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후기 개신교 전래와 수용연구 : 1876-1884년을 중심으로

        소요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논문은 그 동안 한국교회사 연구 가운데 초기 개신교의 흐름을 다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교회사에서는 개신교 흐름에 있어 어느 곳에 비중을 두느냐에 따라 상이한 차이가 있었다. 크게 개신교를 전하는 선교사를 중심으로 하는 관점과 개신교를 수용하는 수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구분과 전제는 개신교 전래와 수용에서 다양한 연구가 나오게 하였다. 하지만, 흐름이라는 것을 중심으로 전래와 수용을 상호연관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어느 한곳에 초점을 맞추었기에 논리적인 비약이 발생하게 되는 부분을 찾아 볼 수 있다. 이북 지역 배경연구는 그동안 한국교회사에 아무런 비판 없이 받아들여졌다. 특히 신앙을 수용하는데 원인이 되었던 이북 지역의 경제적 부유함, 수준 높은 지식, 양반이 없는 지역, 중앙정부로부터 소외되어 혁명의식이 내재되어 있는 조건은 신사상, 신종교였던 개신교를 수용하기에 좋은 배경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자체를 다시 고찰하였으며 기존에 연구되었던 이북 지역 배경연구를 비판적으로 접근하였다. 또한 배경연구의 타당성을 살펴, 이북지역 배경이 신앙수용의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없으며, 신앙수용과 밀접하게 관련되지 못하였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신앙수용의 주요한 원인은 존 로스의 한글 성서가 개신교 수용의 주요한 원인이 되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존 로스의 선교사상과 한글 번역과정, 전파와 수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확장 연구 하여 2가지 상황에 적용시켰다. 하나는 같은 이북지역에 한글 성서가 아닌 한문성서가 전파되었을 경우이다. 이북 지역의 배경이 신앙수용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면 한문성서가 신앙 수용되어 그 결과가 있어야 했지만, 그 결과는 미미하거나 찾아 볼 수 없다. 반대로 이북 지역과 다른 서간도에서 한글 성서가 전파되었을 경우였다. 기존 연구에서도 나타나듯이 서간도의 한글 성서 수용은 다수의 세례자가 있을 정도로 수용이 있었다. 이남 지역 연구는 한반도 외교 문제와 개신교 전래 배경을 가지고 당시 한반도에 서구 열강과 중국, 일본의 침탈 환경이 있었으며, 이와 연관하여 개신교 전래를 살펴보았다. 중국과 일본, 미국 공사, 선교사의 인식과 전래 배경이 개신교 전래와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청속방과 개신교 전래를 하나의 괘(掛)로 하여 임오군란, 보빙사, 갑신정변을 살펴보았으며 이남 지역의 개신교 인식을 지도계층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한국에서의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교회사적 측면에서 본 연구

        조성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599

        오늘날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는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모든 영역에 걸쳐 상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기적인 관계로 발전하여 때로는 협조하고 때로는 갈등하는 현상을 여러 방면에서 발견하게 되는데, 향후 교회의 사목적 활동과 예언자적 사명을 다하기 위하여 한국역사에 있어서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를 통하여 이상적인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를 모색함으로써 교회와 국가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한국에 가톨릭과 기독교가 전래되면서 토착 종교 또는 정치 이념과의 갈등이 빚어지게 되었고, 이에 따른 수난·수용·성장·발전 과정을 교회사적 측면에서 고찰함으로써 역사적인 경험과 교훈을 통하여 지난 시대의 과오를 반복하지 않도록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교회와 국가와의 건전한 관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교회의 예언자적 사명과 사목적 활동이 국가 발전에 기여하여 민족의 숙원인 하나님 주권 하에 통일을 이룰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고, 국가는 이러한 교회의 사목적 활동과 예언자적 사명을 완수할 수 있도록 헌법에 명시된 정교 분리의 원칙을 준수함으로써 상호 협력하는 창조적 협조와 긴장 관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 건국 초기 이승만 대통령은 국가 건설의 초석을 기독교 정신에 바탕을 두려고 노력하였으며, 한국전쟁의 와중에서도 군목제도를 창설하여 젊은 세대들이 기독교 정신으로 무장되기를 희망하였다. 이어 등장한 장면 정권도 장면 총리가 독실한 가톨릭 교인이어서 가톨릭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후에 등장한 정권의 수반들도 대부분 특정 종교의 교인이거나 특정 종교에 편향되어 타 종교로부터 배척과 질시, 배타적인 의구심을 갖게 하여 종교적 갈등을 야기시키는 경우가 많았다.우리나라가 제대로 잘 되기 위해서 그리고 교회가 교회의 제 모습을 갖추기 위해서 이 제단을 권좌로 끌어가려 하지 말아야 한다. 다시 말하면 교회를 국가 통치권 안으로 끌어들이려는 일을 해서는 안 되고, 동시에 교역자가 되었든 평신도 지도자가 되었든 종교인이나 교회는 국가의 권좌를 또한 이 제단으로 가져오는 일도 해서는 안 된다. 이것이 교회가 지켜야 될 정권과 교회의 분리의 원칙이며, 이것을 위해서 우리의 선배들은 피를 흘리면서 노력하였다. 교회와 사회의 관계가 올바르게 설정된다 함은 양자의 경계와 대립, 영역의 차별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서로의 보완이나 연결, 절실한 문제 해결에 있어 유기적이고 창조적인 비판이 함께 해야 할 것이다. 교회는 부단히 국가 사회의 예언자로서 정의의 보루와 가치 기준의 근거가 되어야 할 것이며, 그에 따른 사회 변혁의 충실한 바탕이 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해방 이전의 교회 성장은 비록 선교사들의 지도하에 이루어졌다 할지라도 그들은 한국교회의 성장을 위한 철저한 자체 훈련을 시켰다. 동시에 한국교회는 직접·간접으로 한국민족의 독립을 위하여 투쟁함으로써 사회적·민족적 공신력을 획득하였고, 이 두 가지 요소가 한국교회 성장의 바탕을 형성하여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해방 이후는 국제적·사회적·경제적·문화적 변동과 충격으로 인하여 사회적 불안감이 조성되고, 이것의 한 결과로 종교, 특히 기독교에 많은 사람들이 귀의하게 되었다. 1970년대에 들어와서 한국기독교의 역사 참여를 위한 노력을 통해 그 동안의 성장 일변도에 치우친 편향성을 탈피하여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자세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자세를 바탕으로 한국기독교는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에서 사목적 활동과 예언자적 사명을 수행하여 분단된 조국의 통일과 민족사의 발전에 기여하여야 할 것이다.한국에 있어서 교회와 국가는 한국 민족사회의 발전을 위하여 정교유착과 극한적 대립의 상황이 일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며, 일제로 인하여 분단된 조국의 통일을 지향하며 교회와 국가는 민족 사회의 통합과 발전이라는 공동 과제를 위하여 헌법에서 규정한 정교분리의 원칙을 고수하면서 창조적 협조와 긴장 관계를 계속 유지·발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h.D. dissertation is to pursue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in Korea during the Korean Church History in historical perspective. There are many conflicts between them, but the author more focused on this Shinto Shrine Worship question on the Korean Church including the Conspiracy and the split of Presbyterian Church during the Korean War, which follows the other Protestant Churches later.The relations between the state and regions in a country are grasped as a dynamic mutual contact in the form of struggle or cooperation between the secular power and the spiritual power: they are also regarded as an indispensable instrument with which to understand society. Basically, syncretism mixing Confucianism, Buddhism, Shamanism, and other non-Christian religions together makes it extremely difficult for researchers to conduct as analysis. Despite that many research results on the history of various religions and the history of the church have been made public in Korea, researches from the angle of relations between the state and religions are almost unknown. In view of this fact, this paper will attempt an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state and the church from the angle of Korean church history. This writer hopes that this paper will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establishing desirable relations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in Korea.The development of relations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in Korean church history can be examined in four phase:1. From 1784 when Catholicism was first introduced to the country to 1884 when Protestantism entered Korea and from the acceptance of Protestantism to 1910 when Korea was annexed by Japan,2. The 36-year Japanese colonial rule until 1945 when Korea was liberated.3. From the liberation to 1960 when the First Republic was overthrown through the period of U.S. Military government and from the April 19, 1960, student revolution to the May 16 1961, military revolution the period of the Second Republic, though as short as one year, bears significance, and,4. The period of the Third Republic from 1961 to 1979.Over their long history Korean have at times shown a marked receptiveness to new ideologies and religious faiths introduced from beyond their border, principally through its contact with China. Introduction of Catholicism into Korea brought about the most tragic clash in the history of acceptance of foreign cultures in Korea. Despite harsh persecutions, however, Catholicism was not uprooted. Along with Protestantism, which introduced later, it has developed into the most influential religion in Korea. By advocating equality of all human beings, the Catholic church challenged Confucian society in which rigid social classes, gender distinction, and seniority were central idea. It was a shock to Confucian society that the yangban class and the chonmin class gathered together for mass and the study of catechism without any discrimination. More scandalous was the rejection of ancestor worship rites by the Catholics, because it was regarded as disturbing the family values of the paternalistic Chosun dynasty. Thus, persecutions started.Korean Christianity has always shared in the suffering, misfortune and crises which beset the nations. As a result the church was, perhaps, more nationalistic from its earliest beginning than that of other nations. For the 36 years of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the Church managed to survived in spite of the cruel persecution directed against it and the nation by the invaders, believing in the possibility of deliverance as outlined in the Biblical story of the Exodus. The Korean Church, as a church of the people, did not limit its concern to the idea of independence for the nation. It adopted democracy and sought to forster it as a means of upholding such universal ideas as human rights, freedom, and justice; ideals which it held in high respect. That is to say, in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Church the idea of nationalism, and the universal idea of democracy, were not regarded as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but were seen as being in harmony.Shinto is a unique religion of the Japanese. The Japanese god is a clan deity. Since this god is not universal but exclusive, it is nature in conflict with other nations' religion. The enforcement of the Shinto Shrine Worship was regarded bv the Christians as a religious persecution even though the Japanese accused the resisting Christians of treason, and blasphemy against the emperor, declaring that Shrine worship was not a religious act, but rather a national one. In order to avoid conflict, the Japanese disguised it as a national ceremony when they enforced it on Korea. From 1930, to the early 40's, the power of government was absolute both in Japan and Korea. By 1930, extreme nationalism appeared in Japan and formed the political power along with military forces and the Emperor. In order to deify the Emperor, they made Shintoism the national religion.It can be said that ethical purity and glory of faith were more emphasized in Church, which is an organization of God's grace as well. Another weakness is that they had no sense of communal life. Thus, one Presbyterian Church came to be divided. It was completely contradictory to the current tendency of the world, that is, the Ecumenical Movement. It is desirable that we should turn our attention from indulging ourselves in digging out the reasons for such a division in the Korean Church to researching for its unity by understanding and confessing frankly it own errors.The liberation of Korean from the Japanese empire brought about a basically new start in relations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In fact, the relations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had been characterized by Oriental Caesaropapism, to borrow from Max Weber, in which the monarch acted on behalf of the clergy or persons in ministry submitted themselves to the authority of the monarch and the church could not have any ground on which to assert an equal position to the state in the true sense. As Korea was subordinate to the sovereignty of another nation during Japanese rule, the master-servant relations between the state and the church were more inevitable. It was for the first time after liberation in Korean history that the subjective national sovereignty and the church could mutual relations without subordination to and interfere by any foreign force.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power in north Korea was directly linked to the persecution and suffering of the church on account of the Communist Party's crafty designs. We do not know about the later developments due to the lack of accurate materials and information, except that Kang Yang Uk, who professed himself to be a clergyman formerly, said at the south-north Korean talk any longer. Concern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in Korea, we should not forget to point out the tragedy that we lost the strong church in the northern half. The North Korean Church Rehabilitation Committee has been formed in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In south Korea, on the contrary, the Christian religion could make a start in favorable conditions or in a privileged position. Among political leaders who returned from exile abroad, many were Christians. It was not unreasonable that they wanted to establish a Christian kingdom in the Republic of Korea as the Israelis wanted to establish a paradise in their devastated land under the hoof of their enemies. The Korean people, who had not experienced national salvation with Buddhism in Koryo dynasty and with Confucianism in the Chosun dynasty, excepted much from Christianity. During the three-year period of U.S. military government, the church, accepting liberation from Japan as a blessing form God, was filled with joy, and busied itself for its own reconstruction.The U.S. Military Government permitted the church to enjoy unlimited freedom. Large quantities of aid materials was conveyed to Korea through the churches and the U.S. Military Government kept a frequent contacts with clergymen and priests to obtain their advice. The churches could speak out whatever they wanted in utter freedom and participate in any events, winning corresponding visible benefits. Clergymen visited the U.S. Military Government frequently; and ordinary people thought that to deal with Americans thought clergymen was a short cut to rights and profits.The Constitution of the newly born Republic of Korea stipulated that all people can enjoy the freedom of faith and specified that a state religion is not recognized and politics and relig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Nevertheless, desirable relations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could not be established in spite of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and the generally favorable conditions for Christianity.The First Republic crumble due to the student uprising on April 19, 1960. A new Constitution centering on the cabinet-responsible system was passed on June 15. The new Constitution provided an almost unlimited guarantee for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and the Second Republic set sail with aspirations for new politics based on the democratic ideology by 'sweeping away old evils.' The student uprising was a significant incident in the history of religion because it provided a momentum for the Christians to realize their responsibility as a minority group by casting off their excessive self-conceit in the religiously dualistic Korean society. The church as a conservative and reactionary force remained silent until the uprising ended as a democratic revolution and kept it sympathy with Rhee Syngman . Through the uprising the church realized that now was the time to think over freedom, human rights, and democracy before seeking visible personel gains. The church should have readjusted its posture to cope with the reality brought about by the establishment of a new republic even though it did not provide wholehearted support for the new cabinet led by the Catholic premier.The relations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in any country are defined basically by the Constitution and laws and their concrete contents are given form through judgments passed by the courts. The legal guarantee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ountry and the socio-cultural sphere to which it belongs into a system of integ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s, a system of recognized churches, and a system of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It was explained earlier that many modern countries are adopting the system of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Various problems arising in the rela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are administered by the Bureau of Religious Affairs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Information in the administrative aspect and, when legal issue are raised, they are brought to trials at courts of all level: Judicial precedents concerning churches after liberation are now many including sixth Republic. Several judicial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judgments concerning the freedom of faith in Korea were liberal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but they showed a trend of becoming conservative after 1968 in order to safeguard national security and maintain public order.In this discussion is followed by the tentative but necessary suggestion on what the most desirable relationship, or attitude of the church to the state, should be in a specific socio-political context of Korea. The Korean churches have so far had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a negative attitudes towards the state. Therefore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is necessary in order to lead the christian social participation or political involvement in the right direction.The attitude of the church towards the state has, on the whole, varied according to specific historical situation in Korea. And it is difficult to point out whether it was based on the theological reflection.This paper, advocates the establishment of theological basis for the socio-political actions of the christians.As a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best way in which the christian responsibility can be carried out successfully in society as well as in State is to let the christians participate in authority in their full length to reunify the separate nations and churches as a result of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christians should understand the nature and the limit of their power and thus the fulfillment of god's mandate mission within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as stated in the Constitution. It is also desirous for Church and State that they should remain on the creative tension status continuously to fulfil their institutional moral and visions without interfering others' and bias verse.

      • 루터의 득의론

        문선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599

        루터의 득의론에 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해석으로 진행되어 왔는데, 그것은 먼저 루터가 의미한 바의 득의는 인간이 죄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그의 은혜로 말미암아 의롭다고 인정하신다는 의미에서의 득의 즉 전가적 의미에서의 득의라는 것과 이러한 전가의 의미와 더불어 하나님이 죄인을 실제로 의롭게 하신다는 사상이 함께 존재한다고 하는 주장이 그것들이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루터의 사상을 그리이스 정교회적인 관점으로 해석하려는 시도들이 있다. 이러한 루터의 득의에 대한 상이한 해석 가운데서 본 논문은 루터의 득의론을 그의 신학 전반에 걸친 요소들과의 관계 속에서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루터의 신학을 관통하는 한 축을 설정하였는데, 그것은 "십자가의 신학"으로 표현되는 루터의 십자가에 대한 고찰이었다. 그리고 루터 신학의 주제인 하나님과 인간은 득의론과의 관계에서 구원하시는 하나님과 타락한 인간이라는 구체적인 한정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하나님과 인간을 이어주는 방편이 되는 것은 은총과 신앙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 모든 요소들이 십자가에서 종합되어 루터의 득의를 설명하게 된다고 본다. 루터에게서 십자가의 의미는 하나님의 사랑과 능력이다. 그것은 하나님의 십자가의 죽음에서 인간의 죄를 소멸하시며, 부활로 인해 새 피조물을 만드셨다는 사실에 의해 구체화된다. 따라서 득의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그러한 하나님의 계획에서 인간의 그리스도의 의에 힘입어 의롭다고 인정되는 한편 또 그 능력에 따라 새로운 피조물로서 실제로 의롭게 되는 것이다. 또한 루터의 득의론을 파악하기 위해 본 논문은 두 종류의 의에 대한 루터의 구분을 득의의 두 부분으로 연결시켰다. 루터는 득의에 대해서 전가와 분여를 포함하여 논하는데, 이것은 득의의 두 부분에 루터 자신의 언급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는 또한 은총과 은사에 대한 루터의 구분과 일치한다. 의의 전가로서의 득의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선포해 주시는 죄 사면의 선포, 즉 인간의 죄악성에도 불구하고 의롭게 여겨주신다는 선언이다. 또한 루터가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를 소유한다고 선언하였던 바와 같이 그리스도의 의는 이제 은총에 의해서 인간 속으로 주입된다. 그 이유는 신자가 그리스도와 친교를 나누며 살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나님의 역사로 의롭게 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신앙 외에 다른 것이 아니다. 신앙 안에서 자기의 것이 된 그리스도 곧 신앙을 통해 신자의 마음에 살아있는 그리스도만이 그의 의이다. 따라서 그 의는 여전히 낯선 것이다. 그런데 거룩하게 되는 것이란 죄로부터 자신을 깨끗하게 하고 경건하게 사는 것이 아니라 믿는 것이다. 이러한 사건을 일으키는 데에 복음이 있다. 성서는 그것을 사랑하는 자를 그 능력으로 자기에게로 변화시킨다고 루터는 말한다. 그리고 그는 말씀과 성령의 역할을 연결시키는데, 성령은 성서의 말씀 속에 나다난 하나님의 창조적 임재로서 신앙과 새로운 실존을 실현시킨다. 성령은 복음의 지리를 인간에게 확신시키는 역할만이 아니라 인간을 거룩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이것 즉 그리스도의 거룩함이 분여의 측면이다. 이러한 루터의 득의는 신앙에 그리고 그리스도에 의존하는 전가이며 신생으로 따라서 득의된 인간은 의인이며 동시에 죄인이라는 공식으로 설명된다. 그런데 득의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 의해서 루터의 이 공식은 전통적인 해석보다 더 넓은 의미로 확대될 수 있다. 먼저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갖는 전체성 속에서 그것은 죄인으로서의 인간과 그러한 인간을 의인으로 여기신다는 의미와 더불어 하나님의 완전하심에 의한 인간의 새 창조의 완전함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것은 언제나 낯선 것으로서의 득의라는 사실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새 창조물로서의 인간은 계속해서 진보해야 하며, 그것은 운동성으로 해석되는 부분성이다. 그리고 루터의 이와 같은 전체성과 부분성이라는 특징은 종말론적인 전망 가운데 이루어진 것으로 , 그러므로 새 피조물인 그리스도인은 단지 그 자신이 의롭지 않음을 알아갈 뿐이다. 이러한 이해는 율법과의 관계에서 그리스도인에게 새로운 자유를 부여하였는데, 그것은 하나님이 자신을 통해 선행을 하시지 않더라도 혼란되지 않는 자유이며, 동시에 하나님의 창조적인 사랑에 대해 순종하는 자유로, 그리스도가 인간에게 하셨던 것처럼 그의 이웃을 위해 그의 원함 속에서 봉사할 수 있는 자유이다. The study of Luther's Theory of Justification has been developed in two ways. One is Justification of Imputation which means that God accepts the righteousness with his Grace even though men are sinful being. The other way of study is that God actually makes men righteous as well as he takes men as righteousness being. Currently, in addition to these ideas, there are some other efforts to interpret Luther's Idea as the view point of Greek orthodox church.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Luther's Justification with his theoretical ideas relating to his thoughts of other themes. For this purpose, one axis was established is Luther's understanding of the Cross expressed "Theology of the Cross". In Luther's theology God and man are the two subjects have a specific and limited relationship that is God who save and Man who was fallen under the view point of Justification. The ways to connect God and men are Grace and Faith. Thus, this point of this study is to explain Luther's Justification with the Cross. The meanings of the cross to Luther are the love and abilities of God. This meanings are realized by the fact that men were saved by the god's death on the cross and became new creatures by his resurrection. So, in the view point of Justification, men are thought being righteous with Christ and also men became righteous as new creatures with his abilities. So this study related Luther's category of two kinds of righteousness to two part of Luther's Justification. Luther explained Justification including Imputation and Impartation. This agrees with Luther's distinction of Grace and Gift. Being holy is not from self-discipline or piety but from belief. And The Bible cause this event. Luther said that "Bible changes those who love bible". He also connected the roles of Bible and Holy Spirit and Holy Spirit realize faith and new Being as the God's creature in the Bible. Holy Spirit not only confirm the truth of evangelism but also make men holy. The holiness of Christ is an aspect of impartation. Luther's Justification is depending upon faith and Christ so that justified men are simul iustus et peccator. However, this Luther‘s formula can be extended more than the classical interpretation. The more broadened understanding is that God takes men as righteous being in the wholeness of the relationship of God and men, and he makes new creatures with his perfection. However, men as new creatures have to keep advancing because the Justification is always alian. This means this formula is interpreted as the partialness in movement. A characteristic of Luther's Formula of wholeness and partialness is due to eschatologic prospect so that christian who are new creatures only know that they are not righteous. This understand gave a new freedom to christians in Law. That is not a confusing freedom even though God doesn't make man do goods, but an obedient freedom to God's creative love and serving freedom for neighbor like Christ did to men.

      • 하인리히 불링거의 교회론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츠빙글리와 루터가 종교개혁의 초석을 놓은 ‘종교개혁 제1세대’라고 한다면, 칼빈은 개혁된 교회를 더욱 체계화하고, 안정화 시켰던 ‘종교개혁 제2세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츠빙글리와 루터 이후에 칼빈의 영향력으로 인하여 종교개혁의 주도권이 스위스의 제네바로 이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칼빈 외에도 당시에 영향력 있게 교회의 개혁을 이뤄간 다른 인물들도 있었는데, 그 중 하나가 본 연구에서 조명하고자 하는 하인리히 불링거(Heinrich Bullinger)이다. 칼빈은 스위스 지역의 제네바에서, 불링거는 스위스 지역의 취리히에서 종교개혁을 이어갔다. 불링거는 츠빙글리 사후의 어려운 시기를 취리히 교회의 담임목사(Antistes)로서 44년이라는 기간 동안 목회자와 설교가로서의 삶을 살아가면서, 스위스의 종교개혁을 완성시켰을 뿐만 아니라, 칼빈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개혁교회의 일치와 연합을 이루어 내며 유럽 지역에까지 널리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중대한 업적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그의 이름이 낯설게만 느껴지는 것이 지금의 실정이다. ‘그가 가진 특징적인 사상이 없어서였을까’ 하는 것이 이 연구의 시발점이었다. 이에 필자가 본 논문을 통해 연구한 내용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로 그는 교회를 어떻게 이해했으며, 그것을 통해 그가 강조하고자 했던 것이 무엇이었는가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실현시켰는가에 대한 부분이다. 불링거는 교회를 ‘하나의 보편적 교회’로 이해하였다. ‘승리한 교회, 전투적 교회’라는 전통적 구분으로 교회의 개념을 설명했다는 점과 교회의 표지로 외적표지 뿐만 아니라, 내적 표지라는 개념을 새롭게 제시했다는 점은 그의 교회론의 특징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는 ‘하나님의 집으로서의 교회’, ‘참된 신자들의 어머니로서의 교회’ 등의 다양한 개념을 통해 교회를 설명하는데, 이를 통해 그가 궁극적으로 제시하고자 했던 것은 머리되신 그리스도 안에서의 영적인 일치, 교회의 본질적인 하나 됨이었다. 그는 이에 대해 끊임없이 반복해서 강조한다. 이러한 그의 교회의 일치를 향한 염원은 칼빈과 <취리히 일치신조>를 작성함으로 완성된다. 이 협약을 통해 루터파와 츠빙글리파의 격동적인 성찬논쟁을 잠재웠고, 베른을 제외한 스위스 지역들뿐만 아니라 유럽까지 하나가 되게 하는 놀라운 성과를 이루어냈다. 두 번째로 살펴본 것은 종교개혁시기의 주된 논제였던 성찬론에 대한 불링거의 입장과 그의 성찬론의 특징이 무엇이었는가에 대한 부분이다. <취리히 일치신조>와 <제2스위스 신앙고백>를 통해 불링거는 츠빙글리의 기념설과 칼빈의 영적임재설을 존중하면서도, 그들의 사상을 비평하고 종합해 나가면서 그 만의 ‘영적임재설’을 제시한다. 불링거는 성찬은 단지 과거에 행하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주신 생명의 은혜를 ‘기념’하는 것뿐만 아니라, 성찬을 행하는 오늘 우리에게 부어주시는 하나님의 은혜의 ‘증거’라고 말하면서 성찬의 은혜의 과거성과 함께 현재성과 미래성을 제시하였다. 이에서 츠빙글리와의 차별성을 보인다. 한편 그리스도와 성도들과의 연합의 측면보다 수찬자의 ‘믿음’에 강조점을 더 두었다는 점에서 칼빈과도 차별성을 나타낸다. 이로써 그는 성찬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었다. 마지막으로 그의 교회론과 그에 속한 성찬론이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가에 대한 부분이다. 앞서 말했듯이, 불링거의 교회론은 당대의 교회의 일치를 이루는 원동력이 되었다. 그리고 수없이 분열되고 지금도 분열하고 있는 오늘날의 한국교회에도, 우리가 머리되신 예수 그리스도로 하나가 되어야 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성이 발달하고, 합리성을 추구하며, 메마른 마음으로 성찬에 임하고 있는 이 시대의 성도들에게, 그는 오늘의 ‘증거’가 되는 성찬을 통해 그리스도를 만나며 살아가고, 그리스도로 하나 될 것을 권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裵敏洙의 民族意識 形成과 民族運動 變化 硏究

        주명식 延世大學校 聯合神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고는 裵敏洙의 民族運動에 관한 것이다. 그의 民族運動에 대한 의식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었는가를 다루는 것이다. 세계 열강의 제국주의와 자본주의 국제질서 속에서 소용돌이 치던 조선왕조는 일제에 의해 국권이 침탈당하게 되었다. 조선왕조 말 壬午軍亂(1882)과 乙巳條約(1905)에 이어 丁未七條約(1907)으로 마침내 舊式軍隊가 해산되면서 전국적이고 전계층적인 의병봉기가 있었다. 裵敏洙는 구식군대의 하사관이었던 아버지 裵昌根이 의병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옥사하기 전 남긴 유언과 같은 말에 크게 자극받았다. 반드시 나라를 되찾아야 한다는 抗日意識과 구국에 대한 독립의지가 싹트게 된 것이다. 이것이 裵敏洙의 民族運動의 시발점이라 하겠다. 義兵運動은 훗날 독립군의 獨立戰爭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또한 구한말에 裵敏洙는 基督敎를 접하게 되었고 기독교 학교를 통하여 민족의 정체성을 보다 분명하게 의식하게 되었다. 기독교 宣敎師들과 民族意識이 투철한 민족청년들에 의해 설립된 淸州淸南學校에서 裵敏洙는 세계적인 인물들과 영웅들을 알게 되었다. 특히 미국의 아브라함 링컨을 존경하게 되어 그와 같이 민족의 英雄이 되고 싶은 야망을 품게 되었다. 淸南學校에서 基督敎的 價値觀과 世界觀을 통해 民族意識이 더욱 투철해진 裵敏洙는 친구들과 함께 숲속에서 몸에 문신을 새기는 秘密儀式을 치르기도 했다. 이 시기의 裵敏洙의 민족에 대한 의식은 아직은 운동의 차원이 아닌 하나의 야망과 꿈으로 형성되던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裵敏洙는 普通學校를 마치고 역시 선교사들에 의해 세워진 中等敎育 기관인 平壤崇實學校에 입학하였다. 裵敏洙는 숭실학교에서 그의 생애 가장 획기적인 경험을 하게 되었다. 그것은 다름 아닌 朝鮮國民會라는 地下秘密組織을 결성하게 된 것이다. 國民會는 다분히 義兵運動과 같은 연장선에서 그 성격의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그 행동양식에 있어서 게릴라(guerrilla)적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이 그러하다. 國民會는 絶對的인 武裝獨立鬪爭路線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 시기에 우리는 裵敏洙의 民族運動에 대한 특징이 暴力的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훗날 그의 暴力的 運動이 변화되긴 했지만 당시의 裵敏洙는 非暴力 無抵抗을 강조했던 톨스토이나 인도의 간디, 그리고 마틴 루터 킹 목사와는 달리 독일의 나치정권에 대항했던 본회퍼의 神學思想과 유사한 行動樣式을 취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겠다. 하지만 裵敏洙가 조직한 투쟁적이던 國民會는 거사를 치르기도 전에 정체가 발각되면서 일제에 의해 국민회 회원들은 체포되어 징역살이를 하게 되었다. 이 시기 裵敏洙는 독립운동단체들간의 의견불일치를 인식하게 되었고 아울러 民族運動에 대한 行動樣式의 문제점을 제기한 曺晩植을 만나게 되면서 그의 민족운동은 보다 온건하면서도 持續可能한 實力養成論쪽으로 기울어지게 되었다. 裵敏洙는 특히 咸鏡北道 城津에서 三一獨立運動을 주도하게 되었다. 성진에서의 독립운동의 특징은 독립선언문에 기록되어 있는대로 그 행동양식이 非暴力的이었다는 점이다. 아버지의 의병활동과 국민회의 독립운동을 위한 행동양식에 비교하면 대단한 변화와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다. 국민회 사건과 성진에서의 삼일독립운동으로 裵敏洙는 옥고를 치르게 되었고, 현실적으로 투쟁이나 무력을 통한 방식으로는 민족운동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인식한 裵敏洙는 그가 일평생 심혈을 기울였던 농촌운동에 투신하게 되었다. 당시 韓國의 80%가 農村이었다. 농촌을 살리는 일이 곧 獨立運動이요 民族運動이란 점을 깨달은 배민수는 農村運動에 전념하게 되었다. 하지만 義兵運動에 대해서도 일정한 거리를 두었던 선교사들처럼 韓國敎會의 농촌운동에 대한 부정적 시각과 日帝가 농촌운동을 독립운동으로 파악하게 되면서 배민수의 농촌운동은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난관에 봉착하게 되었다. 裵敏洙는 이 문제를 神學的으로 해결하고자 平壤神學校에 입학하게 되었다. 하지만 保守的 根本主義 神學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던 평양신학교에서도 裵敏洙는 농촌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지 못하게 되자 미국의 맥코믹 신학교로 유학을 떠나게 되었다. 평양신학교와 같은 보수적 근본주의 신학을 표방하고 있던 맥코믹 신학은 한국에 있는 평양신학교와는 달리 自由主義도 根本主義도 아닌 온건한 중도적 입장에 서 있다는 것을 裵敏洙는 알게 되었다. 그는 그곳에서 많은 다양한 신학 교수들을 만나게 되었다. 특히 라우센부쉬의 社會福音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여진다. 裵敏洙는 美國留學을 통해서 民族主義的 民族運動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세계를 아우르는 세계관을 갖게 되었고 이것은 이 지상에 하나님 나라 건설이라는 보다 靈的인 운동으로 한 차원 격상하게 되었다.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여 長老會 總會 農漁村部 初代 總務를 맡으면서 농촌순회 강연과 농촌지도자 양성에 열심했지만 미국경제의 불황과 후원금 감소로 인한 재정난 또는 농촌경제와 복지보다는 救靈이 우선이라고 하는 총회의 保守性에 밀려 마침내 농촌부는 폐쇄되고 말았다. 사실 裵敏洙는 귀국하여 曺晩植 등과 함께 農村硏究所를 설립하고 理想的인 예수촌 건설을 꿈꾸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야망들이 쉽게 이루질 수 없었다. 해방과 더불어 피폐해진 한국농촌을 구원할 방도에 고심하던 裵敏洙는 大田基督敎聯合奉事會와 함께 基督敎農民學院을 설립하게 되었다. 裵敏洙는 평생의 숙원이었던 하나님 나라 건설을 위해 농촌운동이 가장 절박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농민학원을 운영하게 되었다. 농민학원을 통하여 裵敏洙는 하나님 나라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삼애정신을 특히 강조하였다. 애신(愛神 ; Love God), 애농(愛農 ; Love Land), 애로(愛勞 ; Love Work)가 바로 그것이다. 삼애정신은 利他的인 것이 특징이다. "남 살려야 내가 산다"는 배민수의 座右銘이 그것을 잘 말해준다. 당시 19世紀末 基督敎會가 말씀 선포(kerygma)만 강조하거나, 친교(koinonia) 혹은 봉사(diakonia)만 강조하던 교회의 삼중구조에 대한 일편적인 불균형을 裵敏洙는 三愛精神을 통하여 통전적으로 접근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는 아직 그때까지 신학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았던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 일맥상통하는 것이라 하겠다. 어떤 점에서 裵敏洙의 하나님 나라 건설 운동의 요체인 삼애정신에서 우리는 그가 敎會至上主義를 극복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宣敎神學的으로 달리 말하자면 '하나님 - 교회 - 세상'의 구조가 아닌, '하나님 - 세상 - 교회'의 구조를 띄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裵敏洙의 농촌운동은 단순하게 농업개량이나, 福祉次元을 뛰어넘는 四海同胞적인 신학과 理念을 표방하고 있는데 그의 농촌운동으로서의 이 땅 위에 하나님 나라를 건설하려는 운동은 그의 저서 "그 나라와 한국 농촌"에 잘 드러나 있다. 요컨대 裵敏洙의 民族運動이란 舊韓末 義兵運動에서 시작하여 極端的인 抗日武裝獨立運動으로 발전하였고 이어 지속가능한 농촌운동으로 변화하게 되었지만 마침내 민족주의적 한계를 극복하고 일생의 사명이었던 전세계 인류를 위한 하나님 나라 운동으로 성숙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 하나님 나라 건설을 위하여 배민수는 한국농촌을 선택하였던 것이고 삼애정신으로 그것을 꽃피우고자 했던 것이다. 義兵運動 - 獨立運動 - 農村運動- 하나님 나라 운동(삼애정신)이 그것이다. 이것은 다시 暴力的 運動 - 啓蒙的 運動 - 神國的 運動(三愛精神)으로 정리할 수도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take Bae Min Su' national movement, the process of his awareness on national movement and its development. In the vortex of imperialistic and capitalistic world system ruled by western powers, the Chosun Emperor was disseized of its sovereign rights by Japan. In the end of Chosun Emperor, gone through the Im-O Army Rebellion(1882), Eul-Sa Treaty(1905) and Jung-Mi 7 Treaties(1907), Chosun was in a state of anarchy. At last Korean army was disarmed by Japan and there rose a nationwide revolt of patriotic soldiers(guerilla) in every classes. Bae Chang Kun, Bae Min Su's father, who was a sergeant of Korean army was one of the patriotic soldiers. On the last day of his death in prison, his last words meant to Bae Min Su as an enlightenment of his consciousness, resisting to Japan and of the strong will of national independence. This was the start of Bae Min Su's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end of Chosun Emperor, Bae Min Su came to know the Christianity and he could recognize his national identity more clearly through his life at mission school. At Chungnam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by foreign missionaries and patriotic youths, where Bae came to know the stories of world popular heros, such as Abraham Lincoln, he dreamed of being a national hero. With Bae's worldview and life perspective based on Christianity, his patriotic consciousness was strengthened and he had a secret ceremony with his friends tattooing on his body as a strong pledge for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t this time Bae's awareness on national movement could be called as a vision rather than a movement. After graduating a primary school, Bae entered Pyong Yang Soong Sil School which was one of the secondary grade schools, founded by foreign missionaries. At Soong Sil he had a most epochal experiences in his whole life, at which he organized a secret group for underground movement for Korean independence, named "Korean National Association". "Korean National Association" had a similar character with the patriotic soldiers' revolt, especially its guerrilla features in its behavior.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dhered to an absolute armed-equipped resistance of independence movement. At this time Bae's national movement was highly violent. Though Bae's violent activity was turned to the non-violent afterwards, his national movement at this time was similar to Dietrich Bonhoeffer who was against the Nazi government of Germany rather than following the non-violent resistance of Tolstoi and Ghandi. However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Branch" was detected by Japanese police before it started its first action and all its members were arrested and imprisoned. Witnessing the divisions of organizations of independence movement, Bae's recognition on national movement became to be inclined toward moderate and sustainable movement, strengthening national power when he met Cho Man Sik who raised questions on the way of national movement at that time. Bae Min Su led the Samil(1919) Independence Movement at Sungjin, the northern province of Ham Kyung, which was, of course, non-violent movement following the principle of Independence Statement. Compared to his father's patriotic soldiers' revolt and his violent activities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his Samil(1919) Independence Movement at Sungjin showed much changes and difference. Serving of his two terms of imprisonment as a result of his violent activities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nd his Samil(1919) Independence Movement, he realized that the violent national movement was practically impossible and he started to engage himself in the movement to uplift the rural societies. At that time the 80% of Korea was agricultural communities. Bae became to understand that enlightening the agrarians was namely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also the national movement. However his rural movement became to face a deadlock when Japanese government regarded his rural activities as an independence movement and Korean churches also understood his rural movement in a negative way. With this experience as a momentum Bae Min Su entered Pyong Yang Theological Seminary, one of the most conservative and fundamental thological seminaries but he couldn't get an answer for his questions on rural movement even at the seminary. At last he decided to study at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in U.S.A. Different with Pyung Yang Theological Seminary claiming to stand for the conservative and fundamental theology, the McCormick was taking a moderate middle-of-the-road theological standpoint and Bae could study with many good professors in a diverse and various theological fields. Especially, he seemed to be influenced much by Rauschenbusch's social gospel movement. An Academic experience at McCormick gave Bae Min Su a broadened worldview to overcome the limit of his national movement which could upgrade his movement to spiritual movement building God's Kingdom on earth. Upon his return to Korea, he took his office as a first executive secretary of rural mission department in Presbyterian Church of Korea(PCK). and he worked eagerly to empower the rural leaders and opened a lot of lecturing tours in rural areas. however with the decrease of supporting fund from U.S.A. due to its financial depression and the PCK's evangelical policy stressing the saving of souls, the office of rural mission department was closed. Bae Min Su had a vision to found a rural research institute with Cho Man Sik and build a Jesus Village but it was not easy for him. After Korea's Independence Bae Min Su found the Daejeon Christian Service Association and opened an agrarian school as a way to save impoverished rural communities. As means to build God's Kingdom on earth, Bae Min Su sincerely felt that the rural movement is the only way to it and he opened an agrarian school where he emphasized three-love-spirit, "Love God", "Love Land", and "Love Work". These three-love-spirit themes showed his altruism very well and we can also find his altruistic ideas in his motto, " I can only be alive when I save others." In the end of 19th century, the churches were imbalanced in its mission of three principles, Kerygma, Koinonia and Diakonia, being impartial to one of them but Bae Min Su realized its three missions holistically through his three-love-spirit themes,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Missio Dei". In some way, we could find he had already overcome the church-for-church principle with his three-love-spirit themes as a main energy for the God's Kingdom movement. Speaking in missiological view, his theological themes could be defined as "God-World-Church" rather than "God-Church-World". Bae's rural movement was beyond the simple uplift of rural society and its welfare, aiming at the altruistic ideology and theology, which is well expressed in his writings, titled " The Kingdom and Korean Rural Society. Bae Min Su's national movement has its origin in the patriotic soldiers'(guerilla or fighteous soldier) revolt in the end of Chosun Empire, developed to the armed resistance to Japan's colonialism and turned to the sustainable rural movement. Finally his national movement was matured as God's Kingdom movement which could be an alternative to overcome a limit of national movement. To build God's Kingdom on earth, Bae Min Su found his mission field in Korean rural communities and developed his three-love-spirit themes. Bae's main themes which influenced his whole life could be defined as the patriotic(fighteous) soldiers' movement - the independence movement - the rural movement(three - love - spirit). In other way, it could be also summarized as violent movement - enlightenment movement - new national movement (God's Kingdom = three-love-spirit).

      • 한국교회 초창기 새벽기도회에 관한 연구

        장세광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의 목적은 초창기 한국교회 새벽기도회의 형성화되는 과정과 새벽기도회가 한국교회와 한국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새벽기도회에 대한 내용을 다루기 전에 새벽기도에 대하여 역사적 근거로 초대 교회의 새벽기도 흔적과 중세 수도원에서의 새벽기도에 대하여 고찰하고 종교개혁과 부흥회에 대하여 루터와 칼빈 그리고 웨슬리를 통하여 그들이 얼마나 새벽기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그리고 그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초창기 한국교회의 새벽기도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19세기의 조선의 시대적 상황과 선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 가운데서도 정치, 사회, 문화, 종교를 통하여 외적인 상황들과 내적인 상황들 그리고 유교, 불교, 도교 등 그 당시의 종교들 속에서 한국 개신교가 종교적으로 뿌리를 내릴 수 있었던 원동력이 바로 새벽기도회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새벽기도회를 통하여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회개하며 나라를 위하여 기도함으로써 개인의 윤리적인 문제 뿐 만 아니라 사회전체를 변화 시킬 수 있는 역할을 감당 하였기 때문이다. 한국 교회의 최초의 새벽기도회에 대하여 1898년 2월 강진 교회 사경회에서 31명이 참석한 가운데 최초로 시작되었다고 교회사에 기록되어 있으며 이때의 새벽기도회는 초보적 형태로 시작되었다. 그리고 새벽기도회는 1901년 황해도 사경회와 다른 사경회에서 간헐적으로 진행되다가 1903년 평양 장대현 교회 사경회에 새벽기도회가 정식적으로 순서에 포함 되었다. 그리고 1905년의 이화학당에서의 학생들이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발적으로 새벽기도회를 참석하였고 공주회(King's Daughters)나 선교회(Missionary Society)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기도회를 진행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새벽기도는 원산과 평양이라는 지역을 통해서 점차 활성화 되었고, 1907년 길선주 목사의 경우 새벽기도회를 당회에 통과시켜 교회 안에서 새로운 예배 형태로 만들었다. 또한 김익두 목사(1874~1950)는 새벽기도회를 사경회나 부흥회의 일정한 틀로 만들었고, 이용도 목사(1901~1933)는 일정한 원칙과 질서를 무시하고 즉흥적인 감(感)에 의한 부흥회와 새벽기도회를 인도함으로 새로운 시도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계시와 응답을 통한 새벽기도회로 김종우(1883~1940)와 신석구(1875~1950)를 통한 초창기 한국교회의 새벽기도 형성되는 과정들과 특징들을 살펴 볼 수 있다. 이러한 초창기 한국 교회의 새벽기도회는 몇 가지 중요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로 어려운 현실 속에서 기독교인들은 자신을 위한 기도가 아니라 조선의 시대적 상황을 통감하고 나라를 위해서 기도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선교사들에 의한 강제적으로 진행한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교회에 모여서 기도하였다. 바로 평신도들이 자원하여 참여하는 새벽기도회로 발전 시켰다는 것이다. 세 번째로 기독교가 들어오기 전에 죄로 인식하지 못하였던 것들을 바로잡고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면서 회개 하면서 새로운 윤리의식을 통하여 개인적인 중생체험과 성결의 체험은 기독교가 사회윤리 형성의 밑거름이 되어 한국 기독교의 정신적 근거가 된 새벽기도회로 진행되었다. 넷째로는 모든 개신교가 참여하는 에큐메니컬적인 새벽기도회로 진행되었다. 선교사들과 한국의 교인들 사이에 좋지 않았던 감정도 새벽기도회를 통하여 하나의 마음으로 연합 할 수 있었으며, 서로 다른 교파들을 새벽기도회를 통하여 초월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새벽기도회는 한국적 문화 전통 속에서 형성된 신앙 양태로써 기독교를 서구적인 것이 아닌 한국적인 것으로 받아들여, 민족의 심성 속에 그 뿌리를 내리도록 계기를 마련하여 주었다. 한국의 새벽기도회는 서양이 기독교에서는 물론 한국을 제외한 동양 기독교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한국 교회의 독특한 집회형태로 발생, 발전하여 토착화된 기독교 신앙의 한 유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새벽기도회는 이제는 모든 한국의 개신교에서 일정한 예배의 형태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iscuss the establishment of early-morning daily prayer meetings (EMDPM) in Korean churches and the impact of the EMDPM on the Korean churches as well as on the Korean societies. Before studying about the EMDPM, the thesis attempts to find a trace of EMDPM in the 1st century Jerusalem church as well as in middle age religious houses. Moreover, the thesis will discuss that, through the religious reformation and revivals, Luther, Calvin and Wesley highly valued the EMDPM, and how EMDPM itself influenced their personal liv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MDPM of early Korean churches, it is necessary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Korean social status in the 19th century, i.e., Chosun dynasty, as well as the ministry at the time in Korea.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among the outer aspect, which includes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religion, and the inner aspect, as well as religions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which were present at the time in Korea, Korean Christianity was able to establish itself in Korea was in fact due to the EMDPM. Through the EMDPM, one was able to repent, and to pray for the country, which then enabled not only to reform the personal moral change but also have an impact in changing the whole Korean society. It is recorded that the very first EMDPM took place at one of the bible studies at Kang-jin church in February of 1898 in which 31 people attended. After this first meeting, EMDPM were held occasionally in Hwang-hae province bible studies in 1901. In 1903, Pyung-yang Jang dae-hyun church finally started to include EMDPM as one of the formal programs. In 1905, students at Ehwa University started to attend EMDPM voluntarily, in particular, through King's Daughters and Missionary Society programs. EMDPM started to spread in the regions based on Won-san city and Pyung-yang city. In 1907, Rev. Gil sun-ju passed the law approving EMDPM in the elders' meeting in his church. Moreover, Rev. Kim Ick-du (1874~1950) established EMDPM as the Revival worship service, while Rev. Lee Yong-do (1901~1933) attempted to break the formality and tried to depend more on the holy spirit in leading the EMDP. Rev. Kim Jong-woo (1883~1940) and Shin Suk-koo (1875~1950) tried to establish EMDPM through prophecies and responses.These EMDPM in the early Korean churches in fact reveal several important traits. Firstly, these Christians attempted to pray for the country rather than for personal needs especially when they were facing difficult situation. Secondly, EMDPM were never forced by missionaries, instead, were held voluntarily. That is, EMDPM were established with a bottom-up approach rather than a top-down approach. Thirdly, personal re-born process in fact formed a basis for Korean Christianity which then led to EMDPM. Fourth of all, most Korean Christians participated in EMDPM regardless of their denominations. This was especially helpful in uniting foreign missionaries and Korean Christians, and helped to unite different denominations in Korean churches. Lastly, EMDPM helped Koreans to adopt the western Christianity in such a way that would fit the best for Koreans. In particular, the Korean style EMDPM introduced a completely new format of worship which was unseen in any other countries except Korea. These days, EMDP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of Korean Christianity.

      • 초기한국교회 부흥운동의 특성 연구 : 1903~1935년까지

        이상호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논문은 캐나다 선교사인 하디로 부터 시작된 원산 중심의 초기 부흥운동이 길선주를 중심으로 한 평양대부흥운동과 30년대 이용도를 중심으로 한 부흥운동으로 나아가면서 어떠한 특성으로 발전되며, 초기 선교사 중심의 부흥운동이 어떻게 한국 고유의 종교 및 문화 전통에 뿌리를 둔 자발적이고 토착적인 신앙양태로 형성되어 민족의 문제를 극복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밝히고자 했다. 초기 한국기독교인들의 신앙부흥체험은 한국인들의 전통 종교와 문화를 무시하거나 단절시키지 않았다. 오히려 기독교의 본질을 해석하고 기독교를 통해서 동양 종교를 해석하는 주체적인 자리에서 창출된 신앙양태였다. 원산 부흥운동은 캐나다 선교사였던 하디의 서구기독교의 우월의식에 대한 회개로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은 선교에 있어서 복음의 토착화와 피선교자들에 대한 문화적 존중감이 얼마나 중요한지 말해 주고 있다. 하디의 자발적인 죄의 고백에서 시작된 원산 부흥운동은 평양 대부흥운동으로 이어진다. 1907년에 일어난 평양 대부흥운동에서는 초기 선교사 중심이었던 부흥운동의 중심이 한국목회자로 이동하였다. 그 중 길선주 목사는 사경회 중심으로 평양 대부흥운동을 주도해 나가면서, 동양의 토착 종교와는 다른 기독교의 본질을 경험하게 되었다. "기독교인의 됨의 의미"는 죄의 고백과 회개운동으로 표출되었고, 기독교의 본질은 한국 고유의 토양 속에서 주체적으로 수용되었다. 사경회 중심으로 한민족적 부흥운동은 한국 기독교가 스스로의 힘으로 교회를 세우는 자전과 자립운동으로 전개되었으며, 새벽기도와 통성기도, 날연보 등의 토착적인 신앙 양태를 낳게 되었다. 또한 길선주 목사는 자신의 동양적 종교 체험을 바탕으로 한 종말신학을 통하여 성경과 그 당시의 암울한 역사적 정황을 접목시킨 부흥운동을 이끌어 나갔다. 이용도는 20년대 말과 30년대 초기의 부흥운동을 주도해 나가면서 동양적 기독교를 강조하였다. 그의 글에서 자주 동양적 종교와 서양적 종교의 차이점을 이야기하면서, 동양에서는 동양적 종교가 나와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는 여성적이고 포용적이고 감성적인 한국적 동양적 영성을 가지고 자연을 통해 자기 비움을 배우고 동양적 예수, 한국인의 예수를 알게 된다. 이러한 자기 비움의 영성을 통해서 이용도는 예수 사랑과 예수 그리스도의 합일을 추구하게 된다. 이러한 순수한 신앙부흥운동은 한국교회의 부패를 비판하는 교회개혁운동으로 전개된다. 이용도는 서구 중심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에 입각한 기독교를 비판하면서 고난받는 한국인의 경험을 가지고 예수를 이해함으로써 한국의 토착화 신학과 신앙의 정립을 위해 큰 유산을 남기었다. 이 논문은 초기 한국교회부흥운동의 특성을 고찰하면서 두 가지 면에서 폭넓은 이해를 제공한다. 첫째로는 초기 한국교회 부흥운동이 어떻게 초기 선교사들의 비정치적, 비현실적 기독교를 극복하고 철저히 민족 문제를 신앙의 문제로 삼고, 현실개혁과 교회개혁을 이루었는지를 밝혔다. 두번째로는 한국 초기 부흥운동이 서구 기독교의 종교에서 한국인 중심의 기독교로 어떠한 특성으로 수용되고 토착화되었는지를 밝혔다. 그러므로 이 논문의 공헌은 부흥운동의 현실참여와 토착화 문제를 연구하고자 할 때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This thesis traced following three questions: 1. how the early revival movements led by Canadian missionary, Hardy, was connected with Pyongyang Grand Revival Movements led by Rev. Sun-joo Gil, and revival movements led by Rev. Yong-do Yi, and what traits those movements had, 2. how the revival movements led by missionaries was transformed into a spontaneous and indigenous religious modes connected with the Korea's traditional religions and cultures, 3. and how this newly formed religious modes helped overcome the national hardships. The early religious revival experiences were not disconnected with the Korea's traditional religions and culture. Instead, that was derived with analysing the essence of Christianity, and oriental religions through Christianity. Wonsan Revival Movements was started from Hardy's repentance of a sense of superiority of the western christanity shows how important settling the gospel in the host country and respecting the culture of host country are important. Wonsan Revival Movements resulted from Hardy's repentance was followed by Pyongyang Grand Revival Movements. In the Movements triggered in 1907, the pivotal role was transferred from missionaries to Korean pastors. Among the Korean pastors, rev. Sun-joo Gil had led Pyongyang Grand Revival Movements mostly by providing "special bible lecture sessions(Sagyonghoe)", and by doing this, he came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different from oriental religions. "Being a Christian" was expressed by the the repentance of sins, and repentance movements;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was transferred independently in Korean soil. National revival movements got connected with Korean Christians' efforts to establish churches by themselves; those movements gave rise to the peculiar religious modes, such as "praying in dawn", "praying together verbally", and "giving a day(Nalyonbo)". Moreover, through the eschatological theology based on his own oriental religious experiences, rev. Sun-joo Gil headed a revival movement which combined the bible to the then-gloomy situations. Rev. Yong-do Y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oriental Christianity". In his articles, he often mentioned the differences between oriental and occidental religions; he asserted that oriental religion be established in the east. He was taught "emptying himself" the nature, and came to meet "Jesus for Koreans(oriental Jesus)". By emptying himself, he gradually understood the love of Jesus, and pursuited the unity with Jesus. The pure-minded religious revival movements was followed by religious reformation movements. Rev. Yi criticized the Christianity based on the authoritarian ideology formed in the western soils; he contributed to establishing indigeous Christianity of Korea. By observing the early revival movements of Korean churchs, this thesis provides broad picture in two aspects: 1. how the early revival movements overcame the nonpolitical and unrealistic aspect of Christianity, and brought national problems into the religion, and actualized the religious reforms. 2. and, as western Christianity was accommodated in Korean soil, what characteristics it become to have. I think this thesis can help people to grasp how helpful the Christianity of Korea was to overcome national hardships, and what we should understand observing the settlement of Christianity in the Korean so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