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과교실제 운영학교의 정보화기기 이용 실태 및 활용 방안 연구 : 강원도 교과교실제 운영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장소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에서는 학교교육과정 및 교과교실제, 교육정보화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교과교실제 운영 학교에 대해 선진형, 과목 중점형으로 유형별 조사 분석해 봄으로써 정보화기기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강원도 교과교실제 시범 운영학교 중 유형별로 8개교의 고등학교 교사 1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교실제 운영은 학생들의 학업성취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그 이유는 ‘다양한 정보화기기 활용으로 효과적인 수업 진행’과 ’학생에게 적합한 수준별 수업 가능’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는 교과교실제에서 정보화기기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이 입증된 것으로써 정보화기기 이용을 활성화하고 수준별·맞춤형 수업 지원으로 학교교육의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교과교실제 운영으로 인해 교사의 수업방식이나 내용에 변화가 있으며, 이는 수업시간에 적합한 다양한 기자재 활용으로 상황 대처가 빠르고, 수업을 위해 보다 철저한 준비를 하게 된 것이 주요한 변화라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이 교과교실제 운영은 교사들에게 변화된 교육과정에 맞추어 수업방식의 개선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교과교실제 운영이 교사의 교수 활동에 대체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 답변을 하였으며, 도움이 되는 이유는 수업이 효율성 있게 진행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사들은 학생들의 수업 이해도가 높아진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넷째, 교과교실에서 학습 자료의 준비 정도와 활용의 편리성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이 절반 정도로 나타났다. 아직 시행 초기로서 교과의 특성에 맞는 학습 자료의 활용이 충분하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특성에 맞는 교실 환경을 구성하고 다양한 학습 자료를 구비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교사 및 학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교사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기와 교과교실 수업에서 가장 요구되는 정보화기기는 컴퓨터와 빔 프로젝트이며, 전자칠판과 전자교탁의 사용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칠판과 전자교탁의 경우 최신 정보화기기이기는 하나 보급률이 낮아 필수 사용률 또한 저조한 원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적극적인 예산 투자로 교과목별 특성에 적합한 최신 정보화기기 보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인터넷 환경과 컴퓨터의 성능 만족도는 절반 수준이다. 교과교실을 새롭게 설치하고 있으나 학급교실에 설치된 일부 노후 인터넷 환경과 컴퓨터에 대한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것으로 해석된다. 일곱째, 정보화기기를 활용한 수업 진행에 대해서는 대체로 부담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화기기를 활용한 학습효과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보화기기 활용 수업에서 가장 어려운 것은 교재 및 소프트웨어 부족으로 꼽았다. 정보화 기반 하드웨어는 갖추어졌다고 할 수 있으나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부족하므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자료 보급이 함께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여덟째, 교과교실 수업에서 ICT 활용 정도는 저조한 편이며, 그 이유로는 입시위주의 교육, 활용 불편, 칠판식 강의 익숙 등으로 나타났다. 기존 수업방식에 익숙하여서 정보화기기 활용에 따른 번거로움과 수업 준비를 위해 더 많은 시간 투자에 대해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분석된다. 입시 위주의 교육방식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교육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며 교사의 잡무를 경감하여 수업 준비에 전념할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하여 정보화기기 활용율을 높여야 한다. 아홉째, 정보화기기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요소로 ‘교육콘텐츠 보급’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외 ‘정보화기기 보급’과 ‘편리한 물리적 환경 조성’이라고 응답하였다. 정보화기기의 보급 확산 및 교과의 특성에 맞는 교실 환경 조성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교과별로 필요한 콘텐츠를 제작하여 수업에 활용하도록 보급하는 일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해석된다. 열째, 디지털 시대의 학생들을 지도하기 위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가장 필요한 요소로 ‘정보화기기를 활용한 수업 모델 및 교수법 개발’을 지적하였다. 또한 ‘새로운 정보화기기에 대한 지식 및 활용법 습득’, ‘정보화연수 지속적 실시’, ‘정보화기기를 활용한 수업 증가’로 나타났다. 공교육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중·고등학교에 교과교실제가 확대 실시된다. 미래사회를 책임질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 학생중심, 교과중심의 수업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교육 주체인 교사들의 전문성을 심화하고 미래 교육에 적합한 교육매체, 교육내용,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럼으로써 다양한 정보화기기 활용을 통하여 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흥미도를 높이고 동기유발이 이루어져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켜 글로벌 인재 양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운동부체육과 주민 개방을 고려한 중등학교 체육수업 활성화 방안 연구

        이종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운동부 체육과 지역 개방을 고려한 중등학교 체육수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학교 일반체육 운영 실태 체육 교과 수업에 있어, 일반학급 교실에서 이론수업을, 체육실습은 체육장에서 주로 실시하고 있다. 이것은 일반학급 교실의 경우 전문 체육 수업을 위한 시설 및 설비가 갖추어지지 않았으며, 이론수업과 실습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별도의 시간에 실습수업을 할 수 밖에 없어 효과적인 수업을 이루기에 어려운 상황이라 할 수 있다. 학교 정규 체육수업으로 체육시설을 동시 사용하는 경우, 2학급 이상에서 동시 수업을 실시하는 경우가 전체 응답자의 81%로, 학교 체육수업의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학교 규모에 따라 주당 수업시수와 학급 수의 관계로 학급수가 증가함에 따라 동시 수업 학급수가 증가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학교 규모가 클수록 체육시설의 종류나 규모를 고려하여 시설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정규 체육 수업의 활성화를 위해 향후 꼭 필요한 체육시설로, 체육관 확보를 매우 높게 요구하고 있다. 이는 구기 및 소규모 체육 등의 학습 활동에서 체육장보다 비교적 안전하게 활용 할 수 있으며, 동시 수업에서 각각의 수업 공간인 체육관 확보를 우선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체육 수업을 위한 학교의 문제점으로 제시된 것은, 학교 체육수업의 정상화를 위해 전문적인 체육시설의 확보가 시급한 실정으로 나타났다. 2. 방과 후 체육수업의 운영 실태 정규수업 외 일반 학생들을 위한 방과 후 체육 수업의 실시는, 주당 2-3회가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체육수업의 주장소인 운동장의 경우 운동부 학생의 훈련장소로 활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학생들의 방과 후 체육활동을 위한 체육관련 시설의 부족현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현행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방과 후 체육 수업으로, 구기종목인 축구, 농구, 배구 등을 하고 있으며, 이는 다수의 학생들이 참여하여 상호 결집력과 유대를 강화 할 수 있고, 비교적 일반학교에서 보유하고 있는 체육장, 체육관 등에서 실시가 가능한 종목으로써 범위가 한정되고 많이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방과 후 체육을 실시하기 위해 활용되는 공간에 대하여, 교사들은 체육장, 40명(50.0%)으로 가장 많이 언급하였다. 이것은 좁은 공간의 체육관 보다는 많은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체육장을 가장 많이 활용함을 알 수 있다. 방과 후 체육을 위해 꼭 필요한 시설이 무엇인지 알아본 결과, 체육교사들 53명(60.2%)이 체육관을 매우 높게 언급하였다. 이는 정규수업 외 방과 후 수업에 적합한 소규모 체육 등의 학습 활동이 체육장 보다 용이 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특기 적성에 맞는 다양한 수업을 진행할 수 있어, 체육관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3. 운동부학생의 체육활동 실태 현행 운영하고 있는 운동부 현황을 살펴보면 축구, 배구, 육상 등 27 종목으로, 축구와 육상이 각각 17.0%로 체육장과 같은 넓은 공간과 장소의 확보가 쉬어 많은 학교에서 중점 육성종목으로 선호하고 있다. 학교 육성 운동부 학생의 활동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시설은 체육관으로, 이것은 체육장에서의 단순한 야외체육활동보다 시설이 고루 갖추어져 있고 다양한 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체육관 및 전용체육실 등의 사용을 거의 절반에 가까운 45%가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교 운동부 학생의 엘리트 체육을 위한 운동 시간대와 장소를 알아 본 결과, 72명(35.8%)이 정규수업 외 방과 후 시간대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이용 장소로는 25명(31.6%)이 체육관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부의 시설 사용으로 인해 일반학생에게 지장을 주는 경우는, 휴식시간 및 스포츠 활동에 가장 많은 지장을 주고 그 다음으로 정규체육수업, 방과 후 체육수업 순으로 지장을 준다. 그 개선책으로, 운동부 학생의 전용체육시설의 확보가 41명(56%)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교내 체육복합시설의 건립 및 활용, 지방자치단체의 체육시설 활용의 순으로 나타났다. 4. 학교체육시설의 개방 체육교사들은 학교체육시설의 개방에 있어, 59명(59.0%)이 지역학생, 주민 등 모든 대상자를 가장 많이 언급하였다. 학기 중 수업시간 외 지역사회에 개방하고 있는 시설에 대하여, 61%가 체육장을, 31%가 체육관을 언급하는 것을 볼 때 체육장을 매우 높게 언급하였으며, 이것은 주민들의 접근이 용이하고 관리 및 파손의 부담이 적은 체육장의 개방은 어느 정도 수용하는 것을 알 수 있고, 반면에 체육관은 개방에 따른 관리 및 파손의 부담이 높음을 알 수 있고, 또한 학생들이 많이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그리고 체육시설 사용 시간대는 학생수업에 지장이 없는 정규수업 외 방과후 59%, 공휴일 71%로 단시간의 개방은 높았으나, 방학과 같이 장시간 개방은 낮아 관리상의 문제 등 부담감을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학교 체육관 개방과 관련하여 지역주민에게 개방하지 않는 이유로는 관리(사용료) 및 안전상의 문제가 14명(37.8%)이었고, 그 다음으로 시설물 사용 파손 우려 13명(35.1%), 운동부 사용 7명(18.9%)으로 나타났다. 5. 운동부체육과 주민개방을 고려한 체육수업 활성화 방안 일반 학생과 운동부 학생 및 지역주민 공동으로 활용 할 수 있는 체육복합시설 설치에 대한 질문으로 체육교사의 91%가 체육 복합시설 설치에 찬성하였다. 이것은 학교가 지역사회 체육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고 체육시설의 효율적 이용으로 사회체육 주체와 학교간의 공동계획․경영기법의 개발을 통해 상호 체육발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지역유대를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체육 복합시설을 설치한다면 포함되어야 할 시설의 종류로 교사들은 헬스클럽을 가장 많이 언급하였으며, 상대적으로 도서관, 체험 학습실과 같은 문화 시설과 복싱 등 격투기 시설은 매우 낮게 나타남으로써, 정적인 학습활동 시설이나 거친 운동의 비인기 종목 시설은 별로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복합시설 설치에 대해 반대한다면 그 이유로서, 관리상의 책임 문제와 시설물 사용 파손 등을 우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교 운동부와 일반체육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학교 체육시설의 사용 시 일반 학급 수업을 최우선하며 운동부 학생의 활용은 수업 이외의 시간대로 한정하여 운영할 것을 가장 많이 언급하였고, 그 다음으로 학교 내 주민 이용 시 개방 일시를 따로 정하여 학생 교육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것과, 학교 내 주민 이용 체육복합시설의 도입으로 일반 체육수업에 필요한 시설을 확보하고 운동부 학생 전용시설은 별도로 추가 확보하여 활용하는 것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반면에 운동부 학생의 체육시설 이용은 별도의 체육시설을 확보한 경우만 운영하는 것으로 응답이 낮았다. 결론적으로 학교운동부와 일반체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학교 체육시설의 사용 시 일반 학급의 체육수업이 최우선되도록 배려하여야 하고, 개방의 경우도 수업에 지장이 없도록 수업 이외의 시간이나 개방 일시를 따로 정하여 시설을 이용하도록 해야 함은 물론, 지역주민이 학교체육시설을 활용하더라도 지자체와 연계한 체육 복합시설을 설치하여 우선 일반 체육수업에 필요한 시설 확충과 운동부의 전용시설을 별도로 확보한 후 주민들이 필요한 시설을 설치함으로서 사회체육과 학교체육이 상호 발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체육복합시설의 설치는 학교의 교육기능을 활성화하고, 평생학습사회에 부응하여 학교를 지역사회 거점센터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 기숙형 중학교 학생의 사회성과 학교공간 선호에 관한 연구 : 충청북도 공립 기숙형 중학교 운영교 중심으로

        신석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research is to study and analyze public boarding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ity and preference for school space. One the basis of this research, education programs needed for their sociality development and fundamental resources for founding public boarding middle schools can hopefully be provided.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e research problems are chosen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egree of student's sociality development in the dormitory-type middle schools and what is the difference among variables of schools, school years, and gender? Second, what influences do education programs have on student's sociality development?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space of school facilities and the school activities? Fourth, how close is the relationship among the students living in dormitory depending in accordance with sociality development? The results of research and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living in dormitory showed that their sociality is higher than average of 3.69 out of 5.0, and SokRiMountia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lightly higher than GoeSan OhS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every area of sociality development. This result may be affected by characteristics in the regions and their family backgrounds, but it is also assumed that the difference resulted from the effort to run boarding programs for a long period of time to increase the sociality of SokRiMountain middle school students. Meanwhile, the third-graders showed higher level of sociality than the other graders in the next five areas; sympathy, personal relationship, cooperation, responsibility and companionableness among peers. And female student's level was higher in the areas of sympathy, personal relationship, cooperation. On the other hand, male students were comparatively higher in the areas of attentiveness, volunteer activity, and companionableness. Second, the survey on how much the school's curriculum are helpful to the student's sociality development indicated that the following various activities were ranked as below; creative activity for experiences(such as club activity, volunteer activity, self-regulated activity, career activity and etc.) physical education activity(PE class, sports day, athletic meet, and etc), art activity, and music activity. Compared with those two schools, the students in SokRiMountain middle school answered that regular class, discussion, group-focused activity and music(ensemble, chorus) were much more helpful for developing sociality, whereas the students in GoeSan OhSong middle school responded that art and music activity were more helpful. Moreover, the higher the student's sociality level were, the more helpful such school programs were perceived to be for those students. The most favored extracurricular and cultural activity program for most students were ranked in descending order as follows; sports games(soccer, baseball, volleyball, table tennis and etc.) school festival, various experience programs, playing musical instrument. School festival was most preferred by SokRiMountian middle school students, whereas sports games were most preferred by GoeSan OhSong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the first graders preferred sports games, the other graders preferred school festival. Male students also have preference for sports games compared to female students' preference for school festival. These findings accordingly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schools, school years, gender. Regardless of sociality level, sports games were most preferred by almost every student. And various experience programs were second most preferred by the students with high-level sociality, compared to school festival to those with low-level sociality. Third, students living in dormitory who have higher sociality level generally responded in the positive manner that they felt their school was more comfortable, cozier, fresher, and cleaner. And 56% and 60.6% of the whole respondents pointed out that dormitory room was the most adequate place to converse and get their worries off their chest with peers. This shows that the dormitory in boarding middle schools has the most significant role as community space. This also means that various sized spaces need to be harmoniously arranged to promote more active interchange among students from the stage of construction design. Most students also spent their recesses after lunch time in the following places as frequently visited spaces; classroom, playground, and hallway. While 22.1 percent of male students spent their recesses in the playground, only 7.9 percent of female students spent themselves there. That's why female students favored spending their spare time in the cultural spaces such as library and concert room. And other new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of school buildings requested by students were outdoor play spaces on rooftop, indoor play spaces located between classrooms or on the middle story of building, small playgrounds with many divided sections only for students, animal farms (raising for rabbits, birds, and dogs, and etc.), and wooded areas with benches (including pergola). Fourth, the findings also showed the maximum number of people in one dormitory room should be up to five people. Beds were preferred to ondolbang, room with the Korean floor heating system - double-deck beds were also preferred to single beds. Although both school provide the students with ondolbang and single bed to develope the students' sociality, this result revealed that there was the perception gap between the policy of both schools and students' request. It also seemed that while the students with high-level sociality have a wide range of exchanges with their roommates, the students with low-level sociality have a deep and narrow range of exchanges with only a small number of roommates. 본 연구는 기숙형 중학교 학생들의 사회성과 선호공간을 연구·분석하여 기숙형 중학생들의 사회성 발달을 위해 요구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기숙형 중학교 설립에 따른 사회성 공간계획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기숙형 중학교 학생의 사회성 발달 정도는 어떠하며 학교별, 학년별, 성별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교 교육과정은 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학교시설 공간과 활동 등에 대한 학생들 간의 인식의 차이는 있는가? 넷째, 사회성이 높고 낮음에 따른 기숙사 생활에서의 구성원들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위 연구문제에 대한 조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숙형 중학교 재학생들의 전반적인 사회성 정도를 측정한 결과 5.0만점에 평균 3.69점으로 보통이상으로 조사 되었으며, 속리산중학교 학생들이 괴산오성중학교 학생들보다 모든 사회성 영역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역의 특성과 가정환경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하고 있겠지만, 속리산중학교가 괴산오성중학교보다 더 오랜 기간 동안 기숙형 중학교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학생들의 사회성 향상을 위해 노력한 결과로 보인다. 또한, 3학년 학생들이 1,2학년 학생들 보다 공감, 대인관계, 협력, 책임, 또래사교성 등 5개영역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공감, 대인관계, 협력 영역에서, 남학생은 배려, 봉사, 또래사교성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되는지 여부에 대한 설문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자율활동, 진로활동 등), 체육활동(체육시간, 스포츠데이, 운동회 등), 미술활동, 음악활동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학교별로 비교해 보면 속리산중학교가 교과수업과 토론, 모둠, 프로젝트 중심의 수업, 음악활동(합창, 합주, 음악시간 등)에서, 오성중학교는 미술활동과 체육활동에서 사회성 발달에 더 많은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사회성 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학교의 교육 프로그램이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좋아하는 특별활동, 문화활동 프로그램으로 스포츠게임(축구, 야구, 배구, 탁구 등), 학교 축제, 동아리 활동, 각종 체험활동, 악기연주 순으로 나타났다. 속리산중학교 학생들은 학교축제를 가장 선호하며, 괴산오성중학교 학생들은 스포츠게임(축구, 야구, 배구, 탁구 등)을 가장 좋아하였고, 1학년은 스포츠게임(축구, 야구, 배구, 탁구 등)을 2학년과 3학년은 학교축제를 가장 선호하며, 남학생은 스포츠게임, 여학생은 학교축제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별, 학년별, 남․여별 좋아하는 프로그램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이 높은 학생이나 낮은 학생 모두 스포츠게임을 가장 선호하였고, 다음순으로 사회성이 높은 학생은 각종 체험학습을, 사회성이 낮은 학생들은 학교축제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숙형 학생들이 평소 느끼는 학교모습에 대해 사회성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편안하고 아늑하다, 깨끗하고 산뜻하다 등 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으며, 친구들과 대화하고, 고민을 털어놓기에 가장 적합한 장소로 전체학생의 56%와 60.6%가 기숙사 방을 선택하였다. 이는 기숙형 중학교에서 기숙사는 사회성 공간으로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으며, 기숙형 중학교 학생들은 다양한 형태의 공간을 선호하기 때문에 건축 계획 시 크고 작은 공간들을 조화롭게 배치하여 학생들이 대화와 교류를 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점심식사 후 남은 시간을 주로 교실, 운동장, 복도 순으로 많이 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운동장에 나가는 비율은 22.1% 인데 비해 여학생은 7.9%로 나타났으며, 반면 여학생들은 남학생에 비해 도서관 및 오케스트라 합주실 등 문화공간을 더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 건물 내․외부에 학생들이 요구하는 새로운 공간은 옥상에 놀이 공간, 교실사이나 건물의 중간층에 놀이 공간, 작은 운동장을 여러 개 만들어 우리끼리 놀 수 있는 공간, 넓은 운동장, 모험놀이 공간, 동물농장(토끼, 새, 강아지 등), 숲과 벤치(파고라 포함)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숙사 생활실 1실당 정원은 5인이 적당하며, 전반적으로 1층 침대보다 2층 침대를 더 선호하며 온돌방보다는 침대를 더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성 발달을 위해 온돌방과 1층 침대를 제공하는 두 학교의 방침과 학생들의 희망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숙사의 방을 함께 쓰는 친구들과의 관계에 대해 사회성이 높은 학생들은 여러 학생들과 넓게 교류하면서 고민을 해소하지만, 사회성이 낮은 학생들은 가까운 일부 학생들과 깊이 사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소통중심의 창의ㆍ인성 학교환경 조성 방안 연구

        이혜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것 중 하나가 창의성 및 인성교육이다. 창의·인성교육이란 독자적인 기능과 역할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두 교육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서 올바른 인성과 도덕적 판단을 구비한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기위한 교육철학 및 교육전략을 말한다. 현재 정책적으로 실시하는 교과 교실에서의 다양한 체험과 학습은 학생들의 창의성 및 인성을 도출 하는 교육과정 중의 하나이지만 이러한 교육프로그램과 함께 학교의 공간구성도 시대에 맞게 바뀌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지금의 획일화되고 정형화된 학교 환경으로서는 시대적 요구에 부합할 수 없으므로 다가올 미래의 학교는 창의력 신장 및 인성교육을 위한 학교 공간구성 및 환경조성의 변화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머무르고 싶고, 오고 싶은 소통중심의 창의ㆍ인성을 위한 학교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환경과 관련한 여러 가지 요인들을 조사 분석하여 학생들의 선호 공간 특성 등을 학교 내 물리적 공간뿐만 아니라 감성 공간, 소통 공간, 융합 공간 등과 관련지어 분석하였다. 학교는 단순히 정해진 학습을 실천하는 장만이 아니라 학교에 있는 동안 학생들의 생활하는 공간의 장소로서 여러 가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체험하고 인체의 감각기관을 통해 정신적, 육체적으로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아동들은 작고 좁은 공간을 좋아하며, 직접 만져보고, 느끼며, 빈둥거릴 수 있는 공간은 나중에 성인이 되었을 때, 중요한 유년기의 추억으로 떠올릴 수 있는 기억의 장이 되기도 한다. 학생들이 선호하는 공간에서 학생들이 즐길 수 있는 문화와 놀이 등을 통해 소통을 배우며, 참된 인성을 기르고 친구들과 함께 참여하는 자연 학습장 같은 감성 공간과 과학, 기술, 예술적요소가 합쳐진 융합 공간이 창의ㆍ인성교육을 위해서 필요 불가결한 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학생들이 원하는 학교환경에서 다 같이 모여서 즐기고,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인 광장을 제일 좋아하는 것에서 보여주듯이 학교는 이제 학교 안에서 수동적인 자세로 학생들이 모여 노는 교실보다는 접근성이 좋은 곳에 많은 학생들이 모일 수 있는 옥외공간에 광장문화를 조성하여 타인과의 배려나 함께 어울려서 서로를 이해하고 협동하는 자세를 배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학교옥상을 개방하여 함께 만들어 가는 놀이 공간 및 휴식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생태연못 등을 조성하여 학생들이 함께 참여하는 체험공간이 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학생들이 쉬는 시간에 이용이 편리하도록 복도나 계단 등에 모여서 즐길 수 있는 흥미로운 공간들을 배치하여,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해서 참여하고 탐험하는 학생들의 창의력신장에 도움을 주는 공간으로 학교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창의성의 측면에서 특히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학교 내, 교실 내, 학생 간, 교사들 간, 교실 간, 학교 간, 지역 간, 그리고 세계와의 소통이다. 물리적 공간을 초월하여 이루어지는 소통의 장이 창의성을 기르는 원천이 되는 것이고, 바로 그런 공간이 미래학교이다. 따라서 미래학교에서는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정보에 접근이 가능하고, 지역사회는 물론 글로벌사회와 연계되어 있으며, 즐겁고, 안전하고, 생태지향적인 학교의 모습을 가지게 될 것이다. 기술지향적인 곳이 아니라 인간중심의 학교로 기술이 어느 곳이나 내재되어 있어 인간의 가치를 높여주는 학교로써 창의ㆍ인성이 밑바탕이 되어 융합적인 인간, 배려 깊은 인간을 양성하게 될 것이다.

      • 농어촌 통폐합 학교의 학생복지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근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에서는 학교의 통폐합으로 발생한 여러 문제들 중 통폐합 이후 학생 복지 관련 문제들을 중심으로 이론 및 분석을 통해 복지유형을 도출하고, 실태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를 분석하여 학생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와 실태조사, 설문조사을 병행하였으며, 문헌 조사는 선행연구 및 전라남도교육청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태조사 및 설문조사는 전라남도의 통폐합된 초등학교 중에서 농어촌 지역에 소재하는 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학생수 100명 이상 200명 미만 학교 2개교와 학생수 100명 미만 학교 4개교를 선정하여 총 6개교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고, 학부모 506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학교는 조사대상 506명 중 468명이 참여하고 있어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 학교 운영에서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사항으로는 응답자의 27.6%가 특기․적성계발 교육이었다. 개설 희망 프로그램으로는 22.7%가 교과학습 프로그램이었고, 방과후 학교에 참여함에도 사교육을 계속 받고 이유로 프로그램이 다양하지 않아서가 34.6%로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농어촌 지역의 특성상 수준 높은 강사 확보가 어려운 실정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학부모들이 질 높은 다양한 프로그램의 방과후 학교 운영을 바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의 통학 수단으로는 통학버스 이용자가 54.0%로 가장 많았다. 통학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사유는 49.6%가 통학버스 운행 구간이 맞지 않아서로 조사되었다. 또한, 통학버스 이용에 따른 불편한 점으로 25.7%가 여러 지역을 순회하여 소요시간 많은 것으로 응답하여 통학버스 운행 구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돌봄교실은 조사대상의 27.9%인 141명이 참여하고 있었다. 대부분 1, 2학년인 저학년이었고 학교 실정에 따라 3학년 이상 고학년도 참여하고 있었다. 돌봄 교실 참여 이유로는 맞벌이 부부인 것이 40.3%로 가장 많았고, 돌봄 교실의 운영 효과로 학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서가 48.7%로 가장 많았다. 개선 사항으로는 교육과정 프로그램이 45.9%로 가장 많았고, 시설환경에서는 놀이시설 확충과 교실크기의 확충으로 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학생복지 향상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학교는 각 기관, 지역과 연계한 인적 인프라를 구축하여 수준 높은 강사를 확보하고 질 높고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며, 교육 수요자의 입장에 있는 학생 및 학부모의 만족도를 높이고, 운영의 주체에 있는 구성원들이 책임감을 가질 수 있는 교육정책의 보완이나 교육과정의 재편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통학 버스 운행은 학교 단위에서 시․군 단위나 인근 학교와 통합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도입하고, 통학 버스 운행 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여야 하며, 일반버스나 택시 등 대중교통으로 통학하는 학생들을 위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셋째, 초등학교 돌봄 교실은 저녁 돌봄과 토요 돌봄 교실수를 확대 운영할 필요가 있고, 학부모의 수요조사를 통한 프로그램 운영, 돌봄교실 참여 학생들의 안전체제 구축, 놀이 시설 개선과 돌봄교실의 크기 확장을 통하여 효율적인 돌봄교실 운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통폐합 학교에 대하여 일시적인 재정지원 뿐만 아니라, 통폐합 이후에도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교육적 혜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관심이 필요하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시설 확충 및 종합적인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해석된다.

      • 학교외부공간 활용행태와 장소성 강화에 관한 연구 : 중정공간 유. 무를 중심으로

        정순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학벌을 중시하는 사회풍토로 인하여 교육과정도 입시중심·지식전달 위주의 교육과정에 주력하다 보니 인성교육 부재로 이어져 학생 폭력문제, 학교부적응으로 인한 학생 자살 문제, 교사권위의 추락 등의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학교외부공간은 학생상호간의 의사소통의 장, 화합의 장소, 놀이, 운동을 통해 스트레스 해소의 장소이며 자연환경으로부터 정서적 위안을 받는 등 학생들의 인성교육의 장으로써 역할을 한다. 학교외부공간의 ‘장소성’강화는 학교외부공간 활동을 활성화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외부공간의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학생들의 활동행태에 따라 선호하고 애착을 갖는 ‘장소성’을 강화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교사동 배치유형을 H, L자형, 학교외부공간의 여가활동유형을 놀이활동, 휴식활동, 스포츠활동으로 분류하고 교사동 배치유형에 따라 적정 조사대상학교를 선정한 후 학교 외부 공간 활동 유형에 따른 시설물 실태조사를 하고 조사대상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외부공간에 대한 인식, 활동유형별 행동특성을 파악하여 학교외부공간의 장소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조사대상학교의 활동유형별 시설 실태조사와 학생들의 학교외부공간에서의 활동행태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동 배치가 자연스럽게 중정공간이 생기는 유형일 경우 중정공간 내에 정원, 화단, 공터가 조성되어 놀이 공간, 휴식공간으로 활용을 하며 학생들의 외부 공간 활동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외부공간 구성은 체육장이 외부공간의 절반정도를 차지하고 녹지·휴식 공간은 약10% 이다. 놀이공간은 공식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공터에서 활동한다. 학교외부공간에서의 학생들의 활동행태를 스포츠, 놀이, 휴식으로 분류할 때 놀이, 휴식에 치우쳐 있고 체육장을 이용하여 스포츠 활동을 하는 인원이 매우 적은 비율임에도 가장 넓은 학교외부공간을 독점적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셋째, 여가활동 중 놀이. 휴식은 남·녀 공히 즐기나 스포츠는 남학생이 주로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 외부 공간 중 애착이 가는 장소는 ‘운동장과 그 주변 휴식장소’,‘파고라, 필로티, 정자, 파라솔 등 그늘이 있는 공간’,‘중정 공간’으로, 스포츠, 놀이, 휴식 활동 공간 내에서도 복합적 기능이 있는 시설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 활동은 체육장을 활용하는 축구 외에도 배드민턴, 농구를 즐기고, 놀이는 장난을 치거나 그 장소에 부착된 시설물을 이용하며 휴식은 잡담, 군것질, 산책으로 나타났다. 학교외부공간에 필요한 환경은 운동을 하면서 쉴 수 있는 쉼터, 피구, 족구등의 운동을 할 수 있는 소광장을 제시하였고 놀이활동은 흥미 있는 놀이시설, 놀이공간 주변의 벤취를 요구하였다. 특히 휴식활동은 서로 마주 보고 앉아 대화할 수 있는 벤취, 다른 공간과 구분될 수 있는 사적공간이 보장되는 장소를 요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학교외부공간의 ‘장소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사동에 인접한 중정공간은 학생들의 외부 공간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학교 신·개축 시 설계단계부터 교사동 가까이에 학생들의 활동공간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활동유형 비율을 참작한 형평성 있는 외부공간구성이 필요하다. 축구, 야구 등의 활동은 지역별로 공동사용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지역여건이 곤란할 경우에는 체육장의 규모를 최소화하고 소광장 및 휴식공간을 확충하여야 활동행태에 맞는 「맞춤형 장소성」를 강화할 수 있다. 셋째, 남·녀 행동특성을 고려하여 활동유형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놀이를 할 수 있는 소광장, 다양한 형태의 휴식공간은 남·녀 학교 모두 관심을 갖되 남학교는 스포츠를 할 수 있는 체육장도 중요하다. 넷째, 활동 유형별로 학생들의 행동특성을 고려하여 선호하는 시설물 배치 및 디자인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다섯째, 교육환경의 변화로 체육장의 활용률이 낮아지고 있으므로 학교외부공간 구성에 관여하는 정책결정자 및 설계자는 체육장을 중심으로 학교외부공간을 구성하는 기존의 관례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고등학교 기숙사 공간의 효율적 활용 방안 : 경상남도 기숙형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조명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고등학교 기숙사는 학교라는 교육기관의 울타리 안에서 학생들이 생활·학습에 사용되는 교육시설이다. 과거의 학교 기숙사는 ‘원거리에 거주하는 학생들에게 유학, 숙소, 통제 등의 기능을 가졌다. 하지만 현재의 학교 기숙사는 학교의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교육체계이다. 교육프로그램과 연계된 학습능력 향상 및 효율적인 학생관리 등과 더불어 공동생활을 위한 소양교육, 특기·적성계발, 동아리 활동 등 폭넓은 전인교육의 장으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 고등학교 기숙사의 물리적 시설 여건이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열악하여 학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인 학생들의 긍정적인 인식을 제고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과 경상남도 20개 기숙형 고등학교에 대한 실태조사 및 입사생 737명의 인식조사 결과 분석을 토대로 기숙사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인식조사 결과 학생들이 기숙사 생활 후 대체적으로 학업 성적이 향상되고 심리적으로 안정되었다. 이는 원거리 통학의 재정적·심리적 부담을 해소하고, 기숙사 생활을 통해 독립심과 공동체의식 및 상대방에 대한 배려 등 인성적인 측면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으로, 교육환경이 열악한 농산어촌 지역 고등학교의 교육격차를 해소하여 기숙형 고등학교 목적에 부합된다고 판단된다. 둘째, 기숙사 프로그램 전반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3.08점으로 보통 만족 수준이었으며, 학력향상 도움과 다양성에서는 대체적으로 만족하였으나, 프로그램 계획 시 학생 참여 부분은 보통 이하로 만족하고 있었다. 따라서 기숙사 프로그램 계획 수립 시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반영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기숙사 운영 프로그램 선호도조사 결과, 학습능력 강화 23.1%, 인성·덕성 함양 22,5%, 개인 특기·적성 신장 21.3%,순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5). 이 같은 결과를 볼 때, 방과 후·주말 및 방학 중 프로그램을 학력향상에 치중한 입시 중심의 프로그램을 뛰어넘어,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지·덕·감·체의 조화로운 글로벌 인재 육성을 위해, 다양한 전인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자기 방(침실)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는 평균 3.12점으로 보통 만족 수준이었다. 불만요인으로는 방음, 면적 협소 및 환기가 잘되지 않아서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도나 옆방으로부터의 소음 차단이 가장 시급히 요구된다. 또한 냉·난방, 공기환기 등 실내 환경의 기술적 측면도 개선하여, 가정과 같이 편안하고 안정적인 생활공간으로 조성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기숙사 교육지원·생활지원·위생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평균 3.10점으로 보통 만족 수준이었다. 시설별 불만족 요인과 개선 요구사항을 검토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① 교육지원 시설인 독서실(학습실·자습실)을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을 위한 1인 1석으로 확보하고, 학습 분위기가 산만하지 않도록 층별 수용인원에 맞춰 적정규모로 구획하여야 하며, 개별 조명과 칸막이가 된 편안한 책·걸상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인터넷 강의 다운로드, 자료정리 및 정보 검색을 위하여 적정 규모의 컴퓨터 확보와 정기적으로 업그레이드를 시켜 성능 및 속도가 느려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② 생활지원 시설인 휴게실·매점 등 기숙사 지원공간을 학생들의 만남, 대화 등 친교활동 지원과 휴식의 장(場)으 활용하기 위해, 적정 규모(휴게실 5㎡/인)의 확충과 현대화가 시급하다. 또한 학생들의 복지를 위해 테이블 및 의자, TV, 컴퓨터, 냉장고, 정수기 등도 확보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③ 화장실·세면실 등 기숙사 공동위생시설의 적정규모 확보 및 호실 내 설치도 전향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청결 유지 및 위생적인 관리를 위해 위생원을 고용하거나 외부 용역을 활용하는 방안의 검토도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기숙사 시설 공간의 개선사항으로는 휴게실의 확충과 현대화, 학습실(독서실·,자습실) 확충, 세탁·건조실 확충, 방음시설과 체력 단련실 확충 순으로 선호하였다. 이에 따라 기숙사생의 복리·후생을 위해 휴게실의 현대화·확충, 신체단련과 체력 향상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체력 단련실 확충이 시급히 해소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인 및 공동생활공간의 공간 협소, 방음/소음, 냉·난방, 공기환기 등의 실내 환경의 개선도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곱째, 기숙사에 추가 설치를 희망하는 시설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 결과, 기숙사 내 매점 설치와 동아리(취미활동)실 설치를 가장 선호하였고, 다음으로 도서관 설치를 선호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의 대화, 만남, 친교를 위한 기숙사 내 매점, 개인의 특기·적성 신장을 위한 동아리실(취미실), 단순히 학생들의 개인 공부 장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깊이 있고 체계적인 탐구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춘 도서관을 학교시설과 연계하여 확보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기숙사 시설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기숙사 학생들의 다양한 방과 후, 주말, 방학 중 교육프로그램 운영으로 학습능력 강화와 특기·적성 신장, 인성·덕성 함양 및 단체의식을 함양하여 전인양성을 위한 장으로 기숙사 시설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선행연구 및 인식조사에서 자기 방(침실)의 방음/소음문제를 가장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시급한 개선이 요구되며, 냉·난방, 공기환기 등의 실내 환경의 기술적 측면도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기숙사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을 위한 학습지원 시설인 독서실(학습실·자습실)을 수용 인원을 감안, 적정수준의 좌석 수를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좌석별 칸막이 및 개별 조명의 편안한 책상·의자로 교체하여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기숙사생의 복리·후생을 위해 휴게실·매점의 현대화와 확충이 필요하며, 체력단련실 확충과 개인생활공간 및 공동생활공간의 공간 협소, 방음/소음, 냉·난방, 공기환기 등의 실내 환경의 개선을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추가 필요 시설로는 기숙사 내 매점, 동아리실(취미실), 도서관, 보건실 확보가 요구되며, 개인방내 화장실 설치도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기숙사 시설 공간은 학교의 특성화 방안과 각종 프로그램 운영 및 학생들의 여가와 복지를 위해, 학교 시설과 연계하여 친환경성·쾌적성·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개선·확충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지·덕·감·체’를 살리는 기숙형 고등학교 고유의 학교문화를 창출하여, 학생들의 정서를 풍부하게 하고, 자신의 미래에 대한 꿈과 도전정신의 내적 동기를 유발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키우는 요람이 될 것이다. 또한 도·농간의 교육격차를 줄이고, 원거리 통학에 따른 재정적, 심리적 부담을 해소하며, 사교육을 학교로 흡수하여 공교육의 위상을 높일 뿐 아니라 학부모들의 사교육비를 경감시킬 것이다. 아울러 교육인프라 개선으로 지역사회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이다.

      • 농산어촌 거점고등학교 육성에 따른 폐교활용 방안 연구

        최재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거점고등학교 육성에 따른 폐교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폐교재산의 발생원인⋅활용현황⋅문제점 등을 고찰 후 폐교활용에 따른 개선방안과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용도로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범위는 전라남도 거점고등학교 육성에 따른 폐교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방법은 소규모학교 통폐합 및 폐교재산 관련 서적, 학위논문, 행정기관에서 발행된 통계자료, 교과부 및 도교육청의 관리 지침과 내부자료 등의 각종 문헌을 최대한 활용하였으며, 전라남도교육청 거점고등학교육성추진단과 학교의 교직원, 학부모(학교운영위원), 폐교지역 주민의 의견을 수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소규모 학교의 통폐합 및 미활용 폐교재산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여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폐교재산의 활용방안에 관한 조사분석을 위하여 대상자로부터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는데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정책면에서, 폐교학교의 주된 용도에 대해서는 통폐합 후 거점고등학교 학생의 학습 지원 장소 등 교육목적, 지역사회 주민의 문화, 여가 공간, 지역사회 주민의 농수산물 가공 등 수익 창출 공간, 지방자치단체 또는 마을 공동체 매각 또는 임대, 공개 입찰에 의한 매각 또는 임대, 체력 및 심신 훈련장소, 지역 문화공간, 동아리 활동장소, 일반 학습장소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폐교학교 학군 학생들 학력 향상 방안으로 소규모 학교가 농⋅어촌에 위치한 관계로 경제적 측면인 학원비를 지원하는 바우처제도 운영, 학습동아리 활동 지원, 방과후 학교에서 보충수업 수준별 개별화 수업 등의 개선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활용면에서, 거점고등학교의 축구, 야구 등 전용 체육 훈련장, 생태 및 안전 체험장, 수련원, 야영 체험장,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공통학습 보조 시설(과학관, 박물관 등), 교직원 휴양시설, 기업단체 연수원 임대, 마을복지회관, 마을영농교육장, 노인복지회관, 지역사회 직업 훈련원, 지역 주민의 농작물 경작지, 도서(농촌)지역주민 소득기반 사업장, 농기구 보관장소, 지역생산 농산물 가공공장, 농수산물 냉동창고, 도시인 참여 주말농장, 예술창작실 및 전시관, 사회복지시설, 농업인 영농교육 및 복지센터, 농촌 이주민 영농지원 토지 임대, 훈련원, 생태 체험학습장, 해양안전 훈련장, 청소년 수련원, 박물관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폐교가 이전에 그 지역의 중심시설로서 교육을 담당하였던 만큼 우선적으로 교육시설로 재활용되거나 그 지역 주민들을 위한 사업으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폐교가 대부분 농산어촌 지역임을 감안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폐교부지에 기숙형 중학교 설립, 대안 기숙형 특성화 중⋅고등학교 설립, 혁신도시로 이설에 따라 폐교는 야영장, 자연학습장 등으로 대체하거나, 도서지역의 경우 수련장 등 교육목적 활용방안도 제시되었다. 지역주민이 활용하는 방안으로는 주민편의시설(마을공동체육관, 마을회관, 마을도서관, 이동 진료소 등), 농기구⋅농기계 보관장소, 농산물 판매장 등으로 활용하고, 교육훈련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으로서 가족 및 청소년 중심의 주말 휴양지, 자연체험농원, 계절학교 등을 고려할 수 있고, 자치단체에서 활용하는 방안으로는 관광객 유치를 위한 “체인모텔 콘도” 운영, 농어촌 체험장 등이 있고, 또한 기타 활용방안으로는 교직원 연립사택 활용, 오토 캠프장 운영, 자동차 운전학원, 스포츠 교실운영 등의 활용도 고려할 수 있다. 관리면에서, 공개 입찰에 의한 매각 또는 임대시 재산수입 운영방안으로, 거점고등학교 육성에 직접 투자, 폐교 학군 학생 복리비 및 학비지원, 폐교 학군 지역의 문화시설 지원, 도교육청 지원사업에 투자할 수 있고, 폐교재산이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폐교 대부분이 산간벽지나 낙도에 위치한 지리적 여건때문, 홍보 부족과 매각이나 임대 등 절차상의 불편, 폐교 주변 지역사회 인구수 감소로 이용 용도가 없기 때문, 지역 주민들의 반대, 수의계약 할 수 있는 범위가 좁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폐교재산 관리상의 가장 큰 어려움에 대해서는 임대나 매각 등 이용에 따른 법적 제도장치 미흡, 당해 교육청의 전문성과 관심 부족이였으며, 청소년 탈선 장소로서 우범지대 우려, 임대 또는 매각 후에 당초의 목적대로 활용되지 않음, 폐교재산 관리⋅보존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에 대해서는 매각 보다는 지역 주민에게 무상으로 임대, 매각처분 순으로 의견이 나타났다. 개방형 조사에서는, 소규모 학교는 의견 수렴을 거쳐 사후 대책을 확실히 하면서 통폐합이 되어야 하고, 폐교 건물은 복지관 등 지역민들이 활용하고, 매수인이나 임대인의 사용목적 완화 등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폐교가 그 지역사회의 구심적 역할을 하므로 지역주민과 동문회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여 통폐합을 추진하되, 가능하면 폐교부지에 귀농⋅귀촌⋅체험주택, 귀농지원센터, 아토피 치유학교, 교육⋅체험시설⋅기업체 공동연수원 등 다양한 재활용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상으로 폐교의 활용을 위해서는 폐교가 그 지역의 중심시설이 되어 도시와 농촌의 교류의 장이 되도록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국가 정책적 차원에서 과감한 투자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 민간투자법 행정절차와 행정청 재량 한계 연구

        이광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행정권이 급격하게 확대되고 행정기능이 전문화·기술화된 현대복지국가에서 행정청 재량의 한계의 문제는 결국 행정목적의 효율적 달성과 국민의 권리보장을 동시에 실현하는 일이 되는 것이다. 「민간투자법」의 일련의 절차에서 「민간투자법」의 본래의 목적인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의 투자를 촉진하여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사회기반시설의 확충·운영을 도모함으로써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행정절차와 행정청 재량 한계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의 법원의 재량통제에 대한 경향은, 행정판단의 형성과정에 주목하여 ‘행정청이 공정하고 합리적인 처분절차를 거쳐 행정행위를 행하였는가의 여부’에 대하여 심사하는 경향이 뚜렷하여, 이와 같은 과정에서는 행정청이 이해관계인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행정판단을 형성하게 되므로, 법원은 행정행위의 심사에 임하여 실체법상 행정행위의 내용적 당부를 문제로 하기보다는, 오히려 당해행위가 이루어진 절차·과정이 법의 취지에 따라 실제로 적정하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각도에서 행정청의 재량판단과정의 공정을 심사하게 된다. 둘째, 사법적 통제가 국민의 권리가 재량권행사에 의해 침해될 때야 비로서 사후적으로 통제함에 대하여, 행정적 통제가 사전적 통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효과성이 지대하다 하겠다. 그러므로 행정청은 재량적 판단을 행할 경우에는 엄밀한 사전조사에 의거한 자료를 수집하고 객관적이고 공정한 입장에서 국민의 의견을 청취할 것이 요구된다. 셋째, 국가계획은 계획수립권자가 국가의 미래를 형성하기 위해 광범위한 형성의 자유를 갖는 행위형식이라 할 수 있고, 이러한 국가계획의 성질은 사법적 통제로부터 어느정도 자유로운 고권행위라는 의미가 있지만 행정절차가 강조되는 현대의 행정의 관점에서는 민간투자법이나 행정절차법에 행정계획수립절차가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있어야 함으로 현행 행정절차법을 개정하여 계획확정절차를 규율하는 방법을 조속히 마련하여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행정재량권을 최소한의 범위에 한정하고, 그 범위내에서 재량권 행사의 적절성을 도모하며, 그 범위를 일탈한 재량행위에 대한 효과적인 구제의 절차가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 체험 중심 환경교육과 연계한 학교내 외부공간 구성 방향에 관한 연구

        신현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학교에서의 환경교육은 전 교과교육과정과 학교의 일상생활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학교교육의 핵심을 차지하는 교과 내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환경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더욱 효과적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관찰과 경험이 매일 매일 쌓여져 가는 학교는 실천적·체험적 환경교육을 뒷받침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체험 중심 환경교육을 구현하는 구심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환경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기르는데 필요한 체험환경교육 요소를 중학교 교과목별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중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환경교육의 실태와 인식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학교내 공간을 체험환경교육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성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교과목별 교육과정은 중학교 3개 학년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10개 교과에 대하여 교사용 지도서를 바탕으로 각 교과의 단원별로 체험환경교육이 가능한 학습 주제를 도출하고, 주제와 연관된 학교내 외부공간요소를 분석하였다. 환경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설문 조사는 서울특별시교육청 관내 중학교 교사 302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하고 유효한 설문지 257부를 대상으로 환경교육 방법 및 내용, 환경교육 프로그램 활동 종류, 환경교육 장소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교과목별 체험환경교육 요소 분석 결과 및 교사들의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를 통해 체험환경교육과 연계한 학교내 외부공간 구성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각 교과목별 체험환경교육 요소 분석 결과, 외부공간의 위치적 특성에 따라 건물 주변 영역, 야외학습장 영역, 대지 경계 영역으로 구분하여 구성한다. 건물 주변 영역은 쓰레기분리수거장, 음식물 쓰레기처리장, 자전거 보관대, 우수처리시설 등 모든 교과에서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한 공간으로서 휴식이나 이동시 각 교과에서 학습한 내용들을 실천할 수 있다. 야외학습장영역은 텃밭, 생태연못, 화단, 동물사육장 등이 있고 건물 주변 영역과 마찬가지로 모든 교과에서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한 공간으로서 휴식이나 이동시 각 교과에서 학습한 내용들을 실천할 수 있다. 대지 경계 영역은 학교숲, 생울타리, 담장, 경계녹지 등으로서 모든 교과목에서 학교숲이나 생울타리의 식물과 곤충을 관찰하고 접촉하면서 환경감수성을 함양 할 수 있으며, 실험 및 실습의 재료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둘째, 환경교육적 유형의 특성에 따라 에너지 관련 요소, 생태환경 요소, 자원 순환 요소 등을 배치한다. 에너지 관련 요소는 자원 재활용 및 대체 에너지 활용 방안을 탐구하고 실천 할 수 있다. 생태 환경 요소는 학교숲, 생태연못, 옥상정원, 실개천 등으로서 만들기, 그리기, 글쓰기 등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환경문제 해결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다. 자원 순환 요소는 교과에서 학습한 환경문제 해결 방법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셋째, 환경교육 방법 및 내용에 대한 인식 결과에 의하면, 학교내의 공간 계획 시 강의와 체험학습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야외학습장이 조성되어야 하며, 효과적인 환경교육을 위해 가장 필요한 요소는 실생활과 연계된 체험교육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환경교육과 관련 단원이나 학습주제가 많은 교과를 중심으로 먼저 배치하는 것이 효율적인 공간 구성이 될 것이다. 넷째, 학교밖의 현장체험교육은 행사 위주의 일회성 교육, 다양한 프로그램의 부족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교내의 외부공간에서 관찰, 참여 등을 통한 체험 중심의 환경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주로 학교내의 교과목별 야외학습 장소로 인식되는 곳은 화단, 나무그늘 등으로서 학교내 외부공간의 생태적 환경조성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내 외부공간에서 체험환경교육을 실시해 본 교과는 미술, 과학, 체육, 도덕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교과를 중심으로 주로 숲이나 녹지 등과 연관된 공간을 구성하고 배치하는 것이 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