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닥섬유를 활용한 공예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 장신구 제작을 중심으로

        양미영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문화는 상품을 넘어 산업으로서만이 아니라 일종의 생활이라고 할 수 있다. 특 히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문화에 대한 태도는 일반적인 의미에서 보다 진일보해 경제적인 차원의 개념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잠재적인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 라의 현 상황을 고려해볼 때, 경제적인 면이나 문화적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전통문화를 홍보하며 세계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며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장신구는 오랜 옛날부터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인류사의 발전과 더불어 변천해온 패션 산업의 한 분야로서 시대와 문화를 반영한다. 또한 장신구는 국 가의 문화적인 정체성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주요산업 의 하나로서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대의 장신구는 인간의 미적욕 구와 부와 권력을 상징하는 주얼리의 기능에서 개인의 다양한 개성을 표현하고 감정을 공유하고 정서적 유대감을 느끼는 수단으로서의 기능으로 변화했다. 따 라서 여러 방면에 활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을 개발하고 다양한 소재와 접목시 켜서 실용적이고 질 좋은 공예문화상품으로 개발하여 우리나라의 전통과 문화 가 잘 이어지고 전파 될 수 있길 기대해본다. 본 연구자는 전통소재인 닥섬유를 활용하여 재료, 제작방식, 규격 등의 형식을 자유롭게 다루었다. 인체를 장식한다는 기능이나 재료를 다루는 기술보다 정신 세계의 표현에 치중하며 재료적, 형태적 실험을 과감하게 시도하였다. 또한 현 대인들은 친환경과 치유, 힐링과 여유로운 삶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장신구의 예술적 표현가능성을 무한히 확장시킴으로써 ‘장식’이라는 보조와 부 가적 역할을 상쇄시키려는 노력과 공예문화상품이라는 새로운 모색을 연구하였 다. 특히, 각 나라마다 지니고 있는 전통과 문화를 표출하고 대표할 수 있는 디자 인 개발과 문화 상품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우리의 전 통소재인 닥섬유를 활용하여 장신구를 통한 공예문화상품을 개발하고 이를 통 해 우리나라의 훌륭한 전통과 문화를 알리고 세계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Culture can be a kind of life, beyond the goods, not only as an industry. Entering the 21st century, attitude to culture is changing from a general sense to more economic concept. With this, as a momentum, revival of new cultural products and cultural industries can create high value-added economy, in particular, considering poor potential resources in my country, it can be seen a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globalization and promoting our traditional culture, as well as increasing the economic aspect and cultural effects. Accessories, closely related to humans, reflects the times and culture as a branch of the fashion industry which has been changed with the development of human history since old times. Also accessor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s one of the major industries that creat added value. as well as express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country. As the individual's personality is important, accessories have been changed in terms of its concepts and features ,beyond the traditional symbolic value, it has the various forms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industry. Contemporary accessaries has changed from the function that symbolizes man's aesthetic needs, wealth and power to the function as a means that expresses the different personalities of the individuals, sharing their feelings and the emotional ties. Therefore, we expect that our country's traditions and culture can spread out through developing practical and of good quality Cultural crafted products by developing a design and incorporating a variety of materials, to make better use of the many ways. In the 21st Century, political and social factors, including environmental issues, has led to several changes in their values of life of modern people, especially toward eco-friendly , healing and relaxing life. At this point this study tries to develop a craft cultural products utilizing our traditional materials to make it compatible with the values of the modern life of the 21st century. Particularly in this current situation which is in the active progress developing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that can be represented the traditions and culture of each country, and at this point in paying attention to the Korean wave in the country all over the world, this aims to globalize and promote the great traditions and culture of our country through developing craft cultural products with utilizing mulberry fiber.

      • 전통한지공예기법을 활용한 문화상품 연구 개발

        이진주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Recently, as the nation recognizes in cultural value higher, so,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 in which national culture and tradition are expressed creates high added value, and, as a kind of media, disseminates the tradition and culture of our nation. The development of handicraft cultural product of Korea is a process in which Koreans find and give body to Korean-style image. The evelopment of handicraft cultural product of Korea, also, includes Korean macroscopic-image, which citizens of the world recognize, and takes a role as a hub of cultural traditional part which includes our mental culture contained in Korean history and which includes style, tastes, various lines and colors, and traditional articles. Hanji is the best material for expressing Korean-style image.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style Hanji handicraft cultural product,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dern, artistic Hanji cultural product and to understand our culture so deeply as to express by story telling. This study,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Hanji theoretically and finding Korean-style image, aims at maximizing peculiar material traits of Hanji by selected Korean-image subjects, aims at developing Hanji handicraft cultural product with Hanji lantern, Hanji box, Hanji stationery, Hanji living supplies, and Hanji corsage by grafting into other handicraft methods in many aspects under basic foundation of traditional Hanji handicraft method, and also aims at presenting the method of creative, modern Hanji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 전통소재를 활용한 공예문화상품 개발 전략 연구 : 전통한지의 가치와 상품성을 중심으로

        한아름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소재에 대한 관심은 모든 산업분야에서 중요한 화두로 여겨지고 있으며, 신상품을 만드는데 있어 신소재의 연구와 개발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소재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에 글로벌 시대에 있어서 독자성을 가지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각 나라들의 전통소재 활용에 대한 상품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21세기의 새롭고 독창성 있는 공예디자인 소재로 발전시키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신개념의 문화상품을 제안하는 것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독창적이고 세계적인 상품의 개발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한국의 고유한 이미지를 새롭게 인식시킬 수 있는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하나의 오브제는 그 자체가 지니고 있는 형태와 색채, 소재 등을 통하여 전체적인 의미나 이미지를 전달하기 마련이다. 특히 소재는 촉각적 감각을 불러일으키므로 만져보고 싶은 충동을 일으키며 시각적․촉각적 자극을 공감각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소재를 통한 이미지 전달은 더욱 그 효과가 큰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환경의 변화와 함께 다양한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와 새로운 소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시대적 변화에 기인한다. 본 연구의 내용으로는 먼저 전통소재인 한지의 가치와 상품성을 중심으로 사회 변화에 따른 전통소재의 가치와 쓰임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국 내·외 시장에서 전통소재를 활용하한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통소재가 충분히 시장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품화로 이어지기 어려운 점을 파악하여, 전통소재를 활용한 공예문화상품의 활성화 방안으로 다음 네가지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브랜드화 전략으로서 그 방법으로는 고품격의 차별화 브랜드 개발, 전통의 계승 및 현대적 트렌드를 반영한 브랜드 개발, 보편적 가치의 세계적 브랜드 개발 등이 있다. 둘째, 디자인 개발 전략으로서 그 방법으로는 새로운 소재의 융복합 결합, 전통화 현대의 조화로운 감성 연구, 현대적 라이프스타일의 디자인 개발 등이 있다. 셋째, 시스템 구축 전략으로서 그 방법으로는 생산라인의 시스템화, 전통 수작업과 병행한 기계화 등을 들 수 있다. 넷째, 마케팅과 유통구조혁신전략으로서 그 방법으로는 체계화된 마케팅, 혁신을 통한 합리적인 유통구조 등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전통소재를 활용한 공예문화상품 개발 방안 전략에 관한 것으로, 전통소재 중에서 한지의 가치와 상품성에 주목하였다. 상품 개발 전략으로는 브랜드화, 디자인개발, 시스템 구축, 마케팅, 유통구조 혁신을 제안하였으며 전통소재의 가치와 가능성을 창출하고, 고부가가치를 확대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논의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통소재를 활용한 문화상품의 가치를 세계시장에서 인정받게 되길 기대해 본다. Lately the interest in the material is believed to be an important topic in all industrie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new materials have been very important in creating new products. Increased interest in traditional culture, product development has been focused on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materials so that each country has to remain competitive with identity in the global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creativity in craft design material of the 21st century and to offer a variety of cultural products using this new concept. And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at can be recognized as the unique new image of Korea by providing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world-class products. One of the objects is arranged to convey the overall meaning or the image itself, including through a form that has the color and material. In particular, Image transfer through the material can be said that the more-effective because it provides tactile sensory stimulation tastefully that causes the urge to touch by raising tactile sens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ue to the change in times, when the consumer's needs and new materials are required for a variety of products with a change in living environment. The contents o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orth and advantage of traditional materials first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changes around the value and marketability of traditional material. And analyzed the cases utilizing traditional materials in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We found that the traditional materials are hard to lead to commercialization despite their enough marketability. So we presented following four strategies to activate the cultural craft products using traditional materials. First, the way as strategies to be branded is to develop a high-quality differentiated brand , a reflected brand in modern trend as well as inherited traditions and a universally valued global brand. Second, there are a combination of the new materials, traditional and harmonious emotional research and design development of the modern lifestyle as strategies to develop a design. Third, as a system building strategies, there are a systematization of the production line and a mechanization with traditional handwork. Fourth, we suggest the systematic marketing and rational distribution system through innovation as a marketing and distribution structure innovation strategy. Lastly, this study relates to cultural craft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plan utilizing traditional materials, and noted HANJI's value and marketability among traditional materials. We offer branding, design development, system implementation, marketing and distribution structure innovation as a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Also we seek to expand high value-added products and create value and potential of traditional materials. The researchers look forward to being recognized the value of cultural products utilizing traditional material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n the global marketplace.

      • 전통한지를 소재로 한 천연염색에 관한 연구 : 오방색을 중심으로

        이맹자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여러 분야에서 이러한 자연의 색을 재현하려는 노력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데, 전통색상(오방색)의 재현뿐 아니라 환경 친화적인 면에서도 바람직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이미 실생활에서 천연염색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데 비해 공예 분야에서는 천연 염색에 대한 데이터 축적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오방색에 대한 문헌적 고찰과 염재(염료식물)에 관한 자료 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한지 문화상품을 제작함에 있어서 재료로 쓰이는 한지를 천연염료로 직접 염색하여 전통색상인 오방색을 재현하고자 하였으며, 매염제 별 오방색 염색방법은 염재(염료식물)마다 별도로 염색법을 정립하였으며, 제작된 천연염색 한지를 한지 문화상품으로의 제작을 통하여 새로운 문화상품으로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오방색에 관한 심오한 이론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오방색은 청색계열, 적색계열, 황색계열, 흑색계열, 백색계열로 분류 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분류하고 있는 회색계열과 갈색계열은 분류되어 있지 않아 간색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었다. 염재(염료식물)를 색상별로 분류할 때 중복되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고, 매염제에 따라 전혀 다른 색상으로 염색되는 경우가 많아 오방색을 염색할 수 있는 염재에 대한 고정 관념을 버릴 필요가 있었다. 이는 천연염료의 색소가 대부분 다색성을 갖고 있어 매염제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기 때문이었다. 한지에 오방색 염재(염료식물)로 염색 한 후, 이를 활용한 다양한 한지 문화상품을 제작한 결과, 한지는 그 특성상 강한 색채보다는 은은하고 밝은 색채의 표현이 더 잘 어울렸는데, 이는 부드러운 재질감과 잘 맞기 때문이며, 전통문양 또한 천연염색과 잘 어울려 천연염색으로 문화상품 제작은 현대에 이르러 환경 친화적인 상품으로 가치를 가지므로 발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오방색 염색의 특징을 이야기하면서, 천연염색을 통해 한지의 특징인 자연미와 연계시킴으로써 한지 문화상품의 가능성으로 앞으로 더 연구를 진행시켜 데이터베이스화 시킴으로 천연염색으로의 이로운 점을 더 찾아내어, 많은 사람들로부터 쉽게 전통의 색으로 한지 문화상품을 제작하게 하였으면 하는 것을 희망해 본다. The present study classified diverse color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Yin-Yang & Five Elements" and found out some plants, available for creating colors falling under the five round color system(;e.g. blue, red, yellow, white, and black), from old literatures to make major dyeing materials, and presented how to practically approach to the research by showing also the plant cultivation methods. Further, the compound colors out of five round color have been classified as they were in the old literatures and dyeing materials matching to them are also presented.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under. A variety of matters concerned with the dyeing crafts are found in the old literatures such as Samgukji, Huhanseo, Dongiyeojeon, Sangayorok, Gyuhapchongseo, Imwongyeongjaeji, Imwonsipyukji, Jibungyuseol, Salrimgyeongjae, Mingailyong, Yeonhisik, Jaeminyosul, Chosun Wangjo Silrok, Mangiyoram/Jaeyong, Sangbangj­eongrye/Imyoungsik, Wakansansize, Cheongongaemul, Tongah, Sangbangjeongrye, Yeso, Yisusin, Bonchogangmok, Analects/Hyangdang, Analects/Yanghwa, Analects /Japseol, Jibungyuseol, Sindangseo, and Juseoyoeljeon, and although their stories and contents are sometimes felt unrealistic, if they are approached in a way of human studies they are found to contain profound theories about the dyeing matters. The five round color system is classified into blue, red, yellow, white, and black system and grey and brown colors, falling under a sort of natural dyeing colors, aren't included. Generally, people don't have a correct knowledge as to the five round color system and make mistakes to misuse grey and brown colors as the five ones, and so they need to be correctly interpreted and understood. Further, it is found that the five round color system is also different from the natural dyeing color system, but colors of green, reddish, bluish, yellowish, and purple classified in a compound scheme could be dyed with natural dyeing materials, and in line with the fact, the five compound colors should be also recognized as the ordinary natural dyeing colors as the five round colors do to establish our traditional color scheme with the two systems. We found that when classifying dyeing materials into color­based small groups they are often divided overlapped on two or more groups, and it is attributed to that the natural dyeing colors have multicolor properties and sometimes it is caused by mordants.

      • 한지 소재를 활용한 페이퍼아트 연구 : 표현기법 개발 및 도구 활용을 중심으로

        이진화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 사회의 눈부신 발전은 생활의 편리함과 삶의 윤택함을 주었으나 점점 심각해지는 환경오염은 우리 인류 모두가 해결해야 할 큰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여전히 활용 가능한 많은 것들이 그냥 버려지고 있고 그중에서도 책이 버려지는 양은 어마어마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버려지는 폐도서를 활용한 작품을 구현하고자 한다. 아무 의미 없이 버려지는 책에 의미를 부여하고 표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담아 작품으로 승화시키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전통 한지와 헌책의 만남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한지와 페이퍼아트에 대해 조사하고 해외 페이퍼아티스트들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추상적으로만 생각했던 페이퍼아트에 대하여 구체화하고 헌책을 재활용함으로써 한지와 폐도서의 만남을 구현하고 더불어 메시지 전달까지 하는 계기가 되었다. 더 나아가 작품을 통하여 헌책에 담긴 꿈과 이야기를 찾고 사람의 향기를 한껏 느껴보길 희망한다.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our society has given us the convenience of our lives and the richness of our lives, but the increasingly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is emerging as a big task that all of us, humanity must solve. In the case of Korea, we are also making efforts in various ways to away from many things being thrown away, and among them, the amount of books being discarded is enormous. From this point of view, I want to implement an art work using the discarded books. I want to give meaning to a book that is discarded without meaning, and sublimate it into a work by putting the message I want to express. In order to realize the encounter between Korean traditional Korean paper and used books, I have researched Korean paper and paper art and studied overseas paper artists. Through this study, Paper Art that had been considered only abstractly was materialized, and by recycling used books, it was an opportunity to realize the encounter between Korean paper and waste books, and to deliver a kind of message. Furthermore, I hope people to find the dreams and stories contained in the used books and feel the fragrance of people through the works.

      • 전통한지공예기법을 활용한 지화공예 연구 :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김영란 전주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paper, through traditional Hanji paper painting handicrafts, accessed to new value creation of handicrafts in the modern times changing rapidly. The modern people's residence culture is changing rapidly in the twenty first century. Not only from the change in simple residence circumstances such as the change in the living style, from the traditional sitting living style to the modern standing living style, but also from the change in living articles used for usual living we can find the change. Though the use period of living articles gets shorter, the higher-quality and the more differentiated products people find. In the change, some studies are in progress to preserve, succeed, and use in the modern style the old things. This paper, to create competitive handicrafts, reconstructs in the modern sense the paper handicrafts that include our race's beauty recognition and Korean-style beauty sense formed for a long time. This paper looks into overall concepts, traits, and kinds of traditional Hanji paper painting handicrafts to conduct the studies. This paper considers it is very important in succeeding and developing our traditional cultures to investigate and classify the artifacts created by paper painting techniques that our ancestors used in usual living. Furthermore, this paper analogized production progresses and techniques and, centering on the extant artifacts created by paper painting techniques, produced and arranged directly the works by the methods harmonious with the modern aesthetic sense. On the basis of them, this paper, by using traditional materials, intends to develop into modern sense and to present the handicrafts, practical and decorative. 본 연구에서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공예품의 새로운 가치창출을 도모하는데 전통한지 지화공예품을 통해 접근해 보았다. 21세기로 넘어오면서 현대인들의 주거문화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는 전통적 생활방식인 좌식에서 현대적 생활방식인 입식으로 변화한 단순히 주거환경의 변화만이 아닌,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생활용품에서도 그 변화는 찾아 볼 수 있다. 생활용품의 사용주기는 짧아지는 반면 더욱 고급화 되고 차별화된 제품을 찾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옛것을 찾아 보존, 계승하고 현대적으로 활용하려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오랜 시간 동안 형성되어온 우리 민족의 미의식이 담겨 있고 한국적 미감을 가진 지화공예(紙畵工藝)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을 진행하여 경쟁력 있는 공예품으로 담아내는 작업을 하고자 한다. 이 같은 연구를 위해 전통한지 지화공예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과 특징, 종류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우리 조상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하였던 지화기법 유물들을 조사하고 이를 유형별로 정리하는 일은 우리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킨다는 점에 있어 아주 중요한 일이라고 본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현존하는 지화기법 유물들을 중심으로 제작과정과 기법을 유추해서 현대적인 미감과 어울릴 수 있는 형태로 직접 제작하고 정리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전통적 소재를 활용하여 현대적 감각으로 발전시켜 실용적이면서도 장식성이 깃든 공예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