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팔라듐 캡핑 공정을 이용한 광섬유 국소화 표면 플라즈몬 공명 수소 센서에 관한 연구

        김효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여러 방식의 수소 센서가 내포한 폭발의 한계를 극복하고 수소 폭발 환경에 노출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광학 방식의 광섬유 기반 국소화 표면 플라즈몬 공명 수소 센서를 제안한다. 국소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이란 금속 물질에 빛이 입사되었을 때 금속 물질 내에 존재하는 자유 전자들이 집단적으로 진동하게 된다. 이때 빛의 흡수와 산란이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 LSPR 현상은 금속 물질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특히 금속 물질의 주변 굴절률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광학 방식 중 광섬유를 활용하면 간단한 광학 측정 시스템을 구현하고 빛의 손실이 적고 원격 측정이 가능한 센서를 구현할 수 있다. 수소를 선택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고감도 광섬유 기반 국소화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에 팔라듐 캡핑 공정을 진행하였다. 팔라듐은 다른 금속 물질에 비해 수소 분자 해리에 필요한 활성 에너지가 매우 낮고 수소 흡수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수소 센서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팔라듐은 수소와 결합하여 저항 변화, 격자 확장 등의 물성 변화를 갖는다. 국소화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을 이용하여 팔라듐 격자 확장에 의한 굴절률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팔라듐 캡핑 공정 조건은 팔라듐 수용액 농도 실험과 팔라듐 캡핑 시간 실험을 통해 결정하였고 미세 유체 채널을 결합하여 팔라듐 캡핑 공정을 진행하였다. 팔라듐 캡핑 여부는 LSPR 스펙트럼 분석과 EDS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제안된 센서는 금 나노 입자 기반, 금 나노 디스크 기반 두 가지 유형의 수소 센서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두 유형의 센서를 다양한 굴절률 용액들에 노출시키며 센서의 선형성을 확인하였고 4% 수소 농도를 반복 측정하여 응답 시간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다양한 수소 농도에 대한 반응과 민감도, LOD 및 SNR 분석을 진행하였고 제안된 센서의 지속적인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히스테리시스 특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유형의 센서의 특성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 장애아동부모의 양육경험과 사회복지서비스 관계에 대한 연구 : 뇌병변장애·지적장애를 중심으로

        김희진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관련 사회복지서비스가 장애아동부모의 양육경험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연구의 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에서도 Colaizzi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만 18세 미만의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인터뷰 하였으며 장애마다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수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뇌병변장애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인터뷰는 2회기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크게 양육경험, 공적서비스, 민간서비스의 세 가지 주제로 분류하여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아동 관련 사회복지서비스와 장애아동부모의 양육경험이 일정부분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나 장애아동부모가 경험하고 있는 어려움을 근본적으로 개선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양육경험으로는 우울감, 경제적 부담, 사회적 인식 미비 등이 공통적으로 진술되었다. 공적서비스와 양육경험과의 관계로는 소득지원서비스인 장애양육수당과 같은 경우 가계에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정도가 미미하다고 분석되었으며 사회복지서비스바우처인 활동지원, 장애아동재활치료바우처는 도움이 된다고 진술되었다. 그러나 어린이집 중심의 양육지원정책이 근본적으로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것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달체계가 제대로 구비되어 있지 않고 공적기관에서 다소 수동적인 정보알림으로 장애아동부모들이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정보접근을 하는 것에 있어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민간서비스는 재활치료, 사회통합교실, 성교육, 장애형제교육 등 사설기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의미하는데 이에 대한 경험으로는 재활치료의 경우 대기시간이 길다는 점과 기관마다 기준이 없는 가격, 선생님의 질 등이 문제가 되어 이용 시 어려움을 많이 겪는다고 진술되었다. 또한 사회통합교실, 성교육, 장애형제교육 등의 민간사회복지서비스의 경우 서비스가 한정적이어서 장애아동과 그의 부모가 원하는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장애아동 관련 복지서비스가 보다 장애아동의 수요자 중심적으로 전환되어 이제 막 실시되는 ‘장애아동복지지원센터’ 의 역할이 행정적 기능인 서비스 정보제공, 연계의 기능에서 멈출 것이 아니라 장애아동과 그의 부모인 수요자 중심으로 생각하여 서비스의 양을 확대하고 가격과 질 등의 기준을 마련하여 모든 장애아동이 누락됨 없이 사회복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발전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ng experience of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and social welfare services. For this reason, phenomenological method, especially Colaizzi's method, in qualitative research was performed. The subjects of study were parents taking care of handicapped children who were under eighteen. Since every disability shows different features, this study was concentrated in children suffering from brain lesions or mental retardation. Interviews classified as three parts such as parenting experience, public service and private service have been carried out during the two sessions. As a result, although social welfare services have an positive effect on parenting experience of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partially, there was a limit to resolve the difficulties of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fundamentally. Depression, financial burdens and the lack of social recognition were described as parenting experiences. The impact of public service on parenting exprience referred to the allowance for parenting the handicapped as income support service, which was marginally and analyzed while the motion support as social service voucher and rehabilitation clinic voucher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were helpful. Parenting support policy focused on nursery house neither worked effectively nor was equipped with service delivery system well. It also showed a limitation including service use and information approach to parents due to somewhat passive information signal. Private services consist of rehabilitation clinic, social integration class, sex education, and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s brothers offered by private institute. The experiences from those were reported parents had troubles with using rehabilitation clinic in the private institutes due to long waiting time, prices and qualities without any standard. Furthermore, since other services were served limitingly, the handicapped children and parents could not be content with the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welfare service involved with handicapped children should be changed into supporting demands of the handicapped children and 'Handicapped Children's Welfare Center' the newly established should develope not only service information offer as an administrative function and function of connection but also expanding the amount of service and setting standards of prices and qualities for handicapped and their parents as customer-centric aspect to experience social welfare services without omissions.

      • 촉각 소자 응용을 위한 이온성 고분자 금속 복합물 액추에이터의 제작

        서범호 단국대학교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온성 고분자 금속 복합물 액추에이터의 단점인 약한 발생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정 조건이 최적화된 캐스팅 방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내피온 이온 교환막 보다 두꺼운 이온 교환막의 제작을 제안하였다. 이온성 고분자 금속 복합물 액추에이터는 저전압에서 대변위 구동이 가능하지만,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의한 발생력이 작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막의 두께가 두꺼워 지면 액추에이터에서 발생하는 힘이 증가하지만, 현재 상용화된 내피온 이온교환막의 경우 이용할 수 있는 두께가 매우 제한적이다. 캐스팅 방법은 내피온 용액을 틀에 부어 건조하는 방법으로 공정이 매우 간단하지만, 온도 및 습도 등의 공정 조건에 따라 공정의 신뢰성과 재현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캐스팅 방법의 공정 변수들을 최적화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캐스팅 방법으로 제작된 내피온 막을 이용하여 막의 두께 증가가 이온성 고분자 금속 복합물 액추에이터의 변위와 발생력에 미치는 영향을 일반적인 이온성 고분자 금속 복합물 액추에이터와 비교하여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발생력이 증가한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촉각 전달 소자를 설계 및 제작하고 적용 가능성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MEMS 공정을 이용한 마이크로 액추에이터의 제작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이온성 고분자 금속 복합물 액추에이터의 연구에서는 상용화된 내피온 막을 이용하여 무전해 도금 공정을 통하여 내피온 막의 양면에 금속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소자의 크기가 소형화되는 데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과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MEMS 공정을 이용하여 이온성 고분자 금속 복합물 액추에이터를 마이크로 크기를 갖는 외팔보 형태의 액추에이터로 제작하였다. 이와 같은 제작 방법은 이온성 고분자 금속 복합물 액추에이터의 응용 분야를 보다 다양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화된 캐스팅 방법을 통하여 더욱 두꺼운 막을 제작 하는 것이 발생력의 증대에 효과적이며 개선된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촉각 전달 소자에 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나아가 이온성 고분자 금속 복합물 액추에이터를 MEMS 공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이온성 고분자 금속 복합물 액추에이터를 제작하고 특성을 측정하여 기존의 마이크로 액추에이터 대비 낮은 전압에서 대변위 구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to make thicker Nafion film to increase generation force by casting methods under the best conditions. Ionic Polymer Metal Composite(IPMC) actuator is possible to make large displacement at low voltage, however, having low generation force is a disadvantage. Although casting method is very simple as pouring Nafion solution into molds and drying, it has certain parameters, like temperature and humidity.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Nafion film are depending on these particular process conditions. This study seeks experimentally to find out the optimal conditions of casting method for thicker Nafion film by changing the variables of the process. Cast Nafion film will be made thick IPMC actuator, after that they will be compared to conventional actuators to confirm how they will affect their displacement and generation force. tactile device will be designed and fabricated using reinforced IPMC actuators and then the applicability will be verified experimentally. Additionally, this study proposes to make micro IPMC actuator using MEMS fabrication. Conventional IPMC actuators are limited to be miniaturized because they are manufactured through electroless plating method using commercial Nafion film. To overcome the problem micro IPMC actuator will be fabricated by MEMS technology for the miniaturize. The new fabrication method will be expected to expand its fields of applications. This study will experimentally proof that using thick Nafion film will be effective to increasing generation force of IPMC actuator and will apply for tactile device using improved IPMC actuator. In addition, it will also confirm that the IPMC actuators made by MEMS technology will be able to make large displacement at low voltage.

      • 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대문구를 중심으로

        이인숙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A Study on the Influence of Residents’ Participation on a Sense of Community Lee, In-suk Dep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Sungshin Wome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level of residents' the sense of community, and by verifying how a sense of community influences on residents participation, to activat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further through community participation, by self-realization and increasing quality of life of the residents, ultimately to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the community welfare level.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by a survey to 307 of local residents in Seodaemun-gu, people and analysis of study. First, the respondents a sense of community was a relatively high level, and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home ownership, length of residence, occupation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respondents level of residents participation was usually a little higher than normal, and in accordance with age, marital status, family enemies, occupation, education, length of residence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Third, to determine the impact on participation by the level of sense of community residents, in a multi-factor regression analysis, three sub-factors of emotional intimacy, sense of belonging and a sense of solidarity and mutual influence appeared to be positive effect on residents participation in order, and the fulfillment were not significant. To solve local issues as participatory sub-factor, such as alerts information and participation submission, surveys and monitoring of administrative offices, participating local public hearings and meetings and residents meetings, participating in volunteer, and participation emotional intimacy were appeared the most positive (+), and belonging and solidarity of mutual influence consciousness were then appeared to affect. Petition for solving local issues and protest rallies, donate participation, traffic safe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campaign participation were influenced by a sense of belonging and a sense of solidarity and mutual influence of the biggest influences and then emotional intimacy were appeared to affect. Thus, a sense of community residents affects to participate in the positive, and emotional intimacy and sense of belonging and a sense of community residents interaction were found to be necessary factor for residents particip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posed measures to strengthen a sense of community affecting the residents participation were as follows. By strengthening the sense of community, in order to activate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t was importance to secur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community, and in order to promote the sense of community, the intended plan was required. Policies which enabled the local community to solve the problem, suggesting the direction of regional development community and the community itself, between the communities and the local network activation and direct participation in the resolution of local issues and causes, in the process, reinforcement of community the cohesion and unity of the community ultimately enable sustainable development. Thus, in order to participate a substantial citizen and to grow continued participation environment, local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measures should be provided to support a variety of local small group activities.

      • 개인예산제도에 대한 주체별 인식차이에 관한 고찰

        전영순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논문 개요 본 연구는 현재 국내 사회서비스 분야의 개편을 위해 논의되는 장애인 개인예산제도에 대한 주체별 인식 차이에 관한 것이다. 2000년대에 들어서 사회서비스의 지원방식이 공급자 위주에서 이용자 중심으로 변화하였고, 서비스 선택면에서 제한적이었던 요소들을 확장하고자 장애인 당사자 및 학계, 그리고 서비스 실천 현장에서의 혁신적인 움직임과 요구들이 집적되어 사회서비스 제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게 되었다. 장애인에 관련된 법률 및 제도가 더 전문화되고 있으며, 장애에 대한 이념적 변화를 바탕으로 시혜적 관점에서 권리적 관점으로 서비스 지원방식이 바뀌었다. 그러나 장애인에 대한 지원은 여전히 장애가 심하지 않음과 심한 정도로 구분하고 있고, 장애인이 자신에게 맞는 서비스를 선택하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완전한 결정 주체로서의 한계는 여전히 남아있다.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본 연구는 개인예산제도에 주목하였다. 개인예산제도는 개인의 욕구에 맞게 산정된 예산을 정부와 지자체에서 현금으로 지급하여 이용자 개인의 사용계획에 따라 그 현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개인이 신청한 서비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현금으로 지급할 수 있으며, 이용자는 지원받은 현금의 사용처와 사용량을 자기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마다 다른 욕구를 고려하여 지원받은 예산은 서비스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용자 본인이 계획한 삶을 통제하면서 지역사회와 통합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개인예산제도를 국내에 도입할 때 장애인 복지서비스와 관련된 기관과 장애유무에 따른 인식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이에 대한 함의를 찾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현행 사회서비스 제도에서 개인별 맞춤에 대한 서비스 지원량의 한계를 고민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대안을 찾기 위해 개인예산제도에 대한 도입 논의현장과 국내 시범사업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미 소비자주의적 관점에서 실행되고 있는 개인예산제도의 경험 국가인 영국의 사회서비스제도를 고찰하고자 한다. 영국은 1997년 직접지불제도의 시행과 2014년 개인예산제도의 도입과 제도화 과정에서 국가가 직접 개입하여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영국 정부는 지역별로 겪은 사례와 시범사업을 통하여 다양한 경험을 축적한다. 이 경험들은 사회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권리 확대와 욕구를 지역사회와 연계하는데 기반이 되었고 나아가 개인예산제도의 사용과정 전반을 시스템으로 구축하고 정착화하는 데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에서 개인예산제도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위해 영국의 사례와 경험은 중요한 통로로 생각되어 20세기 산업자본주의 사회의 핵심 가치인 소비자주의와 그에 따라 들어갈 수 있는 선택과 통제, 개인의 욕구를 중심에 두는 개별적 유연화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주체별 개인예산제도에 관한 도입 의지와 향후 제도도입에 필요한 사항에 대해 장애유무와 기관 유형에 따른 제도에 대한 인식 차이, 제도도입 시 어려움, 제도에 대한 기대효과, 준비사항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특히 영국에서 겪은 기관 종사자와 사회복지 전문가에게서 나타난 걸림돌에 국가가 직접 설득하고 이해시키면서 제도도입을 위해 노력한 역동성은 무엇이며 도입 시 가장 중요한 사항과 우선 준비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개인예산제도 사용자인 장애인과 가족 그리고 서비스 공급을 담당하게 될 기관 유형별 종사자의 인식은 어떠한지 차이를 고찰하였다. 장애유무에 따른 개인예산제도 도입에 대한 인식은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 응답보다 비장애인들의 응답이 높게 나타나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이 도입에 대해 다소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유형별 응답에서는 개인예산제도 도입에 대한 종사자 전체의 인식이 부정적인 수준으로 나타났고, 특히 장애인 거주시설, 장애인 이용시설 종사자들과 비교해 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인식이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기관 유형별 종사자에게서 나타난 제도도입에 대한 기대효과는 장애인과 장애 가족에 비교해 장애 관련 기관 유형별 종사자가 상대적으로 높게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도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예상되는 어려움에 관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구매과정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전문가와 실무자들이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들보다 어려움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의 경우 해당 제도를 경험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제도에 대한 기대효과와 준비에 대한 전반적인 문항 값이 다소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종사자의 경우 해당 제도에 대한 지식이나 경험이 일반 장애인보다 많아 제도의 특성 및 과정에 대해 도입 시 어려움을 더 높게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 기관 유형별 종사자에게서 공통으로 나타난 특징은 개인예산제도의 도입 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와 관련된 기관들 그리고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 모두가 해당 제도도입을 위한 노력과 의지가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개인예산제도를 들어 본 경험이 있느냐는 질문에 전반적으로 들어 본 경험이 없다는 결과로 보아 아직은 개인예산제도 대한 인식이 보편화 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기관 종사자의 준비사항에 대한 부분에서는 제도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기대효과는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제도도입에 대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도입 전에 해결해야 하는 업무적인 부담감을 그만큼 많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은 제도도입준비와 시행에 앞서 철저한 고민과 대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어려움에 대한 인식에서는 장애인 이용시설,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보다 자립생활센터 종사자가 어렵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한 논의 및 함의는 다음과 같다. 국가 차원에서는 개인예산제도의 도입을 위해 예산확보와 적극적인 제도의 도입 의지와 시행을 위한 준비가 필요하며, 이용자 개인별 개인예산제도 신청계획과 정산의 과정을 관리하고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공적인 결정을 대행할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고, 개인예산제도 사용 신청, 승인 과정에서 장애별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개인예산제도를 활용하는 공공기관과 지역사회, 서비스 제공전문가와 현장실무자 간의 협의를 조정할 수 있는 기관과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만이 아니라 모든 국민이 장애에 대한 인식을 시혜적 관점에서 벗어나 권리적 관점으로 인식이 바뀌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개인예산제도, 선택과 통제, 소비자주의, 개별적 유연화.

      • 고령화된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예은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최근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장애노인을 세분화하고 그들의 삶의 만족도에 대해 조사한 연구는 미흡하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고령화된 장애인과 노인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1년도에 실시된 제4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IS)의 응답자 중에서 장애진단을 받은 65세 이상의 노인 379명의 응답자료를 분석하여 활용하였다. 이들을 다시 65세 이전에 장애진단을 받은 고령화된 장애인과 65세 이후에 장애진단을 받은 노인성 장애인으로 구분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 신체·심리적 요인(장애유지기간, 장애유형, 장애등급, 주관적 신체건강상태, 우울감, 일상생활활동(ADL), 도구적 일상생활활동(IADL)), 경제적 요인(가구(가계)총소득, 경제활동상태)에 따른 집단별 차이, 변수 별 삶의 만족도 차이, 변수 간 상관관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주관적 신체건강상태, 우울감, 도구적 일상생활활동(IADL)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즉, 주관적 신체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우울감이 낮을수록, 도구적 일상생활활동이 양호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령화된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주관적 신체건강상태, 우울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즉, 고령화된 장애인의 경우 주관적 신체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우울감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성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주관적 신체건강상태, 우울감, 도구적 일상생활활동(IADL)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즉, 노인성 장애인의 경우 주관적 신체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우울증이 낮을수록, 도구적 일상생활활동(IADL)이 양호할수록 삶의 만족도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노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화된 장애인 집단과 노인성 장애인 집단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크게 다르게 나타나진 않았지만 두 집단 모두에게 신체적·정신적 건강이 그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같은 요인이 그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요인에 미치는 요인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도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통해 비슷하지만 다른 특성을 가진 두 집단의 특성을 인식하고 이해하여 그들이 복지의 혜택에서 소외당하지 않도록 개별적이고도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aging with disability and disability with aging. For achieving this purpose, among the respondents to the 2011 4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data from 379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who were diagnosed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They were classified into aging with disability diagnosed before the age of 65 and disability with aging diagnosed after the age of 65. The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depending on socio-demographic factors, physical·psychological factors and economic factors, the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relevant variables,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the disabled elderly are as follows. First, subjective physical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significantly affected life satisfaction in aging with disability. In other words, life satisfaction improved in aging with disability, when subjective physical health status was good and the level of depression was low. Second, subjective physical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IADL) significantly influenced in disability with aging. In other words, life satisfaction improved in disability with aging, when subjective physical health status was good, the level of depression was low and IADL was satisfactory. The study findings showed that physical·mental health highl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in both of aging with disability and disability with aging. It was also revealed that although their life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the same factors, the influence factors might be differen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re is a need to provide individual and integrated services not to make these two groups excluded from welfare benefits by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their similar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 여자 대학생의 결혼의향에 관한 연구 : 성역할태도와 성차별경험을 중심으로

        김현진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대학생들의 성역할태도와 성차별경험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교의 재학·휴학 중인 여자 대학생들의 결혼의향의 차이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설문대상을 여자 대학생으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의 연령은 20~29세에 해당되며, 2020년 1월 18일부터 2월 18일까지 구글 폼을 이용하여 32일간 총 227명의 설문지를 제출받았다. 이 중 표본으로 적합하지 않은 대학원생의 자료 1부를 제외한 226명의 자료를 SPSS 22.0 버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여자 대학생의 전반적인 성역할태도, 성차별경험, 결혼의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둘째, 여자 대학생의 사회인구학적요인에 따라 성역할태도와 성차별경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여자 대학생의 사회인구학적요인에 따라 결혼의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여자 대학생의 결혼의향과 관련 변인 간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에 투입된 변수인 사회인구학적 변수 중 학년은 4학년 기준으로 4개의 변수로 더미 처리 후 사용하였고, 출생순위는 장녀를 기준으로 3개의 변수로 더미 처리를 하였으며, 현재 이성친구 유무는 있다 를 기준으로 1개의 변수로, 전공계열은 문과계열을 기준으로 2개의 변수 더미 처리 후 분석에 투입하였다. 다섯째, 여자 대학생의 성역할태도, 성차별경험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 전 회귀모형의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한 Durbin-watson 검증을 실시한 결과 1.89~1.89로 나타나 잔차 간 자기상관은 없었으며, 회귀모형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VIF 값은 1.05~1.60으로 다중공선성의 문제 또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을 위하여 사회인구학적 변수는 더미변수 변환 후 회귀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 대학생의 성역할태도, 성차별경험, 결혼의향의 전반적 경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성역할태도가 19.57점, 성차별경험이 46.94점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 참여한 조사대상자는 평등적 성역할태도를 지니고 있으며, 대부분 성차별을 경험해본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의향에 대한 전반적 경향은 전혀 없다 16.4%, 없다 24.8%, 보통이다 24.8%, 그렇다 18.1%, 매우 그렇다 15.9%로 조사되었으며, 평균 2.92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 대학생의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라 성역할태도, 성차별경험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라 성역할태도, 성차별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자 대학생의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라 결혼의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여자 대학생의 출생순위와 현재 이성교제 유무에 따라 결혼의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자 대학생의 결혼의향과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결혼의향과 상관이 있다고 나타난 변수는 성역할태도, 성차별경험, 외동변수, 이성교제유무였다. 이는 성역할태도가 평등적일수록 성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외동보다 장녀일수록 이성교제를 하지 않을수록 결혼의향이 높아지는 것을 뜻한다. 다섯째, 여자 대학생의 성역할태도와 성차별경험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인구학적변수를 통제변수로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모델의 설명력은 약 20%, 27%, 28%로 나타났으며, 성역할태도와 성차별경험은 결혼의향에 비슷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변수 중 학년, 전공, 거주형태, 막내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차녀변수, 외동변수, 현재 이성친구 유무, 성역할태도, 성차별경험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차녀와 외동보다는 장녀일수록, 현재 이성친구가 없을수록 결혼의향이 높아지며, 성역할태도가 평등적일수록, 성차별경험이 많을수록 결혼의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에서 가장 기본이 될 수 있는 ‘가정’이라는 분야의 감소가 진행되고 있는 현재 그와 관련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제언을 통하여 변화하는 여성의 가치관을 사회와 결혼제도가 따라잡지 못하고 있어 평등적 성역할태도를 지닌 여성들이 긍정적 결혼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실제 결혼까지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결혼제도의 변화를 위하여 양성평등적 결혼제도의 정착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고등교육과정과 대학 내에서의 지속적인 성교육과 가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밝혀냄에 있어 의미가 있을 것이다.

      • 소결 조제 적용을 통한 LAGP 고체전해질 특성 평가

        이현준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According to current trend, lithium-secondary batteries are in the spotlight as next-generation eco-friendly energy. However, liquid-electrolytes used in the past are showing limitations due to problems such as explosion and fire. Solid electrolytes have advantages in stability and large size, and thu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However, a solid electrolyte manufactured by processing crystallized glass has limitations to various applications against a large area.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the manufacture is way to make by using a forming and sintering method, performance decreases due to pores inside the sintered body. Therefore, in this research, Bi2O3 was applied as a sintering-ai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Li1.5Al0.5Ge1.5(PO4)3 (hereinafter, LAGP) solid electrolyte sintered body, and thus phys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improvement effects were obtained, and the amount of the sintering-aid was changed to ensure optimal sintering conditions. Characteristic evaluation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secured conditions, and long-term reliability was also secured through repeated chemical durability evaluation. 현 시대의 흐름에 맞춰 리튬이차전지는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사용하던 액체전해질은 폭발 및 화재 등으로 인한 문제점으로 한계를 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고체전해질의 경우, 안정성 및 대형화에 강점을 가지고 있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결정화유리를 가공하여 제조하는 고체전해질은 대면적화 등에 대한 다양한 Application에 대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성형 및 소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경우, 소결체 내부의 공극으로 인한 성능 하락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i1.5Al0.5Ge1.5(PO4)3 (이하 LAGP) 고체전해질 소결체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Bi2O3를 소결 조제로 적용하고 이를 통한 물리적, 전기화학적 특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소결 조제의 첨가량을 변화시켜 최적의 소결 조건을 확보하였다. 확보된 조건을 적용하여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반복적인 화학적 내구성 평가를 통해 장기신뢰성 또한 확보하였다.

      • Integration of High-k Dielectric Films and Two-Dimensional Materials for High-Performance Electronic Devices

        Nakayama, Yukiko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Describe the summary of the contents of the paper. (gap of line 160%) Two-dimensional materials are being studied in a variety of fields because they are atomically thin and flat and have unique physical properties. 2D materials include graphene,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TMDs), and hexagonal boron nitride (h-BN). Depending on their atomic composition and structure, these materials exhibit a wide range of electronic properties, including metals, semiconductors, insulators, and superconductors. In addition, 2D material heterostructures combining these materials have unprecedented technological potential.2D materials, besides their electronic properties, usually possess flexibility and transparency. These are considered important for next-generation electronics applied in the nanotechnology industry. However, h-BN, a 2D material, has many problems for devices, despite its properties as an insulator. For example, conventional multilayer h-BN is not suitable for device applications because it is difficult to synthesize uniform and large areas.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combined with hafnium oxide, a high-k dielectric material. This will produce a uniform and controllable pseudo-2D film. In the experiment, 30 nm hafnium oxide was deposited on h-BN. This was a sufficient condition to show insulating properties. This produces a uniform and controllable pseudo-2D film. The film is then transferred to semiconducting materials

      • Selective Doping of Porous Graphene Utilizing Liquid-Assisted Photothermal Reaction

        An, Jin Woo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Porous carbon materials are crucial in advancing a sustainable low-carbon future due to their excellent properties such as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chemical stability,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and facile chemical tunability. Among porous carbon materials, laser-induced graphene (LIG), synthesized via laser-induced photothermal reaction of polymer, exhibits a large surface area with a 3D porous structure and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So far, previous research has proposed various functionalizing strategies for LIG to expand its versatility in applications. However, these approaches still have common challenges that limit the usefulness of LIG such as inconsistent doping depth, and complexities of integrating variety of functionalized LIGs onto a single substrate. Herein, a micro-scale array of selectively doped LIGs is synthesized on a single substrate via a solution dopant-based liquid ablation method. This manner enables the chemical doping of LIG with both electron donors (n-type) and hole donors (p-type). Moreover, exploiting laser-induced nucleation and growth within a precursor solution enabled the fabrication of nanoparticle decorated LIG. This advancement enabled the design of functionalized LIGs-based sensor arrays on a single substrate capable of selectively detecting hydrogen molecules, previously unattainable with conventional LIG. Given the different responses of each functionalized LIG sensor to hydrogen molecules, the sensor array distinguishes target molecules in the atmosphere by extracting inter-device correl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LIG, which is expected to lead to the expansion of its versat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