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만성 불면증 환자에게 적용한 단기 인지행동중재의 효과

        최수정 성균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 the effects of the Abbreviated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ACBI) on chronic insomnia. Study design was one-group pre-post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subjects on this study were 19(males 10) adults(mean age= 51.8, aged 25-77 years), with chronic primary insomnia who visited sleep disorder outpatients clinic of S Hospital in Seoul from November, 2004 to October, 2005. The subjects received 2-session individual ACBI with 2 week-interval. Subjects completed the sleep questionnaires and sleep logs for 2 weeks. To measure the subjective insomnia severity and sleep patterns, 3 times of the sleep questionnaires and sleep logs were planned (at baseline, after the 1st session of ACBI, and again at a 3-month after ACBI). Thirteen out of 19 subjects completed 3 times of sleep logs and sleep questionnaires. The main outcomes were subjective insomnia severity by the questionnaire of Insomnia Severity Index and sleep patterns (Sleep onset latency, Waking after sleep onset, Total sleep time, and Sleep efficiency) and additionally investigated dosage of sleep-aid agents based on the sleep logs. The data was analyzed with SPSS program (version 10.0), by using percentage,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ubjective insomnia severity(Insomnia Severity Index)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1st ACBI and 3-month after ACBI(F=15.128, p=.001). Subjective insomnia severity was changed from severe to subthreshold lev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uch cognitive changes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overall change process that occurs in insomnia intervention. Reduction may give way to the elimination of sleep-disruptive habits and subsequent sleep improvement. 2) Sleep pattern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 decreased sleep onset latency(F=4.787, p=.032), b) decreased Waking after sleep onset(F=16.47, p < .001), c) increased Total sleep time(F=4.567, p=.036), and d) increased Sleep efficiency(F=11.208, p=.002). 3) Mean daily dosage of sleep-aid agents in subjects who took habitually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he completion of ACBI sessions(F=11.009, p=.003). In conclusion, ACBI was effective in reducing subjective sleep severity and improving sleep. Sleep improvement was better sustained over time with ACBI. Therefore, ACBI will be a useful nursing intervention in clinical practice.

      • 간 공여자의 공여 후 삶의 질 변화

        홍승희 성균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quality of life in living donors of liver transplantation and the change in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The research was designed with the prospective and descriptive survey using SF-36(version 2). The subjects were 29 donors who donated a part of their liver for liver transplantation from April, 1, 2005 to August, 9, 2005.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10.0 program using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quality of life of all subjects showed preoperative scores of 74.79 and postoperative scores of 54.16 was shown after 1st month at 3rd month it was 66.25. In comparison to pre-donation for transplantation, the post- donation scores represented that the quality of life was decreased but improved at 1st and 3rd month. In terms of the physical component summary(PCS) and mental component summary(MCS) of quality of life, the scores of PCS were 87.41 at preoperation, 57.00 at 1st month after donation, and 73.98 at 3rd month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 ficant, however, the score at 3rd month didn't reach that of pre-donation. In mental component summary, the pre-donation score of 67.28 was changed from the score of 55.13 at 1st month to the score of 65.18 at 3rd month.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score at 3rd month after donation reached up to the pre-donation scor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functioning, role-physical, bodily pain, vitality, and social functioning of 8 scales of the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donation. 2.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including sex, age, marital status, the level of education, the status of employment, income, the source of income, and religion.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 especi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subjects with high school diploma or lower education and subjects with bachelor's degree or higher education became significant as time went by.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donation were considered including the donated part of liver, recommendation to others for organ donation, a visit to a hospital or a pharmacy, the return of pre-donation activities, a relationship with a recipient, and the change of a relationship with recipient. Especially the relationship with a recipient influenced the quality of life of donors, and the donors who donated to their spouses showed lower level of the quality of life. In conclusion, the overall quality of life of subjects after donation represented lower than before donation and the scores were improved at 3rd month, which were below the scores before donation. Therefore, the manage- ment for relieving physical discomfort such as wound pain, abdominal discomfort, dyspepsia, and etc. is required. Moreover, the social support system which enables them to return to their social activities more smoothly is necessary to be constructed.

      • Drug repositioning targeting USP7 and candidate validation in glioblastoma cell lines

        Oh Hyun Ji 충북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교모세포종 환자의 생존기간을 연장시켜주는 대표적인 약물로 temozolomide (TMZ)가 알려져 있지만, TMZ 저항성이 발견되어 교모세포종을 표적으로 하는 다른 타깃을 필요로 했다. Ubiquitin specific protease 7(USP7)은 탈유비퀴틴화 효소 그룹에 속해 있으며, 26S 프로테아좀을 통해 기질 단백질 분해를 조절함으로써 안정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최근 연구를 통해 교모세포종 환자에서USP7 발현 양이 높았고, USP7이 감소된 교모세포종 세포주에서 세포사멸이 유도된 결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두가지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첫번째 가설인 USP7의 약리학적 저해 (pharmaceutical inhibition)를 통해 교모세포종의 세포 성장 억제 및 세포 사멸을 확인하였다. 또한, USP7의 선택적 저해능을 높이는 신규 약물의 발굴을 단백질 구조기반 신약 재창출 연구를 통해 paliperidone 과 pimozide를 발굴 하였고, 이의 교모세포종 세포 성장 억제 및 사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USP7이 교모세포종 치료 타깃의 신규성을 검증하였고, 신약 재창출 연구로 신규한 USP7 저해제를 발굴 할 수 있었다. Ubiquitin specific protease 7 (USP7), also known as human herpes virus-associated ubiquitin specific protease (HAUSP), is a deubiquitylation enzyme and stabilizes the substrate proteins. According to previous study, which the expression of USP7 was high in glioblastoma multiform (GBM) patients, and apoptosis was induced in GBM cell lines that had been knocked down by USP7. We hypothesize that pharmaceutical inhibition of USP7 in GBM cell lines successfully inhibits cell growth and induces apoptosis. Here we showed that pharmaceutical inhibition of USP7 with known specific inhibitors, P5091 and FT671 induces apoptosis of GBM cells and inhibition of GBM cell growth. Furthermore, using in silico structure based virtual screening (SBVS), we found two possible FDA-approved drugs, paliperidone and pimozide, which target the allosteric pocket of USP7, which is made of less conserved residues. These findings support therapeutic potential of USP7 in glioblastoma multiform and point to an unique targeting method for discovering small molecule USP7 specific inhibitors.

      • 탄소 나노튜브 전계 발광을 이용한 LCD용 백라이트에 관한 연구

        정득석 성균관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논문에서는 탄소나노튜브(CNT)의 필드에미션 특성을 이용한 LCDTV용 백라이트 기술에 관한 연구 결과를 소개하였다. 백라이트로의 적용을 위해서는 기존의 필드에미션 디바이스와는 달리 고전압 인가에 의한 고휘도의 특성이 요구되어, 고전압에서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구조 및 구동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기존 구조와 다른 under-scan 구조 및 구동 기술을 고안하였다. 기존 필드에미션 디바이스는 캐소드 상부에 많은 금속 에지가 노출되어 있어 항상 전기적 아킹의 발생가능성이 높다. 또한 많은 절연층의 노출로 인하여 charge가 쌓이게 되어 이 또한 전기적 아킹을 발생을 유도하게 된다. 본 구조는 scan 구동을 위한 전극을 절연층 하부에 위치 시키고 캐소드 상부 쪽에는 최소한의 전극패턴을 주어 금속 에지 및 절연층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고전압 인가가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따라 구동도 게이트 단에 ground potential을 인가하고 하부 전극에 (-) scan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방식을 채택하여 15㎸ 이상의 고전압에서도 안정적으로 디바이스를 구동시킬 수 있었다. CNT 에미터는 기존의 필드에미션 디바이스에서 사용되어온 후면 노광 방식에 의하여 제조하였으며, CNT 페이스트의 품질을 개선을 통한 패턴성 및 에미터 형상의 균일성을 높여서 에미션의 균일도를 향상시켰다. LCD 백라이트로의 적용을 위해서 요구되는 필수적인 특성중의 하나가 효율인데, 이를 높이기 위해서 유효 발광 면적 및 유효 발광 에미터의 개수를 분석하고 향상 방안을 모색하였다. 저항 성분을 넣지 않은 구조와 넣은 구조간의 유효발광 면적을 게이트 인가 전압에 따라 분석하였는데 두가지 구조 모두 일정 게이트 전압 이상까지는 에미션 사이트가 증가함을 보였으나 임계전압 이상에서는 기존 에미터의 빔경의 증가에 따라 유효 이상 개선할 수 있었으며 LCD의 화상 신호 대비 액정이 반응 시간이 느리므로 그 속도에 맞추어 백라이트를 켜줌으로써 motion blur현상도 대폭 개선을 할 수 있었다. In this research, carbon nanotube field emission backlight (CNT-BLU) for liquid crystal display (LCD) application was introduced. By the requirement of LCD’s moving image enhancement and eco-friendly property, substitute backlight as well as the research of LCD panel is considered. Since, the device for backlight application needs high reliability from the electrical arcing in high anode bias(Va), under-scan structure and driving scheme was proposed. This structure has a few sharp edges of conductor exposed to high Va, and the dielectric surface opening on top layer of back plate is minimized. By successfully minimizing the vacuum flashover and edge-induced arcing, we could operate the backlight at high Va over 15 ㎸ in stable state. Carbon nanotube (CNT) emitter formation is used by backside exposure with photosensitive CNT paste. The patterning property and emitter shape uniformity is remarkably enhanced, and emission uniformity also improved. In order to enhance the output of the backlight efficiency, which is essential for LCD backlight application, the emission site density and the number of working emitter we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e and paste. Emission site density was improved by using resistive layer from 32.3% to 70.2%. We also improve by changing CNT paste contents, modifying organics, and mask design.. By monitoring the microscopy of emitted electrons, we could know how many emitters are actually working in the device. In the triode structure without resistive layer, 5% of CNT emitters were worked for emission. However, the ratio was enhanced to 20% by adopting a resistive layer. Reducing the current of the specific emitters having high β factor and uniform supply of current to more emitters by applying resistive layer could increase working emitters four times than existing structure. We estimate that beam divergence and emitter distribution in pixel level influent difference in number of τ. As we consider increased working emitter in the sample with resistive layer, τ could be maximized through optimizing design of emitter. The aluminum layer was coated on the phosphors in the anode plate to improve the brightness of a backlight device by reflecting the light that is not initially directed away to the LCD panel. An intermediate thin layer was printed on the phosphor before deposition of aluminum layer, due to flatten rough surface of a phosphor layer and increase the transmittance. Aluminum layer formation was better in the anode used PVA-slurry method. However, its rare void or pinhole of bottom layer-phosphor and intermediate layer-made bubbles in firing process, and aluminum was swelled in many areas. Meanwhile, the anode plate having a lot of voids presented just few swelling area after firing, and no electrical arcing in the operation. Its brightness was enhanced two times more than one of the anode without aluminum layer. LCD image quality using CNT-BLU was improved due to impulsive driving and local dimming. Matrix-addressable CNT-BLU in circuit driving scheme enables block separation of a BLU in accordance with the scan and data lines of a CNT-BLU. The brightness of separated blocks in backlight wa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LCD image brightness. The contrast of local dimming applied CNT-BLU was enhanced about 9000:1, and it was 20 times more than the conventional CCFLs. local dimming controlled CNT-BLU was enhanced much in dynamic contrast ratio keeping the same brightness with that of CCFLs, and motion blur was remarkably diminished by CRT like impulsive driving.

      • 승진을 원하지 않는 MZ세대 초등교사들의 교직 및 승진제도에 대한 인식 조사

        박은솔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에서는 승진을 원하지 않는 MZ세대 초등교사들이 교직과 승진제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및 인천 지역의 승진을 원하지 않는 MZ세대 초등교사 5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 결과를 분석하여 승진을 원하지 않는 MZ세대 교사들의 교직 및 교육 가치에 대한 인식과 승진에 대한 생각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승진을 원하지 않는 MZ세대 초등교사들은 개인의 가치를 일보다 중요시한다. 둘째, 승진을 원하지 않는 MZ세대 초등교사들은 승진을 하지 않더라도 개인의 가치에 따라 원하는 분야의 전문성을 기른다. 셋째, 승진을 원하지 않는 MZ세대 초등교사들은 승진제도와 기성세대가 만든 승진문화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한다. 넷째, 승진을 원하지 않는 MZ세대 초등교사들이 승진을 원하지 않는 이유에는 승진에 대한 보상체계의 부족, 위험 감수 요인, 에너지 소모 등이 있다. 다섯째, 승진을 원하지 않는 MZ세대 초등교사들은 승진과 조직에 대한 개념과 그 가치를 기성세대와 다르게 인식한다.

      •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죽음에 대한 인식 및 뇌사·장기기증·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정유리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생명의료윤리의식 교육 자료를 만드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지방의 3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 4학년 간호 대학생 2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5년 10월 1일부터 12월 17일까지였으며, 연구도구는 생명의료윤리의식을 파악하기 위해 이영숙(1990)이 고안한 윤리적 가치관 도구를 권선주(2003)가 수정·보완한 생명의료윤리의식 도구를, 죽음에 대한 인식은 이누미야 요시유키(2002)가 개발하고, 차영례(2006)가 수정·보완한 도구, 뇌사·장기기증·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측정을 위해서는 Matten 등(1991)이 개발한 도구를 주애은(1995)이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에 맞게 번역·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평균평점은 총 4점 만점에 2.81±0.22점으로 나타났고, 신생아의 생명권이 3.23±0.47점으로 가장 높았고 뇌사가 2.24±0.44점으로 가장 낮았다. 2.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의 평균평점은 총 5점 만점에 3.15±0.36점 으로 나타났고,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3.56±0.57점으로 가장 높았고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2.56±0.63점으로 가장 낮았다. 3. 대상자의 뇌사·장기기증·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정도는 21점 만점에 12.12±3.02점으로 58%의 정답률을 보였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의식은 성별(t=-4.21, p<.001), 학년(t=-2.84, p=.005), 종교참여도(F=3.91, p=.02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인식은 종교(t=-3.29, p<.001), 가족 중 사망자 유무(t=2.02, p=.044), 주관적 경제수준(F=4.05, p=.018), 장기이식 교육여부(t=2.80, p=.006), 인간생명공학 교육 여부(t=2.56, p=.01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장기기증·장기이식에 대한 지식은 가족 중 사망자유무(t=2.07, p=.039), 앞으로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교육 시 참여의사 여부(F=4.49, p=.01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유의하게 약한 순상관관 계(r=.220, p<.001)를 나타내었으며, 생명의료윤리의식과 뇌사·장기기증·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r =.062, p=.316). 6.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 변인은 성별 (β=.293, p<.001), 종교참여도(β=.230, p=.015), 죽음에 대한 인식(β=.195, p=.016)으로 나타났으며, 17.1%의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간호교육과정에 생명의료윤리 및 윤리의식에 대한 내용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이 제기되었다. 이는 간호 대학생들이 임상 현장에서 실습 시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죽음과 관련된 부분을 반영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학교에서도 생명의료윤리 교육 시 죽음에 대한 인식 부분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주었던 성별, 학년, 종교참여도 등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함양은 간호 대학생들이 임상에서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혼돈을 겪지 않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간호사가 되었을 때에도 대상자와 의료인 사이에서 환자 옹호를 위한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성인지 감수성 의식에 관한 연구

        소연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성 인식과 가치관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치는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성인지 감수성 의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종 선행연구의 성인지 감수성(Gender Sensitivity)과 관련된 고찰을 통해 성인지 감수성 개념 및 구성요소, 국내 교육기관의 정책 및 연수, 해외 역량 강화 사례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개발(2000)하고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개정(2016)한 한국형 남녀평등의식검사의 축약형 및 관련의식(비폭력), 여성혐오와 미투운동에 대한 의견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현영자(2000)가 양성평등교육을 위한 교사의 성역할 정체감 의식 연구에 활용한 성의식 영역 문항, 이진영(2011)의 젠더감수성 측정도구 개발에서 활용한 개방성 및 자기성찰 영역 문항, 울산광역시교육청(2019)에서 초·중·고등학교 교사 대상 양성평등의식 및 사회현상에 대한 태도에서 활용한 학교생활 및 사회 인식·젠더 폭력 영역 문항을 인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설문지로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재직하는 현직교사 166명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전반적인 성인지 감수성 의식은 5점 척도로 볼 때 3.99로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이며, 인지적·환경적·의지적 구성영역에서는 인지적 측면의 의식 수준이 가장 높았고 환경적 측면의 의식이 가장 낮았다. 둘째,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전반적인 성인지 감수성은 성, 연령, 학교급 등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성인지 감수성 관련 강좌 수강 여부 변인에서만 의식의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변인별 성인지 감수성으로는 여교사일수록, 연령대가 낮을수록, 학교급이 낮을수록,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미혼일수록 의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성 영역별로는 대게 인지적·의지적 측면의 의식 수준은 높은 반면 환경적 측면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성인지 감수성 구성 영역(인지적, 환경적, 의지적)의 세부 요소별 의식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은 의지적 측면의 비폭력이고 가장 낮은 것 또한 의지적 측면의 개방성이었다. 의지적 측면의 마지막 요소인 자기성찰 의식은 성인지 감수성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지적 측면의 요소인 성평등 의식과 성역할 해방 의식은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환경적 측면의 요소인 사회 이슈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개방성 의식과 비슷한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 한국과 미국의 영재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 : 미국의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을 바탕으로

        이은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에서 최근 개발된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특징과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사례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분석의 기준이 될 프로그램 분석틀을 개발하고자 미국의 주요 3가지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기준안(GATE Program Standards): NAGC Standards (Pre-K-Grade 12 Gifted Programing Standard), California State Standards (Recommended Standards for Programs for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Taxas State Standards (The Texas State Plan for the Education of Gifted & Talented Student)을 바탕으로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총 7개의 분석 준거 요소의 분석틀(Analysis Framework)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2011)에서 발간한 ‘창의성 계발을 위한 통합형 프로그램 개발’보고서와 미국 California 주‘Manhattan Beach Unified School’의 영재교육 프로그램(2008)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질적 내용 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교육전문가 1인과 함께 내용 분석의 과정 동안 지속적인 논의를 통하여 결과 도출에 합의점을 얻고자 노력하였으며 한국 프로그램 분석과정에서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지도한 경험을 갖은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분석의 다양한 자료 수집을 통한 연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사례 분석을 위하여 미국의 주요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을 중심으로 영재교육 분석틀을 개발하였으며 그 분석틀은 다음과 같은 7가지 준거 요소를 제시하고 있다: 1) 프로그램의 설계(Program Design), 2) 학생판별 및 평가(Identification), 3) 교수학습(Curriculum and Instruction), 4) 관계자의 전문성 개발(Professional Development), 5) 부모 및 지역사회의 참여(Parent & Community Involvement), 6) 사회적 및 정서적 발달(Social & Emotional Development), 그리고 7) 프로그램의 평가(Program Assessment). 이와 같은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준거 기준안은 영재교육 전반에 대한 포괄적이고 총체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이를 기준으로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를 유도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한국과 미국의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분석 결과 미국의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본 연구의 분석틀의 기준안 7가지 요소를 거의 고르게 강조하여 설명하면서 각 영역의 구체적인 내용 제시를 하고 있는 것에 반하여, 한국의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분석 기준요소 7가지 중에서 1) 프로그램의 설계(Program Design), 3) 교수학습(Curriculum and Instruction), 그리고 7) 프로그램의 평가(Program Assessment)에 집중하여 내용 제시를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대부분의 내용을 3) 교수학습(Curriculum and Instruction) 영역에 치중하여 개발물의 내용을 제시하고 있었다. 셋째, 한국과 미국의 영재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 결과 두 나라의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접근 방향이나 특징, 그리고 프로그램의 실행에 관하여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영재학생들의 특정한 인지적 영역 성장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제시 및 개발 프로그램의 효율성에 대하여 강조하고 있으며 영재교육의 실행은 영재교육울 담당하고 있는 현장 교사의 역할 및 역량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국의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은 프로그램 개발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 및 영역을 포괄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영재아들의 특성이나 판별, 관계자의 전문성 개발 노력, 부모와 지역사회의 영재교육 참여, 그리고 영재아들의 사회·정서적 발달과 같은 사회 심리학적인 측면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다각도적인 측면에서 영재교육의 지원을 강조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를 위한 기준안 개발의 필요성 확인과 함께 외국의 다양한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는 제언을 할 수 있다.

      • 고등학교 미술교과에서의 실시간 쌍방향 원격 수업 운영 사례 분석

        김민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2020학년도 2학기에 진행된 미술 교사의 실시간 쌍방향 원격 수업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이 느끼는 교수실재감과 수업참여도, 실시간 쌍방향 원격 수업에 대한 학생만족도의 정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지속되는 비대면의 환경에서 효과적인 미술 수업 방법과 교사의 역할을 제언한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의 T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실시간 쌍방향 미술 원격 수업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실시간 쌍방향 미술 원격 수업의 운영은 학습의 체계적 진행과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어 미술 교수-학습지도안을 설계하고 실시간 쌍방향 원격 수업에서 예측 가능한 상황을 정리하여 수업에서 실행한 수업 운영 자료(지도안, 줌 녹화영상, 학습지 등)를 통하여 미술 교사의 성찰을 중심으로 결과를 정리하였다. 둘째, 총 11차시의 교수-학습지도안, 수업녹화영상 등의 운영 자료를 분석하여 ‘교수실재감’을, 수업 녹화 영상, 작품계획서, 스토리보드활동지, 자기평가활동지 등을 활용하여 ‘수업참여도’를 분석한 결과 교수실재감에서는 콘텐츠의 충실성과 교수자의 존재감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수업참여도에서는 수업준비 및 활동과 수업 열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자가 진행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4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미술교사의 실시간 쌍방향 원격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수준 및 요구를 분석한 결과 콘텐츠와 과제형이 혼합된 수업방식에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간 쌍방향 미술 원격 수업에서의 참여도와 집중도는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다. 교수자 요인이 높은 수준일 때, 수업참여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실시간 쌍방향 원격 수업에서 학생들이 대체로 미술교사의 수업 내용과 교사의 열정, 상호작용 등 교수실재감에 만족하였으나 지나친 상호작용과 콘텐츠의 양은 학생들의 집중도를 저하시킬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실시간 쌍방향 원격 수업에서 학생의 참여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적절한 교수실재감의 정도를 파악하여 향후 수업 개선에 참고하여야 할 것이다. 주제어 : 코로나19, 실시간 쌍방향 원격 수업, 교수실재감, 수업 참여도, 학생만족도, 미술교과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