 없음을 통해 조절된 매개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소진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일의 의미의 조절효과 검증을 하였으나, 소진과 일의 의미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가 결합된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낙관성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소진을 매개로 한 일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자의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변인들을 찾고 그 관계를 밝혀, 상담자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도모하였으며 상담자의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담자 소진에 대한 개입에서 개인의 낙관적 사고의 증진이 소진 예방 및 안녕감 향상에 도움을 줄 것을 밝힘으로서, 병리와 결손에 치중한 개입이 아닌 긍정적 요인을 활용한 개입의 가능성을 보여준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eaningful work through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optimism and well-being. Th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s 113 counselors who are working in various counseling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y have more than one year of counseling experience and are doing counseling session more than 10 hours a week.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optimism, well-being, burnout and meaningful work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ounselor are as follows. If the counselors are older, have professional counseling qualifications and have long experience in counseling, they focus on the value of meaningful work. If the counselors are work many hours a week, they showed a low level of optimism and well-being. In burnout, younger counselors showed a high level of exhaustion and short-career counselors showed a low incompetence.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hypothetical model’s verification. First, the indirect effects of optimism via burnout on well-being was significant. It means that burnout mediated the direct effects of optimism on well-being. Second, meaningful work non-significantly moderated the direct effect of optimism on well-being. It means that this model is suitable for examin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ird, meaningful work non-significantly moderated the direct effect of burnout on well-being. It means that there i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burnout and meaningful work. Lastly, the meaningful work non-significantly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 of optimism via burnout on well-be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psychologic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counselor's well-being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in order to promote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counselor. The study also provides information for enhancing the counselor's well-being.

      • IT 기업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 일과 삶의 균형, 일의 의미, 희망 및 균형적 시간조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유지원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IT 기업 종사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인 개인 특성 변인에 관한 확인을 목적으로 직무 스트레스, 일과 삶의 균형, 일의 의미, 희망, 균형적 시간조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상대적인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도권 소재의 IT 기업에 재직중인 남녀 직장인 283명(남자 169명, 여자 114명)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먼저 주요 변인들과 IT 기업 종사자의 소진 간의 상관분석 결과, 소진은 직무 스트레스와는 높은 정(+)적 상관을, 일과 삶의 균형과 일의 의미와는 높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희망과 균형적 시간조망과는 중등도의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소진이 높고, 일과 삶의 균형, 일의 의미, 희망 및 균형적 시간조망의 수준이 높을수록 소진이 낮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각 변인과 그 하위요인들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 스트레스, 일과 삶의 균형, 일의 의미, 희망 및 균형적 시간조망은 소진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직무 스트레스는 소진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일과 삶의 균형, 일의 의미, 희망 및 균형적 시간조망은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인의 하위요인들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서는 직무 스트레스의 7개 하위요인 중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직무자율성 결여, 직무요구, 조직체계, 직무불안정은 소진에 영향을 미치며, 관계갈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과 삶의 균형의 4개 하위요인 중에서는 일-성장 균형, 일-가족 균형, 전반적 평가가 소진에 영향을 미치며, 일-여가 균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의 의미의 3개 하위요인 중에서는 일에서의 긍정적 의미, 더 큰 선을 위한 동기가 소진에 영향을 미치며, 일을 통한 의미 만들기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균형적 시간조망의 2개 하위요인 중에서는 미래긍정 시간조망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며, 과거긍정 시간조망은 소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요인으로 구성된 희망에 대해서는 하위요인에 대한 분석이 제외되었다. 이어 주요 변인들이 소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변인들을 동시 투입 시 일과 삶의 균형, 일의 의미, 직무 스트레스 순으로 소진에 영향을 미쳤으며, 희망과 균형적 시간조망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소진에 대한 개입에 있어 일과 삶의 균형을 잘 유지할 수 있도록 촉진하고, 일의 의미와 관련하여 자신의 일이 가지는 긍정적인 의미와 가치를 찾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직무 스트레스를 줄이고 해소하는 것보다 더 중요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조직이나 직무 환경적인 부분에 대한 개입뿐만 아니라 개인의 긍정적 특성을 발견하고 개발하여 이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입의 중요성과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ositive personal characteristics variables that impact the burn-out among various IT(information technology) company employe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examined the impact of job stress, work-life balance, meaning in work, hope, and balanced time perspective on the burn-out and discussed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ve impacts. For this study, a total of 283 male and female adults (169 males and 114 females) working for IT companie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South Korea were surveyed, and the gathered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es in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key variables and the burn-out of IT company workers, burn-out showed a high positive (+) correlation with job stress, a high negative (-) correlation with work-life balance and meaning in work, and a moderately negative (-) correlation with hope and balanced time perspective. That is, a higher level of job stress was followed by a higher chance of burn-out, while increased work-life balance, the meaning in work, hope, and balanced time perspective resulted in a lower level of burn-out. As the next step, the researcher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each variable and its sub-factors on burn-out. The result showed that job stress, work-life balance, the meaning in work, hope, and balanced time perspective all significantly suggested burn-out. Job stress had a positive impact on burn-out; work-life balance, the meaning in work, and a balanced time perspective had a negative impact on burn-out. As for the impact of the sub-factors of each variable, lack of reward, occupational climate, insufficient job control, job demand, organizational system, and job insecurity had some impact on burn-out, while interpersonal conflict did not show an impact on burn-out. Of the four sub-factors of work-life balance, work-growth balance, work-family balance, and overall evaluation impacted burn-out, while work-leisure balance did not have an impact. Of the three sub-factors of the meaning in work, the positive meaning in work, and the greater good motivation impacted burn-out, while meaning making through work did not have an impact. Of the two sub-factors of balanced time perspective, the future-positive time perspective impacted burn-out, while the past-positive time perspective did not impact burn-out. Hope, which was composed of a single factor, was excluded from the analyses of sub-factors. As the next step, the researcher conducted a multiple-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at the variables, when input together, impacted burn-out in the order of work-life balance, the meaning in work, and job stress. Hope and the balanced time perspectiv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in terms of the intervention on burn-out, it could be more important to facilitate work-life balance and help workers find positive values and meanings in their work for the meaning in work, then reducing and resolving job stress. Therefor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importance and possibility of the intervention should be more focused on finding and developing each person’s positive person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e job-environment-related interventions.

      • 초기 성인기의 연애경험을 통한 자기이해에 대한 개념도 연구 : 대학생을 대상으로

        김호관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남녀 대학생들이 연애경험을 통해 얻은 자기이해를 개념도(concept mapping) 방법을 통하여 탐색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남녀 대학생들이 연애경험을 통해 얻은 자기이해의 범주별 중요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각각 8인을 대상으로 2번의 모임을 통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 모임에서는‘연애경험을 통해 얻은 자기이해’를 묻는 개방형 질문을 활용하여 남녀 대학생들의 연애경험을 통한 자기이해에 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두 번째 모임에서는 남녀 대학생들이 첫 번째 모임에서 생성된‘연애경험을 통한 자기이해‘에 관한 진술문 각각 66개, 89개를 유사성을 기준으로 그룹화하여 분류하고, 각 진술문의 내용이 자신을 이해하는 데에 얼마나 중요할 지에 따라 5점 Likert 척도로 중요도 평정을 실시하였다. 최종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다차원척도법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애경험을 통해 얻은 자기이해의 내용에서 남자 대학생은 차원 수에 따른 적절한 스트레스 값이 확인되지 않아 차원을 도출할 수 없었다. 범주의 수는 3개로 확인되었으며 각각의 이름은‘자신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이해’,‘자신의 연애관과 이성관에 대한 이해’,‘자신의 부정적 측면에 대한 이해’로 설정하였다. 각 범주별 중요도는 3.58점, 3.29점, 3.44점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각 범주의 내용 모두 자신을 이해하는 데에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애경험을 통해 얻은 자기이해의 내용에서 여자 대학생 또한 차원 수에 따른 적절한 스트레스 값이 확인되지 않아 차원을 도출할 수 없었다. 범주의 수는 3개로 확인되었으며 각각의 이름은‘자신의 성격에 대한 이해’,‘자신의 이성관에 대한 이해’,‘자신의 연애관에 대한 이해’로 설정하였다. 각 범주별 중요도는 3.63점, 3.03점, 3.67점으로 범주2 에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고 각 범주의 내용 모두 자신을 이해하는 데에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들의 연애경험을 통한 자기이해의 내용을 통합방법의 하나인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현상학적인 탐구를 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남녀 대학생들의 현재 연애경험을 통해 얻고 있는 자기이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남녀 대학생들이 건강한 관계에서 친밀감을 형성하여 자기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 내용을 밝힐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향후 대학생들이 연애경험을 통해 얻게 되는 자기이해의 측면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llege students’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 dating experience using a concept-mapping method. Using a concept-mapping method, this study could find out the importance of each category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 dating experi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wo meetings with two groups each organized eight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first meeting, qualitative data on self-understanding through dating experiences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as collected by using open-ended questions asking 'self-understanding through dating experiences'. In the second meeting, each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classified 66 and 89 statements about 'self-understanding through dating experience' generated in the first meeting, grouped by similarity, and evaluated importance by 5-point Likert scale, depending on how important the contents of each statement would be to understand self. The results derived by perform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based on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ontent of self-understanding through dating experience, male college students identified two dimensions and three categories. For the dimension, two dimensions were identified, but the dimensions’ name could not be named because the common point could not be extracted from each dimension. The three categories were identified as 'positive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preference about dating and dating partner', and 'negative self-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each category was 3.58 points, 3.29 points, and 3.44 points,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contents of each category were found to be above average to understand themselves. Next, in the content of self-understanding through dating experience, female college students identified two dimensions and three categories. In the dimension, only one dimension ,basaed on the x-axis, could be named because it was possible to extract common points only in this dimension and this was a relational/personal dimension. The three categories were identified as 'understanding of personality', 'understanding of opposite sex', and 'understanding of love'. The importance of each category was 3.63 points, 3.03 points, and 3.67 points. Differences were found in category 2, and the contents of each category were found to be above average to understand themselv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 phenomenological inquiry was conducted by using the concept-mapping method, which is one of the methods of integrating method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ontents of self-understanding that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re gaining through their current dating experiences, and it was revealed that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can increase their self-understanding by forming intimacy in a healthy relationship.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aspects of self-understanding that college students gain through dating experiences.

      • 직무소진, 일의 의미, 일과 삶의 균형, 지혜가 직장인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일반 사무직 종사자를 중심으로

        이지혜 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일반직 종사자의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인 개인 특성 변인을 확인하고자 직무소진, 일의 의미, 일과 삶의 균형, 지혜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각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의 수도권 소재의 종업원 수 300명 이상인 기업에 재직 중인 남녀 직장인 (남자 210명, 여자 21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우선, 주요 변인들과 일반직 종사자의 안녕감 간의 상관분석을 한 결과, 안녕감은 일의 의미, 일과 삶의 균형, 지혜와는 중등도의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직무소진과는 중등도의 부적 상관이 있었다. 다음으로 각 변인과 각 변인들의 하위요인들이 직장인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소진, 일의 의미, 일과 삶의 균형, 지혜는 안녕감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일의 의미, 일과 삶의 균형, 지혜는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직무소진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인의 하위요인들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서는 직무소진의 3개 하위요인 중 정서적 소진, 직업 자신감은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며, 냉소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의 의미의 3개 하위요인 중에서는 일에서의 긍정적 의미, 일을 통한 의미 만들기, 더 큰 선을 위한 동기 모두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과 삶의 균형의 4가지 하위요인 중에서는 일-성장 균형은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며, 일-가족 균형, 일-여가 균형, 전반적 평가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혜의 7개 하위요인 중에서는 고차지식, 자기성찰, 앎의욕구, 조직공감, 모순인지는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나, 타인이해, 영성 및 초월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요 변인들이 안녕감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변인들을 동시 투입하였을 시 일의 의미, 지혜, 일과 삶의 균형, 직무소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안녕감에 대한 개입에 있어 직무소진을 줄이고 해소하는 것보다,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한 긍정적인 의미를 인식하고, 일을 통해 삶의 의미를 느끼고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도우며, 더 나아가 자신을 넘어 타인과 사회 등 더 넓은 영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을 돕는 것이 더 중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과 삶의 영역에 있어 특히 일과 개인의 성장과 관련하여 시간과 자원을 적절하게 분배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인간의 정신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변임임에도 그 동안 연구가 부족했던 지혜와 관련하여도 좀 더 관심을 두고, 직장인을 대상으로 이를 발달시키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및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의미가 있을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표현적 글쓰기를 활용한 온라인 긍정개입프로그램이 한부모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및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이설혜 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표현적 글쓰기를 활용한 온라인 긍정개입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Pennebaker의 표현적 글쓰기 치료, Rashid의 긍정심리치료를 토대로 하였으며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한부모가정 어머니에게 적합하도록 긍정개입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만 12세 미만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이혼한 여성 19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주 1회 90분씩 8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양육스트레스, 우울 및 안녕감에 대한 사전-사후-추후 시점에 따른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비모수 통계방법을 사용하여 양적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한부모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을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안녕감 수준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표현적 글쓰기를 활용한 온라인 긍정개입프로그램을 통해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을 경험하는 한부모가정 어머니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안녕감을 향상하는 자기 돌봄 차원의 접근이 가능하였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코로나19의 상황에서 대면 상담의 제약으로 인한 상담 접근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표현적 글쓰기를 활용한 온라인 긍정개입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입증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n online positive intervention utilizing writing for single-parent mothers. For this purpose, based on Pennebaker's writing therapy and Rashid's positive psychotherapy, a positive intervention for single-parent mothers was construct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19 divorced women raising children under the age of 12,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an 8-sess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90 minutes once a week.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to verify the program effect according to the pre–post–follow-up test points on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well-be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single-parent mother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the level of well-being.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it was possible to take a self-care approach to improving the well-being of single-parent mothers experiencing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and to resolving their difficulties through an online positive intervention utilizing expressive writing.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an online positive intervention utilizing expressive writing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difficulties in accessing counseling due to the limitations of face-to-face counseling and demonstrated its effectiveness in the COVID-19 situation.

      • 대학생들의 삶의 의미에 관한 개념도 연구

        서상희 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삶의 의미 구조를 개념도(concept mapping) 방법을 통하여 탐색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삶의 의미를 형성하는 차원과 범주별 중요도를 함께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남녀 대학생 각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일상에서 경험 하고 인식하는 삶에 대한 의미’를 묻는 개방형 인터뷰를 실시하여 대학생들의 삶의 의미에 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남학생 집단에서 98개의 진술문을 생성하였 고, 여학생 집단에서 100개의 진술문을 생성하였다. 이에 따라 각 진술문들의 유사 성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삶의 의미 내용들의 중요도를 리커트 평정하였다. 최종 수 집된 자료를 기초로 다차원척도법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도출된 개념도에서 나타 난 차원과 범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삶의 의미에서 2개의 차원과 3개의 범주를 확인하였 다. 2개의 차원은 ‘외적 세계(타인, 사회)―내적 세계(자신)와의 관계 지향’, ‘현재 기 반의 만족 지향―장기적인 성취 지향’으로 구분되었고, 3개의 범주는 ‘미래·자아실현 적 의미’, ‘사회적·관계적 의미’, ‘현재·만족적 의미’로 확인되었다. 또한 각 범주 모두 대학생들의 삶의 의미로서 ‘중요한’ 정도의 기여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삶의 의미를 개념적으로 구조화하여 대학생들에 게 있어서 삶의 의미 특성에 관한 경험적 자료를 얻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대학생들의 발달적 특성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삶의 의미에 대한 구체적인 특성과 양상을 질적 자료로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대학생 집단의 상담이나 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인 성과의 근거를 밝히는 후속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meaning in life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perceived from life experiences. Concept mapping, which is a methodological approach to confirming the meaning in life of university students questingly. This study that, on that basis, was investigated dimensions and importance levels on category classification that they were formulating meaning in life. Ten of Men and women each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interviewed and asked about the meaning in life that they had been experienced and perceived in their everyday life. As a results from qualitative data, 98 statements from men and 100 statements from women about meaning in life were extracted. They participated in sorting and rating the statement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placing the statements on the two-dimensional map using multidimensional analysi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the meaning in life as three categories on two dimensions. Two dimensions were divided as ‘aimed at relation with external world(others, society)-aimed at relation with internal world(self)’ and ‘aimed at satisfaction based on the present-aimed at long-term achievements’. Three categories were confirmed ‘future·self-realizational meaning’, ‘social·relational meaning’, and ‘the present·satisfactory meaning’. Also, the importance of three categories was resulted that contributed to meaning in life of university students to an important degree. This study was of significance in the way that applied experiential data about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meaning in life by structuralized conceptually. Also, qualitative data about specific nature and aspect of university students’ meaning in lif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hich would be appeared with their developmental natures. At the end, this study are suggested basic data for following studies that present base of practical performance in the counseling, or educational field for university students.

      • 성격으로서의 지혜가 상담자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상담자 발달 수준 및 균형적 시간조망의 중다매개효과

        최지선 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wisdom as character and counselor’s well-being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development level and balanced time perspective. To verify the hypothesis, 336 counselors(Sample 1) was analyzed for EFA(Explanatory Factor Analysis) and 251(Sample 2) was analyzed for CFA(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so, The study set a hypothetical research model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ajor variables and verified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al model. Finally examined by comparing groups distinguished by experienced and novice counselor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isdom as character, counselor’s development level, balanced time perspective, and well-being, Second, as a result of path analysis, wisdom had a positive effect on counselor’s development level, balanced time perspective and well-being.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counselors development level and balanced time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isdom and well-being were verified.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mediating effect between experienced and novice counselors.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으로서의 지혜가 상담자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상담자 발달과 균형적 시간조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두 개의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총 587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1에서는 336명(표본 1)을 대상으로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각 척도의 구성개념과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성격으로서의 지혜 척도는 정서조절, 회상/반성, 개방성, 경험, 유머의 5개 하위요인, 상담자 발달 척도는 상담기술, 상담계획, 인간적·윤리적 태도의 3개 하위요인, 균형적 시간조망 척도는 미래긍정 시간조망, 과거긍정 시간조망의 2개 하위요인, 안녕감 척도는 정서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안녕감의 3개 하위요인으로 밝혀졌다. 이어서 251명(표본 2)을 대상으로 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측정모형의 주요 적합도가 수용할 만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측정모형의 모든 측정변수들이 양호한 값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연구모형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고 상담자 발달과 균형적 시간조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경력 별 집단구분에 따른 경로관계를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들은 좋은 적합도에는 다소 못 미치지만 수용할 만한 수준의 적합도를 나타냈다. 또한 팬텀 변수를 이용한 Bootstrap을 실시하여 매개효과와 유의성을 검정하였고, 경력 집단에 따른 다중집단 모형을 분석하여 초심상담자와 숙련상담자의 경로계수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성격으로서의 지혜는 안녕감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다. 둘째, 성격으로서의 지혜는 상담자 발달을 매개로 하여 안녕감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다. 셋째, 성격으로서의 지혜는 균형적 시간조망을 매개로 하여 안녕감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다. 넷째, 경력 집단에 따른 경로 분석 결과 초심상담자 집단과 숙련상담자 집단 모두에서 성격으로서의 지혜가 안녕감, 상담자 발달, 균형적 시간조망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비교에서 초심상담자 집단은 균형적 시간조망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숙련상담자 집단은 성격으로서의 지혜 및 상담자 발달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마케팅믹스(4P) 기반 공공도서관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지율희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는 급속히 변화하고 있는 정보화 사회로, 오늘날의 대중들은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정보환경 안에서 더욱 다양하고 세분화된 정보 요구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공공도서관은 더 이상 지역사회 구성원을 위한 유일한 정보 제공원이 아니며, 데이터베이스․서점․포털과 같은 경쟁 업체들과의 관계에서 그 존립의 위기에 당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공도서관이 과거와 같이 지역사회의 정보 제공원으로서의 입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경쟁 업체들과 차별화 된 도서관만의 전략 수립을 통해 이용자 만족을 이끌어 내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공공도서관은 정부 혹은 모기관의 재정적 지원을 바탕으로 이용자들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공익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영리 기반의 기업들의 전략인 마케팅이 불필요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사회 통념이며, 공공도서관 현장에 종사하는 사서들 역시 공공도서관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도입․활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회적 현실 속에서 공공도서관이 지속적 이용자의 유입과 이용자 만족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이용자 분석, 도서관 내․외부 환경 분석, 도서관 현황 분석 등을 통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마케팅의 개념 및 도서관마케팅의 개념, 도서관에서 적용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 서울시 공공도서관들의 일반적 마케팅 현황과 마케팅믹스(4P) 중심의 마케팅 현황을 조사하며, 사서들의 도서관 마케팅 관련 교육 경험 및 도서관 마케팅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현재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마케팅 현황은 마케팅믹스(4P) 요소별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마케팅 관련 교육의 필요성 및 도서관마케팅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 사서들이 필요로 하는 도서관마케팅 활성화 요소 등 다양한 요인들을 부가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재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마케팅 현황을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종합적인 마케팅믹스(4P)기반 전략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